KR102422898B1 - 인서트 포밍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인서트 포밍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898B1
KR102422898B1 KR1020200139628A KR20200139628A KR102422898B1 KR 102422898 B1 KR102422898 B1 KR 102422898B1 KR 1020200139628 A KR1020200139628 A KR 1020200139628A KR 20200139628 A KR20200139628 A KR 20200139628A KR 102422898 B1 KR102422898 B1 KR 102422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insert
roller
molding
sid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5318A (ko
Inventor
구연진
Original Assignee
구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연진 filed Critical 구연진
Priority to KR1020200139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898B1/ko
Publication of KR20220055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08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8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27Three-dimensional reinforcements composed of a prefabricated reinforcing mat combined with reinforcing elements protruding out of the plane of the mat
    • E04C5/0631Reinforcing mats combined with separate prefabricated reinforcement cages or gi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를 구현함에 있어서,
일정 폭을 갖는 철판(4a)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철판공급부(4), 공급되는 철판(4a)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부(6), 성형된 데크플레이트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7), 절단된 데크플레이트(100)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8)를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차례로 구성하며,
상기 성형부(6)는 모터(M)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이송롤러부(16)를 전후로 배열되게 구성하되, 이송롤러부(16)는 상부포밍롤러(16a)와 하부포밍롤러(16b)를 회전가능토록 결합하여 철판(4a)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데크플레이트(100)의 기본적인 성형을 위한 단계적인 포밍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성형부(6)를 구성하며, 상기 구성의 성형부(6)에는 추가성형부(60)를 하나 이상 포함되게 하되 추가성형부(60)도 전후로 연속하는 다 수개의 이송롤러부(16)로 구성하여 인서트(150)의 단계적으로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추가성형부(60)에 해당하는 전후 다수의 이송롤러부(16) 중 후방에 위치하는 이송롤러부(16)에는 정밀포밍부(80)를 구성하되, 정밀포밍부(80)는 가로지지대(26)를 매개로 좌우이동블럭(81)을 결합하고 좌우이동블럭(81)의 좌우에는 각각 축하우징(82)을 결합하며, 상기 각각의 축하우징(82)에는 외측 사이드포밍롤러(84)를 축회전되게 결합하여 각각의 외측 사이드포밍롤러(84)의 하단부분은 형성되어지는 인서트(150)의 좌우 하단절곡부(150a)의 외측부분에 각각 밀착되게 하고,
상기 외측 사이드포밍롤러(84) 간의 내측에는 지지판(89)을 매개로 두 개의 내측 사이드포밍롤러(86)(87)를 전후로 위치되게 구성하여 각 내측 사이드포밍롤러(86)(87)의 상단부분은 형성되어지는 인서트(150)의 좌우 상단절곡부(150b)의 내측부분에 각각 밀착되게 함으로써,
상기 두 개의 내측 사이드포밍롤러(86)(87) 각각은 좌우로 위치하는 외측 사이드포밍롤러(84)와 하나씩 짝을 이루도록 하여 한 쌍은 인서트(150)의 좌측 하단절곡부(150a)와 좌측 상단절곡부(150b)에 대하여 밀착되게 하고, 다른 한 쌍은 인서트(150)의 우측 하단절곡부(150a)와 우측 상단절곡부(150b)에 대하여 밀착되게 하여 시간차를 두어 인서트(150)의 마무리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성형된 인서트(150)의 절곡 부분에 대하여 강제적인 힘을 가해 인서트(150)의 형상과 치수를 정밀하게 포밍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서트 포밍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 성형장치{DECKPLAT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PRECISE FORMING OF INSERT}
본 발명은 철판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장시공시 거푸집 등으로 사용되는 데크플레이트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을 구성하는 천장의 시공법은 발전을 거듭하여 현재는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시공법이 널리 사용된다.
도 1a는 트러스거더형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일체형 데크패널(DP)을 도시한 것으로서 널 형태의 데크플레이트(100)의 상부에 트러스거더(300)가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결합된 구조물이다.
이러한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DP)은 건축물을 축조하기 위한 구조체인 보와 보 사이에 가설되며 그 위에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과정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DP)을 사용하여 천장시공을 하면 바닥 콘크리트 공사용 형틀이 필요 없으므로 가설 공사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단위 제품을 연속적으로 거치 고정하는 것만으로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공사를 신속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원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1742491호“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을 구성하는 데크플레이트 성형장치”(선행문헌)의 권리자이다. 상기 선행문헌은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DP)을 구성하는 데크플레이트의 연속적인 성형 중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이 되지 않을 경우 작업자가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보정을 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인장강도의 수치가 570 정도인 철판(SGC 570)을 사용하더라도 데크플레이트의 보강부 성형이 원활하도록 하였다.
본원 출원인은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데크플레이트 성형장치를 운전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인지하게 되었다.
즉, 도 2에 도시된 데크플레이트를 참고하면, (a)와 같은 기본 형상의 데크플레이트(100)를 비롯하여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
Figure 112021147662542-pat00001
”형 및 “
Figure 112021147662542-pat00002
”, “
Figure 112021147662542-pat00003
”, “
Figure 112021147662542-pat00004
”, “
Figure 112021147662542-pat00005
” 등과 같은 형상을 갖는 행거 볼트 체결용 인서트(150)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성형대상체’가 추가로 형성되는 데크플레이트(100A)를 성형할 수도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상기 ‘성형대상체’ 중 하나인 인서트의 포밍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첫째, 인서트 포밍 속도에 따라 강판의 늘어나는 치수가 일정하지 않아서 생산되는 제품이 일률적이지 않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원하는 인서트 형상에 대한 기본적인 성형은 가능하나 정확한 치수를 요할 경우에는 어려움이 뒤따르게 되었다.
셋째, 하나의 데크플레이트에 좌우로 다 수개의 인서트 형성시 인서트 모두 동일한 모양이 형성되도록 성형과정을 진행하더라고 인서트가 모두 일률적으로 같은 형상으로 성형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의 원인에 대하여 생각할 수 있는 부분은 철판에 대한 인서트 부분의 성형이 되더라도 절곡부분이 완전하게 꺾임이 이루어지지 않아 포밍 후에 철판이 가지는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마지막으로 성형될 때의 그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지 않고 복원력에 의해 변형이 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국내등록특허 제10-1742491호“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을 구성하는 데크플레이트 성형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시된 데크플레이트를 성형함에 있어서 인서트와 같은 ‘성형대상체’의 정밀한 성형이 가능토록 하면서 성형된 부분에 대하여 탄성 복원력을 제거할 수 있도록 물리적인 힘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하는 데크플레이트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를 구현함에 있어서,
일정 폭을 갖는 철판(4a)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철판공급부(4), 공급되는 철판(4a)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부(6), 성형된 데크플레이트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7), 절단된 데크플레이트(100)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8)를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차례로 구성하며,
상기 성형부(6)는 모터(M)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이송롤러부(16)를 전후로 배열되게 구성하되, 이송롤러부(16)는 상부포밍롤러(16a)와 하부포밍롤러(16b)를 회전가능토록 결합하여 철판(4a)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데크플레이트(100)의 기본적인 성형을 위한 단계적인 포밍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성형부(6)를 구성하며, 상기 구성의 성형부(6)에는 추가성형부(60)를 하나 이상 포함되게 하되 추가성형부(60)도 전후로 연속하는 다 수개의 이송롤러부(16)로 구성하여 인서트(150)의 단계적으로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추가성형부(60)에 해당하는 전후 다수의 이송롤러부(16) 중 후방에 위치하는 이송롤러부(16)에는 정밀포밍부(80)를 구성하되, 정밀포밍부(80)는 가로지지대(26)를 매개로 좌우이동블럭(81)을 결합하고 좌우이동블럭(81)의 좌우에는 각각 축하우징(82)을 결합하며, 상기 각각의 축하우징(82)에는 외측 사이드포밍롤러(84)를 축회전되게 결합하여 각각의 외측 사이드포밍롤러(84)의 하단부분은 형성되어지는 인서트(150)의 좌우 하단절곡부(150a)의 외측부분에 각각 밀착되게 하고,
상기 외측 사이드포밍롤러(84) 간의 내측에는 지지판(89)을 매개로 두 개의 내측 사이드포밍롤러(86)(87)를 전후로 위치되게 구성하여 각 내측 사이드포밍롤러(86)(87)의 상단부분은 형성되어지는 인서트(150)의 좌우 상단절곡부(150b)의 내측부분에 각각 밀착되게 함으로써,
상기 두 개의 내측 사이드포밍롤러(86)(87) 각각은 좌우로 위치하는 외측 사이드포밍롤러(84)와 하나씩 짝을 이루도록 하여 한 쌍은 인서트(150)의 좌측 하단절곡부(150a)와 좌측 상단절곡부(150b)에 대하여 밀착되게 하고, 다른 한 쌍은 인서트(150)의 우측 하단절곡부(150a)와 우측 상단절곡부(150b)에 대하여 밀착되게 하여 시간차를 두어 인서트(150)의 마무리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성형된 인서트(150)의 절곡 부분에 대하여 강제적인 힘을 가해 인서트(150)의 형상과 치수를 정밀하게 포밍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 성형장치를 구성하는 성형부 내에 추가성형부 및 정밀포밍부를 설치하여 인서트와 같은 ‘성형대상체’의 정밀한 성형이 가능하며 ‘성형대상체’의 절곡되는 부분에 대하여 내·외측 사이드포밍롤러에 의한 강제적인 힘을 가함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거할 수 있어 원하는 형상대로 성형된 부분의 형상이 최대한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도 1a 내지 도 1b)은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의 구성과 데크플레이트의 종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인서트 부분이 추가로 형성된 데크플레이트의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데크플레이트 성형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4(도 4a 내지 도 4b)는 성형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추가성형부에 대한 상세 구성도,
도 5(도 5a 내지 도 5b)은 추가성형부에 속해 있는 정밀포밍부의 부분에 대한 상세 구성도,
도 6(도 6a 내지 도 6b)은 정밀포밍부에 대한 확대 구성도,
도 7(도 7a 내지 도 7b)은 정밀포밍부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2의 (a)와 같이 데크플레이트(100)의 기본적인 성형을 원활하게 성형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b)와 같이 인서트(150)의 성형을 선택적으로 병행할 수 있도록 추가성형부를 구성한다.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 성형시 인서트(150)를 포함하여 인서트(150)와 비슷한 형상을 가지는 모양들을 정밀하게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데크플레이트(100)의 기본적인 성형에 해당하는 보강부(120)와 판개부(130)는 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으로서 보강부(120)와 판개부(130) 중 어느 하나만 형성하거나 아니면 보강부(120)와 판개부(130)는 없을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의 종류는 ① 트러스거더형(또는 철선일체형) 데크플레이트를 비롯하여 ② 골형 데크플레이트, ③ 합성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 등이 있는 것으로서 다양한 데크플레이트의 성형에 적용이 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데크플레이트 성형장치(2)는 일정 폭을 갖는 철판(4a)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철판공급부(4), 공급되는 철판(4a)에 대하여 보강부(120)와 판개부(130) 등을 비롯하여 인서트(150)를 성형하는 성형부(6), 성형된 데크플레이트(100A)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7), 절단된 데크플레이트(100A)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8)를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차례로 구성한다.
데크플레이트 성형장치(2)의 기본적인 구성은 앞서 종래기술에서 제시된 본원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0-1742491호“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을 구성하는 데크플레이트 성형장치”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어 이해를 돕기 위한 부분에 대해서만 언급하기로 한다.
철판공급부(4)는 일정 폭을 가지며 롤 형태로 감겨져 있는 철판(4a)을 후방의 성형부(6)로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성형부(6)는 전방부에 철판공급부(4)로부터 공급되는 철판을 후방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핀치롤러(12)를 구성하고, 철판이 좌우로 쏠리지 않도록 사이드가이드(14)를 구성한다.
도 4(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성형부(6)는 전후방으로 긴 형태의 베이스프레임(10)을 구비하고, 베이스프레임(10)에는 철판을 후방으로 원활하게 이동되게 하면서 철판에 대하여 단계별 포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송롤러부(16)을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열설치한다. 이송롤러부(16)는 상부포밍롤러(16a)와 하부포밍롤러(16b)가 한 쌍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모터(M)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며, 전후로 배열되는 다 수개의 이송롤러부(16)에 의해 철판(4a)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데크플레이트(100)의 보강부(120)와 판개부(130) 및 선택적으로 인서트(150)의 안정적인 성형을 위한 단계적인 포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이송롤러부(16)는 데크플레이트(100)의 보강부(120)와 판개부(130) 및 인서트(150)의 순차적 포밍을 위해 그 수가 적지 않게 구성되는바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송롤러부(16)가 56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번호를 No.1 ∼ No.56까지의 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롤러부(16)의 수는 성형하고자 하는 데크플레이트(100)의 형상 등에 따라 다 수개 또는 수십 개로 구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이송롤러부(16)가 (No.1 ∼ No.56)로 구성되어짐에 따라 보강부(120)와 판개부(130)를 비롯하여 인서트(150)의 점진적인 포밍성형이 이루어진다. 즉 한 예로 보강부(120) 성형시 불량을 줄이고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다 수개의 이송롤러부(16)를 통과시킴에 따라 보강부(120)를
Figure 112021147662542-pat00006
Figure 112021147662542-pat00007
Figure 112021147662542-pat00008
또는
Figure 112021147662542-pat00009
Figure 112021147662542-pat00010
Figure 112021147662542-pat00011
와 같이 점진적으로 안정되게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보강부(120)와 판개부(130) 및 인서트(150)의 성형시 좌우 간의 당김이 발생하게 되므로, 도 2를 참고하면 철판(4a)의 좌우 기준 가운데에 근접하는 부분부터 성형하기 시작하여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의 (b)을 기준으로 보면, 인서트(150)이 가운데 위치하므로 인서트(150)을 가장 먼저 성형하여야 할 것이다.
성형부(6)는 철판(4a) 진행방향에 준하여 전후로 일정 간격으로 이송롤러부(16)를 배열되게 구성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각 이송롤러부(16)는 좌우측으로 이격되어 한 쌍을 이루는 직립프레임(16c)을 구비하고, 직립프레임(16c) 간에는 상부포밍롤러(16a)와 하부포밍롤러(16b)를 상하로 배치하여 회전가능토록 결합한다. 상부포밍롤러(16a)와 하부포밍롤러(16b)의 일측에는 각각 상부기어(17a)와 하부기어(17b)를 결합하여 기어(17a)(17b) 간의 물림으로 서로 동시에 회전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각 이송롤러부(16)는 모터(M)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일 예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이송롤러부(16) 마다 동력전달체(15)를 각각 대응되게 구성한다. 상기 동력전달체(15)는 모터(M)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직교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게 되며 전후로 이웃하는 동력전달체(15) 간에는 모두 스프라켓(SP)을 매개로 쌍체인과 같은 연결매체로 연결하여 하나의 모터(M) 회전에 의하여 연결된 모든 동력전달체(15)에 동일한 회전력이 동시에 전달되게 한다.
동력전달체(15)의 직교하는 축부(15a)에도 스프라켓(SP)을 결합하고 아울러 이송롤러부(16)의 상기 하부기어(17b)의 연장된 축부에도 스프라켓(SP)를 결합하되 상기 두 개의 스프라켓(SP)은 서로 근접하도록 하여 쌍체인과 같은 연결매체로 연결한다. 따라서 모터(M)의 구동에 의하여 모든 하부기어(17)도 동시에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부포밍롤러(16a)와 하부포밍롤러(16b)도 동시에 회전되며, 궁극적으로 상부포밍롤러(16a)와 하부포밍롤러(16b) 사이를 통과하는 철판(4a)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중에 데크플레이트(100)의 보강부(120)와 판개부(130)의 성형을 위한 단계적인 포밍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각 이송롤러부(16)에 모터(M)의 회전력을 동시에 전달하는 방법으로 각 이송롤러부(16)에 동력전달체(15)를 대응되게 구성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 방법 외에도 다른 방법에 의해서도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성형부(6)에는 인서트(150)를 비롯하여 인서트(150)와 형상을 가지는 모양들을 성형하기 위한 추가성형부(60)를 하나 이상 포함되게 하는바, 추가성형부(60)도 보강부(120)나 판개부(130)와 같이 전후로 연속하는 다 수개의 이송롤러부(16)로 구성하여 인서트(150)의 단계적인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인서트(150)를 예로 설명할 것이며 인서트(150)의 좌우에는 하단절곡부(150a)와 상단절곡부(150b)가 형성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절곡부에 대한 정밀한 성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절곡부분에 강제적인 힘을 가함으로 탄성 복원력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인서트(150)는 가운데 하나와 좌우로 각각 1개씩 하여 총 3개가 형성되는데 이를 기준으로 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성형부(60)을 세분화시켜 전방으로부터 첫 번째 추가성형부(60-1)에서는 가운데 인서트(150)가 성형되고, 두 번째 추가성형부(60-2)에서는 좌우에 위치하는 인서트(150)가 동시에 성형이 될 것이다.
특히 추가성형부(60)에 해당하는 전후 다수의 이송롤러부(16) 중 후방에 위치하는 이송롤러부(16)에는 정밀포밍부(80)를 구성한다. 정밀포밍부(80)는 인서트(150) 부분의 정밀한 성형이 가능토록 하면서 아울러 성형된 인서트(150)의 절곡 부분에 대하여 완전하게 꺾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탄성 복원력을 제거함으로써 원하는 형상대로 성형된 인서트(150)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6을 함께 참고하면, 정밀포밍부(80)는 가로지지대(26)를 매개로 좌우이동블럭(81)을 철판(4a)의 진행방향 대비 좌우로 이동가능토록 결합하고 좌우이동블럭(81)의 좌우에는 각각 축하우징(82)을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축하우징(82)에는 외측 사이드포밍롤러(84)를 축회전되게 결합한다. 여기서 축회전 되는 각각의 외측 사이드포밍롤러(84)의 하단부분은 형성되어지는 인서트(150)의 좌우 하단절곡부(150a)의 외측부분에 각각 밀착되는 부분이 된다.
상기 외측 사이드포밍롤러(84)는 인서트(150)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하 좌우로 위치이동이 가능토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가로지지대(26)를 상하로 위치조절이 가능토록 하는바 조절볼트(30)를 이송롤러부(16)의 상부받침대(18)를 매개로 결합고정하고 조절볼트(30)의 하부에 가로지지대(26)를 결합구성한다. 그리고 가로지지대(26)의 좌우측에는 세로방향으로 긴 장공(27)을 형성하고 장공(27)에는 위치고정용 볼트(32)를 결합하여 가로지지대(26)가 장공(27)의 범위 내에서 조절볼트(30)의 조절로 상하로 위치이동이 가능토록 하고 원하는 높이로 위치이동 된 후 위치고정용 볼트(32)로 견고하게 고정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하로 위치 이동 가능한 가로지지대(26)에는 상기 좌우이동블럭(81)을 좌우로 슬라이딩 위치이동 가능토록 결합하며 이러한 좌우이동블럭(81)에 축하우징(82)을 좌우로 이동가능토록 결합하며 각 축하우징(82)에는 외측 사이드포밍롤러(84)가 각각 결합되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외측 사이드포밍롤러(84) 간의 내측에는 지지판(89)을 매개로 두 개의 내측 사이드포밍롤러(86)(87)를 전후로 위치되게 구성한다. 이때 상기 내측 사이드포밍롤러(86)(87)는 지지판(89)에 축결합되게 하여 축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내측 사이드포밍롤러(86)(87)의 상단부분은 형성되어지는 인서트(150)의 좌우 상단절곡부(150b)의 내측부분에 각각 밀착된다. 지지판(89)은 세로지지대(22)에 결합구성될 수 있으며, 세로지지대(22)에는 철판(4a)이 지나가는 높이에 준하여 하부지지롤러(24)도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내측 사이드포밍롤러(86)(87)를 전후로 위치시킨 이유는 인서트(150)의 크기가 작은데 비하여, 인서트(150)의 좌우 상단절곡부(150b)의 내측부분에 강제적인 힘을 가하기 위해 내측 사이드포밍롤러(86)(87)를 전후 대비 좌우 동일선 상에 위치시켜 구성하기에는 구조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내측 사이드포밍롤러(86)(87)를 전후로 위치를 달리하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외측 사이드포밍롤러(84)와 내측 사이드포밍롤러(86)(87)의 구성에 의하면, 도 6(도 6a 및 도 6b) 및 도 7(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내측 사이드포밍롤러(86)(87) 각각은 좌우로 위치하는 외측 사이드포밍롤러(84)와 하나씩 짝을 이루게 된다. 짝을 이룬 두 쌍 중 한 쌍은 인서트(150)의 좌측 하단절곡부(150a)와 좌측 상단절곡부(150b)에 대하여 밀착되게 하고, 다른 한 쌍은 인서트(150)의 우측 하단절곡부(150a)와 우측 상단절곡부(150b)에 대하여 밀착되게 하여 시간차를 두어 인서트(150)에 대한 마무리 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마무리 성형은 인서트(150) 부분의 형상과 치수를 정밀하게 성형이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성형된 인서트(150)의 절곡 부분에 대하여 강제적인 힘이 가해져 탄성 복원력을 제거함으로써 원하는 형상대로 성형된 인서트의 형상이 최대한 유지된다.
도 4b, 도 5c, 도 6b를 참고하면, 정밀포밍부(80)에는 압입롤러(90)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압입롤러(90)는 외측 사이드포밍롤러(84)와 내측 사이드포밍롤러(86)(87)에 의한 인서트(150)의 마무리 성형시에 인서트(150)의 상단면을 눌러줌으로써 인서트(150)의 절곡부분(150a)(150b) 성형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단면이 위로 뜨게 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내·외측 사이드포밍롤러(84)(86)(87)와 연합하여 원하는 형상대로 성형된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고, 더욱 정밀한 성형이 가능케 한다.
압입롤러(90)도 가로지지대(26)를 매개로 결합할 수 있으며 인서트(150)의 위치나 높이에 따라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하좌우로 이동가능토록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데크플레이트 성형장치
(4)--철판공급부 (4a)--철판
(6)--성형부 (7)--절단부
(8)--배출부 (10)--베이스프레임
(12)--핀치롤러 (14)--사이드가이드
(15)--동력전달체
(16)--이송롤러부 (16a)--상부포밍롤러
(16b)--하부포밍롤러 (16c)--직립프레임
(17a)--상부기어 (17b)--하부기어
(18)--상부받침대
(22)--세로지지대 (24)--하부지지롤러
(26)--가로지지대 (27)--장공
(30)--조절볼트 (32)--위치고정용 볼트
(60)--추가성형부
(80)--정밀포밍부 (81)--좌우이동블럭
(82)--축하우징 (84)--외측 사이드포밍롤러
(86)(87)--내측 사이드포밍롤러 (89)--지지판
(90)--압입롤러
(100)--데크플레이트 (110)--바닥부
(120)--보강부 (130)--판개부
(150)--인서트 (M)--모터

Claims (2)

  1.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며 일정 폭을 갖는 철판(4a)에 대하여 데크플레이트로 성형하는 성형부(6)를 구비하되,
    상기 성형부(6)는 모터(M)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이송롤러부(16)를 전후로 배열되게 구성하되, 이송롤러부(16)는 상부포밍롤러(16a)와 하부포밍롤러(16b)가 한 쌍을 이루어 회전가능토록 결합하여 철판(4a)이 상부포밍롤러(16a)와 하부포밍롤러(16b) 사이를 통과하여 후방 이동하면서 데크플레이트(100)의 기본적인 성형을 위한 단계적인 포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추가성형부(60)를 하나 이상 포함되게 하되 추가성형부(60)도 전후로 연속하는 다 수개의 이송롤러부(16)로 구성하여 추가적으로 인서트(150)의 단계적인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추가성형부(60)에 해당하는 전후 다수의 이송롤러부(16) 중 후방에 위치하는 이송롤러부(16)에는 정밀포밍부(80)를 구성하되, 정밀포밍부(80)는 가로지지대(26)를 매개로 좌우이동블럭(81)을 결합하고 좌우이동블럭(81)의 좌우에는 각각 축하우징(82)을 결합하며, 상기 각각의 축하우징(82)에는 외측 사이드포밍롤러(84)를 축회전되게 결합하여 각각의 외측 사이드포밍롤러(84)의 하단부분은 형성되어지는 인서트(150)의 좌우 하단절곡부(150a)의 외측부분에 각각 밀착되게 하고,
    상기 외측 사이드포밍롤러(84) 간의 내측에는 지지판(89)을 매개로 두 개의 내측 사이드포밍롤러(86)(87)를 전후로 위치되게 구성하여 각 내측 사이드포밍롤러(86)(87)의 상단부분은 형성되어지는 인서트(150)의 좌우 상단절곡부(150b)의 내측부분에 각각 밀착되게 함으로써,
    상기 두 개의 내측 사이드포밍롤러(86)(87) 각각은 좌우로 위치하는 외측 사이드포밍롤러(84)와 하나씩 짝을 이루도록 하여 한 쌍은 인서트(150)의 좌측 하단절곡부(150a)와 좌측 상단절곡부(150b)에 대하여 밀착되게 하고, 다른 한 쌍은 인서트(150)의 우측 하단절곡부(150a)와 우측 상단절곡부(150b)에 대하여 밀착되게 하여 시간차를 두어 인서트(150)의 마무리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성형된 인서트(150)의 상하 절곡 부분에 대하여 강제적인 힘을 가해 인서트(150)의 성형이 가능토록 하면서 탄성 복원력이 제거되게 하여 성형된 상태가 보존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포밍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 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지지대(26)는 상하로 위치이동 가능토록 구성하고, 좌우이동블럭(81)은 철판(4a)의 진행방향 대비 좌우로 이동가능토록 결합하며, 외측 사이드포밍롤러(84)는 좌우이동블럭(81)의 벽체에서 좌우로 이동가능토록 결합되게 하여, 축하우징(82)에 결합되는 외측 사이드포밍롤러(84)의 상하좌우 위치이동되게 함으로써 ‘성형대상체’의 형상에 따라 위치조절이 가능토록 하고,
    상기 내측 사이드포밍롤러(86)(87)는 지지판(89)에 축결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포밍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 성형장치.
KR1020200139628A 2020-10-26 2020-10-26 인서트 포밍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 성형장치 KR102422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628A KR102422898B1 (ko) 2020-10-26 2020-10-26 인서트 포밍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628A KR102422898B1 (ko) 2020-10-26 2020-10-26 인서트 포밍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318A KR20220055318A (ko) 2022-05-03
KR102422898B1 true KR102422898B1 (ko) 2022-07-19

Family

ID=81591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628A KR102422898B1 (ko) 2020-10-26 2020-10-26 인서트 포밍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8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491B1 (ko) * 2016-03-25 2017-06-15 구연진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을 구성하는 데크플레이트 성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4177A (ja) * 1991-10-15 1993-04-27 Hitachi Metals Ltd フラツトデツキプレートの成形方法および装置
KR101090352B1 (ko) * 2009-03-30 2011-12-07 (주)정우이엠씨 성형빔의 스프링 백 제거를 위한 롤 포밍 레벨링 장치 및 롤 포밍 레벨링 방법
KR20110131825A (ko) * 2010-05-31 2011-12-07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롤 포밍 시스템용 교정장치
US9878360B2 (en) * 2013-10-18 2018-01-30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shaped steel changing in cross-sectional shape in longitudinal direction and roll forming apparatus for same
KR102001604B1 (ko) * 2017-11-07 2019-07-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가변 롤포밍 장치
KR102030993B1 (ko) * 2017-12-26 2019-10-11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롤 포밍 장치용 사이드 롤 유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491B1 (ko) * 2016-03-25 2017-06-15 구연진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을 구성하는 데크플레이트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318A (ko) 202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5658A (en) Shaping machine for cylindrically bending a plate
KR102596543B1 (ko) 지퍼체인형 z축을 가진 건축용 3d 프린터
KR101559559B1 (ko) 래티스근 자동 연속 성형장치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래티스 연속 성형체
KR102422898B1 (ko) 인서트 포밍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 성형장치
KR101137252B1 (ko) 롤 포밍 장치 및 롤 포밍 방법, 및 이들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빔
KR101021462B1 (ko) 곡면이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용 철근 절곡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KR101742491B1 (ko)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을 구성하는 데크플레이트 성형장치
CN117644168A (zh) 一种预制梁超大型钢筋网片成型工艺
JP2895901B2 (ja) 初期異形材を鋳造するための連続鋳造装置及びその稼動方法並びに初期異形材
CN113047625A (zh) 一种适用于承载金属梁模板的成品钢筋笼分级装配方法
KR20190103070A (ko) 영구거푸집용 하판의 돌기 포밍장치
KR200335609Y1 (ko) 철근 절곡장치
KR102194046B1 (ko) 머플러케이스 제조용 정렬장치
CN210598189U (zh) 一种液压桁架扣件组装机
KR102008148B1 (ko) 데크플레이트와 트러스거더 간의 자동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결합방법
KR200205879Y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
CN216632399U (zh) 一种便携式钢筋弯曲装置
CN216369930U (zh) 一种液压钢筋弯曲机
CN115419202B (zh) 一种装配式芯模现浇混凝土密肋楼盖施工方法
CA2557013A1 (en) A roll-forming machine for forming smooth curves in profiled panel sections and method of forming curved panels
CN218905761U (zh) 一种带倒角的楼板模具
CN218946198U (zh) 一种高效率连续弯曲装置
KR200209562Y1 (ko) 넓이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
CN218638284U (zh) 一种拉弯模具
KR200228172Y1 (ko) 대구경 강관 정형기 롤 교환 지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