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1825A - 롤 포밍 시스템용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롤 포밍 시스템용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1825A
KR20110131825A KR1020100051464A KR20100051464A KR20110131825A KR 20110131825 A KR20110131825 A KR 20110131825A KR 1020100051464 A KR1020100051464 A KR 1020100051464A KR 20100051464 A KR20100051464 A KR 20100051464A KR 20110131825 A KR20110131825 A KR 20110131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pressing
bracket
screw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용
조국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00051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1825A/ko
Publication of KR20110131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8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0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 B21D3/02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by rollers
    • B21D3/05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by rollers arranged on axes rectangular to the path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6Feeding elongated articles, such as tub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21D43/285Devices for handling elongated articles, e.g. bars, tube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08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1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Abstract

본 발명은 롤 포머 유닛의 후방에서 비대칭 폐단면 형상으로 롤 성형이 완료되어 이송되는 성형빔의 양 측부와 용접부에 대하여 각각의 압력센서로 검출되는 가압력을 조절하여 구름접촉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성형빔에 발생하는 스프링 백 및 변형 구배에 의한 변형 형상을 교정하여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롤 포밍 시스템용 교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롤 포밍 시스템용 교정장치{DEVICE FOR CORRECTING SHAPE IN ROLL FORMING SYSTEM}
본 발명은 롤 포밍 시스템용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 포머 유닛의 후방에서 비대칭 폐단면 형상으로 성형되는 성형빔에 발생하는 스프링 백 및 변형 구배에 의한 변형 형상을 교정하여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롤 포밍 시스템용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 포밍 공법은 코일을 풀어 상부 성형롤과 하부 성형롤을 한 쌍으로 구성하는 롤 포머가 다단으로 일렬 배치되는 롤 포머 유닛을 거치도록 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절곡 성형하는 것으로, 특히 차량용 범퍼 빔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절곡 성형된 직선타입의 빔류를 제조하는데 적용된다.
도 1은 상기한 롤 포밍 공법을 이루기 위한 종래 기술에 따른 롤 포밍 시스템의 단계별 공정 개념도로서, 종래 기술에 따른 롤 포밍 시스템 및 그 공정은 먼저, 공급되는 코일(200)을 풀어주는 언코일러(201)가 공정라인 전방에 구성되어 언코일 단계(S110)를 이루고, 상기 언코일러(201)로부터 풀려 나온 코일을 평판의 패널(250)로 펴주는 스트레이트너(203)가 그 후방에 구비되어 스트레이트닝 단계(S120)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스트레이트너(203)의 후방에는 상기 스트레이트너(203)로부터 공급된 패널(250)에, 성형될 빔류의 조립을 위한 여러 용도의 홀을 가공하는 브레이크 프레스(205)가 구비되어 피어싱 단계(S130)를 진행한다.
이후, 적어도 10단 이상의 롤 포머(R1~R7; 일부 미도시)들로 구성되는 롤 포머 유닛(207)은 상기 브레이크 프레스(205)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언코일러(201), 스트레이트너(203), 및 브레이크 프레스(205)를 거쳐 공급되는 패널(250)을 순차적으로 절곡하여 얻고자 하는 성형빔(260)의 형상으로 롤 성형하는 롤 포밍 단계(S140)를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롤 포머 유닛(207)의 후방에는 일정 곡률을 갖는 롤 포밍 성형품의 곡률을 성형하기 위한 라운드 벤더(209)가 구비되어 성형하고자하는 곡률의 반경을 따라 상기 성형빔(260)을 통과시킴으로써 일정 곡률의 성형빔(260)을 제조하는 벤딩단계(S150)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라운드 벤더(209)의 후방에는 상기 성형빔(260)을 일정규격으로 절단하는 컷팅 프레스(211)가 구성되어 제품화하기 위한 완성품의 규격대로 성형빔(260)을 절단하는 컷팅단계(S160)를 이룬다.
이러한 롤 포밍 시스템 및 그 공정을 통하여 생산되는 성형빔(260)의 사용 예로, 도 2에서는 길이방향을 따라 비대칭 폐단면 형상으로 절곡되어 롤 포밍 성형된 차량용 범퍼빔(300)을 일례로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성형빔(260)의 경우, 비대칭 폐단면 형상으로 롤 포밍되는 과정에, 비대칭 성형의 특성상, 좌,우측 성형 응력이 달라 스프링백(SPRING BACK)이나 변형 구배 등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뒤틀림 현상이 발행하여 후행 공정인 용접단계(S170)에서 정확한 용접부(W)에 용접이 되지 않아 품질불량을 야기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롤 포머 유닛의 후방에서 비대칭 폐단면 형상으로 롤 성형이 완료되어 이송되는 성형빔의 양 측부와 용접부에 대하여 각각의 압력센서로 검출되는 가압력을 조절하여 구름접촉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성형빔에 발생하는 스프링 백 및 변형 구배에 의한 변형 형상을 교정하여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롤 포밍 시스템용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롤 포밍 시스템용 교정장치는 다단의 롤 포머로 구성되는 롤 포머 유닛을 통하여 성형빔을 롤 성형하는 롤 포밍 시스템에서, 상기 롤 포머 유닛의 최후단 일측의 베이스 상에 설치되는 좌,우측 프레임; 상기 좌측 프레임에 구성되어 이송되는 성형빔의 좌측부에 대하여 좌측 사이드 가압롤을 구름 접촉시킨 상태로, 일정 가압력으로 가압하는 좌측 가압수단; 상기 우측 프레임에 구성되어 이송되는 성형빔의 우측부에 대하여 우측 사이드 가압롤을 구름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좌측 사이드 가압롤과 함께 일정 가압력으로 가압하는 우측 가압수단; 상기 좌,우측 프레임 사이의 하부에 구성되어 이송되는 성형빔의 용접부 하면에 하부 지지롤을 통하여 구름 지지하는 하부 지지수단; 상기 좌,우측 프레임 사이의 상부에 구성되어 이송되는 성형빔의 용접부 상면에 상부 가압롤을 구름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하부 지지롤에 대하여 일정 가압력으로 가압하는 상부 가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좌측 가압수단은 상기 성형빔의 좌측부에 대응하여 상기 좌측 프레임의 내부 하면에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측 롤 브라켓; 상기 좌측 롤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성형빔의 좌측부에 구름 접촉되는 좌측 사이드 가압롤; 상기 좌측 롤 브라켓의 외측면 중앙에 설치되는 좌측 스크루 하우징; 상기 좌측 스크루 하우징에 대응하여 상기 좌측 프레임의 외면에 설치되는 좌측 스크루 모터; 상기 좌측 스크루 모터의 회전축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좌측 스크루 하우징에 체결되는 좌측 스크루 축; 상기 좌측 스크루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좌측 롤 브라켓의 외측면 중앙에 설치되는 좌측 압력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 스크루 모터는 그 회전수 및 회전방향 제어가 가능한 스텝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좌측 압력센서는 로드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우측 가압수단은 상기 성형빔의 우측부에 대응하여 상기 우측 프레임의 내부 하면에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우측 롤 브라켓; 상기 우측 롤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성형빔의 우측부에 구름 접촉되는 우측 사이드 가압롤; 상기 우측 롤 브라켓의 외측면 중앙에 설치되는 우측 스크루 하우징; 상기 우측 스크루 하우징에 대응하여 상기 우측 프레임의 외면에 설치되는 우측 스크루 모터; 상기 우측 스크루 모터의 회전축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우측 스크루 하우징에 체결되는 우측 스크루 축; 상기 우측 스크루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우측 롤 브라켓의 외측면 중앙에 설치되는 우측 압력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우측 스크루 모터는 그 회전수 및 회전방향 제어가 가능한 스텝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우측 압력센서는 로드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수단은 상기 좌,우측 프레임 사이의 하부 베이스에 설치되는 하부 롤 브라켓; 상기 하부 롤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되는 상기 성형빔의 용접부 하면을 구름 지지하는 하부 지지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압수단은 상기 좌,우측 프레임 사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내측에 가이드 레일을 통하여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 롤 브라켓; 상기 상부 롤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되는 상기 성형빔의 용접부 상면에 구름 접촉되는 상부 가압롤; 상기 상부 롤 브라켓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는 상부 스크루 하우징; 상기 상부 스크루 하우징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 스크루 모터; 상기 상부 스크루 모터의 회전축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상부 스크루 하우징에 체결되는 상부 스크루 축; 상기 상부 스크루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롤 브라켓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는 상부 압력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스크루 모터는 그 회전수 및 회전방향 제어가 가능한 스텝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압력센서는 로드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롤 포밍 시스템용 레이저 용접장치에 의하면, 롤 포머 유닛의 후방에서 비대칭 폐단면 형상으로 롤 성형이 완료되어 이송되는 성형빔의 양 측부와 용접부에 대하여 양측 사이드 가압롤과 상부 가압롤 및 하부 지지롤을 각각 구름 접촉시킨 상태로, 압력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력을 조절하면서 이송되도록 하여 성형빔에 발생하는 스프링 백 및 변형 구배에 의한 변형 형상을 교정하여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롤 포밍 시스템 및 단계별 공정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롤 포밍 시스템 및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된 차량용 범퍼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가 적용되는 롤 포밍 시스템 및 단계별 공정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정장치의 정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가 적용되는 롤 포밍 시스템 및 단계별 공정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정장치의 정 단면도이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가 적용되는 롤 포밍 시스템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공정라인 전방에 언코일러(1)가 구성되어 공급되는 코일(10)을 풀어주게 된다.
상기 언코일러(1)의 후방에는 스트레이트너(2)가 구성되어 언코일러(1)로부터 풀려 나온 코일(10)을 평판의 패널(20)로 펴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트레이트너(2)의 후방에는 브레이크 프레스(3)가 구비되어 상기 스트레이트너(2)으로부터 공급되는 패널(20)에, 성형될 빔류의 조립을 위한 여러 용도의 홀을 성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브레이크 프레스(3)의 후방에는 상기 스트레이트너(2)와 브레이크 프레스(3)를 거쳐 공급되는 패널(20)을 순차적으로 절곡하여 폐단면 형상의 성형빔(30)으로 롤 성형하는 롤 포머 유닛(4)이 구성된다.
상기한 롤 포머 유닛(4)은 적어도 10단계 이상의 롤 포머(R1,R2,R3..R10; 일부 미도시)들이 일렬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롤 포머 유닛(4)의 후방에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롤 포머 유닛(4)에 의해 비대칭 폐단면 형상으로 롤 포밍되는 성형빔(30)에 대하여 좌,우측 성형 응력의 차이로 발생되는 스프링백(SPRING BACK)이나 변형 구배 등에 의한 변형형상을 교정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5)가 구성된다.
이러한 교정장치(5)의 후방에는 교정을 거친 성형빔(30)에 일정 곡률을 성형하기 위한 5세트의 곡률 성형롤로 구성되는 라운드 벤더(6)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라운드 벤더(6)의 후방에는 상기 곡률 성형된 성형빔(30)을 일정규격으로 절단하는 컷팅 프레스(7)가 구성된다.
이러한 롤 포밍 시스템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교정장치(5)의 구성은, 상기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롤 포머 유닛(4)의 최후단 롤 포머(도 3에서 R10)와 가이드 롤(도 3에서 R11) 사이의 베이스(11) 상에 좌,우측 프레임(F1,F2)이 설치된다.
상기 좌,우측 프레임(F1,F2)에는 좌,우측 가압수단(50,60), 하부 지지수단(70), 및 상부 가압수단(80)이 구성된다.
상기 좌측 가압수단(50)은 좌측 프레임(F1)에 구성되어 이송되는 성형빔(30)의 좌측부에 대하여 좌측 사이드 가압롤(51)을 구름 접촉시킨 상태로, 일정 가압력으로 가압하며, 우측 가압수단(60)은 우측 프레임(F2)의 구성되어 이송되는 성형빔(30)의 우측부에 대하여 우측 사이드 가압롤(61)을 구름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좌측 사이드 가압롤(51)과 함께 일정 가압력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지지수단(70)은 좌,우측 프레임(F1,F2) 사이의 하부에 구성되어 이송되는 성형빔(30)의 용접부(W) 하면에 하부 지지롤(71)을 통하여 구름 지지한다.
상기 상부 가압수단(80)은 좌,우측 프레임(F1,F2) 사이의 상부에 구성되어 이송되는 성형빔(30)의 용접부(W) 상면에 상부 가압롤(81)을 구름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하부 지지롤(71)에 대하여 일정 가압력으로 가압한다.
먼저, 상기 좌측 가압수단(50)은 상기 성형빔(30)의 좌측부에 대응하여 상기 좌측 프레임(F1)의 내부 하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R)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좌측 롤 브라켓(52)이 설치된다.
상기 좌측 롤 브라켓(52)에는 좌측 사이드 가압롤(5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성형빔(30)의 좌측부에 구름 접촉된다.
상기 좌측 롤 브라켓(52)의 외측면 중앙에는 좌측 스크루 하우징(53)이 설치된다.
상기 좌측 스크루 하우징(53)에 대응하여 상기 좌측 프레임(F1)의 외면에는 좌측 스크루 모터(54)가 설치되고, 상기 좌측 스크루 모터(54)의 회전축(55)에 일체로 좌측 스크루 축(56)이 연결되어 상기 좌측 스크루 하우징(53)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좌측 스크루 하우징(53)과 일체로 좌측 압력센서(57)가 형성되어 상기 좌측 롤 브라켓(52)의 외측면 중앙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좌측 스크루 모터(53)는 그 회전수 및 회전방향 제어가 가능한 스텝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좌측 압력센서(57)는 로드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우측 가압수단(60)은 상기 성형빔(30)의 우측부에 대응하여 상기 우측 프레임(F2)의 내부 하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R)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우측 롤 브라켓(62)이 설치된다.
상기 우측 롤 브라켓(62)에는 우측 사이드 가압롤(6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성형빔(30)의 우측부에 구름 접촉된다.
상기 우측 롤 브라켓(62)의 외측면 중앙에는 우측 스크루 하우징(63)이 설치된다.
상기 우측 스크루 하우징(63)에 대응하여 상기 우측 프레임(F2)의 외면에는 우측 스크루 모터(64)가 설치되고, 상기 우측 스크루 모터(64)의 회전축(65)에 일체로 우측 스크루 축(66)이 연결되어 상기 우측 스크루 하우징(63)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우측 스크루 하우징(63)과 일체로 우측 압력센서(67)가 형성되어 상기 우측 롤 브라켓(62)의 외측면 중앙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우측 스크루 모터(64)는 그 회전수 및 회전방향 제어가 가능한 스텝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우측 압력센서(67)는 로드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지지수단(70)은 상기 좌측 및 우측 프레임(F1,F2) 사이의 하부에서 베이스(11)에 하부 롤 브라켓(73)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 롤 브라켓(73)에는 하부 지지롤(7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되는 상기 성형빔(30)의 용접부(W) 하면을 구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 가압수단(80)은 상기 좌측 및 우측 프레임(F1,F2) 사이의 상단부에 상부 프레임(F3)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F3)의 내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양측에 가이드 레일(R)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상부 롤 브라켓(82)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 롤 브라켓(82)에는 상부 가압롤(8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되는 상기 성형빔(30)의 용접부(W) 상면에 구름 접촉된다.
상기 상부 롤 브라켓(82)의 상면 중앙에는 상부 스크루 하우징(83)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스크루 하우징(83)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F3)의 상면에는 상부 스크루 모터(84)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스크루 모터(84)의 회전축(85)에는 상부 스크루 축(86)이 일체로 연결되며, 이 상부 스크루 축(86)은 상기 상부 스크루 하우징(83)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상부 스크루 하우징(83)과 일체로 상부 압력센서(87)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 롤 브라켓(82)의 상면 중앙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스크루 모터(84)는 그 회전수 및 회전방향 제어가 가능한 스텝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압력센서(87)는 로드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교정장치(5)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기(C)가 좌,우측 및 상부 압력센서(57,67,87)의 신호를 수신하여 좌,우측 및 상부 스크루 모터(54,64,84)를 각각 구동 제어함으로서, 이동하는 성형빔(30)의 양 측부와 그 용접부(W)에 대하여 각각 구름 접촉된 좌,우측 사이드 가압롤(51,61)과 하부 지지롤(71)에 대한 상부 가압롤(81)의 위치를 이동시켜 그 가압력을 조절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교정장치(5)의 작동을 포함하여 전체적인 롤 포밍 시스템의 공정을 설명하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공정라인의 전방에서, 언코일러(1)를 이용하여 성형용으로 공급할 코일(10)을 풀어주는 언코일 단계(S1)를 진행한다.
상기 언코일 단계(S1)에 이어서, 상기 언코일러(1)의 후방에서는 스트레이트너(2)를 이용하여 상기 언코일 단계(S1)로부터 풀려 나온 코일(10)을 패널(20)로 펴주는 스트레이트닝 단계(S2)를 진행한다.
이어서, 상기 스트레이트너(2)의 후방에서는 브레이크 프레스(3)를 이용하여 상기 스트레이트닝 단계(S2)로부터 공급되는 패널(20)에, 성형될 빔류의 조립을 위한 여러 용도의 홀을 성형하는 피어싱 단계(S3)를 진행한다.
이어서, 상기 브레이크 프레스(3)의 후방에서는 다단의 롤 포머(R1,R2,R3.. R10; 일부 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피어싱 단계(S3)로부터 공급되는 패널(20)을 각각 순차적으로 절곡하여 얻고자 하는 비대칭 폐단면 성형빔(30)의 형상으로 롤 성형하는 롤 포밍 단계(S4)를 진행한다.
또한, 상기 롤 포머 유닛(4)의 후방에서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교정장치(5)에 의해, 상기 롤 포머 유닛(4)에 의해 비대칭 폐단면 형상으로 롤 포밍되는 성형빔(30)에 대하여 좌,우측 성형 응력의 차이로 발생되는 스프링백(SPRING BACK)이나 변형 구배 등에 의한 변형 형상을 교정하는 교정 단계(S5)를 진행한다.
즉, 상기 교정 단계(S5)는 롤 포머 유닛(4)에서 비대칭 폐단면 형상으로 롤 성형이 완료되어 이송되는 성형빔(30)의 양 측부와 용접부(W)에 대하여 상기 양측 사이드 가압롤(51,61)과 상부 가압롤(71) 및 하부 지지롤(81)을 각각 구름 접촉시킨 상태로, 각 압력센서(57,67,87)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력을 조절하면서 일정 가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성형빔(30)은 이송되는 동안 그 스프링 백 및 변형 구배에 의한 응력이 제거되어 그 변형 형상이 기본 형상을 갖도록 교정된다.
이러한 교정장치(5)의 후방에서는 라운드 벤더(6)를 이용하여 상기 교정단계(S5)로부터 공급되는 성형빔(30)을 성형하고자하는 일정 곡률로 성형하여 벤딩 단계(S6)를 진행한다.
상기 라운드 벤더(6)의 후방에서는 컷팅 프레스(7)를 이용하여 상기 벤딩 단계(S6)로부터 공급되는 성형빔(30)을 일정규격으로 절단하여 컷팅 단계(S7)를 진행한다.
이러한 컷팅 단계(S7)까지 완료한 성형빔(30)은, 상기 교정 단계(S5)를 거치는 과정에서, 비대칭 성형의 특성상, 좌,우측 성형 응력이 달라 스프링백(SPRING BACK)이나 변형 구배 등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뒤틀림 현상 등이 교정되어 후행 공정인 용접 단계(S8)에서 정확한 용접부(W)에 용접 타점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치수 정밀도를 높이며, 이로 인해 용접 품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 언코일러 2: 스트레이트너
3: 브레이크 프레스 4: 롤 포머 유닛
5: 교정장치 6: 라운드 벤더
7: 컷팅 프레스 10: 코일
11: 베이스 20: 패널
F1,F2,F3: 프레임 50: 좌측 가압수단
60: 우측 가압수단 70: 하부 지지수단
80: 상부 가압수단 51,61,81: 가압롤
52,62,73,82: 롤 브라켓 53,63,83: 스크루 하우징
54,64,84: 스크루 모터 56,66,86: 스크루 축
57,67,87: 압력센서 C: 제어기
W: 용접부

Claims (11)

  1. 다단의 롤 포머로 구성되는 롤 포머 유닛을 통하여 성형빔을 롤 성형하는 롤 포밍 시스템에서,
    상기 롤 포머 유닛의 최후단 일측의 베이스 상에 설치되는 좌,우측 프레임;
    상기 좌측 프레임에 구성되어 이송되는 성형빔의 좌측부에 대하여 좌측 사이드 가압롤을 구름 접촉시킨 상태로, 일정 가압력으로 가압하는 좌측 가압수단;
    상기 우측 프레임에 구성되어 이송되는 성형빔의 우측부에 대하여 우측 사이드 가압롤을 구름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좌측 사이드 가압롤과 함께 일정 가압력으로 가압하는 우측 가압수단;
    상기 좌,우측 프레임 사이의 하부에 구성되어 이송되는 성형빔의 용접부 하면에 하부 지지롤을 통하여 구름 지지하는 하부 지지수단;
    상기 좌,우측 프레임 사이의 상부에 구성되어 이송되는 성형빔의 용접부 상면에 상부 가압롤을 구름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하부 지지롤에 대하여 일정 가압력으로 가압하는 상부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롤 포밍 시스템용 교정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좌측 가압수단은
    상기 성형빔의 좌측부에 대응하여 상기 좌측 프레임의 내부 하면에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측 롤 브라켓;
    상기 좌측 롤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성형빔의 좌측부에 구름 접촉되는 좌측 사이드 가압롤;
    상기 좌측 롤 브라켓의 외측면 중앙에 설치되는 좌측 스크루 하우징;
    상기 좌측 스크루 하우징에 대응하여 상기 좌측 프레임의 외면에 설치되는 좌측 스크루 모터;
    상기 좌측 스크루 모터의 회전축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좌측 스크루 하우징에 체결되는 좌측 스크루 축;
    상기 좌측 스크루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좌측 롤 브라켓의 외측면 중앙에 설치되는 좌측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롤 포밍 시스템용 교정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좌측 스크루 모터는
    그 회전수 및 회전방향 제어가 가능한 스텝모터로 이루어지는 롤 포밍 시스템용 교정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좌측 압력센서는
    로드셀로 이루어지는 롤 포밍 시스템용 교정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우측 가압수단은
    상기 성형빔의 우측부에 대응하여 상기 우측 프레임의 내부 하면에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우측 롤 브라켓;
    상기 우측 롤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성형빔의 우측부에 구름 접촉되는 우측 사이드 가압롤;
    상기 우측 롤 브라켓의 외측면 중앙에 설치되는 우측 스크루 하우징;
    상기 우측 스크루 하우징에 대응하여 상기 우측 프레임의 외면에 설치되는 우측 스크루 모터;
    상기 우측 스크루 모터의 회전축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우측 스크루 하우징에 체결되는 우측 스크루 축;
    상기 우측 스크루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우측 롤 브라켓의 외측면 중앙에 설치되는 우측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롤 포밍 시스템용 교정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우측 스크루 모터는
    그 회전수 및 회전방향 제어가 가능한 스텝모터로 이루어지는 롤 포밍 시스템용 교정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우측 압력센서는
    로드셀로 이루어지는 롤 포밍 시스템용 교정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하부 지지수단은
    상기 좌,우측 프레임 사이의 하부 베이스에 설치되는 하부 롤 브라켓;
    상기 하부 롤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되는 상기 성형빔의 용접부 하면을 구름 지지하는 하부 지지롤로 구성되는 롤 포밍 시스템용 교정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상부 가압수단은
    상기 좌,우측 프레임 사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내측에 가이드 레일을 통하여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 롤 브라켓;
    상기 상부 롤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되는 상기 성형빔의 용접부 상면에 구름 접촉되는 상부 가압롤;
    상기 상부 롤 브라켓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는 상부 스크루 하우징;
    상기 상부 스크루 하우징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 스크루 모터;
    상기 상부 스크루 모터의 회전축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상부 스크루 하우징에 체결되는 상부 스크루 축;
    상기 상부 스크루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롤 브라켓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는 상부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롤 포밍 시스템용 교정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상부 스크루 모터는
    그 회전수 및 회전방향 제어가 가능한 스텝모터로 이루어지는 롤 포밍 시스템용 교정장치.
  11. 제9항에서,
    상기 상부 압력센서는
    로드셀로 이루어지는 롤 포밍 시스템용 교정장치.
KR1020100051464A 2010-05-31 2010-05-31 롤 포밍 시스템용 교정장치 KR201101318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464A KR20110131825A (ko) 2010-05-31 2010-05-31 롤 포밍 시스템용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464A KR20110131825A (ko) 2010-05-31 2010-05-31 롤 포밍 시스템용 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825A true KR20110131825A (ko) 2011-12-07

Family

ID=45500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464A KR20110131825A (ko) 2010-05-31 2010-05-31 롤 포밍 시스템용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182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541B1 (ko) * 2012-10-02 2013-02-01 주식회사 대동강업 고강성 씨형강 정밀고속피치이송 후 스톱충격 백래시제어 롤 시스템
CN106670269A (zh) * 2017-03-04 2017-05-17 何盼 一种具有自我保护功能的钢管生产矫直机
CN108928042A (zh) * 2018-06-26 2018-12-04 芜湖优能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机械阀体装配线用自动调压装置
KR20190051721A (ko) * 2017-11-07 2019-05-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가변 롤포밍 장치
CN112605172A (zh) * 2020-11-30 2021-04-06 广州众山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滚拉模架
KR20220055318A (ko) * 2020-10-26 2022-05-03 구연진 인서트 포밍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 성형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541B1 (ko) * 2012-10-02 2013-02-01 주식회사 대동강업 고강성 씨형강 정밀고속피치이송 후 스톱충격 백래시제어 롤 시스템
CN106670269A (zh) * 2017-03-04 2017-05-17 何盼 一种具有自我保护功能的钢管生产矫直机
KR20190051721A (ko) * 2017-11-07 2019-05-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가변 롤포밍 장치
CN108928042A (zh) * 2018-06-26 2018-12-04 芜湖优能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机械阀体装配线用自动调压装置
KR20220055318A (ko) * 2020-10-26 2022-05-03 구연진 인서트 포밍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 성형장치
CN112605172A (zh) * 2020-11-30 2021-04-06 广州众山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滚拉模架
CN112605172B (zh) * 2020-11-30 2021-07-20 广州众山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滚拉模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1825A (ko) 롤 포밍 시스템용 교정장치
CN102170979A (zh) 用于将横截面可变化的型材冷轧成型的系统
CN108246831B (zh) 双排辊轧成型用开卷装置
KR20150074408A (ko) 롤 포밍 성형빔용 컷팅 프레스
KR101137252B1 (ko) 롤 포밍 장치 및 롤 포밍 방법, 및 이들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빔
KR102396221B1 (ko) 롤 포밍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범퍼 빔
KR20140079949A (ko) 롤 포밍 장치
KR101539602B1 (ko) 시트 롤 포밍 방법
KR101911743B1 (ko) 복렬 롤 포밍 장치
KR101783245B1 (ko) 벤딩 프레스 장치
KR101085820B1 (ko) 롤 포머용 성형압 조정장치
KR101247107B1 (ko) 롤 레이저 용접기용 가이드 장치
KR101208913B1 (ko) 롤 포밍 시스템용 레이저 용접장치
KR101334622B1 (ko) 롤 레이저 용접기용 가이드 장치
KR101259357B1 (ko) 롤 레이저 용접장치
KR101553574B1 (ko) 시트 롤 포밍 장치용 런닝커터
KR101189066B1 (ko) 롤 스폿 용접기용 가압장치
KR101204480B1 (ko) 롤 포밍 시스템용 피어싱 성형장치
KR101680565B1 (ko) 롤 포밍 방법
KR100978217B1 (ko) 롤 포밍 성형빔용 컷팅 프레스
KR100775812B1 (ko) 롤 포밍장치용 사이드 롤 유닛
KR101181663B1 (ko) 롤 스폿 용접기용 가압장치
KR101661100B1 (ko) 시트 롤 포밍 장치용 라운드 벤더
KR20090049304A (ko) 롤 포밍 성형빔용 컷팅 프레스
KR20120014843A (ko) 압착식 롤러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