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618B1 - 의복용 심지 - Google Patents

의복용 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618B1
KR102422618B1 KR1020220045635A KR20220045635A KR102422618B1 KR 102422618 B1 KR102422618 B1 KR 102422618B1 KR 1020220045635 A KR1020220045635 A KR 1020220045635A KR 20220045635 A KR20220045635 A KR 20220045635A KR 102422618 B1 KR102422618 B1 KR 102422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er
wick
region
cloth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정현
Original Assignee
전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정현 filed Critical 전정현
Priority to KR1020220045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6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41D27/06Stiffening-pie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복용 심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맞춤용 의복의 자연스러우면서도 볼륨감을 가진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의복용 심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복용 심지{INTERFACING FOR CLOTHES}
본 발명은 의복용 심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의복의 자연스러우면서도 볼륨감을 가진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의복용 심지에 관한 것이다.
의복, 대표적으로 정장(양복 또는 수트)은 무게와 균형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옷이다.
정형화된 신체 치수에 따라 공장에서 제조된 의복을 기성복이라 지칭하는 한편, 사용자의 신체 치수에 맞춰 제작된 의복을 맞춤형 의복 또는 비스포크 의복이라 지칭한다.
이러한 맞춤형 의복은 사용자의 신체 치수를 토대로 디자이너(테일러)의 재단 스킬 또는 독창적인 디자인이 의복에 반영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인의 개성에 관심이 있는 수요자들에게 꾸준히 인기를 얻고 있다.
건축물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건축물의 뼈대라고 할 수 있는데, 얼마나 튼튼하고 정교한 뼈대를 바탕으로 건축물을 올리느냐에 따라 준공된 건축물의 완성도가 확연하게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맞춤형 의복은 건축물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옷을 입은 상태로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을 겉감, 몸과 접촉하는 부분을 안감이라 할 때, 겉감과 안감만으로는 디자이너가 의도한 의복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겉감과 안감 사이에 위치하는 심지를 통해 의복에 주름이 지는 것을 방지하는 등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면서 디자이너가 의도한 디자인적인 요소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심지는 의복의 뼈대와 틀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아무리 심지가 의복의 뼈대 및 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하더라도, 의복을 구성하는 겉감, 안감 및 심지 등은 임의의 방향으로 수축 및/또는 신장이 가능한 천연 및/또는 합성 섬유를 사용하여 제작되는데, 섬유의 특성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의 변화 또는 사용연한의 경과 등의 이유로 디자이너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의복의 형상 등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출원인은 의복의 뼈대 및 틀의 역할을 하면서 의복에 주름이 지는 것을 방지하는 등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의복용 심지를 사용하여 의복에 새로운 실루엣을 부여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의복의 뼈대 및 틀의 역할을 하면서 의복에 주름이 지는 것을 방지하는 등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의복용 심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복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면서 디자이너가 의도한 디자인적인 요소를 부여하며, 이러한 디자인적인 요소가 사용자의 신체의 변화 또는 사용연한의 경과 등의 이유로 디자이너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의복의 형상 등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견고한 뼈대 및 틀로서 역할하는 것이 가능한 의복용 심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의복의 겉감과 안감 사이에 위치하는 의복용 심지로서, 상기 심지는, 상기 심지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는 제1 식서 방향과 상기 심지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제1 푸서 방향을 가지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의 일 면 중 임의의 영역에 결속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재의 제2 식서 방향은 상기 제1 식서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사잇각을 가지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2 식서 방향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제2 푸서 방향을 가지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2 푸서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사잇각을 가지는 제3 푸서 방향을 가지는 제2 영역;으로 구획되는 의복용 심지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제3 푸서 방향은 상기 제1 푸서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부재의 일 부분에 상기 제1 식서 방향을 따라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주름에 의해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1 부재와 결속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중간 부재가 개재되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주름에 의해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중간 부재와 결속될 수 있다.
상기 중간 부재는 각각 제1 식서 방향과 제1 푸서 방향에 대응하는 제3 식서 방향 및 제4 푸서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복용 심지는 제1 부재에 결속된 제2 부재 또는 제2 부재의 적어도 일 부분에서의 식서 방향 또는 푸서 방향이 제1 부재의 식서 방향 또는 푸서 방향과 어긋나도록 존재함에 따라 제1 부재의 신장 방향과 제2 부재의 신장 방향이 어긋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의복용 심지를 통해 제작된 의복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면서 디자이너가 의도한 디자인적인 요소가 사용자의 신체의 변화 또는 사용연한의 경과 등의 이유로 디자이너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의복의 형상 등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심지에 사용되는 제1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심지에 사용되는 중간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심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심지에 사용되는 제2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주름이 형성된 제1 부재, 제2 부재와 선택적으로 중간 부재가 결속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편의상 특정 용어를 본원에 정의한다. 본원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것이다. 또한, 문맥상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며, 복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단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심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자와 관련된 내용은 각각의 독립적인 실시예로서 이해될 것이며, 필요한 경우, 적어도 두 개의 독립적인 실시예가 병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통해 충분히 설명되지 않은 구성 요소는 전술 또는 후술할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원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심지에 사용되는 제1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심지에 사용되는 중간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심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에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 중간 부재가 개재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중간 부재는 선택적으로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의복의 겉감과 안감 사이에 위치하는 의복용 심지(100)로서, 상기 심지(100)의 길이 방향(x)에 대응하는 제1 식서 방향(x1)과 상기 심지(100)의 길이 방향(x)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y)에 대응하는 제1 푸서 방향(y1)을 가지는 제1 부재(110)와 상기 제1 부재(110)의 일 면 중 임의의 영역에 결속되는 제2 부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부재(110) 및 상기 제2 부재(120)는 의복용 심지로서 사용 가능한 다양한 섬유(합성 및/또는 천연 섬유)로서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의복용 심지로서 사용 가능한 원단의 종류로는 모(wool), 마, 헤어클로스(hair cloth), 면, 부직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 부재(110)와 상기 제2 부재(120)로서 서로 동일한 소재의 원단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부재(110)와 상기 제2 부재(120)의 원단의 종류, 직조(짜임) 방향, 신장 방향 및/또는 신장 정도는 필요에 따라 각기 다를 수 있다.
의복용 심지에 사용되는 소재는 원단의 종류뿐만 아니라, 원단의 직조(짜임) 방향 또는 신장 방향으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의복용 심지에 있어서, 식서 방향(straight grainline)은 일반적으로 원단의 길이 또는 세로 방향을 의미하며, 원단 구입시 마의 기준이 되는 길이에 해당한다. 보통 식서 방향으로는 신축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원단을 잡아당겼을 때 거의 신장되지 않는 방향에 대응한다.
푸서 방향(cross grainline)은 일반적으로 원단의 폭 또는 가로 방향을 의미하며, 식서 방향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에 대응한다. 보통 푸서 방향은 식서 방향과 달리 잘 신장되는 방향이기 때문에 푸서 방향으로 재단을 할 경우, 의복에 변형이 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심지(100)에 사용되는 상기 제1 부재(110) 및 상기 제2 부재(120)의 푸서 방향은 의복에 부여할 디자인적인 요소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식서 방향과 동일하게 신축성이 거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의복에 부여되는 디자인적인 요소란 의복의 전체적인 형상, 패턴, 주름 등 시각적으로 심미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다양한 요소를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바이어스 방향(bias grainline)은 원단의 대각선 방향으로서 잡아당겼을 때 가장 잘 신장되는 방향에 대응한다. 즉, 바이어스 방향은 각각 식서 방향과 푸서 방향에 소정의 사잇각을 가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바이어스 방향으로의 원단이 신축성을 나타냄에 따라 사용자가 의복을 입었을 경우 활동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착용감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의복에 부여된 디자인적인 요소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식서 방향 및 푸서 방향으로의 신축성이 제한됨과 동시에 바이어스 방향으로의 신축성을 부여한 심지(100)를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용 심지에 사용되는 제2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부재(120)는 직조 방향이 상기 제1 부재(110)의 직조 방향과 어긋나도록 상기 제1 부재(110)에 결속됨에 따라, 상기 제2 부재(120)의 제2 식서 방향(x2)이 상기 제1 식서 방향(x1)에 대하여 소정의 사잇각(θ)을 가지며, 상기 제2 부재(120)의 제2 식서 방향(x2)이 상기 제1 식서 방향(x1)에 대하여 소정의 사잇각(θ)을 가지게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 부재(110)에 상기 제2 부재(120)가 결속된 영역에 있어서 상기 심지(100)의 신장 방향 또는 신장 정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부재(120)는 상기 제2 식서 방향(x2)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제2 푸서 방향(y2)을 가지는 제1 영역(122)과 상기 제2 푸서 방향(y2)에 대하여 소정의 사잇각(θ)을 가지는 제3 푸서 방향(y3)을 가지는 제2 영역(12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심지(100)에 사용되는 상기 제2 부재(120)는 단일 원단 내에서 식서 방향 또는 푸서 방향이 상이한 복수의 영역을 포함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직조 공정을 고려할 때, 단일 원단 내에서 식서 방향 또는 푸서 방향이 상이한 복수의 영역을 형성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부재(120)는 상기 제2 부재(120)의 임의의 영역에서 원단을 절개한 후 일 부분을 회전시켜 원단의 최초 식서 방향 또는 푸서 방향과 소정의 사잇각(θ)을 가지는 식서 방향 또는 푸서 방향을 가지는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부재(120)의 임의의 영역에서 원단을 절개한 후 상기 제2 영역(122)의 일 부분이 상기 제1 영역(121)과 중첩 영역(123)을 형성하도록 회전시킴에 따라 단일 원단 내에서 식서 방향 또는 푸서 방향이 상이한 복수의 영역을 구획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영역(122)의 상기 제3 푸서 방향(y3)은 상기 제1 영역(121)의 바이어스 방향에 대응하게 될 수 있다. 즉, 원단의 직조 방향을 고려할 때, 상기 제2 부재(120)는 상기 제1 영역(121)의 바이어스 방향을 따라 신장이 가능하여야 하나, 적어도 상기 제2 영역(122)이 구획된 영역에 한하여 상기 제1 영역(121)의 바이어스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3 푸서 방향(y3)이 형성됨에 따라 신장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122)의 상기 제3 푸서 방향(y3)은 상기 제1 부재(110)의 상기 제1 푸서 방향(y1)에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푸서 방향(y1) 및 상기 제3 푸서 방향(y3)으로 원단의 신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부재(120)의 상기 제2 영역(122)이 의복에 부여할 디자인적인 요소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의 변화 또는 사용연한의 경과 등의 이유로 디자이너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디자인적인 요소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푸서 방향(y1) 및 상기 제3 푸서 방향(y3)으로 원단의 신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부재(110)와 상기 제2 부재(110)의 원단으로서 각기 신장 정도가 상이한 원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부재(110)의 크기 대비 상기 제2 부재(110)의 크기, 특히 상기 제2 영역(122)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상기 제2 영역(122)을 통해 상기 심지(100)의 전체적인 신장 방향이 제어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 부재(120)의 신축성(이 때, 신축성은 바이어스 방향으로의 신축성을 의미할 수 있다)은 상기 제1 부재(110)의 신축성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120)는 상기 제2 식서 방향(x2)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제2 푸서 방향(y2)을 가지는 제1 영역(122)과 상기 제2 푸서 방향(y2)에 대하여 소정의 사잇각(θ)을 가지는 제3 푸서 방향(y3)을 가지는 제2 영역(122)으로 구획되되, 상기 제1 영역(122)과 상기 제2 영역(122)은 서로 분리된 원단으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라도 상기 제2 영역(122)은 의복에 부여할 디자인적인 요소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의 변화 또는 사용연한의 경과 등의 이유로 디자이너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디자인적인 요소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디자인적인 요소의 일 예로서, 상기 제2 영역(122)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부재(110)의 일 부분에 상기 제1 식서 방향(x1)을 따라 주름(111)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심지(100)에 형성된 주름(111)은 사실상 겉감(101) 등에 의해 쉽게 가려질 수 있으며, 의복을 사용함에 따라 주름(111)이 펴질 수 있기 때문에 디자이너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쉽게 변화될 수 있는 요소 중에 하나이다.
이 때, 상기 주름(111)이 펴지는 방향은 상기 심지(100)의 폭 방향(y) 내지 상기 제1 부재(110)의 제1 푸서 방향(y1)에 대응할 것이다. 비록 상기 제1 부재(110)가 상기 제1 푸서 방향(y1)을 따라 신축성이 적다 하더라도, 주름(111)이 펴지는 것은 단지 원단이 접혔다 펴지는 동작에 불과하므로, 원단의 신축성과는 무관하다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심지(100)에서는 적어도 상기 주름(111)이 시작되거나, 상기 주름(111)이 시작되는 위치와 인접하는 위치에 상기 제2 영역(122)이 존재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주름(111)이 펴지는 것은 방지 또는 완화할 수 있다.
도 5는 주름이 형성된 제1 부재, 제2 부재와 선택적으로 중간 부재가 결속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부재(110)에 상기 주름(111)이 형성될 경우, 상기 제1 부재(110)의 이면(이 때, 상기 제1 부재(110)의 이면이란 사용자의 신체 측을 지향하는 면을 의미한다)으로는 소정의 공간(g)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부재(120), 적어도 상기 제2 부재(120)의 상기 제2 영역(122)은 상기 주름(111)에 의해 상기 제1 부재(110)와 상기 제2 부재(120) 사이에 소정의 공간(g)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1 부재(110)와 결속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형태로 상기 제1 부재(110)와 상기 제2 부재(120)가 결속된 경우, 상기 주름(111)을 중심으로 소정의 폭(w) 범위 내에서 원단의 길이는 상기 제1 부재(110)는 상기 공간(g)에 의해 돌출된 면을 형성하므로 상기 제2 부재(120)가 길게 형성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부재(110)에 형성된 상기 주름(111)은 상기 제2 부재(120)가 신장되지 않는 한 펴지기 어려운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주름(111)이 펴지는 방향은 상기 제1 부재(110)의 제1 푸서 방향(y1)에 대응할 것이다. 또한, 상기 주름(111)이 펴지는 방향은 상기 제2 부재(120)의 바이어스 방향에 대응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부재(120)에 상기 제2 영역(122)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상기 주름(111)이 펴지는 방향은 상기 제2 부재(120)의 바이어스 방향에 대응함에 따라 상기 심지(100) 내 상기 주름(111)이 펴지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의 신장을 제어하는 효과는 존재하지 아니한다.
반면에, 상기 주름(111)이 시작되거나 시작되는 위치와 인접하는 위치에 상기 주름(111)이 펴지는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푸서 방향이 형성된 상기 제2 영역(122)이 존재할 경우, 상기 주름(111)은 적어도 상기 제2 부재(120)의 제2 영역(122)에 의해 펴지기 어려운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아무리 사용자의 신체의 변화하거나, 사용연한이 경과된다 하더라도, 상기 제1 부재(110)와 상기 제2 부재(120)의 결속이 해제되지 않는 한 상기 주름(111)과 같이 상기 의복에 부여된 디자인적인 요소의 변화는 최소한의 범위로 제어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부재(110)와 상기 제2 부재(120) 사이에 중간 부재(130)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중간 부재(130)는 상기 제1 부재(110) 및/또는 상기 제2 부재(120)와 동일 또는 상이한 원단으로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 중간 부재(130)는 상기 제1 부재(110) 및 상기 제2 부재(120)에 결속되어 의복의 전체적인 형태를 안정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중간 부재(130)는 각각 제1 식서 방향(x1)과 제1 푸서 방향(y1)에 대응하는 제3 식서 방향(x3) 및 제4 푸서 방향(y4)을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중간 부재(130)가 마련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심지(100)의 전체적인 형상, 패턴 및 신장 정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3 식서 방향(x3) 및 상기 제4 푸서 방향(y4)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부재(110)에 디자인적인 요소로서 상기 주름(111)이 도입될 경우, 상기 제2 부재(120)는 상기 주름(111)에 의해 상기 제1 부재(110)와 상기 중간 부재(130) 사이에 소정의 공간(g)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1 부재(110) 및 상기 중간 부재(130)와 결속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의복의 겉감과 안감 사이에 위치하는 의복용 심지로서,
    상기 심지는,
    상기 심지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는 제1 식서 방향과 상기 심지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제1 푸서 방향을 가지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의 일 면 중 임의의 영역에 결속되는 제2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재의 제2 식서 방향은 상기 제1 식서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사잇각을 가지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2 식서 방향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제2 푸서 방향을 가지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2 푸서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사잇각을 가지는 제3 푸서 방향을 가지는 제2 영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부재의 일 부분에 상기 제1 식서 방향을 따라 주름이 형성된,
    의복용 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제3 푸서 방향은 상기 제1 푸서 방향에 대응하는,
    의복용 심지.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주름에 의해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1 부재와 결속되는,
    의복용 심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중간 부재가 개재되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주름에 의해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중간 부재와 결속되는,
    의복용 심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각각 제1 식서 방향과 제1 푸서 방향에 대응하는 제3 식서 방향 및 제4 푸서 방향을 가지는,
    의복용 심지.
KR1020220045635A 2022-04-13 2022-04-13 의복용 심지 KR102422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635A KR102422618B1 (ko) 2022-04-13 2022-04-13 의복용 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635A KR102422618B1 (ko) 2022-04-13 2022-04-13 의복용 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2618B1 true KR102422618B1 (ko) 2022-07-18

Family

ID=82700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635A KR102422618B1 (ko) 2022-04-13 2022-04-13 의복용 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6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0221U (ko) * 1985-12-27 1987-07-14
JP2012107367A (ja) * 2010-11-19 2012-06-07 Toray International Inc 上衣用加工芯およびそれを用いた上衣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0221U (ko) * 1985-12-27 1987-07-14
JP2012107367A (ja) * 2010-11-19 2012-06-07 Toray International Inc 上衣用加工芯およびそれを用いた上衣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50763C (en) Sanitary panty
CN109195466A (zh) 可伸展易弯曲的衬衫领座和具有该衬衫领座的衬衫
JP2001181908A (ja) 衣類及び衣類の提供方法
US20050142986A1 (en) Shorts or underpants retaining the sexual organs
KR102422618B1 (ko) 의복용 심지
US2995154A (en) Elastic diaper
KR102541684B1 (ko) 편성 구조를 갖는 의류 요소 및 그 실현 방법
EP1396245B1 (en) Garment waistband
JP2019044286A (ja) テーラードジャケ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530476B1 (ja) 股下寸法を調整可能な衣服
JPWO2015177837A1 (ja) 織布および織布の製造方法
KR100919667B1 (ko) 의류용 칼라
JP2001226804A (ja) 被服のウエストサイズ伸縮自在構造
JP2001316925A (ja) 衣服用生地の縫製構造
JP2009242988A (ja) 衣類
KR102424101B1 (ko)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절첩 및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JP2007224457A (ja) 着物
KR102424099B1 (ko) 무신축성 소재의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원단으로 부분적 신축성의 한복 저고리를 제조하는 한복 저고리의 제조방법
JP3231787U (ja) 和装用臀部補正布
KR100463666B1 (ko) 심지없는 자켓
KR102172526B1 (ko) 체형에 맞춰 치수변경 가능한 의복
JP3238362U (ja) 衣服
JP2009133015A (ja) 織物製パンツ及び織物製パンツの製造方法
KR20220148492A (ko) 주름방지부가 구비된 바지
JP3085625U (ja) パン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