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596B1 - 잉크젯 다파장 경화기 - Google Patents

잉크젯 다파장 경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596B1
KR102422596B1 KR1020210048656A KR20210048656A KR102422596B1 KR 102422596 B1 KR102422596 B1 KR 102422596B1 KR 1020210048656 A KR1020210048656 A KR 1020210048656A KR 20210048656 A KR20210048656 A KR 20210048656A KR 102422596 B1 KR102422596 B1 KR 102422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emitting device
channel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8740A (ko
Inventor
강용훈
구교욱
김경용
Original Assignee
유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8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596B1/ko
Publication of KR20220008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740A/ko
Priority to KR1020220087069A priority patent/KR20220103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19/12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 B01J19/122Incoherent waves
    • B01J19/123Ultraviolet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2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being performed after the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2219/12Processe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Ink Jet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개 이상의 발광소자(112) 및 한 개 이상의 광 센서(1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광모듈(110); 상기 발광소자(112)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20); 상기 발광소자(112)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컨트롤러(120)를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는, 광 경화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광 센서(118)는 상기 발광소자(112)의 주변에 배치되어 광의 세기를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미리 정해지거나 갱신되는 광의 세기의 기준값과 상기 측정된 광의 세기를 비교하거나, 상기 컨트롤러(120)가 발광소자(112)에 인가하도록 설정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와 상기 검출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120)를 통해 상기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제어한다.
이에,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정밀하고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회로이상 등에 의한 발광모듈(110)의 오동작을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잉크젯 다파장 경화기{INKJET MULTI WAVELENGTH CURING DEVICE}
본 발명은 광 경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캔식 광 경화장치에 있어서 광의 조사영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발광모듈을 용이하게 변경 및 유지관리할 수 있으며, 광 경화장치에 있어서 광의 세기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거나 오동작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광 경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 경화장치는 경화대상, 예를 들어 소정 제품의 표면에 도포된 도료에 광(예컨대, 자외선)을 조사하면 도료가 순간적으로 경화되는 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제품의 표면 경도를 향상시키는 장치이다. 광 경화 과정이 제품 생산에 필수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광 경화장치는 반도체, 전자, 의료, 통신 등 여러 기술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스캔식 광 경화장치는 광 경화장치가 경화대상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면서 경화대상에 광을 조사하는 장치이다. 스캔식 광 경화장치는 제조비용이 낮고 유지관리가 용이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경화대상영역은 상기 도료가 도포된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경화대상영역은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화대상을 경화시키기 위해서, 스캔식 광 경화장치가 광을 조사할 수 있는 최대조사가능영역 중에서 경화대상영역에 해당하지 않는 영역에는 광을 조사할 필요가 없다. 즉, 스캔식 광 경화장치가 경화대상영역의 크기(폭) 또는 위치에 따라 최대조사가능영역 중에서 일부 영역에만 광을 조사하더라도 경화대상을 경화시킬 수 있다.
스캔식 광 경화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다음과 같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14469호는 자외선 경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 발광 소자를 포함하여 서로 다른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자외선 조사부를 포함하고, 자외선 조사부는 긴 파장으로부터 짧은 파장의 순으로 경화 대상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스캔식 광 경화장치가 경화대상영역의 크기 또는 위치에 따라 최대조사가능영역 중에서 일부 영역에만 광을 조사하는 방법을 개시하지 않는다.
이에, 경화대상영역 외의 영역에 불필요하게 광이 조사되어 에너지 소모량이 증가할 수 있고 냉각효율이 저감될 수 있으며 발광소자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경화대상영역과 경화대상영역 외의 일영역에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이 조사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경화대상영역에 조사되는 특정한 파장의 광이 상기 일영역에도 조사되어 경화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경화대상영역 외의 일영역이 광에 노출되지 말아야 하는 경우에는, 경화대상영역에 조사되는 광이 상기 일영역에도 조사되어 제품이 손상되거나 제조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KR 10-2014-011446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경화대상영역(50)의 크기 또는 위치에 따라 광의 조사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광 경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발광모듈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발광모듈과 피처리물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광 경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경화대상영역(50)의 가장자리에서도 경화가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서 경화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광 경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커버(130, 140)가 설치되더라도 발광모듈(110)에서 발생한 열이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어서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광 경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커버(130)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발광모듈(110)이 제1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커버(13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광 경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커버(130, 140)가 올바르게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서, 경화대상영역(50)의 크기 또는 위치에 따라 광의 조사영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광 경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발광모듈(110)을 서로 다른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발광모듈(110)로 용이하게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고,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광 경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발광모듈(110)을 냉각부(150)의 올바른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광 경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데이터전송 케이블 또는 전원 케이블이 발광소자(112)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연결되어 발광모듈(110)의 냉각효율이 향상되고, 데이터전송 케이블 또는 전원 케이블을 발광모듈(110)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광 경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실제로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기초로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정밀하고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회로이상 등에 의한 발광모듈(110)의 오동작을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광 경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한 개 이상의 발광소자(112) 및 한 개 이상의 광 센서(1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광모듈(110); 상기 발광소자(112)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20); 상기 발광소자(112)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컨트롤러(120)를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는, 광 경화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광 센서(118)는 상기 발광소자(112)의 주변에 배치되어 광의 세기를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미리 정해지거나 갱신되는 광의 세기의 기준값과 상기 측정된 광의 세기를 비교하거나, 상기 컨트롤러(120)가 발광소자(112)에 인가하도록 설정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와 상기 검출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120)를 통해 상기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소자(112)는 발광소자(112)의 위치에 따라 한 개 이상의 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채널에 각각 속하고, 상기 컨트롤러(120)는 상기 채널 별로 채널에 속한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제어한다.
상기 검출부는 상기 채널 별로 채널에 속한 발광소자(112)에 실제로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검출한다.
상기 광 센서(118)는 각각의 상기 채널에 속한 발광소자(112)의 주변에 배치되어 채널 별로 광의 세기를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채널 별로 미리 정해지거나 갱신되는 광의 세기의 기준값과 상기 측정된 광의 세기를 비교하거나, 상기 채널 별로 상기 컨트롤러(120)가 각 채널에 속한 발광소자에 인가하도록 설정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와 상기 검출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120)를 통해 채널 별로 채널에 속한 상기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 경화장치는 상기 검출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7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 경화장치(100)는 한 개 이상의 발광소자(112) 및 한 개 이상의 광 센서(1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광모듈(110); 발광소자(112)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여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20); 발광소자(112)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컨트롤러(120)를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미리 정해지거나 갱신되는 광의 세기의 기준값과 상기 측정된 광의 세기를 비교하거나, 컨트롤러(120)가 발광소자에 인가하도록 설정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와 상기 검출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120)를 통해 상기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소자(112)에 실제로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기초로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정밀하고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112)에 실제로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회로이상 등에 의한 발광모듈(110)의 오동작을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소자(112)는 발광소자(112)의 위치에 따라 한 개 이상의 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채널에 각각 속하고, 컨트롤러(120)는 채널 별로 채널에 속한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검출부는 채널 별로 채널에 속한 발광소자(112)에 실제로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고, 광 센서(118)는 각각의 채널에 속한 발광소자(112)의 주변에 배치되어 채널 별로 광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채널 별로 미리 정해지거나 갱신되는 광의 세기의 기준값과 상기 측정된 광의 세기를 비교하거나, 채널 별로 컨트롤러(120)가 각 채널에 속한 발광소자에 인가하도록 설정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와 상기 검출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컨트롤러(120)를 통해 채널 별로 채널에 속한 상기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채널 별로 광의 세기와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하여 광의 세기를 제어하므로 구성이 단순해지고 제조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 경화장치는 상기 검출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로이상 등에 의한 발광모듈(110)의 오동작을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경화장치가 경화대상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 및 도 3의 발광모듈이 경화대상영역(50)을 스캐닝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경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경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정면도, 이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3은 도 9 내지 도 12의 광 경화정치에서 커버를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경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경화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의 광 경화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내용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경화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개시되는 광 경화장치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경화장치가 경화대상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경화장치(100)는 복수 개의 발광모듈(110a, 110b, 110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발광모듈(110)은 경화대상영역(50)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경화대상영역(50)은 광에 의해 경화되는 도료가 도포된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발광모듈(110)은 이웃하는 발광모듈(110)과 서로 다른 파장대의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서 3개의 발광모듈(110a, 110b, 110c)은 각각 340nm, 365nm, 385nm 근처에서 피크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발광모듈(110)은 경화대상영역(50)에 대해 제1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발광모듈(110)이 경화대상영역(50)을 스캐닝 하면서 경화시킬 수 있다.
광을 조사하는 발광모듈(110)의 정면에는 렌즈부(113)가 구비될 수 있고, 발광모듈(110)의 내부에는 렌즈부(113)를 향하여 발광소자(112, 도 2)가 구비될 수 있다. 발광모듈(110)과 관련된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한다.
광 경화장치(100)는 광을 조사할 수 있는 영역(이하, 최대조사가능영역) 중에서 경화대상영역(50)의 크기 또는 위치에 따라 대략 경화대상영역(50)에 포함되는 영역에만 광을 조사함으로써, 경화대상영역(50) 내의 경화대상을 경화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두 가지 방법을 살펴본다.
첫번째 방법으로, 광 경화장치(100)는 발광모듈(110)에 구비된 전체 발광소자(112, 도 2) 중에서 경화대상영역(50)의 크기 또는 위치에 대응하는 일부의 발광소자(112)만 점등시킴으로써, 최대조사가능영역 중에서 대략 경화대상영역(50)에 포함되는 영역에만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과 같이, 경화대상영역(50)의 제2방향의 폭이 발광모듈(110)의 제2방향의 폭보다 작으면, 경화대상영역(50)의 제2방향의 폭 및 위치에 대응하는 범위(A)에 속하는 발광소자(112)만 점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범위(A)에 속하는 발광소자(112)가 대략 경화대상영역(50)에 포함되는 영역에만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방법은 도 2 내지 도 4에서 살펴본다.
두번째 방법으로, 도 5 내지 도 13과 같이, 경화대상영역(50)의 크기(폭) 또는 위치에 따라 발광모듈(110)의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 중 적어도 하나에서 조사되는 광을 차단함으로써, 최대조사가능영역 중에서 대략 경화대상영역(50)에 포함되는 영역에만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방법은 도 5 내지 도 13에서 살펴본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 및 도 3의 발광모듈이 경화대상영역(50)을 스캐닝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110)은, 발광모듈(110)이 경화대상영역(50, 도 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발광모듈(110)은 발광소자(112), 기판(114), 하우징(116) 및 광 센서(11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발광소자(112)는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고, 기판(114)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112)는 컨트롤러(120, 도 16)와 연결될 수 있다.
발광소자(112)는 발광소자(112)가 배치된 위치에 따라 복수 개의 채널(C1~C8) 중에서 어느 하나의 채널(C)에 속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 채널(C)이 8개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소자(112)는 발광소자(112)가 속한 채널(C) 별로 점등되거나 소등될 수 있다. 즉, 동일한 채널(C)에 속한 발광소자(112)는 함께 점등되거나 소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최대조사가능영역 또는 광 조사영역이 채널(C) 별로 구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모듈(110)에 다수의 발광소자(112)가 배치되더라도 각각의 발광소자(112)를 제어하는 회로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따라서, 광 경화장치(100)를 용이하게 제조 및 관리할 수 있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발광소자(112)가 발광소자(112)의 위치에 따라 복수 개의 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채널에 각각 속하고, 발광소자(112)가 속한 채널(C) 별로 발광소자(112)가 점등되거나 소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발광소자(112) 중에서 경화대상영역(50)의 크기 또는 위치에 대응하는 채널(C)에 속한 발광소자(112)만 점등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발광소자(112) 중에서 경화대상영역(50)에 포함되는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채널(C)에 속한 발광소자(112)만 따로 점등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경화대상영역(50)의 크기 또는 위치에 따라 광의 조사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에너지 소모량이 절감되고 냉각효율이 향상되며 발광소자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경화대상영역(50)과 경화대상영역(50) 외의 일영역에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이 조사되어야 하는 경우에, 경화대상영역(50)에 조사되는 특정한 파장의 광이 상기 일영역에 조사되지 않으므로 경화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화대상영역(50) 외의 일영역이 광에 노출되지 말아야 하는 경우에, 경화대상영역(50)에 조사되는 광이 상기 일영역에 조사되지 않으므로 제품이 손상되거나 제조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광소자(112)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제2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고, 발광소자(112)는 발광소자(112)의 제2방향의 위치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 개의 채널(C) 중에서 어느 하나의 채널에 각각 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모듈(110)이 경화대상영역(50, 도 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채널(C)이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최대조사가능영역의 제2방향의 크기(폭)가 경화대상영역(50)의 제2방향의 크기(폭)보다 크거나 경화대상영역(50)이 제2방향으로 최대조사가능영역의 일부와 중복되게 위치하는 경우에, 제2방향의 크기(폭) 차이에 해당하는 부분 또는 제2방향으로 중복되지 않는 나머지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채널(C)에 속한 발광소자(112)만을 따로 소등할 수 있다. 따라서, 스캔식 광 경화장치(100)에 있어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경화대상영역(50)의 크기 또는 위치에 따라 광의 제2방향의 조사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발광소자(112)의 제1방향의 위치에 따라 채널(C)이 구분된다면, 각 채널(C)에서 제2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발광소자가(112)가 모두 함께 점등 또는 소등된다. 따라서, 상기 제2방향의 크기(폭) 차이에 해당하는 부분 또는 제2방향으로 중복되지 않는 나머지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소자(112)를 따로 소등할 수 없다.
한편, 스캔식 광 경화장치(100)에 있어서, 광 조사영역 또는 최대조사가능영역의 제1방향(발광모듈의 이동방향)의 크기(폭)는 발광모듈(110)의 이동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모듈(110)의 이동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경화대상영역(50)의 크기 또는 위치에 따라 광의 제1방향의 조사영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발광소자(112)의 전방에는 도 1과 같이, 렌즈부(113, 도 1)가 형성될 수 있다. 렌즈부(113)는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되는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기판(114)은 하우징(116)에 설치될 수 있고 일면에 발광소자(112)가 배치될 수 있다. 기판(114)에는 발광소자(112)를 제어하는 전기회로가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16)은 발광모듈(110)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하우징(116) 내부에는 발광소자(112), 기판(114), 광 센서(118)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6)의 외부에 냉각부가 형성되는 도 14 및 도 15와 달리, 하우징(116)의 내부에 냉각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6) 내부에 컨트롤러(120, 도 16)가 배치될 수도 있다.
광 센서(118)는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채널(C)에 속한 발광소자(112)의 주변에 배치되어 채널(C) 별로 광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120, 도 16)는 하우징(116)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하우징(116) 외부에 발광모듈(110)과 분리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컨트롤러(120)는 발광소자(112)와 연결될 수 있고 채널(C) 별로 채널(C)에 속한 발광소자(112)를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발광소자(112)를 발광소자(112)가 속한 채널(C)에 따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20)는 발광소자(112)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여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고, 광 센서(118)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경화대상영역(50)의 크기 또는 위치에 따라 경화대상영역(50)의 가장자리에 광을 조사하는 채널(예컨대, C3 및 C7)은 채널(예컨대, C3 및 C7)에 속한 발광소자(112)들 중에서 일부만 경화대상영역(50)에 광을 조사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채널(예컨대, C3 및 C7)에 속한 발광소자(112)도 전부 점등시켜서 경화대상영역(50)에 광을 조사하게 할 수 있다.
즉, 경화대상영역(50)의 크기 또는 위치에 대응하는 채널(C)은, 채널(C)에 속한 발광소자(112)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발광소자(112)가 경화대상영역(50)에 광을 조사하는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화대상영역(50)의 가장자리에서도 경화가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서 경화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과 같이, 광 경화장치(100)는 채널(C) 별로 점등되거나 소등되는 도 2 및 도 3의 발광모듈(110)을 복수 개 포함할 수 있고, 채널(C) 별로 점등되거나 소등되는 복수 개의 발광모듈(110)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 경화장치(100)가 복수 개의 발광모듈(110)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경화대상영역(50)의 크기 또는 위치에 따라 광의 조사영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경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경화장치(100)는 발광모듈(110) 및 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광 경화장치(100)는 발광모듈(110)을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발광모듈(110)은 도 1과 같이, 경화대상영역(50)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고, 정면에는 렌즈부(113)가 구비될 수 있고, 내부에는 렌즈부(113)를 향하여 발광소자(112, 도 2)가 구비될 수 있다. 발광모듈(110)은 경화대상영역(50)에 대해 제1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1과 같이, 복수 개의 발광모듈(110a, 110b, 110c)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서로 다른 파장대의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커버(130)는 발광모듈(110)의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130)는 경화대상영역(50)의 크기(폭) 또는 위치에 따라 발광모듈(110)의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 중 적어도 하나에서 조사되는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 및 도 6의 커버(130)는 광을 차단하여 제2방향의 크기(폭)가 9인치인 영역에만 광을 조사할 수 있고, 도 7 및 도 8의 커버(140)는 광을 차단하여 제2방향의 크기가 17인치인 영역에만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경화대상영역(50)의 크기 또는 위치에 따라 광의 조사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발광모듈(110)에 구비된 발광소자(112)의 일부만 점등하는 제어를 하지 않더라도 광의 조사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경화대상영역(50)과 경화대상영역(50) 외의 일영역에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이 조사되어야 하는 경우에, 경화대상영역(50)에 조사되는 특정한 파장의 광이 상기 일영역에 조사되지 않으므로 경화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화대상영역(50) 외의 일영역이 광에 노출되지 말아야 하는 경우에, 경화대상영역(50)에 조사되는 광이 상기 일영역에 조사되지 않으므로 제품이 손상되거나 제조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130)는 경화대상영역(50)의 크기 또는 위치에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발광모듈(110a, 110b, 110c)의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 중 적어도 하나에서 조사되는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 경화장치(100)가 복수 개의 발광모듈(110)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경화대상영역(50)의 크기 또는 위치에 따라 광의 조사영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커버(130)는 정면판(132) 및 측면판(13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면판(132)은 광을 조사하는 발광모듈(110)의 정면의 제2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정면판(132)의 제2방향의 길이(l1)에 의해 광의 제2방향의 조사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
측면판(134)은 정면판(132)으로부터 발광모듈(110)의 제1방향의 측면을 따라 발광모듈(110)의 이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발광모듈(110)의 이면에 걸림되거나 발광모듈(110)의 제1방향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면판(134)의 단부에는 발광모듈(110)의 이면과 마주하는 절곡부(136, 도 6)가 형성되어 측면판(134)이 발광모듈(110)의 이면에 걸림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130)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발광모듈(110)이 제1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커버(13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측면판(134)은 정면판(132)을 지지할 수 있다.
정면판(132)의 제2방향의 길이(l1)는 측면판(134)의 제2방향의 길이(l2)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경화대상영역(50)의 크기 또는 위치에 따라 정면판(132)의 제2방향의 길이(l1)가 길어지게 되더라도(도 9), 측면판(134)이 발광모듈(110)의 제1방향의 측면과 마주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으므로 발광모듈(110)이 외기와 접하는 면적이 커질 수 있다. 이에, 발광모듈(110)에서 발생한 열이 외기로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어서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발광모듈(110)에는 제2방향을 따라 경화대상영역(50)의 크기 또는 위치를 나타내는 복수 개의 눈금(g)이 표시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서는 발광모듈(110)의 제1방향의 측면에 눈금(g)이 표시된다.
커버(130)가 발광모듈(110)에 설치되면, 발광모듈(110)의 정면과 마주하는 정면판(132)의 제2방향의 단부 또는 발광모듈(110)의 제1방향의 측면과 마주하는 측면판(134)의 제2방향의 단부는 복수 개의 눈금(g) 중에서 어느 하나의 눈금(g)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정면판(132)의 제2방향의 단부가 9인치 눈금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되고, 도 7 및 도 8에서는 정면판(132) 또는 측면판(134)의 제2방향의 단부가 17인치 눈금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커버(130)가 올바르게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경화대상영역(50)의 크기 또는 위치에 따라 광의 조사영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경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정면도, 이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3은 도 9 내지 도 12의 광 경화정치에서 커버를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경화장치(100)는 발광모듈(110) 및 커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광 경화장치(100)는 발광모듈(110)을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발광모듈(110)은 도 1과 같이, 경화대상영역(50)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고, 정면에는 렌즈부(113)가 구비될 수 있고, 내부에는 렌즈부(113)를 향하여 발광소자(112, 도 2)가 구비될 수 있다. 발광모듈(110)은 경화대상영역(50)에 대해 제1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1과 같이, 복수 개의 발광모듈(110a, 110b, 110c)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서로 다른 파장대의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발광모듈(110)은 커버(140)를 지지하는 지지부(11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119)는 결합부(1192) 및 프레임부(119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1192)는 커버(140)의 가이드홈(1442)에 관통삽입될 수 있고, 프레임부(1194)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192)는 볼트에 해당할 수 있다.
프레임부(1194)는 발광모듈(110)의 제2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부(1194)는 하우징(116, 도 2 내지 도 4)의 제2방향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고 제2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프레임부(1194)는 결합부(1192)와 결합되어 결합부(1192)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지지부(119)를 형성할 수 있고, 지지부(119)가 발광모듈(110)의 제2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의 단부에 형성되므로 지지부(119)의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지지부(119)가 발광모듈(110)과 외기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므로 발광모듈(110)의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커버(140)는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발광모듈(110)의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140)는 경화대상영역(50)의 크기(폭) 또는 위치에 따라 발광모듈(110)의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 중 적어도 하나에서 조사되는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 내지 도 12의 커버(140)는 광을 차단하여 제2방향의 크기(폭)가 9인치인 영역에만 광을 조사할 수 있고, 도 13의 커버(140)는 광을 차단하여 제2방향의 크기가 17인치인 영역에만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경화대상영역(50)의 크기 또는 위치에 따라 광의 조사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발광모듈(110)에 구비된 발광소자(112)의 일부만 점등하는 제어를 하지 않더라도 광의 조사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경화대상영역(50)과 경화대상영역(50) 외의 일영역에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이 조사되어야 하는 경우에, 경화대상영역(50)에 조사되는 특정한 파장의 광이 상기 일영역에 조사되지 않으므로 경화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화대상영역(50) 외의 일영역이 광에 노출되지 말아야 하는 경우에, 경화대상영역(50)에 조사되는 광이 상기 일영역에 조사되지 않으므로 제품이 손상되거나 제조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140)는 경화대상영역(50)의 크기 또는 위치에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발광모듈(110a, 110b, 110c)의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 중 적어도 하나에서 조사되는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 경화장치(100)가 복수 개의 발광모듈(110)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경화대상영역(50)의 크기 또는 위치에 따라 광의 조사영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광 경화장치(100)는 도 9 내지 도 13과 같이, 커버(140a, 140b)를 복수 개(도면에서는, 3개) 포함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커버(140)는 복수 개의 발광모듈(110a, 110b, 110c)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커버(140)는 경화대상영역(50)의 크기 또는 위치에 따라 각각의 발광모듈(110)의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 중 적어도 하나에서 조사되는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이 때에, 각각의 커버(140)는 도 9 내지 도 13과 같이, 이웃하는 커버(14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모듈(110)에서 발생한 열이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어서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에서는 한 개의 커버(130a, 130b)가 3개의 발광모듈(110)의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 중 적어도 하나에서 조사되는 광을 차단하는데,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5 내지 도 8과 달리, 커버(130, 도 5 내지 도 8)도 도 9 내지 도 13의 커버(140)와 같이, 3개의 커버(130)가 3개의 발광모듈(110a, 110b, 110c)에 각각 결합되어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 중 적어도 하나에서 조사되는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이 때에, 각각의 커버(130)는 도 9 내지 도 13과 같이, 이웃하는 커버(13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커버(140)는 발광모듈(110)에 결합될 수 있고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 내지 도 8과 달리, 커버(140)를 교체하지 않고 슬라이딩 이동시켜서 경화대상영역(50)의 크기 또는 위치에 따라 광의 조사영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커버(140)는 정면판(142) 및 측면판(14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면판(142)은 광을 조사하는 발광모듈(110)의 정면의 제2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정면판(142)이 발광모듈(110)의 정면과 마주하게 되는 제2방향의 길이에 의해 광의 제2방향의 조사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
측면판(144)은 정면판(142)으로부터 연장되어 발광모듈(110)의 제1방향의 측면과 마주할 수 있다. 측면판(144)에는 제2방향으로 가이드홈(1442)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1442)에는 발광모듈(110)의 지지부(119)의 결합부(1192)가 관통삽입되어 커버(14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커버(140)가 발광모듈(110)에 대해 슬라이이딩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192)를 조임으로써 커버(140)가 발광모듈(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커버(140)를 제2방향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고 발광모듈(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발광모듈(110) 또는 측면판(144)에는 제2방향을 따라 경화대상영역(50)의 크기 또는 위치를 나타내는 복수 개의 눈금(g)이 표시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3에서는 커버(140)의 측면판(144)에 눈금(g)이 표시된다.
커버(140)가 발광모듈(110)에 설치되면, 발광모듈(110)의 정면과 마주하는 정면판(142)의 제2방향의 단부, 발광모듈(110)의 제1방향의 측면과 마주하는 측면판(144)의 제2방향의 단부 또는 측면판(144)과 마주하는 발광모듈(110)의 제1방향의 측면이나 지지부(119)의 제2방향의 단부는 복수 개의 눈금(g) 중에서 어느 하나의 눈금(g)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지지부(119)의 제2방향의 단부 즉, 프레임부(1194)의 제2방향의 단부가 9인치 눈금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되고, 도 13에서는 지지부(119)의 제2방향의 단부 즉, 프레임부(1194)의 제2방향의 단부가 17인치 눈금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커버(140)가 올바르게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경화대상영역(50)의 크기 또는 위치에 따라 광의 조사영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경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경화장치(100)는 복수 개의 발광모듈(110) 및 냉각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발광모듈(110a, 110b, 110c)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경화대상영역(50)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발광모듈(110)은 이웃하는 발광모듈(110)과 서로 다른 파장대의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고, 복수 개의 발광모듈(110)은 경화대상영역(50)에 대해 제1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발광모듈(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발광모듈(110)은 도 2 및 도 3의 발광소자(112), 기판(114) 및 하우징(11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또한, 각각의 발광모듈(110)은 도 2 및 도 3의 광 센서(11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광을 조사하는 발광모듈(110)의 정면에는 렌즈부(113)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발광모듈(110)은 발광모듈(110)의 외부에 배치되는 냉각부(150)에 독립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모듈(110)을 서로 다른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발광모듈(110)로 용이하게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발광모듈(110)을 냉각부(150)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점검 및 수리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하우징(116)은 몸체부(1162) 및 연장부(11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1162)는 제2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162)의 내부에는 발광소자(112) 및 기판(114)이 설치될 수 있다.
몸체부(1162)는 냉각부(150)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4 및 도 15와 같이, 몸체부(1162)의 이면은 냉각부(150)의 정면과 결합될 수 있다.
몸체부(1162)의 이면은 냉각부(150)의 정면과 마주할 수 있고 냉각부(150)의 정면에 접할 수 있다.
연장부(1164)는 몸체부(1162)의 제2방향의 단부로부터 제1방향 및 제2방향이 이루는 평면과 교차하는 제3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1164)는 냉각부(150)의 제2방향의 측면과 마주할 수 있다. 연장부(1164)는 냉각부(150)와 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16)이 냉각부(150)와 마주하는 몸체부(1162) 및 연장부(1164)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발광모듈(110)을 냉각부(150)의 올바른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발광모듈(110)이 냉각부(150)와 접하는 표면적이 커지므로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연장부(1164)의 제3방향의 단부에는 데이터전송 케이블 또는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1165a, 1165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데이터전송 케이블 또는 전원 케이블은 커넥터(1165a, 1165b)를 통해 발광모듈(110) 내부에 설치된 기판(114) 또는 광 센서(118)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전송 케이블 또는 전원 케이블은 컨트롤러(1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전송 케이블 또는 전원 케이블이, 내부에 발광소자(112)가 설치된 몸체부(1162)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커넥터(1165)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발광모듈(110)의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전송 케이블 또는 전원 케이블이 발광모듈(110)의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의 측면에 연결되지 않고 커넥터(1165)를 통해 발광모듈(110)의 제3방향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데이터전송 케이블 또는 전원 케이블을 발광모듈(110)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블이 커넥터(1165)를 통해 발광모듈(110)의 제3방향의 단부에 연결됨으로써, 발광모듈(110)이 제1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데이터전송 케이블 또는 전원 케이블이 발광모듈(110)에 연결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경화대상을 교체하는 등의 작업이 수행될 때에 케이블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케이블이 커넥터(1165)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냉각부(150)는 복수 개의 발광모듈(110)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냉각부(150)는 복수 개의 발광모듈(110)의 이면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냉각부(150)는 몸체부(1162) 및 연장부(1164)의 일면과 마주할 수 있다.
냉각부(150)는 복수 개의 발광모듈(110)을 지지할 수 있고, 복수 개의 발광모듈(110)을 냉각시킬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경화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의 광 경화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내용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경화장치는 한 개 이상의 발광모듈(110), 컨트롤러(120), 검출부(미도시됨), 제어부(160) 및 디스플레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모듈(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경화대상영역(50)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발광모듈(110)은 이웃하는 발광모듈(110)과 서로 다른 파장대의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고, 경화대상영역(50)에 대해 제1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발광모듈(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발광모듈(110)은 한 개 이상의 발광소자(112) 및 한 개 이상의 광 센서(11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발광소자(112)는 발광소자(112)의 위치에 따라 한 개 이상의 채널(C1~C8) 중에서 어느 하나의 채널(C)에 각각 속할 수 있다.
광 센서(118)는 각각의 상기 채널(C)에 속한 발광소자(112)의 주변에 배치되어 채널(C) 별로 광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120)는 발광소자(112)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20)는 상기 채널(C) 별로 채널(C)에 속한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20)는 광 센서(118)에서 측정된 값을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검출부(미도시됨)는 발광소자(112)에 실제로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출부는 상기 채널(C) 별로 채널(C)에 속한 발광소자(112)에 실제로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컨트롤러(1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상기 채널(C) 별로 미리 정해지거나 갱신되는 광의 세기의 기준값과 광 센서(180)에 의해 측정된 광의 세기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컨트롤러(120)를 통해 채널(C) 별로 채널(C)에 속한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채널(C1)에 대해서, 광 센서(180)에 의해 측정된 광의 세기가 기준값보다 작으면, 컨트롤러(120)를 통해 제1채널(C1)에 속한 발광소자(112)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상기 채널(C) 별로 컨트롤러(120)가 각 채널(C)에 속한 발광소자에 인가하도록 설정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와 검출부(미도시됨)에 의해 검출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컨트롤러(120)를 통해 채널(C) 별로 채널(C)에 속한 상기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채널(C1)에 대해서, 검출부(미도시됨)에 의해 검출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가 제1채널(C1)에 속한 발광소자에 인가하도록 설정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보다 작으면, 컨트롤러(120)를 통해 제1채널(C1)에 속한 발광소자(112)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소자(112)에 실제로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기초로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정밀하고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112)에 실제로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회로이상 등에 의한 발광모듈(110)의 오동작을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검출부(미도시됨)에 의해 검출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로이상 등에 의한 발광모듈(110)의 오동작을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광 센서(180)에 의해 측정된 광의 세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70)는 상기 채널(C) 별로 광의 세기의 기준값과 채널(C) 별로 광 센서(180)에 의해 측정된 광의 세기를 출력할 수 있고, 컨트롤러가 상기 채널(C) 별로 채널(C)에 속한 발광소자에 인가하도록 설정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 및 실제로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70)에는 실시간으로 365nm 및 345nm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파장대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발광모듈(110)에 대해서, 채널(CH 01~CH 10) 별로 전류량(Controller)의 설정값(S) 및 측정값(P)과 광량(Sensor Output)의 설정값(S) 및 측정값(P)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류량(Controller)의 설정값(S)은 채널(CH) 별로 컨트롤러(120)가 각 채널(CH)에 속한 발광소자에 인가하도록 설정된 전류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고, 전류량(Controller)의 측정값(P)은 검출부(미도시됨)에 의해 검출된 전류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광량(Sensor Output, 광의 세기)의 설정값(S)은 채널(CH) 별로 미리 정해지거나 갱신되는 광의 세기의 기준값을 의미할 수 있고, 광량(Sensor Output)의 측정값(P)은 광 센서(180)에 의해 측정된 광의 세기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발광소자(112)이상 또는 회로이상 등에 의한 발광모듈(110)의 오동작을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경화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경화방법은 센싱단계(S210), 판단단계(S220) 및 제어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단계(S210)에서는, 광 센서(180)를 통해 채널(C) 별로 광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검출부(미도시됨)를 통해 채널(C) 별로 채널(C)에 속한 발광소자(112)에 실제로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판단단계(S220)에서는, 채널(C) 별로 미리 정해지거나 갱신되는 광의 세기의 기준값과 광 센서(180)에 의해 측정된 광의 세기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채널(C) 별로 컨트롤러(120)가 각 채널(C)에 속한 발광소자에 인가하도록 설정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와 검출부(미도시됨)에 의해 검출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제어단계(S230)에서는, 비교결과에 따라 컨트롤러(120)를 통해 채널(C) 별로 채널(C)에 속한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채널(C) 별로, 광 센서(180)에 의해 측정된 광의 세기가 상기 기준값보다 작으면, 컨트롤러(120)를 통해 채널(C)에 속한 발광소자(112)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채널(C) 별로, 검출부(미도시됨)에 의해 검출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가 채널(C)에 속한 발광소자에 인가하도록 설정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보다 작으면, 컨트롤러(120)를 통해 채널(C)에 속한 발광소자(112)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모듈(110)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실시간으로 보정할 수 있으므로, 경화가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112)에 실제로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기초로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정밀하고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광 경화장치
110: 발광모듈 112: 발광소자
114: 기판 116: 하우징
118: 광 센서 119: 지지부
1192: 결합부 1194: 프레임부
120: 컨트롤러
130: 커버 132: 정면판
134: 측면판
140: 커버 142: 정면판
144: 측면판 1442: 가이드홈
150: 냉각부 160: 제어부
170: 디스플레이부

Claims (3)

  1. 한 개 이상의 발광소자(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광모듈(110);
    상기 발광소자(112)에 인가하도록 설정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에 해당하는 전압 또는 전류를 발광소자(112)에 인가하고 발광소자(112)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20);
    상기 발광소자(112)에 실제로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컨트롤러(120)를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설정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와 상기 검출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120)가 상기 발광소자(112)에 인가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증감시켜서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제어하는, 광 경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112)는 발광소자(112)의 위치에 따라 한 개 이상의 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채널에 각각 속하고,
    상기 컨트롤러(120)는 상기 채널 별로 각 채널에 속한 발광소자(112)에 인가하도록 설정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에 해당하는 전압 또는 전류를 각 채널에 속한 발광소자(112)에 인가하고 채널 별로 각 채널에 속한 발광소자(112)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여 각 채널에 속한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제어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채널 별로 각 채널에 속한 발광소자(112)에 실제로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채널 별로 상기 설정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와 상기 검출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120)가 채널 별로 각 채널에 속한 상기 발광소자(112)에 인가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증감시켜서 각 채널에 속한 발광소자(112)에서 조사되는 광의 세기를 제어하는, 광 경화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 경화장치는 상기 검출된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70)를 더 포함하는, 광 경화장치.
KR1020210048656A 2020-07-14 2021-04-14 잉크젯 다파장 경화기 KR102422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656A KR102422596B1 (ko) 2020-07-14 2021-04-14 잉크젯 다파장 경화기
KR1020220087069A KR20220103688A (ko) 2020-07-14 2022-07-14 잉크젯 다파장 경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876A KR102242525B1 (ko) 2020-07-14 2020-07-14 잉크젯 다파장 경화기
KR1020210048656A KR102422596B1 (ko) 2020-07-14 2021-04-14 잉크젯 다파장 경화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876A Division KR102242525B1 (ko) 2020-07-14 2020-07-14 잉크젯 다파장 경화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069A Division KR20220103688A (ko) 2020-07-14 2022-07-14 잉크젯 다파장 경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740A KR20220008740A (ko) 2022-01-21
KR102422596B1 true KR102422596B1 (ko) 2022-07-20

Family

ID=7574427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876A KR102242525B1 (ko) 2020-07-14 2020-07-14 잉크젯 다파장 경화기
KR1020210048656A KR102422596B1 (ko) 2020-07-14 2021-04-14 잉크젯 다파장 경화기
KR1020220087069A KR20220103688A (ko) 2020-07-14 2022-07-14 잉크젯 다파장 경화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876A KR102242525B1 (ko) 2020-07-14 2020-07-14 잉크젯 다파장 경화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069A KR20220103688A (ko) 2020-07-14 2022-07-14 잉크젯 다파장 경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102242525B1 (ko)
WO (1) WO20220150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525B1 (ko) * 2020-07-14 2021-04-21 유버 주식회사 잉크젯 다파장 경화기
KR102599659B1 (ko) * 2021-07-12 2023-11-06 유버 주식회사 스캔식 광 경화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85040A1 (en) 2013-09-23 2015-03-26 Gew (Ec) Limiited Led ink cur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5314A (ko) * 2010-11-23 2012-05-31 (주)베스트룸 자외선 접합 경화장치
KR20140114470A (ko) * 2013-03-13 2014-09-29 에프엔에스테크 주식회사 자외선 경화 시스템
KR20140114469A (ko) 2013-03-13 2014-09-29 에프엔에스테크 주식회사 자외선 경화 장치
KR102156614B1 (ko) * 2014-09-23 2020-09-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널을 경화하는 경화 장치
KR20180085979A (ko) * 2017-01-20 2018-07-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외선 경화 장치
KR20190052302A (ko) * 2017-11-08 2019-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외선 경화장치
KR102576187B1 (ko) * 2018-11-12 2023-09-07 주식회사지엘에스 자외선 경화 장치
KR102242525B1 (ko) * 2020-07-14 2021-04-21 유버 주식회사 잉크젯 다파장 경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85040A1 (en) 2013-09-23 2015-03-26 Gew (Ec) Limiited Led ink cur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740A (ko) 2022-01-21
KR102242525B1 (ko) 2021-04-21
WO2022015032A1 (ko) 2022-01-20
KR20220103688A (ko) 2022-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03688A (ko) 잉크젯 다파장 경화기
KR101649931B1 (ko) Uv 경화장치 및 이의 조도 조절방법
KR20190032563A (ko) 내부 전반사를 이용한 doe 결함 모니터링
CN108205242B (zh) 光处理装置、涂敷、显影装置、光处理方法和存储介质
KR20140114470A (ko) 자외선 경화 시스템
US10746541B2 (en) Inspection device for conveyor belt
US20120146622A1 (en) Test apparatus for power supply unit
TWI802626B (zh) 紫外線固化裝置
JP5567912B2 (ja) 光照射装置及び光照射方法
KR101607639B1 (ko) 시편에서 반사된 빛의 스펙트럼이 광 센서의 측정감도에 최적화되도록 파장영역별로 밝기가 제어되는 광원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박막두께 측정장치
US20120033235A1 (en) System and method with automatic adjustment function for measuring the thickness of substrates
CN107102480B (zh) 光照射装置
JP5962500B2 (ja) フィルム検査方法とフィルム検査装置
JP6917751B2 (ja) 描画装置
KR20200006074A (ko) 물체를 조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1456613A2 (en) Dose radiometer
CN108942640B (zh) 研磨装置以及研磨方法
KR101319639B1 (ko) 광조도와 광량 측정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측정기
KR102331470B1 (ko) 좁은 폭 방사를 통한 방출 및 경화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275369B1 (ko) 자외선 경화 장치
KR100550521B1 (ko) 노광기 및 그 글래스 정렬방법
KR20150145056A (ko) 유효 조사영역을 표시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
JP7288274B2 (ja) 光照射システム
CN110941138B (zh) 异物检查装置、曝光装置以及物品制造方法
JP5483286B2 (ja) 検査装置用の標準ウエ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