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127B1 - 감시 방법 - Google Patents

감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127B1
KR102422127B1 KR1020160011872A KR20160011872A KR102422127B1 KR 102422127 B1 KR102422127 B1 KR 102422127B1 KR 1020160011872 A KR1020160011872 A KR 1020160011872A KR 20160011872 A KR20160011872 A KR 20160011872A KR 102422127 B1 KR102422127 B1 KR 102422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s
sensor
event
sensor group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0907A (ko
Inventor
장수은
천희진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1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127B1/ko
Publication of KR20170090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감시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방법은, 감시 영역에 분포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들 중 동일한 시간 구간 내에서 이벤트를 검출한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센서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이벤트 발생 영역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발생 영역을 촬영하도록 감시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시 방법{SURVEILLANCE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센서를 이용하여 이벤트를 검출하고, 이를 토대로 감시카메라를 제어하는 감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다수의 감시카메라가 도처에 설치되어 있고, 감시카메라가 획득한 영상을 녹화, 저장, 전송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감시카메라는 벽면이나 기둥 등의 구조물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감시카메라의 화각 밖에서 발생한 이벤트 영상은 획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감시카메라의 설치 대수를 증가시켜 복수의 감시카메라로부터 영상을 획득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기술에 따른 감시방법 역시도 이벤트를 능동적으로 포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 2009-008953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써, 동일한 시간 구간 내에서 이벤트를 검출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그룹을 형성하고, 센서 그룹에 따른 이벤트 발생 영역을 산출하여 감시카메라가 이벤트 발생 영역을 촬영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이벤트 영상을 보다 능동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방법은 감시 영역에 분포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들 중 동일한 시간 구간 내에서 이벤트를 검출한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센서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이벤트 발생 영역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발생 영역을 촬영하도록 감시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센서 그룹에 속하는 어느 두 개의 센서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임계 거리 이상인 경우, 상기 두 개의 센서 각각을 중심으로 군집(群集)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각각의 서브 그룹으로 그룹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에 대해서 상기 감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감지 정보의 패턴이 유사한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하나의 서브 그룹으로 그룹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발생 영역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 또는 상기 서브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의 위치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중심점과 가장 먼 센서까지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에 해당하는 영역을 이벤트 발생 영역으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감시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중심점이 상기 감시카메라가 획득한 영상의 중심점이 되도록 상기 감시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감시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그룹이 하나 이상인 경우, 센서의 수가 많은 서브 그룹 순서로 각 서브 그룹의 중심점이 상기 감시카메라가 획득한 영상의 중심점이 되도록 상기 감시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일한 시간 구간 내에서 이벤트를 검출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그룹을 형성하고, 센서 그룹에 따른 이벤트 발생 영역을 산출하여 감시카메라가 이벤트 발생 영역을 촬영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이벤트 영상을 보다 능동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그룹 생성부가 센서 그룹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그룹 생성부가 센서 그룹으로부터 서브 그룹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발생 영역 산출부가 센서 그룹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 영역을 산출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6은 감시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잇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감시 장치(10), 센서(20), 감시카메라(30) 및 감시 장치(10), 센서(20) 및 감시카메라(3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20)는 이벤트를 검출하는 다양한 수단일 수 있다. 예컨대, 센서(20)는 PIR센서, 적외선 센서 등과 같이 사람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수단일 수 있다. 센서(20)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가스센서 등과 같이 환경의 변화를 검출하는 수단일 수 있다. 또한 센서(20)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획득된 전/후 영상을 비교함으로써,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일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이 설치되는 장소 및/또는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센서(20)는 감시 영역의 크기, 검출하고자 하는 이벤트의 종류 등에 따라 설치되는 위치 및/또는 수량이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감시 영역에 센서(20)가 복수개 설치된 것을 전제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20)는 다양한 방식으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감시 장치(10)에 감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20)는 UART, RS485, Bluetooth, Zigbee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센서(20)는 TCP/IP(transfer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IPv6방식으로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센서(20)는 네트워크와 IPv4방식으로도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유선 네트워크, 인터넷과 같은 공용 네트워크, 사설 네트워크,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용 광역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GSM) 네트워크, 범용 패킷 무선 네트워크(general packet radio network; GPRS), 근거리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 WAN), 거대도시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셀룰러 네트워크, 공중 전화 교환 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개인 네트워크(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 Wi-Fi 다이렉트(Wi-Fi Direct), 근거리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초 광 대역(Ultra Wide band), 이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일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30)(surveillance camera)는 렌즈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일 수 있다. 렌즈는 1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되는 렌즈군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에 의하여 입력된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와 같이 광학 신호를 전기적 신호(이하 영상으로 설명함)로 변환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일 수 있다. 감시카메라는 촬영 대상 공간에 대한 RGB로 구성된 영상, 적외선 영상 또는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거리 영상 등을 제공하는 카메라 일 수도 있다. 이 때 감시카메라(30)는 관심영역(ROI)과 그 외의 영역 간의 인코딩(Encoding) 정도의 차등을 두어, 관심영역(ROI)은 인코딩을 최소화 하여 보다 선명한 화질로, 그 외의 영역은 인코딩을 최대화 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화질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감시카메라(3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감시 장치(10)에 영상을 획득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감시카메라(30)에 감시 장치(10)가 구비되는 경우, 감시카메라(30)는 센서(20)들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감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감시카메라(30)는 감시카메라(30)를 수평이나 수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구동수단은 감시카메라(30)를 수평 및/또는 수직으로 회전시켜 전방향(全方向)에 대한 객체검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팬-틸트 헤드(Pan tilt head)일 수 있다.
감시카메라(30)는 시스템이 설치되는 장소 및/또는 목적에 따라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장치(10)는 수신부(100), 센서 그룹 생성부(200), 이벤트 발생 영역 산출부(300) 및 감시카메라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00)는 감시 영역에 분포된 복수의 센서(20)들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 그룹 생성부(200)는 수신부(100)가 수신한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센서(20)들 중 동일한 시간 구간 내에서 이벤트를 검출한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이벤트 발생 영역 산출부(300)는 센서 그룹 생성부(200)가 생성한 센서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이벤트 발생 영역을 산출할 수 있다. 감시카메라 제어부(400)는 이벤트 발생 영역을 촬영하도록 감시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은 수신부(100), 센서 그룹 생성부(200), 이벤트 발생 영역 산출부(300) 및 감시카메라 제어부(400)와 같은 분류는 편의상/기능상의 분류일 뿐, 각각의 구성이 물리적으로 명확히 나뉘어진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들에서 수행되는 기능들이 상호 중복되어 수행될 수도 있고, 일부 구성이 생략되어 다른 구성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컨대, 센서 그룹 생성부(200)와 이벤트 발생 영역 산출부(300)는 하나의 제어부로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장치(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정 백업 장치(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감시 장치(10)는 감시카메라(30)에 구비될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감시 장치(10)가 별도의 장치로 구성됨을 전제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부(100)는 감시 영역에 분포된 복수의 센서(20)들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여, 감시 영역에 복수개의 센서(211 내지 214, 221 내지 224, 231 내지 233, 241)와 감시카메라(31)가 배치되어 있고, 이벤트(41)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211 내지 214, 221 내지 224, 231 내지 233, 241)는 검출하고자 하는 이벤트의 종류가 상이한 이종 센서일 수 있다. 복수개의 센서(211 내지 214, 221 내지 224, 231 내지 233, 241)는 각각 주변의 상황을 감지하고 센서 값을 이벤트 감지 정보로서 출력할 수 있다.
수신부(100)는 센서(211 내지 214, 221 내지 224, 231 내지 233, 241)로부터 이벤트 감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각 센서(211 내지 214, 221 내지 224, 231 내지 233, 241)의 이벤트 감지 정보에 포함된 이벤트 발생 강도에 대한 정보는 센서(211 내지 214, 221 내지 224, 231 내지 233, 241)와 이벤트(41)발생 위치까지의 거리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211 내지 214, 221 내지 224, 231 내지 233, 241)는 검출하고자 하는 이벤트의 종류가 동일한 동종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211 내지 214, 221 내지 224, 231 내지 233, 241)는 음향센서라고 가정하고, 이벤트(41)는 음향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음향을 포함하는 이벤트라고 가정한다. 전술한 가정 하에, 감시 영역에서 음향을 포함하는 이벤트(41)가 발생하였다면, 복수개의 센서(211 내지 214, 221 내지 224, 231 내지 233, 241)는 이벤트(41)의 음향을 감지하고, 수신부(100)는 센서(211 내지 214, 221 내지 224, 231 내지 233, 241)의 이벤트 감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각 센서(211 내지 214, 221 내지 224, 231 내지 233, 241)의 이벤트 감지 정보에 포함된 이벤트 발생 강도에 대한 정보는 센서(211 내지 214, 221 내지 224, 231 내지 233, 241)와 이벤트(41)발생 위치까지의 거리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이벤트(41) 발생 위치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센서(214)에 대하여, 수신부(100)는 높은 이벤트 발생 강도를 포함하는 이벤트 감지 정보를 센서(214)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반면에 이벤트(41) 발생 위치와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센서(232)에 대하여, 수신부(100)는 낮은 이벤트 발생 강도를 포함하는 이벤트 감지 정보를 센서(23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그룹 생성부(200)는 수신부(100)가 수신한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 그룹 생성부(200)는 수신부(100)가 수신한 감지 정보를 참조하여, 감지한 이벤트의 수치화된 강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이벤트 발생으로 판단하여 해당 센서가 이벤트를 검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그룹 생성부(200)는 감지한 이벤트의 수치화된 강도기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상태가 임계 시간 이상 지속된 경우 이벤트 발생으로 판단하여 해당 센서가 이벤트를 검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 그룹 생성부(200)는 센서들의 이벤트 검출 여부에 대한 판단을 기초로, 센서들 중 동일한 시간 구간 내에서 이벤트를 검출한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그룹 생성부(200)는 복수의 이종 센서들로부터 상이한 이벤트 감지 정보가 수신된 경우, 센서 유형별로 이벤트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여 센서 유형별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센서 그룹 생성부(200)는 센서 그룹을 테이블(Table)의 형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 때 테이블은 예컨대 특정 센서가 속하는 그룹, 해당 센서의 종류, 센서의 식별 번호, 위치 및 이벤트 강도 등에 대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그룹 생성부(200)가 센서 그룹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도 2의 이벤트(41)에 의해 센서(214)가 t1 시점에, 센서(221)이 t2 시점에, 센서(212)가 t3 시점에, 센서(213)이 t4 시점에, 센서(211)이 t5 시점에, 센서(222)가 t6 시점에, 센서(223)이 t7 시점에, 센서(224)가 t8 시점에, 센서(231)이 t9 시점에 이벤트를 검출하였고, 시간 구간(250)은 도시된 바와 같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센서(214), 센서(221), 센서(212), 센서(213), 센서(211), 센서(222), 센서(223), 센서(224)는 동일한 시간 구간에 속하므로, 센서 그룹 생성부(200)는 센서(214), 센서(221), 센서(212), 센서(213), 센서(211), 센서(222), 센서(223), 센서(224)를 포함하는 센서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센서 그룹 생성부(200)는 동일한 시간 구간(250)에 속하지 않는 센서(231)는 다른 센서 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시간 구간(250)의 크기, 시간 구간의 시작점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센서 그룹 생성부(200)는 생성된 센서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센서 그룹에 속하는 어느 두 개의 센서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임계 거리 이상인 경우, 두 개의 센서 각각을 중심으로 군집(群集)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각각의 서브 그룹으로 그룹화 할 수 있다. 이 때 각 센서의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감시 장치(10)에 기 입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그룹 생성부(200)가 센서 그룹으로부터 서브 그룹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3에서와 같이, 센서 그룹 생성부(200)는 이벤트(41)를 동일한 시간 구간 내에서 검출한 센서들, 즉 센서(214), 센서(221), 센서(212), 센서(213), 센서(211), 센서(222), 센서(223), 센서(224) 및 센서(231)를 하나의 센서 그룹(261)으로 생성하였다고 가정한다. 또한 센서(212)와 센서(223) 사이의 거리(265), 센서(212)와 센서(231) 사이의 거리(266) 및 센서(223)와 센서(231) 사이의 거리(267)가 각각 기 설정된 임계 거리 이상이라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센서 그룹 생성부(200)는 센서 각각(212, 223, 231)을 중심으로 군집을 형성하는 센서들을 하나의 서브 그룹(262, 263, 264)으로 그룹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군집을 형성하는 센서들'은 중심 센서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센서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기 설정된 거리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그룹 생성부(200)는 생성된 센서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에 대해서, 수신부(100)가 수신한 각 센서의 감지 정보를 참조하여, 감지 정보의 패턴이 유사한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하나의 서브 그룹으로 그룹화 할 수도 있다. 센서들의 감지 정보의 패턴이 유사함은 해당 센서들의 주변에서 동일한 이벤트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해당 센서들의 위치를 토대로 특정 이벤트의 발생 위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이벤트 발생 위치를 토대로 이벤트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발생 영역 산출부(300)는 센서 그룹 생성부(200)가 생성한 그룹 또는 서브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의 위치의 중심점으로부터, 중심점과 가장 먼 센서까지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에 해당하는 영역을 이벤트 발생 영역으로 산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발생 영역 산출부(300)가 센서 그룹(261)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 영역(320)을 산출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이벤트(41)가 발생하였고, 이에 따라 센서 그룹 생성부(200)가 도 4에서와 같이 센서(214), 센서(221), 센서(212), 센서(213), 센서(211), 센서(222), 센서(223), 센서(224) 및 센서 (231)를 포함하는 센서 그룹(261)을 생성하였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이벤트 발생 영역 산출부(300)는 센서 그룹(261)에 속하는 센서(214, 221, 212, 213, 211, 222, 223, 224, 231)들의 위치의 중심점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위치의 중심점'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예컨대, 중심점은 각 센서들의 위치를 2차원 좌표상의 한 점으로 대응시켰을 때, 센서 좌표들의 무게중심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중심점은 전술한 방법에 더하여, 각 센서들의 감지 정보를 참조하여, 이벤트 발생 강도가 높은 센서에 중심점이 더 근접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벤트 발생 영역 산출부(300)는 산출된 중심점으로부터 중심점과 가장 먼 센서까지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에 해당하는 영역을 이벤트 발생 영역으로 산출할 수 있다.
도 5의 경우, 이벤트 발생 영역 산출부(300)가 중심점(310)을 산출하고, 중심점(310)으로부터 가장 먼 센서(231)까지의 거리(330)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이벤트 발생 영역(320)으로 산출한 예시이다.
본 발명에서 '이벤트 발생 영역'은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감시 영역 내의 일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벤트 발생 영역 산출부(300)가 많은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그룹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 영역을 산출할 경우,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이 이벤트 발생 영역으로 산출될 수 있다. 반면, 이벤트 발생 영역 산출부(300)가 센서 그룹에 속하는 센서 중 일부 센서만을 포함하는 서브 그룹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 영역을 산출할 경우,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이 이벤트 발생 영역으로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제어부(400)는 이벤트 발생 영역을 촬영하도록 감시카메라(31)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벤트 발생 영역을 촬영하도록 감시카메라를 제어'하는 것은 이벤트 발생 영역 산출부(300)가 산출한 중심점(310)이, 감시카메라(31)가 획득한 영상의 중심이 되도록 즉 영상의 정 중앙에 중심점(310)이 오도록 감시카메라(31)를 제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감시카메라 제어부(400)는 감시카메라(30)를 수평이나 수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영상의 중심과 중심점(310)이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감시카메라 제어부(400)는 센서 그룹(261)에 따른 서브 그룹이 하나 이상인 경우, 포함된 센서의 수가 많은 서브 그룹 순서로 각 서브 그룹의 중심점이 감시카메라(31)가 획득한 영상의 중심점이 되도록 상기 감시카메라(3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다양한 관점에서 이벤트를 관찰할 수 있다.
도 6은 감시 장치(10)에 의해 수행되는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하는 내용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부(100)는 감시 영역에 분포된 복수의 센서(20)들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61) 이 때 각 센서의 감지 정보에 포함된 이벤트 발생 강도에 대한 정보는 센서와 이벤트발생 위치까지의 거리 등에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이벤트 발생 위치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센서의 경우, 수신부는 높은 이벤트 발생 강도를 포함하는 이벤트 감지 정보를 센서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반면에 이벤트 발생 위치와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센서의 경우, 수신부는 낮은 이벤트 발생 강도를 포함하는 이벤트 감지 정보를 센서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그룹 생성부(200)는 수신부(100)가 수신한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2) 예컨대, 센서 그룹 생성부(200)는 수신부(100)가 수신한 감지 정보를 참조하여, 감지한 이벤트의 수치화된 강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이벤트 발생으로 판단하여 해당 센서가 이벤트를 검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그룹 생성부(200)는 감지한 이벤트의 수치화된 강도기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상태가 임계 시간 이상 지속된 경우 이벤트 발생으로 판단하여 해당 센서가 이벤트를 검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센서 그룹 생성부(200)는 센서들의 이벤트 검출 여부에 대한 판단을 기초로, 센서들 중 동일한 시간 구간 내에서 이벤트를 검출한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센서 그룹 생성부(200)는 생성된 센서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센서 그룹에 속하는 어느 두 개의 센서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임계 거리 이상인 경우, 두 개의 센서 각각을 중심으로 군집(群集)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각각의 서브 그룹으로 그룹화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센서 그룹 생성부(200)는 센서 각각을 중심으로 군집을 형성하는 센서들을 하나의 서브 그룹으로 그룹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군집을 형성하는 센서들'은 중심 센서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센서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기 설정된 거리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그룹 생성부(200)는 생성된 센서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에 대해서, 수신부(100)가 수신한 각 센서의 감지 정보를 참조하여, 감지 정보의 패턴이 유사한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하나의 서브 그룹으로 그룹화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발생 영역 산출부(300)는 센서 그룹 생성부(200)가 생성한 그룹 또는 서브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의 위치의 중심점으로부터, 중심점과 가장 먼 센서까지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에 해당하는 영역을 이벤트 발생 영역으로 산출할 수 있다.(S63) 본 발명에서 '이벤트 발생 영역'은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감시 영역 내의 일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벤트 발생 영역 산출부(300)가 많은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그룹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 영역을 산출할 경우,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이 이벤트 발생 영역으로 산출될 수 있다. 반면, 이벤트 발생 영역 산출부(300)가 센서 그룹에 속하는 센서 중 일부 센서만을 포함하는 서브 그룹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 영역을 산출할 경우,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이 이벤트 발생 영역으로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 제어부(400)는 이벤트 발생 영역을 촬영하도록 감시카메라(31)를 제어할 수 있다.(S64) 본 발명에서 '이벤트 발생 영역을 촬영하도록 감시카메라를 제어'하는 것은 이벤트 발생 영역 산출부(300)가 산출한 중심점(310)이, 감시카메라(31)가 획득한 영상의 중심이 되도록 즉 영상의 정 중앙에 중심점(310)이 오도록 감시카메라(31)를 제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감시카메라 제어부(400)는 감시카메라(30)를 수평이나 수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영상의 중심과 중심점(310)이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감시카메라 제어부(400)는 센서 그룹(261)에 따른 서브 그룹이 하나 이상인 경우, 포함된 센서의 수가 많은 서브 그룹 순서로 각 서브 그룹의 중심점이 감시카메라(31)가 획득한 영상의 중심점이 되도록 상기 감시카메라(3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다양한 관점에서 이벤트를 관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정 백업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감시 장치
20: 센서
211 내지 213, 221 내지 224, 231 내지 233, 241: 센서
30: 감시카메라
31: 감시카메라
41: 이벤트
100: 수신부
200: 센서 그룹 생성부
261: 센서 그룹
262 내지 264: 서브 그룹
265 내지 267: 거리
300: 이벤트 발생 영역 산출부
310: 중심점
320: 이벤트 발생 영역
400: 감시카메라 제어부

Claims (6)

  1. 감시 영역에 분포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들 중 동일한 시간 구간 내에서 이벤트를 검출한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센서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이벤트 발생 영역을 산출하는 단계로써, 상기 센서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의 위치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중심점과 가장 먼 센서까지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에 해당하는 영역을 이벤트 발생 영역으로 산출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 영역은 감시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역이고; 및
    상기 이벤트 발생 영역을 촬영하도록 상기 감시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시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센서 그룹에 속하는 어느 두 개의 센서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임계 거리 이상인 경우, 상기 두 개의 센서 각각을 중심으로 군집(群集)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각각의 서브 그룹으로 그룹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감시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에 대해서 상기 감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감지 정보의 패턴이 유사한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하나의 서브 그룹으로 그룹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감시방법.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중심점이 상기 감시카메라가 획득한 영상의 중심점이 되도록 상기 감시카메라를 제어하는, 감시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 그룹으로부터 소정의 방식에 따라 생성된 서브 그룹이 하나 이상인 경우,
    센서의 수가 많은 서브 그룹 순서로 각 서브 그룹의 중심점이 상기 감시카메라가 획득한 영상의 중심점이 되도록 상기 감시카메라를 제어하는, 감시방법.
KR1020160011872A 2016-01-29 2016-01-29 감시 방법 KR102422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872A KR102422127B1 (ko) 2016-01-29 2016-01-29 감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872A KR102422127B1 (ko) 2016-01-29 2016-01-29 감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907A KR20170090907A (ko) 2017-08-08
KR102422127B1 true KR102422127B1 (ko) 2022-07-18

Family

ID=59653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872A KR102422127B1 (ko) 2016-01-29 2016-01-29 감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1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6380B (zh) * 2019-05-30 2024-03-08 中国科学院动物研究所 野生动物监测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9535A (ko) 2008-02-19 2009-08-24 주식회사 케이티 유비쿼터스 홈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통신 방법
KR101519405B1 (ko) * 2008-09-18 2015-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와 오디오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 촬영제어 방법
KR101611696B1 (ko) * 2014-05-27 2016-04-12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음향을 감지하여 위치 추적이 가능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벤트 모니터링 네트워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907A (ko)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9513B2 (en)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device, and monitoring method
KR101825045B1 (ko) 경보 방법 및 장치
CN110834327B (zh) 一种机器人的控制方法及设备
US201501165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objects
US20200175282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system
JP2015115839A5 (ko)
US10341616B2 (en)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315525B1 (ko)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WO2015154359A1 (zh) 拍摄的实现方法及装置
JP2014222825A (ja) 映像処理装置および映像処理方法
JP2018050221A (ja) 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監視制御装置及び監視制御プログラム
KR102422127B1 (ko) 감시 방법
US105821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control, by a control device, of a video camera in a video surveillance system
JP2022516633A (ja) 物体を検出および監視するためにカメラに命令するための機械可読コードを使用する方法
US7940632B2 (en) Recording medium, data use limitating method, and program
KR102474173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5046028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N102469247A (zh) 摄像装置及其动态对焦方法
KR20180035052A (ko) IoT 식별값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JP716003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及び撮像装置
KR102584525B1 (ko) 영상 처리 방법
KR101976843B1 (ko) 렌즈 파라미터의 보정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기
JP6705486B2 (ja) 被写体検知装置、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45362B1 (ko) 영상 판독 장치
JP2019068155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