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604B1 - 반려동물용 조립식 배변판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조립식 배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604B1
KR102420604B1 KR1020210166630A KR20210166630A KR102420604B1 KR 102420604 B1 KR102420604 B1 KR 102420604B1 KR 1020210166630 A KR1020210166630 A KR 1020210166630A KR 20210166630 A KR20210166630 A KR 20210166630A KR 102420604 B1 KR102420604 B1 KR 102420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vertical
defecation
footrest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은경
김윤지
Original Assignee
전은경
김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은경, 김윤지 filed Critical 전은경
Priority to KR1020210166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6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반려동물용 조립식 배변판을 개시하며,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수평한 상면 상에 거치되며, 격자그레이팅이 마련되는 바닥배변판과 상기 바닥배변판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배변판으로 구성되는 배변판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변판어셈블리에서 상기 바닥배변판의 두 변에 바닥결합홈과 바닥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결합홈과 상기 바닥결합돌기에 조립되도록 상기 한 쌍의 수직배변판의 각 하면에는 대응되는 수직결합돌기와 수직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조립식 배변판{Prefabricated Toilet Tray for Pets}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조립식 배변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의 소변이 배변판 밖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조립식 배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나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의 경우, 일정한 한 장소에서 배설을 할 수 있도록 교육을 시키는데, 이때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애완동물용 배변패드를 구매하여 사용한다.
배변패드는 상대적으로 적은 체적과 두께로서도 다량의 배설물(주로 소변)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성 재질, 예컨대 기저귀/생리대와 유사한 합성섬유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배변패드를 단순하게 깔은 상태에서, 이와 같은 곳에 애완동물이 배설을 하게 되면, 애견이 이를 발로 밟기 쉽고, 배설물을 밟은 상태에서 실내를 돌아다니게 되므로 이로 인해 바닥이 매우 지저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재에는 판 형태로 제작된 애완동물용 배변판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배변판의 구조는 크게, 배설물이 저장되는 받침판과,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메쉬구조로 이루어진 그레이팅으로 구성되어, 받침판의 테두리부 상부에 그레이팅의 플랜지부가 놓이거나 고정되는 형태로 조립된다.
이러한 배변판은 애완동물의 배설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위에 그레이팅이 조립되어 있어, 애완동물이 배설물을 밟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배변판은 각 가정에서 대체적으로 벽과 가까운 한 쪽 구석에 두어 반려동물이 이용하도록 하는데, 반려동물이 배변판에서 볼 일을 보더라도 소변의 경우 튀어서 벽지 등을 오염시키거나 사방으로 튀어서 매번 주변 청소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7-0002918호(공개일 2017년 08월 21일)
본 발명의 목적은, 발판과 후방측 양방향을 차단할 수 있는 조립식 배변판을 설치함으로써, 소변이 주변으로 튀어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조립식 배변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반려동물용 조립식 배변판은,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수평한 상면 상에 거치되며, 격자그레이팅이 마련되는 바닥배변판과 상기 바닥배변판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배변판으로 구성되는 배변판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변판어셈블리에서 상기 바닥배변판의 두 변에 바닥결합홈과 바닥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결합홈과 상기 바닥결합돌기에 조립되도록 상기 한 쌍의 수직배변판의 각 하면에는 대응되는 수직결합돌기와 수직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수직배변판은, 절첩선을 중심으로 포개어졌다가 펼쳐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상단에는 이동을 위한 손잡이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탈취분사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발판에는 다수개의 거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발판배변판의 하면에는 상기 거치공의 깊이 보다는 길게 형성된 거치다리가 형성되어 상기 발판으로부터 상기 배변판어셈블리가 이격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조립식 배변판에서는, 발판과 후방측 양방향을 차단할 수 있는 조립식 배변판을 설치함으로써, 소변이 주변으로 튀어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식 배변판의 설치는 물론, 휴대 및 보관성이 우수하여 상품성이 높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조립식 배변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조립식 배변판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변판어셈블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변판어셈블리의 보관 방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변판어셈블리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전방", "후방"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조립식 배변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조립식 배변판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변판어셈블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변판어셈블리의 보관 방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변판어셈블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할 때, 본 발명에서의 반려동물용 조립식 배변판은, 크게 발판(100)과, 발판(100)상에 거치 설치되는 배변판어셈블리(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발판(100)은 사각이나 다각형상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며 설치된다.
상기 발판(100)의 바닥면은 평편하며, 측면은 경사면(102)이 형성되어 소형견도 어려움 없이 올라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발판(100)의 상면으로는 4모서리측에 근접하여 일정 깊이의 거치공(104)이 형성되며, 거치공(104)이 형성된 상면 상에 일정 깊이로 사각의 발판홈(106)이 형성될 수 있다.
발판홈(106)으로 반려동물의 소변이 모여져서 소변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도 있고, 발판홈(106)에 수위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소변량을 측정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바람직하게 발판홈(106)에는 배변패드(P)가 놓여지게 된다.
배변판어셈블리(200)는, 다시 바닥배변판(210)과 한 쌍의 수직배변판(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변판어셈블리(200)는 PHB(Poly Hydroxy Butyrate)로 재생 가능하고 쉽게 생분해되어 반려동물이나 환경에 무해할 수 있다.
바닥배변판(210)은 사각의 테두리 내측으로 격자그레이팅(212)이 마련되며, 격자그레이팅(212)으로는 반려동물이 소변을 보는 장소로 소변은 아래 발판홈(106)의 배변패드(P)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격자그레이팅(212)으로 하여 반려동물의 발에 소변 등의 배설물이 묻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바닥배변판(210)의 4변 중 직각의 두 변에 바닥결합홈(214)과 바닥결합돌기(216)이 형성될 수 있다.
바닥결합홈(214)과 바닥결합돌기(216)는 바닥배변판(210)의 측방을 향해 형성되되, 바닥결합홈(214)의 사이에 바닥결합돌기(216)가 형성된다.
또한, 바닥배변판(210)의 저면 모서리측에는 발판(100)의 거치공(104)에 대응되어 삽입될 수 있는 거치다리(218)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거치다리(218)는 바람직하게 거치공(104)의 깊이 보다는 길게 형성되어 전체 배변판어셈블리(200)가 발판(100)으로부터 이격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소변이 바로 배변패드(P)에 흡수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반려동물의 발에 소변이 묻어 나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바닥배변판(210)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수직하게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배변판(220)은, 설명의 편의상 제1수직배변판(222)과 제2수직배변판(224)으로 칭하며, 제1수직배변판(222)과 제2수직배변판(224)은 절첩선(225)을 중심으로 포개어졌다가 펼쳐질 수 있고, 동일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시 도 2 또는 도 3에서와 같이, 제1수직배변판(222)과 제2수직배변판(224) 각각은 테두리판(222a, 224a)과 격자그레이팅판(222b, 224b)의 두 겹으로 이루어져서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 개방될 수 있으며, 결합시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테두리판(222a, 224a)과 격자그레이팅판(222b, 224b)의 마주하는 일면으로 억지끼움이나 돌기 등을 두어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 나아가 제1수직배변판(222)과 제2수직배변판(224) 각각의 테두리판(222a, 224a)과 격자그레이팅판(222b, 224b)의 사이에는 배변패드(P)가 내장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변패드(P)는 테두리판(222a, 224a)과 격자그레이팅판(222b, 224b)의 회전 개방으로 교체가 가능하다.
그리고 제1수직배변판(222)과 제2수직배변판(224) 중 어느 하나의 상단에는 이동을 위한 손잡이(226)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탈, 부착 가능한 탈취분사장치(230)가 설치될 수 있다.
탈취분사장치(230)는,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수동으로 조작되거나 셋팅된 시간에 맞추어 주기적으로 향균 액체가 분사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수직배변판(222)과 제2수직배변판(224)의 수직한 상태의 하면으로 바닥결합홈(214)과 바닥결합돌기(216)에 조립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수직결합돌기(227)와 수직결합홈(228)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직결합돌기(227)의 사이에 수직결합홈(228)이 형성되어 수직결합돌기(227)는 바닥결합홈(214)에 위치되고 수직결합홈(228)에는 바닥결합돌기(216)가 위치되어 직각 상태로 수직 조립될 수 있다.
덧붙여, 억지끼움으로 조립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고정핀(240)을 이용하여 바닥배변판(210)에 제1수직배변판(222)과 제2수직배변판(224)을 안정적으로 수직하게 조립할 수 있다.
즉, 제1수직배변판(222)과 제2수직배변판(224)의 수직결합돌기(227)와 수직결합홈(228)를 관통하여 홀이 형성되고, 바닥배변판(210)의 바닥결합홈(214)과 바닥결합돌기(216)에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수직결합돌기(227)에 바닥결합홈(214)이 위치되고 수직결합홈(228)에는 바닥결합돌기(216)가 위치되어 직각 상태로 수직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핀(240)을 측방으로부터 삽입하게 된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배변판어셈블리(200)를 발판(100)으로부터 분리하여 보관 후 용이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절첩선(225)을 중심으로 포개어지는 제1수직배변판(222)과 제2수직배변판(224)의 마주하는 일면에 자석(250)을 설치하고, 바닥배변판(210)의 테두리면에도 자석(250)을 두어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되는 적층 상태를 이루어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조립식 배변판의 작용은,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1수직배변판(222)을 회동 개방시켜서 테두리판(222a)과 격자그레이팅판(222b)으로 분리한 후, 테두리판(222a)과 격자그레이팅판(222b)의 사이에 배변패드(P)를 내부에 위치시키고, 다시 개방된 테두리판(222a)과 격자그레이팅판(222b)를 마주하여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2수직배변판(224)의 테두리판(224a)과 격자그레이팅판(224b)의 사이에도 같은 방법으로 배변패드(P)를 위치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제1수직배변판(222)과 제2수직배변판(224)을 절첩선(225)을 중심으로 90°각도로 펼친 후, 바닥배변판(210)의 두 변에 형성된 바닥결합돌기(216)와 바닥결합홈(214)에 수직결합홈(228)과 수직결합돌기(227)를 조립시킴으로써, 바닥배변판(210)의 두 변에 수직하게 제1수직배변판(222)과 제2수직배변판(224)이 나란히 기립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서와 같이, 고정핀(240)을 이용하여 조립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발판(100)의 발판홈(106)에도 배변패드(P)를 위치시키고, 상기 조립된 배변판어셈블리(200)는 발판(100)의 거치공(104)에 거치다리(218)를 삽입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거치공(104)의 깊이보다는 거치다리(218)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배변판어셈블리(200)가 발판(100)으로부터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반려동물이 이용하게 되며, 소변을 볼 때 벽지 등으로 튀는 것을 수직배변판(220)으로 차단하여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해체는 조립의 역순이며, 발판(100)으로부터 분리된 배변판어셈블리(200)는 도 4에서와 같이 자석(250)으로 제1수직배변판(222)과 제2수직배변판(224)을 맞대어 포갠 후, 바닥배변판(210)의 자석(250)부분을 맞대어 같이 포개어서 손잡이(226)를 이용하여 이동시키고, 일정 장소에 보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발판과 후방측 양방향을 차단할 수 있는 조립식 배변판을 설치함으로써, 소변이 주변으로 튀어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조립식 배변판의 설치는 물론, 휴대 및 보관성이 우수하여 상품성이 높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발판 102 : 경사면
104 : 거치공 106 : 발판홈
200 : 배변판어셈블리 210 : 바닥배변판
212 : 격자그레이팅 214 : 바닥결합홈
216 : 바닥결합돌기 218 : 거치다리
220 : 수직배변판 222 : 제1수직배변판
224 : 제2수직배변판 222a, 224a : 테두리판
222b, 224b : 격자그레이팅판 225 : 절첩선
226 : 손잡이 227 : 수직결합돌기
228 : 수직결합홈 230 : 탈취분사장치
240 : 고정핀 250 : 자석

Claims (3)

  1. 일정한 높이를 가지되, 경사면이 형성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의 수평한 상면 상에 거치되며, 격자그레이팅이 마련되는 바닥배변판과 상기 바닥배변판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배변판으로 구성되는 배변판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변판어셈블리에서,
    상기 바닥배변판의 두 변에 바닥결합홈과 바닥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결합홈과 상기 바닥결합돌기에 조립되도록 상기 한 쌍의 수직배변판의 각 하면에는 대응되는 수직결합돌기와 수직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수직배변판은,
    절첩선을 중심으로 포개어졌다가 펼쳐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상단에는 이동을 위한 손잡이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탈취분사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수직배변판의 테두리면과 상기 바닥배변판의 테두리면에 자석이 설치되어 상기 자석을 상호 붙여서 적층으로 이동 및 보관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조립식 배변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에는 다수개의 거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배변판의 하면에는 상기 거치공의 깊이 보다는 길게 형성된 거치다리가 형성되어 상기 발판으로부터 상기 배변판어셈블리가 이격 설치되는, 반려동물용 조립식 배변판.
KR1020210166630A 2021-11-29 2021-11-29 반려동물용 조립식 배변판 KR102420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630A KR102420604B1 (ko) 2021-11-29 2021-11-29 반려동물용 조립식 배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630A KR102420604B1 (ko) 2021-11-29 2021-11-29 반려동물용 조립식 배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604B1 true KR102420604B1 (ko) 2022-07-13

Family

ID=82401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630A KR102420604B1 (ko) 2021-11-29 2021-11-29 반려동물용 조립식 배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6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2436A (ko) * 2005-10-18 2007-04-23 이명옥 애완동물용 배변기
KR20170002918U (ko) 2016-02-11 2017-08-21 김봉수 애완동물용 배변판
KR20180068265A (ko) * 2016-12-13 2018-06-21 이광훈 조립식 배변판 어셈블리
KR20190024719A (ko) * 2017-08-28 2019-03-08 이종은 폴딩형 애완동물용 배변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2436A (ko) * 2005-10-18 2007-04-23 이명옥 애완동물용 배변기
KR20170002918U (ko) 2016-02-11 2017-08-21 김봉수 애완동물용 배변판
KR20180068265A (ko) * 2016-12-13 2018-06-21 이광훈 조립식 배변판 어셈블리
KR20190024719A (ko) * 2017-08-28 2019-03-08 이종은 폴딩형 애완동물용 배변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3145B2 (ja) 動物用トイレ
US8656863B2 (en) Pet potty
US5165366A (en) Outdoor window mounted litter unit
US20080105208A1 (en) Right Spot
JP4231492B2 (ja) ペット用トイレ及び交換シート
EP2832211A1 (en) System toilet for dogs
CA2256263A1 (en) Light-weight, collapsible, hinged fencing structure particularly suitable as a small animal enclosure
US6298808B1 (en) Animal privacy system
US7243612B2 (en) Device introduced in toilet for pets
US20150216139A1 (en) Outdoor Pet Enclosure
JP2015126718A (ja) 吸収性部材のカバー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ペット用トイレ
US6412440B2 (en) Sanitary pet path
KR102420604B1 (ko) 반려동물용 조립식 배변판
KR200391310Y1 (ko) 애완동물 배변기
US8601982B2 (en) Pet environment
KR200377774Y1 (ko) 애완동물 배변기
KR100547022B1 (ko) 애완동물용 용변기
KR20220076641A (ko) 애완동물용 배변판
KR200360422Y1 (ko) 애견용 배설물 받침
JP2017063782A (ja) ペット用トイレ
KR20210031342A (ko) 휴대성을 갖는 수세식 밀폐형 반려동물 배변판
US8196547B2 (en) Animal potty chair
JP3138849U (ja) ペット用トイレ
JP2003235389A (ja) トイレマットを使用するペット用トイレ
US11382304B2 (en) Pet pee pad pen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