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374B1 -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374B1
KR102420374B1 KR1020220031352A KR20220031352A KR102420374B1 KR 102420374 B1 KR102420374 B1 KR 102420374B1 KR 1020220031352 A KR1020220031352 A KR 1020220031352A KR 20220031352 A KR20220031352 A KR 20220031352A KR 102420374 B1 KR102420374 B1 KR 102420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ixture
oi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릴리안현아
김선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코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코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코반
Priority to KR1020220031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8Soap-bubble toys; Smoke toy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52Carboxylic amides, alkylolamides or imides or their condensation products with 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662Carbohydrates o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5Mixtures of non-ionic with cat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47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pH regulated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75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11D3/2086Hydroxy 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2Carbohydrates or derivatives thereof
    • C11D3/222Natural or synthetic polysaccharides, e.g. cellulose, starch, gum, alginic acid or cyclo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2Vegetable products, e.g. soya meal, wood flour, saw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 15-21중량부, 증점제 및 감미료 0.3-2중량부, PH조정제 0.01-0.05중량부, 및 정제수와 후각자극 천연추출물의 혼합물 73-82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추출물 중의 에센셜 오일과 계면활성제가 원활히 배합되어 유효공기방울이 생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COMPOSITION FOR SOAP BUBBLES FOR COMPANION ANIMALS}
본 발명은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에 반려동물의 후각자극을 통해 행동을 유발시키는 혼합물을 배합한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양이의 후각 수용체는 사람보다 6배 이상이 많아 다른 고양이의 소변이나 취선(냄새를 동반한 분비물이 나오는 곳) 냄새만 맡고도 정체를 파악할 수 있어 주변의 적이나 사냥감을 탐지하고 먹이의 안전성을 확인할 때 사용되어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실내에서 생활하는 반려묘들은 때때로 지루함과 외로움을 느껴 스트레스를 받기도 하는데 이 때 후각을 자극하여 우울증 완화와 정서 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캣닢(개박하)과 마따따비(개다래나무)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캣닢의 잎과 줄기에는 “네페탈락톤(nepetalactone)” 이라는 휘발성 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는 고양이 코로 들어가 감각세포를 자극한다. 이때 뇌의 편도체와 시상하부에 이 자극이 전달되어 일종의 성호르몬처럼 고양이에게 “행복감”이라는 흥분 반응을 촉발 하는데 이러한 반응 때문에 고양이 마약이라고도 불리운다. 마따따비 역시 비슷한 효과를 내는데 마따따비에 함유된 “마타타비락톤(matatabi-lactone)” 이라는 휘발성 화학물질이 고양이 대뇌를 자극하여 졸리거나 나른한 상태에 빠지게 하고, “액티니딘(actinidine)” 이라는 성분이 고양이에게 환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성분들을 활용하여 고양이의 후각을 자극하여 사냥을 하는 느낌을 주도록 만든 장난감을 통해 반려묘들의 스트레스를 해소와 용구 충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실내에서 키우는 반려견 또한 적당한 후각자극을 통해 스트레스 및 분리불안 완화 및 집중력 향상 등 본능을 충족시켜 줄 수 있다. 강아지의 본능적인 행동 중 하나는 사냥이며 이를 위한 행위 중 하나는 냄새를 맡으며 사냥감을 쫓는데 이를 노즈워크(nose work) 라고 한다. 강아지의 뇌 크기는 인간의 10% 수준이나 냄새를 관장하는 후각신경구는 인간에 비해 40배 이상 크다고 알려져 있다. 강아지들이 냄새를 맡고 싶어하는 것은 본능적이 욕구이기 때문에 노즈워크 놀이를 통하여 이러한 후각 능력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 지 스스로 깨닫게 하면 성취감, 스트레스 해소 등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반려묘, 반려견의 시각과 후각을 자극하는 장난감들은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반려동물 용 비눗방울도 이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비눗방울은 주방세제 혹은 비누에 물을 혼합한 용액에 고양이들이 좋아하는 캣닢오일 향을 첨가 하거나 강아지의 경우 피넛버터향을 첨가하여 판매되는데 이는 반려동물에 유해 되는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다.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대부분의 비눗방울은 샴푸 등에 들어가는 계면활성제와 물을 혼합한 용액을 사용한다. 그루밍(고양이가 자신의 몸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혀로 핥는 행위)을 하는 고양이나 뭐든 입으로 가져가서 물어버리는 습성이 있는 강아지가 비눗방울로 놀이를 할 시 섭취할 수 있어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1869호의 “비눗방울 블로워 타입 비눗방울 놀이기구용 비눗방울액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216637호의 “식품용 유화제를 이용한 식용 방울 조성물“ 등이 있으나 모두 유아용으로 개발된 것이며 반려동물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반려동물의 식용에 적합하고, 후각과 시각을 동시에 자극할 수 있는 천연 유래의 원료와 식품첨가물 원료를 사용한 것으로, 차별적인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1869호 (2015.04.13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16637호 (1999.09.01 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천연 유래의 계면활성제, 식용 첨가물 및 후각을 자극하는 천연추출물을 혼합한 반려동물 고양이 및 강아지용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 및 비눗방을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눗방을 베이스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15-21중량부, 증점제 및 감미료 0.3-2중량부, PH조정제 0.01-0.05중량부, 및 정제수와 후각자극 천연추출물의 혼합물 73-82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계면활성제는, 데실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 2-5중량부, 라우릴글루코사이드(lauryl glucoside) 5-8중량부, 식용 레시틴(lecithin) 1-3중량부, 소듐코코일알라니네이트(sodium cocoyl alaninate) 1-3중량부, 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sodium cocoyl apple amino acids)(애플워시) 5-10중량부, 알킬글루코사이드(alkyl glucoside) 1-2중량부, 및 포타슘코코에이트(potassium cocoate) 4-8.5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증점제 및 감미료는, 식물성 글리세린(glycerin) 1-2중량부, 프락토올리고당(fructooligosaccharides) 0.4-1중량부, 구아검(guar gum) 0.1-0.4중량부, 및 무수결정포도당(dextrose anhydrous) 0.1-0.3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PH조정제는, 구연산(citric acid) 0.01-0.0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정제수와 후각자극 천연추출물의 혼합물은, 무기염류가 제거된 탈이온수 43-77.07중량부를 포함하고, 개다래추출물 10-15중량부, 개다래충영추출물 5-10중량부, 분홍괴불나무추출물 5-10중량부, 및 생강추출물 3-10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은,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 97-99중량부; 개박하(catnip)혼합물 0.8-2중량부; 및 설령쥐오줌풀(valeriana)혼합물 0.2-1.5중량부를 포함하고,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15-21중량부, 증점제 및 감미료 0.3-2중량부, PH조정제 0.01-0.05중량부, 및 정제수와 후각자극 천연추출물의 혼합물 73-82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박하혼합물은, 개박하에서 추출된 오일과 하이드로졸을 포함하고, 설령쥐오줌풀혼합물은, 설령쥐오줌풀에서 추출된 오일과 하이드로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은,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 97-99중량부를 포함하고, 라벤더오일(lavender oil) 0.7-1.8중량부; 바닐라오일(vanilla oil) 0.1-0.5중량부; 코코넛오일(coconut oil) 0.1-0.3중량부; 및 설령쥐오줌풀혼합물 0.1-0.9 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고,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15-21중량부, 증점제 및 감미료 0.3-2중량부, PH조정제 0.01-0.05중량부, 및 정제수와 후각자극 천연추출물의 혼합물 73-82중량부를 포함하고, 정제수와 후각자극 천연추출물의 혼합물은, 무기염류가 제거된 탈이온수 43-77.07중량부 및 생강추출물 3-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설령쥐오줌풀뿌리혼합물은, 설령쥐오줌풀에서 추출된 오일과 하이드로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물추출물 중의 에센셜 오일과 계면활성제가 원활히 배합되어 유효공기방울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강아지의 행동유발 및 고양이의 행동유발 각각에 적합한 물질을 이용하여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이 식용으로 적합하여, 반려동물의 건강에 유해하지 않다.
또한, 강아지가 선호하는 향취 및 고양이가 선호하는 향취의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이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후각자극 천연혼합물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의 혼합비 및 효과에 관한 표이다.
도 6은 정제수 및 후각자극 천연추출물의 혼합비 및 효과에 관한 표이다.
도 7은 고양이 후각자극 천연추출물의 혼합비 및 효과에 관한 표이다.
도 8은 강아지 후각자극 천연추출물의 혼합비 및 효과에 관한 표이다.
도 9는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과 후각자극 천연추출물의 배합비에 따른 비눗방울의 생성도 및 유지력을 나타내는 차트이다.
도 10은 일반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에 의한 비눗방울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용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에 의한 비눗방울에 대한 반응 비교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차트이다.
도 11은 종래의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에 의한 비눗방울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아지용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에 의한 비눗방울에 대한 반응 비교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라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하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은,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의 기초가 되는 조성물을 말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은, 비눗방울을 만들기 위한 조성물, 일명 비눗방울액을 뜻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의 제조방법(S100)은, 정제수와 후각자극 천연추출물을 교번기를 이용하여 혼합하는 단계(S110), 정제수와 후각자극 천연추출물의 혼합물에 계면활성제를 추가하는 단계(S120) 및 정제수, 후각자극 천연추출물 및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에 증점제 및 PH조정제를 추가하여 균일 혼합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단계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S200)은,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210), 고양이 후각자극 천연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220) 및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에 고양이 후각자극 천연혼합물을 배합하는 단계(S2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210 단계는 S100 단계에 기반한다. 각 단계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의 제조방법(S300)은,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310), 강아지 후각자극 천연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320) 및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에 강아지 후각자극 천연혼합물을 배합하는 단계(S3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310 단계는 S100 단계에 기반한다. 각 단계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후각자극 천연혼합물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반려동물 후각자극 천연혼합물 제조방법(S400)은, 식물(개박하 또는 설령쥐오줌풀)을 건조시키는 단계(S410), 증류기를 이용하여 건조된 식물에서 물질을 추출하는 단계(S420), 추출된 물질을 오일과 하이드로졸로 분리하는 단계(S430) 및 오일을 숙성시킨 후, 숙성된 오일과 하이드로졸을 혼합하는 단계(S4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400 단계는 S220 단계 및 S320 단계를 묘사한다. 각 단계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 비눗방을 제조용 조성물 및 이들에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증점제, 감미료, PH조정제, 및 정제수와 후각자극 천연추출물을 배합한 혼합물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실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 2-5중량부, 라우릴글루코사이드(lauryl glucoside) 5-8중량부, 식용 레시틴(lecithin) 1-3중량부, 소듐코코일알라니네이트(sodium cocoyl alaninate) 1-3중량부, 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sodium cocoyl apple amino acids)(애플워시) 5-10중량부, 알킬글루코사이드(alkyl glucoside) 1-2중량부, 및 포타슘코코에이트(potassium cocoate) 4-8.5중량부 중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혼합물이 선택될 수 있다.
증점제 및 감미료로 식물성 글리세린1-2중량부, 프락토올리고당 0.4-1중량부, 구아검 0.1-0.4중량부, 및 무수결정포도당 0.1-0.3중량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이 선택될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 구연산 0.01-0.05중량부가 선택될 수 있다.
정제수와 후각자극 천연추출물을 배합한 혼합물 73-82중량부가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수와 후각자극 천연추출물을 배합한 혼합물은, 무기염류가 모두 제거한 탈이온수 43-77.07중량부를 포함하고, 개다래추출물 10-15중량부, 개다래충영추출물 5-10, 분홍괴불나무추출물 5-10, 생강추출물 3-10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은 고양이용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 강아지용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 어린이용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 등에 적용 가능하며, 위의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용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은,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 97-99중량부, 고양이 후각자극 천연혼합물인 개박하 (캣닢)혼합물 0.8-2중량부, 및 설령쥐오줌풀혼합물 0.2-1.5중량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아지용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은,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 97-99중량부를 포함하고, 강아지 후각자극 천연 추출물인 라벤더오일 0.7-1.8중량부, 바닐라오일 0.1-0.5중량부, 코코넛오일 0.1-0.3중량부, 및 설령쥐오줌풀혼합물 0.1-0.9 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다래추출물과 개다래충영추출물에는 마타타비락톤(Matatabi-Lactone)이 함유되어 있어 고양이 대뇌를 가볍게 마비시켜 살짝 졸리거나 나른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마타타비락톤은 고양이들이 매우 좋아하고 반응하는 물질인 이리도미르메친, 이이리도미르메친, 디히드로네페타락돈, 이소디히드로네페타락톤 등의 성분들이 혼합되어 있어 고양이를 흥분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박하(캣닢)혼합물은 제주도에서 재배한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에 속하는 개박하의 잎과 줄기를 열풍건조 후 증류기로 추출한 에센셜 오일 및 하이드로졸의 혼합물을 말한다. 해당 혼합물에 함유되어 있는 네페탈락톤(Nepetalactone)성분이 고양이 후각을 자극하여 흥분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령쥐오줌풀혼합물은 제주도에서 재배한 마타릿과의 여러해살이풀에 속하는 쥐오줌풀의 잎과 뿌리를 열풍건조 후 증류기로 추출한 에센셜 오일 및 하이드로졸의 혼합물을 말한다. 해당 추출물과 분홍괴불나무추출물에는 액티니딘(Actinidine)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고양이 뇌의 충추신경을 자극시켜 기분이 좋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악티니딘이라는 물질은 마타타비락톤보다 고양이를 흥분시키는 작용이 더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생강추출물, 라벤더오일, 바닐라오일, 코코넛오일의 향은 강아지 후각을 자극하여 스트레스 해소를 하는 효과가 있다. 다만 해당 원료들은 강아지에게 사용해도 안전한 용량으로 희석하여 적용되어야 한다. 해당 원료들 외에 강아지들이 좋아하는 고구마, 육류 등의 식향이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에 첨가될 수 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기재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기재는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에 관한 일 실시예에 해당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및 효과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고양이용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 제조
(1) 실시예 1-1
정제수(탈이온수) 49.59mL에 개다래추출물 15mL, 개다래충영추출물 5mL, 분홍괴불나무추출물 5mL를 순차적으로 넣고 교반기에서 1,000rpm 으로 5분간 믹싱한 뒤 계면활성제인 식용 레시틴 3g, 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 10g, 포타슘코코에이트 7g을 순차적으로 넣고 증점제 역할의 식물성 글리세린 1.8g, 구아검 0.1g, 감미료 역할의 프락토올리고당 0.5g, PH 조정제 역할의 구연산 0.01g을 넣은 뒤 균일하게 혼합하여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개박하(캣닢)오일 1.5g 과 설령쥐오줌풀오일 1.5g을 각 물질의 하이드로졸과 8:2의 비율로 희석한 혼합물을 서로 혼합한 뒤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배합하여 고양이용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 실시예 1-2
정제수(탈이온수) 43mL에 개다래추출물 10mL, 개다래충영추출물 10mL, 분홍괴불나무추출물 10mL를 순차적으로 넣고 교반기에서 1,000rpm 으로 5분간 믹싱한 뒤 계면활성제인 데실글루코사이드 5g, 라우릴글루코사이드 5g, 식용 레시틴 1.5g, 소듐코코일알라네이트 1g, 포타슘코코에이트 8.5g을 순차적으로 넣고 증점제 역할의 식물성 글리세린 2g, 구아검 0.29g, 감미료 역할의 프락토올리고당 1g, 무수결정포도당 0.1g, PH 조정제 역할의 구연산 0.01g을 넣은 뒤 균일하게 혼합하여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개박하(캣닢)오일 2g 과 설령쥐오줌풀(발레리안 루트)오일 0.6g을 각 물질의 하이드로졸과 8:2의 비율로 희석한 혼합물을 서로 혼합한 뒤 상기 비눗방울 베이스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배합하여 고양이 비눗방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3) 실시예 1-3
정제수(탈이온수) 48.67mL에 개다래추출물 15mL, 개다래충영추출물 10mL, 분홍괴불나무추출물 5mL를 순차적으로 넣고 교반기에서 1,000rpm 으로 5분간 믹싱한 뒤 계면활성제인 라우릴글루코사이드 10g, 식용 레시틴 2.2g, 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 5g, 알킬굴루코사이드 2g을 순차적으로 넣고 증점제 역할의 식물성 글리세린 2g, 구아검 0.1g, PH 조정제 역할의 구연산 0.03g을 넣은 뒤 균일하게 혼합하여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개박하(캣닢)오일 0.8g 과 설령쥐오줌풀(발레리안 루트)오일 0.2g을 각 물질의 하이드로졸과 8:2의 비율로 희석한 혼합물을 서로 혼합한 뒤 상기 비눗방울 베이스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배합하여 고양이 비눗방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강아지용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 제조
(1) 실시예 2-1
정제수(탈이온수) 77.07mL에 생강추출물 3mL을 넣고 교반기에서 1,000rpm 으로 5분간 믹싱한 뒤 계면활성제인 식용 레시틴 1g, 소듐코코일알라네이트 3g, 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 5g, 알킬굴루코사이드 1g, 포타슘코코에이트 6.5g을 순차적으로 넣고 증점제 역할의 식물성 글리세린 1.5g, 구아검 0.4g, PH 조정제 역할의 구연산 0.03g을 넣은 뒤 균일하게 혼합하여 비눗방울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라벤더오일 1g, 바닐라오일 0.5g을 혼합한 뒤 상기 비눗방울 베이스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배합하여 강아지 비눗방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 실시예 2-2
정제수(탈이온수) 77mL에 생강추출물 5mL을 넣고 교반기에서 1,000rpm 으로 5분간 믹싱한 뒤 계면활성제인 식용 레시틴 1g, 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 10g, 포타슘코코에이트 4g을 순차적으로 넣고 증점제 역할의 식물성 글리세린 1.45g, 구아검 0.1g, 감미료 역할의 플락토올리고당 0.4g, PH 조정제 역할의 구연산 0.05g을 넣은 뒤 균일하게 혼합하여 비눗방울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라벤더오일 0.7g, 바닐라오일 0.1g, 코코넛 일 0.1g, 설령쥐오줌풀(발레리안 루트)오일 0.1g을 추출된 하이드로졸과 8:2의 비율로 희석한 혼합물을 서로 혼합한 뒤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배합하여 강아지용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3) 실시예 2-3
정제수(탈이온수) 69mL에 생강추출물 10mL을 넣고 교반기에서 1,000rpm 으로 5분간 믹싱한 뒤 계면활성제인 데실글루코사이드 2g, 라우릴글루코사이드 8g, 식용 레시틴 1.2g, 알킬글루코사이드 1.15g, 포타슘코코에이트 4g을 순차적으로 넣고 증점제 역할의 식물성 글리세린 1g, 구아검 0.3g, 감미료 역할의 무수결정포도당 0.3g, PH 조정제 역할의 구연산 0.05g을 넣은 뒤 균일하게 혼합하여 비눗방울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라벤더오일 1.8g, 코코넛오일 0.3g, 설령쥐오줌풀(발레리안 루트)오일 0.9g을 추출된 하이드로졸과 8:2의 비율로 희석한 혼합물을 서로 혼합한 뒤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배합하여 강아지용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의 혼합비 및 효과에 관한 표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용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 및 강아지용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의 혼합비 및 유효 효과가 묘사되어 있다.
도 6은 정제수 및 후각자극 천연추출물의 혼합비 및 효과에 관한 표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수와 후각자극 천연추출물의 혼합비 및 유효 효과가 묘사되어 있다.
도 7은 고양이 후각자극 천연추출물의 혼합비 및 효과에 관한 표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양이용 비눗방울 조성물에 사용된 고양이 후각자극 천연추출물의 혼합비 및 유효 효과가 묘사되어 있다.
도 8은 강아지 후각자극 천연추출물의 혼합비 및 효과에 관한 표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강아지용 비눗방울 조성물에 사용된 강아지 후각자극 천연추출물의 혼합비 및 유효 효과가 묘사되어 있다.
비눗방울이 잘 형성이 되려면 조성물의 표면장력이 낮아야 하고 형성된 비눗방울이 터지지 않고 일정시간을 유지하려면 조성물의 점탄성이 높아야 한다. 고양이 및 강아지 후각자극 천연혼합물에 사용된 개박하오일과 설령쥐오줌풀오일은 종래 기술의 비눗방울액과 혼합 시, 물과 기름을 혼합할 때처럼 배합이 잘 되지 않고, 물질 간에 서로 분리가 되어 액상의 표면장력이 일정하지 않게 된다. 또한 해당 물질들을 잘 배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화제를 사용하게 될 경우 용액의 점탄성이 일정하지 않게 되어 비눗방울이 생성되어도, 비눗방울이 쉽게 터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후각자극 천연혼합물과 강아지 후각자극 천연혼합물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과 잘 배합되어 균일한 표면장력과 점탄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후각자극 천연혼합물에 포함될 오일이 추출되고, 추출된 오일이 희석되고, 희석된 오일이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과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개박하(캣닢)추출물은 제주도에서 재배한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에 속하는 개박하의 잎과 줄기를 40-45˚C의 온도의 열풍건조기에 4 내지 5시간 살청하여 수분기가 58-60% 남아있도록 건조한 뒤 유분리기가 장착되어 있는 수증기 증류기의 찜통에 넣고 건조된 내용물의 중량에 따라 60-100˚C 로 2 내지 3시간 가열한다. 증류된 내용물은 오일 부분과 하이드로졸(워터추출물)을 분리한 뒤 여과한 오일을 48시간 숙성한다. 이 후 숙성된 오일에 여과한 하이드로졸을 8:2 의 비율로 실온에서 혼합하여 희석시킨 원액을 만든다.
설령쥐오줌풀(valeriana)혼합물을 구성하는 설령쥐오줌풀오일 및 설령쥐오줌풀하이드로졸은 쥐오줌풀에서 추출될 수 있다. 쥐오줌풀은 마타릿과의 여러해살이풀에 속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설령쥐오줌풀은, 제주도에서 재배된 쥐오줌풀의 잎과 뿌리 부분이 이용될 수 있다. 쥐오줌풀의 잎과 뿌리는, 40-45˚C의 온도의 열풍건조기에서 4 내지 5시간 살청하여 수분기가 50-55% 남아있도록 건조된 뒤, 유분리기가 장착되어 있는 수증기 증류기의 찜통에 넣어지고, 그리고 건조된 내용물의 중량에 따라 60-100˚C 범위에서 4 내지 5시간 가열될 수 있다.
증류된 내용물은 오일 부분과 하이드로졸(hydrosol)(플로럴워터)로 분리된 뒤 여과된 오일은 48시간 숙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숙성된 오일과 여과된 하이드로졸이 8:2 의 비율로 실온에서 혼합되고, 희석된 천연혼합물의 원액이 제조된다.
하기 실험예 1과 도 9에서 보여진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희석된 천연혼합물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과 혼합 시 분리현상 없어 균일한 표면장력과 점탄성을 가지게 되여 비눗방울이 잘 생성이 되면서 유지력 또한 종래 기술의 비눗방울액과 동일하거나 더 좋은 결과가 나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1]
위의 실시예들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과 종래 기술의 비눗방울액의 유지력을 비교하는 실험이 수행되었다. 실험은 공산품인 종래 기술의 비눗방울액에 주로 포함된 소듐라우릴설페이트 (SLS 계면활성제) 20g과 금속 촉매 역할을 하는 다이소듐 EDTA 1g, 글리세린 1g을 증류수 78mL 와 혼합하여 비교예 1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1 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동일한 비눗방울 불대로 불어서 비눗방울을 생성 한 뒤, 직후 발생된 비눗방울 갯수를 확인 한 뒤 30초, 60 초 후 비눗방울 갯수와 비교하였다.
도 9에서 나타난 봐와 같이 고양이용 비눗방울에 적용될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고양이용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에 의한, 불대로 생성된 비눗방울의 생성직후의 갯수는 실시예 1-2가 36개로 월등이 많았으나 유지력은 실시예 1-3이 30초 후 18개, 60초 후 9개로 비교적 오랫동안 버블을 형성하고 있어 고양이용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로 사용하기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강아지용 비눗방울에 적용될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조성물에 의한, 불대로 생성된 비눗방울의 생성직후의 갯수는 실시예 2-3이 30개로 많았으나 유지력은 실시예 2-2가 30초 후 15개, 60초 후 3개로 강아지용 비눗방울 조성물로 사용하기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험예 2]
종래 기술의 비눗방울액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에 따른 고양이용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에 대한 고양이들의 반응을 살펴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이 실시되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에 대한 중성화된 고양이 45마리(암컷 25마리와 수컷 20마리)의 행동반응이 관찰되었다.
도 10을 참조하면, 고양이의 행동반응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흥분함”은 몸을 비비거나 채터링(입을 빠르게 떨면서 소리를 내는 행동)을 하는 행동반응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적응후 반응함”은 고양이가 주변을 돌다가 몸을 비비거나 가르릉, 골골등의 소리(purring)를 내는 행동반응으로 정의될 수 있다.
“호기심”은 고양이가 눈을 크게 뜨고 비눗방울이 내려오는 것을 지켜보거나 앞발로 터트리는 행동반응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반응 없음”은 별다른 특이한 행동이 없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고, “부정적 반응”은 하악질을 하거나 숨어버리는 행동반응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비눗방울액에 의한 비눗방울에는 대다수의 고양이들이 부정적인 반응을 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1 과 실시예 1-2에서 흥분함, 적응 후 반응, 호기심 등의 긍정적인 반응이 비교예 1 혹은 실시예 1-3 보다 더 많이 보여졌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후각자극 천연혼합물이 비눗방을 베이스 조성물과 적절하게 배합되여 사용될 시 고양이들이 더 긍정적인 반응을 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3]
본 발명의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에 따른 강아지용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과 종래 기술의 비눗방울액에 의한 비눗방울에 대한 강아지들의 반응을 비교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이 실시되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에 의한 비눗방울에 대한 중성화된 강아지 45마리(암컷 18마리 및 수컷 27마리)의 행동반응이 관찰되었다.
도 11을 참조하면, 강아지의 반응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흥분함”은 비눗방울을 잡으려는 듯 몸을 뛰어 오르는 행동과 꼬리를 격하게 흔드는 행동반응으로 정의될 수 있다. “호기심(긍정적 입질)”은 비눗방울을 입으로 터트리며 가지고 노는 듯한 행동 혹은 비눗방울 따라다니는 행동반응으로 정의될 수 있다. “노즈워크”는 비눗방울 터진 자리에 코로 킁킁거리는 행동반응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반응없음”은 쳐다보기만 할 뿐 별다른 행동이 없는 경우의 행동반응으로 정의될 수 있다. “부정적 반응”은 자리를 뜨거나 으르렁거리는 행동반응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일반 비눗방울액에 의한 비눗방울에는 약간의 시각적인 반응은 있었으나 후각적 행동반응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에 따른 조성물에 의한 비눗방울에는 모두 시각적 및 후각적 반응이 있었으며 부정적인 반응보다 긍정적인 반응이 월등이 많이 나타났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강아지 후각자극 추출물이 비눗방울 베이스와 적절하게 배합되여 사용될 시 강아지의 시각은 물론 후각을 자극하는 장난감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될 수 있었다. 또한 반려동물들이 비눗방울을 입으로 터트리는 행동을 자주 하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식용 가능한 물질을 이용하여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을 구성해야 하는 이유가, 반려동물의 건강유지 면에서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고,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서는 안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물추출물 중의 에센셜 오일과 계면활성제가 원활히 배합되어 유효공기방울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강아지의 행동유발 및 고양이의 행동유발 각각에 적합한 물질을 이용하여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이 식용으로 적합하여, 반려동물의 건강에 유해하지 않다.
또한, 강아지가 선호하는 향취 및 고양이가 선호하는 향취의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이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Claims (9)

  1. 고양이용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로서,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 97-99중량부;
    개박하(catnip)혼합물 0.8-2중량부; 및
    설령쥐오줌풀(valeriana)혼합물 0.2-1.5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15-21중량부, 증점제, 및 감미료 0.3-2중량부, PH조정제 0.01-0.05중량부, 및 정제수와 후각자극 천연추출물의 혼합물 73-82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제수와 후각자극 천연추출물의 혼합물은, 무기염류가 제거된 탈이온수 43-77.07중량부; 및
    개다래추출물 10-15중량부, 개다래충영추출물 5-10중량부, 분홍괴불나무추출물 5-10중량부, 및 생강추출물 3-10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개박하혼합물은, 개박하에서 추출된 물질에서 오일과 하이드로졸이 분리되고, 상기 오일이 숙성된 후, 숙성된 상기 오일과 상기 하이드로졸의 혼합을 통해 생성되고,
    상기 설령쥐오줌풀혼합물은 설령쥐오줌풀에서 추출된 물질에서 오일과 하이드로졸이 분리되고, 상기 오일이 숙성되고, 그리고 숙성된 상기 오일과 상기 하이드로졸의 혼합을 통해 생성되고,
    상기 개박하혼합물 및 상기 설령쥐오줌풀혼합물에서, 각각의 상기 하이드로졸 및 상기 오일은 8:2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
  2. 강아지용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로서,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 97-99중량부를 포함하고,
    라벤더오일(lavender oil) 0.7-1.8중량부;
    바닐라오일(vanilla oil) 0.1-0.5중량부;
    코코넛오일(coconut oil) 0.1-0.3중량부; 및
    설령쥐오줌풀혼합물 0.1-0.9 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눗방울 베이스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15-21중량부, 증점제, 및 감미료 0.3-2중량부, PH조정제 0.01-0.05중량부, 및 정제수와 후각자극 천연추출물의 혼합물 73-82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제수와 후각자극 천연추출물의 혼합물은,
    무기염류가 제거된 탈이온수 43-77.07중량부; 및
    개다래추출물 10-15중량부, 개다래충영추출물 5-10중량부, 분홍괴불나무추출물 5-10중량부, 및 생강추출물 3-10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설령쥐오줌풀혼합물은, 상기 설령쥐오줌풀에서 추출된 물질에서 오일과 하이드로졸이 분리되고, 상기 오일이 숙성된 후, 숙성된 상기 오일과 상기 하이드로졸의 혼합을 통해 생성되고,
    상기 설령쥐오줌풀혼합물에서, 상기 하이드로졸 및 상기 오일은 8:2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데실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 2-5중량부, 라우릴글루코사이드(lauryl glucoside) 5-8중량부, 식용 레시틴(lecithin) 1-3중량부, 소듐코코일알라니네이트(sodium cocoyl alaninate) 1-3중량부, 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sodium cocoyl apple amino acids)(애플워시) 5-10중량부, 알킬글루코사이드(alkyl glucoside) 1-2중량부, 및 포타슘코코에이트(potassium cocoate) 4-8.5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식물성 글리세린(glycerin) 1-2중량부 및 구아검 0.1-0.4중량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감미료는 프락토올리고당(fructooligosaccharides) 0.4-1중량부 및 무수결정포도당(dextrose anhydrous) 0.1-0.3중량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PH조정제는,
    구연산(citric acid) 0.01-0.0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20031352A 2022-03-14 2022-03-14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 KR102420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352A KR102420374B1 (ko) 2022-03-14 2022-03-14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352A KR102420374B1 (ko) 2022-03-14 2022-03-14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374B1 true KR102420374B1 (ko) 2022-07-13

Family

ID=82401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352A KR102420374B1 (ko) 2022-03-14 2022-03-14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3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6637B1 (ko) 1997-08-13 1999-09-01 박인배 식품용 유화제를 이용한 식용 방울 조성물
KR101511869B1 (ko) 2013-11-27 2015-04-13 허승호 비눗방울 블로워 타입 비눗방울 놀이기구용 비눗방울액 조성물
JP2019526281A (ja) * 2016-08-24 2019-09-19 ダット・キュー・トランDat Q. TRAN 食用泡溶液のための形成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6637B1 (ko) 1997-08-13 1999-09-01 박인배 식품용 유화제를 이용한 식용 방울 조성물
KR101511869B1 (ko) 2013-11-27 2015-04-13 허승호 비눗방울 블로워 타입 비눗방울 놀이기구용 비눗방울액 조성물
JP2019526281A (ja) * 2016-08-24 2019-09-19 ダット・キュー・トランDat Q. TRAN 食用泡溶液のための形成物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hnathan Binks et al. The behavioural effects of olfactory stimulation on dogs at a rescue shelter. Applied Animal Behaviour Science 202(2018) 69-76. 2018년 1월 31일. 1부.* *
와디즈 펀딩. [마따따비 비눗방울] 버블이 팡팡~신개념 고양이 장난감. 2021년 8월 27일. [online], 인터넷:<URL:https://www.wadiz.kr/web/campaign/detail/115727> 1부.* *
한겨레. 고양이는 왜 캣닙에 취할까. 2019년 1월 3일. [online], 인터넷:<URL:https://www.hani.co.kr/arti/animalpeople/companion_animal/876814.html>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ber et al. Edible larvae and pupae of honey bee (Apis mellifera): Odor and nutritional characterization as a function of diet
Terranova et al. Ontogeny of amicable social behavior in the mouse: gender differences and ongoing isolation outcomes
Lansade et al. Effects of neonatal handling on subsequent manageability, reactivity and learning ability of foals
KR20160016926A (ko) 사료 보충제 및 이의 용도
US20230276796A1 (en) Method for promoting targeted pollination of pear tree crops in honey bees
CN111093384A (zh) 促进蜜蜂对扁桃树作物靶向授粉的制剂
Mugford et al. Paternal stimulation during infancy: Effects upon aggression and open-field performance of mice.
WO2013003946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ttracting and stimulating feeding by mice and rats
KR102420374B1 (ko) 비눗방울 제조용 조성물
CN106305773A (zh) 一种诱蚊剂
Tixier et al. Development of feeding selectivity in roe deer
CN109907047B (zh) 一种西瓜香味诱蚊剂及其制作方法
CN105251030A (zh) 一种用于宠物生活环境的可食用的祛味消毒剂及其制备方法
McIntyre et al. An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 of different protein and energy intakes on model tail chewing behaviour of growing pigs
ES2915273T3 (es) Composición atrayente de abejas y tranquilizante de abejas y métodos de uso de la misma en entornos agrícolas, hortícolas y apícolas
BR112020012035A2 (pt) composições de feromônio para estimular o início precoce do estro e reduzir necessidades de parto na reprodução dos suídeos peripubertários e métodos de uso
CN108208034A (zh) 一种杀虫和肥效一体的生物杀虫剂及其制备方法
DE602005003320T2 (de) Einen geruchsstoff enthaltender futterzusatz für tiere
Udomprasert et al. Effect of an exogenous emulsifier on growth performance in weanling pigs
Robbins Domestic cats: their history, breeds and other facts
WO2011010070A2 (fr) Procede insectiside et/ou repulsif
RO128687B1 (ro) Procedeu de obţinere a unei compoziţii pentru stimularea polenizării culturilor agricole şi metodă de aplicare a acesteia
CN109832270B (zh) 一种酸奶味诱蚊剂及其制作方法
Jean et al. Paleo Dog: Give Your Best Friend a Long Life, Healthy Weight, and Freedom from Illness by Nurturing His Inner Wolf
JP2881681B2 (ja) 香および小動物の鎮静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