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172B1 -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172B1
KR102420172B1 KR1020210164992A KR20210164992A KR102420172B1 KR 102420172 B1 KR102420172 B1 KR 102420172B1 KR 1020210164992 A KR1020210164992 A KR 1020210164992A KR 20210164992 A KR20210164992 A KR 20210164992A KR 102420172 B1 KR102420172 B1 KR 102420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plate
container
guide member
gr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8053A (ko
Inventor
조현대
손홍석
김다슬
김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164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172B1/ko
Publication of KR20210148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8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 B30B11/0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co-operating with a fixed moul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45D40/0075Jars with dispen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8Accessory tools, e.g. knives; Mountin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04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with spring botto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6Refill sticks; Moulding devices for producing st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 및 이의 화장료가 충전된 고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면을 그라인딩하여 사용되는 고형상 화장료를 화장품 용기의 내용기의 내측면과 밀착되지 않고 여분공간을 갖도록 충전하여 고화시킴으로써, 화장료가 안착된 화장료 플레이트가 상하방향으로 원활하게 가이드되고, 화장품 용기의 일부분을 회전시킴에 따라 고형 화장료의 상면이 원활하게 절삭되어 일정량씩 토출되도록 하는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 및 이의 화장료가 충전된 고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 화장품 용기를 사용함으로써, 화장료를 퍼프에 묻히는 것이 용이하고, 화장료의 상부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보관 및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고형의 화장료 사용량의 조절이 가능하여, 화장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장료의 상부면을 평편하게 유지시키고, 화장료의 고르지 못한 긁힘 또는 찍힘을 방지하여, 추후 사용시 화장료가 정상적으로 긁히고 토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장품 용기에 고형의 화장료를 충전시킴에 있어서, 화장품 용기의 내용기에 화장료가 달라붙지 않도록 하여, 사용시에 화장료가 원활히 토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Shaping method of solid cosmetic material}
본 발명은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면을 그라인딩하여 사용되는 고형상 화장료를 화장품 용기의 내용기의 내측면과 밀착되지 않고 여분공간을 갖도록 충전하여 고화시킴으로써, 화장료가 안착된 화장료 플레이트가 상하방향으로 원활하게 가이드되고, 화장품 용기의 일부분을 회전시킴에 따라 고형 화장료의 상면이 원활하게 절삭되어 일정량씩 토출되도록 하는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크게 화장성분을 함침하고 있는 화장료와 화장료를 보관하는 화장료 용기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편리성, 안전성, 사용감, 위생성 등이 요구되며, 화장료의 제형에 따라 앞의 요구조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화장품 용기의 구성이 달라진다. 또한, 화장료는 대표적으로 고형, 액상, 또는 겔상으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화장료의 제형 및 화장료를 사용하는 방식에 따라 화장품 용기 또한 다양하게 제조되고 있다.
종래의 고형 화장품 용기는 내용기에 형성된 고형의 화장료를 퍼프를 이용하여 퍼프에 묻힌 뒤 피부에 도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허나, 이는 퍼프를 반복적으로 터치하여 화장료를 퍼프에 묻혀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고, 화장료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구비되므로 장기간 보관 및 위생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형의 화장료 사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화장료의 낭비를 방지하기 어렵고, 일정량 또는 소량씩 사용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다.
또한, 고형 화장료는 파우더를 압축하거나, 또는 파우더를 반죽하여 단단하게 만든 것을 사용하므로, 종래의 화장품 용기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나, 왁스가 포함된 고형타입의 화장료는 외부의 힘에 의하여 화장품 용기의 내용기로부터 탈락하기 쉬우므로, 왁스가 포함된 고형타입의 화장료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등록실용신안 제20-0404009호에는 파우더 용기 내에서 일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고형분의 화장료를 긁어내어 사용할 수 있는 파우더 용기가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톱니를 형성하여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톱니의 움직임에 따라 화장료가 단턱지게 긁힘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화장료의 표면이 균일하지 않게 되면, 추후 일방향으로 회전시에 화장료 상부면의 불균일한 표면으로 인하여 원하는 양만큼의 화장료가 토출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왁스가 포함된 고형타입의 화장료를 화장품 용기에 충전하는 방식은 화장료 벌크를 고온에서 용융하여 액체로 만들고, 이를 화장료 내용기에 넣어 굳히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굳히는 과정에서 내용기 벽면에 화장료가 달라붙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화장료는 화장품 용기의 내용기 벽면을 따라 상부로 이동이 용이하지 않게 되고, 회전 그라인더의 회전에 대응되어 화장료가 상부로 이동하지 못함으로써, 회전 그라인더는 헛돌게 되고, 결국 화장료를 토출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400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장품 용기에 고형의 화장료를 충전시켜 고화함에 있어서, 충전가이드부재를 이용하여 내용기 내측면과 고화된 화장료의 측면사이에 여분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화장품 용기의 내용기에 화장료가 달라붙지 않고 원활히 토출되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라인더의 회전에 따라 화장료 상부면이 절삭됨으로써 그 표면을 평편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절삭과정에서 외측으로 밀린 화장료 일부가 여분공간에 안착될 수도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화장료 상부면을 더욱 매끈하게 유지하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절삭이 용이하도록 절삭날을 구성함으로써 화장료의 고르지 못한 긁힘 또는 찍힘을 방지하고, 추후 사용시 화장료가 정상적으로 긁히고 토출되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장료 플레이트의 작동과정에서도 평형이 유지되도록 구성하여 화장료 상부면이 고르게 절삭되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일정량의 화장료가 토출되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토출된 화장료를 퍼프에 묻히는 것이 용이하고, 화장료의 상부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보관 및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은,
(a) 화장료가 투입될 화장품 내용기(10) 준비단계;
(b) 상기 화장품 내용기(10)의 내부에 구비된 화장료 플레이트(30)에 충전가이드부재(70)를 거치하는 단계;
(c) 상기 충전가이드부재(70)내에 화장료를 충전하여 고화하는 단계; 및
(d) 상기 충전가이드부재(70)를 상방향으로 제거하여 상기 화장품 내용기(10)의 내측면과 고화된 화장료의 측면사이에 상기 충전가이드부재(70)의 두께만큼의 여분공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충전가이드부재(7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상하통공의 중공의 통형상 구조를 가지며, 화장료의 절삭과정에서 밀린 화장료는 상기 여분공간으로 낙하하여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에서,
상기 충전가이드부재(70)를 거치하는 단계는,
(b-1) 상기 화장료 플레이트(30)에 플레이트 축(20)을 나사결합하는 단계;
(b-2) 상기 화장품 내용기(10)의 바닥에 상기 플레이트 축(20)과 결합된 화장료 플레이트(30)를 거치시키는 단계; 및
(b-3) 상기 화장료 플레이트(30)의 상부 테두리와 화장품 내용기(1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충전가이드부재(70)를 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에서,
상기 (b-2) 단계는,
상기 화장품 내용기(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가이드에 화장료 플레이트(30)의 외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이 구속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에서,
상기 충전가이드부재(70)는, 상부에 외측으로 플랜지가 형성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상하통공의 중공의 통형상 구조로서, 상기 화장품 내용기(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에서,
상기 충전가이드부재(70)는, 상기 화장료와 맞닿는 내측면이 아노다이징 처리 또는 실리콘 이형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에서,
상기 여분공간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가이드부재(70)를 제거하여 화장품 내용기(10)의 내측면과 화장료의 측면 사이에 상기 충전가이드부재(70)의 두께만큼의 여분공간(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에서,
상기 여분공간에는, 상기 화장료의 절삭과정에서 밀린 화장료 또는 상기 그라인더(40)의 평평한 저면에 의해 밀린 화장료가 낙하하여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에서,
상기 화장품 내용기(10)의 상부에 그라인더(40)를 결합하되, 상기 그라인더(40)가 플레이트 축(20)과 끼움결합되고, 상기 그라인더(40)의 저면이 화장료의 상면에 거치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형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 내용기(10);
상기 화장품 내용기(10)의 내측 바닥면에 거치되는 플레이트 축(20);
상기 플레이트 축(20)과 결합하여 구비되며, 화장료(p)가 안착되는 화장료 플레이트(30); 및
상기 플레이트 축(20)을 회동시켜 상기 화장료 플레이트(3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결합되되, 회전하면서 상기 화장료(p)의 상부면을 절삭하도록 거치되는 그라인더(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 축(20)은, 중심부에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봉(22)을 구비한 회전판(21)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봉(22)에는 단면이 다각형인 축봉 관통홀(22a)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축봉 관통홀(22a)에 상기 그라인더(40)의 샤프트(44)가 끼움되어 상기 그라인더(40)의 회전에 따라 플레이트 축(20)이 회동하면서 플레이트 축(20)에 나사결합한 상기 화장료 플레이트(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화장품 내용기(10)의 내측면과 상기 화장료 플레이트(30)에 안착되어 고화된 화장료의 측면사이에는 화장료의 절삭과정에서 밀린 화장료가 낙하하여 안착되는 여분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고형의 화장료를 충전시켜 고화함에 있어서, 충전가이드부재를 이용하여 내용기 내측면과 고화된 화장료의 측면사이에 여분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화장품 용기의 내용기에 화장료가 달라붙지 않고 원활히 토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라인더의 회전에 따라 화장료 상부면이 절삭됨으로써 그 표면을 평편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절삭과정에서 외측으로 밀린 화장료 일부가 여분공간에 안착될 수도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화장료 상부면을 더욱 매끈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회전절삭이 용이하도록 절삭날을 구성함으로써 화장료의 고르지 못한 긁힘 또는 찍힘을 방지하고, 추후 사용시 화장료가 정상적으로 긁히고 토출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화장료 플레이트의 작동과정에서도 평형이 유지되도록 구성하여 화장료 상부면이 고르게 절삭되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일정량의 화장료가 토출되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토출된 화장료를 퍼프에 묻히는 것이 용이하고, 화장료의 상부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보관 및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그리고, 파우더를 압축하거나 또는 파우더를 반죽하여 단단하게 만든 고형 화장료뿐만 아니라, 왁스가 포함된 고형타입의 화장료에 적용가능한 효과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가이드부재 및 화장료 성형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형상 화장료가 안착된 화장품 용기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형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축과 화장료 플레이트의 작동도.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더의 단면도.
도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홈, 하방향 끝단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구성된 절삭날이 도시된 그라인더의 부분단면도, 도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홈, 하방향 끝단이 수직하게 연장되되, 45도 각도를 가지는 직각삼각형 형태인 절삭날이 도시된 그라인더의 부분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형유지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형유지수단의 작동도.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형유지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형유지수단의 플레이트 축과 기어봉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가이드부재 및 화장료 성형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형상 화장료가 안착된 화장품 용기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형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축과 화장료 플레이트의 작동도,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더의 단면도, 도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출홈, 하방향 끝단이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구성된 절삭날이 도시된 그라인더의 부분단면도, 도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홈, 하방향 끝단이 수직하게 연장되되, 45도 각도를 가지는 직각삼각형 형태인 절삭날이 도시된 그라인더의 부분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형유지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형유지수단의 작동도,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형유지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형유지수단의 플레이트 축과 기어봉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상 화장료를 화장품 용기의 화장품 내용기(10)에 화장료(p)를 충전하고 고화시켜 성형하는 방법은 다음의 공정단계로 수행된다.
(A1) 화장료 준비단계
화장료(p)는, 파우더 분말상 또는 왁스가 포함된 용융된 액상 형태의 화장료 등으로 준비한다.
이는 화장료 성형단계에서 화장품 용기내에 파우더 분말상 화장료 또는 왁스가 포함된 액상 화장료를 충전하여 고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파우더 분말을 압축하거나 또는 파우더를 반죽하여 단단하게 고형상 화장료로 성형하거나, 또는 왁스가 포함된 액상 화장료를 충전후 고화시켜 고형타입의 화장료로 성형한다.
(A2) 화장료가 투입될 화장품 내용기 준비단계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가 충전되고 고화되는 화장품 용기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고형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 내용기(10), 화장품 내용기(10)의 내측 바닥면에 거치되는 플레이트 축(20), 플레이트 축(20)과 결합하여 구비되며, 화장료(p)가 안착되는 화장료 플레이트(30), 및 플레이트 축(20)을 회동시켜 화장료 플레이트(3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결합되되, 회전하면서 화장료(p)의 상부면을 절삭하도록 거치되는 그라인더(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화장품 내용기(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화장료(p)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구비된 형상으로, 측면은 제1측면부(11)와 제2측면부(12)가 단차를 두고 내부에서 외부로 순차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2측면부(12)의 외측 상부테두리에는 환돌기(13)가 형성되며 환돌기(13)의 하부 일정위치에는 플랜지형 받침대(14)가 구비된다.
또한, 화장품 내용기(10)의 제1측면부(11)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제1돌출가이드(11a)가 상하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는 후술하는 플레이트 축(20)과 결합된 화장료 플레이트(30)가 회전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그리고 수용부의 바닥면 중앙에는 임의의 높이를 가진 가이드벽(15)이 소정 크기의 내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벽(15)의 내측면에도 상하방향으로 제2돌출가이드(15a)가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 축(20)은, 화장품 내용기(10)의 내측 바닥면에 거치되는 것으로, 소정 크기를 가진 회전판(21)과 회전판(21)의 중심부에 90도 각도로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봉(22)으로 구성된다. 회전축봉(22)에는 단면이 다각형인 축봉 관통홀(22a)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축봉 관통홀(22a)에는 후술하는 그라인더(40)의 샤프트(44)가 끼움되어 그라인더(40)의 회전에 따라 플레이트 축(20)이 회동되도록 한다.
또한, 플레이트 축(20)의 회전축봉(22)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화장료 플레이트(30)는, 화장료(p)가 안착되며, 플레이트 축(20)과 나사결합하여 플레이트 축(20)의 회동에 따라 상하이동하는 것으로, 화장료(p)가 안착되는 플레이트 상면부(31), 플레이트 상면부(31)의 테두리에서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일정크기의 높이를 갖는 플레이트 측면부(32), 플레이트 상면부(31)의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 관통홀과 연통되도록 하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축결합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축결합부(33)에는 상술한 플레이트 축(20)의 회전축봉(22)이 나사결합하여, 화장료 플레이트(30)는 그라인더(40)의 회전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하는 회전축봉(22)에 의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상하 병진운동을 하게 된다.
플레이트 측면부(32)의 외측면에는 화장품 내용기(10)의 제1측면부(11)의 내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1돌출가이드(11a)에 구속되어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되는 다수개의 제1가이드 홈(32a)이 다수개의 제1돌출가이드(11a)와 대응되게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화장료 플레이트(30)의 하부에는 축결합부(33)를 기준으로 소정 크기의 높이를 가진 가이드홈벽(35)이 환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홈벽(35)은 플레이트 상면부(31)가 받는 하중을 분산시켜 지탱력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홈벽(35)의 외측면에는 화장품 내용기(10) 바닥면에 형성된 가이드벽(15)의 제2돌출가이드(15a)에 구속되어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되는 다수개의 제2가이드홈(35a)이 다수개의 제2돌출가이드(15a)와 대응되게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홈벽(35)은 화장품 내용기(10) 바닥면에 형성된 가이드벽(15)의 내직경보다 약간 작거나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이드홈벽(35)과 가이드벽(15)의 높이는 화장료 플레이트(30)의 플레이트 측면부(32)의 높이보다 약간 작거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화장품 내용기(10)의 바닥면과 화장료 플레이트(30) 사이의 빈공간이 늘어나 화장료(p)가 안치되는 화장료 플레이트(30)의 상부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화장료 플레이트(30)의 상부에 안치되는 화장료(p)의 하중에 의하여 화장료 플레이트(30)의 중앙부분이 하부로 휘어져 플레이트 측면부(32)에 형성된 제1돌출가이드(11a)가 화장품 내용기(10)의 제1가이드 홈(32a)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축결합부(33)에 나사결합된 플레이트 축(20)의 회전축봉(22)의 나사결합이 어긋나 상하방향으로의 수직 가이드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가이드홈벽(35)의 내직경의 크기는 플레이트 축(20)의 회전판(21)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하여, 작동 전 회전판(21)이 가이드홈벽(35)의 내직경 내에 위치되어, 회전판(21)의 하부면 위치가 가이드홈벽(35)의 저부의 위치와 같거나, 저부의 위치보다 더 위쪽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화장료 플레이트(30)의 구성에 의해, 화장료 플레이트(30)는 회전하지 않고, 플레이트 측면부(32)가 화장품 내용기(10)의 제1돌출가이드(11a)에 구속되어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되거나, 또는 플레이트 측면부(32)는 화장품 내용기(10)의 제1돌출가이드(11a)에 구속되어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되고 플레이트 상면부(31)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홈벽(35)은 화장품 내용기(10)의 가이드벽(15)에 형성된 제2돌출가이드(15a)에 구속되어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됨으로써, 안정적인 화장료(p)를 안착한 채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되어 이동될 수 있게 된다.
그라인더(40)는, 플레이트 축(20)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플레이트 축(20)에 전달하여 플레이트 축(20)을 회동시키고, 회동하는 플레이트 축(20)에 의해 화장료 플레이트(3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동시에 회전하면서 화장료(p)의 상부면을 절삭하여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테두리가 상부로 돌출되고 바닥이 평평한 웰형으로 형성되며, 바닥면에 토출홈(41a)이 다수개 형성된 그라인더 상부면(41), 그라인더 상부면(41)의 테두리로부터 하방향으로 소정크기의 높이를 갖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며, 내측면 테두리에 환형홈(42a)이 형성되는 그라인더 측면부(42), 그라인더 상부면(41)의 하부에 소정크기의 높이와 내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환형 밀봉부(43), 하부 중심부에 하부면과 일체로 형성된, 단면이 다각형인 샤프트(44)로 구성된다.
그라인더 상부면(41)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토출홈(41a)은, 바닥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중심부로부터 테두리까지 좁고 길게 형성된 관통슬릿형이며, 각 토출홈(41a)의 하부 일측 슬릿변에는 토출홈(41a)을 따라 길게 절삭날(41b)이 일정 높이로 돌출형성되어, 그라인더(40)의 회전에 따라 화장료(p)의 상면을 얇게 절삭시켜 토출홈(41a)을 통해 바닥면 상부로 토출시킨다.
이때, 토출홈(41a)의 길이는 화장료 플레이트(30)에 안착된 화장료의 반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장품 내용기(10)의 제1측면부(11)의 내측면과 화장료(p)의 측면 사이에 형성된 여분공간(C)에 절삭되거나 밀린 화장료가 안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절삭날(41b)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료(p)를 절삭하여 토출홈(41a)의 상측으로 토출하기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토출되지 않은 절삭된 화장료의 잔량이 최소화 되도록, 그 하방향 끝단이 전방향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날(41b)의 하방향 끝단이 수직하게 연장되되, 45도 각도를 가지는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예시된 것 이외에, 회전절삭이 용이하도록 절삭날(41b)의 하방향 끝단의 형태 및 각도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통해, 화장료의 고르지 못한 긁힘 또는 찍힘을 방지하고 화장료가 정상적으로 절삭되어 토출되도록 한다.
또한, 토출홈(41a) 및 절삭날(41b)은 단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이와 같은 절삭날(41b)의 높이는, 그 하방향 끝단의 기울기 등의 형태 변화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또한, 토출홈(41a) 및 절삭날(41b)이 다수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토출홈(41a-1)에 형성된 제1절삭날(41b-1)과 제2토출홈(41a-2)에 형성된 제2절삭날(41b-2)의 높이는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제2토출홈(41a-2)은 제1토출홈(41a-1)을 통해 토출되지 못한 화장료(p)가 토출되는 보조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때, 다수개의 절삭날의 높이를 순차적으로 작게 형성하거나 높낮이를 주기적으로 갖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경제적으로 화장료 사용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즉, 제2토출홈(41a-2)에 형성된 제2절삭날(41b-2)의 높이를 제1토출홈(41a-1)에 형성된 제1절삭날(41b-1)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그라인더(40)의 1회전에 의해 제2토출홈(41a-2)으로 토출되는 화장료의 양은 제1토출홈(41a-1)으로 토출되는 화장료의 양보다 적게 되므로, 그라인더(40)의 상부로 토출되는 전체 화장료의 양이 조절되고,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경제적으로 화장료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다수개의 절삭날(41b)의 높이는, 그 하방향 끝단의 기울기, 토출홈(41a) 및 절삭날(41b)의 개수, 절삭날(41b) 간의 간격 등에 따른 형태 변화에 따라서도 통일되게 또는 개별적으로 다양하게 변동될 수 있다. 왜냐하면, 그라인더(40)의 회전 각도에 따라 화장료 플레이트(3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화장료(p)의 표면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한편, 절삭날(41b)에 의해 절삭된 화장료가 토출홈(41a)을 통해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토출홈(41a)이 그라인더(40)의 회전방향에 대해 절삭날(41b)보다 선위치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환형 밀봉부(43)는 내직경의 크기가 화장품 내용기(10)의 제1측면부(11)의 외직경과 동일하도록 구성한다. 이는 환형 밀봉부(43)가 화장품 내용기(10)의 제1측면부(11)와 제2측면부(12)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하되, 제1측면부(11)의 상부 외측에 밀착되게 결합되어 화장품 내용기(10)의 제1측면부(11)의 내측면 내에 수용되어 있는 화장료(p)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샤프트(44)는 플레이트 축(20)의 회전축봉(22)의 축봉 관통홀(22a)에 끼움결합하는 것으로, 샤프트(44)의 단면의 형상은 축봉 관통홀(22a)의 단면의 형상과 동일한 다각형 형상이다.
또한, 그라인더 측면(42)의 내측면 테두리에 형성된 환형홈(42a)은 화장품 내용기(10)의 제2측면(12)의 외측 상부테두리에 형성된 환돌기(13)에 끼움결합하여, 외부에서 그라인더(40)에 가해지는 회전력에 대해 그라인더(40)가 공동의 상하 중심축을 기준으로 화장품 내용기(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원주를 따라 회전되도록 한다.
그라인더 측면(42)의 외측면에는 사용자가 잡고 회전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돌기나 홈 등의 미끄럼 방지부(42b)를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토출홈(41a)이 형성되는 그라인더 상부면(41)의 바닥면의 상부에는 토출홈(41a)을 실링하는 실링지(미도시)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그라인더(40)의 상부면에는 탈착식으로 개폐되는 덮개형 퍼프 받침대(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는 화장품 내용기(10) 내부의 화장료(p) 및 그라인더(40)의 상부면의 오염을 방지하고, 퍼프를 별도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 플레이트(30)가 작동과정에서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롤링되는 것을 방지하여 평형을 유지하도록 평형유지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는 화장료 플레이트(30)에 안착되어 있는 화장료(p)의 상부면이 고르게 절삭되어 원하는 일정량의 화장료가 토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평형유지수단은, 화장료 플레이트(30)의 하부면과 화장품 내용기(10)의 바닥면 사이에 구비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탄성체로 된 제1평형유지수단(610), 또는 다수개의 기어부가 연동되어 작동하는 구조로 된 제2평형유지수단(62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평형유지수단(61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압축된 탄성체(S)가 화장료 플레이트(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거리에 방사상으로 배열되되, 각 탄성체(S)의 전단은 화장료 플레이트(30)의 하면 일정위치에 구속되어 고정되고, 각 탄성체(S)의 후단은 화장품 내용기(10)의 바닥면의 대응 위치에 구속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때, 각 탄성체(S)는 플레이트 축(20)의 회동에 따라 화장료 플레이트(30)가 상방향으로 이동시 탄성 압축이 해제되며,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화장료 플레이트(30)의 하부면을 받히게 되므로 롤링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제2평형유지수단(6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기어부(621)가 연동되어 작동하는 구조로, 화장료 플레이트(30)의 중심부에 형성된 축결합부(33)에 결합하는, 톱니형상을 가진 회전판(210) 및 회전판(210)의 중심부에 90도 각도로 형성된 회전축봉(220)으로 구성된 플레이트 축(200), 및 플레이트 축(200)의 회전판(210)에 치합되어 회동하는 톱니형상을 가진 연동회전판(621a)과 연동회전판(621a)의 중심부에 90도 각도로 형성되되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동회전축봉(621b)으로 구성된 다수개의 기어부(621), 및 화장료 플레이트(30)의 하부면 일정위치에 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연동회전축봉(621b)과 나사결합하는 너트형의 다수개의 연동축결합부(6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화장료 플레이트(30)의 중심부에 형성된 축결합부(33)에는 상술한 플레이트 축(200)의 회전축봉(220)이 나사결합하고, 다수개의 연동축결합부(622)에는 다수개의 기어부(621)의 각 연동회전축봉(621b)이 나사결합한다. 이때, 회전축봉(220)의 나사산 방향과 연동회전축봉(621b)의 나사산 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이며, 이에 맞추어 축결합부(33)의 나사산 방향과 연동축결합부(622)의 나사산 방향도 서로 반대방향이다. 이는 플레이트 축(200)의 회전판(210)이 회동하면서 치합되어 있는 기어부(621)의 연동회전판(621a)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회전판(210)과 연동회전판(621a)의 회동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이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제2평형유지수단(620)의 구성을 통하여, 화장료 플레이트(30)는 그라인더(40)의 회전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하는 회전축봉(220) 및 이에 연동되어 우측 또는 좌측으로 회전하는 연동회전축봉(621b)에 의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상하 병진운동을 할 때, 화장료 플레이트(30)가 한쪽으로 기울어나 롤링하지 않고, 평형을 유지한 채로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화장료 플레이트(30)의 하부면을 플레이트 축(200)과 다수개의 기어부(621)가 함께 받히게 되므로 평형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평형유지수단(620)의 구성에서는 화장품 내용기(10)의 바닥면에 가이드벽(15)을 형성할 수 없으므로, 화장료 플레이트(30)의 하부면에 가이드홈벽(35)을 구성할 필요가 없으며, 그로 인한 제2돌출가이드(15a) 및 제2가이드 홈(35a)이 형성될 필요가 없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평형유지수단에 의해, 화장료 플레이트(30) 상에 구비된 화장료(p)가 비대칭적으로 절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화장품 내용기(10)는 그라인더(4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라인더(40)의 회전이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3) 화장품 내용기의 내부에 구비된 화장료 플레이트(30)에 충전가이드부재(70)를 거치하는 단계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고형 화장품 용기의 화장품 내용기(10)에 화장료(p)를 충전하고 고화시켜 성형하기 위하여, 먼저, 화장료 플레이트(30)에 플레이트 축(20)을 나사결합하여 회전축봉(22)이 화장료 플레이트(30)의 중심상부로 돌출되도록 한 다음, 화장품 내용기(10)의 바닥에 플레이트 축(20)과 결합된 화장료 플레이트(30)를 거치시킨다.
이때, 화장품 내용기(10)의 제1측면부(11)의 내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1돌출가이드(11a)에 화장료 플레이트(30)의 플레이트 측면부(32)의 외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1가이드 홈(32a)이 구속되도록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화장료 플레이트(30)의 상부 테두리와 화장품 내용기(10)의 제1측면부(11)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상하 통공이 형성된 충전가이드부재(70)를 거치시킨다.
여기서, 충전가이드부재(70)는 상부에 외측으로 플랜지가 형성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상하통공의 중공의 통형상 구조로써, 화장품 내용기(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직경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때, 충전가이드부재(70)의 내측면은 아노다이징 기법으로 표면처리하여, 화장료(p)를 충전한 뒤 충전가이드부재(70)를 상방향으로 제거할 때 화장료(p)가 충전가이드부재(70)의 내측면에 들러붙지 않고 잘 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전가이드부재(70)의 내측면에 화장료(p)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전가이드부재(70)의 내측면에 실리콘 이형제 등을 추가로 도포하여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충전가이드부재(70)는 화장료(p)가 고화과정에서 화장품 내용기(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하고, 화장품 내용기(10)의 내측면과 화장료(p)의 측면 사이에 소정 직경의 여분공간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는 충전가이드부재(70)를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상인 것만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중공의 원통형상의 내부에 직경이 작은 상하관통되는 중공의 원통을 더 구비한 동심원통형상(70a)이나, 중공의 원통형상의 내부에 칸막이를 설치하여 공간을 2등분한 이등분형상(70b), n등분한 n등분형상 등을 구비하여 서로 다른 이종 또는 이형의 화장료(p)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A4) 충전가이드부재(70)내에 화장료를 충전하여 고화하는 단계
분말상 또는 용융된 액상 화장료(p)를 충전가이드부재(70)의 통공 내에 충전하고, 냉각시켜 고화시킨다.
이와 같이 화장료(p)의 충전 및 고화과정에서 충전가이드부재(70)를 사용함으로써, 분말상 또는 용융된 액상 화장료(p)가 화장품 내용기(10)의 제1측면부(11)의 내측면 및 내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1돌출가이드(11a)에 밀착된 채 고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화장료(p)가 화장품 내용기(10)의 제1측면부(11)의 내측면 및 내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1돌출가이드(11a)에 밀착된 채 고화되는 경우, 화장료 플레이트(30)의 제1가이드 홈(32a)이 제1돌출가이드(11a)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되는 것이 어렵게 됨은 명백하다.
(A5) 충전가이드부재(70)를 제거하여 화장품 내용기의 내측면과 고화된 화장료의 측면사이에 여분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화장료(p)가 고화된 이후에, 충전가이드부재(70)를 상방향으로 제거하여 화장품 내용기(10)의 제1측면부(11)의 내측면과 화장료(p)의 측면 사이에 충전가이드부재(70)의 두께만큼의 여분공간(C)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여분공간(C)에 의하여, 화장료(p)의 측면은 화장품 내용기(10)의 제1측면부(11)의 내측면 및 내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1돌출가이드(11a)에 밀착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화장료 플레이트(30)의 제1가이드 홈(32a)이 제1돌출가이드(11a)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원활하게 가이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장품 내용기(10)의 제1측면부(11)의 내측면과 화장료(p)의 측면 사이에 형성된 소정 직경의 여분공간(C)은 화장료(p)의 상면 절삭과정에서 밀린 화장료 또는 그라인더(40)의 평평한 저면에 의해 밀린 화장료가 낙하하여 안착될 수 있다.
즉, 그라인더(40)의 회전에 따라 화장료(p)의 상면이 절삭되는 과정에서 화장료(p)의 상면 테두리쪽에서 절삭된 화장료 중 일부는 토출되고 일부는 밀려 여분공간(C)으로 낙하하여 안착될 수 있다. 또한 회전하는 그라인더(40)의 절삭날(41b)에 의해 화장료(p)의 상면의 일정 부분이 절삭되면서 절삭된 상면과 절삭되지 않은 상면은 높이차가 발생하고, 동시에 절삭되지 않은 화장료(p) 상면은 회전하는 그라인더(40)의 저면에 의해 압착력을 받게 되어 밀리게 되는데, 이때 밀린 화장료 중 일부가 여분공간(C)으로 낙하하여 안착됨으로써, 화장료(p)의 상부 표면을 매끄럽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과정을 거쳐 화장품 용기내에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단계가 끝나면,
화장품 내용기(10)의 상부에 그라인더(40)를 결합하되, 그라인더(40)가 플레이트 축(20)의 회전축봉(22)과 끼움결합되고, 그라인더(40)의 저면이 화장료(p)의 상면에 거치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p)의 충전 및 고화 과정이 내용기(10)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화장료 플레이트(30) 상부면의 구조, 화장료 플레이트(30)와 충전가이드부재(70)와의 결합구조에 따라 내용기(10) 외부에서 화장료(p)가 충전 및 고화되고, 이러한 화장료(p)가 안착된 화장료 플레이트(30)가 내용기(10) 내부로 이동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형 화장료 용기를 작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그라인더(40)의 측면을 잡고 화장품 내용기(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라인더(40)와 결합된 플레이트 축(20)이 회전하게 된다.
플레이트 축(20)이 회전함에 따라, 플레이트 축(20)과 나사산으로 결합된 화장료 플레이트(30)가 화장품 내용기(10)에 구비된 제1돌출가이드(11a) 및/또는 제2돌출가이드(15a)를 따라 상향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화장료 플레이트(30)가 상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화장료 플레이트(30)의 상부면에 구비된 화장료(p) 역시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방향으로 이동된 화장료(p)는 회전하는 그라인더(40)의 절삭날(41b)에 의하여 화장료(p)의 상면이 깎이면서 깎인 화장료(p)는 토출홈(41a)을 통해 그라인더(40)의 상면부로 토출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히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화장품 내용기 11 : 제1측면부
11a : 제1돌출가이드 12 : 제2측면부
13 : 환돌기 14 : 플랜지형 받침대
15 : 가이드벽 15a : 제2돌출가이드
C : 여분공간
20, 200 : 플레이트 축 21, 210 : 회전판
22, 220 : 회전축봉 22a : 축봉 관통홀
30 : 화장료 플레이트 31 : 플레이트 상면부
32 : 플레이트 측면부 32a : 제1가이드 홈
33,330 : 축결합부 35 : 가이드홈벽
35a : 제2가이드 홈
40 : 그라인더 41 : 그라인더 상부면
41a : 토출홈 41a-1 : 제1토출홈
41a-2 : 제2토출홈 41b : 절삭날
41b-1 : 제1절삭날 41b-2 : 제2절삭날
42 : 그라인더 측면부 42a : 환형홈
42b : 미끄럼 방지부 43 : 환형 밀봉부
44 : 샤프트
50 : 퍼프 받침대
610 : 제1평형유지수단 620 : 제2평형유지수단
621 : 기어부 621a : 연동회전판
621b : 연동회전축봉 622 : 연동축결합부
S : 탄성체
70 : 충전가이드부재 70a : 동심원통형상
70b : 이등분형상
p : 화장료

Claims (9)

  1. (a) 화장료가 투입될 화장품 내용기(10) 준비단계;
    (b) 상기 화장품 내용기(10)의 내부에 구비된 화장료 플레이트(30)에 충전가이드부재(70)를 거치하는 단계;
    (c) 상기 충전가이드부재(70)내에 화장료를 충전하여 고화하는 단계; 및
    (d) 상기 충전가이드부재(70)를 상방향으로 제거하여 상기 화장품 내용기(10)의 내측면과 고화된 화장료의 측면사이에 상기 충전가이드부재(70)의 두께만큼의 여분공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화장품 내용기(10)의 바닥면 중앙에는 임의의 높이를 가진 가이드벽(15)이 소정 크기의 내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벽(15)의 내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제2돌출가이드(15a)가 형성되며,
    상기 화장료 플레이트(30)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벽(15)에 대응되는 가이드홈벽(35)이 형성되어 상기 화장료 플레이트(30)의 상면부가 받는 하중을 분산시켜 지탱력을 상승시키며,
    상기 충전가이드부재(7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상하통공의 중공의 통형상 구조를 가지며, 화장료의 절삭과정에서 밀린 화장료는 상기 여분공간으로 낙하하여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가이드부재(70)를 거치하는 단계는,
    (b-1) 상기 화장료 플레이트(30)에 플레이트 축(20)을 나사결합하는 단계;
    (b-2) 상기 화장품 내용기(10)의 바닥에 상기 플레이트 축(20)과 결합된 화장료 플레이트(30)를 거치시키는 단계; 및
    (b-3) 상기 화장료 플레이트(30)의 상부 테두리와 화장품 내용기(1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충전가이드부재(70)를 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는,
    상기 화장품 내용기(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가이드에 화장료 플레이트(30)의 외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이 구속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가이드부재(70)는, 상부에 외측으로 플랜지가 형성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상하통공의 중공의 통형상 구조로서, 상기 화장품 내용기(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가이드부재(70)는, 상기 화장료와 맞닿는 내측면이 아노다이징 처리 또는 실리콘 이형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분공간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가이드부재(70)를 제거하여 화장품 내용기(10)의 내측면과 화장료의 측면 사이에 상기 충전가이드부재(70)의 두께만큼의 여분공간(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분공간에는, 상기 화장료의 절삭과정에서 밀린 화장료 또는 상기 그라인더(40)의 평평한 저면에 의해 밀린 화장료가 낙하하여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내용기(10)의 상부에 그라인더(40)를 결합하되, 상기 그라인더(40)가 플레이트 축(20)과 끼움결합되고, 상기 그라인더(40)의 저면이 화장료의 상면에 거치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
  9. 삭제
KR1020210164992A 2019-09-03 2021-11-26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 KR102420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992A KR102420172B1 (ko) 2019-09-03 2021-11-26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864A KR102348996B1 (ko) 2019-09-03 2019-09-03 고형상 화장료 충전된 고형 화장품 용기
KR1020210164992A KR102420172B1 (ko) 2019-09-03 2021-11-26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864A Division KR102348996B1 (ko) 2019-09-03 2019-09-03 고형상 화장료 충전된 고형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8053A KR20210148053A (ko) 2021-12-07
KR102420172B1 true KR102420172B1 (ko) 2022-07-13

Family

ID=703908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864A KR102348996B1 (ko) 2019-09-03 2019-09-03 고형상 화장료 충전된 고형 화장품 용기
KR1020210164992A KR102420172B1 (ko) 2019-09-03 2021-11-26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864A KR102348996B1 (ko) 2019-09-03 2019-09-03 고형상 화장료 충전된 고형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12230B2 (ko)
EP (1) EP3788906A1 (ko)
JP (1) JP6982654B2 (ko)
KR (2) KR102348996B1 (ko)
CN (1) CN1124404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62787S1 (en) * 2019-05-31 2022-09-06 Myung Kwon Yeo Refillable creme jar
USD962788S1 (en) * 2019-06-13 2022-09-06 Myung Kwon Yeo Refillable crème ja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427B1 (ko) * 2015-12-18 2016-08-02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비가역 특성을 갖는 화장료의 역충전방법 및 이의 화장료가 충전되는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5815A (en) * 1978-01-23 1979-08-28 Vetter Kathryn A Cosmetic container with cleaning surface
US4740097A (en) * 1986-11-28 1988-04-26 Elleance, Limited Combined lip liner and lipstick mass
JP3762041B2 (ja) * 1997-04-28 2006-03-2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化粧用コンパクト容器
US6058942A (en) * 1999-07-06 2000-05-09 Glamour Look Inc. Multiple-component cosmetic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695510B1 (en) * 2000-05-31 2004-02-24 Wyeth Multi-composition stick product and a process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404009Y1 (ko) 2005-10-04 2005-12-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분쇄식 기능성 파우더 용기
KR100817278B1 (ko) * 2007-01-12 2008-03-27 주식회사제니스 한 접시내 다색화장품의 충전방법
KR200441858Y1 (ko) * 2007-05-09 2008-09-11 조규석 화장품 케이스
US20110297704A1 (en) * 2009-01-15 2011-12-08 Victor Esteve Packaging Element with a Hermetically Solid Dosing Mechanism for Semi-Solid Products
KR101158910B1 (ko) * 2009-10-26 2012-06-25 (주)에스엔피월드 그라인딩부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1071542B1 (ko) * 2009-11-30 2011-10-11 주식회사 엘코스 화장품 케이스
KR101159135B1 (ko) * 2009-12-02 2012-07-11 전준성 파우더 용기
US8387627B2 (en) * 2010-08-25 2013-03-05 Elcos America, Inc. Compact powder case
KR200467991Y1 (ko) * 2012-07-16 2013-07-19 박한동 화장품 소성접시
KR101453048B1 (ko) * 2013-12-12 2014-10-23 (주)연우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FR3032335B1 (fr) * 2015-02-09 2017-03-03 Chanel Parfums Beaute Pot de cosmetique comportant un couvercle a element d'accrochage guide
KR101783113B1 (ko) * 2015-12-23 2017-09-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용 메쉬망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850543B1 (ko) * 2016-09-27 2018-04-19 김성민 토출부를 갖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
TWM572156U (zh) * 2018-10-05 2019-01-01 禾鑫塑膠有限公司 Cosmetic container
CN109397739A (zh) * 2018-10-17 2019-03-01 芜湖兰易商贸有限公司 一种化妆品加工用粉类产品按压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427B1 (ko) * 2015-12-18 2016-08-02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비가역 특성을 갖는 화장료의 역충전방법 및 이의 화장료가 충전되는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440499A (zh) 2021-03-05
KR20210027859A (ko) 2021-03-11
JP2021037265A (ja) 2021-03-11
US20210059383A1 (en) 2021-03-04
KR20210148053A (ko) 2021-12-07
CN112440499B (zh) 2022-10-04
KR102348996B1 (ko) 2022-01-10
JP6982654B2 (ja) 2021-12-17
KR102348996B9 (ko) 2022-02-14
EP3788906A1 (en) 2021-03-10
US11612230B2 (en) 202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0172B1 (ko) 고형상 화장료의 성형방법
US4605330A (en) Dispensing container for stick-solids
EP0656757A1 (en) Sample size package for a cosmetic stick
EP0604489A1 (en) Fill/invert package with specialized sealing, non-flow-through elevator system
GB2515639A (en) Container with outlet
US20190359410A1 (en) Container and dispenser for flowable material and method
US4700448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stick push-up device
EP2919614B1 (en) Stick product dispensing system:
US20220378175A1 (en) Packaged deodorant stick product
JP2017527339A (ja) 液体を貯蔵及び分配するための容器
JPH02233384A (ja) 粘性物質用分与容器
CN112135783A (zh) 洁牙剂分配器
EP3386344B1 (en) Lip balm applicator
US20140158711A1 (en) Cartridge for dispensing a dental substanc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cartridge
EP3580144B1 (en) Dispenser
EP1809487A2 (en) Propel/repel dispensers
US11839287B2 (en) Packaged deodorant stick product
US11737544B2 (en) Container for dispensing loose powder and method of filling the container
EP1763478A2 (en) A food container,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EP1116940B1 (fr) Distributeur-doseur pour produits pulvérulents et analogues
GB2369796A (en) Making porous articles using powder
JP4737485B2 (ja) 固形化粧料等繰出し容器
WO2012082579A1 (en) Device for applying epilation wax with precision
WO2003082707A1 (fr) Recipient de distribution d'aliment plastique, recipient de distribution d'aliment plastique a separation et dispositif de distribution d'aliment plastique
JP2023173770A (ja) 繰り出し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