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941B1 -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941B1
KR102419941B1 KR1020197022970A KR20197022970A KR102419941B1 KR 102419941 B1 KR102419941 B1 KR 102419941B1 KR 1020197022970 A KR1020197022970 A KR 1020197022970A KR 20197022970 A KR20197022970 A KR 20197022970A KR 102419941 B1 KR102419941 B1 KR 102419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ysical lay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equency band
broadcast signal
channel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2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8572A (ko
Inventor
가즈유키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8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6Co-operative diversity, e.g. using fixed or mobile stations as r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20/06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among broadcast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2Generation or processing of Service Information [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5Channel allocation; Bandwid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3Extrac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MPEG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Signal processing at physica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6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by decomposing the content in the time domain, e.g. in time segments

Abstract

본 기술은, 보다 확실하게, 채널 본딩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의 그룹을 식별하는 제1 식별 정보와, 그룹에 속하는 주파수 대역을 식별하는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한 물리층 시그널링을 생성하고, 물리층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이며, 중계 장치에 의해 주파수 대역이 변경되는 방송 신호를,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송신 장치가 제공된다. 본 기술은, 예를 들어 채널 본딩을 이용한 방송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본 기술은,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다 확실하게, 채널 본딩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에 있어서, 복수의 채널(주파수 대역)을 결합하여 사용되는 채널 본딩(Channel Bonding)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차세대 지상 방송 규격의 하나인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ittee) 3.0에 있어서도, 채널 본딩이 규정되어 있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참조).
ATSC Standard: Physical Layer Protocol(A/322)
그런데, 채널 본딩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방송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 장치에 있어서, 주파수 대역의 변경이 행하여지면, 수신 장치에서는,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신호를 검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채널 본딩을 행하기 위한 제안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기술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보다 확실하게, 채널 본딩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송신 장치는,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의 그룹을 식별하는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그룹에 속하는 주파수 대역을 식별하는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한 물리층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물리층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이며, 중계 장치에 의해 주파수 대역이 변경되는 상기 방송 신호를,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이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송신 장치는, 독립된 장치여도 되고,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이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술한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송신 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의 그룹을 식별하는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그룹에 속하는 주파수 대역을 식별하는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한 물리층 시그널링이 생성되어, 상기 물리층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이며, 중계 장치에 의해 주파수 대역이 변경되는 상기 방송 신호가,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방송 신호이며, 중계 장치에 의해 주파수 대역이 변경되는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물리층 시그널링이며,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의 그룹을 식별하는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그룹에 속하는 주파수 대역을 식별하는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한 상기 물리층 시그널링을 처리하는 수신 장치이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수신 장치는, 독립된 장치여도 되고,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이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술한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수신 장치에 대응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방송 신호이며, 중계 장치에 의해 주파수 대역이 변경되는 상기 방송 신호가 수신되어,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물리층 시그널링이며,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의 그룹을 식별하는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그룹에 속하는 주파수 대역을 식별하는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한 상기 물리층 시그널링이 처리된다.
본 기술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에 의하면, 보다 확실하게, 채널 본딩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효과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 중에 기재된 어느 효과여도 된다.
도 1은 현 상황의 규격의 시그널링을 사용한 채널 본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현 상황의 L1D 시그널링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기술을 적용한 시그널링을 사용한 채널 본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기술을 적용한 시그널링을 사용한 채널 본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기술을 적용한 L1D 시그널링의 신택스의 제1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기술을 적용한 L1D 시그널링의 신택스의 제2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PLP 레벨의 채널 본딩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채널 본딩의 시그널링을 상위층에서 행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송신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수신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송신측과 수신측의 데이터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컴퓨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기로 한다.
1. 본 기술의 채널 본딩
2. 시그널링의 예
3. 상위층에서의 시그널링의 예
4. 송신측과 수신측의 처리의 예
5. 변형예
6. 컴퓨터의 구성
<1. 본 기술의 채널 본딩>
(현 상황의 채널 본딩)
먼저, 도 1을 참조하면서, 현 상황의 규격의 시그널링을 사용한 채널 본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방송 시스템(1)은, 송신소(11-1, 11-2)에 설치되는 송신 장치(10-1, 10-2)와, 중계소(21-1, 21-2)에 설치되는 중계 장치(20-1, 20-2)와, 가정 내에 설치되는 수신 장치(30)로 구성된다.
송신 장치(10-1)는, 송신소(11-1)에 설치된 송신용 안테나를 통하여,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송신 장치(10-1)는, 방송국측의 데이터 처리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콘텐츠(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램 등)의 데이터에 대해, 변조나 오류 정정 등의 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방송 신호를, 송신소(11-1)의 송신용 안테나에 의해 송신한다.
송신소(11-1)로부터의 방송 신호는, 중계소(21-1)에 설치된 중계 장치(20-1)에 의해, 신호 증폭이나 파형 등화 등의 처리가 실시된다. 중계 장치(20-1)에 의해 처리된 방송 신호는, 중계소(21-1)에 설치된 중계용 안테나를 통하여 중계되어, 엔드 유저의 각 가정 등에 설치되는 수신용 안테나를 통하여,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수신 장치(30)에 의해 수신된다.
송신 장치(10-2)는, 송신 장치(10-1)와 동일하게, 방송 프로그램 등의 콘텐츠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방송 신호를, 송신소(11-2)의 송신용 안테나에 의해 송신한다.
중계 장치(20-2)는, 중계 장치(20-1)와 동일하게, 송신소(11-2)로부터의 방송 신호를 처리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방송 신호를, 중계소(21-2)의 중계용 안테나에 의해 중계한다. 중계소(21-2)로부터의 방송 신호는, 엔드 유저의 각 가정 등에 설치되는 수신 장치(30)에 의해 수신된다.
여기서, 송신 장치(10-1)와 송신 장치(10-2)에 의해, 채널 본딩을 이용한 방송 신호의 전송이 행해지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6㎒의 대역폭을 포함하는 상이한 2개의 채널(RF 채널)을 결합하여 얻어지는 합계12㎒(6㎒×2)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하나의 스트림으로부터 분할된 제1 분할 스트림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RF1)와, 제2 분할 스트림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RF2)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분할 스트림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채널 본딩을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장치(10-1)에 의해 송신되는 방송 신호(RF1)는, 그 중심 주파수가, Freq=f11로 되고,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가, BS_ID=R11로 된다. 한편, 송신 장치(10-2)에 의해 송신되는 방송 신호(RF2)는, 그 중심 주파수가, Freq=f12로 되어,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가, BS_ID=R12로 된다.
또한, 중계소(21-1)와 중계소(21-2)에 있어서는, 그 마스터 스테이션이 되는 송신소(11-1)와 송신소(11-2)에서의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 대역이 사용되는(주파수 대역이 변경되는) 것이 통상이다. 즉, 방송 시스템(1)에 있어서, 송신 장치(10-1), 송신 장치(10-2), 중계 장치(20-1), 및 중계 장치(20-2)는, 복수 주파수 네트워크(MFN: Multi Frequency Networks)를 구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중계 장치(20-1)에 의해 송신되는 방송 신호(RF1')는, 그 중심 주파수가, Freq=f21로 되며,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가, BS_ID=R21로 된다. 한편, 중계 장치(20-2)에 의해 송신되는 방송 신호(RF2')는, 그 중심 주파수가, Freq=f22로 되며,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가, BS_ID=R22로 된다.
그런데, 채널 본딩이 규정된 현 상황의 규격에서는, 그 물리층의 시그널링으로서, 채널 본딩을 실현하기 위한 정보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ATSC 3.0에서는, 물리층 시그널링을 구성하는 L1D 시그널링(L1-Detail Signaling)에, 채널 본딩에 관한 정보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2에는, L1D 시그널링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단, 도 2의 신택스에는, L1D 시그널링 중, 특히 본 기술에 관계되는 부분을 발췌하여 기술하고 있다. 또한, L1D 시그널링에 대해서는, 상술한 비특허문헌 1의 「Table 9.8 L1-Detail Signaling Fields and Syntax」에 그 상세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4비트의 L1D_version은, L1D 시그널링의 버전을 나타내고 있다.
3비트의 L1D_num_rf는,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의 개수를 나타내고 있다. L1D_num_rf에 의해, 채널 본딩이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L1D_num_rf에 따른 루프 내에는, L1D_rf_frequency가 배치된다.
19비트의 L1D_rf_frequency는, 채널 본딩에 의해 결합되는 RF 채널의 중심 주파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중심 주파수는, 대상의 RF 채널 이외의 다른 RF 채널의 중심 주파수로 되고, 다른 RF 채널이 복수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 복수의 L1D_rf_frequency가 배치된다.
도 1의 설명으로 되돌아가, 예를 들어 방송 신호(RF1)에 포함되는 L1D 시그널링에는, 다른 RF 채널의 중심 주파수로서, L1D_rf_frequency=f12가 배치된다. 이 중심 주파수는, 방송 신호(RF2)의 중심 주파수, 즉, 채널 본딩에 의해 연결되는 상대측(송신소(11-2)측)의 RF 채널의 중심 주파수가 지정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방송 신호(RF2)에 포함되는 L1D 시그널링에는, 다른 RF 채널의 중심 주파수로서, L1D_rf_frequency=f11이 배치되고, 채널 본딩에 의해 연결되는 상대측(송신소(11-1)측)의 RF 채널의 중심 주파수(방송 신호(RF1)의 중심 주파수)가 지정되어 있다.
이 때, 중계소(21-1)에서는, 마스터 스테이션인 송신소(11-1)와 다른 주파수 대역이 사용되며, 중계소(21-2)에서는, 마스터 스테이션인 송신소(11-2)와 다른 주파수 대역이 사용되지만, L1D 시그널링의 내용은 갱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L1D_rf_frequency가 나타내는 중심 주파수가, 중계소(21-1)와 중계소(21-2)에 대응한 것으로 되어 있지 않다.
즉, 방송 신호(RF1')에 포함되는 L1D 시그널링에는, 다른 RF 채널의 중심 주파수로서, L1D_rf_frequency=f12가 배치되어 있지만, 이 중심 주파수는, 송신소(11-2)의 RF 채널의 중심 주파수(Freq=f12)이며, 중계소(21-2)의 RF 채널의 중심 주파수(Freq=f22)는 아니다.
마찬가지로 또한, 방송 신호(RF2')에 포함되는 L1D 시그널링에는, 다른 RF 채널의 중심 주파수로서, L1D_rf_frequency=f11이 배치되어 있지만, 이 중심 주파수는, 송신소(11-1)의 RF 채널의 중심 주파수(Freq=f11)이며, 중계소(21-1)의 RF 채널의 중심 주파수(Freq=f21)는 아니다.
이와 같이, 현 상황의 규격에서는, 중계소(21-1)의 중계 장치(20-1)와, 중계소(21-2)의 중계 장치(20-2)로, RF 채널의 주파수 대역이 변경되지만, L1D 시그널링의 내용이 갱신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대역(새로운 주파수 대역)과, L1D 시그널링의 L1D_rf_frequency가 나타내는 중심 주파수(낡은 주파수 대역) 사이에, 부정합이 생기고 있다.
그 때문에, 수신 장치(30)에서는, 방송 신호(RF1') 또는 방송 신호(RF2')에 포함되는 물리층의 시그널링(L1D 시그널링)을 처리해도,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신호를 검지할 수 없다. 즉, 예를 들어 수신 장치(30)에서는, 방송 신호(RF1')에 포함되는 제1 분할 스트림과, 방송 신호(RF2')에 포함되는 제2 분할 스트림으로부터, 원래의 스트림을 재구성(복원)할 수는 없다.
그래서, 본 기술에서는, 물리층의 시그널링(L1D 시그널링)에 있어서, 채널 본딩에 관한 주파수 정보 대신에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그룹의 식별 정보와, 그 그룹에 속하는 주파수 대역의 식별 정보가 배치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중계소(21)를 경유하여 주파수 대역이 변경된 경우에도, 수신 장치(30)측에서는,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신호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보다 확실하게, 채널 본딩을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기술의 내용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의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기술의 채널 본딩)
도 3은, 본 기술을 적용한 시그널링을 사용한 채널 본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의 방송 시스템(2)은, 도 1의 방송 시스템(1)과 동일하게, 송신소(11-1, 11-2)에 설치되는 송신 장치(10-1, 10-2)와, 중계소(21-1, 21-2)에 설치되는 중계 장치(20-1, 20-2)와, 가정 내에 설치되는 수신 장치(30)로 구성된다.
또한, 수신 장치(30)는, 텔레비전 수상기나 셋톱 박스(STB: Set Top Box), 퍼스널 컴퓨터, 게임기 등의 고정 수신기, 또는, 스마트 폰이나 휴대 전화기, 태블릿형 컴퓨터 등의 모바일 수신기로서 구성된다. 또한, 수신 장치(30)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Head Mounted Display) 등의 웨어러블 컴퓨터여도 된다.
여기서, 도 3의 방송 시스템(2)에 있어서도, 송신 장치(10-1)와 송신 장치(10-2)에 의해, 채널 본딩을 이용한 방송 신호의 전송이 행해지고, 예를 들어 6㎒의 대역폭을 포함하는 상이한 두 RF 채널을 결합하여 얻어지는 합계12㎒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해서, 예를 들어 하나의 스트림으로부터 분할된 제1 분할 스트림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RF1)와, 제2 분할 스트림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RF2)가 송출된다.
또한, 채널 본딩을 행할 때에는, 예를 들어 VHF(Very High Frequency)와, UHF(Ultra High Frequency) 등의 다른 주파수대를 조합함으로써, 보다 로버스트한 전송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시스템(2)은, 복수 주파수 네트워크(MFN)로서 구성되기 때문에, 송신 장치(10-1)로부터 송출된 방송 신호(RF1)는, 중계 장치(20-1)에 의해, 그 중심 주파수(Freq)가, f11로부터 f21로 변경되어, 방송 신호(RF1')로서 송출된다. 또한, 송신 장치(10-2)로부터 송출된 방송 신호(RF2)는, 중계 장치(20-2)에 의해, 그 중심 주파수(Freq)가, f12로부터 f22로 변경되어, 방송 신호(RF2')로서 송출된다.
그 때문에, 현 상황의 규격에 있어서는, 사용되고 있는 변경 후의 주파수 대역(Freq=f21, f22)과, L1D 시그널링의 L1D_rf_frequency가 나타내는 변경 전의 중심 주파수(Freq=f11, f12) 사이에, 부정합이 생기고 있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여기서, 본 기술에서는, 이와 같은 부정합을 해소하기 위해서, L1D 시그널링에 있어서, L1D_rf_frequency 대신에 L1D_bsid, L1D_rf_id가 배치되도록 한다.
L1D_bsid에는,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BS_ID)가 지정된다.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는, 방송의 물리층 대역에 할당되는 식별자이며, 미국의 연방 통신 위원회(FCC: Federal Communications Co㎜ission)나 일본의 총무성 등의 각국의 기관에 의해 발행되는 고유의 값(유니크한 값)이다.
L1D_rf_id에는, L1D_bsid에 의해 식별되는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그룹에 속하는 주파수 대역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당해 그룹 내에서 고유해지는 값(예를 들어, 0, 1, 2, ···)이 지정된다. 이 L1D_rf_id에, 고유한 값을 지정함으로써, 중계 장치(20-1, 20-2) 전후로, 방송 신호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방송 신호(RF1)에 포함되는 L1D 시그널링에는, L1D_bsid=R11이 배치되고,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 중, 그룹 내에서, 가장 낮은 주파수 대역(1번째의 주파수 대역(RF1))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가 지정되어 있다.
또한, 방송 신호(RF1)의 L1D 시그널링에는, L1D_rf_id=0이 배치되고,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 중, 대상의 주파수 대역(RF1)을 식별하기 위한 ID가 지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방송 신호(RF2)에 포함되는 L1D 시그널링에는, L1D_bsid=R11이 배치되고,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 중, 가장 낮은 주파수 대역(RF1)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가 지정되어 있다. 또한, 방송 신호(RF2)의 L1D 시그널링에는, L1D_rf_id=1이 배치되고,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 중, 대상의 주파수 대역(RF2)을 식별하기 위한 ID가 지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채널 본딩의 대상이 되는 각 방송 신호(RF1, RF2)로 전송되는 L1D 시그널링에서는, 당해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그룹의 식별 정보로서, 공통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이 예에서는, 가장 낮은 주파수 대역(RF1)의 BS_ID)가 지정되어 있다.
또한, 이 L1D 시그널링에서는, 당해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그룹에 속하는 주파수 대역의 식별 정보로서, 고유한 값(이 예에서는, 0, 1)이 지정되어 있다.
그리고, L1D 시그널링에, L1D_bsid, L1D_rf_id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현 상황의 규격에서 생기고 있는, 중계 장치(20-1, 20-2)에서의 주파수 대역의 변경에 기인한, 사용되고 있는 변경 후의 주파수 대역(Freq=f21, f22)과, L1D 시그널링의 L1D_rf_frequency가 나타내는 변경 전의 중심 주파수(Freq=f11, f12) 사이의 부정합을 해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신호(RF1)에 포함되는 L1D 시그널링에는, L1D_bsid=R11, L1D_rf_id=0이 배치되고, 방송 신호(RF2)에 포함되는 L1D 시그널링에는, L1D_bsid=R11, L1D_rf_id=1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L1D 시그널링에는 모두, L1D_bsid로서, R11인 공통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가 포함되기 때문에, 이 BS_ID에 의해, 방송 신호(RF1)와 방송 신호(RF2)가,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동일한 그룹에 속해 있음이 식별된다. 또한, L1D_rf_id로서, 0과 1이 각각 지정되어 있지만, 이들의 고유한 값에 의해,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그룹에 속하는 주파수 대역(방송 신호)이 식별된다.
그 때문에, 중계 장치(20-1)와 중계 장치(20-2)에 의해, RF 채널의 주파수가 변경된 경우에, L1D 시그널링의 내용이 갱신되지 않을 때에도, L1D_bsid에 의해,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그룹(R11)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L1D_rf_id에 의해,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그룹 내의 각각의 방송 신호(RF1, RF2나, RF1', RF2')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꾸어 말하면, 본 기술의 L1D 시그널링에는, 채널 본딩의 주파수 정보(L1D_rf_frequency) 대신에 L1D_bsid, L1D_rf_id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중계 장치(20-1, 20-2)에 의한 주파수 대역의 변경에 관계없이,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그룹이나, 그 그룹에 속하는 방송 신호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 장치(30)에 있어서는, 방송 신호(RF1') 또는 방송 신호(RF2')에 포함되는 L1D 시그널링(의 L1D_bsid, L1D_rf_id)을 처리함으로써,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동일한 그룹의 신호를 검지하며, 예를 들어 방송 신호(RF1')에 포함되는 제1 분할 스트림과, 방송 신호(RF2')에 포함되는 제2 분할 스트림으로부터, 원래의 스트림을 재구성(복원)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장치(30)가, 중계 장치(20-1) 전후의 방송 신호, 즉, 송신 장치(10-1)로부터의 방송 신호(RF1)와, 중계 장치(20-1)로부터의 방송 신호(RF1')를, 모두 수신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에, 수신 장치(30)에서는, L1D 시그널링(의 L1D_bsid, L1D_rf_id)을 처리함으로써, L1D_bsid=R11, L1D_rf_id=0이 함께 지정되어 있는 점에서, 방송 신호(RF1)와 방송 신호(RF1')가, 동일한 방송 신호임을 식별할 수 있다.
수신 장치(30)는, 예를 들어 수신 시의 신호 품질이나 신호 강도 등의 기준을 사용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방송 신호(RF1)와 방송 신호(RF1') 중 어느 한쪽의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수신 장치(30)는, 당해 선택한 방송 신호(RF1 또는 RF1')에 포함되는 제1 분할 스트림과, 중계 장치(20-2)로부터의 방송 신호(RF2')에 포함되는 제2 분할 스트림으로부터, 원래의 스트림을 재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현 상황의 규격(도 2의 L1D 시그널링)에서는, L1D_rf_id가,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중심 주파수의 리스트 순서에 의해 나타내며, 암묵(implicit)의 값으로 되어 있었지만, 본 기술에서는, L1D_rf_id에 고유한 값을 지정하여, 이것을 명시(explicit)의 값으로 함으로써, 중계 장치(20) 전후의 방송 신호가, 동일한 방송 신호인지 여부의 판별에 사용하며, 혼신이 억제되도록 하고 있다.
<2. 시그널링의 예>
(제1 예)
도 5는, 본 기술을 적용한 L1D 시그널링의 신택스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 도 5의 신택스에는, L1D 시그널링 중, 도 2에 도시된 현 상황의 규격의 L1D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부분만을 발췌하여 기술하고 있다.
도 5의 L1D 시그널링에 있어서는, 도 2의 L1D 시그널링과 동일하게, L1D 시그널링의 버전을 나타낸 L1D_version과,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의 개수를 나타낸 L1D_num_rf가 배치된다.
3비트의 L1D_num_rf가, L1D_num_rf>0이 되는 경우, 즉, 채널 본딩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L1D_bsid와, L1D_rf_id가 배치된다.
16비트의 L1D_bsid는,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그룹을 식별하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BS_ID)를 나타내고 있다.
이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로서는, 예를 들어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 중, 그룹 내에서, 가장 낮은 주파수 대역(1번째의 주파수 대역(RF1))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BS_ID)를 지정할 수 있다.
3비트의 L1D_rf_id는,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그룹에 속하는 주파수 대역을 식별하는 ID를 나타내고 있다. 이 주파수 대역의 ID로서는, 예를 들어 0, 1, 2, ··· 등의 당해 그룹 내에서, 고유한 값이 지정된다.
도 5의 L1D 시그널링의 신택스의 예에서는, L1D_num_rf>0이 되는 경우에 배치되는 L1D_bsid와 L1D_rf_id의 비트수가, 16비트와 3비트로, 합계 19비트가 되기 때문에, 현 상황의 규격의 L1D 시그널링의 L1D_rf_frequency의 19비트와 동일한 비트수가 된다.
한편, 현 상황의 규격의 L1D 시그널링에서는, L1D_num_rf에 따른 루프 내에, 19비트의 L1D_rf_frequency가 배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L1D_num_rf>0이 되는 경우에, 16비트의 L1D_bsid와, 3비트의 L1D_rf_id가 배치되는, 본 기술의 L1D 시그널링은, 그 호환성이 상실되게 되지만, 여분의 정보를 포함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정보량을 최적화할 수 있다.
즉, 본 기술의 L1D 시그널링에서는, 16비트의 L1D_bsid와, 3비트의 L1D_rf_id와 같은 최저한 필요로 하는 정보만을 전송하고 있기 때문에, L1D 시그널링의 정보량의 최적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수신 장치(30)의 동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포맷(format)으로서, uimsbf(unsigned integer most significant bit first)가 지정된 경우, 비트 연산을 하여, 정수로서 취급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제2 예)
도 6은, 본 기술을 적용한 L1D 시그널링의 신택스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 도 6의 신택스에는, L1D 시그널링 중, 도 2에 도시된 현 상황의 규격의 L1D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부분만을 발췌하여 기술하고 있다.
도 6의 L1D 시그널링에 있어서는, 도 2의 L1D 시그널링과 동일하게, L1D 시그널링의 버전을 나타낸 L1D_version과,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의 개수를 나타낸 L1D_num_rf가 배치된다.
3비트의 L1D_num_rf에 따른 루프에는, L1D_bsid와, L1D_rf_id가 배치된다.
16비트의 L1D_bsid는,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그룹을 식별하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BS_ID)를 나타내고, 예를 들어 그룹 내에서, 가장 낮은 주파수 대역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BS_ID)를 지정할 수 있다.
3비트의 L1D_rf_id는,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그룹에 속하는 주파수 대역을 식별하는 ID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0, 1, 2, ··· 등의 당해 그룹 내에서, 고유한 값이 지정된다.
도 6의 L1D 시그널링의 신택스의 예에서는, L1D_num_rf에 따른 루프 내에 배치되는 L1D_bsid와 L1D_rf_id의 비트수가, 16비트와 3비트로, 합계 19비트가 되기 때문에, 현 상황의 규격의 L1D 시그널링의 L1D_rf_frequency의 19비트와 동일한 비트수가 된다.
또한, 도 6의 L1D 시그널링의 신택스의 예에서는, 현 상황의 규격의 L1D 시그널링과 동일하게, L1D_num_rf에 따른 루프 내에, 합계 19비트의 L1D_bsid와 L1D_rf_id가 배치되기 때문에, 현 상황의 규격 L1D 시그널링의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단, 도 6의 L1D 시그널링의 신택스의 예에서는, 2주째 이후의 루프 내의 정보는 불필요하기 때문에, 그 정보를, 장래의 예약(reserved)으로서 확보하도록 한다.
<3. 상위층에서의 시그널링의 예>
(PLP 레벨의 CB)
도 7은, PLP 레벨의 채널 본딩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있어서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로서, BS_ID=R11, R12, R13이 각각 설정되어 있는 세 RF 채널(주파수 대역)이 결합되어, 채널 본딩이 이루어져 있다.
첫째 RF 채널(BS_ID=R11)의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L1D 시그널링에서는, L1D_bsid=R11, L1D_rf_id=0이 지정된다. 또한, 첫째 RF 채널에서는, PLP_ID=0, 1, 2로 식별되는 세 PLP(Physical Layer Pipe)가 전송된다.
둘째 RF 채널(BS_ID=R12)의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L1D 시그널링에서는, L1D_bsid=R11, L1D_rf_id=1이 지정된다. 또한, 둘째 RF 채널에서는, 첫째 RF 채널과 동일하게, PLP_ID=0, 1, 2로 식별되는 세 PLP가 전송된다.
셋째 RF 채널(BS_ID=R13)의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L1D 시그널링에서는, L1D_bsid=R11, L1D_rf_id=2가 지정된다. 또한, 셋째 RF 채널에서는, 첫째 RF 채널과 동일하게, PLP_ID=0, 1, 2로 식별되는 세 PLP가 전송된다.
즉, 세 RF 채널(BS_ID=R11, R12, R13)이 결합됨으로써, 채널 본딩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것은, 각 채널의 L1D 시그널링으로, 동일한 L1D_bsid(R11: 가장 낮은 주파수 대역의 RF 채널에 할당된 BS_ID)가 지정됨으로써, 동일한 채널 본딩의 그룹에 속해 있음이 식별된다.
또한, 각 채널의 L1D 시그널링에서는, 각각이 상이한 L1D_rf_id(0, 1, 2: 고유한 값)가 지정됨으로써, 채널 본딩의 그룹에 속해 있는 각 RF 채널(주파수 대역)이 식별된다.
여기서, PLP#0에 있어서는, RF 채널(BS_ID=R11)의 PLP(PLP_ID=0)와, RF 채널(BS_ID=R12)의 PLP(PLP_ID=0)와, RF 채널(BS_ID=R13)의 PLP(PLP_ID=0)를 이용하여, PLP 레벨에서의 채널 본딩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PLP#1에 있어서는, RF 채널(BS_ID=R11)의 PLP(PLP_ID=1)와, RF 채널(BS_ID=R12)의 PLP(PLP_ID=1)를 이용하여, PLP 레벨에서의 채널 본딩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PLP#2에 있어서는, RF 채널(BS_ID=R11)의 PLP(PLP_ID=2)와, RF 채널(BS_ID=R13)의 PLP(PLP_ID=2)를 이용하여, PLP 레벨에서의 채널 본딩이 행해지고 있다.
이 때, 각 채널의 L1D 시그널링에서는, L1D_bsid, L1D_rf_id를 포함하고 있지만, 이들 필드는, 주파수 대역 레벨의 시그널링이 되기 때문에, PLP 레벨에서의 채널 본딩에서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
(CB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위층 시그널링)
도 8은, 채널 본딩의 시그널링을 상위층에서 행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있어서는, 도 7과 동일하게, BS_ID=R11, R12, R13이 각각 설정되어 있는 세 RF 채널(주파수 대역)이 결합됨으로써, 채널 본딩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PLP#0은, RF 채널(BS_ID=R11)의 PLP(PLP_ID=0)만을 이용하고 있고, PLP 레벨에서의 채널 본딩은 행해지지 않는다.
또한, PLP#1에 있어서는, RF 채널(BS_ID=R11)의 PLP(PLP_ID=1)와, RF 채널(BS_ID=R12)의 PLP(PLP_ID=1)를 이용하여, PLP 레벨에서의 채널 본딩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PLP#2에 있어서는, RF 채널(BS_ID=R11)의 PLP(PLP_ID=2)와, RF 채널(BS_ID=R13)의 PLP(PLP_ID=2)를 이용하여, PLP 레벨에서의 채널 본딩이 행해지고 있다.
이 때, PLP#0은, 채널 본딩의 대상 외의 PLP가 되므로, 수신 장치(30)에 있어서는, BS_ID=R11, PLP_ID=0에 대응한 방송 신호를 선국함으로써, 당해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스트림으로부터, 상위층 시그널링을 취득할 수 있다.
본 기술에서는, 이 상위층 시그널링에, 채널 본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 채널 본딩에 관한 정보로서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BS_ID)의 일람이나, 지역별의 주파수 정보로서,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와 주파수 대역의 대응을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L1D 시그널링 등의 물리층 시그널링에서는, 정보량을 적게 할 필요가 있지만, 상위층 시그널링에서는, 보다 많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수신 장치(30)에서는, 이 상위층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채널 본딩에 관한 정보를 처리함으로써, 물리층에서의 채널 본딩에 관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위층 시그널링은, 물리층보다도 상위의 상위층 시그널링이다. 이 상위층 시그널링에는, 예를 들어 ATSC 3.0으로 규정되는 SLT(Service List Table)의 bsid 속성으로 지정되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를 포함할 수 있다. SLT에 대해서는, 하기 비특허문헌 2의 「6.3.1 SLT Syntax Description」에 그 상세가 기재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2: ATSC Candidate Standard: Signaling, Delivery, Synchronization, and Error Protection (A/331)
<4. 송신측과 수신측의 처리의 예>
(송신 장치의 구성예)
도 9는, 도 3 또는 도 4의 송신 장치(10(10-1, 10-2))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에 있어서, 송신 장치(10)는, 수신부(101), 데이터 처리부(102), 및 송신부(103)로 구성된다.
수신부(101)는,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수신부(101)는, 통신 회선 등의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방송국측의 데이터 처리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처리부(102)에 공급한다.
또한, 채널 본딩이 행해지는 경우에 있어서, 방송국측의 데이터 처리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하나의 스트림으로부터 분할된 제1 분할 스트림과 제2 분할 스트림을 포함하는 데이터로 된다.
데이터 처리부(102)는, 예를 들어 각종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데이터 처리부(102)는, 수신부(101)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며, 소정의 방송 방식(예를 들어, ATSC 3.0 등)에 준거한 물리층 프레임을 생성하여, 송신부(103)에 공급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02)는, 생성부(1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생성부(111)는, 물리층 프레임을 생성할 때, 그 프리앰블에 배치되는 물리층 시그널링을 생성한다. 이 물리층 시그널링으로서는, 예를 들어 L1D 시그널링이 생성된다.
송신부(103)는, 변조기로서의 변조부(1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변조부(121)는, 데이터 처리부(102)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에 대해, 필요한 처리(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변조 처리 등)를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방송 신호(RF1 또는 RF2)를, 송신소(11)의 송신용 안테나에 의해 송신한다.
송신 장치(10)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다.
(수신 장치의 구성예)
도 10은, 도 3 또는 도 4의 수신 장치(3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수신 장치(30)는, 수신부(301), 데이터 처리부(302), 및 출력부(303)로 구성된다. 또한, 수신부(301)는, 수신부(301-1)와, 수신부(301-2)로 구성된다.
수신부(301-1)는, 예를 들어 튜너나 복조기 등으로서 구성된다. 수신부(301-1)는, 수신용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 신호(RF1')에 대해, 필요한 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302)에 공급한다. 또한, 수신부(301-1)는, 복조부(31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조부(311-1)는, 복조 LSI(Large Scale Integration) 등의 복조기로서 구성된다. 복조부(311-1)는, 수신된 방송 신호(RF1')에 대해, OFDM 복조 처리 등의 복조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이 복조 처리에서는, L1D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물리층 프레임이 처리되어, 방송 신호(RF1')에 포함되는 제1 분할 스트림이 얻어진다.
수신부(301-2)는, 예를 들어 튜너나 복조기 등으로 구성된다. 수신부(301-2)는, 수신용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 신호(RF2')에 대해, 필요한 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302)에 공급한다. 또한, 수신부(301-2)는, 복조부(3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조부(311-2)는, 복조 LSI 등의 복조기로서 구성되어, 수신된 방송 신호(RF2')에 대해, OFDM 복조 처리 등의 복조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이 복조 처리에서는, L1D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물리층 프레임이 처리되어, 방송 신호(RF2')에 포함되는 제2 분할 스트림이 얻어진다.
데이터 처리부(302)는, 예를 들어 시스템 온 칩(SoC: System On Chip) 등으로 구성된다. 데이터 처리부(302)는, 수신부(301-1) 및 수신부(301-2)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에 대해, 각종 신호 처리를 실시하고, 그것에 의해 얻어지는 데이터를, 출력부(303)에 공급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상위층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스트림의 복호 처리나 재생 처리 등이 행하여진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302)는, 처리부(3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처리부(321)는, 예를 들어 수신부(301-1)의 복조부(311-1)로부터의 제1 분할 스트림과, 수신부(301-2)의 복조부(311-2)로부터의 제2 분할 스트림을 합성하고, 원래의 스트림을 재구성(복원)한다.
출력부(303)는, 예를 들어 스피커나 표시 장치(예를 들어, LCD나 OLED) 등으로 구성된다. 출력부(303)는, 데이터 처리부(302)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 등의 콘텐츠의 영상이나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도 10의 구성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도 3 또는 도 4의 구성에 맞추어, 수신부(301-1)와 수신부(301-2)의 두 수신부가 마련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지만, 수신부(301)는, 채널 본딩으로 결합되는 RF 채널의 수에 따라 마련된다.
수신 장치(30)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다.
(송신측과 수신측의 처리의 흐름)
다음에, 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송신측과 수신측의 데이터 처리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송신측의 데이터 처리는, 도 3 또는 도 4의 송신 장치(10-1) 및 송신 장치(10-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로 되지만, 여기에서는, 송신 장치(10-1)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수신측 데이터 처리는, 도 3 또는 도 4의 수신 장치(30)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이다.
먼저, 송신 장치(10-1)에서는, 다음의 스텝 S11 내지 S13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11에서, 데이터 처리부(102)는, 하나의 스트림으로부터 분할된 제1 분할 스트림을 처리한다.
스텝 S12에서, 데이터 처리부(102)의 생성부(111)는, L1D 시그널링을 생성한다. 이 L1D 시그널링으로서는, 예를 들어 L1D_bsid=R11과, L1D_rf_id=0이 지정된다.
스텝 S13에서, 송신부(103)는, 스텝 S11의 처리로 처리된 제1 분할 스트림과, 스텝 S12의 처리로 생성된 L1D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RF1)를, 송신소(11-1)의 송신용 안테나에 의해 송신한다.
또한, 송신 장치(10-2)에 있어서도, 송신 장치(10-1)와 동일한 처리가 행해지고, 제2 분할 스트림과 L1D 시그널링(L1D_bsid=R11과, L1D_rf_id=1)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RF2)가, 송신소(11-2)의 송신용 안테나에 의해 송신된다.
또한, 송신 장치(10-1)에 의해 송신된 방송 신호(RF1)는, 중계소(21-1)의 중계 장치(20-1)에 의해 처리되어, 방송 신호(RF1')로서 송신된다. 한편, 송신 장치(10-2)에 의해 송신된 방송 신호(RF2)는, 중계소(21-2)의 중계 장치(20-2)에 의해 처리되어, 방송 신호(RF2')로서 송신된다.
다음에, 수신 장치(30)에서는, 다음의 스텝 S31 내지 S33의 처리가 실행된다.
스텝 S31에서, 수신부(301-1)는, 중계 장치(20-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방송 신호(RF1')를 수신한다. 또한, 스텝 S31에서, 수신부(301-2)는, 중계 장치(20-2)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방송 신호(RF2')를 수신한다.
스텝 S32에서, 수신부(301-1)의 복조부(311-1)는, 방송 신호(RF1')로부터 얻어지는 물리층 프레임에 포함되는 L1D 시그널링을 처리한다. 또한, 수신부(301-2)의 복조부(311-2)는, 방송 신호(RF2')로부터 얻어지는 물리층 프레임에 포함되는 L1D 시그널링을 처리한다.
여기서, 방송 신호(RF1')로부터 얻어지는 L1D 시그널링에는, L1D_bsid=R11과, L1D_rf_id=0이 지정되고, 방송 신호(RF2')로부터 얻어지는 L1D 시그널링에는, L1D_bsid=R11과, L1D_rf_id=1이 지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수신 장치(30)에 있어서는, 중계 장치(20-1, 20-2)를 경유하여 주파수 대역이 변경된 경우에도,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신호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텝 S33에서는, 스텝 S32의 처리에서 처리된 L1D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스트림이 처리된다.
여기에서는, 수신부(301-1)의 복조부(311-1)에 의해, 물리층 프레임이 처리되어, 방송 신호(RF1')에 포함되는 제1 분할 스트림이 얻어진다. 또한, 수신부(301-2)의 복조부(311-2)에 의해, 물리층 프레임이 처리되어, 방송 신호(RF2')에 포함되는 제2 분할 스트림이 얻어진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302)의 처리부(321)는, 제1 분할 스트림과 제2 분할 스트림을 합성하여, 원래의 스트림을 재구성(복원)한다. 이에 의해, 출력부(303)에서는, 방송 프로그램 등의 콘텐츠의 영상이나 음성이 출력된다.
이상, 송신측과 수신측의 데이터 처리에 대해 설명하였다.
<5. 변형예>
(다른 규격에 대한 적용)
상술한 설명으로서는, 디지털 방송의 규격으로서, 미국 등에서 채용되고 있는 방식인 ATSC(특히, ATSC 3.0)를 설명했지만, 본 기술은, 일본 등이 채용하는 방식인 ISDB(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나, 유럽의 각국 등이 채용하는 방식인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등에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IP 전송 방식이 채용되는 ATSC 3.0을 예로 하여 설명했지만, IP 전송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MPEG2-TS(Transport Stream) 방식 등의 다른 방식에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의 규격으로서는, 지상파 방송 외에, 방송 위성(BS: Broadcasting Satellite)이나 통신 위성(CS: Communications Satellite) 등을 이용한 위성 방송이나, 케이블 텔레비전(CATV) 등의 유선 방송 등의 규격에 적용할 수 있다.
(채널 본딩의 다른 예)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채널 본딩에 의해 결합되는 RF 채널이 둘인 경우를 예시했지만, 셋 이상의 RF 채널이, 채널 본딩에 의해 결합되게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채널 본딩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스트림은, 하나의 스트림으로부터 분할된 분할 스트림에 한정되지 않고, 수신 장치(30)측으로 처리 가능한 스트림이면, 다양한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시그널링이나 필드의 다른 명칭)
또한, 상술한 시그널링이나 그 필드의 명칭은, 일례이며, 다른 명칭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단, 이들 명칭의 차이는, 형식적인 차이이며, 대상의 시그널링이나 필드의 실질적인 내용이 다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L1D 시그널링은, 물리층 시그널링이며, 다른 명칭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L1D_bsid나 L1D_rf_id에 대해서도, 다른 명칭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은, 전송로로서, 방송망 이외의 전송로, 즉, 예를 들어 인터넷이나 전화망 등의 통신 회선(통신망) 등을 이용하는 것을 상정하여 규정되어 있는 소정의 규격(디지털 방송의 규격 이외의 규격)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방송 시스템(2)(도 3 또는 도 4)의 전송로로서, 인터넷이나 전화망 등의 통신 회선이 이용되고, 송신 장치(10)는, 인터넷 상에 마련된 서버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당해 통신 서버와, 수신 장치(30)가, 통신 회선 등의 전송로를 통하여 쌍방향의 통신을 행하게 된다.
<6. 컴퓨터의 구성>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인스톨된다. 도 12는,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컴퓨터(1000)에 있어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1001), ROM(Read Only Memory)(1002), RAM(Random Access Memory)(1003)은, 버스(100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버스(1004)에는, 추가로,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가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에는, 입력부(1006), 출력부(1007), 기록부(1008), 통신부(1009), 및 드라이브(1010)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부(1006)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 폰 등으로 이루어진다. 출력부(1007)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진다. 기록부(1008)는, 하드 디스크나 불휘발성의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통신부(1009)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으로 이루어진다. 드라이브(1010)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1011)를 구동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컴퓨터(1000)에서는, CPU(1001)가, ROM(1002)이나 기록부(1008)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 및 버스(1004)를 통하여, RAM(1003)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일련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컴퓨터(1000)(CPU(10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패키지 미디어 등으로서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1011)에 기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인터넷, 디지털 위성 방송과 같은,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1000)에서는, 프로그램은, 리무버블 기록 매체(1011)를 드라이브(1010)에 장착함으로써,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를 통하여, 기록부(10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해, 통신부(1009)에서 수신하여, 기록부(10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그밖의, 프로그램은 ROM(1002)이나 기록부(1008)에, 미리 인스톨해 둘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가 프로그램에 따라 행하는 처리는, 반드시 흐름도로서 기재된 순서를 따라서 시계열로 행해질 필요는 없다. 즉, 컴퓨터가 프로그램에 따라 행하는 처리는, 병렬적 또는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예를 들어, 병렬 처리 또는 오브젝트에 의한 처리)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은, 하나의 컴퓨터(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것이어도 되고, 복수의 컴퓨터에 의해 분산 처리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1)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의 그룹을 식별하는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그룹에 속하는 주파수 대역을 식별하는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한 물리층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물리층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이며, 중계 장치에 의해 주파수 대역이 변경되는 상기 방송 신호를,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
(2)
상기 제1 식별 정보는, 물리층의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는 식별자이며,
상기 제2 식별 정보는, 상기 그룹 내에서 고유한 값이며, 송신 시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는 식별자인
상기 (1)에 기재된 송신 장치.
(3)
상기 제1 식별 정보는, 상기 그룹 내에서 공통이며, 물리층의 주파수 대역 중, 상기 그룹 내의 어느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는 식별자인
상기 (2)에 기재된 송신 장치.
(4)
상기 물리층 시그널링은,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식별 정보의 조를, 1조만 포함하고 있는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송신 장치.
(5)
상기 물리층 시그널링은, 상기 그룹에 속하는 주파수 대역의 개수에 따른 루프 내에,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식별 정보의 조와 함께, 장래의 예약의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송신 장치.
(6)
상기 채널 본딩은, PLP(Physical Layer Pipe) 레벨에서 행하여지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송신 장치.
(7)
상기 채널 본딩의 대상 외 PLP에서, 물리층보다도 상위가 되는 상위층의 시그널링으로서, 상기 채널 본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6)에 기재된 송신 장치.
(8)
상기 방송 신호는, 상기 물리층 시그널링과 함께, 하나의 스트림으로부터 분할된 분할 스트림을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송신 장치.
(9)
상기 송신 장치는, 송신소에 설치되며,
상기 중계 장치는, 중계소에 설치되며,
상기 송신 장치와 상기 중계 장치는, 복수 주파수 네트워크(MFN: Multi Frequency Networks)를 구성하고 있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송신 장치.
(10)
송신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가,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의 그룹을 식별하는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그룹에 속하는 주파수 대역을 식별하는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한 물리층 시그널링을 생성하고,
상기 물리층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이며, 중계 장치에 의해 주파수 대역이 변경되는 상기 방송 신호를,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1)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방송 신호이며, 중계 장치에 의해 주파수 대역이 변경되는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물리층 시그널링이며,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의 그룹을 식별하는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그룹에 속하는 주파수 대역을 식별하는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한 상기 물리층 시그널링을 처리하는
수신 장치.
(12)
상기 제1 식별 정보는, 물리층의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는 식별자이며,
상기 제2 식별 정보는, 상기 그룹 내에서 고유한 값이며, 송신 시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는 식별자인
상기 (11)에 기재된 수신 장치.
(13)
상기 제1 식별 정보는, 상기 그룹 내에서 공통이며, 물리층의 주파수 대역 중, 상기 그룹 내의 어느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는 식별자인
상기 (12)에 기재된 수신 장치.
(14)
상기 물리층 시그널링은,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식별 정보의 조를, 1조만 포함하고 있는
상기 (12) 또는 (13)에 기재된 수신 장치.
(15)
상기 물리층 시그널링은, 상기 그룹에 속하는 주파수 대역의 개수에 따른 루프 내에,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식별 정보의 조와 함께, 장래의 예약의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상기 (12) 또는 (13)에 기재된 수신 장치.
(16)
상기 채널 본딩은, PLP 레벨에서 행하여지는
상기 (1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신 장치.
(17)
상기 채널 본딩의 대상 외 PLP에서, 물리층보다도 상위가 되는 상위층의 시그널링으로서, 상기 채널 본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16)에 기재된 수신 장치.
(18)
상기 방송 신호는, 상기 물리층 시그널링과 함께, 하나의 스트림으로부터 분할된 분할 스트림을 포함하고,
상기 분할 스트림을 처리하는 처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채널 본딩에서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별로 마련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복수의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복수의 분할 스트림을 처리하여, 원래의 스트림을 재구성하는
상기 (1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신 장치.
(19)
상기 송신 장치는, 송신소에 설치되며,
상기 중계 장치는, 중계소에 설치되며,
상기 송신 장치와 상기 중계 장치는, 복수 주파수 네트워크(MFN)를 구성하고 있는
상기 (1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신 장치.
(20)
수신 장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가,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방송 신호이며, 중계 장치에 의해 주파수 대역이 변경되는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물리층 시그널링이며,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의 그룹을 식별하는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그룹에 속하는 주파수 대역을 식별하는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한 상기 물리층 시그널링을 처리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2: 방송 시스템
10, 10-1, 10-2: 송신 장치
20, 20-1, 20-2: 중계 장치
30: 수신 장치
101: 수신부
102: 데이터 처리부
103: 송신부
111: 생성부
121: 변조부
301, 301-1, 301-2: 수신부
302: 데이터 처리부
303: 출력부
311-1, 311-2: 복조부
321: 처리부
1000: 컴퓨터
1001: CPU

Claims (20)

  1.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의 그룹을 식별하는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그룹에 속하는 주파수 대역을 식별하는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한 물리층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물리층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이며, 중계 장치에 의해 주파수 대역이 변경되는 상기 방송 신호를,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정보는, 물리층의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는 식별자이며,
    상기 제2 식별 정보는, 상기 그룹 내에서 고유한 값이며, 송신 시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는 식별자인 송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정보는, 상기 그룹 내에서 공통이며, 물리층의 주파수 대역 중, 상기 그룹 내의 어느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는 식별자인 송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층 시그널링은,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식별 정보의 조를, 1조만 포함하고 있는 송신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층 시그널링은, 상기 그룹에 속하는 주파수 대역의 개수에 따른 루프 내에,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식별 정보의 조와 함께, 장래의 예약의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송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본딩은, PLP(Physical Layer Pipe) 레벨에서 행하여지는, 송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본딩의 대상 외 PLP에서, 물리층보다도 상위가 되는 상위층의 시그널링으로서, 상기 채널 본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상기 물리층 시그널링과 함께, 하나의 스트림으로부터 분할된 분할 스트림을 포함하는 송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송신소에 설치되며,
    상기 중계 장치는, 중계소에 설치되며,
    상기 송신 장치와 상기 중계 장치는, 복수 주파수 네트워크(MFN: Multi Frequency Networks)를 구성하고 있는 송신 장치.
  10. 송신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가,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의 그룹을 식별하는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그룹에 속하는 주파수 대역을 식별하는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한 물리층 시그널링을 생성하고,
    상기 물리층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이며, 중계 장치에 의해 주파수 대역이 변경되는 상기 방송 신호를,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1.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방송 신호이며, 중계 장치에 의해 주파수 대역이 변경되는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물리층 시그널링이며,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의 그룹을 식별하는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그룹에 속하는 주파수 대역을 식별하는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한 상기 물리층 시그널링을 처리하는 수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정보는, 물리층의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는 식별자이며,
    상기 제2 식별 정보는, 상기 그룹 내에서 고유한 값이며, 송신 시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는 식별자인 수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정보는, 상기 그룹 내에서 공통이며, 물리층의 주파수 대역 중, 상기 그룹 내의 어느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는 식별자인 수신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층 시그널링은,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식별 정보의 조를, 1조만 포함하고 있는, 수신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층 시그널링은, 상기 그룹에 속하는 주파수 대역의 개수에 따른 루프 내에,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제2 식별 정보의 조와 함께, 장래의 예약의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수신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본딩은, PLP 레벨에서 행하여지는, 수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본딩의 대상 외 PLP에서, 물리층보다도 상위가 되는 상위층의 시그널링으로서, 상기 채널 본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상기 물리층 시그널링과 함께, 하나의 스트림으로부터 분할된 분할 스트림을 포함하고,
    상기 분할 스트림을 처리하는 처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채널 본딩에서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별로 마련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복수의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복수의 분할 스트림을 처리하여, 원래의 스트림을 재구성하는, 수신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송신소에 설치되며,
    상기 중계 장치는, 중계소에 설치되며,
    상기 송신 장치와 상기 중계 장치는, 복수 주파수 네트워크(MFN)를 구성하고 있는, 수신 장치.
  20. 수신 장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가,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방송 신호이며, 중계 장치에 의해 주파수 대역이 변경되는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물리층 시그널링이며, 채널 본딩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의 그룹을 식별하는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그룹에 속하는 주파수 대역을 식별하는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한 상기 물리층 시그널링을 처리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0197022970A 2017-03-07 2018-02-21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4199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42721 2017-03-07
JPJP-P-2017-042721 2017-03-07
PCT/JP2018/006115 WO2018163813A1 (ja) 2017-03-07 2018-02-21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572A KR20190118572A (ko) 2019-10-18
KR102419941B1 true KR102419941B1 (ko) 2022-07-13

Family

ID=63447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970A KR102419941B1 (ko) 2017-03-07 2018-02-21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12844B2 (ko)
JP (1) JP7062637B2 (ko)
KR (1) KR102419941B1 (ko)
WO (1) WO2018163813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4665A (ja) * 2006-11-09 2008-05-29 Japan Radio Co Ltd 中継装置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放送システム
SG11201604498XA (en) 2013-12-09 2016-07-28 Sony Corp Data process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CA3104173C (en) * 2015-09-04 2023-06-27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 for signaling caption asset information and device for signaling caption asset information
US10848798B2 (en) * 2016-06-01 2020-11-24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and method
US20180026846A1 (en) * 2016-07-19 2018-01-25 Qualcomm Incorporated Compatible channel bonding service management
CA3045597A1 (en) * 2016-12-02 2018-06-07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and metho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TSC Standard: Physical Layer Protocol (A/322), 2017.02.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62637B2 (ja) 2022-05-06
KR20190118572A (ko) 2019-10-18
US10812844B2 (en) 2020-10-20
JPWO2018163813A1 (ja) 2019-12-26
WO2018163813A1 (ja) 2018-09-13
US20190387260A1 (en)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16777B (zh) 发送设备及其发送方法
JP4537414B2 (ja) AMC(AdvancedModulationandCoding)モードのブラインド識別
JP7120423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5080470B2 (ja) 信号送信のためのスクランブリングコードを決定する方法と装置
KR102634779B1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JP200853537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でロバスト受信を提供する方法及び装置
EP2965454B1 (en) Mimo receiving apparatus and mimo preprocessing apparatus
JP7011586B2 (ja) 受信装置
CN102111370A (zh) 接收装置、接收方法、程序和接收系统
US10404351B2 (en) Layered division multiplexing-based broadcast relay apparatus and method
CN102362451B (zh) 发送设备和方法以及接收设备和方法
KR101722364B1 (ko)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KR102452146B1 (ko) 시그널링 방법들 및 장치
KR102419941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87309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KR102438485B1 (ko)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
US201603531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ing information in digital broadcast system
US9548765B2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126319A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90122700A (ko)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658319B1 (ko) 계층 분할 다중화 기술과 다중 송수신 안테나 기술의 결합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JP2009253838A (ja) Ofdm送信装置とその周波数変換装置
JP2020127159A (ja) 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送受信方法
CN108259147A (zh) Ofdm符号的发送、接收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