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485B1 -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8485B1 KR102438485B1 KR1020177009885A KR20177009885A KR102438485B1 KR 102438485 B1 KR102438485 B1 KR 102438485B1 KR 1020177009885 A KR1020177009885 A KR 1020177009885A KR 20177009885 A KR20177009885 A KR 20177009885A KR 102438485 B1 KR102438485 B1 KR 1024384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nnel
- data
- stream
- frequency band
- channel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04H20/33—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by plural channe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2—Arrangements for resource manage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6—Characteristics of the server or Internal components of the serv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6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in that the receiver comprises more than one tun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수신 장치는 복수의 수신기 및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복수의 수신기는 BB(BaseBand) 프레임의 스트림인 BB 스트림의 BB 프레임을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로 분배함으로써 얻어진 복수의 분할 스트림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회로는 연결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할 스트림으로부터 BB 스트림을 재구성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분할 스트림은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이용 가능하게 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기술은, 예를 들어 DVB-C2 규격 및 ATSC3.0 규격에 의해 규정되는 채널 본딩에 적용된다.
Description
본 기술은,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채널 본딩에 있어서 수신측의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주파수 대역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는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4년 12월 17일자로 출원된 일본 우선권 특허 출원 JP2014-255295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디지털 방송에 있어서, 높은 데이터 레이트의 스트림을 복수(채널)의 분할 스트림으로 분할해서 전송하고, 수신측에 있어서 복수의 분할 스트림을 원래의 데이터 레이트의 스트림으로 재구성하는 채널 본딩(channel bonding)이 알려져 있다.
DVB-C2(digital video broadcasting-cable second generation) 규격에 있어서는, 채널 본딩의 하나로서, PLP 번들링(PLP(physical layer pipe) bundling)이 규정되어 있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참조). 또한, ATSC3.0으로 칭해지는, 차세대의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standards) 규격에 있어서도, 채널 본딩이 채택되는 것으로 예상되어 있다.
DVB-C2: ETSI EN 302 769 V 1.2.1(2011-04)
채널 본딩에 있어서는, 복수의 분할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연결시킴으로써 이용 가능한 주파수의 대역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수신측의 수신 장치에서는, 채널을 연결시킴으로써 증가한 주파수 대역을 수신하기 위한 RF 튜너 및 복조기를 별도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채널 본딩에 있어서, 수신측의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주파수 대역을 유효하게 활용할 필요가 있었다.
본 기술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기술은, 채널 본딩에 있어서 수신측의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주파수 대역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본 기술의 제1 양태에 따른 수신 장치는, BB(BaseBand) 프레임의 스트림인 BB 스트림의 BB 프레임을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로 분배함으로써 얻어진 복수의 분할 스트림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수신기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이다. 수신 장치는, 연결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BB 스트림을 재구성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분할 스트림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이용 가능하게 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기술의 제1 양태에 따른 수신 장치는, 독립한 장치일 수 있고, 1개의 장치를 형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일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의 제1 양태에 따른 수신 방법은, 상술한 본 기술의 제1 양태에 따른 수신 장치에 대응하는 수신 방법이다. 상기 수신 장치의 수신 방법은, 상기 수신 장치의 복수의 수신기에 의해, 상기 BB 프레임의 스트림인 BB 스트림의 BaseBand(BB) 프레임을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로 분배함으로써 얻어진 복수의 분할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연결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장치의 처리 회로에 의해, 상기 복수의 분할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BB 스트림을 재구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복수의 분할 스트림은,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이용 가능하게 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기술의 제1 양태에 따른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에 있어서는,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채널을 연결함으로써 이용 가능하게 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분할 스트림을, 복수의 수신기가 수신 가능하게 하는 연결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할 스트림으로부터, BB 스트림이 재구성된다.
본 기술의 제2 양태에 따른 전송 장치는, BB 프레임의 스트림인 BB 스트림의 BaseBand(BB) 프레임을,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로 분배함으로써 얻어진 복수의 분할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연결함으로써 이용 가능하게 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분할 스트림을, 수신 장치가 수신 가능하게 하는 연결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제어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전송 장치이다. 전송 장치는, 상기 복수의 분할 스트림과 함께, 상기 전송 제어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유닛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기술의 제2 양태에 따른 전송 장치는, 독립한 장치일 수 있고, 1개의 장치를 형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일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의 제2 양태에 따른 전송 방법은, 상술한 본 기술의 제2 양태에 따른 전송 장치에 대응하는 전송 방법이다. 전송 장치의 전송 방법은, 상기 BB 프레임의 스트림인 BB 스트림의 BaseBand(BB) 프레임을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로 분배함으로써 얻어진 상기 복수의 분할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연결함으로써 이용 가능하게 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분할 스트림을, 수신 장치가 수신하게 하는 연결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제어 정보를 처리 회로에 의해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전송 유닛에 의해, 상기 복수의 분할 스트림과 함께 상기 전송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기술의 제2 양태에 따른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에 있어서는, BB 프레임의 스트림인 BB 스트림의 BB 프레임을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로 분배함으로써 얻어진 복수의 분할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한 채널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채널을 연결함으로써 이용 가능하게 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분할 스트림을, 수신되게 하는 연결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제어 정보가 생성된다. 또한, 전송 제어 정보는 복수의 분할 스트림과 함께 전송된다.
본 기술의 제1 양태 및 제2 양태에 의하면, 채널 본딩에 있어서, 수신측의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주파수 대역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효과는 제한되지 않으며, 그 효과는 본 개시 내용에 설명된 임의의 효과일 수 있다.
도 1은 본 기술을 적용한 전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의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채널 본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채널 본딩에 있어서의 수신측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단순 확장의 연결 채널 본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단순 확장의 연결 채널 본딩에 있어서의 수신측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DVB-C2 규격(J.382 방식)의 연결 채널 본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DVB-C2 규격(J.382 방식)의 연결 채널 본딩에 있어서의 수신측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DVB-C2 규격(J.382 방식)의 연결 채널 본딩에 있어서 광대역 튜너를 이용한 경우의 수신측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DVB-C2 규격에 대응하는 운용 예 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운용 예 1에 사용되는 L1 시그널링 정보의 데이터 필드의 테이블이다.
도 11은 전송 장치의 구성예의 도면이다.
도 12는 운용 예 1에 대응하는 전송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운용 예 1에 대응하는 채널 본딩 전송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수신 장치의 구조예의 도면이다.
도 15는 운용 예 1에 대응하는 수신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운용 예 1에 대응하는 채널 본딩 수신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ATSC3.0 규격의 채널 본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상이한 채널의 채널 본딩에 대응하는 통상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운용 예 2에 사용되는 L1 시그널링 정보의 배치 예의 도면이다.
도 20은 연결 2 채널의 채널 본딩에 대응하는 확장 모드 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연결 3 채널의 채널 본딩에 대응하는 확장 모드 2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연결 4 채널의 채널 본딩에 대응하는 확장 모드 3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연결 8 채널의 채널 본딩에 대응하는 확장 모드 7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예시적인 대역폭 모드(BANDWIDTH_MODE)의 도면이다.
도 25는 운용 예 2에 대응하는 채널 본딩 전송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6은 운용 예 2에 대응하는 채널 본딩 수신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7은 컴퓨터의 구성예의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채널 본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채널 본딩에 있어서의 수신측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단순 확장의 연결 채널 본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단순 확장의 연결 채널 본딩에 있어서의 수신측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DVB-C2 규격(J.382 방식)의 연결 채널 본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DVB-C2 규격(J.382 방식)의 연결 채널 본딩에 있어서의 수신측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DVB-C2 규격(J.382 방식)의 연결 채널 본딩에 있어서 광대역 튜너를 이용한 경우의 수신측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DVB-C2 규격에 대응하는 운용 예 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운용 예 1에 사용되는 L1 시그널링 정보의 데이터 필드의 테이블이다.
도 11은 전송 장치의 구성예의 도면이다.
도 12는 운용 예 1에 대응하는 전송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운용 예 1에 대응하는 채널 본딩 전송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수신 장치의 구조예의 도면이다.
도 15는 운용 예 1에 대응하는 수신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운용 예 1에 대응하는 채널 본딩 수신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ATSC3.0 규격의 채널 본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상이한 채널의 채널 본딩에 대응하는 통상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운용 예 2에 사용되는 L1 시그널링 정보의 배치 예의 도면이다.
도 20은 연결 2 채널의 채널 본딩에 대응하는 확장 모드 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연결 3 채널의 채널 본딩에 대응하는 확장 모드 2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연결 4 채널의 채널 본딩에 대응하는 확장 모드 3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연결 8 채널의 채널 본딩에 대응하는 확장 모드 7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예시적인 대역폭 모드(BANDWIDTH_MODE)의 도면이다.
도 25는 운용 예 2에 대응하는 채널 본딩 전송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6은 운용 예 2에 대응하는 채널 본딩 수신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7은 컴퓨터의 구성예의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기술에 따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설명된다.
1. 시스템의 구성
2. 채널 본딩의 개요
3. 본 기술을 적용한 채널 본딩의 설명
(1) 운용 예 1: DVB-C2 규격에 대응
(2) 운용 예 2: ATSC3.0 규격에 대응
4. 컴퓨터의 구성
<1.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기술을 적용한 전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 구성의 도면이다. 시스템은, 논리적으로 집합한 복수의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전송 시스템(1)은, 전송 장치(10)와 수신 장치(20)를 포함한다.
전송 장치(10)는, 예를 들어 TV 프로그램 등을 전송한다. 즉, 전송 장치(10)는, TV 프로그램으로서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등의 전송될 데이터의 스트림을, 디지털 방송 신호로서, 전송로(30)를 통해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전송로(30)는 케이블 텔레비전 네트워크, 지상파, 및 위성 채널이다.
수신 장치(20)는, 전송 장치(10)로부터 전송로(30)를 통해 전송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원래의 스트림으로 복원한 다음, 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수신 장치(20)는, TV 프로그램으로서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도 1의 전송 시스템(1)은, DVB-C2 규격 및 ATSC3.0 규격에 준거한 디지털 방송(데이터 전송) 외에, DVB-T2 규격, DVB-S2 규격, ISDB(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 등의 규격에 준거한 디지털 방송, 및 기타의 디지털 방송에 적용할 수 있다.
<2. 채널 본딩의 개요>
(일반적인 채널 본딩)
도 2는, 일반적인 채널 본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일반적인 채널 본딩에서는, 6MHz의 대역폭을 갖는 채널은, 단일 스트림으로부터 분할된 분할 스트림 1(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RF1))을 전송하고, 6MHz의 대역폭을 갖는 상이한 채널은, 상기 단일 스트림으로부터 분할된 분할 스트림 2(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RF2))를 전송한다. 그러나, 각각의 채널에 있어서는, 6MHz의 대역폭 중, 5.71MHz의 대역폭이 데이터 전송에 이용되어 있다. 또한, 채널 본딩에서 이용되는 채널은, 서로 인접할 필요는 없다. 채널 본딩에서 이용되는 채널들 간의 채널은, 채널 본딩과는 관계가 없는 상이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전송 장치(10)가, 일반적인 채널 본딩에 의한 분할 스트림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RF1 및 RF2)를 전송하는 경우, 수신 장치(20)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즉, 수신 장치(20)는, 내부에 제공된 RF 튜너 유닛(212)과 복조기(213)를 포함한다. RF 튜너 유닛(212)과 복조기(213)의 수는 단일 스트림으로부터 분할된 분할 스트림이 전송되는 채널의 수에 따른다. RF 튜너 유닛(212)과 복조기(213)는 복수의 분할 스트림에 대한 처리를 행한다. 도 3에 있어서는, 2개의 채널에서 분할 스트림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RF1 및 RF2)가 전송되므로, 수신 장치(20)는 내부에 제공된 RF 튜너 유닛(212-1 및 212-2)과 복조기(213-1 및 213-2)를 갖는다. RF 튜너 유닛(212)은, 예를 들어 5MHz, 6MHz, 7MHz, 및 8MHz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수신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의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RF 튜너 유닛(212-1)과 복조기(213-1)에 의해 처리를 행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신호(RF1)로부터 분할 스트림 1이 추출된다. 또한, RF 튜너 유닛(212-2)과 복조기(213-2)에 의해 처리를 행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신호(RF2)로부터 분할 스트림 2가 추출된다. 합성 유닛(214)은, 추출된 분할 스트림 1과 2를 합성하고, 원래의 스트림이 복원(재구성)된다.
(단순 확장의 연결 채널 본딩)
도 4는, 단순 확장의 연결 채널 본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단순 확장의 연결 채널 본딩에서는, 단일 스트림으로부터 분할된 분할 스트림 1(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RF1))과 분할 스트림 2(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RF2))가 서로 인접하는 6MHz의 대역폭을 포함하는 채널에 의해 전송된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채널에 있어서는, 6MHz의 대역폭 중, 5.71MHz의 대역폭은 데이터 전송에 이용된다. 그러나, 채널들 간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의 가드 밴드(guard band)의 부분의 대역폭을 유효하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전송 장치(10)가, 단순 확장의 연결 채널 본딩에 의한 분할 스트림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RF1 및 RF2)를 전송하는 경우, 수신 장치(20)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즉, 도 3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도 5에 예시된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RF 튜너 유닛(212-1)과 복조기(213-1)에 의해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디지털 방송 신호(RF1)로부터 분할 스트림 1이 추출된다. 또한, RF 튜너 유닛(212-2)과 복조기(213-2)에 의해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디지털 방송 신호(RF2)로부터 분할 스트림 2가 추출된다. 합성 유닛(214)은, 추출된 분할 스트림 1과 2를 합성하고, 원래의 스트림이 복원(재구성)된다.
(DVB-C2 규격(J.382 방식)의 연결 채널 본딩)
도 6은, DVB-C2 규격(J.382 방식)의 연결 채널 본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J.382 방식은, 차세대 케이블 텔레비전 전송 방식 중 하나이다.
상술한 단순 확장의 연결 채널 본딩에서는, 채널들 간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의 가드 밴드(guard band)의 부분의 대역폭을 유효하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설명했다. 그러나, DVB-C2 규격(J.382 방식)에서는, 채널들 간의 연결 부분에서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규격화되어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DVB-C2 규격(J.382 방식)의 연결 채널 본딩(연결 PLP 번들링)에서는, 분할 스트림으로서 단일 스트림(physical layer pipe: PLP)로부터 분할되는 데이터 슬라이스 0과 1(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DS0 및 DS1))이 전송된다. 서로 인접하는 각각의 채널에 있어서는, 6MHz의 대역폭 중, 5.71MHz의 대역폭이 데이터 전송에 이용된다. 채널들 간의 연결 부분에서의 0.295MHz의 대역폭에서는, 분할 스트림으로서 단일 스트림(PLP)으로부터 분할되는 데이터 슬라이스 2(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DS2))가 전송된다.
여기서, 전송 장치(10)가, DVB-C2 규격(J.382 방식)의 연결 채널 본딩에 의한 데이터 슬라이스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DS0, DS1, 및 DS2)를 전송하는 경우, 수신 장치(20)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즉, 도 7의 수신 장치(20)는, 내부에 제공된 RF 튜너 유닛(212)과 복조기(213)를 포함한다. RF 튜너 유닛(212)과 복조기(213)의 수는 단일 스트림으로부터 분할된 분할 스트림으로서의 데이터 슬라이스의 수에 따른다. RF 튜너 유닛(212)과 복조기(213)는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에 대한 처리를 행한다. 도 7에 있어서는, 3개의 데이터 슬라이스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DS0, DS1, 및 DS2)가 전송되므로, 수신 장치(20)에는, RF 튜너 유닛(212-1, 212-2, 및 212-3)과 복조기(213-1, 213-2, 및 213-3)가 제공된다.
도 7의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RF 튜너 유닛(212-1)과 복조기(213-1)에 의해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디지털 방송 신호(DS0)로부터 데이터 슬라이스 0이 추출되고, RF 튜너 유닛(212-2)과 복조기(213-2)에 의해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디지털 방송 신호(DS1)로부터 데이터 슬라이스 1이 추출된다. 또한, RF 튜너 유닛(212-3)과 복조기(213-3)에 의해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디지털 방송 신호(DS2)로부터 데이터 슬라이스 2가 추출된다. 합성 유닛(214)은, 추출된 데이터 슬라이스 0 내지 2를 합성하고, 원래의 스트림이 복원(재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DVB-C2 규격(J.382 방식)의 연결 채널 본딩에서는, 채널을 연결함으로써 증가한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채널을 연결함으로써 이용 가능하게 되는 채널의 연결 부분의 대역폭)을 유효하게 활용해서 데이터 슬라이스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수신 장치(20)(도 7)가, 채널을 연결함으로써 이용 가능하게 되는 대역폭에서 전송된 데이터 슬라이스에 대한 처리를 행하기 위한 내부에 제공된 RF 튜너 유닛(212-3)과 복조기(213-3)를 가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이것은, DVB-C2 규격(J.382 방식)에 있어서, 각각의 채널에서 전송된 데이터 슬라이스의 주파수 대역의 폭이 제한되기 때문에, 채널을 연결함으로써 이용 가능하게 되는 대역폭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다른 데이터 슬라이스로서 전송할 필요가 있고, RF 튜너 유닛(212-1)과 복조기(213-1), 및 RF 튜너 유닛(212-2)과 복조기(213-2)가 처리를 행하기는 어렵다. 데이터 슬라이스의 최대값(폭)은, 상술한 비특허문헌 1인 "9.4.1.2 Maximum width of Data Slices"에 규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채널을 연결함으로써 이용 가능하게 되는 대역폭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도, 수신 장치(20)에, RF 튜너 유닛(212-3)과 복조기(213-3)가 추가되는 경우에, 전송측에 유효하다. 그러나, 이는 수신측의 비용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수신측의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채널을 연결함으로써 이용 가능하게 되는 대역폭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20)에, 광대역 주파수에 대응하는 RF광대역 튜너 유닛(212)을 제공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결국, 채널을 연결함으로써 이용 가능하게 되는 대역폭에서 전송된 데이터 슬라이스에 대한 처리를 행하기 위한 복조기(213-3)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기술을 적용한 채널 본딩에서는, 수신측의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채널을 연결함으로써 이용 가능하게 되는 대역폭을 유효하게 활용한 채널 본딩이 실현될 수 있다. 이하, 본 기술을 적용한 채널 본딩에 대해서는, DVB-C2 규격에 대응하는 운용 예 1과 ATSC3.0 규격에 대응하는 운용 예 2를 예시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3. 본 기술을 적용한 채널 본딩의 설명>
(1) 운용 예 1
(PLP 번들링의 개요)최근, 소위 8K 등의 고해상도의 화상을 전송하는 디지털 방송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8K 해상도의 화상에 대해서는,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방식을 이용하여 부호화를 행한 경우에, 그 부호화에 의해 얻어진 높은 데이터 레이트의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스루풋은, 100Mbps 정도가 된다. 이러한 높은 데이터 레이트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PLP가, 단일 데이터 슬라이스(Data Slice)로 전송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DVB-C2 규격에서는, 채널 본딩의 한 종류인 PLP 번들링에 의해, 단일 PLP로서의 실제 데이터를 BB(BaseBand) 프레임 단위로 분할하고, 실제 데이터를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로 전송할 수 있도록 규격화되어 있다.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전송 장치(10)로부터 전송된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를 수신하고 이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에 대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단일 PLP로서의 실제 데이터가 재구성된다.
DVB-C2 규격에서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대역(주파수 대역)이 예를 들어, (약) 6MHz 단위로 분할된다. 지금, 6MHz 단위로 분할된 단일 전송 대역을, 단위 전송 대역이라고 가정한다. 수신 장치(20)에서는, 원하는 TV 프로그램의 실제 데이터의 PLP를 포함하는 데이터 슬라이스가 전송되는 단위 전송 대역의 OFDM 신호가 수신되어, 그 OFDM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 슬라이스에 대해 처리가 수행된다.
(운용 예 1의 개요)
도 9는, DVB-C2 규격에 대응하는 운용 예 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에 있어서, 좌측의 주파수 대역이, 현행의 DVB-C2 규격(J.382 방식)에 대응하는 PLP 번들링의 대상이 되는 채널을 나타내고, 우측의 주파수 대역이, 본 기술을 적용한 운용 예 1에 대응하는 PLP 번들링의 대상이 되는 채널을 나타낸다
도 9의 좌측 주파수 대역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현행의 DVB-C2 규격(J.382 방식)의 연결 채널 본딩에서는, 도 6 및 도 8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채널을 연결함으로써 이용 가능하게 되는 대역폭을 유효하게 활용해서 데이터 슬라이스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채널을 연결함으로써 이용 가능하게 되는 대역폭에서 전송된 데이터 슬라이스 2(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DS2))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복조기(213-3)(및 RF 튜너 유닛(212-3))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송측에 유효하다. 그러나,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측에 대한 비용의 증가를 야기한다.
한편, 본 기술을 적용한 운용 예 1에 있어서는, 각각의 채널에서 전송된 데이터 슬라이스의 주파수 대역 폭의 제한이 해제되어, 그 최대값(폭)이 가변으로 된다. 이에 따라, 채널을 연결함으로써 이용 가능하게 되는 대역폭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고, 또한 수신측의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즉, 현행의 DVB-C2 규격(J.382 방식)의 연결 채널 본딩(연결 PLP 번들링)에서는, 각각의 채널에 있어서, 6MHz의 대역폭 중, 5.71MHz의 대역폭이 데이터 전송에 이용되기 때문에, 채널을 연결함으로써 0.295MHz의 대역폭이 이용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본 기술을 적용한 운용 예 1에서는, 데이터 슬라이스의 최대값(폭)이 가변으로 되어, 각각의 채널에 있어서, 5.86MHz(5.71MHz + 0.15MHz(0.295/2MHz))의 대역폭이 데이터 전송에 이용될 수 있다.
즉, 본 기술을 적용한 운용 예 1에 있어서는, 각각의 채널에서 전송된 데이터 슬라이스의 최대값(폭)이 가변으로 되고, 각각의 데이터 슬라이스로 전송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값이 설정될 수 있어, 현행의 DVB-C2 규격(J.382 방식)의 연결 채널 본딩(도 6 및 도 8)에 있어서의 데이터 슬라이스 2로 전송된 데이터가, 데이터 슬라이스 0과 1로 분배된다고 말할 수 있다.
본 기술을 적용한 운용 예 1에서는, 각각의 채널에서 전송된 데이터 슬라이스의 주파수 대역 폭의 제한을 해제(약간 완화)해서 그 최대값(폭)을 가변으로 하기 위해서, 버전 정보와 확장 모드 중 적어도 하나가 정의된다. 즉, 각각의 채널에서 전송된 데이터 슬라이스의 최대값(폭)을 관리하기 위한 버전 정보가 정의된다. 예를 들어, 이 버전 정보가 나타내는 버전이 갱신된 경우에, 데이터 슬라이스의 최대값(폭)을 3408(OFDM 캐리어)로부터 3496(OFDM 캐리어)로 변경해서 최대값(폭)의 제한을 해제함으로써, 채널을 연결함으로써 이용 가능하게 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된 데이터가, 데이터 슬라이스 0과 1로 분배되게 한다.
또한, 데이터 슬라이스의 최대값(폭)의 변경의 유무를 나타내는 확장 모드가 정의된다. 예를 들어, 확장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통상 모드의 경우에는, 데이터 슬라이스의 최대값(폭)은 3408(OFDM 캐리어)이다. 한편, 확장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데이터 슬라이스의 최대값(폭)의 제한(3408(OFDM 캐리어))을 해제함으로써, 채널을 연결함으로써 이용 가능하게 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된 데이터가, 데이터 슬라이스 0과 1로 분배되게 한다.
여기서, 버전 정보와 확장 모드는, 예를 들어 OFDM 파라미터, 데이터 슬라이스, PLP, 및 노치 밴드에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제어 정보인 L1 시그널링 정보로서 정의될 수 있다. 즉, 버전 정보와 확장 모드는, 현행의 DVB-C2 규격(J.382 방식)에 사용된 L1 시그널링 정보로서 정의될 수 있다.
(L1 시그널링 정보의 구조)
도 10은, 운용 예 1에서 사용된 L1 시그널링 정보의 데이터 필드의 테이블이다.
16비트의 NETWORK_ID는, 현재의 네트워크를 일의적으로 식별하는 네트워크 ID를 나타내고 있다. 16비트의 C2_SYSTEM_ID는, 네트워크 ID에 따라 식별된 네트워크 내의 C2 시스템을 일의적으로 식별하는 C2 시스템 ID를 나타내고 있다.
24비트의 START_FREQUENCY는, 현재의 C2 시스템의 개시 주파수를, 0Hz로부터의 거리로서 나타내고, 현재의 C2 시스템의 캐리어 간격의 정수배로서 unsigned int의 값을 갖는다. 16비트의 C2_BANDWIDTH는, 현재의 C2 시스템의 대역폭을 나타내고 있다.
2비트의 GUARD_INTERVAL은, 현재의 C2 프레임의 가드 인터벌을 나타내고 있다. 10비트의 C2_FRAME_LENGTH는, 각각의 C2 프레임마다의 데이터 심볼의 수를 나타내고 있다. 8비트의 L1_PART2_CHANGE_COUNTER는, 구성이 변하는 장소 앞에 있는 C2 프레임의 수를 나타내고 있다.
8비트의 NUM_DSLICE는, 현재의 C2 프레임 내에서 전송된 데이터 슬라이스의 수를 나타내고 있다. 4비트의 NUM_NOTCH는, 노치 밴드의 수를 나타내고 있다.
데이터 슬라이스의 수에 따른 데이터 슬라이스 루프에는, 이하의 필드가 배치된다. 8비트의 DSLICE_ID는, C2 시스템 내에서 데이터 슬라이스를 일의적으로 식별하는 데이터 슬라이스 ID를 나타내고 있다. 13비트 또는 14비트의 DSLICE_TUNE_POS는, 데이터 슬라이스의 튜닝 위치를, START_FREQUENCY의 상대값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8비트 또는 9비트의 DSLICE_OFFSET_LEFT는, 관련된 데이터 슬라이스의 개시 위치를, 튜닝 위치로부터 왼쪽으로의 거리로서 나타내고 있다. 8비트 또는 9비트의 DSLICE_OFFSET_RIGHT는, 관련된 데이터 슬라이스의 개시 위치를, 튜닝 위치로부터 우측으로의 거리로서 나타내고 있다. 후술하는 리저브드(reserved) 영역(2)에, EXTENDED_DS로서 확장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DSLICE_OFFSET_LEFT와 DSLICE_OFFSET_RIGHT에 따라, 데이터 슬라이스의 최대값(폭)이 설정되게 된다.
2비트의 DSLICE_TI_DEPTH는, 관련된 데이터 슬라이스 내에서의 시간 인터리빙의 깊이를 나타내고 있다. 1비트의 DSLICE_TYPE는, 관련된 데이터 슬라이스의 타입을 나타내고 있다. DSLICE_TYPE가 "1"인 경우, 1비트의 FEC_HEADER_TYPE가 배치된다. FEC_HEADER_TYPE는, 관련된 데이터 슬라이스 내의 FEC 프레임 헤더의 타입을 나타내고 있다.
1비트의 DSLICE_CONST_CONF는, 관련된 데이터 슬라이스의 구성이 가변인가 또는 고정인가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필드의 값이 "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관련된 데이터 슬라이스의 구성은 변하지 않는다. 이러한 필드의 값이 "1"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0"으로 설정된다.
1비트의 DSLICE_LEFT_NOTCH는, 관련된 데이터 필드의 좌측으로 인접하는 노치 밴드의 존재를 나타내고 있다. 관련된 데이터 슬라이스의 개시 위치에 인접하는 노치 밴드가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필드의 값이 "1"로 설정된다. 노치 밴드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0"으로 설정된다.
8비트의 DSLICE_NUM_PLP는, 관련된 데이터 슬라이스 내에서 전송된 PLP의 수를 나타내고 있다. PLP의 수에 따른 PLP 루프에는, 이하의 필드가 배치된다. 8비트의 PLP_ID는, C2 시스템 내에서 PLP를 식별하는 PLP ID를 나타내고 있다. 1비트의 PLP_BUNDLED는, PLP 번들 정보이며, 현재의 C2 시스템 내에서, 관련된 PLP가 번들되는 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관련된 PLP가 번들되는 경우, 이러한 필드의 값이 "1"로 설정된다. 관련된 PLP가 번들되지 않은 경우에는, "0"으로 설정된다.
2비트의 PLP_TYPE는, 관련된 PLP의 타입을 나타내고 있다. 5비트의 PLP_PAYLOAD_TYPE는, 관련된 PLP에 의해 전송된 페이로드 데이터의 타입을 나타내고 있다. PLP_TYPE가 "00" 또는 "01"인 경우, 8비트의 PLP_GROUP_ID가 배치된다. PLP_GROUP_ID는, 현재의 PLP가 C2 시스템 내에서 연관되어 있는 PLP 그룹을 식별하는 PLP 그룹 ID를 나타내고 있다.
DSLICE_TYPE가 "0"인 경우, 14비트의 PLP_START, 1비트의 PLP_FEC_TYPE, 3비트의 PLP_MOD, 및 3비트의 PLP_COD가 배치된다. PLP_START는, 관련된 PLP의 최초의 완전한 XFEC 프레임의 개시 위치를, 현재의 C2 프레임 내에서 나타내고 있다. PLP_FEC_TYPE는, 관련된 PLP에서 사용된 FEC 타입을 나타내고 있다. PLP_MOD는, 관련된 PLP에서 사용된 변조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PLP_COD는, 관련된 PLP에서 사용된 부호화율을 나타내고 있다.
1비트의 PSI/SI_REPROCESSING은, PSI/SI재처리가 실행될 지의 여부를 나타내고 있다. PSI/SI_REPROCESSING이 "0"인 경우, 16비트의 transport_stream_id 및 16비트의 original_network_id가 배치된다. transport_stream_id는, 배신 시스템 내에서 TS(transport stream)를 다른 다중화로부터 식별하기 위한 라벨로서 기능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ID를 나타내고 있다. original_network_id는, 원래의 배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ID를 식별하기 위한 라벨로서 기능하는 원래의 네트워크 ID를 나타내고 있다.
PLP 루프 내에는, 8비트의 RESERVED_1이 배치된다. RESERVED_1은, 장래 사용을 위해서 예약되어 있는 리저브드(reserved) 영역(1)이다. 또한, 데이터 슬라이스 루프 내에는, 8비트의 RESERVED_2가 배치된다. RESERVED_2은, 장래 사용을 위해서 예약되어 있는 리저브드(reserved) 영역(2)이다. 그러나, 8비트의 RESERVED_2에, 1비트의 EXTENDED_DS를 배치하고, 나머지 7비트를 리저브드(reserved) 영역(2)으로 함으로써, 확장 모드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슬라이스의 최대값(폭)이 변경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이러한 필드의 값은 "1"로 설정된다. 최대값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 값은 "0"으로 설정된다.
노치 밴드의 수에 따른 노치 루프 내에는, 이하의 필드가 배치된다. 13비트 또는 14비트의 NOTCH_START는, 관련된 노치 밴드의 개시 위치를, START_FREQUENCY의 상대값으로서, unsigned int로서 나타내고 있다. 8비트 또는 9비트의 NOTCH_WIDTH는, 관련된 노치 밴드의 폭을, unsigned int로서 나타내고 있다. 노치 루프 내에는, 8비트의 RESERVED_3이 배치된다. RESERVED_3은, 장래 사용을 위해서 예약되어 있는 리저브드(reserved) 영역(3)이다.
1비트의 RESERVED_TONE는, 일부의 캐리어가 예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고 있다. 현재의 C2 프레임 내에 예약 캐리어가 존재하는 경우, 이 비트에는 "1"이 설정된다. 예약 캐리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0"으로 설정된다. 16비트의 RESERVED_4는, 장래 사용을 위해서 예약되어 있는 리저브드(reserved) 영역(4)이다. 그러나, 이 16비트의 RESERVED_4에는, 4비트의 C2_VERSION을 배치하고, 나머지 12비트를 리저브드(reserved) 영역(4)으로 함으로써, 버전 정보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슬라이스의 최대값(폭)이 변경될 수 있는 경우, 이 필드의 값에 대응하는 버전이 갱신된다.
이어서, 운용 예 1을 채택한 경우에, 전송 시스템(1)에 포함된 전송 장치(10)와 수신 장치(20)에 의해 실행된 처리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먼저, 전송측에 대해서 설명하고 나서, 수신측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전송 장치의 구성)
도 11은, 도 1의 전송 장치(1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송 장치(10)는, 채널 본딩의 한 종류인 PLP 번들링에 의해, 단일 PLP(동일한 PLP ID가 부여되는 PLP)로서의 실제 데이터를, BB 프레임 단위로 분할하고, 이를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1에 있어서, 전송 장치(10)는, 제어 유닛(111), 입력 처리 유닛(112), 데이터 슬라이스 처리 유닛(113-1 내지 113-N)(N은 1 이상의 정수), 프레임 구성 유닛(114), 및 전송 유닛(115)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111)은, 전송 장치(10)의 각각의 유닛의 동작을 제어한다.
입력 처리 유닛(112)에는, 동일한 PLP ID를 갖는 PLP로서의 실제 데이터(TS(transport stream) 등의 대상 데이터)가 공급된다. 입력 처리 유닛(112)은, 거기에 공급된 실제 데이터에, BB(BaseBand) 헤더를 부가하는 것에 의해, BB 프레임을 구성한다. BB 헤더는, ISSY(input stream synchronizer)로서, ISCR(input stream time reference)을 포함한다.
입력 처리 유닛(112)은, BB 프레임을 포함하는 BB 스트림을, 분할되게 하고, 그 BB 스트림에 포함된 각각의 BB 프레임을,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 중, 단일 데이터 슬라이스로 분배하는 것을 반복한다. 따라서, 입력 처리 유닛(112)은, BB 스트림을, BB 프레임 단위로, 복수의 분할 스트림으로 분할한다. 또한, 입력 처리 유닛(112)은, BB 스트림을 분할해서 얻어지는 복수의 분할 스트림을, 데이터 슬라이스 처리 유닛(113-1 내지 113-N) 중, 어느 하나에 분배한다.
데이터 슬라이스 처리 유닛(113-1)은, 입력 처리 유닛(112)에 의해 분배된 분할 스트림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슬라이스 처리 유닛(113-1)은, 분할 프레임에 포함된 BB 프레임에 대해서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오류 정정 부호화의 결과로서 얻어진 FEC 프레임을, 심볼로서의 미리 결정된 비트 단위로, 미리 결정된 콘스텔레이션 상의 신호 점에 매핑한다. 데이터 슬라이스 처리 유닛(113-1)은, 그 매핑 결과로서의 심볼을, FEC 프레임 단위로 추출함으로써 얻어진 FEC 프레임에 대하여 FEC 프레임 헤더를 부가함으로써, 데이터 슬라이스 패킷을 형성한다.
또한, 데이터 슬라이스 처리 유닛(113-1)은, 1개 이상의 데이터 슬라이스 패킷으로부터 데이터 슬라이스를 형성하고 이를 시간 방향과 주파수 방향으로 인터리브한다. 그 다음, 데이터 슬라이스 처리 유닛(113-1)은, 인터리브된 데이터 슬라이스를 프레임 구성 유닛(114)에 공급한다. 또한, 데이터 슬라이스 처리 유닛(113-1)과 마찬가지로, 데이터 슬라이스 처리 유닛(113-2 내지 113-N)은, 입력 처리 유닛(112)에 의해 분배된 분할 스트림에 대한 처리를 행하고, 그것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 슬라이스를 프레임 구성 유닛(114)에 공급한다.
프레임 구성 유닛(114)에는, 데이터 슬라이스 처리 유닛(113-1 내지 113-N)으로부터 1개 이상의 데이터 슬라이스가 공급된다. 프레임 구성 유닛(114)은, 데이터 슬라이스 처리 유닛(113-1 내지 113-N)으로부터의 1개 이상의 데이터 슬라이스를 포함하는 C2 프레임을 구성하고, 이를 전송 유닛(115)에 공급한다. 전송 유닛(115)은, 프레임 구성 유닛(114)으로부터 공급된 C2 프레임에 대해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을 행하고,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에 의해 얻어진 OFDM 신호에 대해 DA변환(digital to analog conversion)을 행한다. 전송 유닛(115)은, 디지털 신호부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OFDM 신호를, RF(radio frequency)신호로 변조하고, 이를 디지털 방송 신호로서, 전송로(30)를 통해 전송한다.
또한, 제어 유닛(111)은, 채널 본딩 설정 유닛(151) 및 전송 제어 정보 생성 유닛(152)을 포함한다. 채널 본딩(PLP 번들링)의 운용 모드로서, 운용 예 1이 채택되어 있는 경우, 채널 본딩 설정 유닛(151)은, 각각의 채널에서 전송된 데이터 슬라이스의 주파수 대역 폭의 제한을 해제해서 그 최대값(폭)을 가변으로 하기 위해서 정보(버전 정보와 확장 모드)를 설정한다. 그 다음, 채널 본딩 설정 유닛(151)은, 그 설정 내용을 전송 제어 정보 생성 유닛(152)에 공급한다.
전송 제어 정보 생성 유닛(152)은, 채널 본딩 설정 유닛(151)으로부터 공급된 설정 내용에 기초하여, L1 시그널링 정보 등의 전송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프레임 구성 유닛(114) 등에 공급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C2 프레임을 구성할 때, 프레임 구성 유닛(114)은, L1 시그널링 정보 등의 전송 제어 정보를 부가할 수 있다.
도 11의 전송 장치(10)의 구성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PLP 번들링 등의 채널 본딩과 관계가 없는 블록은, 적절히 생략된다.
(전송 처리)
이어서, 도 1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의 전송 장치(10)에 의해 실행되는 운용 예 1에 대응하는 전송 처리의 절차를 설명한다.
단계 S101에 있어서, 제어 유닛(111)은, 채널 본딩 전송 처리를 수행한다. 이 채널 본딩 전송 처리에서는, L1 시그널링 정보 등의 전송 제어 정보가, 채널 본딩(PLP 번들링)의 운용 모드(예를 들어, 운용 예 1)에 따라서 생성된다. 채널 본딩 전송 처리의 상세한 내용은, 도 1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단계 S102에 있어서, 입력 처리 유닛(112) 내지 전송 유닛(115)은, 제어 유닛(111)으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전송 처리를 수행한다. 이 전송 처리에서는, 예를 들어, 단일 PLP를 분할해서 얻어진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 및 L1 시그널링 정보 등의 전송 제어 정보는, 디지털 방송 신호로서, 전송로(30)를 통해 전송된다. 단계 S102의 처리가 완료되면, 도 12의 전송 처리가 종료된다.
이상, 전송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채널 본딩 전송 처리)
여기서, 도 1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2의 단계 S101의 처리에 있어서의, 운용 예 1에 대응하는 채널 본딩 전송 처리의 상세한 내용을 설명한다.
단계 S111에 있어서는, 채널 본딩(PLP 번들링)의 운용 모드가, 운용 예 1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 S111에 있어서, 운용 모드가 운용 예 1이라고 판정된 경우, 절차는 단계 S112로 진행한다.
단계 S112에 있어서, 채널 본딩 설정 유닛(151)은, PLP 번들링의 대상인 데이터 슬라이스의 최대값(폭)의 변경을 허용하는 버전 정보와 확장 모드를 설정한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버전 정보와 확장 모드 중 적어도 한쪽의 정보가 설정됨으로써, 데이터 슬라이스의 주파수 대역 폭의 제한이 해제되고, 그 다음 그 최대값(폭)이 변경될 수 있다.
단계 S113에 있어서, 전송 제어 정보 생성 유닛(152)은, 단계 S112에서의 처리의 설정 내용에 기초하여, L1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단계 S111에 있어서, 운용 모드가 운용 예 1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절차는, 단계 S114로 진행된다. 단계 S114에 있어서, 예를 들어, 채널 본딩 설정 유닛(151)은, 통상의 최대값(폭)(예를 들어, 3408(OFDM 캐리어))을 갖는 데이터 슬라이스를 전송하는 통상의 PLP 번들링의 설정 처리 등을 수행한다. 따라서, 통상의 PLP 번들링에 대응하는 L1 시그널링 정보가 생성된다(S113).
단계 S113에서의 처리가 종료하면, 절차는, 도 12의 단계 S101에서의 처리로 복귀되고, 그 이후의 절차가 실행된다.
이상, 운용 예 1에 대응하는 채널 본딩 전송 처리를 설명하였다.
(수신 장치의 구조)
도 14는, 도 1의 수신 장치(20)의 구성예의 도면이다.
수신 장치(20)는, PLP 번들링에 의해, 단일 PLP가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로 분배되어서 전송되는 실제 데이터를 재구성(복원)할 수 있다. 도 14에 있어서, 수신 장치(20)는, 제어 유닛(211), RF 튜너 유닛(212-1 내지 212-N)(N은 1 이상의 정수), 복조기(213-1 내지 213-N)(N은 1 이상의 정수), 및 합성 유닛(214)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211)은, 수신 장치(20)의 각각의 유닛의 동작을 제어한다.
RF 튜너 유닛(212-1)은, 전송 장치(10)로부터, 디지털 방송 신호로서, 전송로(30)를 통해 전송된 미리 결정된 대역의 RF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복조기(213-1)에 공급한다. 복조기(213-1)는, RF 튜너 유닛(212-1)으로부터의 RF신호를 복조하고, 그 복조에 의해 얻어지는 복조 신호(OFDM 신호)에 대해 AD 변환(analog to digital conversion)을 행한다. 복조기(213-1)는,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복조 신호에 대해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행하고, FFT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 슬라이스를 추출한다.
또한, 복조기(213-1)는, 데이터 슬라이스를, 데이터 슬라이스 패킷으로 분해하고, 데이터 슬라이스 패킷으로부터, FEC 프레임 헤더를 제거한다. 따라서, 데이터 슬라이스 패킷은, FEC 프레임으로 분해된다. 제거된 FEC 프레임 헤더에 기초하여, FEC 프레임의 변조 방식, 부호 길이 등이 인식되어, 후단의 디매핑, 오류 정정의 복호 등이 행하여진다. 복조기(213-1)는, FEC 프레임(동일한 것의 심볼)에 대해 디매핑을 행하고, 디매핑이 행해진 FEC 프레임에 대하여 오류 정정 부호의 복호를 행함으로써, BB 프레임을 포함하는 분할 스트림을 복원한다.
복조기(213-1)는, 데이터 슬라이스로부터 복원된 분할 스트림(내부에 포함된 BB 프레임)을 합성 유닛(214) 내에 제공된 버퍼(도시하지 않음)에 공급한다. 이 버퍼는, 예를 들어 FIFO(first in first out) 메모리를 포함하고, 복조기(213-1)로부터 공급된 분할 스트림(내부에 포함된 BB 프레임)을 순차 저장한다. 또한, 복조기(213-2 내지 213-N)에 있어서는, 복조기(213-1)와 마찬가지로, RF 튜너 유닛(212-2 내지 212-N)으로부터 공급된 RF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슬라이스를 추출해서 분할 스트림을 복원하기 위한 처리가 행하여져, 데이터 슬라이스로부터 복원된 분할 스트림(내부에 포함된 BB 프레임)이 합성 유닛(214) 내에 제공된 버퍼에 순차 저장된다.
합성 유닛(214)은, 합성 유닛(214) 내에 제공된 버퍼에 저장된 복수의 분할 스트림에 포함된 BB 프레임에 부가된 BB 헤더에 포함된 ISSY(ISCR)에 기초하여, 원래의 BB 스트림에 포함된 BB 프레임의 순서로 버퍼로부터 BB 프레임을 판독하고, BB 프레임을 재배열함으로써 원래의 BB 스트림을 재구성(복원)한다. 또한, 합성 유닛(214)은, 원래의 BB 스트림에 포함된 BB 프레임을 분해하고, 실제 데이터(TS 등의 대상 데이터)를 복원해서 이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 유닛(211)은, 전송 제어 정보 취득 유닛(251) 및 채널 본딩 제어 유닛(252)을 포함한다. 전송 제어 정보 취득 유닛(251)은, RF 튜너 유닛(212), 복조기(213) 등에 의해 채널 스캔을 행함으로써 얻어진 L1 시그널링 정보 등의 전송 제어 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채널 본딩 제어 유닛(252)에 공급한다.
채널 본딩 제어 유닛(252)은, 전송 제어 정보 취득 유닛(251)로부터 공급된 L1 시그널링 정보 등의 전송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복조기(213), 합성 유닛(214) 등의 채널 본딩(PLP 번들링)에 관한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각각의 유닛의 동작을 제어한다.
(수신 처리)
이어서, 도 1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의 수신 장치(20)에 의해 실행되는 운용 예 1에 대응하는 수신 처리의 절차를 설명한다.
단계 S201에 있어서, RF 튜너 유닛(212) 및 복조기(213)는, 제어 유닛(211)으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수신 처리를 수행한다. 이 수신 처리에서는, 전송 장치(10)로부터 전송로(30)를 통해 디지털 방송 신호가 수신되어, 채널 스캔 등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단계 S202에 있어서, 복조기(213) 및 합성 유닛(214)은, 제어 유닛(211)으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채널 본딩 수신 처리를 수행한다. 이 채널 본딩 수신 처리에서는, L1 시그널링 정보 등의 전송 제어 정보 등에 기초하여, 채널 본딩(PLP 번들링)의 운용 모드(예를 들어, 운용 예 1)에 따른 처리가 행하여져,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로부터, 단일 PLP가 재구성된다. 채널 본딩 수신 처리의 상세한 내용은, 도 1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단계 S202에서의 처리가 완료되면, 도 15의 수신 처리는 종료한다.
이상, 수신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채널 본딩 수신 처리)
여기서, 도 1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5의 단계 S202에서의 처리에 있어서의, 운용 예 1에 대응하는 채널 본딩 수신 처리의 상세한 내용을 설명한다.
단계 S211에 있어서, 전송 제어 정보 취득 유닛(251)은, RF 튜너 유닛(212)과 복조기(213)에 의해 채널 스캔을 행함으로써 얻어진 L1 시그널링 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모든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 채널 스캔이 행하여져, 각각의 채널마다 L1 시그널링 정보가 취득된다.
단계 S212에 있어서, 채널 본딩 제어 유닛(252)은, 단계 S211에서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L1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PLP 번들링의 대상인 데이터 슬라이스의 최대값(폭)의 변경을 허용하는 버전 정보와 확장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212에서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절차는 단계 S213으로 진행된다. 단계 S213에 있어서, 채널 본딩 제어 유닛(252)은, 복조기(213), 합성 유닛(214) 등을 제어하고, 데이터 슬라이스의 최대값(폭)의 변경에 따른 PLP 번들링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버전 정보와 확장 모드 중 적어도 한쪽의 정보가 설정됨으로써, 데이터 슬라이스의 주파수 대역 폭의 제한이 해제되어서 그 최대값(폭)이 변경(예를 들어, 3408(OFDM 캐리어)로부터 3496(OFDM 캐리어)로 변경)된다. 따라서, 채널을 연결함으로써 이용 가능하게 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슬라이스 0과 1로부터, 단일 PLP가 재구성된다.
한편, 단계 S212에서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절차는 단계 S214로 진행된다. 단계 S214에 있어서, 채널 본딩 제어 유닛(252)은, 복조기(213), 합성 유닛(214) 등을 제어해서, 예를 들어 통상의 최대값(폭)(예를 들어, 3408(OFDM 캐리어))을 갖는 데이터 슬라이스에 대한 통상의 PLP 번들링 처리를 수행한다.
단계 S213 또는 단계 S214에서의 처리가 종료되면, 절차는 도 15의 단계 S202에서의 처리로 복귀되어, 그 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상, 운용 예 1에 대응하는 채널 본딩 수신 처리를 설명하였다.
이상과 같이, DVB-C2 규격에 대응하는 운용 예 1에서는, 연결 채널 정보로서의 버전 정보(C2_VERSION)과 확장 모드(EXTENDED_DS)를 정의함으로써, 각각의 채널로 전송된 데이터 슬라이스의 주파수 대역 폭의 제한을 해제해서(약간 완화해서), 그 최대값(폭)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RF 튜너 유닛(212), 복조기(213) 등을 별도로 제공하지 않고, 채널을 연결함으로써 이용 가능하게 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장치(20)의 비용 증가를 억제하면서, 주파수 대역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2) 운용 예 2
(ATSC3.0 규격의 채널 본딩의 개요)도 17은, ATSC3.0 규격의 채널 본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현재 준비중인 ATSC3.0 규격에서는, 채널 본딩의 채택이 예상된다. ATSC3.0 규격의 채널 본딩에 있어서는, 단일 PLP로서의 실제 데이터를, BB 프레임 단위로 분할하고,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로 전송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전송 장치(10)로부터 전송된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를 수신하고 이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에 대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단일 PLP로서의 실제 데이터가 재구성된다.
도 17에 있어서, ATSC3.0 규격의 채널 본딩에서는, 6MHz의 대역폭을 갖는 채널은, 단일 PLP(PLP1)로부터 분할된 데이터 슬라이스 0(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DS0))을 전송하고, 6MHz의 대역폭을 갖는 상이한 채널은, 데이터 슬라이스 1(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DS1))을 전송한다. 그러나, 각각의 채널에 있어서는, 6MHz의 대역폭 중, 5.71MHz의 대역폭이 데이터 전송에 이용된다. 또한, 채널 본딩에 이용되는 채널은, 서로 인접할 필요는 없다. 채널 본딩에 사용된 채널들 간의 채널은, 채널 본딩과는 관계가 없는 상이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7에서는, 데이터 슬라이스가 전송되는 채널들 간의 3개의 채널로, 현행의 ATSC 1.0 규격에 대응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가 전송된다.
여기서, 전송 장치(10)는,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DS0 및 DS1)를 전송하는 경우, 수신 장치(20)에는, RF 튜너 유닛(212)과 복조기(213)이 제공되고,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에 대한 처리가 행해진다. RF 튜너 유닛(212)과 복조기(213)의 수는, 단일 PLP(PLP1)로부터 분할된 데이터 슬라이스가 전송되는 채널의 수에 따른다. 도 17에 있어서는, 2개의 채널에서, 데이터 슬라이스 0(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DS0))과 데이터 슬라이스 1(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DS1))이 전송되어 있으므로, 수신 장치(20)에는, RF 튜너 유닛(212-1 및 212-2)과 복조기(213-1 및 213-2)가 제공된다. RF 튜너 유닛(212)은, 예를 들어, 5MHz, 6MHz, 7MHz, 및 8MHz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수신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설정할 수 있다.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RF 튜너 유닛(212-1)과 복조기(213-1)에 의해 처리를 행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신호(DS0)로부터 데이터 슬라이스 0이 추출된다. 또한, RF 튜너 유닛(212-2)과 복조기(213-2)에 의해 처리를 행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신호(DS1)로부터 데이터 슬라이스 1이 추출된다. 합성 유닛(214)은, 추출된 데이터 슬라이스 0과 1을 합성해서, 원래의 PLP(PLP1)를 복원(재구성)한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일 PLP(PLP1)로부터 분할된 데이터 슬라이스 0(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DS0))과 데이터 슬라이스 1(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DS1))이 서로 인접하는 6MHz의 대역폭을 갖는 채널에 의해 전송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인접하는 채널에 있어서, 5.71MHz의 대역폭이 데이터 전송에 이용된다. 그러나, 채널들 간의 연결 부분의 대역폭이 유효하게 활용되지 않는다. 그로 인해, ATSC3.0 규격에 있어서는, 상술한 DVB-C2 규격(J.382 방식)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슬라이스를 전송하는 채널들을 연결하고, 채널을 연결함으로써 증가된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채널들 간의 연결 부분의 대역폭)에서 전송된 데이터 슬라이스에 대한 처리를 행하기 위한 RF 튜너 유닛(212)과 복조기(213)를 제공하지 않고, 채널을 연결함으로써 이용 가능하게 되는 주파수 대역을 유효하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 기술을 적용한 운용 예 2에서는, 대역폭 모드(BANDWIDTH_MODE)를 정의하여, 채널을 연결함으로써 이용 가능하게 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된 데이터 슬라이스에 대한 처리를 행하기 위한 RF 튜너 유닛(212)과 복조기(213)를 제공하지 않고, 채널을 연결함으로써 증가된 주파수 대역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즉, 본 기술을 적용한 운용 예 2에서는, 각각의 채널에서 전송된 데이터 슬라이스의 주파수 대역 폭을 고정값으로 설정하지 않고, RF 튜너 유닛(212), 복조기(213) 등의 구성에 따른 대역폭 모드(BANDWIDTH_MODE)에서 수신 장치(20)를 동작시킴으로써, 채널을 연결함으로써 이용 가능하게 되는 대역폭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대역폭 모드(BANDWIDTH_MODE)는, 전송 제어 정보인 L1 시그널링 정보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어(1)의 물리층 프레임((ATSC Physical) Frame)은 프리앰블(Preamble)과 데이터(Data(Payload))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 프리앰블에 배치된 L1 시그널링 정보에, 3비트의 BANDWIDTH_MODE를 배치함으로써, 대역폭 모드가 정의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상술한 운용 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채널에서 전송된 데이터 슬라이스의 주파수 대역 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마지막으로, 이용 가능한 데이터 슬라이스의 수는, 수신 장치(20)에 있어서의 RF 튜너 유닛(212), 복조기(213) 등의 구성에 따라서 변한다. 따라서, 대역폭 모드(BANDWIDTH_MODE)는 L1 시그널링 정보 등의 전송 제어 정보에 포함되고, 전송 장치(10)로부터 수신 장치(20)로 전송할 필요는 없다. 즉, 수신 장치(20)는, RF 튜너 유닛(212), 복조기(213) 등의 구성에 따른 대역폭 모드(BANDWIDTH_MODE)를 판정하고, 그 대역폭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대역폭 모드(BANDWIDTH_MODE)로서는, 상술한 도 17과 도 18에 나타낸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를 전송하는 채널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통상 모드(regular mode)와,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를 전송하는 채널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확장 모드(extended mode)가 있다. 확장 모드로서, 서로 연결되는 채널의 수에 따라, 복수의 확장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채널의 연결의 수에 따른 확장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확장 모드 1)
도 20은, 연결 2 채널의 채널 본딩에 대응하는 확장 모드 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에 있어서, 수신 장치(20)에는, RF 튜너 유닛(212-1 및 212-2)과 복조기(213-1 및 213-2)가 제공된다. 이 경우, 수신 장치(20)는, 전송 장치(10)로부터 2개의 채널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슬라이스 0(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DS0))과 데이터 슬라이스 1(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DS1))을 수신할 수 있다.
2개의 채널이 연결된 경우, 연결 2 채널에 의해 증가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확장 모드 1(BANDWIDTH_MODE="1")을 설정함으로써, 인접하는 채널에 있어서, 5.86MHz의 대역폭이 데이터 전송에 이용된다. 즉, 12MHz의 대역폭을 갖는 연결 2 채널에 있어서, 11.72MHz(2×5.86MHz)의 대역폭을 데이터 전송에 이용함으로써, 통상 모드(11.42MHz(2×5.71MHz))의 경우에 비하여, 연결 2 채널에 의해 증가된 주파수 대역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RF 튜너 유닛(212-1)과 복조기(213-1)에 의해 처리를 행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신호(DS0)로부터 데이터 슬라이스 0이 추출된다. 또한, RF 튜너 유닛(212-2)과 복조기(213-2)에 의해 처리를 행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신호(DS1)로부터 데이터 슬라이스 1이 추출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수신 장치(20)에서는, 확장 모드 1이 설정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연결 2 채널에 의해 증가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기 위한 RF 튜너 유닛(212-3)과 복조기(213-3)를 제공하지 않고, 연결 2 채널에 의해 증가된 주파수 대역에 따른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확장 모드 2)
도 21은, 연결 3 채널의 채널 본딩에 대응하는 확장 모드 2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에 있어서, 수신 장치(20)에는, RF 튜너 유닛(212-1 내지 212-3)과 복조기(213-1 내지 213-3)가 제공된다. 이 경우, 수신 장치(20)는, 전송 장치(10)로부터 3개의 채널에서 전송된, 데이터 슬라이스 0(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DS0)), 데이터 슬라이스 1(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DS1)), 및 데이터 슬라이스 2(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DS2))를 수신할 수 있다.
3개의 채널이 서로 연결된 경우, 연결 3 채널에 의해 증가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확장 모드 2(BANDWIDTH_MODE="2")를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채널에 있어서, 5.90MHz의 대역폭이 데이터 전송에 이용된다. 즉, 18MHz의 대역폭을 갖는 연결 3 채널에 있어서, 17.70MHz(3×5.90MHz)의 대역폭을 데이터 전송에 이용함으로써, 통상 모드(17.13MHz(3×5.71MHz))의 경우에 비하여, 연결 3 채널에 의해 증가된 주파수 대역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RF 튜너 유닛(212-1)과 복조기(213-1)에 의해 처리를 행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신호(DS0)로부터 데이터 슬라이스 0이 추출되고, RF 튜너 유닛(212-2)과 복조기(213-2)에 의해 처리를 행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신호(DS1)로부터 데이터 슬라이스 1이 추출된다. 또한, RF 튜너 유닛(212-3)과 복조기(213-3)에 의해 처리를 행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신호(DS2)로부터 데이터 슬라이스 2가 추출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수신 장치(20)에서는, 확장 모드 2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연결 3 채널에 의해 증가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기 위한 RF 튜너 유닛(212-4)과 복조기(213-4)를 제공하지 않고, 연결 3 채널에 의해 증가된 주파수 대역에 따른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확장 모드 3)
도 22는, 연결 4 채널의 채널 본딩에 대응하는 확장 모드 3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에 있어서, 수신 장치(20)에는, RF 튜너 유닛(212-1 내지 212-4)과 복조기(213-1 내지 213-4)가 제공된다. 이 경우, 수신 장치(20)는, 전송 장치(10)로부터 4개의 채널에서 전송된, 데이터 슬라이스 0(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DS0)), 데이터 슬라이스 1(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DS1)), 데이터 슬라이스 2(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DS2)), 및 데이터 슬라이스 3(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DS3))을 수신할 수 있다.
4개의 채널이 서로 연결된 경우, 연결 4 채널에 의해 증가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확장 모드 3(BANDWIDTH_MODE="3")을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채널에 있어서, 5.93MHz의 대역폭이 데이터 전송에 이용된다. 즉, 24MHz의 대역폭을 갖는 연결 4 채널에 있어서, 23.72MHz(4×5.93MHz)의 대역폭을 데이터 전송에 이용함으로써, 통상 모드(22.84MHz(4×5.71MHz))의 경우에 비하여, 연결 4 채널에 의해 증가된 주파수 대역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RF 튜너 유닛(212-1)과 복조기(213-1)에 의해 디지털 방송 신호(DS0)로부터 데이터 슬라이스 0이 추출되고, RF 튜너 유닛(212-2)과 복조기(213-2)에 의해 디지털 방송 신호(DS1)로부터 데이터 슬라이스 1이 추출된다. 또한, RF 튜너 유닛(212-3)과 복조기(213-3)에 의해 디지털 방송 신호(DS2)로부터 데이터 슬라이스 2가 추출되고, RF 튜너 유닛(212-4)과 복조기(213-4)에 의해 디지털 방송 신호(DS3)로부터 데이터 슬라이스 3이 추출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수신 장치(20)에서는, 확장 모드 3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연결 4 채널에 의해 증가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기 위한 RF 튜너 유닛(212-5)과 복조기(213-5)를 제공하지 않고, 연결 4 채널에 의해 증가된 주파수 대역에 따른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확장 모드 7)
도 23은, 연결 8 채널의 채널 본딩에 대응하는 확장 모드 7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확장 모드 4 내지 7에 대해서는, 수신 장치(20)에 제공된 RF 튜너 유닛(212)과 복조기(213)의 쌍의 수는, 5로부터 8로 증가되고, 취급될 수 있는 데이터 슬라이스의 수가 증가된다. 기본적으로, 확장 모드 4 내지 7은, 상술한 확장 모드 1 내지 3와 유사하다. 따라서, 여기서, 확장 모드 7에 대해서는 확장 모드 4 내지 7을 대신하여 설명한다.
도 23에 있어서, 수신 장치(20)에는, RF 튜너 유닛(212-1 내지 212-8)과 복조기(213-1 내지 213-8)가 제공된다. 이 경우, 수신 장치(20)는, 전송 장치(10)로부터 8개의 채널에서 전송된, 데이터 슬라이스 0(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DS0)) 내지 데이터 슬라이스 7(동일한 것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DS7))을 수신할 수 있다.
8개의 채널이 서로 연결된 경우, 연결 8 채널에 의해 증가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확장 모드 7(BANDWIDTH_MODE="7")을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채널에 있어서, 5.96MHz의 대역폭이 데이터 전송에 이용된다. 즉, 48MHz의 대역폭을 갖는 연결 8 채널에 있어서, 47.68MHz(8×5.96MHz)의 대역폭을 데이터 전송에 이용함으로써, 통상 모드(45.68MHz(8×5.71MHz))의 경우에 비하여, 연결 8 채널에 의해 증가된 주파수 대역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RF 튜너 유닛(212-1)과 복조기(213-1)에 의해 디지털 방송 신호(DS0)로부터 데이터 슬라이스 0이 추출되고, RF 튜너 유닛(212-2)과 복조기(213-2)에 의해 디지털 방송 신호(DS1)로부터 데이터 슬라이스 1이 추출된다. 또한, RF 튜너 유닛(212-3)과 복조기(213-3)에 의해 디지털 방송 신호(DS2)로부터 데이터 슬라이스 2가 추출되고, RF 튜너 유닛(212-4)과 복조기(213-4)에 의해 디지털 방송 신호(DS3)로부터 데이터 슬라이스 3이 추출된다.
또한,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RF 튜너 유닛(212-5)과 복조기(213-5)에 의해 디지털 방송 신호(DS4)로부터 데이터 슬라이스 4가 추출되고, RF 튜너 유닛(212-6)과 복조기(213-6)에 의해 디지털 방송 신호(DS5)로부터 데이터 슬라이스(5)이 추출된다. RF 튜너 유닛(212-7)과 복조기(213-7)에 의해 디지털 방송 신호(DS6)로부터 데이터 슬라이스 6이 추출되고, RF 튜너 유닛(212-8)과 복조기(213-8)에 의해 디지털 방송 신호(DS7)로부터 데이터 슬라이스 7이 추출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수신 장치(20)에서는, 확장 모드 7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연결 8 채널에 의해 증가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기 위한 RF 튜너 유닛(212-9)과 복조기(213-9)를 제공하지 않고, 연결 8 채널에 의해 증가된 주파수 대역에 따른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수신 장치(20)의 구성(RF 튜너 유닛(212)과 복조기(213)의 쌍의 수)에 따라, 대역폭 모드(BANDWIDTH_MODE)가 설정된다. 그러나, 각각의 채널의 주파수 대역이 6MHz를 초과하면, 예를 들어, 7MHz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RF 튜너 유닛(212)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대역폭 모드(BANDWIDTH_MODE)의 확장 모드로서, 확장 모드 1 내지 7이 정의되고, 수신 장치(20)는 최대로 연결 8 채널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4에서는, 상술한 대역폭 모드(BANDWIDTH_MODE)가 요약된다.
대역폭 모드(BANDWIDTH_MODE)는, L1 시그널링 정보 등의 전송 제어 정보에 의해, 데이터 슬라이스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수신 장치(20)가, RF 튜너 유닛(212), 복조기(213) 등의 구성에 따라서 대역폭 모드를 판정할 수 있고, 그 대역폭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운용 예 2에 있어서는, 상술한 운용 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대역폭 모드(BANDWIDTH_MODE)뿐만 아니라, 버전 정보를 사용하여, 채널을 연결함으로써 증가된 주파수 대역에 따른 처리가 관리될 수 있다.
이어서, 운용 예 2을 채택한 경우에, 전송 시스템(1)에 포함된 전송 장치(10)와 수신 장치(20)에 의해 실행된 처리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운용 예 2에 있어서의, 전송 장치(10)와 수신 장치(20)의 구성은, 상술한 운용 예 1과 유사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전송 처리)
먼저, 전송 장치(10)에 의해 실행되는 운용 예 2에 대응하는 전송 처리의 절차에 대해서 설명한다. 운용 예 2에 대응하는 전송 처리는, 도 12의 운용 예 1에 대응하는 전송 처리와는 다른 단계 S101의 채널 본딩 전송 처리의 내용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2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운용 예 2에 대응하는 채널 본딩 전송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채널 본딩 전송 처리)
도 25는, 운용 예 2에 대응하는 채널 본딩 전송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131에 있어서, 채널 본딩의 운용 모드가 운용 예 2(동일한 것의 확장 모드)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 S131에 있어서, 운용 모드가 운용 예 2(동일한 것의 확장 모드)라고 판정된 경우, 절차는 단계 S132로 진행된다.
단계 S132에 있어서, 채널 본딩 설정 유닛(151)은, 채널 본딩에 있어서의 연결 채널의 수에 따른 대역폭 모드(BANDWIDTH_MODE)을 설정한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연결 2 채널의 경우에는, 확장 모드 1(BANDWIDTH_MODE="1")이 설정된다. 연결 3 채널의 경우에는, 확장 모드 2(BANDWIDTH_MODE="2")가 설정된다.
단계 S133에 있어서, 전송 제어 정보 생성 유닛(152)은, 단계 S132에서의 처리의 설정 내용에 기초하여, L1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단계 S131에 있어서, 운용 모드가 운용 예 2(동일한 것의 확장 모드)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절차는 단계 S134로 진행된다. 단계 S134에 있어서, 예를 들어, 채널 본딩 설정 유닛(151)은, 대역폭 모드(BANDWIDTH_MODE)로서, 통상 모드(BANDWIDTH_MODE="0")로, 데이터 슬라이스를 전송하기 위한 통상의 채널 본딩 설정 처리 등을 수행한다. 따라서, 통상의 채널 본딩에 대응하는 L1 시그널링 정보가 생성된다(S133).
단계 S133에서의 처리가 종료되면, 절차는 도 12의 단계 S101에서의 처리로 복귀되고, 그 이후의 절차가 실행된다.
이상, 운용 예 2에 대응하는 채널 본딩 전송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수신 처리)
이어서, 수신 장치(20)에 의해 실행된 운용 예 2에 대응하는 수신 처리의 절차에 대해서 설명한다. 운용 예 2에 대응하는 수신 처리는, 도 15에서의 운용 예 1에 대응하는 수신 처리와는 다른, 단계 S202에서의 채널 본딩 수신 처리의 내용을 갖는다. 따라서, 도 2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운용 예 2에 대응하는 PLP 번들링 수신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채널 본딩 수신 처리)
도 26은, 운용 예 2에 대응하는 채널 본딩 수신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231에 있어서, 전송 제어 정보 취득 유닛(251)은, RF 튜너 유닛(212)과 복조기(213)에 의해 채널 스캔을 행함으로써 얻어진 L1 시그널링 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모든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 채널 스캔이 행해지고, 각각의 채널마다 L1 시그널링 정보가 취득된다.
단계 S232에 있어서, 채널 본딩 제어 유닛(252)은, 단계 S231에서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L1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 본딩에 있어서의 연결 채널의 수에 따른 대역폭 모드(BANDWIDTH_MODE)(동일한 것으로서의 확장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232에 있어서, 연결 채널의 수에 따른 대역폭 모드(동일한 것으로서 확장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절차는 단계 S233으로 진행된다. 단계 S233에 있어서, 채널 본딩 제어 유닛(252)은, 복조기(213), 합성 유닛(214) 등을 제어하고, 대역폭 모드(BANDWIDTH_MODE)에 따라, 연결 채널의 수에 따른 채널 본딩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수신 장치(20)가 RF 튜너 유닛(212-1 및 212-2)과 복조기(213-1 및 213-2)를 포함하는 경우에, 확장 모드 1(BANDWIDTH_MODE="1")이 설정되었을 때, 연결 2 채널에 있어서의 각각의 채널에서는, 5.86MHz의 대역폭이 데이터 전송에 이용되고, 데이터 슬라이스 0과 1로부터, 단일 PLP(PLP1)가 재구성된다. 또한, 예를 들어, 수신 장치(20)가 RF 튜너 유닛(212-1 내지 212-3)과 복조기(213-1 내지 213-3)를 포함하는 경우에, 확장 모드 2(BANDWIDTH_MODE="2")가 설정되었을 때, 연결 3 채널에 있어서의 각각의 채널에서는, 5.90MHz의 대역폭이 데이터 전송에 이용되고, 데이터 슬라이스 0 내지 2로부터, 단일 PLP(PLP1)이 재구성된다.
한편, 단계 S232에 있어서, 연결 채널의 수에 따른 대역폭 모드(동일한 것으로서 확장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절차는 단계 S234로 진행된다. 이 경우, 대역폭 모드(BANDWIDTH_MODE)로서는, 통상 모드(BANDWIDTH_MODE="0")가 설정되어 있다. 단계 S234에 있어서, 채널 본딩 제어 유닛(252)은, 복조기(213), 합성 유닛(214) 등을 제어하고, 상이한 채널에서 각각 전송된 데이터 슬라이스에 대한 통상의 채널 본딩 처리 등을 수행한다.
단계 S233 및 S234에서의 처리가 종료되면, 절차는 도 15의 단계 S202의 처리로 복귀되고, 그 이후의 절차가 실행된다.
이상, 운용 예 2에 대응하는 채널 본딩 수신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상과 같이, ATSC3.0 규격에 대응하는 운용 예 2에서는, 연결 채널 정보로서의 대역폭 모드(BANDWIDTH_MODE)를 정의함으로써, 수신 장치(20)의 구성(RF 튜너 유닛(212)과 복조기(213)의 쌍의 수)에 따라서 결정된 연결 채널의 수에 따라 이용 가능하게 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RF 튜너 유닛(212), 복조기(213) 등을 별도로 제공하지 않고, 채널을 연결함으로써 이용 가능하게 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장치(20)의 비용 증가를 억제하면서, 주파수 대역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4. 컴퓨터의 구성>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에 포함된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인스톨된다. 도 27은,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예의 도면이다.
컴퓨터(900)에 있어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901), ROM(read only memory)(902), 및 RAM(random access memory)(903)은, 버스(90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버스(904)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905)가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905)에는, 입력 유닛(906), 출력 유닛(907), 기록 유닛(908), 통신 유닛(909), 및 드라이브(910)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 유닛(906)은,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한다. 출력 유닛(907)은,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포함한다. 기록 유닛(908)은, 하드 디스크, 불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통신 유닛(909)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한다. 드라이브(910)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911)를 구동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컴퓨터(900)에서는, CPU(901)는, ROM(902) 및 기록 유닛(908)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이를 입출력 인터페이스(905) 및 버스(904)를 통해 RAM(903)에 로딩함으로써 실행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일련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컴퓨터(900)(CPU(9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패키지 미디어 등으로서의 리무버블 미디어(911)에 기록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 인터넷, 및 디지털 위성 방송 등의 무선 또는 유선의 전송 매체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900)에서는, 프로그램은, 리무버블 미디어(911)를 드라이브(910)에 장착함으로써, 입출력 인터페이스(905)를 통해, 기록 유닛(908)에 인스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해, 통신 유닛(909)에 의해 수신될 수 있고, 기록 유닛(908)에 인스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ROM(902) 및 기록 유닛(908)에 미리 인스톨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컴퓨터가 프로그램에 따라서 수행하는 처리는, 반드시 흐름도에서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로 행하여질 필요는 없다. 즉, 컴퓨터가 프로그램에 따라 수행하는 처리는, 병렬로 또는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예를 들어, 병렬 처리 또는 오브젝트에 의한 처리)를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은, 단일 컴퓨터(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복수의 컴퓨터에 의해 프로그램의 분산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본 기술의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본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1)
수신 장치로서,
BB(BaseBand) 프레임의 스트림인 BB 스트림의 BB 프레임을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로 분배함으로써 얻어진 복수의 분할 스트림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수신기; 및상기 복수의 분할 스트림으로부터, 연결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BB 스트림을 재구성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상기 복수의 분할 스트림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를 전송하는 채널들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이용 가능하게 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
(2)
상기 연결 채널 정보는, 연결될 상기 채널들의 수에 따른 대역폭 모드를 나타내는, (1)에 따른 수신 장치.
(3)
상기 복수의 수신기는, 상기 대역폭 모드에 따른 상기 복수의 분할 스트림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분할 스트림은, 상기 채널들이 연결될 때 이용 가능하게 되는 상기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된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2)에 따른 수신 장치.
(4)
상기 연결 채널 정보는, 상기 복수의 분할 스트림과 함께 수신되는 전송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신 장치.
(5)
상기 연결 채널 정보는, 각각의 채널에서 전송된 상기 데이터 슬라이스에 의해 전송 가능한 데이터의 최대값을 관리하기 위한 버전 정보 또는 각각의 채널에서 전송된 상기 데이터 슬라이스에 의해 상기 전송 가능한 데이터의 상기 최대값이 변경되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확장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수신 장치.
(6)
상기 연결 채널 정보는, 상기 복수의 분할 스트림과 함께 수신된 상기 전송 제어 정보에 포함되고,상기 확장 모드 정보가, 상기 데이터 슬라이스에 의한 상기 전송 가능한 데이터의 상기 최대값이 변경된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데이터 슬라이스에 의해 전송 가능한 상기 데이터에 대한 상기 변경된 최대값이 상기 전송 제어 정보에 설정되는, (5)에 따른 수신 장치.
(7)
수신 장치의 수신 방법으로서,
BB(BaseBand) 프레임의 스트림인 BB 스트림의 BB 프레임을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로 분배함으로써 얻어진 복수의 분할 스트림을, 상기 수신 장치의 복수의 수신기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스트림으로부터, 연결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장치의 처리 회로에 의해, 상기 BB 스트림을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복수의 분할 스트림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를 전송하는 채널들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이용 가능하게 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수신 방법.
(8)
전송 장치로서,
BB(BaseBand) 프레임의 스트림인 BB 스트림의 BB 프레임을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로 분배함으로써 얻어진 복수의 분할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한 채널들을 연결함으로써 이용 가능하게 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분할 스트림을, 수신 장치가 수신하게 하기 위한 연결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제어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 및상기 복수의 분할 스트림과 함께, 상기 전송 제어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기를 포함하는, 전송 장치.
(9)
상기 연결 채널 정보는, 연결될 상기 채널의 수에 따른 대역폭 모드를 나타내는, (8)에 따른 전송 장치.
(10)
상기 연결 채널 정보는, 상기 채널들이 연결될 때 이용 가능하게 되는 상기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된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분할 스트림을, 상기 수신 장치가 수신하게 하는 상기 대역폭 모드를 나타내는, (9)에 따른 전송 장치.
(11)
상기 연결 채널 정보는, 각각의 채널에서 전송된 상기 데이터 슬라이스에 의해 전송 가능한 데이터의 최대값을 관리하기 위한 버전 정보 또는 각각의 채널에서 전송된 상기 데이터 슬라이스에 의해 상기 전송 가능한 데이터의 상기 최대값이 변경되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확장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8)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송 장치.
(12)
상기 확장 모드 정보가, 상기 데이터 슬라이스에 의한 상기 전송 가능한 데이터의 상기 최대값이 변경된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데이터 슬라이스에 의한 상기 전송 가능한 데이터에 대한 상기 변경된 최대값이 상기 전송 제어 정보에 설정되는, (11)에 따른 전송 장치.
(13)
전송 장치의 전송 방법으로서,BB(BaseBand) 프레임의 스트림인 BB 스트림의 BB 프레임을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로 분배함으로써 얻어진 복수의 분할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한 채널들을 연결함으로써 이용 가능하게 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분할 스트림을, 수신 장치가 수신하게 하는 연결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제어 정보를, 처리 회로에 의해, 생성하는 단계; 및상기 복수의 분할 스트림과 함께, 상기 전송 제어 정보를, 전송기에 의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송 방법.
1 전송 시스템
10 전송 장치
20 수신 장치
111 제어 유닛
112 입력 처리 유닛
113 데이터 슬라이스 처리 유닛
114 프레임 구성 유닛
115 전송 유닛
151 채널 본딩 설정 유닛
152 전송 제어 정보 생성 유닛
211 제어 유닛
212 RF 튜너 유닛
213 복조기
214 합성 유닛
251 전송 제어 정보 취득 유닛
252 채널 본딩 제어 유닛
900 컴퓨터
901 CPU
10 전송 장치
20 수신 장치
111 제어 유닛
112 입력 처리 유닛
113 데이터 슬라이스 처리 유닛
114 프레임 구성 유닛
115 전송 유닛
151 채널 본딩 설정 유닛
152 전송 제어 정보 생성 유닛
211 제어 유닛
212 RF 튜너 유닛
213 복조기
214 합성 유닛
251 전송 제어 정보 취득 유닛
252 채널 본딩 제어 유닛
900 컴퓨터
901 CPU
Claims (13)
- 수신 장치로서,
BB(BaseBand) 프레임의 스트림인 BB 스트림의 BB 프레임을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로 분배함으로써 얻어진 복수의 분할 스트림을 수신하는 복수의 수신부; 및
전송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스트림으로부터, 원래의 상기 BB 스트림을 재구성하는 재구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분할 스트림과 동일한 수만큼 마련되고,
상기 전송 제어 정보는, 각 분할 스트림을 전송하는 채널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각 채널이 연결되는 것으로 이용 가능해진 각 채널 간의 주파수 대역의 일부를 포함하는 연결 후의 주파수 대역으로서, 연결 전의 주파수 대역보다 대역폭이 증가하고 있는 상기 연결 후의 주파수 대역으로 이루어지는 채널마다 전송되는 상기 각 분할 스트림을, 각 수신부에 의해 수신 가능하게 하기 위한 연결 채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재구성부는, 상기 각 분할 스트림을 전송하는 채널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연결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스트림으로부터 원래의 상기 BB 스트림을 재구성하는, 수신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채널 정보는, 연결되는 채널 수에 따른 대역폭 모드를 나타내는, 수신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모드는, 상기 복수의 수신부의 구성에 따라 결정되는, 연결된 채널 수에 따른 상기 연결 후의 주파수 대역으로 이루어지는 채널마다 전송되는 상기 각 분할 스트림을, 상기 각 수신부에 의해 수신 가능하게 하는, 수신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제어 정보는, 상기 복수의 분할 스트림과 함께 수신되는, 수신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채널 정보는, 각 채널에서 전송되는 상기 각 분할 스트림에 포함되는 상기 데이터 슬라이스에 의해 전송 가능한 데이터의 최대값을 관리하기 위한 버전 정보 및 각 채널에서 전송되는 상기 각 분할 스트림에 포함되는 상기 데이터 슬라이스에 의해 전송 가능한 데이터의 최대값이 변경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확장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제어 정보는, 상기 복수의 분할 스트림과 함께 수신되고,
상기 확장 모드 정보가 상기 데이터 슬라이스의 최대값이 변경된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데이터 슬라이스에 의해 전송 가능한 데이터에 대한 변경된 최대값이 상기 전송 제어 정보에 설정되는, 수신 장치. - 수신 장치의 수신 방법으로서,
상기 수신 장치는,
BB 프레임의 스트림인 BB 스트림의 BB 프레임을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로 분배함으로써 얻어진 복수의 분할 스트림을 수신하는 복수의 수신부; 및
전송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스트림으로부터, 원래의 상기 BB 스트림을 재구성하는 재구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분할 스트림과 동일한 수만큼 마련되고,
상기 전송 제어 정보는, 각 분할 스트림을 전송하는 채널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각 채널이 연결되는 것으로 이용 가능해진 각 채널 간의 주파수 대역의 일부를 포함하는 연결 후의 주파수 대역으로서, 연결 전의 주파수 대역보다 대역폭이 증가하고 있는 상기 연결 후의 주파수 대역으로 이루어지는 채널마다 전송되는 상기 각 분할 스트림을, 각 수신부에 의해 수신 가능하게 하기 위한 연결 채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방법은,
상기 재구성부가, 상기 각 분할 스트림을 전송하는 채널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연결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스트림으로부터 원래의 상기 BB 스트림을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 방법. - 전송 장치로서,
BB 프레임의 스트림인 BB 스트림의 BB 프레임을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로 분배함으로써 얻어진 복수의 분할 스트림에 있어서의 각 분할 스트림을 전송하는 채널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각 채널이 연결되는 것으로 이용 가능해진 각 채널 간의 주파수 대역의 일부를 포함하는 연결 후의 주파수 대역으로서, 연결 전의 주파수 대역보다 대역폭이 증가하고 있는 상기 연결 후의 주파수 대역으로 이루어지는 채널마다 전송되는 상기 각 분할 스트림을, 수신 장치의 구성에 따라 수신 가능하게 하기 위한 연결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스트림과 함께 상기 전송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전송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채널 정보는, 연결되는 채널 수에 따른 대역폭 모드를 나타내는, 전송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모드는, 상기 수신 장치의 구성에 따라 결정되는, 연결된 채널 수에 따른 상기 연결 후의 주파수 대역으로 이루어지는 채널마다 전송되는 상기 각 분할 스트림을, 상기 수신 장치의 구성에 따라 수신 가능하게 하는, 전송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채널 정보는, 각 채널에서 전송되는 상기 각 분할 스트림에 포함되는 상기 데이터 슬라이스에 의해 전송 가능한 데이터의 최대값을 관리하기 위한 버전 정보 및 각 채널에서 전송되는 상기 각 분할 스트림에 포함되는 상기 데이터 슬라이스에 의해 전송 가능한 데이터의 최대값이 변경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확장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모드 정보가 상기 데이터 슬라이스의 최대값이 변경된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데이터 슬라이스에 의해 전송 가능한 데이터에 대한 변경된 최대값이 상기 전송 제어 정보에 설정되는, 전송 장치. - 전송 장치의 전송 방법으로서,
BB 프레임의 스트림인 BB 스트림의 BB 프레임을 복수의 데이터 슬라이스로 분배함으로써 얻어진 복수의 분할 스트림에 있어서의 각 분할 스트림을 전송하는 채널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각 채널이 연결되는 것으로 이용 가능해진 각 채널 간의 주파수 대역의 일부를 포함하는 연결 후의 주파수 대역으로서, 연결 전의 주파수 대역보다 대역폭이 증가하고 있는 상기 연결 후의 주파수 대역으로 이루어지는 채널마다 전송되는 상기 각 분할 스트림을, 수신 장치의 구성에 따라 수신 가능하게 하기 위한 연결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분할 스트림과 함께 상기 전송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4-255295 | 2014-12-17 | ||
JP2014255295A JP6579748B2 (ja) | 2014-12-17 | 2014-12-17 |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
PCT/JP2015/006012 WO2016098302A1 (en) | 2014-12-17 | 2015-12-03 | Reception apparatus, receiving method,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tting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8792A KR20170098792A (ko) | 2017-08-30 |
KR102438485B1 true KR102438485B1 (ko) | 2022-09-01 |
Family
ID=55027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09885A KR102438485B1 (ko) | 2014-12-17 | 2015-12-03 |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EP (1) | EP3235249A1 (ko) |
JP (1) | JP6579748B2 (ko) |
KR (1) | KR102438485B1 (ko) |
WO (1) | WO201609830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373369B2 (ja) * | 2019-11-25 | 2023-11-02 | 日本放送協会 | 棟内送信装置、棟内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
KR102658462B1 (ko) | 2020-03-31 | 2024-04-1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Ofdm 기반 방송 시스템의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전송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7203B1 (ko) * | 2007-02-15 | 2014-02-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WO2010058884A1 (en) * | 2008-11-19 | 2010-05-27 | Lg Electronics Inc. |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and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
WO2010079997A2 (en) * | 2009-01-08 | 2010-07-15 | Lg Electronics, Inc. |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
CN102918857B (zh) * | 2010-04-02 | 2015-11-25 | 三星电子株式会社 | 用于发送用于提供二维和三维内容的数字广播内容的方法和设备以及用于接收数字广播内容的方法和设备 |
KR102143875B1 (ko) * | 2012-09-28 | 2020-08-12 |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 퍼플루오로에테르 펜던트 기를 갖는 퍼플루오로알킬-가교결합된 플루오로중합체 |
-
2014
- 2014-12-17 JP JP2014255295A patent/JP6579748B2/ja active Active
-
2015
- 2015-12-03 EP EP15817581.0A patent/EP3235249A1/en active Pending
- 2015-12-03 WO PCT/JP2015/006012 patent/WO201609830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12-03 KR KR1020177009885A patent/KR102438485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098302A1 (en) | 2016-06-23 |
KR20170098792A (ko) | 2017-08-30 |
JP2016116165A (ja) | 2016-06-23 |
EP3235249A1 (en) | 2017-10-25 |
JP6579748B2 (ja) | 2019-09-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13718B2 (en) | System physical layer pipe for a digital television system | |
US10476711B2 (en) | Data processing devices and data processing methods | |
KR101861695B1 (ko) | RoHC 패킷 스트림 및 고속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
TW201203911A (en) | Demapp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ption of data in a multi-carrier broadcast system | |
US10880339B2 (en) |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device, broadcast signal receiving device,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iving method | |
TW201316767A (zh) | 多載波傳輸系統中的傳輸及接收裝置及方法 | |
KR101752434B1 (ko) | 방송 전송 장치, 방송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 |
KR102438485B1 (ko) |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 | |
KR102452146B1 (ko) | 시그널링 방법들 및 장치 | |
US20140269608A1 (en) | Ofdm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 |
CN1199451C (zh) | 使用时分方式发送正交频分复用信号的发送机及其方法 | |
JP2019022222A (ja) |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 |
KR102435825B1 (ko) |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 |
JP6379632B2 (ja) |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 |
WO2014136452A1 (ja) | 放送装置、送信方法、記憶媒体、制御装置、放送システム | |
JP2014197835A (ja) | 放送装置、送信方法、記憶媒体 | |
KR20120099837A (ko) |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