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718B1 -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 - Google Patents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718B1
KR102419718B1 KR1020200052216A KR20200052216A KR102419718B1 KR 102419718 B1 KR102419718 B1 KR 102419718B1 KR 1020200052216 A KR1020200052216 A KR 1020200052216A KR 20200052216 A KR20200052216 A KR 20200052216A KR 102419718 B1 KR102419718 B1 KR 102419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heating chamber
cell module
uni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3517A (ko
Inventor
박일남
이응구
Original Assignee
박일남
이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일남, 이응구 filed Critical 박일남
Priority to KR1020200052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718B1/ko
Publication of KR20210133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된 입구와 출구를 갖는 가열 챔버; 상기 가열 챔버의 입구로 태양전지모듈을 반입하고, 상기 가열 챔버 내에서 분해된 태양전지모듈을 출구로 반출하는 이송부; 및 상기 입구 및 출구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가열 챔버 내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포집하는 포집부; 를 포함하는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APPARATUS FOR DISASSEMBLING 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협약 발효에 따라 화석 연료 사용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와 국제적으로 탄소배출권의 제한 등 환경오염원의 감소 및 고유가 시대를 대비한 친환경 대체 에너지원으로서 신재생에너지 분야, 그 중에서도 태양광 발전 산업에 대한 효용성, 경제성, 중요성으로 인해 연구개발 및 산업화가 국내외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태양광 발전의 장점은 에너지원이 청정하며, 자원이 무제한이며, 일사량만 충족된다면 필요한 어느 장소에서나 발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렇듯 다양한 장점을 지니고 있는 태양광 산업에서 핵심이 되는 것은 태양전지이다.
태양전지는 반도체 재료를 확산법에 의해 P-N 접합시켜 제조되며, 빛을 받을 때 적은 양의 전류가 흐르게 되는 광전효과를 이용한 것으로, 구성 재료에 따라 결정질 실리콘 기반의 태양전지와 CdTe, CIS, CIGS, GaAs 등의 화합물을 이용한 박막형 기반의 태양전지로 나누어진다. 현재 세계 태양광 시장의 90%이상을 웨이퍼 형태의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가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다결정 실리콘 계열은 60%, 단결정 실리콘 계열은 30%정도이다.
이렇듯, 태양전지 원재료인 실리콘의 가격 및 원재료 수급의 중요성은 점차적으로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2000년대 초반 실리콘 원료 공급 부족으로 인하여, 태양광 산업의 기반이 위협받기도 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태양광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실리콘 모듈 폐기물의 재활용이 필요한 시기가 되었다. 또한 1990년 전후부터 보급되어온 태양광 발전 시설물은 태양전지 수명을 10~15년으로 봤을 때 현 시점에서 수명이 다한 폐기물이 발생되기 시작하는 시점으로 보고 있으며, 이후 급격하게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현재 수명이 다하거나 파손 등의 이유로 폐기되는 모듈은 별도의 폐기물 관리기준이 없어 처리가 곤란한 실정이며, 보통 일반 쓰레기로 처리되어 매립 또는 소각되거나, 시공업체에서 수거 후 방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실리콘 웨이퍼의 두께를 줄이거나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노력과 더불어 태양전지의 재활용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상황이며, 특히 폐 태양전지를 효율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태양전지 폐 모듈을 분해하여 태양전지 셀을 안정적으로 그리고 대량으로 분리 회수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특히 태양전지 폐 모듈로부터 강화유리와 태양전지 셀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EVA와 백시트(Back Sheet)를 제거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종래 EVA 및 백시트 제거 방법을 살펴보면, 주로 화학적인 방법(예컨대, 유기용매 침지 방식 등)을 이용하여 이를 제거하였다.
그런데, 특히 EVA를 화학적인 방법으로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하나의 약품이 아닌, 사용된 EVA의 구체적인 조성 및 화학적 구성 성분에 따라 그 약품의 종류 및 양을 달리해야 하기 때문에, 화학적인 분리 방법은 경제성이 크게 떨어지거나 화학약품이 갖는 강한 산성 또는 강한 알칼리성의 특성 때문에 환경적으로 매우 유해할 뿐만 아니라, 모듈로부터 완전한 제거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폐 태양전지모듈을 일괄적으로 분해하는 것이 가능한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폐 태양전지모듈의 열적 분해 중 발생하는 유해 배출 가스를 용이하게 포집하는 것이 가능한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는 개방된 입구와 출구를 갖는 가열 챔버; 상기 가열 챔버의 입구로 태양전지모듈을 반입하고, 상기 가열 챔버 내에서 분해된 태양전지모듈을 출구로 반출하는 이송부; 및 상기 입구 및 출구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가열 챔버 내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포집하는 포집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 챔버는 열원을 제공하여, 반입된 상기 태양전지모듈을 열분해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 중 접착층을 기체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벨트와 롤러를 갖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부는 상기 벨트 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 유닛 및 상기 가열 챔버 내에서 배출되는 가스 및 상기 송풍 유닛에서 제공되는 공기를 함께 흡입하는 흡입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 유닛은 상기 송풍 유닛에 비해 상기 가열 챔버에 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 유닛은 상기 흡입 유닛의 반대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가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림 부재는 탄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폐 태양전지모듈을 일괄적으로 분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폐 태양전지모듈의 열적 분해 중 발생하는 유해 배출 가스를 용이하게 포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를 이용해 분해된 결과물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3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을 A방향으로 바라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 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를 이용해 분해된 결과물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3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을 A방향으로 바라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는 가열 챔버(100), 이송부(200) 및 포집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태양전지 (폐)모듈(10)은 기본적으로 태양전지 셀(11) 및 강화유리(13)가 차례로 적층된 구조로 구성되고, 각 구성 사이에는 접착층으로 EVA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전기적 연결을 위해 리본(12)이 연결되어 있다.
이하, 태양전지 모듈은 손상되거나 작동이 불가한 태양전지 모듈로 정의될 수 있다.
가열 챔버(100)는 태양전지 모듈을 내부로 반입하여 태양전지 모듈(10)의 열적 분해를 수행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가열 챔버(100)는 내부 공간(111)과 외부 공간을 구획하는 측면(110), 측면(110)의 일 측에 개방되어 형성된 입구(112) 및 측면(110)의 타 측에 개방되어 형성된 출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구(112)와 출구(113)는 이송부(200) 및 태양전지모듈(10)과 간섭되지 않을 정도의 최소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입구(112)와 출구(113)는 동일면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하나의 개구가 입구(112) 및 출구(113)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가열 챔버(100)는 내부 공간(111)에 열원을 공급하기 위한 열원 공급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열원 공급 유닛은 내부 공간(111)에 반입된 태양전지 모듈(10)에 열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열원 공급 유닛은 고온의 열풍을 발생시켜 가열 챔버(100) 내부로 송출함으로써 가열 챔버(100) 내부에 투입된 태양전지 모듈(10)이 열 분해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다.
여기서, 열원 공급 유닛은 특히 접착층(EVA)을 열 분해할 수 있는 온도의 열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열원 공급 유닛에서 공급되는 열원은 접착층(EVA)을 기체화 할 수 있다.
여기서, 열원 공급 유닛은 공급하는 열원의 온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열원 공급 유닛은 가열 챔버(100) 내에서 입구(112)에 가까운 선단에는 상대적으로 저온의 열원을 공급하는 제1열원 공급 유닛(미도시), 가열 챔버(100)의 중심부에는 제1열원 공급 유닛 보다 고온의 열원을 공급하는 제2열원 공급 유닛(미도시) 및 가열 챔버(100) 내에서 출구(113)에 가까운 후단에는 가장 고온의 열원을 공급하는 제3열원 공급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열 챔버(100) 내부에는 태양전지모듈(10)의 접착층(EVA)이 열 분해된 후 기체화 될 수 있다.
여기서, 기체화 된 접착층(EVA)은 에틸렌을 포함하는 유해가스로 가열 챔버(100) 내에 존재하며, 개방된 입구(112)와 출구(113)를 통해 가열 챔버(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서는 가열 챔버(100) 내 유해가스는 개방된 입구(112)와 출구(113)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가열 챔버(100) 내부에서 태양전지모듈(10)은 접착층(EVA)이 제거된 후, 태양전지 셀을 이루는 실리콘 웨이퍼(11), 리본 와이어(12) 및 유리(13)로 분해될 수 있다.
이송부(200)는 벨트(210)와 롤러(220)로 구성된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송부(200)는 가열 챔버(100) 내를 통과하며, 태양전지모듈(10)을 입구(112)로 반입하며, 분해된 태양전지모듈(11, 12, 13)을 출구(113)로 반출할 수 있다.
포집부(300)는 입구(112) 및 출구(113) 측에 설치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입구(112) 및 출구(113)로 배출되는 가스를 포집할 수 있다.
여기서, 포집부(300)는 송풍 유닛(310) 및 흡입 유닛(320)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 유닛(320)은 송풍 유닛(3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입구(112) 및 출구(113)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송풍 유닛(310)은 외부 공기 또는 비활성 기체를 벨트(210) 측에 공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입구(112) 및 출구(113) 측 각각에 에어 베리어를 형성할 수 있다.
송풍 유닛(310)은 입구(112) 또는 출구(113)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배출되는 공기(또는 비활성 기체)를 제공하는 송풍구(311), 탱크(312)에 연통되며 배출 경로를 제공하는 배출 파이프(313) 및 탱크(312)에 저장된 공기를 배출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배출 펌프(31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탱크(312)는 제외될 수 있으며, 배출 펌프(314)는 송풍을 위한 송풍팬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송풍구(311)는 입구(112) 및 출구(113) 각각을 에워 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송풍구(311)의 내주면과 입구(112) 및 출구(113)의 내주면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송풍 유닛(310)은 외부 공기 또는 비활성 기체를 벨트(210) 측에 공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입구(112) 및 출구(113) 측 각각에 에어 베리어를 형성할 수 있다.
흡입 유닛(320)은 입구(112) 또는 출구(113)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가열 챔버(100)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흡입하는 선단의 흡입구(321), 흡입구(321)에 연동되며 흡입 경로를 제공하는 흡입 파이프(322), 흡입 파이프(322)에서 흡입 동력을 제공하는 흡입 펌프(323) 및 흡입된 가스를 저장하는 탱크(32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탱크(324)는 제외될 수 있으며, 흡입 파이프(322)를 통해 흡입된 가스는 가스 처리 장치(미도시)에 바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흡입 펌프(323)는 기류를 형성하는 팬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흡입 펌프(323)에서 제공되는 동력은 배출 펌프(314)에서 제공되는 동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흡입 유닛(320)에서는 송풍 유닛(310)에서 제공하는 공기뿐만 아니라 가열 챔버(100)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모두 흡입할 수 있다.
한편, 흡입구(321)는 입구(112) 및 출구(113) 각각을 에워 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흡입구(321)의 내주면과 입구(112) 및 출구(113)의 내주면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송풍구(311)의 내주면과 흡입구(321)의 내주면 및 입구(112) 및 출구(113)의 내주면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4를 다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송부(200)의 벨트(210) 상에 복수의 태양전지모듈(10)이 안착되고, 복수의 태양전지모듈(10)은 이송부(200)를 통해 가열 챔버(100)의 입구(112)로 반입된다.
이후, 가열 챔버(100)의 내부(111)으로 반입된 태양전지모듈(10)은 가열 챔버(100) 내에서 열적으로 분해되어, 태양전지 셀을 이루는 실리콘 웨이퍼(11), 리본 와이어(12) 및 유리(13)로 분해될 수 있다.
분해된 실리콘 웨이퍼(11), 리본 와이어(12) 및 유리(13)는 이송부(200)를 통해 가열 챔버(100)의 출구(113)로 반출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후, 실리콘 웨이퍼(11), 리본 와이어(12) 및 유리(13)는 자동 분별 과정을 통해 각각 분리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 과정 중 가열 챔버(100) 내부(111)에는 에틸렌을 포함하는 유해가스가 존재하게 되며, 생성된 유해가스는 개방된 입구(112)와 출구(113)를 통해 가열 챔버(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가열 챔버(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는 입구(112)와 출구(113)에 각각 배치된 흡입 유닛(320)을 통해 흡입되어 탱크(324)에 저장될 수 있다.
다만, 이 중 흡입 유닛(320)에 즉시 흡입되지 못한 가스는 송풍 유닛(310)에서 제공하는 공기(또는 비활성 가스)에 막혀 더 이상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섞인 공기(또는 비활성 가스)와 함께 흡입 유닛(320)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에 비해 포집부(300)의 구성이 일부 상이하므로, 이하에서는 차별되는 구성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며 동일한 구성에 중복되는 도면 부호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포집부(300)는 송풍 유닛(310) 및 흡입 유닛(320)을 포함하고, 송풍 유닛(310)은 가림 부재(3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림 부재(315)는 송풍구(311)의 내주면에서 벨트(210)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림 부재(315)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며 단부가 벨트(210) 및 이송되는 태양전지모듈(10)에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가림 부재(315)는 벨트(210)의 이동 및 태양전지모듈(10)의 이송에 간섭되지 않고, 단부만 살짝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림 부재(315)는 송풍구(311)에서 가열 챔버(100)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송풍구(311)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모두 가열 챔버(100) 측으로 안내될 수 있어, 포집부(300)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에 비해 가열 챔버(400) 및 가스 안내부(500)의 구성이 일부 상이하므로, 이하에서는 차별되는 구성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며 동일한 구성에 중복되는 도면 부호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가열 챔버(400)는 내부 공간(411)과 외부 공간을 구획하는 측면(410), 측면(410)의 일 측에 개방되어 형성된 입구(412) 및 측면(410)의 타 측에 개방되어 형성된 출구(4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웃하는 측면(410)이 상호 이루는 모서리(410a)는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가열 챔버(400) 내에서 생성된 유해가스는 측면(410) 및 곡률을 갖는 모서리(410a)를 따라 안내되어, 입구(412) 및 출구(413) 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입구(412)와 출구(413)는 이송부(200) 및 태양전지모듈(10)과 간섭되지 않을 정도의 최소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입구(412)와 출구(413)는 동일면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하나의 개구가 입구(412) 및 출구(413)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가열 챔버(400)는 내부 공간(411)에 열원을 공급하기 위한 열원 공급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열원 공급 유닛은 내부 공간(411)에 반입된 태양전지 모듈(10)에 열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열원 공급 유닛은 고온의 열풍을 발생시켜 가열 챔버(400) 내부로 송출함으로써 가열 챔버(400) 내부에 투입된 태양전지 모듈(10)이 열 분해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다.
여기서, 열원 공급 유닛은 특히 접착층(EVA)을 열 분해할 수 있는 온도의 열원을 공급할 수 있다.
가스 안내부(500)는 외부의 공기 또는 비활성 기체를 가열 챔버(400) 내로 공급하여, 가열 챔버(400) 내 유해 가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스 안내부(500)는 메인 바디(510) 및 메인 바디(510)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토출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토출구(520)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메인 바디(510)에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공기 토출구(520)는 하나로 구성되며, 메인 바디(5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가스 안내부(500)에서 제공되는 외부의 공기 또는 비활성 기체는 가열 챔버(400) 내 유해 가스를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가스 안내부(500)의 동작은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동작할 수도 있고,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의 동작 시 지속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가열 챔버
200: 이송부
300: 포집부

Claims (6)

  1. 개방된 입구와 출구를 갖는 가열 챔버;
    상기 가열 챔버의 입구로 태양전지모듈을 반입하고, 상기 가열 챔버 내에서 분해된 태양전지모듈을 출구로 반출하는 이송부;
    상기 입구 및 출구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가열 챔버 내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포집하는 포집부; 및
    상기 가열 챔버의 측면에 배치된 메인 바디에 방사형으로 부착되거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토출구를 포함하는 가스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집부는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송풍 유닛 및 흡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 유닛은 벨트 측으로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흡입 유닛은 가열 챔버 내에서 배출되는 가스 및 상기 송풍 유닛에서 제공되는 공기를 함께 흡입하고,
    상기 흡입 유닛은 상기 송풍 유닛에 비해 상기 가열 챔버에 더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열 챔버의 측면이 상호 이루는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챔버는 열원을 제공하여, 반입된 상기 태양전지모듈을 열분해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 중 접착층을 기체화하는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벨트와 롤러를 갖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유닛은
    상기 흡입 유닛의 반대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가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림 부재는 탄성인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
KR1020200052216A 2020-04-29 2020-04-29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 KR102419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216A KR102419718B1 (ko) 2020-04-29 2020-04-29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216A KR102419718B1 (ko) 2020-04-29 2020-04-29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517A KR20210133517A (ko) 2021-11-08
KR102419718B1 true KR102419718B1 (ko) 2022-07-12

Family

ID=78485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216A KR102419718B1 (ko) 2020-04-29 2020-04-29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7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8375A (ja) * 2012-11-30 2014-06-12 Shinryo Corp 太陽電池素子構成材料の回収方法
KR101747912B1 (ko) 2017-01-16 2017-06-16 (주)프리텍 결정질 실리콘 태양광 폐모듈 재활용 공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일 시스템
JP2020507197A (ja) * 2017-01-26 2020-03-05 グロース・レアンダー・キリアン 複合部材の様々な材料層を分離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52421A1 (en) * 2009-12-30 2013-06-20 Benninger Zell Gmbh Device and Method for Heat Treating Continuously Conveyed Sheet Materials
KR20130104794A (ko) * 2012-03-15 2013-09-25 심포니에너지주식회사 태양전지 폐모듈 열적 해체 장치
KR101936925B1 (ko) * 2016-11-24 2019-01-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광 모듈의 백시트 제거 장치 및 태양광 모듈의 백시트 제거 방법
KR20190115583A (ko) * 2018-04-03 2019-10-14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8375A (ja) * 2012-11-30 2014-06-12 Shinryo Corp 太陽電池素子構成材料の回収方法
KR101747912B1 (ko) 2017-01-16 2017-06-16 (주)프리텍 결정질 실리콘 태양광 폐모듈 재활용 공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일 시스템
JP2020507197A (ja) * 2017-01-26 2020-03-05 グロース・レアンダー・キリアン 複合部材の様々な材料層を分離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517A (ko) 202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udha et al. Life cycle analysis for the feasibility of photovoltaic system application in Indonesia
Gamel et al. A review on thermophotovoltaic cell and its applications in energy conversion: issues and recommendations
EP2331725B1 (en) Epitaxial reactor for silicon deposition
CN100411975C (zh) 高纯硒的生产设备及生产工艺
Righini et al. Solar cells' evolution and perspectives: a short review
US20100092697A1 (en) Scalable, high-throughput, multi-chamber epitaxial reactor for silicon deposition
CN101736317A (zh) 原子层沉积设备
KR20130080950A (ko) 태양전지 폐 모듈의 친환경적 해체 방법
CN105742504A (zh) 一种高稳定性钙钛矿太阳能电池
Bohland et al. Possibility of recycling silicon PV modules
CN114378099A (zh) 一种基于微波热解的退役光伏组件高效热分层系统和方法
JP2020507197A (ja) 複合部材の様々な材料層を分離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2419718B1 (ko)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
CN108417474A (zh) 晶体硅热氧化工艺、系统及晶体硅太阳能电池热氧化工艺
KR20230077046A (ko) 태양전지모듈의 분해 장치
Lodhi Photovoltaics and hydrogen: future energy options
CN116469966A (zh) 光伏太阳能电池的氢钝化改善方法
CN216084916U (zh) 在线静电除尘机构以及划线设备
CN209822668U (zh) 一种用于多晶太阳能电池的pecvd的冷却装置
CN210915819U (zh) 一种连续式玻璃热处理加工设备
CN202630746U (zh) 烟气余热回收装置
CN217953154U (zh) 一种工业硅冶炼余热回收装置
CN110446800B (zh) 一种铝空气燃料电池氢氧化铝太阳能热还原装置
KR102178024B1 (ko) 태양광 폐모듈 처리용 가스 분리 포집 장치
CN109966836A (zh) 一种太阳能层级式除霾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