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675B1 - 마스크 팩 - Google Patents

마스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675B1
KR102419675B1 KR1020170154921A KR20170154921A KR102419675B1 KR 102419675 B1 KR102419675 B1 KR 102419675B1 KR 1020170154921 A KR1020170154921 A KR 1020170154921A KR 20170154921 A KR20170154921 A KR 20170154921A KR 102419675 B1 KR102419675 B1 KR 102419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mask sheet
mask
impregnated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679A (ko
Inventor
김진한
배형진
이상용
정은숙
윤정경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4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675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6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팩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텐셀 및 큐프라를 포함하는 마스크 시트와 상기 마스크 시트에 함침되는 화장료 조성물 간의 상용성을 향상시켜, 화장료 조성물이 마스크 시트 내에 충분히 함침되어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이 마스크 시트 내에 함침된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피부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마스크 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마스크 팩{MASK PACK}
본 발명은 마스크 팩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 팩(Mask pack)은 피부에 각종 영양분이나 수분 또는 그 밖의 다양한 생리활성물질 등을 공급하여, 사용자에게 주름개선효과, 미백효과, 보습효과, 마사지효과 등을 제공하는 미용용품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 팩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567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 등의 마스크 시트에 주름개선, 미백, 보습 등의 효과를 갖는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마스크 팩은, 이를 피부에 부착시킴으로써 마스크 시트에 함침된 주름개선, 미백, 보습 등의 효과를 갖는 유효성분들을 피부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스크 시트는 피부와의 밀착성이 우수하여야 하며, 화장료 조성물의 함침이 용이하여야 하고, 마스크 팩을 피부에 부착시킨 후에도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어야 하는 등 다양한 성능이 요구된다.
한편, 종래에는 마스크 시트의 소재로 실크, 면, 겔 등을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사용감, 내구성 등의 향상을 위해 텐셀(Tencel), 큐프라(Cupra) 등의 신소재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등의 직물을 마스크 시트로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텐셀과 큐프라를 포함하는 부직포 등의 직물을 이용한 마스크 시트는 화장료 조성물과의 상용성이 좋지 못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함침이 어렵고, 이에 의해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에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여, 미용 효과 또한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5671호
본 발명의 목적은 텐셀 및 큐프라를 포함하는 마스크 시트와 상기 마스크 시트에 함침되는 화장료 조성물 간의 상용성을 향상시켜, 화장료 조성물이 마스크 시트 내에 충분히 함침되어 있으면서도 화장료 조성물이 마스크 시트 내에 함침된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피부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마스크 팩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직포층과 상기 부직포층의 일면에 형성된 투습방수층을 포함하는 마스크 시트 및 상기 마스크 시트에 함침되는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부직포층은 텐셀(Tencel) 및 큐프라(Cupra)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을 제공한다.
상기 부직포층은 상기 텐셀(Tencel) 및 상기 큐프라(Cupra)를 70 : 30 ~ 30 : 7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직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트로메타민(Tromethamine), 카보머(Carbomer) 및 하이드록시에칠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칠 타우레이트 공중합체(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습방수층은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변성-폴리우레탄 및 변성-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스크 팩은 텐셀 및 큐프라를 포함하는 마스크 시트와 상기 마스크 시트에 함침되는 화장료 조성물 간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화장료 조성물이 마스크 시트 내에 충분히 함침되어 있으면서도 화장료 조성물이 마스크 시트 내에 함침된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피부와의 밀착성이 우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마스크 팩의 미용효과는 향상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상용성"은 친화성, 혼용성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마스크 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텐셀(Tencel) 및 큐프라(Cupra)를 포함하는 부직포층과 상기 부직포층의 일면에 형성된 투습방수층을 포함하는 마스크 시트, 및 상기 마스크 시트에 함침되는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마스크 시트는 텐셀(Tencel) 및 큐프라(Cupra)를 포함하는 부직포층과 상기 부직포층의 일면에 형성된 투습방수층을 포함한다.
부직포층은 피부와 맞닿는 층으로,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다. 본 실시예의 부직포층은 텐셀 및 큐프라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텐셀 및 큐프라를 포함하는 직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부직포층은 텐셀 및 큐프라의 혼방직물, 교직직물, 교연직물 및 혼섬직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텐셀(Tencel)은 유칼립투스 나무 추출물로 만든 친환경적인 소재로 수분 함유량과 흡수성이 뛰어나며, 섬유 구조가 매끄러워 피부에 자극적이지 않다. 이러한, 종래 레이온 섬유인 폴리노직(Polynosic), 모달(Modal) 등의 단점을 보완한 섬유로, 리오셀(Lyocell)계 섬유로 분류되며, 제조 사에 따라 코셀(Cocel)로도 불린다.
큐프라(Cupra)는 비스코스 레이온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나 비스코스 레이온 보다 가늘고 질긴 실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우수한 광택감과 부드러운 촉감을 가질 수 있으며, 일반 면에 비해 수분 함유량이 높다. 특히, 물에 적셔도 형태 등의 변형이 적어, 얇은 직물, 블라우스, 드레스, 속옷류, 안감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실시예의 부직포층은 텐셀 및 큐프라를 30 : 70 ~ 70 : 30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텐셀 및 큐프라를 40 : 60 ~ 60 : 40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텐셀 및 큐프라를 50 : 50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의 마스크 시트는 실크, 면, 겔 등의 마스크 시트 보다 우수한 피부 밀착성, 사용감, 내구성, 광택감, 피부 저자극성 등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투습방수층은 부직포층의 일면에 형성되며, 부직포층의 양면 중 피부와 맞닿는 일면을 제외한 나머지 일면에 투습방수층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투습방수층은 투습과 방수의 기능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소재라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습과 방수 기능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변성-폴리우레탄 및 변성-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마스크 시트는 부직포층의 일면에 투습과 방수가 동시에 가능한 투습방수층을 포함함에 따라, 부직포층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마스크 팩을 피부에 부착한 상태에서도 피부에 공기를 공급하고 불필요한 수분을 제거할 수 있어 쾌적한 사용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마스크 시트에 비해 리프팅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부직포층은 평량은 25 ~ 35 gs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의 투습방수층의 평량은 11 ~ 16 gs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마스크 시트에는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트로메타민(Tromethamine), 카보머(Carbomer) 및 하이드록시에칠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칠 타우레이트 공중합체(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트로메타민(Tromethamine)은 지방족 화합물로서, 화학식은 C4H11NO3 이다. 이러한 트로메타민은 동물 세포 조직 등에서 추출되는 지방질로서 유기화합물에 해당하며,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테인, 트리스, THAM 등으로 불리며, 향을 부여하며 pH 조정제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카보머(Carbomer)는 폴리아크릴릭 애씨드(Poly acrylic acid), 폴리아크릴산, PAA, PAAc, 아큐머(Acumer), 아크리솔(Acrysol), 아코스퍼스(Alcosperse) 등으로 불리며, 유화안정제, 점증제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카보머는 점증제로서의 역할을 하므로, 소량 사용될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흐름성이 커져 사용성이 저하되며, 과량 사용될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 사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하이드록시에칠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칠 타우레이트 공중합체(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는 소듐 하이드록시에칠 아크릴레이트와 아크릴로일디메칠 타우레이트 모노머의 공중합체로, 유화안정제, 불투명화제, 현탁화제, 점증제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하이드록시에칠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칠 타우레이트 공중합체는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오일 분산에 대한 안정도를 높여주며, 점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트로메타민(Tromethamine), 카보머(Carbomer) 및 하이드록시에칠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칠 타우레이트 공중합체(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 조성물은 본 실시예의 마스크 시트와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 간의 상용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적정한 점도를 갖도록 하여, 화장료 조성물이 마스크 시트 내에 충분히 함침되어 있으면서도 화장료 조성물이 마스크 시트 내에 함침된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마스크 팩과 피부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화장료 조성물이 마스크 시트 내에 함침된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은,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의 미용효과가 충분히 나타날 수 있도록 마스크 시트 내에 일정량 이상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트로메타민(Tromethamine), 카보머(Carbomer) 및 하이드록시에칠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칠 타우레이트 공중합체(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 조성물을 0.1 ~ 2 중량%, 바람직하게는 0.15 ~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 1.2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첨가 조성물을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본 실시예의 마스크 시트와 화장료 조성물 간의 상용성이 충분히 향상되지 못함에 따라 마스크 시트에 화장료 조성물이 충분히 함침되지 못하며, 피부 밀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특히,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낮아지며, 흐름성은 커짐에 따라 마스크 시트에 적용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반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첨가 조성물을 2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 자체의 점도가 높아져 사용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높아진 점성에 의해 마스크 시트와의 상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첨가 조성물은 트로메타민, 카보머 및 하이드록시에칠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칠 타우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특히, 첨가 조성물은 트로메타민, 카보머 및 하이드록시에칠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칠 타우레이트 공중합체를 1 : 1 ~ 1.5 : 4 ~ 6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트로메타민, 카보머 및 하이드록시에칠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칠 타우레이트 공중합체를 1 : 1.25 : 5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첨가 조성물을 포함함에 따라 본 실시예의 부직포층과의 상용성이 향상될 수 있어, 화장료 조성물이 마스크 시트 내에 충분히 함침되어 있을 수 있으면서도 화장료 조성물이 마스크 시트 내에 함침된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피부와의 밀착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마스크 시트의 건조 중량과 첨가 조성물 중량 또는 상기 첨가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중량이 적정 비율을 가질 때, 화장료 조성물이 마스크 시트 내에 충분히 함침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함침된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된 첨가 조성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 가능한 공지된 모든 종류의 화장료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첨가 조성물 이외에 미용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또는 첨가제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 상세히,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증류수, 글리세린(Glycerin),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베타인(Betaine), 1,2-헥산디올(1,2-Hexanediol), 페녹시 에탄올(Phenoxyethanol), 에칠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메칠프로판디올(Methylpropanediol),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시트로넬라오일(Cymbopogon Nardus (Citronella) Oil), 제라늄 오일(Geranium Maculatum Oil), 레몬그라스오일(Cymbopogon Schoenanthus Oil), 오렌지 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Orange) Oil), 레몬 오일(Citrus Medica Limonum (Lemon) Fruit Oil), 트리에칠헥사노인(Triethylhexanoin), 메도우폼씨오일(Limnanthes Alba (Meadowfoam) Seed Oil),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Sorbitan Isostearate), 폴리소르베이트 60(Polysorbate 60) 및 디페닐디메치콘(Diphenyl Dimethico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성분 중에서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폴리올류 및 베타인은 피부에 보습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므로, 이들을 소량 사용할 경우에는 보습력이 충분하지 못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성분 중에서 1,2-헥산디올과 페녹시 에탄올은 방부 효과를 가지므로, 이들을 소량 사용할 경우에는 방부력이 충분하지 못한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이들을 과량 사용할 경우에는 피부에 자극이 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성분 중에서 트리에칠헥사노인, 메도우폼씨오일 등의 오일 성분들은 피부에 보습 효과를 부여하므로, 이들을 소량 사용할 경우에는 보습력이 충분하지 못하며, 이들을 과량 사용할 경우에는 점도가 높아 사용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 주름개선,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재생 등의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성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미백, 주름개선, 보습, 피부 진정, 피부 재생 등의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성 성분은 알부틴(Arbutin),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아데노신(Adenosine), 베타인(Betaine), 판테놀(P anthenol), 비타민 C, 식물 또는 천연 유래 물질의 추출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상기된 각 성분들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마스크 팩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부직포층(텐셀 및 큐프라를 50 : 50 중량비로 포함하는 직물)과 상기 부직포층의 상면에 투습 및 방수 기능을 갖는 폴리우레탄 투습방수층을 포함하는 마스크 시트를 준비하였다. 이어서, 상기 마스크 시트에 트로메타민, 카보머 및 하이드록시에칠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칠 타우레이트 공중합체가 1 : 1.25 : 5 중량비로 혼합된 첨가 조성물 0.58 중량% 및 잔량의 물과 추가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총 100 중량%)을 함침시킴으로써, 마스크 팩을 제조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부직포층과 상기 부직포층의 일면에 형성된 투습방수층을 포함하는 마스크 시트 및 상기 마스크 시트에 함침되는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부직포층은 텐셀(Tencel) 및 큐프라(Cupra)를 포함하되, 상기 부직포층은 상기 텐셀(Tencel) 및 상기 큐프라(Cupra)를 40 : 60 ~ 60 : 4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직물이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트로메타민(Tromethamine), 카보머(Carbomer) 및 하이드록시에칠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칠 타우레이트 공중합체 (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를 포함하는 첨가 조성물을 포함하되, 상기 첨가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2 ~ 1.2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방수층은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변성-폴리우레탄 및 변성-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KR1020170154921A 2017-11-20 2017-11-20 마스크 팩 KR102419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921A KR102419675B1 (ko) 2017-11-20 2017-11-20 마스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921A KR102419675B1 (ko) 2017-11-20 2017-11-20 마스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679A KR20190057679A (ko) 2019-05-29
KR102419675B1 true KR102419675B1 (ko) 2022-07-12

Family

ID=66672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921A KR102419675B1 (ko) 2017-11-20 2017-11-20 마스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67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671B1 (ko) 2010-12-06 2013-11-06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항산화능이 우수한 피부 마사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KR101760711B1 (ko) * 2015-07-02 2017-07-31 김은미 마스크 팩용 실키 젤 및 그 사용 방법
KR20170109256A (ko) * 2016-03-21 2017-09-29 (주)아우딘퓨쳐스 마스크 시트용 고수압직조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7755A (ko) * 2016-04-14 2017-10-24 (주)엔코스 비흡수성 보호층을 구비한 미용팩의 제조방법 및 그 미용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679A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386B1 (ko) 유화된 액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마스크 조성물
CN101193683B (zh) 化妆巾产品
KR101785498B1 (ko) 피부미용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용 마스크팩
KR101858451B1 (ko) 건식 시트형 마스크 팩용 조성물 및 건식 시트형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CN102488473A (zh) 一种具有美白保湿功效的竹纤维卸妆湿巾
WO2006015675A1 (de) Hautkosmetische zubereitung basierend auf mehrfach ungesättigten fetten
JP2015110550A (ja) 拭き取りシート
KR20180018904A (ko) 부착력 및 보습력이 향상된 마스크팩 화장품
JP5004162B2 (ja) 皮膚用パック化粧料
DE10259016A1 (de) Kosmetische Schwämme
KR102419675B1 (ko) 마스크 팩
CN110141547A (zh) 一种防过敏多效卸妆巾
JP2019059696A (ja) シート化粧料
CN106551849A (zh) 一种沉香面膜及制备工艺
DE10138457B4 (de) Hygieneartikel zum Desinfizieren
KR20050033848A (ko) 피부의 상이한 영역에 대한 활성제 적용을 위한 제품
KR20190063226A (ko) 원물이 함유된 필오프 타입 팩용 화장료 조성물
JP2009107980A (ja) 皮膚保湿用シート化粧料
CN111514052A (zh) 一种柔软嫩肤的两相睡眠面膜及其制备方法
GB2561180A (en) Cosmetic Mask
DE10063810A1 (de) Antitranspirant-Tücher
KR101835371B1 (ko) 천연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내구성 헬스케어 코스메틱 섬유
KR102598048B1 (ko) 자극받은 피부 진정과 냉감 효과의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부착용 마스크팩
KR20190096326A (ko) 분리형 이중 파우치 마스크 시트
KR20190103752A (ko) 고상 요구르트의 질감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