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316B1 - 받음각 모의 부재 및 이를 적용한 직접 연결식 초음속 엔진 시험 장치 - Google Patents

받음각 모의 부재 및 이를 적용한 직접 연결식 초음속 엔진 시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316B1
KR102419316B1 KR1020200057357A KR20200057357A KR102419316B1 KR 102419316 B1 KR102419316 B1 KR 102419316B1 KR 1020200057357 A KR1020200057357 A KR 1020200057357A KR 20200057357 A KR20200057357 A KR 20200057357A KR 102419316 B1 KR102419316 B1 KR 102419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ersonic engine
angle
attack
supersonic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9077A (ko
Inventor
박근홍
길현용
김정우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200057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316B1/ko
Publication of KR20210139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9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14Testing gas-turbine engines or jet-propuls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22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 B64G1/6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apparatus or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9/00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 F02K9/96Rocket-engine plants, i.e. plants carrying both fuel and oxidant therefor; Control thereof characterised by specially adapted 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13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tractive or propulsive power of vehicles
    • G01L5/133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he tractive or propulsive power of vehicles for measuring thrust of propulsive devices, e.g. of prope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속 엔진의 흡입구에 설치되어 받음각을 모의할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한 구조로 초음속 엔진의 연소시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받음각 모의 부재 및 이를 적용한 직접 연결식 초음속 엔진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받음각 모의 부재는, 공기흡입식 초음속 엔진 시험을 위한 받음각 모의 부재에 있어서, 상기 초음속 엔진(30)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일정두께의 프레임(41); 상기 프레임(41)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프레임(41)의 중심으로 향하여 형성되는 유동가림막(43)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받음각 모의 부재를 적용한 직접 연결식 초음속 엔진 시험 장치는, 초음속 엔진(30); 상기 초음속 엔진(30)을 수용하는 시험부(10); 상기 초음속 엔진(30)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정체실(20)을 포함하고, 상기 초음속 엔진(30)의 흡입구(31)에 상기 공기흡입식 초음속 엔진 시험을 위한 받음각 모의 부재(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받음각 모의 부재 및 이를 적용한 직접 연결식 초음속 엔진 시험 장치{MEMBER FOR SIMULATING ANGLE OF ATTACK, AND DIRECT CONNECTING TYPE TEST APPARATUS FOR SUPERSONIC ENGINE USING THE MEMBER}
본 발명은 초음속 엔진의 연소를 시험하는 초음속 엔진 시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초음속 엔진의 흡입구에 설치되어 받음각을 모의할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한 구조로 초음속 엔진의 연소시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받음각 모의 부재 및 이를 적용한 직접 연결식 초음속 엔진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통의 초음속 흡입구를 갖는 공기흡입식 엔진 연소시험의 경우 직접 연결식 시험(Direct connect test) 방식을 이용하여 받음각이 0도에 대한 시험만 수행한다. 받음각을 갖는 조건에 대한 실제 연소시험은 지상에서 수행하려면 Freejet이나 Semi-freejet을 사용해야하지만, 이러한 시험장치는 공기의 용량이 많이 필요하고 시험장치를 포함하는 설비의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실제로 이 시험시설을 갖추기는 어렵다.
실제로 받음각을 갖는 초음속 공기흡입식 엔진 연소에 대한 결과는 비행시험을 통해 얻는 방법이 유일하였다. 하지만, 실제 비행시험을 통하더라도 실패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936778 B1(2019.01.03, 발명의 명칭: 발사체 받음각 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발사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초음속으로 운용되는 엔진의 직접 연결식 지상시험에서 받음각이 있는 상태의 유동현상을 모의할 수 있도록 한 받음각 모의 부재 및 이를 적용한 직접 연결식 초음속 엔진 시험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받음각 모의 부재는, 공기흡입식 초음속 엔진 시험을 위한 받음각 모의 부재에 있어서, 상기 초음속 엔진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일정두께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중심으로 향하여 형성되는 유동가림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가림막은,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을 지나는 수평면보다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가림막은, 상기 프레임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내주면이 원호(圓弧)의 일부인 부채꼴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가림막은,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에 대하여 좌우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의하고자 하는 받음각에 따라 상기 유동가림막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의하고자 하는 받음각에 따라 상기 유동가림막의 중심각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초음속 엔진에 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상기 체결공은 상기 프레임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받음각 모의 부재를 적용한 직접 연결식 초음속 엔진 시험 장치는, 초음속 엔진; 상기 초음속 엔진을 수용하는 시험부; 상기 초음속 엔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정체실을 포함하고, 상기 초음속 엔진의 흡입구에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8항 중 어느 한 항의 공기흡입식 초음속 엔진 시험을 위한 받음각 모의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체실과 상기 초음속 엔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를 연결하여, 상기 정체실의 공기를 상기 초음속 엔진으로 공급하는 공기공급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공급관에서 상기 정체실의 내부에 위치하는 입구는 종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초음속 엔진의 후방에는 상기 초음속 엔진에서 연소후 배기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시험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디퓨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초음속 엔진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을 따라 복수의 레이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상기 레이크는 상기 초음속 엔진의 중심축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받음각 모의 부재 및 이를 적용한 직접 연결식 초음속 엔진 시험 장치에 따르면, 고받음각 모의장치를 이용한 직접 연결식 시험(Direct connect test) 방식을 통해 저비용으로 지상에서 초음속 엔진의 고받음각 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시험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유동가림막의 중심각이 다른 받음각 모의 부재를 교체하여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받음각을 모의하여 시험이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수평으로 설치된 상기 초음속 엔진이 받음각을 가진 채 비행하는 상태를 모이할 수 있고, 상기 받음각 모의 부재의 교체를 통하여 다양한 받음각으로 비행하는 상태를 모의할 수 있다.
도 1은 고받음각 모의를 통한 흡입구의 내부 유동을 해석한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받음각 모의 부재를 적용한 직접 연결식 초음속 엔진 시험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받음각 모의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받음각 모의 부재를 적용한 직접 연결식 초음속 엔진 시험 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는 레이크의 배열을 도시한 개략도.
도 5a 내지 도 5b는 받음각 모의 부재의 적용 전(도 5a)과 적용 후(도 5b)의 압력 프로파일.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받음각 모의 부재 및 이를 적용한 직접 연결식 초음속 엔진 시험 장치의 적용과 실제 풍동에서의 시험결과를 비교한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받음각 모의 부재 및 이를 적용한 직접 연결식 초음속 엔진 시험 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받음각 모의 부재 및 이를 적용한 직접 연결식 초음속 엔진 시험 장치는, 초음속 엔진(30)과, 상기 초음속 엔진(30)을 수용하는 시험부(10)와, 상기 초음속 엔진(30)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정체실(20)을 포함하고, 상기 초음속 엔진(30)의 흡입구(31)에 받음각 모의 부재(40)가 설치된다.
시험부(10)는 내부에 초음속 엔진(30)을 수용한다. 상기 시험부(10)의 내부에 상기 초음속 엔진(30)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초음속 엔진(30)을 작동시킴으로써, 지상에서 상기 초음속 엔진(30)의 연소를 모의할 수 있다.
상기 초음속 엔진(30)은 상기 시험부(10) 내에서 상기 시험부(10)에 바닥에 설치된 고정베드(13)와, 상기 고정베드(13)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베드(14)에 의해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베드(13)와 상기 이동베드(14) 사이에는 계측로드셀(15), 현장형 교정로드셀(16)과 같은 로드셀을 장착하여, 상기 초음속 엔진(30)의 연소시험시, 상기 초음속 엔진(30)의 추력(Thrust)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베드와 상기 로드셀을 이용하여 상기 초음속 엔진(30)의 추력을 측정하는 추력 측정 시스템(TMS : Thrust measuring system)을 구성할 수 있다.
정체실(20)은 상기 시험부(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초음속 엔진(30)으로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정체실(20)과 상기 초음속 엔진(30)의 흡입구(31)를 연결하도록 공기공급관(11)이 설치된다.
상기 초음속 엔진(30)으로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31)와 상기 정체실(20)이 상기 공기공급관(11)에 의해 직접 연결됨으로써, 상기 초음속 엔진(30)이 직접 연결식 시험(Direct connect test)으로 지상에서 연소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관(11)은 상기 정체실(20)에 위치하는 입구가 종형(鐘形)으로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상기 공기공급관(11)의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초음속 엔진(3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상기 초음속 엔진(30)의 후방에 설치되는 디퓨저(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받음각 모의 부재(40)는 상기 초음속 엔진(30)에서 흡입구(31)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받음각 모의 부재(40)가 상기 흡입구(31)에 설치되어, 상기 초음속 엔진(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초음속 엔진(30)이 받음각이 있는 상태로 비행하는 상태를 모의하도록 한다. 상기 받음각 모의 부재(40)의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초음속 엔진(30)의 내부에서 상기 받음각 모의 부재(40)의 후방에 상기 초음속 엔진(30)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을 따라 복수의 레이크(32_1~32_11)가 설치된다.
상기 레이크(32_1~32_11)는 상기 받음각 모의 부재(40)를 통과하여, 상기 초음속 엔진(3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한다.
상기 레이크(32_1~32_11)는 공기 유동의 수직방향의 압력 분포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로 구비되어, 서로 상하로 배치된다. 즉, 복수의 상기 레이크(32_1~32_11)들은 상기 초음속 엔진(30)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을 따라 배치된다. 이때, 복수의 상기 레이크(32_1~32_11)가 설치되는 간격은 상기 초음속 엔진(3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초음속 엔진(30)의 중심축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도록 배치된다.
예컨대, 도 4에는 상기 레이크(32_1~32_11)가 11개 배치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레이크(32_1~32_11) 중에서 중심에 위치하는 레이크(32_6)와 이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레이크(32_5, 32_7) 사이의 간격이 가장 크고, 상기 외곽에 위치하는 레이크(32_1, 32_11)와 이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레이크(32_2, 32_10)의 간격이 가장 작게 형성된다.
받음각 모의 부재(40)는 도 3a 내지 도 3c와 같은 형태를 갖는다.
상기 받음각 모의 부재(40)는 상기 초음속 엔진(30)의 내부에 장착되는 프레임(41)과, 상기 프레임(41)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프레임(41)의 중심으로 향하여 형성되는 유동가림막(43)을 포함한다.
프레임(41)은 일정 두께로 형성되고, 둘레가 상기 초음속 엔진(30)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중간 부분은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41)은 상기 초음속 엔진(30)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바, 상기 초음속 엔진(30)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프레임(41)은 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1)에 상기 프레임(41)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프레임(41)을 상기 초음속 엔진(30)에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공(42)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체결공(42)은 상기 프레임(41)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유동가림막(43)은 상기 프레임(41)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프레임(41)의 중심으로 향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프레임(41)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의 일부를 막아, 상기 유동가림막(43)이 형성된 부분을 통하여 공기가 유동하지 못하고, 그 나머지 공간(P)을 통하여 공기가 유동되도록 한다.
상기 유동가림막(43)의 형상을 살펴보면, 상기 프레임(41)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심축을 지나는 수평선(H-H)에 대하여 그 하부에 형성된다. 즉, 도 3a 내지 도 3c에서 상기 유동가림막(43)은 모두 상기 수평선(H-H)의 하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동가림막(43)은 상기 프레임(41)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내주면이 원호(圓弧)이 일부인 부채꼴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유동가림막(43)은 상기 프레임(41)의 중심축 대하여 좌우대칭으로 형성된다. 즉, 도 3a 내지 도 3c를 보면, 상기 유동가림막(43)은 상기 프레임(41)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V-V)에 대하여 좌우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받음각 모의 부재(40)는 상기 유동가림막(43)의 크기를 가변시켜 가면서, 상기 초음속 엔진(3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한다.
이때, 상기 유동가림막(43)의 크기는 상기 유동가림막(43)의 중심각의 크기를 가변시켜 조절한다.
특히, 받음각 모의 부재(40)가 모의하고자 하는 받음각에 따라 상기 유동가림막(43)의 크기를 다르게 하고, 상기 유동가림막(43)의 크기는 상기 유동가림막(43)의 중심각의 크기를 다르게 한다. 예컨대, 모의하고자 하는 받음각을 크게 하려면, 상기 유동가림막(43)의 중심각의 크기를 크게 한다.
도 3a에서는 상기 유동가림막(43)의 중심각이 약 60도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41)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한 유동의 1/6 정도를 가리는 받음각 모의 부재(40)가 도시되어 있다.
도 3b와 도 3c에는 각각 상기 유동가림막(43)의 중심각이 약 120도, 약 180도로 형성됨으로써, 유동의 1/3, 1/2 정도를 가리는 받음각 모의 부재(4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받음각 모의 부재(40)에서 상기 프레임(41)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중에서, 상기 유동가림막(43)을 제외한 공간(P)을 통하여 상기 초음속 엔진(30)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유동한다.
상기 받음각 모의 부재(40)를 통하여, 받음각(α)이 높은 경우를 모사하여 상기 흡입구의 내부 유동을 해석하면, 도 1과 같은 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는 각각 받음각 모의 부재(40)의 유무에 따른 압력 프로파일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받음각 모의 부재(40)의 적용 전(도 5a 참조)의 압력 프로파일은 상하 대칭인 M자 형태를 갖는다.
하지만, 상기 받음각 모의 부재(40)를 적용 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압력이 더 큰 압력 프로파일을 갖는다. 이를 통하여 상기 초음속 엔진(30)이 수평하게 비행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받음각을 가진 상태로 비행하는 환경을 모의할 수 있다.
도 6에는 받음각이 11.5도 상태의 실제 풍동시험 결과와, 중심각을 120도로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41)의 내부공간을 1/3 가린 유동가림막(43)을 설치한 상태의 지상모의시험의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받음각 모의 부재(40)를 적용하여 지상에서 모의시험을 수행하더라도, 풍동에서 시험하는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 : 시험부 11 : 공기공급관
12 : 디퓨저 13 : 고정베드
14 : 이동베드 15 : 계측로드셀
16 : 교정 로드셀 20 : 정체실
30 : 엔진 31 : 흡입구
32_1 ~ 32_11 : 레이크 40 : 받음각 모의부재
41 : 프레임 42 : 체결공
43 : 유동가림막

Claims (14)

  1. 초음속 엔진;
    상기 초음속 엔진을 수용하는 시험부;
    상기 시험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초음속 엔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정체실;
    상기 정체실과 상기 초음속 엔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를 연결하는 공기공급관;
    상기 초음속 엔진의 흡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초음속 엔진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공기흡입식 초음속 엔진 시험을 위한 받음각 모의 부재;
    상기 받음각 모의 부재의 후방에 상기 초음속 엔진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 압력을 측정하도록 상하로 배치된 복수의 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공급관에서 상기 정체실의 내부에 위치하는 입구는 상기 공기공급관의 내부로 용이하게 공기가 유입되도록 종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와 상기 정체실이 상기 공기공급관에 의해 직접 연결되어 상기 초음속 엔진이 직접 연결식 시험으로 지상에서 연소시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받음각 모의 부재는,
    상기 초음속 엔진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주면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일정두께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중심으로 향하여 형성되어 공기의 유동을 저지하는 유동가림막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가림막은,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을 지나는 수평면보다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동가림막은, 상기 프레임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내주면이 원호의 일부인 부채꼴이 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에 대하여 좌우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받음각 모의 부재는, 상기 유동가림막의 크기가 모의하고자 하는 받음각에 따라 상기 유동가림막의 중심각의 크기를 달리한 것을 교체 적용하여, 상기 초음속 엔진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연결식 초음속 엔진 시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모의하고자 하는 받음각에 따라 상기 유동가림막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연결식 초음속 엔진 시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하고자 하는 받음각에 따라 상기 유동가림막의 중심각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연결식 초음속 엔진 시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초음속 엔진에 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연결식 초음속 엔진 시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체결공은 상기 프레임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연결식 초음속 엔진 시험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속 엔진의 후방에는 상기 초음속 엔진에서 연소후 배기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시험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디퓨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연결식 초음속 엔진 시험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이크는 상기 초음속 엔진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을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연결식 초음속 엔진 시험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레이크는 상기 초음속 엔진의 중심축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연결식 초음속 엔진 시험 장치.
KR1020200057357A 2020-05-13 2020-05-13 받음각 모의 부재 및 이를 적용한 직접 연결식 초음속 엔진 시험 장치 KR102419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357A KR102419316B1 (ko) 2020-05-13 2020-05-13 받음각 모의 부재 및 이를 적용한 직접 연결식 초음속 엔진 시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357A KR102419316B1 (ko) 2020-05-13 2020-05-13 받음각 모의 부재 및 이를 적용한 직접 연결식 초음속 엔진 시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9077A KR20210139077A (ko) 2021-11-22
KR102419316B1 true KR102419316B1 (ko) 2022-07-11

Family

ID=78717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357A KR102419316B1 (ko) 2020-05-13 2020-05-13 받음각 모의 부재 및 이를 적용한 직접 연결식 초음속 엔진 시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3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801B1 (ko) * 2005-12-22 2007-06-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가스터빈엔진의 흡기유동 시험장치
CN202305215U (zh) * 2011-10-14 2012-07-04 桑增产 涡轴发动机的压气机压力畸变特性试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20159B1 (fr) * 1994-05-18 1996-07-26 Aerospatiale Procédé et dispositif pour l'estimation de la poussée d'un statoréacteur.
JPH0821784A (ja) * 1994-07-08 1996-01-23 Kobe Steel Ltd 空気吸込み式エンジンの試験装置
KR20090071055A (ko) * 2007-12-27 2009-07-0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레이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46024B1 (ko) * 2008-12-19 2011-07-0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고속추진기관의 성능시험장치
KR101936778B1 (ko) 2017-11-14 2019-01-0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발사체 받음각 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발사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801B1 (ko) * 2005-12-22 2007-06-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가스터빈엔진의 흡기유동 시험장치
CN202305215U (zh) * 2011-10-14 2012-07-04 桑增产 涡轴发动机的压气机压力畸变特性试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9077A (ko) 202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8384B1 (en) Intake shield for gas turbine engines
CN112414718B (zh) 一种小涵道比航空发动机高空进气压力畸变试验方法
CN113945355B (zh) 一种冲击波下的进气道风洞试验模拟系统
KR102419316B1 (ko) 받음각 모의 부재 및 이를 적용한 직접 연결식 초음속 엔진 시험 장치
AU2012101869A4 (en) A convenient connection system for pressure measuring of the control surface
CN105352735A (zh) 发动机模拟高原进气装置
KR20120062300A (ko) 가스터빈 엔진의 고공환경 시험을 위한 냉각 장치 및 냉각 튜브
Bach et al. Influence of nozzle guide vane orientation relative to RDC wave direction
CN113567142A (zh) 进气模拟装置、航空发动机试验装置和进气模拟方法
CN113567141B (zh) 畸变发生装置及其模拟方法和压力畸变特性试验系统
Krull et al. Effect of Plug Design on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t-Plug Exhaust Nozzles
KR102553675B1 (ko) 내연기관용 고지대 성능 시험 장치
CN210803181U (zh) 飞机货仓试验装置
RU89708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равнительных испытаний газоаналитических датчиков с имитацией натурных условий
Sheoran et al. A versatile design of a controlled swirl distortion generator for testing gas turbine engines
Sheoran et al. A centrifugal compressor operability correlation with combined total pressure and swirl distortion
Motycka et al.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ground vortex formation during reverse engine operation
CN106885683B (zh) 一种测量三维复杂流场的半球头十二孔稳态压力探针
Cousins et al. Pressure and temperature distortion testing of a two-stage centrifugal compressor
Naseri et al. The effect of inlet flow distortion on performance of a micro-jet engine: part 1—development of an inlet simulator
CN112747930B (zh) 航空发动机进气畸变发生装置
Zhang et al. Ground Testing Facility for Scaled Thrust Reverser
Cousins et al. Pressure and Temperature Distortion Testing of a Two-Stage Centrifugal Compressor
Krone et al. Design of a Fan-Test-Facility with axial flow and crosswind capabilities
Bion Steady and unsteady distorted inlet flow simulation for engine ground te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