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148B1 -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148B1
KR102419148B1 KR1020210150863A KR20210150863A KR102419148B1 KR 102419148 B1 KR102419148 B1 KR 102419148B1 KR 1020210150863 A KR1020210150863 A KR 1020210150863A KR 20210150863 A KR20210150863 A KR 20210150863A KR 102419148 B1 KR102419148 B1 KR 102419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ventilation
filter
frame
ventilation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 규 김
Original Assignee
김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규 filed Critical 김동규
Priority to KR1020210150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1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3Air flow induced by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창틀; 상기 창틀에 장착되며, 건물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창문; 상기 창틀에 장착되며, 건물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창문; 상기 내측 창문의 외측에 구비되는 필터; 상기 내측 창문에 장착되며, 환기 팬이 구비된 환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 {Ventilation system with filter and ventilation fan on window}
본 발명은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 창문 앞쪽에 환기 팬을 부착하고, 내측 창문 뒷쪽에 공기 정화용 필터를 부착하여 차압을 통해 바닥에 깔리는 유해 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환기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건축물의 환기 장치는 공기를 정화시켜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키며, 내부 공간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7022호(2008.11.26 공개)에는 종래의 환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환기 장치는 천장에 배관을 설치하고,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관을 통해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방법을 통해 실내를 정화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천장에 설치되는 종래의 환기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환기 장치는 건물의 옥상 등에 1대의 공기 정화설비를 설치하고, 실내로 분기되는 배관을 통해서 건물 전체에 외기를 공급하였는데, 이와 같이 1대의 공기 정화설비만을 사용하는 경우 환기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내로 배관을 분기시키면서 환기 장치를 설치함에 따라 배관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면서 환기 장치의 설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천장에 배관을 설치함에 따라 유지 보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함께, 종래의 환기 장치는 천장에 환기 장치를 설치하여 실내의 공기를 정화함에 따라 바닥에 깔려있는 공기보다 무거운 오염물질을 외부로 쉽게 배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 창문 앞쪽에 환기 팬을 부착하고, 내측 창문 뒷쪽에 공기 정화용 필터를 부착하여 차압을 통해 바닥에 깔리는 유해 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은, 실내를 환기시키는 환기 시스템으로, 창틀; 상기 창틀에 장착되며, 건물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창문; 상기 창틀에 장착되며, 건물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창문; 상기 내측 창문의 외측에 구비되는 필터; 상기 내측 창문에 장착되며, 환기 팬이 구비된 환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은 상기 필터가 장착되는 필터 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 틀은 상기 내측 창문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의 상기 환기부는, 상기 환기 팬의 외측을 감싸는 방음 고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의 상기 내측 창문은 내측 하부 창문과 상기 내측 하부 창문 상부에 설치되는 내측 상부 창문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창문은 외측 하부 창문과 상기 외측 하부 창문 상부에 설치되는 외측 상부 창문을 포함하며, 상기 환기부는 상기 내측 하부 창문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의 상기 외측 상부 창문과 상기 창틀 사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은 상기 내측 창문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출입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출입문과 바닥 사이에는, 틈새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의 상기 틈새 공간의 높이는 40 내지 60mm 일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의 상기 틈새 공간에는 문풍지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의 실내를 환기시키는 환기 시스템으로, 창틀; 상기 창틀에 장착되며, 건물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창문; 상기 창틀에 장착되며, 건물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창문; 상기 내측 창문의 내측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환기 팬이 구비된 환기부; 상기 내측 창문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의 상기 외측 창문과 상기 창틀 사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내측 창문과 상기 창틀 사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이동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내측 창문 앞쪽에 환기 팬을 부착하고, 내측 창문 뒷쪽에 공기 정화용 필터를 부착하여 차압을 통해 바닥에 깔리는 유해 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창문에 환기 팬을 설치함에 따라 배관 없이 환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필터 틀을 통해 필터를 내측 창문 뒷쪽에 용이하게 설치 및 교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내측 창문에 환기부가 착탈식으로 설치됨에 따라 시공 및 분해가 간편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방음 고무를 통해 환기 팬을 설치함에 따라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하부 지점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중간 지점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측 창문에 환기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환기부가 장착되는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에 환기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내측 창문 앞쪽에 환기 팬을 부착하고, 내측 창문 뒷쪽에 공기 정화용 필터를 부착하여 차압을 통해 바닥에 깔리는 유해 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은 창틀(110), 외측 창문(120), 내측 창문(130), 필터(140), 환기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창틀(110)은 창문이 설치되는 틀이며, 상기 창틀(110)은 상부 창틀(111)과 하부 창틀(112)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창틀(111)과 상기 하부 창틀(112)에 창문을 결합시켜 상기 창틀(110)에 창문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창틀(110)에는 상기 외측 창문(120)과 상기 내측 창문(13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창문(120)과 상기 내측 창문(130)은 이중창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외측 창문(120)은 상기 창틀(110)에 장착되면서, 건물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외측 창문(120)은 외측 창살(121)과 외측 유리(122)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외측 창살(121)이 상기 창틀(11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창문(130)은 상기 창틀(110)에 장착되면서, 건물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내측 창문(130)은 내측 창살(131)과 내측 유리(132)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내측 창살(131)이 상기 창틀(110)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건물의 내측이라 함은 건물의 실내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으며, 건물의 외측이라 함은 건물의 실외를 향하는 방향일 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140)는 상기 내측 창문(130)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필터(140)는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필터(140)는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면 다양한 종류의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필터(140)는 상기 내측 창문(130)에 장착되는 상기 환기부(150)를 통해 실내로 외기를 공급하기 전에 외기를 정화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은 상기 필터(140)가 장착되는 필터 틀(1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틀(141)은 상기 내측 창문(13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필터 틀(141)은 상기 내측 창문(130)의 상기 내측 창살(131)에 결합되는 틀일 수 있다.
상기 필터(140)는 나사못, 피스 등을 통해 상기 필터 틀(14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필터 틀(141)을 사용하여 상기 필터(140)를 고정함에 따라, 상기 필터(140)를 상기 내측 창문(130) 뒷쪽에 용이하게 설치 및 교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환기부(150)는 상기 내측 창문(130)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환기부(150)에는 환기 팬(15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환기 팬(151)은 외기를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는 팬으로, 상기 환기 팬(151)은 회전을 통해 바람을 발생시켜 외기를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환기부(150)는 상기 환기 팬(151)의 외측을 감싸는 방음 고무(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음 고무(152)는 상기 환기 팬(151)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환기부(150)가 상기 내측 창문(130)에 설치될 때, 상기 방음 고무(152)를 통해 상기 환기 팬(151)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감소시킴에 따라 상기 환기 팬(151)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 창문(130)은 내측 하부 창문(134)과 상기 내측 하부 창문(134)의 상부에 설치되는 내측 상부 창문(13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외측 창문(120)은 외측 하부 창문(124)과 상기 외측 하부 창문(124)의 상부에 설치되는 외측 상부 창문(12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환기부(150)는 상기 내측 하부 창문(134)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환기부(150)는 상기 내측 하부 창문(134)의 하부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외측 상부 창문(123)과 상기 창틀(110) 사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1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구(125)는 외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로, 상기 공기 흡입구(125)는 상기 외측 상부 창문(123)과 상기 상부 창틀(11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건물의 외부 공기(외기)는 상기 외측 상부 창문(123)과 상기 상부 창틀(111) 사이에 형성된 상기 공기 흡입구(125)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구(125)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상기 내측 창문(130)의 뒷쪽(건물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내측 창문(130)에 구비된 상기 환기부(150)의 상기 환기 팬(151)이 작동하게 되면서 외기가 실내로 공급된다.
상기 환기 팬(151)에 의해 외기가 실내로 공급될 때, 외기는 상기 내측 창문(130)의 뒷쪽에 구비된 상기 필터(140)를 통해 정화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실내로 정화된 외기가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은 상기 환기부(150)를 통해 실내의 바닥쪽으로 외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환기부(150)는 상기 내측 하부 창문(134)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기 때문에, 외기를 실내의 바닥쪽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외기는 실내의 공기보다 온도가 낮기 때문에 바닥으로 가라앉게 되는데, 상기 내측 하부 창문(134)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환기부(150)를 통해 외기를 공급함에 따라 외기를 실내의 바닥쪽으로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은 외기를 바닥쪽으로 공급함에 따라 바닥에 깔리는 유해 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은 상기 내측 창문(130)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출입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출입문과 바닥 사이에는 틈새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환기부(150)를 통해 실내로 외기가 공급되면, 실내의 공기 압력은 높아지게 된다. 상기 출입문과 바닥 사이에 구비된 상기 틈새 공간은, 실내의 공기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발생하는 차압에 의해 공기가 이동할 때, 공기가 이동될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출입문과 상기 바닥 사이에 상기 틈새 공간을 구비하게 되면, 별도의 공기 이동 배관 없이도 공기의 차압에 의해 공기를 이동시키면서 급기와 배기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틈새 공간의 높이는 40 내지 60mm 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mm 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틈새 공간에는 문풍지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문풍지 아래로 이동되는 공기는 다른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문풍지 아래로 공기를 공급시킴에 따라 별도의 공기 이동 배관 없이도 공기의 차압에 의해 공기를 이동시키면서 급기와 배기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은 프레임(160)을 통해 상기 환기부(15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60)은 상기 내측 창문(130)의 내측(건물의 실내 방향)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60)은 상기 창틀(1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160)은 상기 환기부(150)가 설치될 수 있는 프레임일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60)에서 상기 환기부(150)가 설치되지 않는 공간에는 프레임 유리(161)가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은 상기 내측 창문(130)에 상기 환기부(150)를 설치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은 상기 내측 창문(130) 대신 상기 프레임(160)에 상기 환기부(150)를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160)을 상기 창틀(110)에 결합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에서 창틀(110), 외측 창문(120), 내측 창문(130), 상기 환기부(15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의 상기 필터(140)는 상기 내측 창문(130)과 상기 프레임(160)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환기 팬(151)이 구비된 상기 환기부(150)는 상기 프레임(16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의 상기 외측 창문(120)과 상기 창틀(110) 사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상기 공기 흡입구(125)가 구비되고, 상기 내측 창문(130)과 상기 창틀(110) 사이에는 공기가 이동하는 공기 이동구(135)가 구비될 수 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상기 외측 상부 창문(123)과 상기 상부 창틀(111) 사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12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내측 하부 창문(134)과 상기 하부 창틀(112)에는 상기 공기 이동구(13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건물의 외부 공기(외기)는 상기 외측 상부 창문(123)과 상기 상부 창틀(111) 사이에 형성된 상기 공기 흡입구(125)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구(125)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상기 내측 창문(130)의 뒷쪽(건물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내측 창문(130)의 뒷쪽으로 이동한 외기는 상기 공기 이동구(135)를 통해 상기 프레임(160)의 뒷쪽(건물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60)에 구비된 상기 환기부(150)의 상기 환기 팬(151)이 작동하게 되면서, 외기가 실내로 공급된다. 상기 환기 팬(151)에 의해 외기가 실내로 공급될 때, 외기는 상기 프레임(160)의 뒷쪽에 구비된 상기 필터(140)를 통해 정화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실내로 정화된 외기가 공급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은 내측 창문 앞쪽에 환기 팬을 부착하고, 내측 창문 뒷쪽에 공기 정화용 필터를 부착하여 차압을 통해 바닥에 깔리는 유해 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은 창문에 환기 팬을 설치함에 따라 배관 없이 환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필터 틀을 통해 필터를 내측 창문 뒷쪽에 용이하게 설치 및 교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은 내측 창문에 환기부가 착탈식으로 설치됨에 따라 시공 및 분해가 간편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방음 고무를 통해 환기 팬을 설치함에 따라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창틀 111...상부 창틀
112...하부 창틀 120...외측 창문
121...외측 창살 122...외측 유리
123...외측 상부 창문 124...외측 하부 창문
125...공기 흡입구 130...내측 창문
131...내측 창살 132...내측 유리
133...내측 상부 창문 134...내측 하부 창문
135...공기 이동구 140...필터
141...필터 틀 150...환기부
151...환기 팬 152...방음 고무
160...프레임 161...프레임 유리

Claims (10)

  1. 실내를 환기시키는 환기 시스템에 있어서,
    창틀;
    상기 창틀에 장착되며, 건물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창문;
    상기 창틀에 장착되며, 건물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창문;
    상기 내측 창문의 외측에 구비되는 필터;
    상기 내측 창문에 장착되며, 환기 팬이 구비된 환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창문은 내측 하부 창문과 상기 내측 하부 창문 상부에 설치되는 내측 상부 창문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창문은 외측 하부 창문과 상기 외측 하부 창문 상부에 설치되는 외측 상부 창문을 포함하며,
    상기 환기부는 상기 내측 하부 창문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외측 상부 창문과 상기 창틀 사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외측 상부 창문과 상기 창틀 사이에 구비된 상기 공기 흡입구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내측 하부 창문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환기부를 통과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장착되는 필터 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 틀은 상기 내측 창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부는,
    상기 환기 팬의 외측을 감싸는 방음 고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창문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출입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출입문과 바닥 사이에는,
    틈새 공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 공간의 높이는 40 내지 6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 공간에는 문풍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150863A 2021-11-04 2021-11-04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 KR102419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863A KR102419148B1 (ko) 2021-11-04 2021-11-04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863A KR102419148B1 (ko) 2021-11-04 2021-11-04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148B1 true KR102419148B1 (ko) 2022-07-08

Family

ID=82407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863A KR102419148B1 (ko) 2021-11-04 2021-11-04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14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136Y2 (ja) * 1989-02-28 1995-08-02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換気框装置
KR200293652Y1 (ko) * 2002-07-24 2002-11-01 주식회사 엘.지.에이 산업용 환풍기
KR20130017658A (ko) * 2011-08-11 2013-02-20 동 규 김 환기장치
KR102132595B1 (ko) * 2019-06-27 2020-07-15 이도영 미세먼지 차단을 통한 실내 공기질 유지용 원격 스마트 창호 시스템
KR20200092798A (ko) * 2019-01-25 2020-08-04 서연테크 주식회사 환기 창문 모듈
JP2020172848A (ja) * 2019-04-05 2020-10-22 三協立山株式会社 換気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136Y2 (ja) * 1989-02-28 1995-08-02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換気框装置
KR200293652Y1 (ko) * 2002-07-24 2002-11-01 주식회사 엘.지.에이 산업용 환풍기
KR20130017658A (ko) * 2011-08-11 2013-02-20 동 규 김 환기장치
KR20200092798A (ko) * 2019-01-25 2020-08-04 서연테크 주식회사 환기 창문 모듈
JP2020172848A (ja) * 2019-04-05 2020-10-22 三協立山株式会社 換気システム
KR102132595B1 (ko) * 2019-06-27 2020-07-15 이도영 미세먼지 차단을 통한 실내 공기질 유지용 원격 스마트 창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4972A3 (en) Air cleaning system
KR100556431B1 (ko) 공기청정 겸용 환기시스템
KR20130017658A (ko) 환기장치
KR102419148B1 (ko)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
KR101865100B1 (ko) 에어커튼
US4553475A (en) Laboratory hood attachment
KR20200018061A (ko)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천장 설치 구조물
KR200369798Y1 (ko) 지상 건물용 공기 청정기
KR102318416B1 (ko) 공기정화장치 창문설치방법
CN115076829A (zh) 多隔室负压空气过滤
KR20030064179A (ko) 소음제거장치가 구비된 송풍기
CN113531739A (zh) 负空气过滤系统
KR200173246Y1 (ko) 지하주차장 자동 환기 장치
KR100609162B1 (ko) 공기청정기
KR102261200B1 (ko)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
WO2023106514A1 (ko) 소음 모듈이 장착된 공기 조화 장치
KR100455579B1 (ko) 천장 매립형 에어컨
JP5023393B2 (ja) プロジェクタ用天吊り装置
KR102260784B1 (ko) 버스형 공기청정기 필터 하우징용 안전핀
JP2012122203A (ja) 屋内用除湿装置
CN211060325U (zh) 一种易于净化通风的隔音房
KR200310412Y1 (ko) 소음제거장치가 구비된 송풍기
KR102357712B1 (ko) 롤 방식 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 순환장치
KR102116370B1 (ko) 공기청정 살균기
JP2005164147A (ja) 感染対策用空気清浄陰圧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