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200B1 -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200B1
KR102261200B1 KR1020200150515A KR20200150515A KR102261200B1 KR 102261200 B1 KR102261200 B1 KR 102261200B1 KR 1020200150515 A KR1020200150515 A KR 1020200150515A KR 20200150515 A KR20200150515 A KR 20200150515A KR 102261200 B1 KR102261200 B1 KR 102261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ir
unit
ventilation system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 규 김
Original Assignee
김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규 filed Critical 김동규
Priority to KR1020200150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2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내부 공간의 일측에 설치되면서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부;와, 내부 공간의 타측에 설치되면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기부는, 외부와 연통되면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흡기관;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흡기관에 연결되며, 내부에 필터가 구비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천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관; 상기 제1연결관과 연결되며, 내부에 팬 모터가 구비된 모터부; 상기 모터부와 연결되는 이동관; 상기 이동관의 끝단에 구비되며,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 {Ventilation system for multi-use facility}
본 발명은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공간의 일측에는 흡기부를 설치하고 내부 공간의 타측에는 배기부를 설치하여, 공기가 주입되는 지점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지점으로 순방향 및 일방향으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과 같은 다중이용시설에는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다중이용시설의 환기 시스템은 공기를 정화시켜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키며, 내부 공간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종래의 다중이용시설에 사용되는 환기 시스템의 대부분은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흡기 지점과 내부 공간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 지점이 천장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환기 시스템은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 폐열회수형의 공기 순환기를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폐열회수형의 공기 순환기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대신, 내부 공간의 공기를 반복적으로 정화 및 순환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환기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환기 시스템과 같이 천장에 흡기 지점과 배기 지점이 모두 구비되거나, 폐열회수형의 공기 순환기를 사용하면, 공기의 흐름이 한쪽 방향(순방향)으로 흐르지 않게 된다.
공기의 흐름이 한쪽 방향(순방향)으로 흐르지 않게 되면, 오염된 공기가 내부 공간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면서, 내부 공간에 있는 사람들이 오염된 공기에 노출될 위험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 코로나와 같은 전염병이 유행하고 있는 시점에 내부 공간의 공기 흐름이 한쪽 방향(순방향)으로 흐르지 않게 되면, 내부 공간에 있는 사람들이 바이러스, 병원균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바이러스, 병원균에 감염될 위험이 더욱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함께, 종래의 환기 시스템은 흡기 지점과 배기 지점이 모두 천장에 구비됨에 따라 공기보다 무거운 물질을 정화하지 못하는 문제첨이 있다. 공기 중에 존재하는 인체에 해로운 물질은 공기보다 가벼운 물질도 있지만, 공기 보다 무거운 물질도 있다.
공기보다 가벼운 유해 물질은 종래의 환기 시스템을 통해 내부 공간 밖으로 배출될 수 있으나, 종래의 환기 시스템을 통해서는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 물질을 내부 공간 밖으로 배출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82343호(2019.07.10) 등록특허공보 제10-0723780호(2007.05.30)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4-134367호(2014.07.24)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4378호(2009.05.11)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72392호(2010.07.0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공간의 일측에는 흡기부를 설치하고 내부 공간의 타측에는 배기부를 설치하여, 공기가 주입되는 지점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지점으로 순방향 및 일방향으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은, 내부 공간의 공기 순환을 위해 설치되는 환기 시스템으로, 내부 공간의 일측에 설치되면서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부;와, 내부 공간의 타측에 설치되면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기부는, 외부와 연통되면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흡기관;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흡기관에 연결되며, 내부에 필터가 구비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천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관; 상기 제1연결관과 연결되며, 내부에 팬 모터가 구비된 모터부; 상기 모터부와 연결되는 이동관; 상기 이동관의 끝단에 구비되며,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의 상기 배기부는,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환풍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가 이동되는 배관부; 상기 배관부에 구비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환풍기; 상기 배관부에 구비되며, 상기 환풍기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소켓부; 상기 소켓부와 연결되는 제2연결관; 상기 제2연결관과 연결되며, 공기를 내부 공간의 밖으로 배출하는 배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의 상기 내부 공간의 일측과 상기 내부 공간의 타측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의 상기 제1연결관과 상기 제2연결관은 S 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의 상기 필터부에는, 상기 필터부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부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내부 공간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상기 필터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의 상기 배관부는, 지면에 설치되는 제1배관부와 상기 제1배관부 상부에 설치되는 제2배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배관부에는 제1환풍기 구멍이 형성되면서 제1환풍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2배관부에는 제2환풍기 구멍이 형성되면서 제2환풍기가 구비되며, 상기 소켓부는 상기 제2배관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의 상기 제1배관부와 상기 제2배관부는 철판을 절곡하거나 접어서 제작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의 상기 배관부에는, 회전을 통해 상기 환풍기 구멍을 열고 닫을 수 있는 날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내부 공간의 일측에는 흡기부를 설치하고 내부 공간의 타측에는 배기부를 설치하여, 공기가 주입되는 지점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지점으로 순방향 및 일방향으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연결관과 제2연결관을 S자 형상으로 연장함에 따라 천장의 들보를 피해서 흡기부와 배기부를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지면과 가까운 지점에 환풍기를 설치함에 따라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 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배기부의 배관부를 지면에 설치되는 제1배관부와 제1배관부 상부에 설치되는 제2배관부로 분리하면서, 철판을 절곡하거나 접어서 배관부를 설치함에 따라 배관부의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배관부 및 제2배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배관부 및 제2배관부에 제1환풍기 및 제2환풍기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배출부 및 복수 개의 배관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내부 공간의 일측에는 흡기부를 설치하고 내부 공간의 타측에는 배기부를 설치하여, 공기가 주입되는 지점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지점으로 순방향 및 일방향으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이용시설은 병원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이용시설은 내부 공간이 구비되면서 공기를 환기시키는 곳이라면 다양한 시설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은 흡기부(100)와 배기부(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은 내부 공간(10)의 공기 순환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천장(20)이 구비되는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천장(20)에는 슬래브(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슬래브(21) 아래에는 천장 반자(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천장(20)의 일측에는 전면 들보(2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천장(20)의 타측에는 후면 들보(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들보(22)와 상기 후면 들보(24)는 중간 들보(23)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흡기부(100)는, 흡기관(110), 필터부(120), 제1연결관(130), 모터부(140), 이동관(150), 배출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흡기관(110)은 내부 공간의 일측에 설치되면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흡기관(110)은 외부와 연통되면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필터부(120)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흡기관(110)에 연결되는 것으로, 내부에 필터(12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필터(121)는 상기 흡기관(11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원형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필터(121)는 상기 흡기관(110)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종류의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필터부(120)에는 상기 필터부(120)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122)는 상기 필터부(120) 내부에 구비된 상기 필터(121)를 교체할 수 있도록 열리고 닫힐 수 있는 개폐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폐부(122)는 상기 내부 공간(1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상기 필터부(1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개폐부(122)를 통해 내부 공간(10) 안에서 상기 필터(121)를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관(130)은 상기 필터부(120)에서 상기 천장(20)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1연결관(130)은 상기 필터부(120)에서 연장되는 관으로, 상기 제1연결관(130)은 S 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천장(20)의 일측에는 상기 전면 들보(22)가 구비될 수 있다. 건축물의 구조상 벽이나 창문 위에 들보가 구비되며, 상기 들보는 천장 반자(25) 위에 근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들보에 의해 상기 제1연결관(130)이 똑바로 연장될 수 없으며, 상기 제1연결관(130)은 상기 전면 들보(22)를 피하여 상기 천장(20)으로 연장되기 위해 S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부(140)는 상기 제1연결관(130)과 연결되며, 내부에 팬 모터(141)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팬 모터(141)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압력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모터부(140)의 상기 팬 모터(141)에 의해 상기 흡기부(100)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팬 모터(141)에 의해 상기 흡기관(110)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흡기관(110)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부(120)에서 정화된 이후, 상기 제1연결관(130)을 거쳐 상기 모터부(140)로 이동된다.
상기 이동관(150)은 상기 모터부(140)와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배출부(160)는 상기 이동관(150)의 끝단에 구비되면서 내부 공간(10)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관(150)은 상기 모터부(140)와 연결되는 관일 수 있으며, 상기 배출부(160)는 상기 이동관(150)과 상기 내부 공간(10)이 연통되는 지점이 될 수 있다. 상기 모터부(140)로 이동된 공기는 상기 이동관(150)을 지나 상기 배출부(160)를 통해 내부 공간(10)으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부(160)에는 미세먼지 필터(16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미세먼지 필터(161)를 통해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먼지를 정화하여 내부 공간(10)으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배기부(200)는 배관부(210), 환풍기, 소켓부(240), 제2연결관(250), 배기관(260)을 포함한다.
상기 배관부(210)는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환풍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가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환풍기는 상기 배관부(210)에 구비되는 것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배관부(210)는 지면에 설치되는 제1배관부(220)와 상기 제1배관부(220) 상부에 설치되는 제2배관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배관부(220)에는 제1환풍기 구멍(221)이 형성되면서 내부에 제1환풍기(222)가 구비되고, 상기 제2배관부(230)에는 제2환풍기 구멍(231)이 형성되면서 내부에 제2환풍기(232)가 구비된다.
상기 제1환풍기(222)는 상기 제1환풍기 구멍(221)을 통해 상기 제1배관부(220)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2환풍기(232)는 상기 제2환풍기 구멍(231)을 통해 상기 제2배관부(23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배관부(210)가 지면에 설치되는 제1배관부(220)와 상기 제1배관부(220) 상부에 설치되는 제2배관부(230)로 이루어지면, 내부 공간(10)의 공기 중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 물질을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공기 중에는 공기 보다 무겁거나 가벼운 유해 물질이 존재하는데, 종래와 같이 천장에만 환기 시스템이 구비되면,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 물질을 외부로 배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같이 지면에 설치되는 상기 제1배관부(220)를 구비하면, 상기 제1배관부(220)를 통해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 물질을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관부(210)는 상기 제1배관부(220)와 상기 제2배관부(23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 많은 개수의 배관부가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소켓부(240)는 상기 배관부(210)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환풍기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다. 상기 소켓부(240)는 상기 배관부(210)와 연결되는 관일 수 있으며, 상기 소켓부(240)를 통해 상기 배관부(210)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이동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소켓부(240)는 상기 제2배관부(23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배관부(230)에는 소켓 구멍(23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소켓부(240)는 상기 제2배관부(230)의 상기 소켓 구멍(23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관(250)은 상기 소켓부(240)와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2연결관(250)은 상기 소켓부(240)에서 연장되는 관으로, 상기 제2연결관(250)은 S 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천장(20)의 일측에는 상기 후면 들보(24)가 구비될 수 있다. 건축물의 구조상 벽이나 창문 위에 들보가 구비되며, 상기 들보는 천장 반자(25) 위에 근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들보에 의해 상기 제2연결관(250)이 똑바로 연장될 수 없으며, 상기 제2연결관(250)은 상기 후면 들보(24)를 피하여 상기 천장(20)으로 연장되기 위해 S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관(260)은 상기 제2연결관(250)과 연결되는 것으로, 내부 공간(10)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기관(260)은 외부와 연통되어 있는 관일 수 있으며, 상기 배관부(210)의 상기 환풍기를 통해 이동된 내부 공간(10)의 공기는, 상기 소켓부(240)-상기 제2연결관(250)-상기 배기관(2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연결관(250)과 상기 배기관(260)은 바로 연결될 수도 있으나, 공기가 이동하는 다른 관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상기 배관부(210) 및 복수 개의 상기 제2연결관(250)이 구비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2연결관(250)이 하나의 상기 배기관(260)에 연결되어 내부 공간(10)의 공기가 배출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관부(210)에는 환풍기 스위치(270)나 콘센트(271)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환풍기 스위치(270)는 상기 환풍기를 작동시키는 스위치일 수 있으며, 상기 콘센트는 상기 환풍기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외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콘센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관부(210)에는 회전을 통해 상기 환풍기 구멍을 열고 닫을 수 있는 날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는 접히거나 펴지면서 상기 환풍기 구멍을 열리거나 닫히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1환풍기 구멍(221)에 설치되는 제1날개부(223)와 상기 제2환풍기 구멍(231)에 설치되는 제2날개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날개부(223)와 상기 제2날개부(233)를 통해 상기 제1환풍기 구멍(221) 및 상기 제2환풍기 구멍(231)을 열리고 닫히게 하여, 필요한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환풍기(222) 및 상기 제2환풍기(232)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가령, 여름철과 같이 에어컨이 나오는 환경에서는 상기 제1날개부(223)와 상기 제2날개부(233)를 통해 상기 제1환풍기 구멍(221) 및 상기 제2환풍기 구멍(231)을 닫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배관부(220)와 상기 제2배관부(230)는 철판을 절곡하거나 접어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1배관부(220)와 상기 제2배관부(230)는 철판을 절곡, 절단하여 운반한 이후, 이를 접어서 제작될 수 있는 것으로, 철판을 절곡하거나 접어서 상기 제1배관부(220)와 상기 제2배관부(230)를 제작함에 따라 운반 및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배관부(210)는 상기 제1배관부(220)와 상기 제2배관부(230)로 분리되어 제작됨에 따라 운반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배관부(210)가 상기 제1배관부(220)와 상기 제2배관부(230)로 분리되어 제작됨에 따라, 차량으로 상기 배관부(210)를 쉽게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의 상기 흡기부(100)와 상기 배기부(20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배출부(160) 및 상기 미세먼지 필터(161)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배관부(210)도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흡기부(100)는 상기 내부 공간(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기부(200)는 상기 내부 공간(1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 공간(10)의 일측과 상기 내부 공간(10)의 타측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즉, 상기 흡기부(100)와 상기 배기부(200)는 상기 내부 공간(10)에서 서로 마주 보도록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흡기부(100)와 상기 배기부(200)를 마주 보도록 설치함에 따라, 공기의 흐름을 한쪽 방향(순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이용시설은 병원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은 의사(31)가 앉을 수 있는 제1의자(30)와 환자(41)가 앉을 수 있는 제2의자(40)를 포함할 수 있다.
의사가 앉을 수 있는 상기 제1의자(30)는 상기 내부 공간(10)에 배치되되, 상기 흡기부(100)가 배치되는 상기 내부 공간(10)의 일측 방향에 배치될 수 있으며, 환자가 앉을 수 있는 상기 제2의자(40)는 상기 내부 공간(10)에 배치되되, 상기 배기부(200)가 배치되는 상기 내부 공간(10)의 타측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의사(31)가 환자(41)를 진료하는 경우, 의사(31)는 환자(41)가 가지고 있는 바이러스, 병원균 등에 노출될 위험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상기 흡기부(100)와 상기 배기부(200)를 상기 내부 공간(10)에서 서로 마주 보도록 설치하면, 공기의 흐름을 한쪽 방향(순방향)으로 형성함에 따라 의사(31)가 환자(41)의 바이러스, 병원균 등에 노출될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의사가 앉을 수 있는 상기 제1의자(30)를 상기 흡기부(100)가 배치되는 상기 내부 공간(10)의 일측 방향에 배치하고, 환자가 앉을 수 있는 상기 제2의자(40)를 상기 배기부(200)가 배치되는 상기 내부 공간(10)의 타측 방향에 배치함에 따라, 의사(31)가 환자(41)에 의해 감염될 확률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은 내부 공간의 일측에는 흡기부를 설치하고 내부 공간의 타측에는 배기부를 설치하여, 공기가 주입되는 지점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지점으로 순방향 및 일방향으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은 의사가 앉을 수 있는 제1의자를 흡기부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의 일측 방향에 배치하고, 환자가 앉을 수 있는 제2의자를 배기부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의 타측 방향에 배치함에 따라 의사가 환자의 진료를 진행하는 동안 환자에 의해 의사가 감염될 확률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은 제1연결관과 제2연결관을 S자 형상으로 연장함에 따라 천장의 들보를 피해서 흡기부와 배기부를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지면과 가까운 지점에 환풍기를 설치함에 따라 공기보다 무거운 유해 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은, 배기부의 배관부를 지면에 설치되는 제1배관부와 제1배관부 상부에 설치되는 제2배관부로 분리하면서, 철판을 절곡하거나 접어서 배관부를 설치함에 따라 배관부의 운반 및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흡기부 110...흡기관
120...필터부 121...필터
122...개폐부 130...제1연결관
140...모터부 141...팬 모터
150...이동관 160...배출부
161...미세먼지 필터 200...배기부
210...배관부 220...제1배관부
221...제1환풍기 구멍 222...제1환풍기
223...제1날개부 230...제2배관부
231...제2환풍기 구멍 232...제2환풍기
233...제2날개부 234...소켓 구멍
240...소켓부 250...제2연결관
260...배기관 270...환풍기 스위치
271...콘센트

Claims (8)

  1. 내부 공간의 공기 순환을 위해 설치되는 환기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 공간의 일측에 설치되면서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부;와, 내부 공간의 타측에 설치되면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기부는, 외부와 연통되면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흡기관;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흡기관에 연결되며, 내부에 필터가 구비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천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관;
    상기 제1연결관과 연결되며, 내부에 팬 모터가 구비된 모터부;
    상기 모터부와 연결되는 이동관;
    상기 이동관의 끝단에 구비되며,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부는,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환풍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가 이동되는 배관부;
    상기 배관부에 구비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환풍기;
    상기 배관부에 구비되며, 상기 환풍기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소켓부;
    상기 소켓부와 연결되는 제2연결관;
    상기 제2연결관과 연결되며, 공기를 내부 공간의 밖으로 배출하는 배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에는, 상기 필터부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부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내부 공간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상기 필터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관부는, 지면에 설치되는 제1배관부와 상기 제1배관부 상부에 설치되는 제2배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배관부에는 제1환풍기 구멍이 형성되면서 제1환풍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2배관부에는 제2환풍기 구멍이 형성되면서 제2환풍기가 구비되며,
    상기 소켓부는 상기 제2배관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배관부와 상기 제2배관부는 철판을 절곡하거나 접어서 제작되며,
    상기 배관부에는, 회전을 통해 상기 환풍기 구멍을 열고 닫을 수 있는 날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의 일측과 상기 내부 공간의 타측은 서로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관과 상기 제2연결관은 S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150515A 2020-11-11 2020-11-11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 KR102261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515A KR102261200B1 (ko) 2020-11-11 2020-11-11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515A KR102261200B1 (ko) 2020-11-11 2020-11-11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1200B1 true KR102261200B1 (ko) 2021-06-07

Family

ID=76374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515A KR102261200B1 (ko) 2020-11-11 2020-11-11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2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780B1 (ko) 2006-03-31 2007-05-30 동 규 김 공기주입장치
KR20090004378U (ko) 2007-11-05 2009-05-11 권영현 오염공기의 배기가 가능한 환기장치
KR20100072392A (ko) 2008-12-22 2010-07-01 조부연 비딩부를 갖는 플레이트 및 그 제조장치
JP2014134367A (ja) 2013-01-11 2014-07-24 Daikin Ind Ltd 換気システム
KR20190082343A (ko) 2017-12-29 2019-07-10 김포대학교산학협력단 복도 및 틈새 공간을 활용한 실내 공기 환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780B1 (ko) 2006-03-31 2007-05-30 동 규 김 공기주입장치
KR20090004378U (ko) 2007-11-05 2009-05-11 권영현 오염공기의 배기가 가능한 환기장치
KR20100072392A (ko) 2008-12-22 2010-07-01 조부연 비딩부를 갖는 플레이트 및 그 제조장치
JP2014134367A (ja) 2013-01-11 2014-07-24 Daikin Ind Ltd 換気システム
KR20190082343A (ko) 2017-12-29 2019-07-10 김포대학교산학협력단 복도 및 틈새 공간을 활용한 실내 공기 환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88981A (zh) 单风口新风机
WO2012011938A2 (en) Fresh air heat exchanger with air treatment system
KR20050122522A (ko) 공기청정 겸용 환기시스템
EP1701102A2 (en) Ventilating system
KR102261200B1 (ko) 다중이용시설 환기 시스템
KR101865100B1 (ko) 에어커튼
CN109179160A (zh) 一种用于电梯内的洁净净化的通风装置
CN209944677U (zh) 一种新风机
US20140131004A1 (en) Fresh air heat exchanger with air treatment system
KR20200117784A (ko) 음압 및 양압식 송풍시스템.
CN213713240U (zh) 空气处理模块、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102448119B1 (ko) 공기순환기의 필터수명 연장구조
CN209978286U (zh) 一种感染科病房灭菌换气装置
CN114543169A (zh) 空气处理模块、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20110040454A (ko) 주방 배기시스템
KR102116370B1 (ko) 공기청정 살균기
CN217383246U (zh) 主动式函道空气净化装置
JP2005069619A (ja) 換気システム
CN205747068U (zh) 吸油烟机和建筑结构
KR102510764B1 (ko) 룸환경 제어장치
KR102419148B1 (ko) 창문에 필터와 환기 팬을 장착하는 환기 시스템
CN111608364A (zh) 楼房及其公共烟道、中央油烟处理系统和公共风机模块
JP5350344B2 (ja) プッシュプル式換気システム
CN214272301U (zh) 一种公共卫生间的排风系统
KR20000061682A (ko)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