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986B1 - 옷걸이가 결합된 바구니 - Google Patents

옷걸이가 결합된 바구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986B1
KR102418986B1 KR1020200144367A KR20200144367A KR102418986B1 KR 102418986 B1 KR102418986 B1 KR 102418986B1 KR 1020200144367 A KR1020200144367 A KR 1020200144367A KR 20200144367 A KR20200144367 A KR 20200144367A KR 102418986 B1 KR102418986 B1 KR 102418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basket
hook
hangers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9133A (ko
Inventor
김의령
Original Assignee
김의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의령 filed Critical 김의령
Priority to KR1020200144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986B1/ko
Publication of KR20220059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1442Handling hangers, e.g. stacking,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07Clothes hoo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18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for two or more similar garments, e.g. constructed to connect to, or support, a similar hanger
    • A47G25/183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for two or more similar garments, e.g. constructed to connect to, or support, a similar hanger constructed to connect to, or support a similar hang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사용 옷걸이 보관시, 연결부재를 통해 베이스에 다수의 옷걸이를 연결하면서 적층하여, 걸이대 내부가 형성하는 폐쇄된 공간을 통해 바구니를 형성함으로써, 바구니 내부 공간에 수납품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옷걸이가 결합된 바구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옷걸이가 결합된 바구니 {Basket Consisted with Combination of Clothes Hanger}
본 발명은 의류를 걸어 보관하는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사용 옷걸이 보관시, 연결부재를 통해 베이스에 다수의 옷걸이를 연결하면서 적층하여, 걸이대 내부가 형성하는 폐쇄된 공간을 통해 바구니를 형성함으로써, 바구니 내부 공간에 수납품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옷걸이가 결합된 바구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장이나 행거의 의류를 수납하여 보관하거나 세탁된 의류를 건조대에 널기 위하여, 옷장이나 행거 또는 세탁물 건조대에 형성된 봉에 옷걸이를 걸어 의류를 보관하게 된다.
옷걸이를 이용하여 의류를 보관하는 경우, 특정 위치에 의류 보관하거나 또는 선택된 의류를 꺼내기가 용이해져 의류 정리가 용이해지고, 의류를 수납공간의 크기에 맞춰 접지 않고 수납할 수 있어, 의류에 주름이 형성되거나 통풍 부족으로 인한 냄새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외투 상의와 같이 접었을 때 부피가 크게 증가하는 의류의 수납 수량을 늘릴 수 있어, 한정된 수납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옷걸이를 통해 의류를 수납 보관하는 경우 옷걸이에 걸린 의류의 좌우 무게 균형차에 의해 옷걸이가 회전하면서 옷걸이간 간경이 넓어져 수납 공간이 감소할 수 있고, 건조대를 통해 세탁된 젖은 의류를 옷걸이를 통해 건조대에 보관하는 경우 건조대의 기울어진 방향을 따라 옷걸이가 이동하면서 옷걸이에 걸린 세탁물간 접촉이 발생하면서 의류가 쉽게 건조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3903호(2013.10.16.공개)의 여러개의 옷걸이를 옷의 접촉없이 가지런히 연결할 수 있는 옷걸이에서는 옷걸이의 걸이대 표면에 동일한 극성의 자석을 배치하고, 이를 통해 옷걸이를 통해 의류를 수납 보관할 때 서로 이웃하도록 보관된 옷걸이간 자기척력이 작용함으로써, 보관된 옷걸이의 회전에 따른 정렬불량 및 보관된 의류간 접촉에 의한 건조불량을 해결할 수 있는 옷걸이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옷걸이는 빈 옷걸이 보관시 옷걸이간 작용하는 자기척력에 의해 옷걸이를 밀착시켜 보관할 수 없고, 빈 옷걸이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한정된 의류 수납공간을 빈 옷걸이를 보관하기 위한 수납공간으로 할애하면서 수납공간 활용도가 크게 저하되었다.
또한, 빈 옷걸이는 각 방마다 별도로 마련된 옷장이나 행거 또는 다용도실에 마련된 세탁물 건조대 등으로 분산되어 보관되기 때문에, 세탁 완료 후 다량의 젖은 의류를 건조대에 널기 위하여 빈 옷걸이를 준비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며, 준비한 빈 옷걸이가 세탁물 수량보다 부족한 경우 빈 옷걸이를 마련하기 위해 각 옷장이나 행거를 찾거나, 준비한 빈 옷걸이가 세탁물 수량보다 많은 경우 남은 옷걸이를 보관하기 위한 수납 공간을 마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3903호 (2013.10.16.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빈 옷걸이에 의류 보관 이외의 용도를 부여함으로써, 빈 옷걸이의 활용도를 높이고, 빈 옷걸이의 간편한 보관을 가능하게 하며, 옷장이나 행거 또는 건조대에 보다 넓은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세탁된 의류를 옷걸이에 걸어 건조대에 널어 건조시키거나, 건조 완료된 의류를 옷걸이에 걸어 보관할 때, 빈 옷걸이를 보다 쉽고 빠르게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의류를 걸어 보관하도록 옷걸이 양측으로 돌출되고, 일정 각도로 하방 경사를 이루는 걸이대, 걸이대 중앙부에 장착되어 옷걸이를 거는 후크, 미사용 옷걸이를 보관시 상부면 가장자리를 따라 옷걸이가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는 베이스, 걸이대 양 끝단 및 베이스 상부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연결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부재은 자석으로 이루어져, 미사용 옷걸이 보관시 다수의 옷걸이와 베이스간 결합이 이루어지고, 2개 이상의 옷걸이 양 끝단이 대향하면서 걸이대 내부에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베이스와 걸이대 내부에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면서 적층된 옷걸이가 각각 바구니의 바닥면과 측면을 이룸으로써, 바구니 내부 공간에 수납품을 보관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의류를 걸어 보관하도록 옷걸이 양측으로 돌출되고, 일정 각도로 하방 경사를 이루는 걸이대, 걸이대 중앙부에 장착되어 옷걸이를 거는 후크, 걸이대에 형성되는 고정홈, 미사용 옷걸이를 보관시 상부면 가장자리를 따라 옷걸이가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는 베이스, 미사용 옷걸이의 고정홈이 끼워지도록 베이스 상부면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된 다수의 연결부재으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부재은 미사용 옷걸이 보관시 2개 이상의 옷걸이가 양 끝단이 대향하면서 걸이대 내부에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베이스와 걸이대 내부에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면서 적층된 옷걸이가 각각 바구니의 바닥면과 측면을 이룸으로써, 바구니 내부 공간에 수납품을 보관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걸이대는 후크 방향으로 형성된 외측 걸이대와 후크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내측 걸이대로 이루어져, 외측 걸이대와 내측 걸이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의류를 추가로 걸 수 있도록 구성되되, 내측 걸이대는 외측 걸이대가 형성하는 하방경사 이하의 각도를 이룬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걸이대와 연결되는 후크 끝단에는 힌지가 형성되어 후크의 회전이 가능하고, 후크와 연결되는 걸이대의 연결부에는 후크의 수납이 가능한 공간인 후크 수납홈이 형성됨으로써, 바구니 조립시, 후크가 후크 수납홈 내부로 수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상부 표면에는 옷걸이가 배치되어 형성하는 바구니의 단면 형상 패턴이 2개 이상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 상부 끝단에는 고정부재가 연결되되, 연결부재의 양 끝단에는 연결돌기가 돌출되고, 고정부재의 연결부재과의 연결부 상하면에 연결돌기가 삽입되는 연결홈이 형성되어, 연결부재의 다단 연결에 따른 바구니 높이 확장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하지 않는 옷걸이를 서로 연결하여 바구니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빈 옷걸이가 옷장이나 행거 또는 건조대에서 차지하는 보관공간을 활용하여 수납공간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하지 않는 옷걸이로 바구니를 형성하면서 빈 옷걸이를 한데 모아 보관함으로써, 옷걸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바구니에 수납되는 수납품이 세탁물인 경우, 사용하지 않는 옷걸이를 서로 연결하여 형성된 바구니에 세탁이 완료된 의류를 수거하고, 바구니로부터 옷걸이를 분리하면서 수거된 의류를 걸어 건조 또는 보관함으로써 의류의 세탁 후 건조시키거나 보관하는 가사노동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빈 옷걸이가 연결되어 형성된 바구니로부터 옷걸이를 분리하여 의류를 보관하여, 세탁된 의류의 건조 또는 보관시 의류보다 많은 수량의 옷걸이 수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탁된 의류의 수량이 변화하더라도 의류의 수량만큼 옷걸이를 준비하는 불편함과, 준비한 옷걸이의 수량이 부족할 때 부족한 수량만큼의 옷걸이를 다시 준비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잇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옷걸이의 후크를 접어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하지 않는 옷걸이를 서로 연결하여 바구니를 형성시 외부로 돌출된 후크로 인해 바구니 사용 편의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옷걸이의 걸이대를 내외측 걸이대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져 옷걸이에 보관되는 의류 수량을 증가시키고, 내외측 걸이대가 이루는 경사각도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바구니 형성시 내부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옷걸이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및 연결부재에 옷걸이를 끼워 바구니 형성시 바구니의 상부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및 연결부재에 옷걸이를 끼워 바구니 형성시 바구니의 측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후크가 형성된 옷걸이의 상부 형상 및 A-A'선도에 따른 옷걸이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후크가 형성된 옷걸이의 후크 회전 및 수납홈으로의 수납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및 연결부재에 옷걸이를 끼워 바구니 형성시 옷걸이의 배치 각도 및 수량을 달리하여 바구니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홈 패턴이 형성된 베이스 형상을 타나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추가연결을 통한 바구니 높이 확장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납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부재가 적용된 바구니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옷걸이(100)는 도 1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옷장이나 행거 또는 세탁물 건조대에 옷걸이(100)를 거는 후크(140)와, 후크(140) 양측으로 돌출되어 옷걸이(100)에 보관하는 의류가 걸리는 걸이대(110)와, 걸이대(110) 양 끝단에 형성되는 연결부재(20)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10) 상부면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연결부재(20)가 형성되며, 옷걸이(100)와 베이스(10)에 형성된 연결부재(20)는 자석으로 이루어져, 2개 이상의 옷걸이(100)의 걸이대(110) 끝단이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걸이대(110) 내부에 다각형 형상의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였을 때, 각 옷걸이(100)의 연결부재(20)를 이루는 자석이 반대 극성을 가지는 베이스(10)의 연결부재(20)를 이루는 자석에 결합되면서 옷걸이(100)가 베이스(10)에 장착된다.
다수의 미사용 옷걸이(100)를 보관하기 위하여, 베이스(10)의 상부에 부착된 옷걸이(100) 위로 다른 옷걸이(100)를 배치하면, 각 옷걸이(100)의 걸이대(110)가 폐쇄된 다각형 형상으로 배치되면서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고, 각 옷걸이(100)의 연결부재(20)간 자석의 인력에 의해 고정되는데, 적층된 옷걸이(100)의 걸이대(110)가 바구니(1)의 측벽을 형성하고, 베이스(10)가 바구니(1)의 바닥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바구니(1)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옷걸이(100) 및 베이스(10)의 연결부재(20) 표면에는 자석의 극성을 구분하는 색상 또는 문자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옷걸이(100)는 도 1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옷장이나 행거 또는 세탁물 건조대에 옷걸이(100)를 거는 후크(140)와, 후크(140) 양측으로 돌출되어 옷걸이(100)에 보관하는 의류가 걸리는 걸이대(110)와, 걸이대(110)에 형성되는 고정홈(12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10) 상부면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봉형상의 연결부재(20)가 돌출되며, 2개 이상의 옷걸이(100)의 걸이대(110) 끝단이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걸이대(110) 내부에 다각형 형상의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였을 때, 각 옷걸이(100)의 고정홈(120)이 배치되는 위치로 봉형상의 연결부재(20)가 베이스(10)에 장착된다.
다수의 미사용 옷걸이(100)를 보관하기 위하여 베이스(10) 및 봉형상의 연결부재(20)에 옷걸이(100)의 고정홈(120)을 끼우면, 각 옷걸이(100)의 걸이대(110)가 폐쇄된 다각형 형상으로 배치되면서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는데, 적층된 옷걸이(100)의 걸이대(110)가 바구니(1)의 측벽을 형성하고, 베이스(10)가 바구니(1)의 바닥면을 형성하게 된다.
도 1a에 따른 자석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20)가 적용된 옷걸이, 또는 도 1b에 따른 고정홈(120)이 형성된 옷걸이(100) 양측으로 돌출되는 걸이대(110)는 일정 각도로 하방경사, 즉 옷걸이(100)를 걸었을 때 지면을 향하는 경사를 이루며, 양측 걸이대(110)가 이루는 경사각은 옷걸이(100)와 베이스(10)를 연결하여 고정할 때, 대향하여 배치되는 옷걸이간 걸이대(110) 끝단이 바구니(1)의 내부 수납공간 방향으로 함몰되면서 수납 공간이 좁아지지 않도록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이대(110)는 후크(140)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의를 걸 수 있는 외측 걸이대(111)와, 후크(140)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하의나 작은 세탁물을 걸 수 있는 내측 걸이대(11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걸이대(110)가 외측 걸이대(111)와 내측 걸이대(112)로 이루어지는 경우 외측 걸이대(111)와 내측 걸이대(112)간 이격 공간이 고정홈(12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바구니(1) 형성시 내부 수납 공간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내측 걸이대(112)가 이루는 각도가 외측 걸이대(111)가 형성하는 하방경사 이하의 크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크(140)와 연결되는 걸이대(110)의 연결부에는 후크(140)의 길이 및 두께보다 큰 공간인 후크 수납홈(130)이 형성되고, 걸이대(110)와 연결되는 후크(140) 끝단부에 후크(140)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힌지(141)가 형성되어, 힌지(141)를 축으로 회전하는 후크(140)가 후크 수납홈(130) 내부로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베이스(10)와 연결부재(20) 및 옷걸이(100)를 연결하여 바구니(1) 형성시,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크(140)가 후크 수납홈(130) 내부로 수납되면서 바구니(1)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바구니(1)의 보관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베이스(10) 상부 표면에 형성된 연결부재(20)가 연결되는 홈은 바구니(1) 형성시 옷걸이(100)의 연결부재(20) 또는 고정홈(120)이 배치되는 패턴에 따라 형성되는 위치가 결정되는데,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구니(1)의 한 단(段)을 구성하는 옷걸이(100)의 수량을 변경시켜 바구니(1)의 측벽 형상을 변경시켰을 때, 베이스(10)와 옷걸이(100)의 연결부재(20)를 구성하는 자석을 서로 결합시키거나, 봉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20)에 옷걸이(100)를 끼울 수 있도록 베이스(10) 상부 표면의 연결부재(20)가 연결되는 홈이 2개 이상의 다각형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10)에 자석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20)를 복수의 패턴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봉형상의 연결부재(20)을 연결하기 위한 홈을 복수의 패턴으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바구니(1)의 크기 및 형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베이스(10) 표면에 옷걸이(100)가 연결되는 형상을 각 패턴별로 표시하여 연결부재(20) 위치 변경 및 연결부재(20)에 옷걸이(100)를 끼우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20) 상부 끝단에는 미사용 옷걸이(100)로 바구니(1) 형성시 옷걸이(10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재(3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0)의 양 끝단에는 연결돌기(21)가 돌출되고, 고정부재(30)의 연결부재(20)과의 연결부 상하면에는 연결부재(20)의 연결돌기(21)가 삽입되는 연결홈(31)이 형성되어, 연결부재(20)과 고정부재(30)가 서로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30)는 중앙부가 막혀있는 판재 형상, 또는 중앙부가 빈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고정부재(30)가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바구니(1)의 뚜껑으로 사용될 수 있고, 고정부재(30)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고정부재(30) 상부의 연결홈(31)에 연결부재(20) 및 고정부재(30)를 추가로 장착함으로써, 연결부재(20)의 다단 연결을 통한 바구니(1)의 높이 확장을 통해 미사용 옷걸이(100) 보관 개수 및 바구니(1)내에 보관되는 수납품 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바구니(1)를 구성하는 옷걸이(100)의 수량이 적은 경우, 바구니(1) 형성시 봉형상의 연결부재(20)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면서 바구니(1) 내부에 수납된 수납품의 이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봉형상의 연결부재(20) 사이의 공간이 탈착 가능한 이탈방지 부재(22)를 연결하여 공간을 폐쇄함으로써, 수납품이 바구니(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옷걸이(100)가 결합된 바구니(1)에 수납되는 수납품이 세탁물인 경우, 바구니(1) 내부 공간에 세탁물을 보관하여 세탁이 완료된 의류를 수거하고, 바구니(1)로부터 옷걸이(100)를 분리하면서 수거된 의류를 걸어 건조 또는 보관함으로써 의류의 세탁 후 건조시키거나 보관하는 가사노동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옷걸이(100)로 바구니(1)를 형성하면서 빈 옷걸이(100)를 한데 모아 보관함으로써, 옷걸이(100)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고, 빈 옷걸이(100)가 옷장이나 행거 또는 건조대에서 차지하는 보관공간을 활용하여 실내 수납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고, 바구니(1) 형성을 통해 미사용 옷걸이(100)를 한데 모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바구니 10: 베이스
20: 연결부재 21: 연결돌기
22: 이탈방지 부재 30: 고정부재
31: 연결홈 100: 옷걸이
110: 걸이대 111: 외측 걸이대
112: 내측 걸이대 120: 고정홈
130: 후크 수납홈 140: 후크
141: 힌지

Claims (6)

  1. 삭제
  2. 의류를 걸어 보관하도록 옷걸이(100) 양측으로 돌출되고, 일정 각도로 하방 경사를 이루는 걸이대(110);
    걸이대(110) 중앙부에 장착되어 옷걸이(100)를 거는 후크(140);
    걸이대(110)에 형성되는 고정홈(120);
    미사용 옷걸이(100)를 보관시 상부면 가장자리를 따라 옷걸이가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는 베이스(10);
    미사용 옷걸이(100)의 고정홈(120)이 끼워지도록 베이스(10) 상부면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된 다수의 연결부재(20);
    으로 구성되되,
    상기 연결부재(20)은 미사용 옷걸이(100) 보관시 2개 이상의 옷걸이(100)가 양 끝단이 대향하면서 걸이대(110) 내부에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베이스(10)와 걸이대(110) 내부에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면서 적층된 옷걸이(100)가 각각 바구니(1)의 바닥면과 측면을 이룸으로써, 바구니(1) 내부 공간에 수납품을 보관하고,
    상기 연결부재(20) 상부 끝단에는 고정부재(30)가 연결되되,
    연결부재(20)의 양 끝단에는 연결돌기(21)가 돌출되고, 고정부재(30)의 연결부재(20)과의 연결부 상하면에 연결돌기(21)가 삽입되는 연결홈(31)이 형성되어, 연결부재(20)의 다단 연결에 따른 바구니(1) 높이 확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가 결합된 바구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110)는 후크(140) 방향으로 형성된 외측 걸이대(111)와 후크(140)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내측 걸이대(112)로 이루어져, 외측 걸이대(111)와 내측 걸이대(11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의류를 추가로 걸 수 있도록 구성되되, 내측 걸이대(112)는 외측 걸이대(111)가 형성하는 하방경사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가 결합된 바구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110)와 연결되는 후크(140) 끝단에는 힌지(141)가 형성되어 후크(140)의 회전이 가능하고, 후크(140)와 연결되는 걸이대(110)의 연결부에는 후크(140)의 수납이 가능한 공간인 후크 수납홈(130)이 형성됨으로써, 바구니(1) 조립시, 후크(140)가 후크 수납홈(130) 내부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가 결합된 바구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 상부 표면에는 옷걸이(100)가 배치되어 형성하는 바구니(1)의 단면 형상 패턴이 2개 이상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가 결합된 바구니.
  6. 삭제
KR1020200144367A 2020-11-02 2020-11-02 옷걸이가 결합된 바구니 KR102418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367A KR102418986B1 (ko) 2020-11-02 2020-11-02 옷걸이가 결합된 바구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367A KR102418986B1 (ko) 2020-11-02 2020-11-02 옷걸이가 결합된 바구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133A KR20220059133A (ko) 2022-05-10
KR102418986B1 true KR102418986B1 (ko) 2022-07-07

Family

ID=81591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367A KR102418986B1 (ko) 2020-11-02 2020-11-02 옷걸이가 결합된 바구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9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518A (ja) * 1998-06-27 2000-01-18 Naojiro Takeda 継手部を設けたハンガー
JP3062063B2 (ja) * 1995-09-19 2000-07-10 株式会社前川製作所 貝柱取り方法、及び、ホタテ貝柱取り機
KR200265695Y1 (ko) * 2001-11-16 2002-02-25 배석준 옷걸이 수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2063U (ja) * 1998-12-11 1999-09-28 日本コパック株式会社 ハンガー
KR101074658B1 (ko) * 2009-04-30 2011-10-18 이석신 옷걸이
KR20130113903A (ko) 2012-04-08 2013-10-16 조호준 여러개의 옷걸이를 옷의 접촉없이 가지런히 연결할 수 있는 옷걸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2063B2 (ja) * 1995-09-19 2000-07-10 株式会社前川製作所 貝柱取り方法、及び、ホタテ貝柱取り機
JP2000014518A (ja) * 1998-06-27 2000-01-18 Naojiro Takeda 継手部を設けたハンガー
KR200265695Y1 (ko) * 2001-11-16 2002-02-25 배석준 옷걸이 수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133A (ko)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2975B2 (en) Pivotally-deployable work surface for a household appliance
KR100953909B1 (ko) 안정된 단계적 접힘 기능이 구비된 행거
KR100543412B1 (ko) 적층 가능한 옷걸이
HU226971B1 (en) Storage assembly with expandable double hanging closet
KR102418986B1 (ko) 옷걸이가 결합된 바구니
US20050023229A1 (en) Closet organizer
JP2023029479A (ja) 洗濯用バッグ
KR20210101821A (ko) 건조대 겸용 세탁물바구니
KR20200131535A (ko) 분리형 칸막이 빨래바구니
CN210493652U (zh) 多功能衣架
CN207920514U (zh) 一种能用作衣架的梯子
KR200354714Y1 (ko) 세탁물 건조걸이
KR200301729Y1 (ko) 접철가능한 수납형 옷장
KR200456802Y1 (ko) 일회용 앞치마 고정장치
KR200374805Y1 (ko) 옷걸이
US4722438A (en) Organizer container for garment hangers
JP2019126697A (ja) 靴整理棚
KR102620152B1 (ko) 옷걸이
KR100364394B1 (ko) 가변형 옷장
CN214244992U (zh) 晾衣架、落地晾晒架以及电动晾衣架
CN113208387A (zh) 多功能衣帽架
CN219109012U (zh) 一种多功能纤维板储物柜
KR200321909Y1 (ko) 일측에 행거가 구비된 장롱
CN213155282U (zh) 一种衣架
JP3199651U (ja) ピンチハンガーの収納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