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793B1 - 외부환경에 적응적으로 대응하여 항공영상을 촬영하는 항공촬영 드론 장치 - Google Patents

외부환경에 적응적으로 대응하여 항공영상을 촬영하는 항공촬영 드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793B1
KR102418793B1 KR1020200157579A KR20200157579A KR102418793B1 KR 102418793 B1 KR102418793 B1 KR 102418793B1 KR 1020200157579 A KR1020200157579 A KR 1020200157579A KR 20200157579 A KR20200157579 A KR 20200157579A KR 102418793 B1 KR102418793 B1 KR 102418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light
driving
wind speed
a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0722A (ko
Inventor
양권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어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어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어센스
Priority to KR1020200157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793B1/ko
Publication of KR20220070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5/232
    • B64C2201/127
    • B64C2201/14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1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외부환경에 적응적으로 대응하여 항공영상을 촬영하는 항공촬영 드론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공촬영 드론 장치는, 항공영상의 촬영을 위한 비행구동을 수행하는 비행구동 수행부; 비행구동 수행부에 의해 비행구동이 수행되는 도중의 전, 후, 좌, 우, 상, 하 중의 적어도 한 방향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 측정부; 풍속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풍속을 비행구동 수행부에 의해 수행되는 비행구동의 추진력과 비교하는 풍속 비교부; 및 풍속 비교부에 의해 비교되는 결과에 따라 비행구동 수행부의 비행구동을 가감 제어하는 가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부환경에 적응적으로 대응하여 항공영상을 촬영하는 항공촬영 드론 장치{AERIAL SHOT DRON APPARATUS ADAPTIVELY SHOOTING AVIATION IMAGE RESPONDING WITH EXTERNAL ENVIRONMENT}
본 발명은 항공촬영 드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람과 같은 외부환경에 적응적으로 대응함으로써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항공영상을 촬영하는 항공촬영 드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초창기의 드론은 군사용으로 개발되었지만, 최근에는 DHL(Dalsey Hillblom Lynn), 아마존, 구글 등의 글로벌 기업들의 상업적 활용이 늘어나면서 다양한 분야로의 활용가치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드론은 상업적 활용의 경우 크게 물류 운송용으로 신속, 정확한 화물 운송을 목적으로 하는 드론 택배 서비스가 추진되고 있으며, 농업용으로 살충제 및 비료살포뿐만 아니라 원격 농장관리, 정밀농업 확대 등으로 농업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여러 개의 드론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인터넷을 중계한 다음,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는 지역에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통신분야, 재해 현장, 탐사 보도 등 기존의 지리적 한계나 안전상의 이유로 직접 탐방하지 못했던 장소를 드론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촬영하는 재해관측 및 구조물 진단 등 다양한 용도로 드론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다양한 분야 및 다양한 용도로 드론이 활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드론을 활용한 항공 영상의 촬영 시에 바람과 같은 외부환경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함으로써, 드론을 통해 획득한 항공영상이 안정적이지 못하여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77803호 (공개일자: 2019.07.04)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바람과 같은 외부환경에 적응적으로 대응함으로써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항공영상을 촬영하는 항공촬영 드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외부환경에 적응적으로 대응하여 항공영상을 촬영하는 항공촬영 드론 장치는, 항공영상의 촬영을 위한 비행구동을 수행하는 비행구동 수행부; 상기 비행구동 수행부에 의해 비행구동이 수행되는 도중의 전, 후, 좌, 우, 상, 하 중의 적어도 한 방향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 측정부; 상기 풍속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풍속을 상기 비행구동 수행부에 의해 수행되는 비행구동의 추진력과 비교하는 풍속 비교부; 및 상기 풍속 비교부에 의해 비교되는 결과에 따라 상기 비행구동 수행부의 비행구동을 가감 제어하는 가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항공촬영 드론 장치는, 항공영상을 촬영하는 항공영상 촬영부; 상기 가감 제어부에 의해 가감 제어되는 비행구동이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의 등속구동인지를 판단하는 등속구동 판단부; 및 상기 등속구동 판단부에 의해 등속구동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항공영상이 촬영되도록 상기 항공영상 촬영부를 제어하는 촬영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과 같은 외부환경에 적응적으로 대응함으로써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항공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 드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항공촬영 드론 장치에 의한 가속제어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항공촬영 드론 장치에 의한 감속제어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 드론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 드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환경에 적응적으로 대응하여 항공영상을 촬영하는 항공촬영 드론 장치(100)는 비행구동 수행부(110), 풍속 측정부(120), 풍속 비교부(130), 가감 제어부(140), 항공영상 촬영부(150), 등속구동 판단부(160), 및 촬영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비행구동 수행부(110)는 항공영상의 촬영을 위한 비행구동을 수행한다. 즉, 비행구동 수행부(110)는 항공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드론을 비행시키며, 비행되는 드론을 전, 후, 좌, 우,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이동 제어할 뿐만 아니라 드론이 일정한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비행구동 수행부(110)는 기 설정된 추진력으로 드론의 비행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추진력은 전, 후, 좌, 우, 상, 하를 포함하는 비행방향의 정보를 포함한다.
풍속 측정부(120)는 비행구동 수행부(110)에 의해 비행구동이 수행되는 도중의 전, 후, 좌, 우, 상, 하 중의 적어도 한 방향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풍속을 측정한다.
이때, 풍속 측정부(120)는 드론의 전면, 후면, 좌면, 우면,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는 풍속 측정센서를 포함하며, 드론이 비행되는 상태에서 드론의 전면, 후면, 좌면, 우면, 상면 또는 하면에 부딪히는 바람의 풍속을 측정할 수 있다.
풍속 비교부(130)는 풍속 측정부(120)에 의해 측정되는 풍속을 비행구동 수행부(110)에 의해 수행되는 비행구동의 추진력과 비교한다.
이때, 풍속 비교부(130)는 풍속 측정부(120)에 의해 측정되는 풍속에 기반하여, 드론에 미치는 단위시간당의 풍력을 계산하고, 계산된 풍력과 비행구동의 추진력을 비교할 수 있다.
가감 제어부(140)는 풍속 비교부(130)에 의해 비교되는 결과에 따라 비행구동 수행부(110)의 비행구동을 가감 제어한다.
예를 들어, 가감 제어부(1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방향으로 진행되는 추진력에 대하여 풍속 측정부(120)에 의해 드론의 우측면에서 설정된 값 이상의 풍속이 측정되는 경우, 측정되는 풍속에 의한 풍력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드론의 우측 방향으로 추진력이 증가되도록 가속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감 제어부(14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방향으로 진행되는 추진력에 대하여 풍속 측정부(120)에 의해 드론의 좌측면에서 설정된 값 이상의 풍속이 측정되는 경우, 측정되는 풍속에 의한 풍력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드론의 좌측 방향으로 추진력이 감소되도록 감속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가감 제어부(140)는 풍속 측정부(120)에 의해 측정되는 풍속에 의해 드론에 미치는 풍력이 감쇄되며, 결과적으로 전, 후, 좌, 우, 상, 하 방향으로 불어오는 바람에 관계없이 드론이 추진력의 방향으로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에서 속도를 유지하도록 가감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공영상 촬영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며, 현재의 드론의 위치에서 항공영상을 촬영한다.
등속구동 판단부(160)는 가감 제어부(140)에 의해 가감 제어되는 비행구동이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의 등속구동인지를 판단한다. 즉, 등속구동 판단부(160)는 드론의 전, 후, 좌, 우, 상, 하 방향으로 미치는 풍력을 감쇄시킨 후의 가속도가 0이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촬영 제어부(170)는 등속구동 판단부(160)에 의해 등속구동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항공영상이 촬영되도록 항공영상 촬영부(150)를 제어한다.
즉, 촬영 제어부(170)는 드론의 전, 후, 좌, 우, 상 또는 하 방향으로 미치는 풍력이 상쇄된 후, 드론이 등속도로 이동하거나 정지한 상태인 경우에 항공영상이 촬영되도록 항공영상 촬영부(150)를 제어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 드론 장치(100)는 드론의 전, 후, 좌, 우,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설정된 값 이상의 풍력이 미치더라도 안정적으로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거나 정지한 상태에서 항공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흔들림이 없는 항공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 드론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 드론 제어방법은 도 1에 나타낸 항공촬영 드론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항공촬영 드론 장치(100)는 항공영상의 촬영을 위한 비행구동을 수행한다(S202).
즉, 항공촬영 드론 장치(100)는 항공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드론을 비행시키며, 비행되는 드론을 전, 후, 좌, 우,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이동 제어할 뿐만 아니라 드론이 일정한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항공촬영 드론 장치(100)는 기 설정된 추진력으로 드론의 비행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추진력은 전, 후, 좌, 우, 상, 하를 포함하는 비행방향의 정보를 포함한다.
항공촬영 드론 장치(100)는 비행구동이 수행되는 도중의 전, 후, 좌, 우, 상, 하 중의 적어도 한 방향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풍속을 측정한다(S204).
이때, 항공촬영 드론 장치(100)는 드론의 전면, 후면, 좌면, 우면,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는 풍속 측정센서를 포함하며, 드론이 비행되는 상태에서 드론의 전면, 후면, 좌면, 우면, 상면 또는 하면에 부딪히는 바람의 풍속을 측정할 수 있다.
항공촬영 드론 장치(100)는 측정되는 풍속을 수행되는 비행구동의 추진력과 비교한다(S206). 이때, 항공촬영 드론 장치(100)는 측정되는 풍속에 기반하여, 드론에 미치는 단위시간당의 풍력을 계산하고, 계산된 풍력과 비행구동의 추진력을 비교할 수 있다.
항공촬영 드론 장치(100)는 비교되는 결과에 따라 수행되는 비행구동을 가감 제어한다(S208).
예를 들어, 항공촬영 드론 장치(100)는 우측 방향으로 진행되는 추진력에 대하여 드론의 우측면에서 설정된 값 이상의 풍속이 측정되는 경우, 측정되는 풍속에 의한 풍력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드론의 우측 방향으로 추진력이 증가되도록 가속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항공촬영 드론 장치(100)는 우측 방향으로 진행되는 추진력에 대하여 드론의 좌측면에서 설정된 값 이상의 풍속이 측정되는 경우, 측정되는 풍속에 의한 풍력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드론의 좌측 방향으로 추진력이 감소되도록 감속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항공촬영 드론 장치(100)는 측정되는 풍속에 의해 드론에 미치는 풍력이 감쇄되며, 결과적으로 전, 후, 좌, 우, 상, 하 방향으로 불어오는 바람에 관계없이 드론이 추진력의 방향으로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에서 속도를 유지하도록 가감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공촬영 드론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며, 현재의 드론의 위치에서 항공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항공촬영 드론 장치(100)는 가감 제어되는 비행구동이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의 등속구동인지를 판단한다(S210). 즉, 항공촬영 드론 장치(100)는 드론의 전, 후, 좌, 우, 상, 하 방향으로 미치는 풍력을 감쇄시킨 후의 가속도가 0이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항공촬영 드론 장치(100)는 가감 제어되는 비행구동이 등속구동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항공영상이 촬영되도록 제어한다(S212). 즉, 항공촬영 드론 장치(100)는 드론의 전, 후, 좌, 우, 상 또는 하 방향으로 미치는 풍력이 상쇄된 후, 드론이 등속도로 이동하거나 정지한 상태인 경우에 항공영상이 촬영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공촬영 드론 장치(100)는 드론의 전, 후, 좌, 우, 상 또는 하 방향으로 설정된 값 이상의 풍력이 미치더라도 안정적으로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거나 정지한 상태에서 항공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흔들림이 없는 항공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

  1. 항공영상을 촬영하는 항공촬영 드론 장치에 있어서,
    항공영상의 촬영을 위한 비행구동을 수행하는 비행구동 수행부;
    상기 비행구동 수행부에 의해 비행구동이 수행되는 도중의 전, 후, 좌, 우, 상, 하 중의 적어도 한 방향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 측정부;
    상기 풍속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풍속을 상기 비행구동 수행부에 의해 수행되는 비행구동의 추진력과 비교하는 풍속 비교부;
    상기 풍속 비교부에 의해 비교되는 결과에 따라 상기 비행구동 수행부의 비행구동을 가감 제어하는 가감 제어부;
    항공영상을 촬영하는 항공영상 촬영부;
    상기 가감 제어부에 의해 가감 제어되는 비행구동이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의 등속구동인지를 판단하는 등속구동 판단부; 및
    상기 등속구동 판단부에 의해 등속구동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항공영상이 촬영되도록 상기 항공영상 촬영부를 제어하는 촬영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가감 제어부는 상기 비행구동 수행부에 의해 비행이 구행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풍속 측정부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에서 측정되는 풍속에 의한 풍력이 상쇄되도록 비행구동을 가감 제어하며, 추진력의 방향으로 속도가 유지되도록 비행구동을 가감 제어하고,
    상기 등속구동 판단부는 상기 가감 제어부에 의해 상기 비행구동 수행부의 비행구동이 가감 제어된 후의 가속도가 0이 되었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촬영 제어부는 상기 등속구동 판단부에 의해 가속도가 0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항공영상이 촬영되도록 상기 항공영상 촬영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환경에 적응적으로 대응하여 항공영상을 촬영하는 항공촬영 드론 장치.
  2. 삭제
KR1020200157579A 2020-11-23 2020-11-23 외부환경에 적응적으로 대응하여 항공영상을 촬영하는 항공촬영 드론 장치 KR102418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579A KR102418793B1 (ko) 2020-11-23 2020-11-23 외부환경에 적응적으로 대응하여 항공영상을 촬영하는 항공촬영 드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579A KR102418793B1 (ko) 2020-11-23 2020-11-23 외부환경에 적응적으로 대응하여 항공영상을 촬영하는 항공촬영 드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722A KR20220070722A (ko) 2022-05-31
KR102418793B1 true KR102418793B1 (ko) 2022-07-08

Family

ID=81780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579A KR102418793B1 (ko) 2020-11-23 2020-11-23 외부환경에 적응적으로 대응하여 항공영상을 촬영하는 항공촬영 드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7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495B1 (ko) * 2022-07-21 2023-01-18 국방과학연구소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00495A1 (en) 2014-05-20 2016-10-1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ecure communications with unmanned aerial vehicles
JP2019026233A (ja) * 2017-07-27 2019-02-21 株式会社Mmラボ 無人航空機
WO2019168045A1 (ja) * 2018-02-28 2019-09-06 株式会社ナイルワークス ドローン、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9156127A (ja) * 2018-03-12 2019-09-19 株式会社イームズラボ 無人飛行装置
CN111413997A (zh) 2020-04-14 2020-07-14 中国人民解放军32180部队 高抗风倾转旋翼系留无人机及其飞行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7803A (ko) 2017-12-26 2019-07-04 (주)글루버 자율주행 드론을 이용한 특정 위치 항공 촬영 영상 요청 및 전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00495A1 (en) 2014-05-20 2016-10-1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ecure communications with unmanned aerial vehicles
JP2019026233A (ja) * 2017-07-27 2019-02-21 株式会社Mmラボ 無人航空機
WO2019168045A1 (ja) * 2018-02-28 2019-09-06 株式会社ナイルワークス ドローン、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9156127A (ja) * 2018-03-12 2019-09-19 株式会社イームズラボ 無人飛行装置
CN111413997A (zh) 2020-04-14 2020-07-14 中国人民解放军32180部队 高抗风倾转旋翼系留无人机及其飞行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722A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03467A1 (en) Method and device of determining position of target, tracking device and tracking system
US11156905B2 (en) Control method for gimbal, controller, and gimbal
CN113741543A (zh) 无人机及返航控制方法、终端、系统和机器可读存储介质
KR102418793B1 (ko) 외부환경에 적응적으로 대응하여 항공영상을 촬영하는 항공촬영 드론 장치
US20220086362A1 (en) Focusing method and apparatus, aerial camera and unmanned aerial vehicle
WO2018191963A1 (zh) 遥控器、云台及云台控制方法、装置、系统
US10356294B2 (en) Photographing device, moving body for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control apparatus for moving body
CN110291780B (zh) 图像增稳控制方法、拍摄设备和可移动平台
JP6957304B2 (ja) 架線撮影システム及び架線撮影方法
CN108780262A (zh) 基于目标检测的自动对焦初始化
WO20190610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ERODYNAMIC SPEED
US20180373136A1 (en) Aerial photography camera system
CN111953892A (zh) 无人飞行器、检查方法及检查程序
CN110337668B (zh) 图像增稳方法和装置
EP3234683B1 (en) Imaging system
KR101235692B1 (ko) 관성항법장치를 이용한 짐발의 좌표 지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좌표 지향 방법
CN106542105B (zh) 飞行器移动降落方法和系统
US20150264262A1 (en) Hybrid stabilizer with optimized resonant and control loop frequencies
JP2021096865A (ja) 情報処理装置、飛行制御指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24000551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moving target based on complementary gimbal control through displacement partitioning
KR102194127B1 (ko) 멤스센서를 구비한 드론
KR102402949B1 (ko) 정밀도가 향상된 영상 정보의 획득 방법
WO2020168519A1 (zh) 拍摄参数的调整方法、拍摄设备以及可移动平台
JP2019219874A (ja) 自律移動撮影制御システムおよび自律移動体
KR101957662B1 (ko) 표적 정보 산출 장치, 그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비행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