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630B1 - 사고 정보 수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고 정보 수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630B1
KR102418630B1 KR1020150112652A KR20150112652A KR102418630B1 KR 102418630 B1 KR102418630 B1 KR 102418630B1 KR 1020150112652 A KR1020150112652 A KR 1020150112652A KR 20150112652 A KR20150112652 A KR 20150112652A KR 102418630 B1 KR102418630 B1 KR 102418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vehicle
image
request signal
occur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2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8699A (ko
Inventor
최아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2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630B1/ko
Publication of KR20170018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고 정보 수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정보 수집 장치의 제어 방법은,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 시, 상기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의 외부 기기에 대하여, 소정 클라우드 서버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영상공유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기기가 업로드한 사고 영상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사고 영상을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고 정보 수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ACCIDENT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사고 정보 수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고 발생 시, 사고 장소 근방의 외부 기기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수집하는 사고 정보 수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소위, 블랙박스)는 주행 중인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여 생성한 영상을, 자체적으로 구비된 저장매체(예, SD 카드)에 기록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특정 시점에 기록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차량이 주차된 상태에서도, 소정치 이상의 충격량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활성화되어 영상 기록을 개시하는 기능까지 탑재되어, 운전자가 차량에 승차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이러한 영상 기록 장치의 상용화에 따라, 접촉 사고 시 사고 원인 및 과실 비율을 결정하는 데에 유용한 증거자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아울러 타인에 의한 차량 침입 및 절도 등의 범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종래에는 사고 발생 시, 차량 자체에 장착된 영상 기록 장치 단독으로 촬영된 영상만을 활용할 수 있는 데에 불과하였는바, 해당 영상 기록 장치에 의한 촬영 범위에 속하지 않는 사각지대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하여는, 정확한 사고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타차량에 구비된 영상 기록 장치에 의해 기록된 영상을 획득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사고 장소 근방에 주행 중이던 타차량을 일일이 찾아내어 운전자에게 직접 기록된 영상을 요청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며, 만약 해당 타차량에 영상 기록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고 원인의 규명에 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영상 기록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체적으로 구비된 저장매체에 영상을 기록하는 방식을 기반으로 동작하는데, 이러한 방식은 저장매체 내 저장 공간의 제약으로 인하여, 주기적으로 데이터 포맷을 실행해야만 새로운 영상을 기록할 수 있다. 이때, 운전자의 조작 실수 등으로 인하여, 중요한 증거자료로서 활용 가능한 영상이 데이터 포맷에 의해 삭제되는 상황도 빈번히 발생한다.
이에 따라, 사고 발생 시, 사고 장소의 근방의 다양한 외부 기기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포함하는 사고 정보를 용이하게 수집함과 아울러, 과거에 기록된 사고 정보의 삭제 및 분실 우려가 없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고 발생 시, 사고 장소의 근방의 다양한 외부 기기에 의해 기록된 사고 관련 정보를 자동적으로 수집하는 사고 정보 수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 시, 상기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의 외부 기기에 대하여, 소정 클라우드 서버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영상공유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기기가 업로드한 사고 영상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사고 영상을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고 정보 수집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차량의 주변 영상을 소정 시간 단위로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된 주변 영상을 기초로,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구비된 충돌 센서의 센싱 신호를 더 기초로,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공유 요청 신호는, 상기 사고의 발생 위치 및 발생 시간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 거리는, 상기 사고의 유형, 상기 사고의 심각성 및 상기 사고가 발생한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기기는, 타차량, 휴대용 단말 및 CCTV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타차량인 경우, 상기 영상공유 요청 신호는 V2V 통신을 통해 상기 타차량으로 전송되고,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휴대용 단말인 경우, 상기 영상공유 요청 신호는 V2N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로 전송되며,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CCTV인 경우, 상기 영상공유 요청 신호는 V2I 통신을 통해 상기 CCTV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된 사고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 시, 상기 기록된 주변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록된 주변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제1 주변 영상 및 제2 주변 영상을 업로드하되, 상기 제1 주변 영상은, 상기 사고가 발생한 시점 이전의 제1 시간동안 기록된 주변 영상이고, 상기 제2 주변 영상은, 상기 사고가 발생한 시점 이후의 제2 시간동안 기록된 주변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의 접속에 실패한 경우, 상기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로 상기 주변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업로드 요청 신호를 전송하되, 상기 영상 업로드 요청 신호는, 상기 주변 영상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할 것을 명령하는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고 정보 수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고 발생 시, 사고 장소의 근방의 다양한 외부 기기에 의해 기록된 사고 관련 정보를,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고 장소의 근방의 다양한 외부 기기에 의해 촬영된 사고 관련 영상은, 사고가 발생한 차량과는 다른 위치 및 방향에서 촬영된 것이므로, 해당 사고가 사각지대에서 발생한 경우에도, 정확한 사고 원인 및 과실을 파악하는 데에 유용한 증거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고가 발생한 차량 또는 사고 장소의 근방의 다양한 외부 기기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되고, 이를 추후에 일괄적 또는 선택적으로 다운로드함으로써, 종래 데이터 포맷에 따른, 사고 관련 영상의 분실 및 삭제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고 정보 수집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정보 수집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고 정보 수집 장치가 외부 기기 및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정보 수집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고 정보 수집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고 정보 수집 장치(100)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정보 수집 장치(100)는, 통신부(110), 영상 생성부(120), 정보 저장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센서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외부 기기와의 유선 또는 무선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복수의 GPS 위성들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S 모듈(1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Wi-Fi) 모듈(114)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114)은 예컨대, 도로에 인접하게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모듈(116)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16)은, 도로 또는 도로 주변에 존재하는 다양한 기기(예, 타차량, CCTV, 휴대용 단말) 등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16)은 와이파이 모듈(114)과는 다른 방식을 기반으로, 다양한 외부 기기들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무선 통신 모듈(116)은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통신을 이용하여, 고속 이동 환경에서도 차량간 또는 차량과 인프라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 모듈(116)은 타차량과 V2V 통신을 수행하고, CCTV와 같은 도로의 인프라와 V2I 통신을 수행하며,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과 V2N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사고 정보 수집 장치(100)가 장착된 차량에 사고 발생 시, 전술한 각종 외부 기기에 대하여 영상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영상공유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외부 기기가 전송한 사고 관련 영상을, 직접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거쳐 수신할 수 있다.
영상 생성부(120)는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여, 주변 영상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영상 생성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1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생성부(120)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카메라(122)는 차량의 전방 일측에 장착되어, 차량의 전방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영상 생성부(120)는 차량의 전후좌우의 일측에 장착되는 4대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4대의 카메라에 의해 생성되는 전방 영상, 후방 영상, 좌측방 영상 및 우측방 영상은 후술할 제어부(160)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합성 과정에 의해, 차량을 마치 위에서 아래로 내려보다는 것과 같은 어라운드 뷰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생성부(120)의 카메라(122)는 모노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등 다양한 종류의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정보 저장부(130)는 차량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정보 저장부(130)은 전자맵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맵에는 위치별 도로 정보(예, 커브, 방지턱, 주변 건물, 스쿨존, 차선 수, 제한속도, 경사도, 사고 다발 여부, 안개 주의 여부, 교차로, 일방통행, 주유소, 휴게소, 신호등, CCTV, 과속감시카메라, 하이패스, 톨게이트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전자맵은, 통신부(110)가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것이거나, 사용자가 개인 PC 등을 이용하여 다운로드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정보 저장부(130)는 영상 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된 주변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저장부(130)는 영상 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된 주변 영상을 영구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저장부(130)는 주변 영상을 소정 시간 단위(예, 1분)로 기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보 저장부(130)에 기록된 주변 영상은, 소정 시간 단위(예, 1분)로 리스트화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저장부(130)는 제어부(160)의 동작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정보 저장부(130)는 후술한 제어부(160)의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된 각종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부(160) 또는 통신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저장부(130)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플래시 정보 저장부(130)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카드 타입의 정보 저장부(130),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등의 각종 타입의 저장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사고 정보 수집 장치(100)에서 처리 또는 생성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대표적으로,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현 위치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가 나타나는 경로 안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0)는 사고 정보 수집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예, UI(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40)는 영상 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되어 정보 저장부(130)에 기록된 주변 영상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시점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0)는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사고 관련 영상(즉, 외부 기기에 의해 촬영된 후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40)는 터치 센서가 구비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0)는 차량의 프론트 윈도우도 각종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을 투사하는 HUD(Head Up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50)는 사고 정보 수집 장치(100)가 구비된 차량의 상태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한다. 예컨대, 센서부(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돌 센서(15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충돌 센서(152)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량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출력한다. 후술할 제어부(160)는 충돌 센서(152)로부터 출력된 센싱 신호를 기초로,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 및 차체 중 사고가 발생한 부분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주변 환경 정보는, 예컨대 차량 주변의 장애물 정보, 주변의 조도 등 차량의 외부와 관련된 정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제어부(160)는 사고 정보 수집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통신부(110), 영상 생성부(120), 정보 저장부(130), 디스플레이부(140) 및 센서부(150)를 통해 입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정보 저장부(13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60)는 사고 판단 모듈(152) 및 영상 관리 모듈(154)을 포함할 수 있다.
사고 판단 모듈(162)은 영상 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된 주변 영상을 기초로,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사고 판단 모듈(162)은 주변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를 기 설정된 각종 이미지 패턴과 비교하여, 검출된 오브젝트의 유형(예, 보행자인지, 타차량인지)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검출된 오브젝트의 움직임 정보 및 거리를 산출하여, 사고 발생 여부 및 그 심각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30km/h의 속도로 이동 중인 오브젝트와의 거리가 0m인 경우, 심각 지수가 제1 레벨인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60km/h의 속도로 이동 중인 오브젝트와의 거리가 0m인 경우, 심각 지수가 제2 레벨(>제1 레벨)인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사고 판단 모듈(162)은 cascade & boost 기법, gaussian mixture 기법 등을 이용하여, 주변 영상으로부터 서로 다른 유형의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사고 판단 모듈(162)은 optical flow 기법 등을 이용하여, 검출된 오브젝트의 움직임 벡터를 산출하고, 해당 오브젝트를 트래킹할 수 있다. 또한, 사고 판단 모듈(162)은 euclidean distance 기법 등을 이용하여,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영상 관리 모듈(164)은 사고 시점 전후의 소정 시간 구간 동안, 영상 생성부(120) 또는 외부 기기에 의해 기록된 영상을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관리 모듈(164)은 영상 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된 주변 영상 중, 사고 시점을 포함하는 시간 동안 기록된 주변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영상 관리 모듈(164)은 추출된 주변 영상을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영상 관리 모듈(164)은 사고 발생 시, 영상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할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 관리 모듈(164)은 영상공유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외부 기기가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한 사고 영상이 통신부(110)에 의해 다운로드된 경우, 다운로드된 사고 영상을 소정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리스트화할 수 있다. 일 예로, 영상 관리 모듈(164)은 복수개의 서로 다른 사고 영상이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 경우, 복수개의 사고 영상들을, 이를 업로드한 외부 기기별, 기록 시점별 및 기록 위치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사고 정보 수집 장치(100)는 차량(도 3의 부호 20 참조)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정보 수집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고 정보 수집 장치(100)는, 후술할 도 3에 도시된 차량(20)에 포함된 것으로 가정한다.
도 2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60)는 영상 생성부(120)를 제어하여 차량(20)의 주변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주변 영상을 정보 저장부(130)에 기록한다(S310). 이때, 정보 저장부(13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영상 생성부(120)에 의해 계속적으로 생성되는 주변 영상을 소정 시간 단위로 분류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60)는 차량(20)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20).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영상 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되는 주변 영상 중, 기 정의된 사고 영상과 대응되는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차량(20)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주변 영상과 함께, 센서부에 의해 출력되는 센싱 신호를 더 기초로 하여, 차량(20)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 영상만을 기초로 차량(20)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정확성이 향상된 사고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에 대하여 영상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330). 이때, 영상공유 요청 신호의 수신 대상이 되는 외부 기기는, 사고 발생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외부 기기일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가 영상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소정 거리는, 사고의 유형, 사고의 심각성 및 사고가 발생한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고의 유형이 단독 충돌 사고인 경우에는, 다중 충돌 사고인 경우에 비하여, 더 짧은 거리 내의 외부 기기로 영상공유 요청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충돌 센서(152)에 의해 감지된 충격량이 클수록, 영상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할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일반 도로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비하여, 고속 도로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영상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할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영상공유 요청 신호에는, 사고 발생 시간, 사고 발생 위치, 클라우드 서버 주소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공유 요청 신호를 수신한 외부 기기는, 자신이 기록한 전체 영상 중, 영상공유 요청 신호에 포함된 사고 발생 시간 및 사고 발생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을, 영상공유 요청 신호에 포함된 클라우드 서버 주소로 업로드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60)는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한 후(S340), 영상공유 요청 신호를 수신한 외부 기기에 의해 업로드된 사고 영상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S350).
만약,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기기에 의해,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된 사고 영상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업로드된 사고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S360).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부(140)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사고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370). 이 경우, 다운로드한 사고 영상은, 해당 사고 영상을 업로드한 외부 기기, 기록 시간, 기록 위치 등의 다양한 기준에 따라, 리스트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사고 영상이 어느 외부 기기에 의해 언제 어디에서 기록된 영상인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고 정보 수집 장치(100)가 외부 기기 및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고 정보 수집 장치(100)는 차량(20)에 포함된 것으로 가정한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정보 수집 장치(100)는 사고 발생 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기기(31, 32, 33)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31, 32, 33)로 영상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영상공유 요청 신호는 외부 기기(31, 32, 33)에 대하여, 외부 기기(31, 32, 33)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공유해줄 것을 요청하는 신호이다. 이러한 영상공유 요청 신호는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31, 32, 33)로 전달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10)는 타차량(31)에 대하여 V2V 통신 방식을 통해, 영상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신부(110)는 휴대용 단말(32)에 대하여 V2N 통신 방식을 통해, 영상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통신부(110)는 CCTV(33)에 대하여 V2N 통신 방식을 통해, 영상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영상공유 요청 신호에는, 차량(20)의 사고 발생 시간, 사고 발생 위치 및 클라우드 서버(40) 주소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외부 기기(31, 32, 33)는 영상공유 요청 신호를 수신 시, 자신이 기록한 영상 중, 해당 영상공유 요청 신호에 포함된 사고 발생 시간 및 사고 발생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을 추출한 후, 클라우드 서버(40)에 업로드할 수 있다.
한편, 타차량(31)은 시동이 오프 상태에서 전술한 영상공유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타차량(31)은 시동이 온 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영상공유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사고 영상을 클라우드 서버(40)에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31, 32, 33)는 영상공유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클라우드 서버(40)에 자신이 기록한 영상에 대한 업로드를 완료한 경우,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통신을 통해, 해당 영상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하였던 차량(20)의 사고 정보 수집 장치(100)에 대하여, 업로드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60)는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사고 발생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내(S)에 설치된 교통신호 장치(예, 신호등)에 대하여, 교통신호 히스토리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교통신호 장치는 직접 통신부(110)로 교통신호 히스토리 정보를 전송하거나, 통신부(110)에 의해 요청된 클라우드 서버의 주소로 해당 교통신호 히스토리 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교통신호 장치에 의해 업로드된 교통신호 히스토리 정보를 다운로드한 후, 다운로드된 교통신호 히스토리 정보를 기초로, 사고 발생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 구간 동안, 신호등이 어떠한 교통신호를 발생시켰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고 정보 수집 장치(100)는, 각종 외부 기기들로부터 제공된 사고 영상 및 교통신호 히스토리 정보를 조합하여, 사고 발생의 원인 및 과실을 결정하는 데에 유용한 증거자료를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60)는 클라우드 서버(40)로 다운로드된 복수개의 사고 영상들과 복수개의 교통신호 히스토리 정보 중, 동일한 시간에 기록된 사고 영상과 교통신호 히스토리 정보를 매칭하여, 매칭된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고 정보 수집 장치(100)는 사고 발생 시, 외부 기기(31, 32, 33)에 대하여 영상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과는 별개로, 영상 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된 주변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클라우드 서버(40)에 업로드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별도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정보 수집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교차로(400)에서 제1 차량(401)과 제2 차량(410) 간에 충돌 사고가 발생한 경우를 예시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고 정보 수집 장치(100)는 제1 차량(401)에 구비된 것으로 가정한다.
제어부(16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GPS 신호를 통해 산출되는 제1 차량(401)의 위치를 전자맵과 매칭하여, 사고 발생 위치가 교차로(400)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교차로(400) 내의 사고 발생 시,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제1 차량(401)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고 제1 반경을 갖는 원 내부의 영역(S)으로, 전술한 영상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사고가 교차로(400)와는 다른 유형의 위치에서 발생한 경우, 제어부(160)는 제1 반경과는 다른 반경을 가지는 원 내부의 영역으로 영상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공유 요청 신호가 전송되는 영역(S) 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기기(420, 430, 440)가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외부 기기(420)는 타차량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영상공유 요청 신호는 V2V 통신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제2 외부 기기(430)는 타인의 휴대용 단말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영상공유 요청 신호는 V2N 통신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제3 외부 기기(440)는 CCTV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영상공유 요청 신호는 V2I 통신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제1 외부 기기(420)는 영상공유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외부 기기(420)에 의해 기록된 영상 중 적어도 일부(421)를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외부 기기(430)는 영상공유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제2 외부 기기(430)에 의해 기록된 영상 중 적어도 일부(431)를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3 외부 기기(440)는 영상공유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제3 외부 기기(440)에 의해 기록된 영상 중 적어도 일부(441)를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3 외부 기기(420, 430, 440) 각각은 자신의 식별 정보를 사고 영상(421, 431, 441)과 함께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40)에 접속한 후, 제1 내지 제3 외부 기기(420, 430, 440)에 의해 업로드된 영상들(421, 431, 441) 중 적어도 일부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고 정보 수집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고 정보 수집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차량(20)에 포함된 것으로 가정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영상 생성부(120)를 제어하여 차량(20)의 주변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주변 영상을 정보 저장부(130)에 기록한다(S510). 이때, 정보 저장부(13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영상 생성부(120)에 의해 계속적으로 생성되는 주변 영상을 소정 시간 단위로 분류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60)는 차량(20)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20).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영상 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되는 주변 영상 중, 기 정의된 사고 영상과 대응되는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차량(20)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주변 영상과 함께, 센서부(150)에 의해 출력되는 센싱 신호를 더 기초로 하여, 차량(20)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 영상만을 기초로 차량(20)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정확성이 향상된 사고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단계 S520이 수행되는 중에도, 주변 영상의 생성 및 기록은 계속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단계 S520에서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 시, 제어부(160)는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40)에 대한 접속을 시도하여(S530), 접속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40).
클라우드 서버(40)와의 접속 성공 시, 제어부(160)는 단계 S510을 통해 정보 저장부(130)에 기록된 주행 영상을 클라우드 서버(40)에 업로드할 수 있다(S550). 이 경우, 제어부(160)는 정보 저장부(130)에 기록된 주행 영상을 소정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주행 영상을 클라우드 서버(40)의 서로 다른 저장 영역에 업로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정보 저장부(130)에 기록된 전체 주행 영상 중 제1 주변 영상 및 제2 주변 영상을, 클라우드 서버(40)의 제1 저장 영역에 업로드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주변 영상은, 사고가 발생한 시점 이전의 제1 시간동안 기록된 주변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2 주변 영상은, 사고가 발생한 시점 이후의 제2 시간동안 기록된 주변 영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단계 S520에서 판단된 사고의 심각성에 높을수록, 전술한 제1 시간 및 제2 시간의 길이를 길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정보 저장부(130)에 기록된 전체 주행 영상 중 전술한 제1 주변 영상 및 제2 주변 영상을 제외한 주변 영상을, 클라우드 서버(40)의 제2 저장 영역에 업로드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고 정보 수집 장치(100)는, 주행 영상을 클라우드 서버(40)에 업로드 시, 사고 발생 시점을 포함하는 시간 구간 동안 기록된 주변 영상을, 그 외의 시간 구간 동안 기록된 주변 영상과는 다른 저장 영역에 업로드함으로써, 추후 사고 관련 영상의 검색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단계 S540에서 네트워크 에러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통신부(110)가 클라우드 서버(40)로의 접속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60)는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차량(20) 내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로 영상 업로드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560). 이 경우, 통신부(110)와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은 미리 페어링된 상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업로드 요청 신호는, 단계 S510을 통해 정보 저장부(130)에 기록된 주변 영상을 클라우드 서버(40)에 업로드할 것을 명령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110)가 클라우드 서버(40)에 직접 접속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을 통해 사고 발생 시점을 포함하는 시간 구간 동안 기록된 주변 영상을 클라우드 서버(4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로써, 사고 발생 시점에서 기록된 주변 영상이, 운전자의 실수 등에 의해 분실 및 삭제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00: 사고 정보 수집 장치
110: 통신부
120: 영상 생성부
130: 정보 저장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센서부
160: 제어부

Claims (12)

  1.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 시, 상기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의 외부 기기에 대하여, 소정 클라우드 서버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영상공유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기기가 업로드한 사고 영상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사고 영상을 다운로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생성되는 전방 영상, 후방 영상, 좌측방 영상 및 우측방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상에서 검출된 오브젝트의 트래킹 결과를 기초로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차량 간의 거리 및 상기 오브젝트의 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차량 간의 거리와 상기 오브젝트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이며,
    상기 영상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사고 발생 위치를 기초로 사고 발생 도로가 일반 도로인지 고속 도로인지 판단하고, 상기 사고 발생 도로가 고속 도로인 경우 상기 영상공유 요청 신호를 전송할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
    인 사고 정보 수집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차량의 주변 영상을 소정 시간 단위로 기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고 정보 수집 장치의 제어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충돌 센서의 센싱 신호,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차량 간의 거리 및 상기 오브젝트의 속도를 기초로,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것
    인 사고 정보 수집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공유 요청 신호는,
    상기 사고의 발생 위치 및 발생 시간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사고 정보 수집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거리는,
    상기 사고가 다중 충돌 사고인지 여부 및 상기 차량에 장착된 충돌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사고 당시의 충격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증가할 수 있는 것
    인 사고 정보 수집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는,
    타차량, 휴대용 단말 및 CCTV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사고 정보 수집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타차량인 경우, 상기 영상공유 요청 신호는 V2V 통신을 통해 상기 타차량으로 전송되고,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휴대용 단말인 경우, 상기 영상공유 요청 신호는 V2N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로 전송되며,
    상기 외부 기기가 상기 CCTV인 경우, 상기 영상공유 요청 신호는 V2I 통신을 통해 상기 CCTV로 전송되는, 사고 정보 수집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된 사고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고 정보 수집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 시, 상기 기록된 주변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고 정보 수집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된 주변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제1 주변 영상 및 제2 주변 영상을 업로드하되,
    상기 제1 주변 영상은, 상기 사고가 발생한 시점 이전의 제1 시간동안 기록된 주변 영상이고,
    상기 제2 주변 영상은, 상기 사고가 발생한 시점 이후의 제2 시간동안 기록된 주변 영상인, 사고 정보 수집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의 접속에 실패한 경우, 상기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로 상기 주변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업로드 요청 신호를 전송하되,
    상기 영상 업로드 요청 신호는,
    상기 주변 영상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할 것을 명령하는 신호인, 사고 정보 수집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50112652A 2015-08-10 2015-08-10 사고 정보 수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18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652A KR102418630B1 (ko) 2015-08-10 2015-08-10 사고 정보 수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2652A KR102418630B1 (ko) 2015-08-10 2015-08-10 사고 정보 수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699A KR20170018699A (ko) 2017-02-20
KR102418630B1 true KR102418630B1 (ko) 2022-07-07

Family

ID=58265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2652A KR102418630B1 (ko) 2015-08-10 2015-08-10 사고 정보 수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6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30807A (zh) * 2022-05-19 2023-11-2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介质及产品
US20230406330A1 (en) * 2022-06-21 2023-12-21 Rivian Ip Holdings, Llc Vehicle diagnostic information communica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537B1 (ko) * 2012-12-12 2014-08-1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475039B1 (ko) * 2013-12-20 2014-12-24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네트워킹을 이용한 이미지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316B1 (ko) * 2012-12-14 2015-03-19 리모택시코리아 주식회사 위치기반 사고 정보공유 방법
KR20140126852A (ko) * 2013-04-23 2014-11-03 주식회사 만도 사고 영상 수집 시스템 및 그의 사고 영상 수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537B1 (ko) * 2012-12-12 2014-08-1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475039B1 (ko) * 2013-12-20 2014-12-24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네트워킹을 이용한 이미지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699A (ko) 201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4898B1 (ko) 차량과 관련된 영상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US11688013B1 (en) Providing insurance discounts based upon usage of telematics data-based risk mitigation and prevention functionality
CN107251123B (zh) 车辆组管理装置、车辆组管理方法和车辆组显示装置
JP4350126B2 (ja) 経路案内システム及び方法
JP6274177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
KR102609017B1 (ko) 통학버스를 활용한 환자 이송 차량에 노면 안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US11688278B1 (en) Traffic drone system
KR20130088480A (ko) 차량용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243332A (zh) 信息提供系统和方法、服务器、车载装置以及存储介质
KR101499502B1 (ko) 인접차량과의 상대속도의 변화에 따라 리코딩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 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블랙박스 장치
WO2021090943A1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CN110677583A (zh) 一种车载图像的获取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1746789B (zh) 拍摄系统、服务器、控制方法以及存储程序的存储介质
JP2012137320A (ja) 誘導案内装置、誘導案内方法、誘導案内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2418630B1 (ko) 사고 정보 수집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367531B2 (ja) 車載器
US114074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 yielding space of a platoon
JP7348724B2 (ja) 車載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2019117435A (ja) 画像生成装置
US111800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mera view selection/suggestion
KR20200027235A (ko) 영상 처리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2019117434A (ja) 画像生成装置
KR102531722B1 (ko) 차량 단말을 이용한 주차위치안내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7343962B2 (ja) 車載装置、車載装置用制御プログラム、及び車載装置用制御方法
KR102678281B1 (ko) 객체 인식 영역 가변형 어라운드 뷰 모니터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