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604B1 - 레이다 비콘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다 비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604B1
KR102418604B1 KR1020220040331A KR20220040331A KR102418604B1 KR 102418604 B1 KR102418604 B1 KR 102418604B1 KR 1020220040331 A KR1020220040331 A KR 1020220040331A KR 20220040331 A KR20220040331 A KR 20220040331A KR 102418604 B1 KR102418604 B1 KR 102418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t
antenna structure
radiator
beacon device
radar bea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0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철
김재관
김지영
김희수
강칠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아이플러스원
와이디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김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아이플러스원, 와이디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김민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아이플러스원
Priority to KR1020220040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6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604B1/ko
Priority to PCT/KR2022/014650 priority patent/WO202319120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04Details
    • G01S1/042Transmit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04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76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4Adaptation for use in or on ships, submarines, buoys or torpedo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 G01S2201/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environments
    • G01S2201/08Marine or water borne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레이다 비콘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비콘 장치는, 레이다 비콘 장치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 모듈, 제어 모듈의 상부에 수직하게 마련되고,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마련되는 제1 안테나 구조물, 및 제1 안테나 구조물의 상부에 수직하게 마련되고, 제1 안테나 구조물보다 작은 크기로 마련되며, 제1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제2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하도록 마련되는 제2 안테나 구조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이다 비콘 장치{RADAR BEAC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레이다 비콘 기술과 관련된다.
최근, 엑슨 발데즈호, 허베이 스피리트호 등과 같은 대형 유조선의 침몰에 따른 유류 노출로 심각한 자연 환경의 파괴가 발생하면서 해양 환경 보전을 위한 요구 및 해양 안전 사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농무 등으로 인한 시계 불량 시 충돌 또는 좌초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항행 유도 장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항행 유도 장비로는 레이다 비콘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레이다 비콘은 선박 등에 장착된 레이다에서 송출된 전파가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응답 전파를 방사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23128호(2015.05.26)
본 발명의 실시예는 S 밴드 및 X 밴드의 신호를 모두 송수신하면서 S 밴드 신호 및 X 밴드 신호 간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레이다 비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항로표지식별장치(Aids to Navigation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 AtoN AIS)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레이다 비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비콘 장치는, 해양을 운항하는 운항체로부터 송출되는 전파에 응답하여 응답 전파를 송출하는 레이다 비콘 장치로서, 상기 레이다 비콘 장치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의 상부에 수직하게 마련되고,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마련되는 제1 안테나 구조물; 및 상기 제1 안테나 구조물의 상부에 수직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안테나 구조물보다 작은 크기로 마련되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제2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하도록 마련되는 제2 안테나 구조물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안테나 구조물은, 상기 제어 모듈의 상단에 안착되고 상기 제어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판; 상기 접지판의 상부에서 상기 접지판과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1 반사판; 상기 접지판과 상기 제1 반사판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접지판과 상기 제1 반사판을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제1 이격 지지부; 상기 제1 반사판 상에 마련되는 제1 고정판; 및 상기 제1 고정판 상에서 상기 제1 고정판과 수직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마련되는 제1 방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판의 중심부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판은, 상기 제1 반사판의 중공을 커버하며 마련되며, 상기 제1 안테나 구조물은, 상기 제1 고정판의 하면에서 상기 접지판과 상기 제1 반사판 사이의 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방사체로 전류를 공급하는 제1 커넥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 구조물은, 상기 제1 반사판 상에서 상기 제1 반사판과 수직하게 마련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제1 방사체를 통해 송수신되는 전파가 통과하면서 수직 및 수평 편파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 슬롯을 구비하는 제1 슬롯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슬롯은, 상기 제1 슬롯 파이프에서 상기 제1 방사체의 높이와 대응하여 마련되고, 상기 제1 슬롯 파이프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 구조물은, 상기 제1 반사판의 상부에서 상기 제1 슬롯 파이프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2 반사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롯은, 상기 제1 반사판과 상기 제2 반사판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안테나 구조물은, 상기 제1 안테나 구조물의 상부에 마련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태로 마련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 고정판; 및 상기 제2 고정판 상에서 상기 제2 고정판과 수직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마련되는 제2 방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제1 브라켓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단부터 하단까지 절개되는 절개부; 및 상기 제1 브라켓의 내면에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2 고정판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안테나 구조물은, 상기 절개부로 삽입되고, 상기 제2 고정판의 하면에 마련되며, 상기 제2 고정판의 하면에서 상기 제2 고정판과 상기 제1 안테나 구조물 사이의 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방사체로 전류를 공급하는 제2 커넥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안테나 구조물은, 하단이 상기 제1 브라켓과 결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제2 방사체를 통해 송수신되는 전파가 통과하면서 수평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제2 슬롯을 구비하는 제2 슬롯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슬롯은, 상기 제2 슬롯 파이프의 높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제2 슬롯 파이프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슬롯은, 지면에 수직한 수직선을 기준으로 제1 방향으로 미세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1 슬롯; 및 상기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미세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2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다 비콘 장치는, 상기 제2 안테나 구조물의 상부에 수직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제3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하도록 마련되는 제3 안테나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안테나 구조물은, 상기 제2 안테나 구조물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 브라켓; 상기 제2 브라켓의 상부에서 상기 제2 브라켓과 이격되어 마련되는 기판; 상기 제2 브라켓과 상기 기판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브라켓과 상기 기판을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제2 이격 지지부; 및 상기 기판의 상부에서 수직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하도록 마련되는 제3 방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기판의 하부에서 상기 제2 이격 지지부에 의해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면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2 슬롯 파이프와 끼움 결합되는 결합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 구조물은, 상기 제어 모듈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1 고정판; 상기 제1 고정판 상에 수직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하도록 마련되는 제1 방사체;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방사체를 내부에 가두도록 마련되는 제1 슬롯 파이프; 및 상기 제1 슬롯 파이프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방사체를 통해 송수신되는 전파가 통과하면서 기 설정된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제1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안테나 구조물은, 상기 제1 안테나 구조물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 고정판; 상기 제2 고정판 상에 수직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하도록 마련되는 제2 방사체;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제2 방사체를 내부에 가두도록 마련되는 제2 슬롯 파이프; 및 상기 제2 슬롯 파이프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방사체를 통해 송수신되는 전파가 통과하면서 기 설정된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제2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슬롯은, 상기 제1 방사체를 통해 송수신되는 전파가 통과하면서 수직 및 수평 편파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기 제1 슬롯 파이프에서 상기 제1 방사체의 높이와 대응하여 마련되며, 상기 제1 슬롯 파이프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슬롯은, 상기 제2 방사체를 통해 송수신되는 전파가 통과하면서 수평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 슬롯 파이프의 높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2 슬롯 파이프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슬롯은, 지면에 수직한 수직선을 기준으로 제1 방향으로 미세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1 슬롯; 및 상기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미세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2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다 비콘 장치는, 상기 제2 안테나 구조물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제3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하도록 마련되며, AtoN AIS(Aids to Navigation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마련되는 제3 안테나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안테나 구조물을 통해 S 밴드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하고, 제1 안테나 구조물의 상부에서 제2 안테나 구조물을 통해 X 밴드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함으로써, 레이다 비콘 장치 내에서 S 밴드 및 X 밴드의 신호를 모두 송수신하면서 S 밴드 신호 및 X 밴드 신호 간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됩니다.
또한, 제1 슬롯이 형성된 제1 슬롯 파이프의 내부에 제1 방사체가 마련되고, 제2 슬롯이 형성된 제2 슬롯 파이프의 내부에 제2 방사체가 마련됨으로써, 제1 방사체에서 송출되는 전파가 제1 슬롯을 통과하여 수평 및 수직 편파를 가지도록 하고, 제2 방사체에서 송출되는 전파가 제2 슬롯를 통과하여 수평 편파를 가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비콘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비콘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비콘 장치의 각 안테나 구조물 별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비콘 장치에서 제1 안테나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안테나 구조물에서 제1 고정판에 제1 커넥터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비콘 장치에서 제2 안테나 구조물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비콘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비콘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비콘 장치의 각 안테나 구조물 별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레이다 비콘 장치(100)는 하우징(102), 제1 안테나 구조물(104), 제2 안테나 구조물(106), 제3 안테나 구조물(108), 및 제어 모듈(110)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다 비콘 장치(100)는 선박 등에 장착된 레이다로부터 전파를 수신하면, 자동으로 응답 전파를 발송하는 장비이다. 레이다 비콘 장치(100)에서 발송한 응답 전파는 선박 등에 설치된 레이다 표시부의 화면에서 휘선 기호(Bright-line Spectrum)로서 모르스 신호로 표시될 수 있다.
하우징(102)은 레이다 비콘 장치(100)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이다. 하우징(102)은 하우징(102) 내부에 마련되는 구성들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우징(102)은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2)은 수밀(Watertight)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02)은 제1 하우징(102-1) 및 제2 하우징(10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02-1)은 레이다 비콘 장치(100)의 상부 외관을 이룰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102-1)은 원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하우징(102-2)은 레이다 비콘 장치(100)의 하부 외관을 이룰 수 있다. 제2 하우징(102-2)은 제1 하우징(102-1)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하우징(102-2)은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하우징(102-1)의 하단 및 제2 하우징(102-2)의 상단은 내부로 이물질 등이 침투하지 않도록 접합되어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하우징(102-1) 및 제2 하우징(102-2)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102-1) 및 제2 하우징(102-2)은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2)에는 내부 부식 방지를 위해 질소가 주입되는 질소 주입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2)에는 사용자가 레이다 비콘 장치(100)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안테나 구조물(104)은 하우징(102)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안테나 구조물(104)은 하우징(102) 내에서 제어 모듈(11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안테나 구조물(104)은 S 밴드(즉, 2 ~ 4GHz)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1 안테나 구조물(104)은 접지판(111), 제1 반사판(113), 제1 고정판(115), 제1 방사체(117), 제1 슬롯 파이프(119), 및 제2 반사판(1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비콘 장치에서 제1 안테나 구조물(104)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접지판(111) 및 이격 지지부(123)는 생략하였다.
접지판(111)은 제어 모듈(110)의 상단에 안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접지판(111)은 제어 모듈(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지판(111)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지판(111)은 지면과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반사판(113)은 접지판(111)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반사판(113)은 제1 이격 지지부(123)를 통해 접지판(111)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반사판(113)은 접지판(111)과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이격 지지부(123)는 접지판(111)과 제1 반사판(113)의 사이에서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이격 지지부(123)는 접지판(111)과 제1 반사판(113)의 사이에서 접지판(111) 및 제1 반사판(113)과 각각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반사판(113)의 중심부에는 중공(中空)(113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판(115)은 제1 반사판(113)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고정판(115)은 제1 방사체(117)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고정판(115)은 제1 반사판(113)의 중공(113a) 보다 큰 직경으로 마련되어 제1 반사판(113)의 중공(113a)을 커버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1 고정판(115)은 원형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고정판(115)에는 제1 커넥터부(125)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커넥터부(125)는 제1 고정판(115)의 하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커넥터부(125)는 제1 고정판(115)의 하면에서 접지판(111)과 제1 반사판(113) 사이의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커넥터부(125)에는 제1 동축 케이블(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동축 케이블(미도시)은 제어 모듈(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방사체(117)는 제1 고정판(115)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방사체(117)는 제1 고정판(115) 상에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방사체(117)는 S 밴드(즉, 2 ~ 4GHz)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안테나 구조물(104)에서 제1 고정판(115)에 제1 커넥터부(125)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방사체(117)는 제1 고정판(115) 상에서 제1 커넥터부(1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방사체(117)는 제1 커넥터부(125)를 통해 전류를 공급 받을 수 있다.
제1 슬롯 파이프(119)는 제1 반사판(113) 상에서 제1 반사판(113)과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슬롯 파이프(119)는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슬롯 파이프(119)의 내경은 제1 고정판(115)의 직경과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고정판(115)이 제1 슬롯 파이프(119)의 하단 내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슬롯 파이프(119)의 하단은 체결 부재(볼트 등)를 통해 제1 고정판(115)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슬롯 파이프(119)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슬롯 파이프(119)에는 제1 슬롯(119a)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슬롯(119a)은 제1 방사체(117)의 높이와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슬롯(119a)은 제1 슬롯 파이프(119)의 높이 방향의 중심에서 하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슬롯(119a)은 제1 방사체(117)를 통해 송수신되는 전파가 수직 및 수평 편파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슬롯(119a)은 지면에 수직한 수직선을 기준으로 45°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방사체(117)에서 송출되는 전파가 제1 슬롯(119a)을 통과하면서 수직 및 수평 편파를 가지게 된다. 제1 슬롯(119a)은 제1 슬롯 파이프(119)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슬롯(118a)은 제1 슬롯 파이프(119)의 둘레를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며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사체(117)는 제1 슬롯 파이프(119)의 내부에 갇힌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방사체(117)에서 송출되는 신호는 제1 슬롯(119a)을 통과하여 외부로 전파될 수 있다. 제1 슬롯 파이프(119)의 크기 및 제1 슬롯(119a)의 크기는 제1 방사체(117)에서 송수신하는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2 반사판(121)은 제1 슬롯 파이프(119)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반사판(121)의 중심부에는 제1 슬롯 파이프(119)가 삽입되도록 중공(中空)(12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반사판(121)은 제1 반사판(113)과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반사판(113)과 제2 반사판(121)은 제1 슬롯 파이프(119)의 외주면에서 수직하게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반사판(113)과 제2 반사판(121) 사이에 제1 슬롯(119a)이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반사판(113)과 제2 반사판(121)은 외부로부터 송출된 전파가 제1 반사판(113)과 제2 반사판(121) 사이에서 반사되어 제1 슬롯(119a)을 통해 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반사판(113)과 제2 반사판(121)은 제1 방사체(117)에서 송출되고 제1 슬롯(119a)을 통과하는 전파의 빔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제1 슬롯 파이프(119)의 상단에는 커버판(127)이 마련될 수 있다. 커버판(127)은 제1 슬롯 파이프(119)의 상단에서 제1 슬롯 파이프(119)의 상단을 커버하며 마련될 수 있다. 커버판(127)은 제1 슬롯 파이프(119)의 내경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다. 커버판(127)은 제1 슬롯 파이프(119)의 상단 내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슬롯 파이프(119)의 상단은 체결 부재(볼트 등)를 통해 커버판(127)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안테나 구조물(106)은 하우징(102) 내에서 제1 안테나 구조물(106)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안테나 구조물(106)은 X 밴드(즉, 8 ~ 12GHz)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다 비콘 장치에서 제2 안테나 구조물(106)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제2 안테나 구조물(106)은 제1 브라켓(131), 제2 고정판(133), 제2 방사체(135), 및 제2 슬롯 파이프(1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131)은 제1 안테나 구조물(104)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브라켓(131)은 커버판(127)의 상면에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브라켓(131)은 커버판(127)과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브라켓(131)은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브라켓(131)은 제1 슬롯 파이프(119)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브라켓(131)에는 제1 브라켓(13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부가 절개된 제1 절개부(131a)가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절개부(131a)는 제1 브라켓(131)의 상단부터 제1 브라켓(13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부가 절개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브라켓(131)에는 제1 브라켓(13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전체가 절개된 제2 절개부(131b)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절개부(131b)는 제1 브라켓(131)의 상단부터 하단까지 제1 브라켓(13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폭으로 전부 절개되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브라켓(131)의 내주면에는 제2 고정판(133)이 안착되는 안착부(131c)가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절개부(131a)에는 제2 방사체(135)와 제2 고정판(133)을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 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절개부(131b)의 상단부에는 제2 방사체(135)와 제2 고정판(133)을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 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절개부(131b)의 하단부에는 제2 커넥터부(139)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고정판(133)은 제1 브라켓(131)의 내부에 삽입되어 안착부(131c)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고정판(133)은 제2 방사체(135)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고정판(133)에는 제2 커넥터부(139)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커넥터부(139)는 제2 고정판(133)의 하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커넥터부(139)는 제2 절개부(131b)의 하단부로 삽입되고, 제2 고정판(133)의 하면에서 제2 고정판(133)과 커버판(127) 사이의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커넥터부(139)에는 제2 동축 케이블(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동축 케이블(미도시)은 제어 모듈(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방사체(135)는 제2 고정판(133)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방사체(135)는 제2 고정판(133) 상에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방사체(135)는 X 밴드(즉, 8 ~ 12GHz)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방사체(135)는 제2 고정판(133) 상에서 제2 커넥터부(139)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방사체(135)는 제2 커넥터부(139)를 통해 전류를 공급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사체(117)는 제1 커넥터부(125)를 통해 급전이 이루어지고, 제2 방사체(135)는 제2 커넥터부(139)를 통해 독립적으로 급전이 이루어지는 바, 레이다 비콘 장치(100)에서 S 밴드 및 X 밴드의 신호를 모두 송수신하면서 S 밴드 신호 및 X 밴드 신호 간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됩니다.
제2 슬롯 파이프(137)는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슬롯 파이프(137)는 제1 브라켓(131)의 내경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슬롯 파이프(137)의 하단은 제1 브라켓(13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슬롯 파이프(137)의 내경은 제2 고정판(133)의 직경과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2 고정판(133)은 제2 슬롯 파이프(137)의 하단 내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2 슬롯 파이프(137)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슬롯 파이프(137)에는 제2 슬롯(137a)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슬롯(137a)은 제2 방사체(135)를 통해 송출되는 전파가 수평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제2 슬롯(137a)은 제2 슬롯 파이프(137)의 높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2 슬롯(137a)은 제2 슬롯 파이프(137)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슬롯(137a)은 제2-1 슬롯(137a-1) 및 제2-2 슬롯(137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슬롯(137a-1)은 지면에 수직한 수직선을 기준으로 제1 방향(예를 들어, 우측 방향)으로 미세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제2-2 슬롯(137a-2)은 지면에 수직한 수직선을 기준으로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예를 들어, 좌측 방향)으로 미세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세 경사라 함은 제2 슬롯(137a)에 의한 편파(수평 편파)가 유지될 수 있을 정도의 경사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 경사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5°이하의 각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제2-1 슬롯(137a-1)은 수직선을 기준으로 제1 방향으로 미세 경사지게 마련하고, 제2-2 슬롯(137a-2)은 수직선을 기준으로 제2 방향으로 미세 경사지게 마련함으로써, 레이다 비콘 장치(100)가 장착된 선박이 파도 및 바람 등에 의해 흔들림이 있더라도, 제2 방사체(135)를 통해 송출되는 전파가 제2 슬롯(137a)을 통과하면서 수평 편파를 가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2 방사체(135)는 제2 슬롯 파이프(137)의 내부에 갇힌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방사체(135)에서 송출되는 신호는 제2 슬롯(137a)을 통과하여 외부로 전파될 수 있다. 제2 슬롯 파이프(137)의 크기 및 제2 슬롯(137a)의 크기는 제2 방사체(135)에서 송수신하는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3 안테나 구조물(108)은 하우징(102) 내에서 제2 안테나 구조물(106)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3 안테나 구조물(108)은 항로표지식별장치(Aids to Navigation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 AtoN AIS)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3 안테나 구조물(108)은 VHF 대역(예를 들어, 147 ~ 167MHz)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3 안테나 구조물(108)은 제2 브라켓(141), 기판(143), 및 AIS(Auto Identification System) 안테나(1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브라켓(141)은 제2 슬롯 파이프(137)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브라켓(141)은 지지 플레이트(141a) 및 결합구(141b)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41a)는 제2 슬롯 파이프(137)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41a)는 제1 슬롯 파이프(119)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구(141b)는 지지 플레이트(141a)의 하면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결합구(141b)는 제2 슬롯 파이프(137)의 상단과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구(141b)의 내경은 제2 슬롯 파이프(137)의 직경과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구(141b)의 직경이 제2 슬롯 파이프(137)의 내경과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제2 슬롯 파이프(137)의 상단은 체결 부재를 통해 결합구(141b)와 결합될 수 있다.
기판(143)은 제2 브라켓(141)의 상부에서 제2 브라켓(141)과 결합되어 마련될 수 있다. 기판(143)에는 AIS 안테나(145)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가 마련될 수 있다. 기판(143)은 제어 모듈(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143)은 제2 이격 지지부(147)를 통해 제2 브라켓(141)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이격 지지부(147)는 기판(143)과 제2 브라켓(141) 사이에서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AIS 안테나(145)는 기판(143) 상에서 기판(143)과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AIS 안테나(145)는 VHF 대역(예를 들어, 147 ~ 167MHz)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AIS 안테나(145)는 제어 모듈(110)의 제어에 따라 항로 표지 고유 정보, 해양 과학 기상 자료 정보, 및 항로 표지 원격 감시 정보 중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기 설정된 주기로 송신할 수 있다. 항로 표지 고유 정보에는 레이다 비콘 장치(100)의 고유 식별 번호 및 위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해양 과학 기상 자료 정보에는 레이다 비콘 장치(100) 인근의 해양 과학 정보 및 수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항로 표지 원격 감시 정보에는 레이다 비콘 장치(100)의 배터리 전압 상태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 모듈(110)은 레이다 비콘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제어 모듈(110)은 하우징(102) 내에 마련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110)은 제2 하우징(102-2)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제어 모듈(110)은 제1 안테나 구조물(104) 및 제2 안테나 구조물(106)에서 수신한 전파를 수신 처리 위한 수신 처리부(미도시) 및 선박 등으로 송신할 응답 전파를 송신 처리하기 위한 송신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처리부(미도시) 및 송신 처리부(미도시)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어 모듈(110)은 AIS 메시지를 생성한 후, AIS 메시지를 AIS 안테나(145)를 통해 송출할 수 있다. AIS 메시지는 항로 표지의 명칭, 항로 표지 종류, 및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AIS 메시지를 송출함으로써, 항해자가 항행 위험 지역 또는 항행 목표를 바로 인지할 수 있고, 항해자의 항행 집중도를 높여 주어 안전 항해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안테나 구조물(104)을 통해 S 밴드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하고, 제1 안테나 구조물(104)의 상부에 제2 안테나 구조물(106)을 통해 X 밴드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함으로써, 레이다 비콘 장치(100) 내에서 S 밴드 및 X 밴드의 신호를 모두 송수신하면서 S 밴드 신호 및 X 밴드 신호 간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됩니다.
또한, 제1 슬롯(119a)이 형성된 제1 슬롯 파이프(119)의 내부에 제1 방사체(117)가 마련되고, 제2 슬롯(137a)이 형성된 제2 슬롯 파이프(137)의 내부에 제2 방사체(135)가 마련됨으로써, 제1 방사체(117)에서 송출되는 전파가 제1 슬롯(119a)을 통과하여 수평 및 수직 편파를 가지도록 하고, 제2 방사체(135)에서 송출되는 전파가 제2 슬롯(137a)를 통과하여 수평 편파를 가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레이다 비콘 장치
102 : 하우징
102-1 : 제1 하우징
102-2 : 제2 하우징
104 : 제1 안테나 구조물
106 : 제2 안테나 구조물
108 : 제3 안테나 구조물
110 : 제어 모듈
111 : 접지판
113 : 제1 반사판
113a : 중공
115 : 제1 고정판
117 : 제1 방사체
119 : 제1 슬롯 파이프
119a : 제1 슬롯
121 : 제2 반사판
121a : 중공
123 : 제1 이격 지지부
125 : 제1 커넥터부
131 : 제1 브라켓
131a : 제1 절개부
131b : 제2 절개부
131c : 안착부
133 : 제2 고정판
135 : 제2 방사체
137 : 제2 슬롯 파이프
137a : 제2 슬롯
137a-1 : 제2-1 슬롯
137a-2 : 제2-2 슬롯
139 : 제2 커넥터부
141 : 제2 브라켓
141a : 지지 플레이트
141b : 결합구
143 : 기판
145 : AIS 안테나
147 : 제2 이격 지지부

Claims (19)

  1. 해양을 운항하는 운항체로부터 송출되는 전파에 응답하여 응답 전파를 송출하는 레이다 비콘 장치로서,
    상기 레이다 비콘 장치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의 상부에 수직하게 마련되고,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마련되는 제1 안테나 구조물; 및
    상기 제1 안테나 구조물의 상부에 수직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안테나 구조물보다 작은 크기로 마련되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제2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하도록 마련되는 제2 안테나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구조물은,
    상기 제어 모듈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1 반사판;
    상기 제1 반사판 상에 마련되는 제1 고정판;
    상기 제1 고정판 상에서 상기 제1 고정판과 수직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마련되는 제1 방사체; 및
    상기 제1 반사판 상에서 상기 제1 반사판과 수직하게 마련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제1 방사체를 통해 송수신되는 전파가 통과하면서 수직 및 수평 편파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 슬롯을 구비하는 제1 슬롯 파이프를 포함하는, 레이다 비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구조물은,
    상기 제어 모듈의 상단에 안착되고 상기 제어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판; 및
    상기 접지판과 상기 제1 반사판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접지판과 상기 제1 반사판을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제1 이격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레이다 비콘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판의 중심부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판은, 상기 제1 반사판의 중공을 커버하며 마련되며,
    상기 제1 안테나 구조물은,
    상기 제1 고정판의 하면에서 상기 접지판과 상기 제1 반사판 사이의 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방사체로 전류를 공급하는 제1 커넥터부를 더 포함하는, 레이다 비콘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은,
    상기 제1 슬롯 파이프에서 상기 제1 방사체의 높이와 대응하여 마련되고, 상기 제1 슬롯 파이프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마련되는, 레이다 비콘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구조물은,
    상기 제1 반사판의 상부에서 상기 제1 슬롯 파이프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2 반사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롯은, 상기 제1 반사판과 상기 제2 반사판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레이다 비콘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 구조물은,
    상기 제1 안테나 구조물의 상부에 마련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태로 마련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2 고정판; 및
    상기 제2 고정판 상에서 상기 제2 고정판과 수직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마련되는 제2 방사체를 포함하는, 레이다 비콘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제1 브라켓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단부터 하단까지 절개되는 절개부; 및
    상기 제1 브라켓의 내면에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2 고정판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레이다 비콘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 구조물은,
    상기 절개부로 삽입되고, 상기 제2 고정판의 하면에 마련되며, 상기 제2 고정판의 하면에서 상기 제2 고정판과 상기 제1 안테나 구조물 사이의 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방사체로 전류를 공급하는 제2 커넥터부를 더 포함하는, 레이다 비콘 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 구조물은,
    하단이 상기 제1 브라켓과 결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제2 방사체를 통해 송수신되는 전파가 통과하면서 수평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제2 슬롯을 구비하는 제2 슬롯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레이다 비콘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롯은,
    상기 제2 슬롯 파이프의 높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제2 슬롯 파이프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마련되는, 레이다 비콘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롯은,
    지면에 수직한 수직선을 기준으로 제1 방향으로 미세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1 슬롯; 및
    상기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미세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2 슬롯을 포함하는, 레이다 비콘 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레이다 비콘 장치는,
    상기 제2 안테나 구조물의 상부에 수직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제3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하도록 마련되는 제3 안테나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레이다 비콘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3 안테나 구조물은,
    상기 제2 안테나 구조물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 브라켓;
    상기 제2 브라켓의 상부에서 상기 제2 브라켓과 이격되어 마련되는 기판;
    상기 제2 브라켓과 상기 기판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브라켓과 상기 기판을 일정 간격 이격시키는 제2 이격 지지부; 및
    상기 기판의 상부에서 수직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하도록 마련되는 제3 방사체를 포함하는, 레이다 비콘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기판의 하부에서 상기 제2 이격 지지부에 의해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면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2 슬롯 파이프와 끼움 결합되는 결합구를 포함하는, 레이다 비콘 장치.
  16. 해양을 운항하는 운항체로부터 송출되는 전파에 응답하여 응답 전파를 송출하는 레이다 비콘 장치로서,
    상기 레이다 비콘 장치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의 상부에 수직하게 마련되고,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마련되는 제1 안테나 구조물; 및
    상기 제1 안테나 구조물의 상부에 수직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안테나 구조물보다 작은 크기로 마련되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제2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하도록 마련되는 제2 안테나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구조물은,
    상기 제어 모듈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1 고정판;
    상기 제1 고정판 상에 수직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하도록 마련되는 제1 방사체;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방사체를 내부에 가두도록 마련되는 제1 슬롯 파이프; 및
    상기 제1 슬롯 파이프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방사체를 통해 송수신되는 전파가 통과하면서 기 설정된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제1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안테나 구조물은,
    상기 제1 안테나 구조물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 고정판;
    상기 제2 고정판 상에 수직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하도록 마련되는 제2 방사체;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제2 방사체를 내부에 가두도록 마련되는 제2 슬롯 파이프; 및
    상기 제2 슬롯 파이프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방사체를 통해 송수신되는 전파가 통과하면서 기 설정된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제2 슬롯을 포함하는, 레이다 비콘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롯은,
    상기 제1 방사체를 통해 송수신되는 전파가 통과하면서 수직 및 수평 편파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기 제1 슬롯 파이프에서 상기 제1 방사체의 높이와 대응하여 마련되며, 상기 제1 슬롯 파이프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슬롯은,
    상기 제2 방사체를 통해 송수신되는 전파가 통과하면서 수평 편파를 가지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 슬롯 파이프의 높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상기 제2 슬롯 파이프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마련되는, 레이다 비콘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롯은,
    지면에 수직한 수직선을 기준으로 제1 방향으로 미세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1 슬롯; 및
    상기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미세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2 슬롯을 포함하는, 레이다 비콘 장치.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레이다 비콘 장치는,
    상기 제2 안테나 구조물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제3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하도록 마련되며, AtoN AIS(Aids to Navigation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마련되는 제3 안테나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레이다 비콘 장치.
KR1020220040331A 2022-03-31 2022-03-31 레이다 비콘 장치 KR102418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331A KR102418604B1 (ko) 2022-03-31 2022-03-31 레이다 비콘 장치
PCT/KR2022/014650 WO2023191207A1 (ko) 2022-03-31 2022-09-29 레이다 비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331A KR102418604B1 (ko) 2022-03-31 2022-03-31 레이다 비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604B1 true KR102418604B1 (ko) 2022-07-07

Family

ID=82398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331A KR102418604B1 (ko) 2022-03-31 2022-03-31 레이다 비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18604B1 (ko)
WO (1) WO202319120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207A1 (ko) * 2022-03-31 2023-10-05 주식회사아이플러스원 레이다 비콘 장치
KR102634559B1 (ko) * 2022-08-29 2024-02-08 주식회사 키프코전자항공 Trm & 방열판 일체형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224A (ko) * 2000-08-25 2001-01-05 안병엽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
KR20020041610A (ko) * 2000-11-28 2002-06-03 김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중대역 옴니 안테나
KR101523128B1 (ko) 2009-05-14 2015-05-26 사이뼁 소시에떼아노님 액체의 몸체 자유면의 이동을 탐지하기 위한 비콘들(beacons)을 구비한 부유 지지부 또는 선박
KR101817627B1 (ko) * 2017-03-15 2018-01-11 주식회사아이플러스원 레이다 비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137B1 (ko) * 2016-09-01 2018-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동작 감지 장치, 동작 감지 방법 및 동작 감지 안테나
KR102418604B1 (ko) * 2022-03-31 2022-07-07 주식회사아이플러스원 레이다 비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224A (ko) * 2000-08-25 2001-01-05 안병엽 광대역 모노폴 안테나
KR20020041610A (ko) * 2000-11-28 2002-06-03 김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다중대역 옴니 안테나
KR101523128B1 (ko) 2009-05-14 2015-05-26 사이뼁 소시에떼아노님 액체의 몸체 자유면의 이동을 탐지하기 위한 비콘들(beacons)을 구비한 부유 지지부 또는 선박
KR101817627B1 (ko) * 2017-03-15 2018-01-11 주식회사아이플러스원 레이다 비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207A1 (ko) * 2022-03-31 2023-10-05 주식회사아이플러스원 레이다 비콘 장치
KR102634559B1 (ko) * 2022-08-29 2024-02-08 주식회사 키프코전자항공 Trm & 방열판 일체형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1207A1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8604B1 (ko) 레이다 비콘 장치
US5523761A (en) Differential GPS smart antenna device
US8514095B2 (en) GPS enabled EPIRB with integrated receiver
RU2257675C2 (ru) Надпалубный блок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опознования
Tetley et al. Electronic navigation systems
US5517199A (en) Emergency locator device
US7564404B2 (en) Determining precise direction and distance to a satellite radio beacon
US20100026571A1 (en) Nautical Safety Beacon
ITRM20100152A1 (it) Sistema di sorveglianza adattivo modulare per mezzi strutture persone
US7068233B2 (en) Integrated multipath limiting ground based antenna
KR101817627B1 (ko) 레이다 비콘 장치
US6664916B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navigational markers using radar
US20160340056A1 (en) Precision guidance method and system for aircraft approaching and landing
JP2012071653A (ja) 漂流ブイ
US7990307B1 (en) Integrity monitor antenna systems for GPS-based precision landing system verification
GB2256750A (en) Antenna arrangement
JP2016027708A (ja) 電子機器、及び電波受信モジュール
JPH0727020B2 (ja) レ−ダ−装置
JP7341549B1 (ja) 地上局アンテナ装置
EP0489661A1 (fr) Procédé de transmission d'informations par voie herzienne entre un satellite et une pluralité de stations terrestres et agencements pour la mise en oeuvre dudit procédé
Ward et al. Interference to GPS in the Marine Environment
JP4183803B2 (ja) 漂流ブイ
JP2013085058A (ja) 電子機器、及び電波受信モジュール
CN109613482A (zh) 一种具有远程监控报警功能的船舶导航雷达
US6950075B1 (en) GPS antenna for submarine towed buo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