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123B1 -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정화방법, 및 그 배기가스 정화시스템을 구비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정화방법, 및 그 배기가스 정화시스템을 구비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123B1
KR102418123B1 KR1020170084736A KR20170084736A KR102418123B1 KR 102418123 B1 KR102418123 B1 KR 102418123B1 KR 1020170084736 A KR1020170084736 A KR 1020170084736A KR 20170084736 A KR20170084736 A KR 20170084736A KR 102418123 B1 KR102418123 B1 KR 102418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inity
seawater
washing water
fuel oil
exhau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4474A (ko
Inventor
황종규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4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123B1/ko
Publication of KR20190004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9/00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1/00Monitoring or diagnostic devices for exhaust-gas treatment apparatus, e.g. for catalytic activ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0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draining or otherwise eliminating condensates or moisture accumulating in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us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39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uels
    • F02D19/0649Liquid fuels having different boiling temperatures, volatilities, densities, viscosities, cetane or octane numbers
    • F02D19/0657Heavy or light fuel oils; Fuels characterised by their impurities such as sulfur content or differences in grade, e.g. for ships
    • B63B2770/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60/0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N2260/02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oling the device
    • F01N2260/024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oling the device using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60/00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 F01N2560/02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the means being an exhaust gas sensor
    • F01N2560/027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the means being an exhaust gas sensor for measuring or detecting S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70/00Exhaust treating apparatus eliminating, absorbing or adsorbing specific elements or compounds
    • F01N2570/04Sulfur or sulfur ox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06Storage means for substances, e.g. tanks or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33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정화방법, 및 그 배기가스 정화시스템을 구비하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가 최소 2,000~2,300 μmol/l 이상으로 감지된 경우는 황산화물 정화시스템에서 황산화물 정화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므로 연소장치에 공급하는 연료유를 HSFO로만 사용하거나, LSFO에 대한 HSFO의 혼합비율을 매우 높게 구성할 수 있으며, 반면에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가 2,000~2,300 μmol/l 미만으로 감지된 경우는 황산화물 정화시스템에서 황산화물 정화기능이 떨어지므로 연소장치에 공급하는 혼합 연료유에서 HSFO에 대한 LSFO의 혼합비율을 상대적으로 높게 구성함으로써,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에 따라 황산화물 배출제한 규정을 만족하면서도 저가의 HSFO와 고가의 LSFO 사용량을 조절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정화방법, 및 그 배기가스 정화시스템을 구비하는 선박{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SULFUR OXIDES ACCORDING TO SEA AREA OF LOW SALINITY, AND VESSEL HAVING THE SYSTEM}
본 발명은 연소장치에 HSFO(고유황 연료유)와 LSFO(저유황 연료유)를 혼합한 혼합 연료유를 공급하되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에 따라 HSFO와 LSFO의 혼합비율을 제어하는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정화방법, 및 그 배기가스 정화시스템을 구비하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황산화물 배출제한 구역에서의 운항 또는 정박시 황산화물 배출제한 규정을 만족하면서도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에 따라 저가(低價)의 HSFO와 고가(高價)의 LSFO 사용량을 조절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정화방법, 및 그 배기가스 정화시스템을 구비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선박에서 각종 엔진의 연료로서 사용하고 있는 중유, MDO(Marine Diesel Oil) 등을 연소시킬 경우 배기가스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로 인한 환경오염의 심각성이 제기되어, 중유 등의 오일을 연료로서 사용하는 선박의 각종 엔진에 대해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선박에서 배출되는 폐기가스 중 국제 해사 기구(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의 규제를 받고 있는 것은 질소산화물(NOx)과 황산화물(SOx)이며, 최근에는 이산화탄소(CO2)의 배출도 규제하려 하고 있다. 특히, 질소산화물(NOx)과 황산화물(SOx)의 경우, 1997년 해상오염 방지 협약(MARPOL: The Prevention of Marine Pollution from Ships) 의정서를 통하여 제기되고, 2005년 5월에 발효요건을 만족하여 현재 강제규정으로 이행되고 있다.
SECA(유럽)/CARB(미국) 지역 운항 및 정박 시에는 선박의 메인 엔진(main engine) 및 제너레이터 엔진에서 배출되는 황산화물을 0.1%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황산화물 배출제한 규정을 만족하기 위한 방안으로, 유황 0.1% 이하를 함유한 값이 비싼 저유황의 연료유(Low Sulfur Fuel Oil : LSFO)를 사용하는 방법과, 값이 싼 고유황 연료유(High Sulfur Fuel Oil : HSFO)를 사용하면서 황산화물 정화장치를 선박에 설치하여 배기가스 내의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두 가지 방안을 놓고 봤을 때, 이 중 유황정화 장비를 선박에 설치하는 경우는 초기 투자비용이 많이 들어가지만, 선박의 운항 가능수명을 계산하면 결과적으로 더 이익으로 나타나므로, 최근에는 선박에 탈황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선박의 탈황장치에 대하여 살펴보면, 황산화물은 습식, 건식, 반 건식의 염기용액 또는 고체 표면에 황산화물을 흡수, 흡착시켜 제거하는 방법이 적용되어 왔다.
습식방법은 물 또는 알칼리 용액으로 세정하는 것으로 황산화물 제거 효율이 높고 공정 신뢰도가 우수한 편이긴 하지만, 다량의 용수가 필요하고 2차 오염물질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반면, 건식방법은 수산화칼슘이나 Na계 흡수제를 사용하여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습식방법에 비해 2차 오염물질 발생이 감소하고, 배기가스 재가열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지만, 낮은 제거 효율과 흡수제가 고가인 단점이 있다.
황산화물 정화시스템에서 원활한 황산화물 스크러빙(SOx Scrubbing) 작동을 위해서는 세정수인 해수(海水)가 적절한 알칼리성(Alkalinity)을 가져야 한다.
도 1은 종래 황산화물 정화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선박은 추진을 위한 메인 엔진(11), 전기 생산을 위한 제너레이터 엔진(12), 열원이나 증기를 이용한 장치 등을 위한 보조 보일러(13) 등으로 구성된 장치(10)(이하, 연소장치라 함)를 구비한다.
종래 선박에는 연소장치(10)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황산화물 정화시스템(20)이 구비된다.
황산화물 정화시스템(20)은 세정수를 공급하여 세정하기 위하여 세정수 공급라인(L1)과 연결되는 세정 워터펌프(21)와,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세정수 공급라인(L1)과 연결되는 세정수 펌프(21)와, 연소장치(10)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한 황산화물 스크러버(22)와, 세정수의 순환을 위해서 세정수 공급라인(L1)과 세정수 배출라인(L2)을 연결하는 세정수 순환라인(L5)과, 황산화물 스크러버(22)에서 세정되어 드레인 된 배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세정수 배출라인(L2)과, 세정수 순환을 위해서 세정수 공급라인(L1)과 세정수 배출라인(L2)을 연결하는 세정수 순환라인(L5)과, 세정수를 저장하기 위하여 세정수 배출라인(L2)과 연결되는 스크러빙 워터 탱크(23)와, 수처리 유닛(28)에서 분리된 슬러지를 보관하기 위한 슬러지 탱크(27)와, 수처리 유닛(28)에서 분리된 강산의 배출수를 희석시키기 위하여 희석수를 제공하는 희석수 공급 부(24)와, 세정수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26)와, 세정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스크러빙 워터 순환펌프(25)와, 배출수의 수질(水質)을 감시하기 위한 수질 모니터 유닛(29)을 구비한다. 미설명 부호 P는 수 처리용 펌프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황산화물 스크러버는 평균 해수의 알칼리성(Alkalinity)을 고려하여 최소 2,000~2,300 μmol/l를 유지하여야 황산화물 스크러버 내에서 충분한 황산화물 제거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하지만, 발틱 해역(Baltic sea)과 같은 일부 해역의 경우는, 해수의 알칼리성(Alkalinity)이 2,000~2,300 μmol/l 미만으로 해수 염도가 낮기 때문에 이러한 저염도의 해역을 운항 및 정박 시에는 황산화물 배출제한 규정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운전상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반면, 황산화물 스크러버를 특수한 저염도 구간에 맞추어 설계할 경우 초기 투자비용이 과도하게 커지고, 대부분의 해수평균 염도 해역에서의 운용 시 시스템 최적화 및 경제적 운전 관점에서 오히려 손실이 될 수 있다.
종래 황산화물 정화시스템은 발틱 해역과 같이 저염도의 해역을 운항하는 경우에 황산화물 배출제한 규정을 충족하기 위하여 HSFO의 사용량을 제한하기 위해 각 장비 출력을 정격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부하를 낮추어야 하며, 황산화물(SOx)의 제거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장비 사용연료유 전체를 LSFO로 변경하거나, 별도로 고가의 중화제(NaOH)의 투여가 필요하다. 특히, 오픈 루프 정화시스템의 경우는 중화제(NaOH)의 소모가 커서 비용이 대폭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국내 공개 제10-2013-0123991호 국내 공개 제10-2016-0016130호 국내 공개 제10-2014-0075204호
본 발명은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가 최소 2,000~2,300 μmol/l 이상으로 감지된 경우는 황산화물 정화시스템에서 황산화물 정화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므로 연소장치에 공급하는 연료유를 HSFO로만 사용하거나 LSFO에 대한 HSFO의 혼합비율을 매우 높게 구성하며, 또한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가 2,000~2,300 μmol/l 미만으로 감지된 경우는 황산화물 정화시스템에서 황산화물 정화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지므로 연소장치에 공급하는 혼합 연료유에서 HSFO에 대한 LSFO의 혼합비율을 상대적으로 높게 구성함으로써, 황산화물 배출제한 해역에서의 운항 또는 정박시,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에 따라 황산화물 배출제한 규정을 충족하면서도 저가의 HSFO와 고가의 LSFO 사용량을 조절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정화방법, 및 그 배기가스 정화시스템을 구비하는 선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정화방법, 및 그 배기가스 정화시스템을 구비하는 선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은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세정수 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세정 워터펌프, 상기 세정수 공급라인을 따라 공급되는 세정수를 이용하여 선박의 연소장치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한 황산화물 스크러버, 및 상기 황산화물 스크러버에서 세정되어 드레인 된 배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세정수 배출라인을 구비하는 황산화물 정화장치;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측정하는 해수 염도감지 센서; 상기 염도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연소장치에 HSFO(high sulfur fuel oil)와 LSFO(low sulfur fuel oil)를 혼합한 혼합 연료유를 공급할 수 있는 연료공급 유닛; 및 배출수의 수질을 감시하기 위한 수질 모니터 유닛; 을 포함한다.
상기 연료공급 유닛은 상기 연소장치에 연료유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유 공급라인; 상기 연료유 공급라인의 일측에 설치되는 HSFO 공급 부; 상기 연료유 공급라인의 타측에 설치되는 LSFO 공급 부; 및 상기 연소장치에 HSFO와 LSFO를 혼합한 혼합 연료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연료유 공급라인의 중간에 설치되는 연료유 혼합기; 를 포함한다.
상기 연료유 혼합기는 해수 염도, 즉 알칼리성(Alkalinity)이 2,000~2,300 μmol/l 미만인 경우, HSFO보다 LSFO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혼합한 혼합 연료유를 연료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해수 염도가 2,000~2,300 μmol/l 이상인 경우, LSFO보다 HSFO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혼합한 혼합 연료유를 연료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소장치는 메인 엔진, 제너레이터 엔진, 보조 보일러를 포함한다.
상기 세정수 공급라인과 상기 세정수 배출라인은 각각 상기 황산화물 스크러버의 입구 측과 출구 측에 각각 설치된다.
배기가스 내의 황산화물을 감시하기 위한 황산화물 모니터링 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세정수 공급라인과 상기 세정수 배출라인을 거친 배출수가 선 외로 바로 배출되는 오픈 루프로 구성될 수 있다.
황산화물 정화장치는 세정수의 순환을 위해서 세정수 공급라인과 세정수 배출라인을 연결하는 세정수 순환라인; 세정수 배출라인과 연결되는 스크러빙 워터 탱크; 수처리 유닛에서 분리된 슬러지를 보관하기 위한 슬러지 탱크; 수처리 유닛에서 분리된 강산의 배출수를 희석시키기 위한 희석수를 제공하는 희석수 공급 부; 세정수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 및 세정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스크러빙 워터 순환펌프; 를 더 포함하고, 세정수 배출라인이 세정수 순환라인과 연결되는 클로즈 루프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방법은 선박의 연소장치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SOx)을 정화시키되, 황산화물 배출 제한해역에서의 운항 또는 정박시,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해수 염도에 따라 연소장치에 공급되는 HSFO와 LSFO의 혼합비율을 제어하면서 배기가스를 정화 시킬 수 있다.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가 2,000~2,300 μmol/l 이상인 경우는 LSFO보다 HSFO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혼합한 혼합 연료유를 연료로 공급하고,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가 2,000~2,300 μmol/l 미만인 경우는 HSFO보다 LSFO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혼합한 혼합 연료유를 연료로 공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황산화물 배출제한 구역에서의 운항 또는 정박시 저염도 해역에서 중화제(희석수)(NaOH)를 투여하기 위한 중화제 공급시스템 없이도 각 장비 출력 유지가 가능하며, 희석수를 사용하지 않고도 장비 출력을 유지하면서도 HSFO/LSFO의 최적 혼합사용을 통해서 OPEX 측면에서 경제적인 운용 가능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황산화물 정화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오픈 루프 구성)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클로즈 루프 구성)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정화방법, 및 그 배기가스 정화시스템을 구비하는 선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오픈 루프 구성)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클로즈 루프 구성)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선박은 추진을 위한 메인 엔진(111), 전기 생산을 위한 제너레이터 엔진(112), 및 열원이나 증기를 이용하는 장치 등을 위한 복수 개의 보조 보일러(113) 등으로 구성된 연소장치(110)를 구비한다. 연소장치(110)는 연료의 연소과정에서 황산화물이 포함된 배기가스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선박은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은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한 황산화물 정화장치; 배출수의 수질을 감시하기 위한 수질 모니터 유닛(129);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측정하는 해수 염도감지 센서(S); 및 염도감지 센서(S)의 감지 결과에 따라 연소장치(110)에 HSFO(High Sulfur Fuel Oil)와 LSFO(Low Sulfur Fuel Oil)를 혼합한 혼합 연료유를 공급할 수 있는 연료공급 유닛(1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은 황산화물 정화장치를 구비하는데, 황산화물 정화장치는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세정수 공급라인(L1)과 연결되는 세정 워터펌프(121)와, 세정수 공급라인(L1)을 따라 공급되는 세정수를 이용하여 선박의 연소장치(110)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한 황산화물 스크러버(122)와, 황산화물 스크러버(122)에서 세정되어 드레인된 배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세정수 배출라인(L2)을 구비하여 오픈 루프로 구성될 수 있다. 세정수 공급라인(L1)과 세정수 배출라인(L2)은 각각 황산화물 스크러버(122)의 입구 측과 출구 측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산화물 정화장치는 세정수의 순환을 위해서 세정수 공급라인(L1)과 세정수 배출라인(L2)을 연결하는 세정수 순환라인(L5); 세정수 배출라인(L2)과 연결되는 스크러빙 워터 탱크(123); 수처리 유닛(128)에서 분리된 슬러지를 보관하기 위한 슬러지 탱크(127); 세정수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126); 및 세정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스크러빙 워터 순환펌프(125)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세정수 배출라인(L2)이 세정수 순환라인(L5)과 연결되는 클로즈 루프로 구성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P는 수 처리용 펌프를 나타낸다.
황산화물 정화장치는 수처리 유닛(128)에서 분리된 강산의 배출수를 희석시키기 위한 희석수를 제공하는 희석수 공급 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황산화물 정화장치에서는 세정 워터펌프(121)에 의해서 펌핑된 세정수(해수)가 세정수 공급라인(L1), 황산화물 스크러버(122), 세정수 배출라인(L2)을 거치면서 선 외로 바로 배출되거나(오픈 루프 구성, 도 2), 세정수 순환라인(L5)으로 재순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클로즈 루프 구성, 도 3).
세척수 배출라인(L2)에는 세척수를 선 외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스크러빙 워터 탱크(123)로 보내기 위해 밸브, 예를 들어 3-way 밸브(B)가 설치될 수 있다. 밸브(B)는 선박이 환경 규제구역을 운항중이거나 접안중일 때 황산화물 스크러버(121)에서 배출된 세척수를 스크러빙 워터 탱크(123)로 보내도록 조절된다. 밸브(B)는 황산화물 스크러버(121)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크러버 판넬(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처리 유닛(128)에서 분리된 슬러지는 슬러지 탱크(127) 안에 보관되고, 배출수는 선 외로 배출된다. 수질 모니터 유닛(129)은 배출되는 배출수의 수질을 측정하고 감시하여 해수오염을 방지한다.
희석수 공급 부는 희석수를 제공하여 수처리 유닛(128)에서 분리된 강산의 배출수를 희석시키며, 세정수는 냉각기(126)에 의해 냉각된 이후에 스크러빙 워터 순환펌프(125)에 의해서 재순환된다.
황산화물 스크러버(121)는 선박이 황산화물 배출 제한에 대하여 규제가 심한 황산화물 ECA 등의 지역을 운항할 때에 가동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황산화물 ECA 이외의 지역에서는 황산화물 스크러버(121)를 휴면상태로 두고 수 처리와 관련된 수 처리유닛(128)을 포함하는 설비만 가동하는 방식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또는 상황에 따라 연속적으로 불순물 관리를 하는 방식으로 운용할 수도 있다.
해수 염도감지 센서(S)는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선체의 하부에 설치되거나 세정수 공급라인(L1)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연료공급 유닛(140)은 염도감지 센서(S)의 감지 결과에 따라 연소장치(110)에 HSFO(high sulfur fuel oil)와 LSFO(low sulfur fuel oil)를 혼합한 혼합 연료유를 공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연료공급 유닛(140)은 연소장치(110)에 연료유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유 공급라인(141)과, 연료유 공급라인(141)의 일측에 설치되는 HSFO 공급 부(142)와, 연료유 공급라인(141)의 타측에 설치되는 LSFO 공급 부(143)와, 연소장치(110)에 HSFO와 LSFO를 혼합한 혼합 연료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연료유 공급라인(141)의 중간에 설치되는 연료유 혼합기(144)를 포함한다.
세정수 배출라인(L2)을 통해서 배출되는 배출수의 수질을 감시하기 위한 수질 모니터 유닛(129)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수질 모니터 유닛(129)은 환경 규제구역이나 접안시에 선 외로 배출되는 배출수의 오염 정도를 모니터링 한다.
연료유 혼합기(144)는 해수 염도가 2,000~2,300 μmol/l 미만인 경우, HSFO보다 LSFO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혼합한 혼합 연료유를 연료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해수 염도, 즉 알칼리성(Alkalinity)이 2,000~2,300 μmol/l 이상인 경우, LSFO보다 HSFO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혼합한 혼합 연료유를 연료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배기가스 배관(110a)을 통해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내의 황산화물을 감시하기 위한 황산화물 모니터링 부(1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방법은 해수 염도감지 센서(S)가 환경 규제구역 운항시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측정하는 단계;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가 2,000~2,300 μmol/l 이상인 경우는 연료유 혼합기(144)가 LSFO보다 HSFO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혼합한 혼합 연료유를 연료로 공급하고,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가 2,000~2,300 μmol/l 미만인 경우는 연료유 혼합기(144)가 HSFO보다 LSFO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혼합한 혼합 연료유를 연료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방법은 황산화물 정화장치의 구동에 의해서 선박의 연소장치(110)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SOx)을 정화하되 측정한 해수 염도에 따라 연료유 혼합기(144)가 연소장치(110)에 공급되는 HSFO와 LSFO의 혼합비율을 제어하면서 배기가스를 정화시키는 방법이다.
즉,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가 최소 2,000~2,300 μmol/l 이상으로 감지된 경우는 황산화물 정화시스템에서 황산화물 정화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므로 연소장치에 공급하는 연료유를 HSFO로만 사용하거나, LSFO에 대한 HSFO의 혼합비율을 매우 높게 구성할 수 있으며, 반면에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가 2,000~2,300 μmol/l 미만으로 감지된 경우는 황산화물 정화시스템에서 황산화물 정화기능이 떨어지므로 연소장치(110)에 공급하는 혼합 연료유에서 HSFO에 대한 LSFO의 혼합비율을 상대적으로 높게 구성함으로써, 황산화물 배출제한 구역에서의 운항 또는 정박시 황산화물 배출제한 규정을 만족하면서도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에 따라 저가의 HSFO와 고가의 LSFO 사용량을 조절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황산화물 모니터링 부(150)는 배기가스 배출관(110a)을 통해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내의 황산화물을 감시하여 황산화물 배출규정을 충족할 수 있도록 감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황산화물 배출제한 구역 내의 저염도 해역 운항 또는 정박시 희석수(NaOH)를 투여하기 위한 희석수 공급시스템 없이도 각 장비 출력 유지가 가능하며, 희석수를 사용하지 않고도 장비 출력을 유지하면서도 HSFO/LSFO의 최적 혼합사용을 통해서 OPEX 측면에서 경제적인 운용 가능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저염도 해역의 해수 염도기준을 2,000~2,300 μmol/l로 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저염도 해역의 해수 염도기준은 설계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110: 연소장치
110a: 배기가스 배출라인
111: 메인 엔진
112: 제너레이터 엔진
113: 보조 보일러
121: 세정 워터펌프
122: 황산화물 스크러버
129: 수질 모니터 유닛
140: 연료공급 유닛
141: 연료유 공급라인
142: HSFO 공급 부
143: LSFO 공급 부
144: 연료유 혼합기
L1: 세정수 공급라인
L2: 세정수 배출라인
L5: 세정수 순환라인
S: 해수 염도감지 센서

Claims (16)

  1.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세정수 공급라인(L1)과 연결되는 세정 워터펌프(121), 상기 세정수 공급라인(L1)을 따라 공급되는 세정수를 이용하여 선박의 연소장치(110)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한 황산화물 스크러버(122), 상기 황산화물 스크러버(122)에서 세정되어 드레인된 배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세정수 배출라인(L2)을 구비하는 황산화물 정화장치;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측정하는 해수 염도감지 센서(S); 및
    상기 염도감지 센서(S)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연소장치(110)에 HSFO(high sulfur fuel oil)와 LSFO(low sulfur fuel oil)를 혼합한 혼합 연료유를 공급할 수 있는 연료공급 유닛(140);을 포함하되,
    상기 연료공급 유닛(140)은
    상기 연소장치(110)에 연료유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유 공급라인(141);
    상기 연료유 공급라인(141)의 일측에 설치되는 HSFO 공급 부(142);
    상기 연료유 공급라인(141)의 타측에 설치되는 LSFO 공급 부(143); 및
    상기 연소장치(110)에 HSFO와 LSFO를 혼합한 혼합 연료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연료유 공급라인의 중간에 설치되는 연료유 혼합기(144);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유 혼합기는 상기 염도감지 센서에서 측정된 해수 염도에 따라 상기 연소장치에 공급되는 HSFO와 LSFO의 혼합비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배출수의 수질을 감시하기 위한 수질 모니터 유닛(129)을 더 포함하는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유 혼합기는 해수 염도가 2,000~2,300 μmol/l 미만인 경우, HSFO보다 LSFO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혼합한 혼합 연료유를 연료로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해수 염도가 2,000~2,300 μmol/l 이상인 경우, LSFO보다 HSFO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혼합한 혼합 연료유를 연료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소장치(110)는 메인 엔진(111), 제너레이터 엔진(112), 보조 보일러(113)를 포함하는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라인(L1)과 상기 세정수 배출라인(L2)은 각각 상기 황산화물 스크러버(122)의 입구 측과 출구 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배기가스 내의 황산화물을 감시하기 위한 황산화물 모니터링 부(15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공급라인(L1)과 상기 세정수 배출라인(L2)을 거친 배출수가 해상으로 배출되는 개방 루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황산화물 정화장치는
    세정수의 순환을 위해서 상기 세정수 공급라인(L1)과 상기 세정수 배출라인(L2)을 연결하는 세정수 순환라인(L5);
    상기 세정수 배출라인(L2)과 연결되는 스크러빙 워터 탱크(123);
    수처리 유닛(128)에서 분리된 슬러지를 보관하기 위한 슬러지 탱크(127);
    상기 수처리 유닛(128)에서 분리된 강산의 배출수를 희석시키기 위한 희석수를 제공하는 희석수 공급 부;
    세정수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126); 및
    세정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스크러빙 워터 순환펌프(125);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정수 배출라인(L2)이 상기 세정수 순환라인(L5)과 연결되는 클로즈 루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선박의 연소장치(110)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SOx)을 정화시키되,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해수 염도에 따라 연료유 혼합기가 상기 연소장치(110)에 공급되는 HSFO와 LSFO의 혼합비율을 제어하면서 상기 연소장치에서 발생하는 황산화물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배기가스를 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가 2,000~2,300 μmol/l 이상인 경우는 LSFO보다 HSFO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혼합한 혼합 연료유를 연료로 공급하고,
    상기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가 2,000~2,300 μmol/l 미만인 경우는 HSFO보다 LSFO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혼합한 혼합 연료유를 연료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방법.
  16. 삭제
KR1020170084736A 2017-07-04 2017-07-04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정화방법, 및 그 배기가스 정화시스템을 구비하는 선박 KR102418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736A KR102418123B1 (ko) 2017-07-04 2017-07-04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정화방법, 및 그 배기가스 정화시스템을 구비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736A KR102418123B1 (ko) 2017-07-04 2017-07-04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정화방법, 및 그 배기가스 정화시스템을 구비하는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474A KR20190004474A (ko) 2019-01-14
KR102418123B1 true KR102418123B1 (ko) 2022-07-08

Family

ID=65027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736A KR102418123B1 (ko) 2017-07-04 2017-07-04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정화방법, 및 그 배기가스 정화시스템을 구비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1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96906B2 (en) 2017-09-29 2020-06-30 Marathon Petroleum Company Lp Tower bottoms coke catching device
US11975316B2 (en) 2019-05-09 2024-05-07 Marathon Petroleum Company Lp Methods and reforming systems for re-dispersing platinum on reforming catalyst
KR102111503B1 (ko) * 2019-05-14 2020-05-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친환경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KR102111525B1 (ko) * 2019-05-14 2020-05-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친환경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JP7311624B2 (ja) 2019-05-14 2023-07-19 デウ シップビルディング アンド マリン エンジニアリ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船舶の燃料供給システム
CN110185521B (zh) * 2019-06-18 2021-06-15 吉林大学 一种船舶尾气有害元素的过滤装置
CN114514060A (zh) * 2019-11-05 2022-05-17 乐佧本有限股份公司 利用前处理脱硫剂的船舶燃料油的前处理脱硫方法
US11384301B2 (en) 2020-02-19 2022-07-12 Marathon Petroleum Company Lp Low sulfur fuel oil blends for stability enhancement and associated methods
US11898109B2 (en) 2021-02-25 2024-02-13 Marathon Petroleum Company Lp Assemblies and methods for enhancing control of hydrotreating and fluid catalytic cracking (FCC) processes using spectroscopic analyzers
US11905468B2 (en) 2021-02-25 2024-02-20 Marathon Petroleum Company Lp Assemblies and methods for enhancing control of fluid catalytic cracking (FCC) processes using spectroscopic analyzers
US20220268694A1 (en) 2021-02-25 2022-08-25 Marathon Petroleum Company Lp Methods and assemblies for determining and using standardized spectral responses for calibration of spectroscopic analyzers
US11692141B2 (en) 2021-10-10 2023-07-04 Marathon Petroleum Company Lp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ing processing of hydrocarbons in a fluid catalytic cracking unit using a renewable additive
US11802257B2 (en) 2022-01-31 2023-10-31 Marathon Petroleum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rendered fats pour poi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18671A1 (en) * 2010-07-21 2012-01-26 Q5 Innov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salt water exhaust scrubber efficiency
KR101480435B1 (ko) * 2013-09-03 2015-01-09 강림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복합 배기가스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13424B1 (en) * 2008-09-17 2018-05-09 Yanmar Co., Ltd. Exhaust gas purifying system for marine vessel engine
KR101434144B1 (ko) 2012-05-04 2014-08-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생산저장설비의 불활성 가스 공급 시스템
KR20140075204A (ko) 2012-12-11 2014-06-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발라스트 펌프를 이용한 선박 배기가스 내 황산화물 제거장치
KR20160016130A (ko) 2014-08-04 2016-02-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불활성 가스 공급 선박
KR102313221B1 (ko) * 2015-07-07 2021-10-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내 배기가스 스크러버 및 폐열 회수 장치에서 폐열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18671A1 (en) * 2010-07-21 2012-01-26 Q5 Innov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salt water exhaust scrubber efficiency
KR101480435B1 (ko) * 2013-09-03 2015-01-09 강림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복합 배기가스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474A (ko) 201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8123B1 (ko) 선박의 운항해역의 해수 염도를 고려한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정화방법, 및 그 배기가스 정화시스템을 구비하는 선박
EP2711067B2 (en) Combined 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reduction of sox and nox in exhaust gases from a combustion engine
KR102418124B1 (ko) 황산화물 정화기능을 가진 통합 불활성 가스시스템, 그 통합 불활성 가스시스템의 정화방법, 및 그 통합 불활성 가스시스템을 구비하는 선박
JP6154020B2 (ja) 排ガスの洗浄のためのシステム、そのようなシステムの使用、及び多重システム
KR102348465B1 (ko) 선박의 배기가스 정화 시스템 및 방법
CN106984161B (zh) 一种船舶废气污染物和压载水综合处理方法及装置
EP1957181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leaning the exhaust gase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50075663A (ko) 선박용 배기가스 정화 시스템 및 배기가스 정화 방법
WO2022222707A1 (zh) 一种船舶尾气脱硫洗涤废水的深度处理及回用装置
CN108187480B (zh) 船舶废气脱硫系统
KR20140075204A (ko) 발라스트 펌프를 이용한 선박 배기가스 내 황산화물 제거장치
US20220105460A1 (en) A process for clean sailing of marine ship and a ship
JP3223498U (ja) 浄化システム
CN104121072A (zh) 一种用于二冲程柴油机的废气污染物联合脱除装置
CN206823526U (zh) 一种船舶废气污染物和压载水综合处理装置
Krakowski Technical and ecological analysis of different solutions of the power supply of a marine diesel engine
KR102297868B1 (ko) 통합 배기가스 스크러빙 시스템
KR20190018877A (ko) 통합 불활성가스 발생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334645B1 (ko) 배기 및 배수 오염물질 저감장치
Bursuc et al. Pollution Reduction Methods for an Emergency Diesel Generator Fitted Onboard a Large Container Vessel
KR20120077966A (ko) 선박의 배기가스 정화시스템
CN212915092U (zh) 船用增强型开式湿法脱硫系统
KR20200084538A (ko) 통합 배기가스 정화 시스템 및 그 운전 방법
Tremuli Developments and Perspectives of Marine Engines
KR20220072629A (ko)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