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023B1 -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023B1
KR102418023B1 KR1020200151399A KR20200151399A KR102418023B1 KR 102418023 B1 KR102418023 B1 KR 102418023B1 KR 1020200151399 A KR1020200151399 A KR 1020200151399A KR 20200151399 A KR20200151399 A KR 20200151399A KR 102418023 B1 KR102418023 B1 KR 102418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voice
processing unit
command step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1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4845A (ko
Inventor
김정
오준석
박용
권오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트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트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트지
Priority to KR1020200151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023B1/ko
Publication of KR20220064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conom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는 처리부, 입력부, 및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명령 단계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게 구비되고, 상기 명령 단계를 조작함에 의해 선택되어 지는 콘텐츠가 내장됨과 아울러 상기 콘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저시력자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의 조작에 의해서도 상기 명령 단계 및 상기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상기 처리부에 입력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처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명령 단계 및 상기 콘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CONTENTS FOR THE VISUALLY-IMPAIRED}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저시력자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이 음성 도서, 음성 잡지, 화면해설 영화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보다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각장애인용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서, 잡지, 영화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의 이용은 주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가 제공하는 앱(APP) 프로그램 또는 웹(WEB) 프로그램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언급한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는 콘텐츠의 이용은 시각적인 제약이 있는 저시력자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에게는 디지털 기기의 조작 그리고 앱 프로그램 또는 웹 프로그램의 이용 자체가 오히려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천적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에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게다가, 언급한 디지털 기가 자체가 상대적으로 고가일 수 있기 때문에 디지털 기기의 마련을 위한 경제적인 부담감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음성 도서, 음성 잡지, 화면해설 영화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저시력자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이 별다른 제약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는 처리부, 입력부, 및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외부로부터 입력 및 선택되는 명령 단계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게 구비되고, 상기 명령 단계를 조작함에 의해 선택되어 지는 콘텐츠가 내장됨과 아울러 상기 콘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저시력자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의 조작에 의해서도 상기 명령 단계 및 상기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상기 처리부에 입력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처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명령 단계 및 상기 콘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기존 OTT(Over The Top) 셋톱박스에 상기 명령 단계 및 상기 콘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 그리고 상기 콘텐츠가 탑재되도록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명령 단계 및 상기 콘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 그리고 상기 콘텐츠가 탑재되도록 구비되는 신규 OTT(Over The Top) 셋톱박스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터치 조작에 의해 상기 선택 신호를 상기 처리부에 입력하도록 구비되는 리모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이와 함께 모니터를 포함할 경우에는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선택 및 상기 처리부로부터의 처리를 통하여 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는 리모컨 등과 같은 입력 부재를 사용하여 음성 도서, 음성 잡지, 화면해설 영화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성으로 출력되는 출력 부재에 의해 콘텐츠에 대한 음성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는 저시력자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도 그 사용이 용이한 리모컨을 사용하기 때문에 원하는 콘텐츠를 용이하게 선택 및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는 디지털 기기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OTT 셋톱박스 등을 처리 부재로 사용하기 때문에 구매에 따른 경제적인 이득까지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과제 및 효과는 상기 언급한 바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도 2는 도 1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에 구비되는 처리부에 대한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에 구비되는 입력부에 대한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에 구비되는 출력부에 대한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를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 부호를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처리부(11), 입력부(13), 출력부(15)가 포함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처리부(11)는 외부로부터 입력 및 선택되는 명령 단계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입력부(13)로부터의 입력 및 선택에 의해 명령 단계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언급한 명령 단계의 경우 주로 후술하는 콘텐츠 중에서 원하는 콘텐츠의 선택에 제공되는 것으로써, 특히 명령 단계는 상위 명령 단계, 하위 명령 단계 등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명령 단계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원하는 콘텐츠의 선택을 위한 복수개의 명령 단계 각각이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게 제공될 수 있다.
시각장애인이 명령 단계에 의해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하여 예를 들면, 제1 단계에서 도서, 잡지, 영화 등으로 이루어지는 콘텐츠 중에서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 가가 음성으로 제공됨에 따라 시각장애인이 후술하는 입력부(13)를 사용하여 영화를 선택할 수 있고, 제2 단계에서 영화 중에서 멜로 영화, 코믹 영화, 액션 영화 등 중에서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 가가 음성으로 제공됨에 따라 시각장애인이 후술하는 입력부(13)를 사용하여 액션 영화를 선택할 수 있고, 제3 단계에서 음성으로 액션 영화들에 대한 제목이 음성으로 제공됨에 따라 시각장애인이 후술하는 입력부(13)를 사용하여 원하는 액션 영화를 선택할 수 있고, 이에 시각장애인은 원하는 액션 영화를 음성으로 제공받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언급한 명령 단계의 경우 원하는 콘텐츠의 선택을 위하여 상위 명령 단계에서 하위 명령 단계로 실행되는 구성을 갖도록 이루질 수뿐만 아니라 명령 단계의 변경, 중단, 리셋 등에 대해서도 원할 때 바로 실행되는 구성을 갖도록 이루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100)에서는 스크린 리더 등과 같은 프로그램이 처리부(11)에 탑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언급한 명령 단계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언급한 스크린 리더를 적합하게 개발하여 처리부(11)에 탑재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처리부(11)는 언급한 명령 단계를 음석으로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고, 나아가 명령 단계를 입력함에 의해 선택되어 지는 콘텐츠가 내장됨과 아울러 콘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처리부(11)는 음성으로 출력되는 명령 단계를 선택함에 의해 선택되어 지는 콘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써, 음성으로 출력되는 명령 단계 및 음성으로 출력되는 콘텐츠가 내장되는 구성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콘텐츠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음성 도서, 음성 잡지, 화면해설 영화 등일 수 있고, 나아가 스크린 리더를 활용할 경우 웹 페이지가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 등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언급하고 있는 화면해설 영화의 경우에는 등장 인물들에 대한 대사들 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에 대한 묘사, 등장 인물에 대한 움직임 등에 대해서도 음성으로 설명하는 구성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에 구비되는 처리부에 대한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100)에서의 처리부(11)는 셋톱박스로 이루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처리부(11)는 기존 OTT(Over The Top) 셋톱박스에 명령 단계 및 콘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 그리고 콘텐츠가 탑재되도록 구비되는 구성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처리부(11)가 기존 OTT 셋톱박스에 탑재되는 구성일 경우에는 언급한 프로그램 및 콘텐츠가 칩 단위 구성, USB 단위 구성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나아가 칩 단위 구성일 경우에는 기존 OTT 셋톱박스에 셋팅되는 구성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고, USB 단위 구성을 경우에는 기존 OTT 셋톱박스에 USB가 삽입되는 구성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처리부(11)가 기존 OTT 셋톱박스에 탑재되는 구성일 경우에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기존 OTT 셋톱박스에 적용 가능하게 처리부(11)를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달리, 처리부(11) 자체가 신규 OTT 셋톱박스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명령 단계 및 콘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 그리고 콘텐츠가 탑재되는 신규 OTT 셋톱박스 자체를 개발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기존 OTT 셋톱박스에 탑재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규 OTT 셋톱박스 자체로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100)에서의 입력부(13)는 저시력자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의 조작 용이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조작함에도 불구하고 명령 단계 및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처리부(11)에 용이하게 입력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에 구비되는 입력부에 대한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입력부(13)는 언급한 바와 같이 시각장애인의 조작에 의해서도 선택 신호를 처리부(11)에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게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100)에서의 입력부(13)는 터치 조작에 의해 선택 신호를 처리부(11)에 입력할 수 있는 리모컨일 수 있는 것으로써, 실제로 리모컨의 경우에는 시각장애인도 몇 번의 반복에 의해서도 익숙하게 조작할 수 있는 사례가 이미 검증된 바 있다.
특히, 언급한 리모컨의 경우에는 자주 사용하는 메뉴, 주요 메뉴 등을 키맴핑하여 단축키를 설정함에 의해 사용에 따른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언급한 리모컨의 경우에는 상위 명령 단계, 하위 명령 단계 등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명령 단계를 하나로 압축시킨 단축 기능을 갖는 기능키를 구비하도록 구비됨에 의해서도 시각장애인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리모컨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13)를 사용함과 아울러 기존 OTT 셋톱박스 또는 신규 OTT 셋톱박스로 이루어지는 처리부(11)를 구비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이득까지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입력부(13)는 리모컨이 아닌 키보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처리부(11)와의 연결을 위한 USB, 블루투스 등과 같은 연결 부재를 필요로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입력부(13)를 음성 인식이 가능한 부재로도 마련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리모컨 등에 음성 인식이 가능한 부재를 구비시키거나, 또는 처리부(11) 등에 음성 인식이 가능한 부재가 탑재되도록 구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100)에서의 출력부(15)는 처리부(11)와 연결되어 입력부(13)로부터의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명령 단계 및 콘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에 구비되는 출력부에 대한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언급한 출력부(15)는 스피커(17)가 구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나아가 모니터(19)와 같은 디스플레이 부재가 더 구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출력부(15)로써 스피커(17)와 함께 모니터(19)를 함께 사용할 경우에는 스피커(17)를 선택하거나 또는 모니터(19)를 선택하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고, 언급한 스피커(17) 또는 모니터(19)에 대한 선택은 입력부(13)로부터의 선택 및 처리부(11)로부터의 처리를 통하여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출력부(15)로써 스피커(17)와 모니터(19) 모두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지털 기기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OTT 셋톱박스 등과 같은 처리부(11)를 적용하고, 시각장애인도 그 사용이 용이한 리모컨 등과 같은 입력부(13)를 사용함과 아울러 스피커(17) 등과 같은 출력부(15)를 구비함으로써 음성 도서, 음성 잡지, 화면해설 영화 같은 다양한 콘텐츠에 대한 음성 서비스를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는 시각장애인에게 다양한 콘텐츠 및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취약 계층에게도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다양한 콘텐츠 및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 : 처리부 13 : 입력부
15 : 출력부 17 : 스피커
19 : 모니터 100 : 콘텐츠 제공 장치

Claims (4)

  1. 하기의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상위 명령 단계 및 하위 명령 단계를 포함하면서 상기 상위 명령 단계에서 상기 하위 명령 단계로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명령 단계 각각을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게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복수개의 명령 단계에 대한 변경, 중단, 리셋에 대해서도 바로 처리 가능하게 실행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명령 단계 각각을 선택함에 의해 선택되어 지는 콘텐츠가 내장됨과 아울러 상기 콘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명령 단계의 변경, 중단, 리셋에 대한 처리 안내에 대해서도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게 구비되는 처리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명령 단계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게 구비되고, 상기 명령 단계를 조작함에 의해 선택되어 지는 콘텐츠가 내장됨과 아울러 상기 콘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게 구비되는 처리부;
    저시력자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의 조작에 의해서도 상기 명령 단계 및 상기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상기 처리부에 입력할 수 있게 구비되는 입력부; 및
    상기 처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명령 단계 및 상기 콘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게 구비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기존 OTT(Over The Top) 셋톱박스에 상기 명령 단계 및 상기 콘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 그리고 상기 콘텐츠가 탑재되도록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명령 단계 및 상기 콘텐츠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 그리고 상기 콘텐츠가 탑재되도록 구비되는 신규 OTT(Over The Top) 셋톱박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터치 조작에 의해 상기 선택 신호를 상기 처리부에 입력하도록 구비되는 리모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이와 함께 모니터를 포함할 경우에는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선택 및 상기 처리부로부터의 처리를 통하여 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
KR1020200151399A 2020-11-12 2020-11-12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 KR102418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399A KR102418023B1 (ko) 2020-11-12 2020-11-12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399A KR102418023B1 (ko) 2020-11-12 2020-11-12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845A KR20220064845A (ko) 2022-05-19
KR102418023B1 true KR102418023B1 (ko) 2022-07-06

Family

ID=81801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399A KR102418023B1 (ko) 2020-11-12 2020-11-12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023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213A (ko) * 2004-03-08 2005-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Tv 및 stb의 유저인터페이스 입력방법
KR101305489B1 (ko) * 2011-09-29 2013-09-17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Iptv 서비스에서의 음성 지원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160026431A (ko) * 2014-09-01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장애인 음성안내 기능을 구비한 전자장치, 그것을 구비한 시스템 및 그 음성안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845A (ko)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70616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Improved User Interface
CN103093594A (zh) 触控式遥控器
JP2007514363A (ja) 通信端末機の文字・数字入力装置及び該入力方法
KR102418023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
KR102123306B1 (ko) 리모컨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및 문자입력장치
Sánchez et al. Controlling multimedia players using nfc enabled mobile phones
JP7145988B2 (ja) 入力アプリケーションを用いた翻訳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これを用いる端末装置
KR2014012714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7073664B2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007561A (ja) コンテンツ閲覧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
Costa et al. Audio rendering smart TV apps through mobile devices
US9628745B2 (en) Screen splitting system and method
Darvishy Accessibility of mobile platforms
KR101682214B1 (ko) 전자잉크 키보드
KR101835222B1 (ko) 외국어 번역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19201405A (ja) 音声出力の選択用装置および方法
US20170220317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of electronic apparatus
KR101125345B1 (ko) 컴퓨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 운용장치 및 그 운용방법
TW201409338A (zh) 電子設備及按鍵圖示的顯示方法
JP2007072728A (ja) 入出力装置、入出力システム、入出力方法、入出力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5182168A (ja) コンテンツ処理装置、コンテンツ処理方法、コンテンツ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6569953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操作表示方法
KR100773404B1 (ko) 디지털 처리 장치의 입력 장치 및 방법
WO201514110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050001848A (ko) 소프트웨어 키보드에서의 문자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