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946B1 - 전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전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946B1
KR102417946B1 KR1020210100083A KR20210100083A KR102417946B1 KR 102417946 B1 KR102417946 B1 KR 102417946B1 KR 1020210100083 A KR1020210100083 A KR 1020210100083A KR 20210100083 A KR20210100083 A KR 20210100083A KR 102417946 B1 KR102417946 B1 KR 102417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housing
exhaust
outdoor air
perfo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7946B9 (ko
Inventor
김정환
김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힘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힘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힘펠
Priority to KR1020210100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9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946B1/ko
Publication of KR10241794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946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열교환기를 설치하기 위해 벽면에 형성하는 홀의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전열교환기의 설치 위치 제약을 완화하고,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본 발명 전열교환기는, 전열교환소자; 상기 전열교환소자가 수납되며, 실외에 연통되는 외기부와 상기 전열교환소자와 실내에 연통되는 급기부로 연결되는 유로 및 실내에 연통되는 환기부와 상기 전열교환소자와 실외에 연통되는 배기부로 연결되는 유로가 내부에 교차 형성되는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의 후면부에 형성되며, 구획벽에 의해 상기외기부, 급기부, 환기부 및 배기부와 구획되는 유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부는, 상기외기부에 연통하는 외기유로 및 상기 배기부에 연통하는 배기유로를 포함하여 복수의 유로로 구획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유로부에 연통하는 타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타공부를 통해 상기하우징이 실외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열교환기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환기와 열교환을 동시에 수행하는 전열교한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실외 공기를 실내에 급기하고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여 실내 공간을 환기시키는 것으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전열교환소자를 거치도록 유동하여 전열교환소자 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전열교환기는 본체에 전열교환소자 수납되며, 본체 내부에 전열교환소자에서 교차하는 두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두 유로의 양 단은 실외 및 실내에 각각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전열교환기는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위해 천장 또는 측벽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측벽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타입을 스탠드형 전열교환기로 일컫고 있다.
도 1은 스탠드형 전열교환기를 설치하는 종래의 일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고하면 도 1 (a)와 같이 벽면에 실외 공기가 실내로 도입될 수 있도록 외기홀(1)이 관통형성하고, 실내 공기가 실외로 배기될 수 있도록 배기홀(2)이 관통형성한다. 이 때, 외기홀(1)과 배기홀(2)은 전열교환기(3)에 설치된 외기용 관통구멍과 배기용 관통구멍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한다. 그 다음 도 1 (b)와 같이 전열교환기(3)는 실내측 벽면에 접하도록 설치하는데, 도 1 (c)와 같이 외기덕트(4a)와 배기덕트(5a)를 이용해 전열교환기(3)를 외기홀(1) 및 배기홀(2)에 연통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벽면에 창문이 형성되는 등 외기홀과 배기홀을 뚫을 수 없는 구조인 경우, 전열교환기의 설치 위치에 제약이 생긴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2와 같이 스탠드형 전열교환기를 설치하는 다른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도 2는 외기홀과 배기홀을 벽면에 형성하고, 전열교환기의 외기 구멍과 배기 구멍을 플렉시블 덕트로 형성되는 외기덕트(4b) 및 (5b)로 연결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 외기홀과 배기홀을 도 1의 경우보다는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으나, 외기 구멍과 배기 구멍이 보통 전열교환기의 길이방향으로 일열로 형성되며 플렉시블 덕트가 교차하여 배치될 수 없는 문제로 도 2 (b)와 같이 플렉시블 덕트 및 벽면 설치 부분이 노출되며 여전히 설치 자유도가 낮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열교환기를 설치하기 위해 벽면에 형성하는 홀의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전열교환기의 설치 위치 제약을 완화하고,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은 전열교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 전열교환기는, 전열교환소자; 상기 전열교환소자가 수납되며, 실외에 연통되는 외기부와 상기 전열교환소자와 실내에 연통되는 급기부로 연결되는 유로 및 실내에 연통되는 환기부와 상기 전열교환소자와 실외에 연통되는 배기부로 연결되는 유로가 내부에 교차 형성되는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의 후면부에 형성되며, 구획벽에 의해 상기외기부, 급기부, 환기부 및 배기부와 구획되는 유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부는, 상기외기부에 연통하는 외기유로 및 상기 배기부에 연통하는 배기유로를 포함하여 복수의 유로로 구획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유로부에 연통하는 타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타공부를 통해 상기하우징이 실외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공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 및 후면에 셋 이상 형성되며, 상기 타공부 중 상기 외기유로에 연통하는 어느 하나 및 상기 배기유로에 연통하는 다른 하나를 타공함으로써, 상기하우징이 실외에 연통되는 위치를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기유로 및 배기유로는 상기 하우징의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각각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 후면 및 타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기유로 및/또는 배기유로는, 각각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 후면 또는 타측면 중 둘 이상에 형성되는 타공부에 의해 실외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기유로 또는 배기유로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접하는 높이방향,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 접하는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 모두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외기유로 또는 배기유로는 '∪' 또는 '∩'와 같은 형태로 상기 하우징의 후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부는, 상기 외기유로 및 배기유로와 구획되는 별도의 가변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기유로 또는 배기유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접하는 높이방향,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 접하는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 모두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기유로 또는 배기유로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변유로는,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 모두 접하도록 형성된 상기 외기유로 또는 배기유로의 중앙부에 높이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공부는, 상기 외기유로 또는 배기유로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가변유로를 구획하는 유로격벽 상에 형성되는 제1타공부; 상기 외기유로 또는 배기유로 중 나머지 하나와 상기가변유로를 구획하는 유로격벽 상에 형성되는 제2타공부; 상기 외기유로 또는 배기유로 중 어느 하나와 접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상에 형성되는 제3타공부; 상기 외기유로 또는 배기유로 중 나머지 하나와 접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상에 형성되는 제4타공부; 상기 가변유로와 접하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 상에 형성되는 제5타공부; 상기 외기유로 또는 배기유로 중 어느 하나와 접하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 상에 형성되는 제6타공부; 상기 가변유로와 접하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 상에 형성되는 제7타공부 및 제8타공부; 상기 외기유로와 접하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 상에 형성되는 제9타공부; 및 상기 배기유로와 접하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 상에 형성되는 제10타공부; 중 셋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기부는, 제3타공부, 제6타공부, 제7타공부 또는 제9타공부에 설치되는 외기덕트를 이용하여 실외와 연통되며, 상기 배기부는, 제4타공부, 제5타공부, 제8타공부 또는 제10타공부에 설치되는 배기덕트를 이용하여 실외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공부는, 유로를 형성하는 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는 타공패널; 및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면과 상기 타공패널을 연결하는 복수의 브릿지;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브릿지 사이에 타공홀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면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 또는 후면이거나, 상기 외기유로, 가변유로, 배기유로를 구획하는 유로격벽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면의 일면에는, 패널 형상의 단열재가 상기 타공홀을 덮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 후면 및 측면에 접하는 유로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타공부를 포함함으로써, 유로부에 외기덕트 또는 배기덕트를 설치하는 위치를 다양화할 수 있다. 따라서 벽면에 창문 등이 설치된 경우나, 후면 및 측면에 동시에 접하도록 전열교환기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플렉서블 덕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설치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 덕트가 노출되는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기유로 또는 외기유로중 어느 하나를 '∪' 또는 '∩'와 같은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가변유로의 형성이 용이하고, 가변유로를 포함함으로써 외기덕트 및 배기덕트의 설치 위치를 더욱 다양화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또는 유로격벽에 형성되는 타공부가, 타공패널 및 브릿지를 포함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적은 힘으로도 타공패널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하우징 또는 유로격벽에 단열재를 추가로 부착함으로써, 결로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타공패널이 제거되지 않은 부분에서 단열재에 의해 외기 및 배기의 누기량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스탠드형 전열교환기를 설치하는 종래의 일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스탠드형 전열교환기를 설치하는 종래의 다른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 전열교환기를 일 방향으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전열교환기를 다른 방향으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후면커버 및 구획벽을 제거하고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유로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설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설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설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설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설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설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설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도,
도 1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각 타공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전열교환기를 일 방향으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전열교환기를 다른 방향으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후면커버 및 구획벽을 제거하고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유로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각 타공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전열교환기(10)의 일 실시예는, 하우징(110) 내에 전열교환소자(190) 및 송풍팬 등이 설치되어 본체(10)를 이루며, 본체(10)를 덕트 등을 이용하여 벽면을 관통하여 실외와 연통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 전열교환기(10)는 그 예로 실내의 벽면에 설치하는 스탠드 타입일 수 있으며,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하우징(110)이 좁고 긴 함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전체적으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면에는 전면커버(120)가 결합되고, 후면에는 후면커버(130)가 결합되어, 내부 부품의 실장이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은, 교차하는 두 유로가 형성되어 두 유로를 통과하는 유체끼리 열교환이 되는 전열교환소자(190)가 수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열교환소자(190)를 중심으로 교차하는 두 유로를 구획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실외 공기가 도입되는 외기부(140)와, 전열교환소자(190), 실내와 연통되며 필터(220)를 포함하여 정화된 실외 공기를 실내에 급기하는 급기부(150)가 하나의 유로가 되며, 환기홀(162)을 통해 실내 공기가 도입되는 환기부(160)와, 전열교한소자(190), 실외와 연통되어 상기 실내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부(170)가 다른 하나의 유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부분은 유로격벽(330)에 의해 구획될 수 있으며, 전열교환소자(190)를 용이하게 삽입 및 거치하기 위한 소자가이드(210)가 하우징(110)의 전후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소자가이드(210)는 레일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열교환소자(190)의 각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으며, 룸격벽(200)의 일부는 소자가이드(210)가 될 수 있다.
외기부(140), 급기부(150), 환기부(160) 및 배기부(170)는 각각 외기룸(141), 급기룸(151), 환기룸(161), 배기룸(171)으로 된 유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기부(140) 및 배기부(170)는 각각 실외와 연통할 수 있도록 외기홀(142) 및 배기홀(174)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외기홀(142)과 배기홀(174)은 하우징(11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외기부(140) 및 배기부(170)는 유로부(300)에 형성된 타공부에 설치되는 외기덕트(143) 및 배기덕트(173)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외기덕트(143) 및 배기턱트는 짧은 관 형상일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벽면에 형성된 구멍 부분에 본 발명 전열교환기(10)를 연결할 수 있다. 급기부(150) 및 배기부(170)에는 공기의 이송을 위해 각각 급기팬(152)과 배기팬(172)이 포함될 수 있다. 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서 이해될 수 있는 공기의 급기 및 배기 방향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상부에는 별도의 공급부(180)가 형성될 수 잇다. 공급부(180)는 공급룸(181)으로 된 유로 공간을 포함하며, 공급룸(181)과 급기룸(151)을 연결하는 연통홀(183)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는 급기룸(151)에서 연통홀(183)을 통해 공급룸(181)으로 이송되며, 공급룸(181)에 형성된 가이드패널(183)에 의해 공기의 유동방향이 가이드되면서 공급부(180) 전면에 형성된 그릴(184)을 거쳐 실내로 공기가 토출되게 된다.
또한 하우징(110)의 후면부에는 구획벽(340)에 의해 유로부(300)가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유로부(300)는 실외 공기가 급기되는 외기유로(310) 및 실내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유로(320)를 포함하며, 급기 및 배기 경로 및 방향을 확장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유로부(300)에는 복수의 타공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타공부를 간편하게 타공함으로써 실외와 연통할 수 있는 타공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타공부는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로를 형성하는 면(하우징(110) 또는 유로격벽(330))과 동일한 면을 이루는 타공패널(350) 및 유로를 형성하는 면과 상기 타공패널(350)을 연결하는 복수의 브릿지(351)를 포함할 수 있다. 타공부는 구성은 복수의 브릿지(351) 사이, 또는 유로를 형성하는 면과 타공패널(350) 사이에 타공홀(352)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될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우징(110) 및 유로격벽(330)이 금속판재로 형성되므로, 레이저가공 등을 통해 호 형상의 타공홀(352)을 가공함으로써 타공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 또는 유로격벽(330)의 내측면에는 단열재가 부착될 수 있다. 단열재는 공기의 온도차에 의한 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단열재는 특히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술한 타공홀(352)을 덮도록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공홀(352)이 있더라도 각 유로에서 외기와 배기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타공부는 하우징(110) 또는 유로격벽(330)과 단열재를 뚫어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홀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며, 여기서 하우징(110) 또는 유로격벽(330)은 타공부의 타공패널(350)에 힘을 가하여 브릿지(351)를 파손시키면 매우 간단하게 뚫을 수 있고, 단열재는 일반적으로 수지 foam 형태로 형성되는 바, 칼 등을 이용하여 쉽게 도려낼 수 있다. 즉, 간편한 방식으로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유로부(300)는 외기유로(310) 및 배기유로(320)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일 예로 외기부(140)가 하부에 배기부(170)가 상부에 배치되도록 도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외기유로(310)가 하부에, 배기유로(320)가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외기유로(310) 및 배기유로(320)가 모두 하우징(110)의 양 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로격벽(330)이 하우징(110)의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타공부가 하우징(110)의 후면 및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10)이 설치될 때 접하게되는 벽면 위치에 따라 타공부를 선택하여 타공할 수 있다.
또한 외기유로(310) 또는 배기유로(320) 중 어느 하나를 하우징(110)의 일측면, 하우징(110)의 폭방향, 하우징(110)의 타측면을 따라 연장형성할 수 있다. 도면에는 일 예로 외기유로(310)가 '∪'와 같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배기유로(320)가 '∩'와 같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도 6과 같이 외기유로(310)가 하부에 형성되고, 외기유로(310)가 '∪'와 같이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주로 설명한다.
나아가 유로부(300)는 유로격벽(330)에 의해 구획되는 가변유로(3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가변유로(360)는 '∪' 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 외기유로(310) 사이(또는 중앙부)에서 높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변유로(360)는 유로부(300)의 상단까지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10)의 타측면에 접하도록 굽어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배기유로(320)는 하우징(110)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외기유로(310)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배기유로(320)가 상부에 형성되고, 배기유로(320)가 '∩'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가변유로(360)는 배기유로(320)의 사이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하우징(110)의 타측면으로 굽어져 접하도록 형성되고, 외기유로(310)는 배기유로(320) 하측에서 하우징(110)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타공부는, 외기유로(310) 또는 배기유로(320) 중 어느 하나와 가변유로(360)를 구획하는 유로격벽(330) 상에 형성되는 제1타공부(331); 외기유로(310) 또는 배기유로(320) 중 나머지 하나와 상기가변유로(360)를 구획하는 유로격벽(330) 상에 형성되는 제2타공부(332); 외기유로(310) 또는 배기유로(320) 중 어느 하나와 접하는 하우징(110)의 일측면에 상에 형성되는 제3타공부(333); 외기유로(310) 또는 배기유로(320) 중 나머지 하나와 접하는 하우징(110)의 일측면에 상에 형성되는 제4타공부(334); 가변유로(360)와 접하는 하우징(110)의 타측면 상에 형성되는 제5타공부(335); 외기유로(310) 또는 배기유로(320) 중 어느 하나와 접하는 하우징(110)의 타측면 상에 형성되는 제6타공부(336); 가변유로(360)와 접하는 하우징(110)의 후면 상에 형성되는 제7타공부(337) 및 제8타공부(338); 외기유로(310)와 접하는 하우징(110)의 후면 상에 형성되는 제9타공부(339a); 및 배기유로(320)와 접하는 하우징(110)의 후면 상에 형성되는 제10타공부(339b); 중 셋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110)으로 한다.
또한 외기부(140)는, 제3타공부(333), 제6타공부(336), 제7타공부(337) 또는 제9타공부(339a)에 설치되는 외기덕트(143)를 이용하여 실외와 연통되며, 배기부(170)는, 제4타공부(334), 제5타공부(335), 제8타공부(338) 또는 제10타공부(339b)에 설치되는 배기덕트(173)를 이용하여 실외와 연통될수 있다. 이에 따르면 외기덕트(143)가 설치되는 4개의 타공부, 배기덕트(173)가 설치되는 4개의 타공부가 있으므로 수학적으로는 총 16가지로 연결이 가능하다. 이 중 외기덕트(143)가 제7타공부(337)에 설치되고 배기덕트(173)가 제5타공부(335)에 설치되는 것 및 외기덕트(143)가 제7타공부(337)에 설치되고 배기덕트(173)가 제8타공부(338)에 설치되는 것을 제외한 14가지 경우는 본 출원의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모두 구현 가능하다.
일부 예로서 도 8 내지 도 14에서 외기가 도입되고, 배기가 배기되는 경로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설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설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설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설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설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설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설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후면도이다.
도 8과 같이 일반적인 경우로서, 외기덕트(143)가 하부 후면에 설치되고 배기덕트(173)가 상부 후면에 설치되는 경우, 제9타공부(339a) 및 제10타공부(339b)를 뚫어 각 덕트를 설치할 수 있다.
도 9와 같이 외기덕트(143)와 배기덕트(173)가 상부 후면에 설치되는 경우, 배기를 위한 구조는 도 8과 동일하며, 급기를 위하여 외기덕트(143)를 제7타공부(337)에 설치하고, 가변유로(360), 제1타공부(331), 외기유로(310), 외기홀(142)을 통해 외기룸(141)에 외기가 도입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외기덕트(143) 및 배기덕트(173)가 후면 하부에 설치되는 경우, 외기 도입을 위한 구조는 도 8과 동일하며, 배기를 위하여 배기덕트(173)를 제8타공부(338)에 설치하고, 실내 공기는 배기홀(174), 배기유로(320), 제2타공부(332), 가변유로(360), 제8타공부(338)를 순차로 거쳐 배기될 수 있다.
도 11과 같이 하우징(110)의 일측면에 외기덕트(143) 및 배기덕트(173)가 모두 설치되는 경우, 이들을 각각 제3타공부(333) 및 제4타공부(334)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실외 공기는 제3타공부(333), 외기유로(310), 외기홀(142)을 순차로 거쳐 하우징(110) 내로 도입되며, 실내 공기는 배기홀(174), 배기유로(320), 제4타공부(334)를 거쳐 실외로 배기될 수 있다.
도 12와 같이 하우징(110)의 타측면에 외기덕트(143) 및 배기덕트(173)가 모두 설치되는 경우, 이들을 각각 제6타공부(336) 및 제5타공부(335)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실외 공기는 제6타공부(336), 외기유로(310), 외기홀(142)을 순차로 거쳐 하우징(110) 내로 도입되며, 실내 공기는 배기홀(174), 배기유로(320), 제2타공부(332), 가변유로(360), 제5타공부(335)를 거쳐 실외로 배기될 수 있다.
도 13과 같이 하우징(110)의 일측면에 외기덕트(143)가 설치되고, 타측면에 배기덕트(173)가 설치되는 경우, 이들을 각각 제3타공부(333) 및 제5타공부(335)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실외공기는, 제3타공부(333), 외기유로(310), 외기홀(142)을 통해 하우징(110) 내로 도입되며, 실내 공기는 배기홀(174), 배기유로(320), 제2타공부(332), 가변유로(360), 제5타공부(335)를 거쳐 실외로 배기될 수 있다.
도 14와 같이 하우징(110)의 타측면에 외기덕트(143)가 설치되고, 일측면에 배기덕트(173)가 설치되는 경우, 이들을 각각 제6타공부(336) 및 제4타공부(334)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실외공기는, 제6타공부(336), 외기유로(310), 외기홀(142)을 통해 하우징(110) 내로 도입되며, 실내 공기는 배기홀(174), 배기유로(320), 제4타공부(334)를 거쳐 실외로 배기될 수 있다.
도 8 내지 14는 일부 실시예를 구성한 것이며, 이와 달리 외기덕트(143) 및 배기덕트(173)가 상이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타공부는, 유로를 형성하는 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는 타공패널(350); 및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면과 상기 타공패널(350)을 연결하는 복수의 브릿지(351);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브릿지(351) 사이에 타공홀(352)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110)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면은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 또는 후면이거나, 상기 외기유로(310), 가변유로(360), 배기유로(320)를 구획하는 유로격벽(330)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 구성별로 나누어 세부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일부 구성을 임의로 조합하여 도출될 수 있는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전열교환기 100 본체
110 하우징 120 전면커버
130 후면커버 140 외기부
141 외기룸 142 외기홀
143 외기덕트 150 급기부
151 급기룸 152 급기팬
160 환기부 161 환기룸
162 환기홀 170 배기부
171 배기룸 172 배기팬
173 배기덕트 174 배기홀
180 공급부 181 공급룸
182 연통홀 183 가이드패널
184 그릴 190 전열교환소자
200 룸격벽 210 소자가이드
220 필터 300 유로부
310 외기유로 320 배기유로
330 유로격벽 331 제1타공부
332 제2타공부 333 제3타공부
334 제4타공부 335 제5타공부
336 제6타공부 337 제7타공부
338 제8타공부 339a 제9타공부
339b 제10타공부 340 구획벽
350 타공패널 351 브릿지
352 타공홀 360 가변유로

Claims (10)

  1. 전열교환소자;
    상기 전열교환소자가 수납되며, 실외에 연통되는 외기부와 상기 전열교환소자와 실내에 연통되는 급기부로 연결되는 유로 및 실내에 연통되는 환기부와 상기 전열교환소자와 실외에 연통되는 배기부로 연결되는 유로가 내부에 교차 형성되는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의 후면부에 형성되며, 구획벽에 의해 상기 외기부, 급기부, 환기부 및 배기부와 구획되는 유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부는, 상기 외기부에 연통하는 외기유로 및 상기 배기부에 연통하는 배기유로를 포함하여 복수의 유로로 구획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유로부에 연통하는 타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타공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이 실외에 연통되고,
    상기 타공부는,
    유로를 형성하는 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는 타공패널; 및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면과 상기 타공패널을 연결하는 복수의 브릿지;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브릿지 사이에 타공홀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 및 후면에 셋 이상 형성되며,
    상기 타공부 중 상기 외기유로에 연통하는 어느 하나 및 상기 배기유로에 연통하는 다른 하나를 타공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이 실외에 연통되는 위치를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유로 및 배기유로는 상기 하우징의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각각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 후면 및 타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외기유로 및/또는 배기유로는, 각각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 후면 또는 타측면 중 둘 이상에 형성되는 타공부에 의해 실외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유로 또는 배기유로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접하는 높이방향,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 접하는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 모두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상기 외기유로 및 배기유로와 구획되는 별도의 가변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유로 또는 배기유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접하는 높이방향,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 접하는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 모두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기유로 또는 배기유로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변유로는,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 모두 접하도록 형성된 상기 외기유로 또는 배기유로의 중앙부에 높이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는,
    상기 외기유로 또는 배기유로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가변유로를 구획하는 유로격벽 상에 형성되는 제1타공부;
    상기 외기유로 또는 배기유로 중 나머지 하나와 상기 가변유로를 구획하는 유로격벽 상에 형성되는 제2타공부;
    상기 외기유로 또는 배기유로 중 어느 하나와 접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상에 형성되는 제3타공부;
    상기 외기유로 또는 배기유로 중 나머지 하나와 접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상에 형성되는 제4타공부;
    상기 가변유로와 접하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 상에 형성되는 제5타공부;
    상기 외기유로 또는 배기유로 중 어느 하나와 접하는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 상에 형성되는 제6타공부;
    상기 가변유로와 접하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 상에 형성되는 제7타공부 및 제8타공부;
    상기 외기유로와 접하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 상에 형성되는 제9타공부; 및
    상기 배기유로와 접하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 상에 형성되는 제10타공부;
    중 셋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부는, 제3타공부, 제6타공부, 제7타공부 또는 제9타공부에 설치되는 외기덕트를 이용하여 실외와 연통되며,
    상기 배기부는, 제4타공부, 제5타공부, 제8타공부 또는 제10타공부에 설치되는 배기덕트를 이용하여 실외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기.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면의 일면에는, 패널 형상의 단열재가 상기 타공홀을 덮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기.
KR1020210100083A 2021-07-29 2021-07-29 전열교환기 KR102417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083A KR102417946B1 (ko) 2021-07-29 2021-07-29 전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083A KR102417946B1 (ko) 2021-07-29 2021-07-29 전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946B1 true KR102417946B1 (ko) 2022-07-07
KR102417946B9 KR102417946B9 (ko) 2022-12-27

Family

ID=82398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083A KR102417946B1 (ko) 2021-07-29 2021-07-29 전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94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343Y1 (ko) * 2002-05-16 2002-08-30 주식회사 에이스랩 급,배기구의 방향이 자유로운 열교환 환기장치
JP2007003087A (ja) * 2005-06-23 2007-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分岐チャンバーおよび換気装置
KR101522934B1 (ko) * 2014-08-18 2015-05-28 주식회사 이지하임 전열교환장치
JP2018021705A (ja) * 2016-08-03 2018-02-08 伸和コントロールズ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2018115822A (ja) * 2017-01-19 2018-07-26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流路切換え装置
JP2020118442A (ja) * 2016-08-26 2020-08-06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343Y1 (ko) * 2002-05-16 2002-08-30 주식회사 에이스랩 급,배기구의 방향이 자유로운 열교환 환기장치
JP2007003087A (ja) * 2005-06-23 2007-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分岐チャンバーおよび換気装置
KR101522934B1 (ko) * 2014-08-18 2015-05-28 주식회사 이지하임 전열교환장치
JP2018021705A (ja) * 2016-08-03 2018-02-08 伸和コントロールズ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2020118442A (ja) * 2016-08-26 2020-08-06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2018115822A (ja) * 2017-01-19 2018-07-26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流路切換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946B9 (ko)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0012B2 (en) Data center air routing system
US9872416B2 (en) Communications product and base station system
WO2019188383A1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6442138B2 (ja) 発熱機器を収容した室の空調システム
KR102417946B1 (ko) 전열교환기
EP3385633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208370101U (zh) 一种机箱结构和网络设备
US20180324983A1 (en) 4-Post Rack with Integrated Intake/Exhaust Regions
JP2017180959A (ja) 空調設備及び全館空調システム
JP2019178825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3070924B1 (ja) 建物の空調構造
TWI362478B (ko)
JP2017098443A (ja) 電気機器収納盤および屋外用電力変換装置盤
US11852371B2 (en) Ventilation device
JP2019178837A (ja) 空気調和機
JP2020035053A (ja) 通信機器用ラック
JP2014048027A (ja) データセンターの空調システム
JP2019178834A (ja) 空気調和機
CN2883748Y (zh) 卡式吊顶内置风扇装置
KR20230016124A (ko) 환풍기
WO2019188384A1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H0242996Y2 (ko)
WO2019188382A1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H024360Y2 (ko)
KR20060132170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