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942B1 - 전후방 분리 및 흡음 가능한 투명 방음판 - Google Patents

전후방 분리 및 흡음 가능한 투명 방음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942B1
KR102417942B1 KR1020220019022A KR20220019022A KR102417942B1 KR 102417942 B1 KR102417942 B1 KR 102417942B1 KR 1020220019022 A KR1020220019022 A KR 1020220019022A KR 20220019022 A KR20220019022 A KR 20220019022A KR 102417942 B1 KR102417942 B1 KR 102417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transparent plate
transparent
protruding support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9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훈
한현주
장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Priority to KR1020220019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9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52Grate-style, e.g. as wall facing
    • E01F8/0058Grate-style, e.g. as wall facing with damping material, e.g. rockwool, s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18Panels, e.g. active sound-absorption panels or noise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방 분리 및 흡음 가능한 투명 방음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음판에 있어서, 직사각 형상을 취하며, 내측에 둘레를 따라 투명판의 테두리를 슬라이드 지지하도록 접촉면을 갖는 돌출지지부가 형성된 방음프레임; 가로 및 세로단을 가지며 상기 방음프레임의 내측 모서리에 각각 위치되고 일측이 상기 투명판의 모서리를 지지하며 상기 돌출지지부의 양쪽에 결합되는 고정구; 상기 방음프레임의 내측에서 일측이 상기 투명판을 지지하며 상기 돌출지지부에 결합되고 표면에 복수개의 흡음공이 형성되어 소음원으로부터 유입되는 소음을 흡수 소멸시키게 되는 흡음빔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지주와 지주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소음 발생시 소음을 차단 및 흡음빔을 통해 흡수 소멸시킬 수 있고, 또한 풍하중 발생시 흡음빔이 투명판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풍하중을 흡수할 수 있음은 물론 투명판의 훼손시 방음벽의 전면 또는 후면 어느 위치에서도 해당 투명판을 간편하게 교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후방 분리 및 흡음 가능한 투명 방음판{Transparent soundproofing panel doing sound absorption and separation of two side}
본 발명은 방음벽에 적용되는 투명 방음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음프레임으로부터 투명판 분리시 투명판을 전후방 어느 위치에서도 분리 가능하고 더불어 소음원으로부터의 소음을 차단과 동시에 흡음 소멸 시킬 수 있는 전후방 분리 및 흡음 가능한 투명 방음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교량, 철도, 주택, 비행장, 학교 등의 가장자리에는 소음이 주변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경로를 차단하거나 흡수하여 소멸시키고자 하기 위해 방음벽이 설치되고 있다.
방음벽은, 소음을 줄임과 동시에 미관 향상과 더불어 쾌적한 도로 환경을 유지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금속, 목재, 합성수지 등 다양한 소재로 적용되고 있으며, "H" 형상의 지주와 지주 사이에 방음판을 상하로 적층시켜서 조립하고 있다.
이는 주로 차량에 의한 소음이 도로 주변의 주택 등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자 하는 것으로 일정한 높이를 갖는 수직 장벽 형태 또는 상단이 곡선을 이루는 수직 곡선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구조의 종래 방음벽은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소음을 흡음 소멸시키는 흡음형 방음벽, 차단 목적의 반사형 방음벽, 일조량 또는 조망권 확보를 위한 투명형 방음벽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최근에는 도로상에 채광을 가능하게 하여 도로의 결빙상태를 방지하고, 적설된 눈을 신속하게 녹여주는 효과와 더불어 시야 확보가 가능한 투명 방음벽이 주로 설치되고 있으며, 상기한 투명 방음벽은 설치의 간편화는 물론 유지 보수가 가능하도록 고려하여 설계된 방음벽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투명 방음벽은, 도로의 길이방향으로 "H"형 지주를 직립 설치하고, 상기 지주와 지주 사이 사이에 투명판이 결합된 방음프레임을 상하로 적층 설치한 것이다.
방음프레임은 강화 유리 또는 합성수재 소재 이루어진 투명판의 사방 테두리를 프레임으로 감싼 형태의 구조가 적용되고 있다.
상기한 투명 방음벽이 고속도로 등에서 소음저감시설로 설치되고 있는 경우 투명 방음벽의 높이가 지상으로부터 대략 20m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때, 하부측 투명판 또는 방음프레임이 손상 등으로 해당 부분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교체가 힘든 문제점이 있어왔다.
즉, 크레인 등의 장비를 통해 지주와 지주 사이의 방음판을 모두 들어낸 후 해당 방음판을 교체하고 또 다시 방음판을 적층시켜야 함에 따라 유지 보수가 힘든 문제점이 있어왔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특허등록 제10-2272087호 등록일 2021.06.28 KR 특허등록 제10-2142346호 등록일 2020.08.11 KR 특허공개 제10-2016-0043163호 공개일 2016.04.21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기술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방음벽 중 손상된 해당 투명판 만을 방음벽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교체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투명판 교체 가능한 투명 방음판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투명 방음벽에서 교체될 투명판 만을 방음벽 전면 또는 후면에서 작업자가 간편하게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 방음판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방음판에 있어서,
직사각 형상을 취하며, 내측 중심에 둘레를 따라 투명판의 테두리를 슬라이드 지지하도록 접촉면을 갖는 돌출지지부가 형성된 방음프레임; 상기 방음프레임의 전후면에서 내측 모서리에 각각 위치되고 일측이 상기 투명판의 모서리를 지지하며 상기 돌출지지부의 양쪽에 결합되는 고정구; 상기 방음프레임의 내측에서 일측이 상기 투명판을 지지하며 상기 돌출지지부에 결합되고 표면에 복수개의 흡음공이 형성되어 소음원으로부터 유입되는 소음을 흡수 소멸시키게 되는 흡음빔을 포함하는 전후방 분리 및 흡음 가능한 투명 방음판을 제시한다.
상기 고정구는, 가로 및 세로단을 갖는 "ㄱ"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고정볼트를 통한 잠금시 상기 돌출지지부 및 상기 투명판에 밀착되면서 진동 방지 기능을 갖는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음빔은, 금속, 고무,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측에 상기 흡음공을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유도하도록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소음 회절을 위한 복수의 격벽이 돌출 형성된 것을 적용 할 수 있다.
상기 격벽에, 소음 안내를 위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흡음빔은, 금속, 고무,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측에 상기 흡음공을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유도하도록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내벽에 복수의 기공이 형성된 우레탄 발포폼이 불규칙 두께르 가지며 채워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흡음빔의 흡음공과 상기 우레탄 발포폼의 구멍과 동축 선상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투명판 테두리를 지지하는 고정구를 고정하는 고정볼트의 나사부가 상기 방음판 프레임의 돌출지지부 측면에 나사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지지부 내측에 한 쌍의 고정구 베이스를 끼워서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단이 상기 돌출지지부의 상단을 감싸며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투명판의 테두리 단부가 탄성 밀착되도록 하며, 상기 고정구의 결합시 상기 투명판을 완충력 있게 고정하는 완충패드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투명판 중 훼손된 투명판 만을 방음벽의 전면 또는 후면 어느위치에서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고 또한 소음원으로부터 유입되는 소음을 일부 차단하고 일부는 흡음하여 소음을 효과적으로 소멸시키는 새로운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지주와 지주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소음 발생시 소음을 차단 및 흡음빔을 통해 흡수 소멸시킬 수 있고, 또한 풍하중 발생시 흡음빔이 투명판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풍하중을 흡수할 수 있음은 물론 투명판의 훼손시 방음벽의 전면 또는 후면 어느 위치에서도 해당 투명판을 간편하게 교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후방 분리 및 흡음 가능한 투명 방음판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후방 분리 및 흡음 가능한 투명 방음판에서 방음프레임의 일부를 절개시켜 전후방 설치 가능함을 보인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일부를 확대시켜 조립과정을 그림으로 표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방음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프레임에 설치되는 흡음빔을 보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흡음빔에서 소재를 달리 적용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 9는 도 7에 따른 흡음빔의 다른 예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됨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따른 흡음빔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따른 흡음빔의 또 다른 예로 내벽에 우레탄폼이 불규칙 표면을 가지며 형성됨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7에 따른 흡음빔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흡음빔이 방음프레임에 설치됨을 보인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설시(說示)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방음벽에 있어 지주에 복수개 배열되는 방음프레임으로부터 투명판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됨은 물론 소음원으로부터 유입되는 소음을 차단과 더불어 흡음 소멸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후방 분리 및 흡음 가능한 투명 방음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후방 분리 및 흡음 가능한 투명 방음판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로에 세워져 설치되는 지주(H)와, 지주와 지주 사이에 배열되는 방음프레임(100)과, 방음프레임(100)에 설치되는 투명판(200)과, 방음프레임(100)에 투명판(200)을 고정하는 고정구(300)와, 방음프레임(100)에 설치되는 흡음빔(4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주(H)는, 공지와 같이 다양한 단면 형상을 취하며 도로의 가장자리 등에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방음프레임(100)은, 직사각 형상을 취하며, 내측에 둘레를 따라 투명판(200)의 테두리를 슬라이드 지지하도록 접촉면을 갖는 돌출지지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방음프레임(100)의 외측은 공지의 결합 구조와 같이 지주(H)의 내측 또는 외측에 직접 고정될 수 있고 또한 별도의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주(H)에 고정될 수 있다.(도 1 내지 도 3 참조)
상기한 방음프레임(100)은, 제조시 압출 가능하며 상하 및 좌우 동일한 4개의 연결바를 조립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돌출지지부(110)는, 상기 연결바의 압출 성형시 함께 형성될 수 있으며, 더불어 상기 투명판(200) 테두리를 지지하는 고정구(300)를 고정하는 고정볼트(350)의 나사부가 상기 방음프레임(100)의 돌출지지부(110) 양쪽 측면에 나사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지지부(110) 내측에 한 쌍의 고정구 베이스(500)를 끼워서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구 베이스(500)는, 상기 돌출지지부(110)의 양쪽면으로 통과되는 고정볼트(350)의 나사부가 안정되게 나사 결합되도록 하게 된다.
고정구(300)는, 가로 및 세로단(310)(320)을 가지며 상기 방음프레임(100)의 내측 모서리에 각각 위치되고 일측이 상기 투명판(200)의 모서리를 지지하며 상기 돌출지지부(110)의 양쪽에 결합되도록 절곡된 형상을 취하고 있다.
예로서, 상기 고정구(300)는, "ㄱ"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상기 투명판(200) 밀착을 위한 패드(330)가 구비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 베이스(500)는, 상기 고정구(300)를 통과하는 고정볼트(350)의 나사부가 양쪽에서 나사 조임될 수 있도록 각각 나사홀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나사홀은 나선방향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 할 것이며, 상기와 같이 나사홀이 형성되는 경우 양쪽에서 고정볼트(350)의 조임시 돌출지지부(110)의 내측에 지지되어 회전이 방지되면서 고정볼트(350)가 풀림없이 안정되게 잠금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지지부(110)에 가이드를 형성시키고 또한 상기 고정구 베이스(500)에 가이드를 형성시켜 상호 끼워지는 형태로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흡음빔(400)은, 상기 방음프레임(100)의 내측에서 일측이 상기 투명판(200)을 지지하며 상기 돌출지지부(110)에 결합되고 표면에 복수개의 흡음공(430)이 형성되어 소음원으로부터 유입되는 소음을 흡수 소멸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흡음빔(400)은, 상기 방음프레임(100)의 내측에서 둘레를 따라 복수개 분할 설치 또는 전체에 걸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도 4,5 및 도 13 참조)
제조시, 금속 및 고무 등의 소재로 상기 흡음빔(400)을 성형시킨 다음 표면에 복수의 흡음공(430)을 형성시키면 된다.
도 8은 흡음빔의 다른 예로 흡음빔(400a)은, 미세 기공 등 흡음성 있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며, 흡음공(430)(431)이 전후면은 물론 상하면을 포함하여 전체에 대해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되어 흡음공(430)(431)을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흡음 소멸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9는 흡음빔의 다른 예로, 흡음빔(400b)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측에 표면의 흡음공(430)(431)을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내측 공간(410b)으로 유도하여 소멸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10은 흡음빔의 다른 예로, 흡음빔(400c)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측에 표면의 흡음공(430)(431)을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내측 공간(410b)으로 유도하고, 상기 공간(410b)에 소음 회절을 위한 복수의 격벽(420c)이 벽면으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돌출 형성도록 하여 유입되는 소음을 순차적 차단을 통해 흡수 소멸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격벽(420c)은 타공판으로 표면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것을 적용할 수있으며, 상기 구멍들은 등간격 배열 형태 또는 내경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여 소음 충돌 유도로 소음이 흡수 소멸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격벽(420c) 사이사이에 흡음재가 채워져 소음이 흡수 소멸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흡음빔의 다른 예로, 흡음빔(400d)은, 금속, 고무,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측에 표면의 흡음공(430)을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유도하도록 빈 공간(410b)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410b)에 복수의 기공이 형성된 우레탄 발포폼(440d)이 채워진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발포폼(440d)은 상기 공간(410b)의 내벽으로 상기 공간(410b)이 유지될 수 있는 조건에서 불규칙 표면을 가지도록 채워질 수 있고, 또한 기공이 많은 경우 전체적으로 채워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음빔(400d)의 흡음공(430)과 상기 우레탄 발포폼(440b)의 구멍(441d)과 동축 선상에 형성되도록 하여 외부 소음이 구멍(441d)을 통해 공간(410b)으로 유도되어 소멸되도록 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도 12는 흡음빔의 다른 예로, 흡음빔(400e)은, 금속, 고무,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측에 표면의 흡음공(430)을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유도하도록 빈 공간(410b)이 형성되고, 외측 및 내측 표면에 일구간 또는 전체 구간에 대해 홈과 돌기로 이루어진 요철부(450e)가 형성되어 외측 표면으로 유입되는 소음을 회절시키도록 하고 또한 상기 공간(410b)으로 유입되는 소음을 흡수 소멸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투명판(200)이 상기 돌출지지부(110)의 단부에 완충패드를 통해 탄성 복원력을 가지며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완충패드는, 일단이 상기 돌출지지부(110)의 상단을 감싸며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투명판(200)의 테두리 단부가 탄성 밀착되도록 하며, 상기 고정구(300)의 결합시 상기 투명판(200)을 완충력 있게 고정하게 된다.
더불어 방음프레임(100)의 변형에도 상기 투명판(200)이 완충패드를 통해 일정폭 유동가능하게 되어 훼손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판은 소음원으로부터의 소음이 투명판(200)으로 유입되면 투명판(200)이 소음을 차단하게 되고 동시에 흡음빔(400)이 소음을 흡수하여 소멸시킬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투명판(200)에 풍압이 발생 또는 온도차가 발생되면 방음프레임의 고정구(300)가 투명판(200)을 안정되게 고정하게 되고 또한 완충패드가 투명판(200)의 유동을 완충력있게 제어하여 투명판(200)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투명판(200)의 훼손에 따른 교체시 전방 또는 후방 어느위치에서도 고정구(300)를 해체시킨후 해당 투명판(200)만을 교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H: 지주
100: 방음프레임
200: 투명판
300: 고정구
330: 패드
350: 고정볼트
400: 흡음빔
430,431: 흡음공
500: 고정구 베이스

Claims (8)

  1. 방음판에 있어서,
    직사각 형상을 취하며, 내측 중심에 둘레를 따라 투명판(200)의 테두리를 슬라이드 지지하도록 접촉면을 갖는 돌출지지부가 형성된 방음프레임(100); 상기 방음프레임의 전후면에서 내측 모서리에 각각 위치되고 일측이 상기 투명판의 모서리를 지지하며 상기 돌출지지부의 양쪽에 결합되는 고정구(300); 상기 방음프레임의 내측에서 일측이 상기 투명판을 지지하며 상기 돌출지지부에 결합되고 표면에 복수개의 흡음공(430)이 형성되어 소음원으로부터 유입되는 소음을 흡수 소멸시키게 되는 흡음빔(400d)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300)는, 가로 및 세로단을 갖는 "ㄱ"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고정볼트를 통한 잠금시 상기 돌출지지부 및 상기 투명판에 밀착되면서 진동 방지 기능을 갖는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음빔(400d)은, 금속, 고무,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측에 상기 흡음공(430)을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유도하도록 빈 공간(410b)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410b)에 복수의 기공이 형성된 우레탄 발포폼(440d)이 채워지며, 상기 흡음빔(400d)의 흡음공(430)과 상기 우레탄 발포폼(440d)의 구멍(441d)이 동축 선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 분리 및 흡음 가능한 투명 방음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 테두리를 지지하는 고정구를 고정하는 고정볼트의 나사부가 상기 방음프레임의 돌출지지부 측면에 나사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지지부(110) 내측에 한 쌍의 고정구 베이스(500)를 끼워서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 분리 및 흡음 가능한 투명 방음판.
  8.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돌출지지부의 상단을 감싸며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투명판의 테두리 단부가 탄성 밀착되도록 하며,
    상기 고정구의 결합시 상기 투명판을 완충력 있게 고정하는 완충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 분리 및 흡음 가능한 투명 방음판.
KR1020220019022A 2022-02-14 2022-02-14 전후방 분리 및 흡음 가능한 투명 방음판 KR102417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022A KR102417942B1 (ko) 2022-02-14 2022-02-14 전후방 분리 및 흡음 가능한 투명 방음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022A KR102417942B1 (ko) 2022-02-14 2022-02-14 전후방 분리 및 흡음 가능한 투명 방음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942B1 true KR102417942B1 (ko) 2022-07-06

Family

ID=82400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9022A KR102417942B1 (ko) 2022-02-14 2022-02-14 전후방 분리 및 흡음 가능한 투명 방음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94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436B1 (ko) * 2011-06-21 2012-06-01 지케이주식회사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패널
KR101273885B1 (ko) * 2012-12-20 2013-06-17 주식회사 현대표지 탈 부착식 회절형 투명 방음판의 프레임
KR20130142842A (ko) * 2012-06-20 2013-12-30 우영준 코너브래킷 결합형 출입문 중창용 프레임
KR20160043163A (ko) 2014-10-10 2016-04-21 주식회사 한국로드산업 양면 분리 가능한 방음판
KR101998841B1 (ko) * 2018-12-06 2019-07-10 강보경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
KR102142346B1 (ko) 2019-09-06 2020-08-11 비승산업(주) 분리형 방음벽 구조
KR102272087B1 (ko) 2021-03-16 2021-07-02 주식회사 빌트이엔씨 투명패널 교체형 방음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436B1 (ko) * 2011-06-21 2012-06-01 지케이주식회사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패널
KR20130142842A (ko) * 2012-06-20 2013-12-30 우영준 코너브래킷 결합형 출입문 중창용 프레임
KR101273885B1 (ko) * 2012-12-20 2013-06-17 주식회사 현대표지 탈 부착식 회절형 투명 방음판의 프레임
KR20160043163A (ko) 2014-10-10 2016-04-21 주식회사 한국로드산업 양면 분리 가능한 방음판
KR101998841B1 (ko) * 2018-12-06 2019-07-10 강보경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
KR102142346B1 (ko) 2019-09-06 2020-08-11 비승산업(주) 분리형 방음벽 구조
KR102272087B1 (ko) 2021-03-16 2021-07-02 주식회사 빌트이엔씨 투명패널 교체형 방음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516B1 (ko) 전면 방음판 교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유지 관리 공법
KR200485826Y1 (ko) 반사형 방음벽의 탈,부착식 방음판 및 방음패널 결합구조
KR101406099B1 (ko) 방음판 고정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방음벽.
KR101585223B1 (ko) 슬라이드식 유지보수가 용이한 투명 방음시설
KR101475028B1 (ko) 패널 후방교체형 방음벽
KR100759863B1 (ko) 유지 보수형 방음벽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KR101992939B1 (ko) 부분 유지 보수가 용이한 방음패널 구조
KR102021487B1 (ko) 터널 방음벽의 루프용 방음패널 고정장치
KR101431593B1 (ko) 방음벽용 투명 방음판
KR101001032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터널
KR102036542B1 (ko) 투명 방음 패널
KR101057397B1 (ko) 탈부착 기능을 가진 투명형 흡음유닛
KR20130083327A (ko) 방음터널용 투명판 고정금구
KR20170123792A (ko) 방음판
KR102417942B1 (ko) 전후방 분리 및 흡음 가능한 투명 방음판
KR102123530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흡음형 투명방음판 어셈블리
KR100550107B1 (ko) 방음구조물
KR102082076B1 (ko) 투명 방음판의 방음패널 결합장치
KR102461352B1 (ko) 유지 보수형 투명방음판
KR102272087B1 (ko) 투명패널 교체형 방음판
KR102541352B1 (ko) 반사흡음형 투명방음패널 어셈블리
KR100790804B1 (ko) 방음판
KR100994957B1 (ko) 방음벽용 하부커버
KR102426377B1 (ko) 탈부착 투명 방음판용 하중 전이 방지용 지주
KR20100011032U (ko) 탈부착 기능을 가진 투명형 흡음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