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346B1 - 분리형 방음벽 구조 - Google Patents

분리형 방음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346B1
KR102142346B1 KR1020190111091A KR20190111091A KR102142346B1 KR 102142346 B1 KR102142346 B1 KR 102142346B1 KR 1020190111091 A KR1020190111091 A KR 1020190111091A KR 20190111091 A KR20190111091 A KR 20190111091A KR 102142346 B1 KR102142346 B1 KR 102142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guide plate
sound insulat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희연
Original Assignee
비승산업(주)
장희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승산업(주), 장희연 filed Critical 비승산업(주)
Priority to KR1020190111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음판(100)과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된 프레임을 연결하는 방음판 분리형 방음벽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방음판(100)이 안착되되, 프레임과 결합되는 가이드판(200); 및 상기 방음판(100)과 프레임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부재(300);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판(200)은, 상기 프레임과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방음판(100)이 탈부착 가능한 가이드판(200)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방음판 분리형 방음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형 방음벽 구조{DETACHABLE SOUNDPROOF WALL STRUCTURE}
본 발명은 분리형 방음벽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방음벽이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보다 용이한 교체작업이 이루어지는 방음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 에 도시된 종래의 방음벽은 소위 "투명형 방음벽"(5)으로서, 이는 지면에 콘크리트 타설 등에 의하여 고정된 도로구조물(1)과, 상기 도로구조물(1)에 고정되되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지주(2)들 및 서로 인접한 두 지주들 사이에 개재된 방음패널(3)을 포함한다.
상기 방음패널(3)은 광투과성으로 이루어지는 방음판(3a) 및 상기 방음판(3a)의 둘레부분을 지지하는 프레임(3b)을 포함한다. 상기 방음판(3a)은 유리,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투명하거나 또는 녹색 등의 색으로 색이 입혀지기도 한다. 이하 후술되는, 본 명세서에서 "방음판"이라 함은 반드시 무색투명한 것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방음판 자체를 통해서 빛이 투과할 수 있는 것이면 착색된 것도 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본다.
상기 방음판(3a)은 전술된 바와 같이 유리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판이므로, 그 전체적인 강도 및 강성이 금속에 비하여 약하고, 따라서 금속으로 제작되는 프레임(3b)을 매개로 하여 지주(2)에 장착되어 왔다.
상기 방음패널(3)은 일반적으로 상하로 복수개가 배치되는 적층구조로 형성되기 마련이며, 필요에 따라 상기 방음패널(3)의 방음판(3a)에 대한 교체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종래에는 일부의 방음판(3a)에 대한 교체 작업 시에, 교체대상 방음판(3a)의 상측에 배치된 다른 방음판(3a) 및 프레임(3b)을 모두 분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방음패널(3)은 방음판(3a) 및 프레임(3b)이 서로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약하여 교체가 빈번한 방음판(3a)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프레임(3b)까지도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08491호 (“방음벽”)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06278호 (“교체가 간편한 핀 걸이형 방음벽”)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방음벽의 방음판 및 프레임이 가이드판을 통해 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교체가 이루어지는 방음판 분리형 방음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음판(100)과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된 프레임을 연결하는 방음판 분리형 방음벽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방음판(100)이 고정되되, 프레임과 결합되는 가이드판(200); 및 상기 방음판(100)과 프레임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부재(300);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판(200)은, 상기 프레임과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폐부재(300)는, 상기 방음판(100)의 외측과 접하는 가압부(310) 및 상기 가압부(310)와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삽입홈(121) 상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의 일부가, 상기 방음판(100)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상기 프레임의 일부에 상기 삽입홈(1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판(200)을 프레임 상에 고정하는 체결부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판(200)은, 상기 방음판(100)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돌출부(210) 및 제2돌출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돌출부(210) 및 제2돌출부(220)가 형성하는 공간부(230) 상에 체결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판(200)은, 상기 가이드판(200)이 고정되는 위치가 가이드 되도록, 상기 가이드판(200)의 공간부(230) 및 상기 프레임에 각각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400)는 상기 가이드판(200)의 공간부(230) 및 상기 프레임 각각의 체결홈이 서로 연통되면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는 가이드홈(122)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판(200)의 선단부(201)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판(200)의 일부 및 상기 프레임의 일부가 상기 방음판(100)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돌출된 상기 가이드판(200)의 일부 및 상기 프레임의 일부 사이에 상기 방음판(100)이 배치되며, 상기 밀폐부재(300)는, 상기 방음판(100)과 돌출된 상기 프레임의 일부 사이를 밀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방음판(100)과 돌출된 상기 가이드판(200)의 일부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 상에서 탈부착되는 가이드판에 방음판이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방음판에 대한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에, 상기 가이드판을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여 보다 용이한 교체가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음판의 일측은 밀폐부재를 통해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방음판의 타측은 실링부재를 통해 상기 가이드판 상에 고정됨으로써, 방음성능이 유지됨과 더불어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차량이 주행되는 도로와 상반된 위치에 상기 가이드판이 고정되면 교통통제 없이도 방음판의 교체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판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가이드판과 프레임 상에 형성된 체결홈을 통해, 교체 작업 시에 상기 가이드판의 위치가 올바르게 배치되도록 제공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음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의 우측면도의 요부를 확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단프레임 상에 가이드판이 삽입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상에 상기 가이드판의 체결위치가 결정되어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된 가이드판에 방음판이 삽입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재 및 실링부재가 시공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판 분리형 방음벽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인 방음판 분리형 방음벽 구조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방음벽의 정면도를, 도 3은 방음벽의 우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음벽은, 길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지주(10)와, 상기 복수의 지주(10) 사이사이마다 설치되는 방음패널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방음패널은 방음판(100)과, 상기 방음판(10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상단프레임(110) 및 하단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음패널은 상하로 복수개가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방음패널의 우측면도를 나타낸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음벽 구조는, 상기 방음판(100)을 고정하되 상기 방음판(100)을 상단프레임(110) 또는 하단프레임(120)에 연결하는 가이드판(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음판(100)은 상하를 따라 높이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방음판(100)의 상단에는 상단프레임(110)이 연결되고, 상기 방음판(100)의 하단에는 하단프레임(12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200)은 상기 방음판(100)의 상하단에 각각 배치되되, 상기 방음판(100)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판(200)에 고정된 방음판(100)과 상단프레임(110) 또는 하단프레임(120) 사이의 유격 공간을 밀폐하는 밀폐부재(300), 상기 가이드판(200)을 상기 상단프레임(110) 또는 하단프레임(120) 상에 체결하는 체결부재(400) 및 상기 방음판(100)을 상기 가이드판(200)에 고정 결합하되 유격공간을 채워 방음성능이 유지되도록 제공되는 실링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방음벽 구조는, 상기 상단프레임(110) 및 하단프레임(120) 중 어느 하나에 적용되거나, 모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후술되는 도면에서는 이 중의 하나의 프레임을 중심으로 보다 명확하게 구성들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인 방음판 분리형 방음벽 구조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도 4는 방음벽의 우측면도의 요부를 확대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단프레임(120)의 전방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판(200)은, 상기 하단프레임(120)의 후방 상면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200)은 상측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210) 및 제2돌출부(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돌출부(210) 및 제2돌출부(220)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제1돌출부(210)가 전방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음판(100)은 상대적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제1돌출부(210)와, 상기 하단프레임(120)의 돌출된 전방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방음판(100) 하단의 전후방이 상기 하단프레임(120) 및 제1돌출부(210)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페부재(300)는, 상기 방음판(100)의 외면에 접하는 가압부(310) 및, 상기 가압부(310)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하단프레임(120)의 돌출된 전방에 형성된 삽입홈(121)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단프레임(120)의 삽입홈(121)은 홈의 입구보다 내측의 홀의 직경이 넓도록 형성되되, 상기 삽입돌기(320)는 직경이 가변할 수 있는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구성되어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압부(310)는 상기 방음판(100)의 하단 전방면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200)은, 서로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는 상기 제1돌출부(210) 및 제2돌출부(220) 사이에 공간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400)는 상기 공간부(230) 상의 가이드판(200) 면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판(200)과 하단프레임(120)을 서로 체결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인 방음판 분리형 방음벽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도 5 내지 도 8은 시공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차적인 시공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단프레임(120)은 전방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되, 돌출부에는 후방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내측으로 깊이가 형성되는 가이드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홈(122)은 상기 후방의 상면에 상기 가이드판(200)이 놓이면, 상기 가이드판(200)의 전방에 형성되는 선단부(201)가 상기 하단프레임(120)의 가이드홈(122)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판(200)의 공간부(230) 측 상면에는 체결홈(20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하단프레임(120) 또한 상기 가이드판(200)의 체결홈(202)과 대응하는 크기의 체결홈(123)이 후방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판(200)이 상기 하단프레임(120)의 후방 측 상면을 따라 전방으로 이송되어, 상기 가이드판(200)의 체결홈(202)과 상기 하단프레임(120)의 체결홈(123)이 서로 연통되는 위치로 정렬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판(200)의 체결홈(202)과 상기 하단프레임(120)의 체결홈(123)이 서로 연통되도록 정렬되면, 본 발명의 체결부재(400)가 상기 가이드판(200)의 체결홈(202)을 관통하여 상기 하단프레임(120)의 체결홈(123)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400)와 체결홈(202,123)은 도면상에서 관통되는 방향인 좌우 측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되면, 상기 가이드판(200)은 선단부(201)가 상기 가이드홈(122)에 삽입되기 때문에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재(400)를 통해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것도 제한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판(200)의 제1돌출부(210)와, 상기 하단프레임(120)의 전방 돌출부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공간에 상기 방음판(100)의 하단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판(200)에는 상기 제1돌출부(210) 및 하단프레임(120)의 전방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한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방음판(100)은 상기 제1돌출부(210) 및 제한부(240) 사이에 하단이 삽입될 수 있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210) 및 제한부(240) 사이에 상기 방음판(100)의 하단이 삽입되면, 상기 방음판(100)의 하단의 후면과 상기 제1돌출부(210) 사이에는 실링부재(50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재(500)는, 합성수지나 실리콘, 에폭시 등으로 제조되어 유체가 유출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방음판(100)을 상기 가이드판(20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한부(240)가 상측으로 돌출된 높이는 상기 하단프레임(120)의 전방 돌출부 및 제1돌출부(210)가 상측으로 돌출된 높이보다 낮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한부(240) 및 방음판(100) 하단의 전방면 사이에도 상기 실링부재(50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페부재(300)는 가압부(310)가 상기 방음판(100)의 하단에 접하고 상기 삽입돌기(320)가 상기 하단프레임(120)의 삽입홈(121)에 삽입 고정되어, 서로 이격된 공간을 밀폐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페부재(300)는 좌우측으로 연장된 가스켓 형태로 이루어져 방음벽의 방음성능이 유지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시공방법은 본 발명인 방음판 분리형 방음벽 구조를 보다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한 일 실시예일 뿐, 해당 시공방법으로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다른 예로, 본 발명은 상기 방음판(100)이 상기 가이드판(200)에 실링부재(500)를 통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판(200)이 프레임 상에 밀폐부재(300) 및 체결부재(400)를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단프레임(110)에도 본 발명의 가이드판(20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의 경우에는 상하 반전된 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단프레임(110) 및 하단프레임(120)은 전방이 돌출된 형태가 아닌 후방이 돌출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지주
100 : 방음판
110 : 상단프레임
120 : 하단프레임
121 : 삽입홈
122 : 가이드홈
123 : 체결홈
200 : 가이드판
201 : 선단부
202 : 체결홈
210 : 제1돌출부
220 : 제2돌출부
230 : 공간부
240 : 제한부
300 : 밀폐부재
310 : 가압부
320 : 삽입돌기
400 : 체결부재
500 : 실링부재

Claims (6)

  1. 방음판(100)과 상단 또는 하단에 배치된 프레임을 연결하는 분리형 방음벽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방음판(100)을 고정하되, 프레임과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판(200);
    상기 방음판(100)과 프레임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부재(300);
    상기 가이드판(200)과 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부재(400); 및
    상기 방음판(100)과 가이드판(200)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500)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방음판(100)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전방이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가이드판(200)의 체결홈(202)과 대응하도록 후방의 상면에 형성되는 체결홈(123)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측면에 형성되는 삽입홈(121)과, 프레임 후방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내측으로 깊이가 형성되는 가이드홈(122)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판(200)은,
    상기 방음판(100)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돌출부(210) 및 제2돌출부(220)와, 상기 제1돌출부(210)와 제2돌출부(2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230)와,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122)에 삽입되는 선단부(201)와, 상기 공간부(230)의 상면에 형성되는 체결홈(202)과,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부(210) 및 프레임의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한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밀폐부재(300)는,
    상기 방음판(100)의 외면에 접하는 가압부(310)와, 상기 가압부(310)와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삽입홈(121)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2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400)는,
    상기 가이드판(200)의 체결홈(202) 및 상기 프레임의 체결홈(123)을 관통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가이드판(200)과 프레임을 체결하며,
    상기 실링부재(500)는,
    상기 방음판(100)의 후면과 상기 제1돌출부(210) 사이 및 상기 제한부(240)와 방음판(100)의 전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판(200)이 상기 프레임의 상면을 따라 전방으로 이송되어, 상기 가이드판(200)의 선단부(201)가 상기 프레임의 가이드홈(122)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판(200)의 체결홈(202)과 상기 프레임의 체결홈(123)이 서로 연통되는 위치로 정렬되면 상기 체결부재(400)가 상기 가이드판(200)과 프레임을 체결하며,
    상기 가이드판(200)은 선단부(201)가 상기 프레임의 가이드홈(122)에 삽입되기 때문에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체결부재(400)를 통해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방음판(100)은 상기 제1돌출부(210) 및 제한부(240)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방음벽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11091A 2019-09-06 2019-09-06 분리형 방음벽 구조 KR102142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091A KR102142346B1 (ko) 2019-09-06 2019-09-06 분리형 방음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091A KR102142346B1 (ko) 2019-09-06 2019-09-06 분리형 방음벽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346B1 true KR102142346B1 (ko) 2020-08-11

Family

ID=72048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091A KR102142346B1 (ko) 2019-09-06 2019-09-06 분리형 방음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3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409B1 (ko) * 2020-12-10 2021-07-01 주식회사 태원산업개발 경사형 투명 방음패널
KR102275201B1 (ko) * 2020-10-14 2021-07-08 한인근 소음 및 빛 반사 방지를 위한 기능을 갖는 방음패널
KR102417942B1 (ko) 2022-02-14 2022-07-06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전후방 분리 및 흡음 가능한 투명 방음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025B1 (ko) * 2006-10-24 2008-02-12 주용산업주식회사 발광용 홀더부재를 갖는 전방분리형 투명방음판
KR100908491B1 (ko) 2007-06-28 2009-07-21 주식회사 태건 방음벽
KR101548642B1 (ko) * 2014-04-23 2015-08-31 신영기술개발(주) 분리형 방음판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시공 방법
KR20170123792A (ko) * 2016-04-29 2017-11-09 에이치엔테크 주식회사 방음판
KR101906278B1 (ko) 2018-06-25 2018-10-10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교체가 간편한 핀 걸이형 방음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025B1 (ko) * 2006-10-24 2008-02-12 주용산업주식회사 발광용 홀더부재를 갖는 전방분리형 투명방음판
KR100908491B1 (ko) 2007-06-28 2009-07-21 주식회사 태건 방음벽
KR101548642B1 (ko) * 2014-04-23 2015-08-31 신영기술개발(주) 분리형 방음판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시공 방법
KR20170123792A (ko) * 2016-04-29 2017-11-09 에이치엔테크 주식회사 방음판
KR101906278B1 (ko) 2018-06-25 2018-10-10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교체가 간편한 핀 걸이형 방음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201B1 (ko) * 2020-10-14 2021-07-08 한인근 소음 및 빛 반사 방지를 위한 기능을 갖는 방음패널
KR102271409B1 (ko) * 2020-12-10 2021-07-01 주식회사 태원산업개발 경사형 투명 방음패널
KR102417942B1 (ko) 2022-02-14 2022-07-06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전후방 분리 및 흡음 가능한 투명 방음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346B1 (ko) 분리형 방음벽 구조
KR102032809B1 (ko) 바닥신호등
CN206708858U (zh) 背光模组和显示装置
CN204331228U (zh) 液晶显示装置
KR102275228B1 (ko) 타일형 표시 장치
KR102600119B1 (ko) 카메라 모듈
KR200447585Y1 (ko) 방음벽용 조립식 패널 구조
CN110908165B (zh) 一种显示模组及电子装置
CN104777668B (zh) 显示装置
TW200700834A (en) Light guiding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KR101057397B1 (ko) 탈부착 기능을 가진 투명형 흡음유닛
KR102303805B1 (ko)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JP2015216323A (ja) 電気機器収納用箱の内部排水構造
KR101010046B1 (ko) 지붕패널 고정프레임
KR102158537B1 (ko) 이중 프레임 구조를 갖는 전면 보수 방음벽 구조
KR200482936Y1 (ko) 고차음 방음판 및 이를 갖는 방음벽
KR20180071861A (ko) 도어의 세로프레임과 유리부재의 결합구조
KR102152609B1 (ko) 방음부재 교체가 용이한 유지보수형 방음패널
KR102043968B1 (ko)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6377B1 (ko) 탈부착 투명 방음판용 하중 전이 방지용 지주
CN210166938U (zh) 带透镜的交通诱导屏
KR102475534B1 (ko) 하중저감 기능을 갖는 분리형 방음벽
KR20100011032U (ko) 탈부착 기능을 가진 투명형 흡음유닛
KR10225391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210130046U (zh) 一种led数码管散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