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748B1 -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748B1
KR102417748B1 KR1020210004734A KR20210004734A KR102417748B1 KR 102417748 B1 KR102417748 B1 KR 102417748B1 KR 1020210004734 A KR1020210004734 A KR 1020210004734A KR 20210004734 A KR20210004734 A KR 20210004734A KR 102417748 B1 KR102417748 B1 KR 102417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illaries
oil
compressor
unit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용
박정훈
김태경
최세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4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748B1/ko
Priority to PCT/KR2022/000384 priority patent/WO202215440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2Lubrication
    • F04B39/0223Lubrication characterised by the compressor type
    • F04B39/023Hermetic compr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2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2Lubrication
    • F04B39/0207Lubrication with lubrication contro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2Lubrication
    • F04B39/0284Constructional details, e.g. reservoirs in the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1/00Testing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24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using valves controlling pressure or flow rate, e.g. discharge valves or unloa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28Safety arrangements;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1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ement of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오일 및 냉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용체가 수용된 케이싱 내의 내부공간에 복수의 모세관을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모세관에 상기 수용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압력을 조절하고, 압력 조절에 따른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압력을 측정하여, 압력 측정 결과를 근거로 하여 오일의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표면 장력이 기설정된 기준 범위 내에 해당되도록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APPARATUS FOR SENSING OIL OF COMPRESSOR AND COMPRESSOR HAVING THIS}
실시예는 압축기에 수용된 오일 상태를 감지하는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밀폐된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구동력을 발생하는 전동 기구부와 그 전동 기구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기체를 압축하는 압축 기구부가 함께 구비되는 밀폐형 압축기가 구비되어 있다.
밀폐형 압축기의 케이싱에는 압축 기구부를 윤활하거나 또는 전동 기구부를 냉각하도록 일정량의 오일이 채워져 있고, 이 오일의 일부는 압축 기구부에 의해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면서 항상 일정량이 유지될 수 있도록 조절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냉동사이클로 유출된 오일의 일부가 여러 요인에 의해 회수되지 못할 수도 있고 이로 인해 압축기가 악조건에서 구동되면서 압축 기구부 등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압축기는 항상 케이싱의 내부에 적정량의 오일이 유지되어야 압축기의 수명 및 작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압축기의 구조가 점점 복잡해지고 대형 에어컨이나 시스템 등에 압축기가 사용되게 되면서, 오일 및 작동 유체가 흐르게 되는 배관이 길어지는 등의 원인으로 인해서 압축기 내부의 유면 관리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특히, 배관이 길어지는 경우 배관 내에 잔류하는 오일의 양이 많아지게 되므로 초기에 적정량의 오일을 공급한다 하더라도 작동 중에 저유공간 내에 저장되는 오일의 양은 불규칙적으로 크게 변화하게 된다.
이로 인해, 지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저유공간 내부의 오일의 레벨을 확인할 필요가 있고, 확인 결과 오일의 레벨이 적정 수준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압축기 내부로 오일을 모으기 위한 오일 회수 운전을 실시하여야 한다. 오일의 레벨은 통상적으로는 압축기 케이싱에 투명창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서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어서 실제로는 오일의 레벨에 관계없이 주기적으로 오일 회수 운전을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실제로 오일의 레벨이 충분한 경우에도 강제적으로 오일 회수 운전을 실시하게 될 가능성이 있고, 이로 인해 불필요한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므로 비효율적이다.
이를 감안하여, 압축기 케이싱에 별도의 유면센서를 설치하고 그 유면센서를 통해 감지된 오일의 레벨에 따라 오일 회수 운전을 수행하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불필요한 오일 회수 운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에너지 소모량을 줄이고 의도한 용도로 압축기가 운전되는 시간을 늘릴 수 있어 효율적이다. 그러나, 유면센서를 이용한 오일 감지의 경우, 센서가 구비된 위치에서만 오일의 수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유면센서의 특성상 오일의 유면 높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으며, 오일의 물성을 측정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20-0054029(2020.05.19 공개)(이하, 선행문헌이라 칭한다)에는 이러한 종래기술의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 복수의 모세관의 압력 측정 결과를 근거로 오일의 상태를 검출하는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복수의 모세관의 압력 측정 결과를 이용하는 기술은 모세관의 재질 및 조도에 따라 측정 결과의 정확도가 보장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테면, 케이싱 내부의 유동이 모세관에서 발생하는 버블 압력에 영향을 끼치거나, 오일의 유입을 방해하게 되어, 압력 측정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또한, 모세관이 케이싱 내부의 오일에 완전 노출된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모세관의 내구성이 취약해지게 되는 약점이 있었다.
이처럼 상기 선행문헌은 오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방법만 제시하였을 뿐, 안정적이고 정확한 압력 측정을 위한 기술은 제시하지 못하였다. 즉, 종래기술은 압력 측정의 정확성 및 안정성에서 한계가 있었으며,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한계를 개선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명세서는 안정적이고 정확한 압력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및 이를 포함한 압축기의 실시예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모세관이 적절/적합하게 구비될 수 있는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및 이를 포함한 압축기의 실시예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오일 및 냉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용체가 수용된 케이싱 내의 내부공간에 복수의 모세관을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모세관에 상기 수용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압력을 조절하고, 압력 조절에 따른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압력을 측정하여, 압력 측정 결과를 근거로 하여 오일의 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표면 장력이 기설정된 기준 범위 내에 해당되도록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술적 특징은,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또는 이를 구비하는 압축기에 적용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의 실시예는, 오일 및 냉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용체가 수용된 압축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체와 접촉되는 복수의 모세관, 상기 케이싱의 일측면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상기 케이싱의 일측면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복수의 모세관과 연결되는 터미널부, 상기 터미널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모세관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모세관에 상기 수용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터미널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모세관 및 상기 조절부와 연결되어, 상기 조절부의 압력 조절에 따른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압력을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근거로 상기 수용체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표면 장력이 기설정된 기준 범위 내에 해당되도록 상기 조절부의 압력 조절을 제어한다.
또한, 압축기의 실시예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형성되어 오일이 수용되는 오일 저장부 및 상기 오일 저장부 내에 수용된 상기 오일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장치는, 오일이 수용된 압축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오일과 접촉되는 복수의 모세관, 상기 케이싱의 일측면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상기 케이싱의 일측면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복수의 모세관과 연결되는 터미널부, 상기 터미널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모세관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모세관에 상기 오일이 유입되도록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터미널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모세관 및 상기 조절부와 연결되어, 상기 조절부의 압력 조절에 따른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압력을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근거로 상기 오일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표면 장력이 기설정된 기준 범위 내에 해당되도록 상기 조절부의 압력 조절을 제어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모세관은,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모세관은, 일부분이 상기 터미널부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부와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모세관은, 적어도 외경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상기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모세관은, 내경이 1[mm] 이하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모세관은, 외경이 내경의 1.2배 이상, 내경의 3배 이하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터미널부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이 연결되는 단면에서, 하나 이상의 측부에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모세관에 생성된 버블의 크기에 따라 상기 조절부의 압력 조절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에 버블이 생성될 때까지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압력이 증가되도록 상기 조절부의 압력 조절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에 버블이 생성된 후, 상기 버블이 제거될 때까지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압력이 감소되도록 상기 조절부의 압력 조절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압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목표 압력치를 판단하고, 판단한 목표 압력치에 따라 상기 조절부의 압력 조절을 제어할 수 있다.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및 이를 포함한 압축기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모세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표면 장력이 기설정된 기준 범위 내에 해당되도록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모세관에서 수용체의 유입이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압력 측정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오일의 상태 검출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및 이를 포함한 압축기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모세관이 유리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모세관의 조도가 압력 측정을 위한 최적의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및 이를 포함한 압축기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모세관의 규격이 특정 기준에 만족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모세관의 규격이 압력 측정을 위한 최적의 기준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및 이를 포함한 압축기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모세관이 터미널부에 일부 삽입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모세관의 내구성 및 안정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및 압축기가 실시되는 압축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a는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른 압축기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일부분(P)을 확대한 예시도 1.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일부분(P)을 확대한 예시도 2.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모세관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모세관의 구비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a는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부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6b는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부의 케이싱 관통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6c는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부와 모세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6d는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부와 복수의 모세관의 연결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모세관의 직경에 따른 표면장력의 변화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8a 및 도 8b는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펌프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a 내지 도 9c는 실시예에 따른 오일의 상태 검출의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이하, 검출장치라 칭한다)는, 압축기에 수용된 오일을 검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는, 밀폐형 압축기일 수 있다.
상기 압축기는, 왕복동식, 로터리식, 스크롤식 또는 베인식 압축기일 수 있다.
상기 검출장치가 오일을 검출하게 되는 상기 압축기의 일 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의 내부공간에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전동 기구부(12)가 설치되고, 상기 전동 기구부(12)의 상측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 기구부(1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동 기구부(12)와 상기 압축 기구부(13)는, 크랭크축(14)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전동 기구부(12)의 회전력이 상기 압축 기구부(13)로 전달되어, 상기 압축 기구부(13)가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1)은 상하 양단이 개구된 원통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11)의 하부공간에는 오일이 수용되는 오일 저장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압축기의 경우, 상기 검출장치는, 상기 케이싱(11)의 내부공간 중 하부공간에 형성된 상기 오일 저장부(15)에 수용된 오일을 검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검출장치는 또한, 오일 외에도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냉매도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검출장치는,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오일 및 냉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용체를 검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검출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 및 냉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용체가 수용된 상기 압축기(10)의 케이싱(11)의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체와 접촉되는 복수의 모세관(111), 상기 케이싱(11)의 일측면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상기 케이싱(11)의 일측면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과 연결되는 터미널부(112), 상기 터미널부(112)를 통해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에 상기 수용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부(120) 및 상기 터미널부(112)를 통해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및 상기 조절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조절부(120)의 압력 조절에 따른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을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근거로 상기 수용체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및 상기 터미널부(112)는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상기 터미널부(112)와 연결됨으로써 센서부(110)를 이루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검출장치(100)는, 상기 센서부(110), 상기 조절부(120) 및 상기 검출부(130)를 포함하여, 상기 케이싱(11)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기 수용체의 상태를 검출한다.
상기 검출장치(100)가 상기 케이싱(11)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기 수용체의 상태를 검출하는 구체적인 실시 예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상기 검출장치(100)에서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및 상기 터미널부(112)를 포함하는 상기 센서부(11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1)의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체와 접촉되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터미널부(112)와 연결되어, 상기 수용체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상기 케이싱(11)의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체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을 통해 상기 수용체의 상태를 센싱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상기 케이싱(11)의 일측면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상기 케이싱(11)의 일측면에 삽입 결합되는 상기 터미널부(11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상기 터미널부(112)와 연결되는 형태는, 도 3b 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3b 및 도 3c는 도 3a에서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및 상기 터미널부(112)가 연결되는 상기 케이싱(11)의 일측면 및 내부공간 부분(P)을 확대한 일 예시도로,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및 상기 터미널부(112)가 연결되는 형태는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예시와 다른 형태로도 연결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케이싱(11)의 일측면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케이싱(11)의 일측면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상기 케이싱(11)의 외부(O)에서 상기 내부공간(I)으로 삽입 결합된 상기 터미널부(112)와 상기 내부공간(I)에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케이싱(11)의 일측면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터미널부(112)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수용체의 유면에 대해 수평이 되는 형태로 상기 수용체와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상기 수용체의 유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상기 수용체에 가로 방향으로 접촉되어, 일정한 높이에서 상기 수용체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케이싱(11)의 일측면과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케이싱(11)의 일측면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상기 케이싱(11)의 외부(O)에서 상기 내부공간(I)으로 삽입 결합된 상기 터미널부(112)와 상기 내부공간(I)에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케이싱(11)의 일측면과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터미널부(112)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수용체의 유면에 수직이 되는 형태로 상기 수용체와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상기 수용체의 유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상기 수용체에 세로 방향으로 접촉되어, 서로 다른 높이에서 상기 수용체와 접촉될 수 있다.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상기 내부공간에서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터미널부(112)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최소 면적의 구조로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최소 면적의 구조로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수용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 조절 및 이에 따른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대상에 해당하는 유체와 접촉되어, 일부가 상기 유체에 잠기는 모세관 형태의 센싱 수단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상기 유체와 접촉된 관 내의 압력 변화를 근거로 유체의 상태를 센싱하게 되는 센싱 수단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일정 길이(x[mm])로 형성된 유입구가 상기 유체와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는, 바람직하게는 접촉된 유체가 압력차에 의해 유입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유리 모세관일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유리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유리 재질의 조도로 상기 수용체와 접촉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체의 유입 과정에서의 버블 발생 및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압력 측정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유리관을 가열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또한, 레이져 가공 방식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을 가열 방식 또는 레이져 가공 방식으로 제작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모듈 형태로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상기 수용체가 수용된 상기 케이싱(11)의 내부공간에 상기 수용체와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서로 간에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상기 케이싱(11)의 내부공간에 상기 수용체와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각각은, 복수의 형태 중 어느 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2개가 구비된 경우, 하나는 제 1 형태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 또한 상기 제 1 형태로 형성되어 2개가 모두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다른 하나가 제 2 형태로 형성되어 2개가 서로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3개가 구비된 경우, 하나는 제 1 형태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제 2 형태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하나는 제 3 형태로 이루어져 3개가 서로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3개가 모두 상기 제 1 형태로 형성되어 3개가 모두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게 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이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형태 중 어느 한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각각은, 각각이 서로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각이 서로 다른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규격은,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길이, 폭, 유입구의 직경 또는 형태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규격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각각의 규격이 서로 달라짐으로 인해 모세관 내부의 압력이 서로 달라지게 되어, 상기 측정 결과가 서로 달라지게 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각각의 유입 결과가 서로 달라지게 되면, 상기 수용체의 상태 검출의 근거가 되는 상기 측정 결과의 인자가 다양해지게 됨으로 인해, 각각의 측정 결과의 분석을 통해 상기 수용체의 상태 검출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수용체의 다양한 상태 검출이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체와 접촉되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상기 케이싱(11)의 저면과 수평 또는 수직이 되는 형태로 상기 케이싱(11)의 내부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상기 케이싱(11)에 수용된 상기 수용체의 표면과 수평 또는 수직이 되는 형태로 상기 케이싱(11)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수용체와 접촉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상기 케이싱(11)의 저면과 수평이 되는 형태로 상기 케이싱(11)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게 되거나,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1)의 저면과 수직이 되는 형태로 상기 케이싱(11)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상기 케이싱(11)의 저면과 수평 또는 수직이 되는 형태로 상기 케이싱(11)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수용체의 상태를 검출을 위한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설치, 또는 상기 수용체의 상태를 검출을 위한 구성 및 설계가 간편 및 용이해지게 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일정 높이에서 상기 터미널부(11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상기 터미널부(112)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일정 높이에서 상기 터미널부(11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상기 케이싱(11)의 내부 벽면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터미널부(11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테면, 도 3b 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모세관(#1, #2 및 #3)이 일정한 높이에서 상기 케이싱(11)의 내부 벽면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열되어, 상기 케이싱(11)의 내부 벽면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터미널부(112)에 일정한 높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상기 터미널부(112)에 착탈 가능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상기 터미널부(112)에 분리 가능한 착탈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상기 터미널부(112)에 분리 가능한 착탈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교체 및 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을 포함하는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케이싱(11)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및 상기 조절부(120)와 연결되는 상기 터미널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부(112)는, 상기 케이싱(11)의 내외부에서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및 상기 조절부(120)를 연결시키는 연결 수단일 수 있다.
상기 터미널부(112)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및 상기 조절부(1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단자핀 또는 복수의 접촉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단자핀 또는 상기 복수의 접촉단자에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및 상기 조절부(12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부(112)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3b 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일정 높이에서 상기 터미널부(11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부(112)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상기 내부공간에 돌출된 일부분의 전면부 또는 하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상기 내부공간의 내부면과의 거리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터미널부(11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부(112)는, 상기 오일 저장부(15)가 위치한 상기 케이싱(11)의 일측면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해 상기 케이싱(11)의 일측면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부(112)는, 상기 케이싱(11)의 일측면에 형성된 결합홈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부(112)는, 상기 케이싱(11)의 일측면에 결합시 상기 내부공간이 밀폐되도록 상기 결합홈과 일치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터미널부(112)는, 상기 결합홈의 면적 이하의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부(112)는, 상기 케이싱(11)의 일측면에 결합시 상기 내부공간이 밀폐되도록 상기 결합홈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부(112)가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결합홈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부(112)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1)의 일측면에 삽입되어, 일부가 상기 수용체가 수용된 상기 케이싱(11)의 내부공간(I)에 돌출되고, 일부가 상기 케이싱(11)의 외부(O)에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부(112)는, 상기 케이싱(11)의 일측면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케이싱(11)의 내부공간(I)에서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11)의 외부(O)에서 상기 조절부(12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부(112)는, 상기 케이싱(11)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I)에 돌출된 연결부(112a)가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11)의 외부(O)에 노출된 일부분이 상기 조절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및 상기 조절부(12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터미널부(112)는, 상기 연결부(112a)가 상기 내부공간(I)에 돌출되어, 상기 내부공간(I)에서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12a)는, 금속 또는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내부공간(I) 내에서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일부분이 상기 터미널부(112)의 삽입홈(112b)에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부(112)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상기 삽입홈(112b)에 삽입 결합되는 구조로 상기 터미널부(112)와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상기 삽입홈(112b)에 삽입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터미널부(112)에 의해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삽입홈(112b)은, 상기 연결부(112a)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일 수 있다.
상기 삽입홈(112b)은,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112b)은,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규격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외경 및 내경 중 하나 이상에 따른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112b) 및 상기 삽입홈(112b)에 삽입되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형태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특정 규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112b)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특정 길이(L)만큼 상기 삽입홈(112b)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상기 특정 길이(L)만큼의 일부분이 상기 삽입홈(112b)에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부(112)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길이(L)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규격에 따른 길이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적어도 외경(D)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상기 삽입홈(112b)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상기 삽입홈(112b)에 삽입되는 길이(L)는, 상기 외경(D) 이상일 수 있다(하기 [참고 1] 참고).
[참고 1]
L ≥ D
L: 삽입 길이 [mm]
D: 모세관 외경 [mm]
이처럼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상기 외경(D) 길이 이상으로 상기 삽입홈(112b)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삽입이 삽입된 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지지되어,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파손 및 이탈을 방지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외경(D)은, 상기 수용체가 접촉되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표면장력에 따른 길이일 수 있다.
이를테면, 표면장력이 적정치로 유지될 수 있는 길이일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상기 외경(D)이 상기 수용체가 접촉되는 끝단에서의 표면장력이 적정치로 유지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표면장력이 적정치로 유지될 수 있는 길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장력의 이론치와 측정치의 비율이 1.0에 가까운 직경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7은 유속 0.2[m/s] 이하의 혼합물에서 모세관 끝단의 직경([mm])에 따라 표면장력을 측정한 실험 결과에 대한 그래프로, 직경에 따른 표면장력의 이론치 대비 측정치의 비율 변화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세관의 직경이 0.25 내지 0.8[mm]인 경우에는 표면장력의 이론치와 측정치의 비율이 1.0 내외로 유지되고, 직경이 0.8[mm] 이상에서는 표면장력의 이론치와 측정치의 비율이 1.0 이하로 감소되어, 직경이 0.8[mm] 이상에서부터는 표면장력의 이론치와 측정치의 차이가 증가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모세관의 직경이 0.25 내지 0.8[mm]인 경우, 표면장력의 이론치와 측정치의 차이가 일정 기준 미만으로 유지되어, 모세관에서 수용체의 유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외경(D)은, 0.25 내지 0.8[mm]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표면장력이 일정 기준으로 유지되는 외경(D)의 길이, 이를테면 0.25 내지 0.8[mm]의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체의 유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내경(d)이 일정 길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경(d)은, 상기 수용체의 유입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길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내경(d)은,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끝단에 생성되는 버블이 일정 크기 미만으로 생성될 수 있는 길이일 수 있다.
상기 내경(d)의 바람직한 길이는, 1[mm] 이하일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내경(d)은, 1[mm] 이하의 길이일 수 있다(하기 [참고 2] 참고).
[참고 2]
d ≤ 1.0 [mm]
d: 모세관 내경 [mm]
이처럼 상기 내경(d)이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상기 외경(D)이 내경(d)의 1.2배 이상, 상기 내경(d)의 3배 이하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하기 [참고 3] 참고).
[참고 3]
1.2d ≤ D ≤ 3d
이를테면, 상기 내경(d)이 0.5[mm]인 경우, 상기 외경(D)은, 0.6 내지 1.5[mm]의 길이일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은, 상기 내경(d)이 1[mm] 이하이고, 상기 외경(D)이 0.25 내지 0.8[mm]이면서, 상기 내경(d)의 1.2배 이상 내지 3배 이하에 해당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미널부(112)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연결되는 단면에서, 하나 이상의 측부에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12a)의 측부에 일정 각도(θ)의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터미널부(112)의 하나 이상의 측부에 경사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용체의 유동이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끝단에 집중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에서 생성된 버블이 빠르게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터미널부(112)는, 바람직하게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부에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검출장치(100)에서 상기 조절부(120)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수용체와 접촉된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절부(120)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수용체와의 접촉에 따른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을 조절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절부(120)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이 상기 케이싱(11)의 내부공간의 압력보다 높아지도록 압력을 조절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120)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각각의 압력이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120)는,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을 조절하는 펌프부(121) 및 상기 펌프부(121)와 상기 센서부(110)가 연결된 유로를 단속하는 밸브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부(121)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수용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각각의 압력을 조절하는 마이크로 펌프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펌프로 이루어진 상기 펌프부(121)의 예를 들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suction)와 토출구(discharge)가 동일한 방향에 형성된 리니어 펌프일 수 있고, 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suction)와 토출구(discharge)가 다른 방향에 형성된 스크류 펌프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펌프부(121)가 상기 리니어 펌프로 이루어진 경우, 1 스트로크당 1 출력(버블)이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각각의 압력 조절이 이루어지게 될 수 있으며, 상기 펌프부(121)가 상기 스크류 펌프로 이루어진 경우, 미세 유량을 연속적으로 공급 가능하며, 밀폐형으로 제작이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펌프부(121)의 일 예를 들면, 50[mm]의 길이의 소형 펌프인 상기 리니어 펌프로 이루어져, 1 스트로크당 1 출력(버블)으로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각각의 압력을 조절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펌프부(121)는, 상기 검출부(13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펌프부(121)는, 상기 검출부(130)로부터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 조절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을 조절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검출부(130)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목표 압력치를 판단하고, 판단한 목표 압력치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펌프부(121)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펌프부(121)가 상기 목표 압력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을 조절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밸브부(122)는, 상기 펌프부(121) 및 상기 센서부(110) 사이에서 상기 펌프부(121) 및 상기 센서부(110)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부(121)와 상기 센서부(110)가 연결된 유로를 개폐하여 단속하는 밸브일 수 있다.
상기 밸브부(122)는, 상기 펌프부(121)와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각각이 연결되는 각각의 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부(121)와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각각이 연결된 유로를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다중 유로 밸브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3개인 경우, 상기 밸브부(122)는, 상기 펌프부(121)와 3개의 모세관(111) 각각이 연결되는 3개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3-way 밸브일 수 있다.
상기 밸브부(122)는, 상기 검출부(13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펌프부(121)와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각각이 연결된 유로를 선택적으로 단속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밸브부(122)는, 상기 검출부(130)로부터 상기 유로의 개폐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검출부(130)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중 개폐 대상 모세관을 판단하고, 판단한 개폐 대상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밸브부(122)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밸브부(122)가 상기 개폐 대상에 해당하는 모세관이 연결된 유로를 선택하여 개폐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검출장치(100)에서 상기 검출부(130)는, 상기 센서부(110) 및 상기 조절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조절부(120)의 압력 조절에 따른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근거로 상기 수용체의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조절부(120)를 통해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 조절을 제어하고, 이에 따른 상기 수용체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검출부(130)는, 상기 조절부(120)가 상기 압력 조절을 제어한 후, 상기 압력 조절에 따른 상기 측정 결과를 근거로 상기 수용체의 상태를 검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검출부(130)는, 상기 조절부(12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압력 조절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검출부(130)는, 상기 수용체의 상태를 검출하도록 상기 조절부(120)의 상기 압력 조절을 제어하고, 상기 압력 조절에 따른 상기 측정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수용체의 상태를 검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검출부(130)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을 측정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표면장력이 기설정된 기준 범위 내에 해당되도록 상기 조절부(120)의 압력 조절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검출부(130)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표면장력이 상기 기준 범위 내가 되도록 상기 압력 조절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기준 범위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직경에 따른 표면장력의 이론치를 기준으로 한 범위일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표면장력의 이론치에서 ±x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검출부(130)는, 상기 표면장력이 상기 기준 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상기 압력 조절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검출부(130)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을 측정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에 생성된 버블의 크기에 따라 상기 압력 조절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검출부(130)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에서 생성되는 버블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이 조절되도록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검출부(130)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에 버블이 생성될 때까지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이 증가되도록 상기 압력 조절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이 증가하여 상기 수용체가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에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검출부(130)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에 버블이 생성된 후, 상기 버블이 제거될 때까지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이 감소되도록 상기 압력 조절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이 감소하여 상기 버블이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에서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검출부(130)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목표 압력치를 판단하고, 판단한 목표 압력치에 따라 상기 압력 조절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130)는,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을 측정하는 측정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131)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일 수 있다.
상기 측정부(131)는, 상기 조절부(120)의 상기 압력 조절에 따른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각각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측정부(131)는, 상기 압력 조절에 따른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각각의 압력 변화를 측정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검출부(130)는, 상기 측정부(131)를 통해 상기 압력 조절에 따른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각각의 압력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 결과를 근거로 상기 수용체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131)를 포함하는 상기 검출부(130)는 또한,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132)는, 상기 조절부(12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압력 조절을 제어하고, 상기 측정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수용체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132)는, 상기 압력 조절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절부(120)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조절부(12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측정부(131)로부터 측정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측정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수용체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검출부(130)는, 상기 측정부(131)가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각각의 압력을 측정하고, 상기 처리부(132)가 상기 조절부(12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조절부(120)의 동작 제어에 따른 상기 측정부(131)의 측정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수용체의 상태를 검출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측정부(131)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각각의 압력을 측정하여 각각의 측정 결과를 상기 처리부(132)에 전달하게 될 수 있고, 상기 처리부(132)는, 상기 펌프부(121) 및 상기 밸브부(122) 각각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펌프부(121) 및 상기 밸브부(122) 각각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펌프부(121) 및 상기 밸브부(122) 각각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 조절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처리부(132)는, 상기 압축기(10) 또는 상기 검출장치(100)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10) 또는 상기 검출장치(100)를 제어하는 외부의 제어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압축기(10) 또는 상기 검출장치(100)의 외부에서 상기 압축기(10) 또는 상기 검출장치(100)와 통신하여, 상기 압축기(10) 또는 상기 검출장치(100)를 제어하거나, 또는 모니터링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200)는 또한, 상기 검출장치(100)의 상위 제어수단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제어 신호의 생성에 대한 명령을 상기 검출장치(100)에 전달하여 상기 압력 조절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검출장치(100)로부터 상기 측정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수용체의 상태를 판단 및 검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검출부(130)는, 상기 수용체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130)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각각을 통해, 상기 수용체의 상태 변화를 판단 및 검출하여, 상기 수용체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130)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각각의 상기 측정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수용체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검출부(130)는, 상기 측정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수용체의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오일의 상태를 검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검출부(130)는, 상기 측정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수용체의 밀도, 유면, 표면장력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검출부(130)는, 상기 측정 결과를 근거로 상기 수용체의 밀도, 유면, 표면장력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검출하게 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각각의 측정 결과에 따른 수치를 비교 또는 조합하여 연산함으로써, 상기 수용체의 밀도, 유면, 표면장력 중 하나 이상의 상태에 대한 수치를 산출하게 되어 상기 오일의 밀도, 유면, 표면장력 중 하나 이상의 상태를 검출하게 될 수 있다.
이하,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상기 검출장치(100)가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을 통해 상기 수용체의 상태를 검출하게 되는 구체적인 원리 및 예시를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검출장치(100)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을 조절하고, 이에 따른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수용체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용체의 상태를 검출하는 상기 검출장치(100)의 구체적인 검출 원리는 다음과 같다.
상기 수용체가 수용된 상기 오일 저장부(15)에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상기 수용체에 접촉되도록, 즉 상기 오일에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을 배치한 상태에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체에 잠기지 않은 모세관의 끝부분에서 기체를 가압 공급하여 압력을 조절하게 되면, 상기 수용체에 잠긴 끝부분에서 버블(b)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세관의 끝부분에서 발생하는 버블(b)의 사이즈는 공급하는 압력에 따라 점점 커지게 되며, 특정 순간 버블(b)은 반원(rb) 형태가 되며 상기 모세관의 반경(rc )과 같아 지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모세관의 압력(PC)이 최대(PC max)가 된다. 이 때가 상기 모세관의 최대 내부 압력(PC max)이 상기 수용체가 가지는 표면장력과 균형을 이루는 시점이 되며, 이 때의 압력을 Max.bubble pressure(이하, 최대 버블 압력이라 칭한다)라 한다. 여기서, 상기 표면장력(σ)과 상기 최대 내부 압력(PC max)의 관계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을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1004551844-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상기 g는 중력가속도, 상기 ρ는 상기 수용체의 밀도일 수 있다.
계속 상기 모세관에 기체를 공급하여 압력을 조절하게 되면 발생된 버블(b)이 커지면서 상기 모세관 내부의 압력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고, 발생된 버블(b)이 상기 모세관에서 분리된다.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형태 또는 서로 다른 규격을 가지는 3개의 모세관(#1, #2 및 #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모세관(#1)과 제 2 모세관(#2)은 직경이 서로 같고, 제 3 모세관(#3)은 다른 두 모세관에 비해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오일의 유면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제1 모세관(#1)의 높이(h+△h))는 상기 제2 모세관(#2)의 높이(h)보다 길고, 상기 제 2 모세관(#2)과 상기 제 3 모세관(#3)의 높이(h)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모세관 각각(#1, #2 및 #3)의 최대 버블 압력을 측정하면, 상기 모세관 각각(#1, #2 및 #3)의 최대 버블 압력을 근거로 상기 수용체의 밀도, 유면 또는 표면장력을 산출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시에서, 상기 수용체의 밀도, 유면 및 표면장력은, 각각 하기 [수학식 2], [수학식 3] 및 [수학식 4] 각각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21004551844-pat00002
[수학식 3]
Figure 112021004551844-pat00003
[수학식 4]
Figure 112021004551844-pat00004
상기 검출장치(100)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을 통한 상기 측정 결과 및 상기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4]를 근거로 상기 수용체의 밀도, 유면 및 표면장력 중 하나 이상을 산출하여 판단함으로써, 상기 오일의 밀도, 유면 및 표면장력 중 하나 이상을 검출하게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상기 검출장치(100)는, 수용체가 수용된 압축기에 포함되어 상기 수용체의 상태를 검출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장치(100)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10)에 적용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10)는, 오일이 저장되는 수단을 구비하는 왕복동식, 로터리식, 스크롤식 또는 베인식 압축기일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상기 검출장치(100)를 구비하여 오일의 상태를 검출한다.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된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싱(11), 상기 케이싱(11)의 내부공간에 형성되어 오일이 수용되는 오일 저장부(15) 및 상기 오일 저장부(15) 내에 수용된 상기 오일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장치(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검출장치(100)는, 상기 오일의 상태를 검출하도록 상기 오일 저장부(15)가 위치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검출장치(100)를 포함하는 상기 압축기(1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케이싱(11)의 내부공간에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전동 기구부(12)가 설치되고, 상기 전동 기구부(12)의 상측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 기구부(1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동 기구부(12)와 상기 압축 기구부(13)는, 크랭크축(14)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전동 기구부(12)의 회전력이 상기 압축 기구부(13)로 전달되어, 상기 압축 기구부(13)가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1)은 상하 양단이 개구된 원통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11)의 하부공간에는 오일이 수용되는 오일 저장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압축기(10)의 경우, 상기 검출장치(100)는, 상기 케이싱(11)의 하부공간에 형성된 상기 오일 저장부(15)에 수용된 오일을 검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검출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량의 오일이 수용된 상기 압축기(10)의 케이싱(11)의 내부공간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수용체와 접촉되는 복수의 모세관(111) 및 상기 케이싱(11)의 일측면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상기 케이싱(11)의 일측면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과 연결되는 터미널부(112)를 포함하는 센서부(110), 상기 터미널부(112)를 통해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에 상기 수용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부(120) 및 상기 터미널부(112)를 통해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 및 상기 조절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조절부(120)의 압력 조절에 따른 상기 복수의 모세관(111)의 압력을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근거로 상기 수용체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상기 검출장치(100)의 실시 예가 상기 압축기(10)에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상기 검출장치(100)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케이싱(11) 내에 수용된 오일의 상태를 검출하게 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압축기 11: 케이싱
12: 전동 기구부 13: 압축 기구부
14: 크랭크축 15: 오일 저장부
100: 검출장치 110: 센서부
111: 모세관 112: 터미널부
120: 조절부 121: 펌프부
122: 밸브부 130: 검출부
131: 측정부 132: 처리부
200: 제어장치

Claims (12)

  1. 오일 및 냉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수용체가 수용된 압축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체와 접촉되는 복수의 모세관;
    상기 케이싱의 일측면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상기 케이싱의 일측면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복수의 모세관과 연결되는 터미널부;
    상기 터미널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모세관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모세관에 상기 수용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터미널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모세관 및 상기 조절부와 연결되어, 상기 조절부의 압력 조절에 따른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압력을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근거로 상기 수용체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표면 장력이 기설정된 기준 범위 내에 해당되도록 상기 조절부의 압력 조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세관은,
    유리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세관은,
    일부분이 상기 터미널부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세관은,
    적어도 외경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세관은,
    내경이 1[mm] 이하의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세관은,
    외경이 내경의 1.2배 이상, 내경의 3배 이하의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부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이 연결되는 단면에서, 하나 이상의 측부에 경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모세관에 생성된 버블의 크기에 따라 상기 조절부의 압력 조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에 버블이 생성될 때까지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압력이 증가되도록 상기 조절부의 압력 조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에 버블이 생성된 후, 상기 버블이 제거될 때까지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압력이 감소되도록 상기 조절부의 압력 조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압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모세관의 목표 압력치를 판단하고, 판단한 목표 압력치에 따라 상기 조절부의 압력 조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12. 밀폐된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형성되어 오일이 수용되는 오일 저장부; 및
    상기 오일 저장부 내에 수용된 상기 오일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장치는,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의 오일 검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KR1020210004734A 2021-01-13 2021-01-13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KR102417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734A KR102417748B1 (ko) 2021-01-13 2021-01-13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PCT/KR2022/000384 WO2022154407A1 (ko) 2021-01-13 2022-01-10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734A KR102417748B1 (ko) 2021-01-13 2021-01-13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748B1 true KR102417748B1 (ko) 2022-07-07

Family

ID=82399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734A KR102417748B1 (ko) 2021-01-13 2021-01-13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17748B1 (ko)
WO (1) WO202215440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0921U (ko) * 1985-02-23 1986-09-01
KR20180005792A (ko) * 2016-07-06 2018-01-17 주식회사 디엠에스 약액 밀도 측정 시스템, 약액 밀도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약액 레벨 측정방법
KR102045463B1 (ko) * 2018-05-28 2019-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KR20200054029A (ko) * 2018-11-09 2020-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4305A (en) * 1996-09-12 1999-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0444959B1 (ko) * 2002-05-01 2004-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압축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2057258A (zh) * 2008-04-04 2011-05-11 奥斯本工业有限公司 用于测量贮藏器内材料水平的装置及方法
KR102342565B1 (ko) * 2014-12-30 2021-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일 레벨 검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오일 유동 검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오일 레벨 및 오일의 검출 결과를 이용한 오일 회수 운전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0921U (ko) * 1985-02-23 1986-09-01
KR20180005792A (ko) * 2016-07-06 2018-01-17 주식회사 디엠에스 약액 밀도 측정 시스템, 약액 밀도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약액 레벨 측정방법
KR102045463B1 (ko) * 2018-05-28 2019-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KR20200054029A (ko) * 2018-11-09 2020-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54407A1 (ko)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204257B (zh) 压缩机的油检测装置及具备其的压缩机
EP3194786B1 (en) Oil level detec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oil flow detec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method for control oil return using oil level and oil flow
KR102417748B1 (ko)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EP1645852A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efrigerant level
CN108980025B (zh) 水泵性能综合测试台
CN112985711A (zh) 气密性检测设备及其方法
KR102045463B1 (ko)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KR102163896B1 (ko)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CN101070839A (zh) 可变排量压缩机
CN207007487U (zh) 检测安全阀的开启压力的安全阀检测装置
US4906165A (en) Flow meter for a positive displacement pump
CN101507852B (zh) 气动压力低压报警装置
KR20030030310A (ko) 차량용 오일펌프 성능 시험장치
JP2007079996A (ja) 圧力制御装置
CN217110106U (zh) 闪蒸器及空调系统
JP2007211703A (ja) 容量可変型圧縮機における流量検出装置
CN114061184A (zh) 一种油分离器及回油系统、回油控制方法及装置
US11603841B2 (en) Scroll compressor
CN212586370U (zh) 一种高精度旋流式原油含水率测量仪
CN216204172U (zh) 回油监测装置及空调系统
CN210014816U (zh) 一种耐腐蚀的连续料位远程测量与监控装置
CN113218575B (zh) 一种用于测井装置的压力传感器的失效预警系统
CN113883651A (zh) 回油监测装置、空调系统及其回油控制方法
CN216790591U (zh) 一种油分离器及回油系统
KR101699695B1 (ko) 컴프레셔용 오일탱크의 오일레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