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780B1 - Lng저장탱크의 이송관 - Google Patents
Lng저장탱크의 이송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16780B1 KR102416780B1 KR1020200091779A KR20200091779A KR102416780B1 KR 102416780 B1 KR102416780 B1 KR 102416780B1 KR 1020200091779 A KR1020200091779 A KR 1020200091779A KR 20200091779 A KR20200091779 A KR 20200091779A KR 102416780 B1 KR102416780 B1 KR 1024167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heat insulating
- circumferential surface
- inner pipe
- outer circumferenti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 F16L59/07—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the air layer being enclosed by one or more layers of insul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9—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layer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NG저장탱크의 이송관에 관한 것으로서, 액화천연가스가 이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이너파이프와, 이너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단열부와, 단열부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에어갭을 형성될 수 있도록 단열부를 감싸는 아웃터파이프와, 단열부와 아웃터파이프 사이에 설치되어 단열부의 외주면과 아웃터파이프의 내주면을 이격시키킴과 아울러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를 구비하며, 간격유지부는 단열재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 및 제2고정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고정프레임과, 제1 및 제2고정부재가 상호 대향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고정부재의 플랜지부분내에 일부가 삽입되어 아웃터 파이프에 지지될 수 있는 서브 지지부재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LNG저장탱크의 이송관에 의하면, 액화천연가스의 외부 유출이 억제되고, 이너파이프와 아웃터 파이프와의 간격유지 및 안전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LNG저장탱크의 이송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액화천연가스를 이송하는 LNG저장탱크의 이송관에 관한 것이다.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ne Organization)에서는 선박에 대한 황산화물 및 질소산화물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함에 따라, 연료의 황 함유량을 35%에서 5%로 강화하는 시기를 2020년 1월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의결되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대기 오염도가 낮은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이하 LNG로 지칭함) 연료 추진시스템이 중소형 선박에 적용됨이 점차 현실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중소형선박의 LNG 연료 추진의 현실화로 인해, LNG 연료 공급선 개발과 이와 관련된 각종 기자재들에 대한 안전성/성능에 대한 시험과 평가 및 중소 조선해양기자재업체의 엔지니어링을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LNG를 엔진의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용 LNG 연료공급시스템이 국내 등록특허 제10-185271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LNG를 엔진의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의 경우 LNG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안전하게 이송하기 통상적으로 이중관이 적용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제 1998-066598호에는 이중구조의 가스공급관이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10-0060764호에는 LNG 선박의 고압연료공급관이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연료공급관은 내부관과 외부관의 사이에 질소가 공급되나 이들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밴딩 시 간격의 유지가 어렵고, 외부로부터 가하여지는 충격에 의한 외부관의 변형 시 그 충격력이 내부관에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부관이 외부관에 의해 감싸여져 있는 경우, 하절기에 외부로 노출된 외부관이 가열되어 내부관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액화천연가스가 이송되는 내부관의 압력이 급격히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50833호에는 연료가스공급관을 구비한 연료공급장치(FGSS:fuel gas supplying system)가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16-0026413호에는 이중 연료엔진의 이중관 구조의 가스공급관로가 게시되어 있다. 그리고 일본공개 공개특허 제 2004-169741호에는 단열이중관에 있어서 내관유지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내관유지장치는 단열재가 내관의 외면에 얇은 두께로 피복되어 있으며, 단열재를 감싸는 내관서포와 이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스테인레스재로 이루어진 복수의 탄성날개편을 구비한다. 내관유지장치는 열팽창 또는 열수축으로 인하여 내관이 반경방향으로 변형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술한 종래의 내광유지장치는 탄성날개편이 스테인레스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고, 내관과 내관을 흐르는 가스의 하중이 일방향으로만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하중이 작용하는 측의 변형상태가 지속됨으로써 내관을 외관의 중심에 위치시키기 어렵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20-0291614호에는 단열피복 이중보온관이 게시되어 있다. 내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단열피복층과, 단열피복층을 단열재가 적층되고 단열재를 외주면을 감싸는 클램프부재와, 클램프부재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롤러지지대를 구비하며, 단열재의 외주면과 외관의 사이에 보
충층이 설치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조는 상대적으로 얇은 단열층에 클램프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내관에 액화천연가스와 같이 초저온(영하 162도)의 유체가 흐르는 경우, 냉기가 롤러지지대를 통하여 보온층의 외부로 전달되어 단열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액화천연가스의 이송 시 외부온도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가하여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이중관 사이의 간격유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LNG저장탱크의 이송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LNG저장탱크의 이송관은 LNG저장탱크의 하부에 접속되어 액화천연가스를 이송하는 이송관에 있어서, 액화천연가스가 이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이너파이프와; 상기 이너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단열부와; 상기 단열부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에어갭을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단열부를 감싸는 아웃터파이프와; 상기 단열부와 상기 아웃터파이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단열부의 외주면과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내주면을 이격시키킴과 아울러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단열부는 상기 이너파이프의 외주면을 중공부를 가지는 독립된 단위단열부재가 반경방향으로 적층되고, 상기 각 단위 단열부재의 중공부의 직경은 상기 이너파이프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위치될 수록 커지게 형성되어 상기 이너파이프의 냉각에 의하여 상기 각 단위단열부재의 열팽창이 다르게 되어 이들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되도록 하고, 상기 각각의 단위단열부재는 실리카 에어로겔로 형성되며,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단열재의 외주면을 감싸는 것으로 제1 및 제2고정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외주면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너파이프를 감싸는 상기 단열부의 외주면과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을 이루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재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이너파이프의 반경방향으로 삽입홀이 형성된 립부재들과, 상기 립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가이드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재는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된 부분홀더와, 상기 부분홀더의 양단에서 각각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며 상하로 관통된 결합홀이 형성된 플랜지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재가 상호 대향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분내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아웃터 파이프에 지지될 수 있는 서브 지지부재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서브 지지부재는 단면이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분에 형성된 장착홈에 삽입되는 걸이부분과, 상기 걸이부분에서 시트형태로 상기 플랜지부분 외부로 연장되게 결합된 판형부분과, 상기 판형부분의 종단에서 단면이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아웃터 파이프에 접촉되는 접촉볼부분;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LNG저장탱크의 이송관에 의하면, 액화천연가스의 외부 유출이 억제되고, 이너파이프와 아웃터 파이프와의 간격유지 및 안전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NG저장탱크의 이송관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이송관을 부분절단 하여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이송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송관을 부분절단 하여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이송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NG저장탱크의 이송관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NG저장탱크의 이송관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이송관을 부분절단 하여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이송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송관(100)은 LNG저장탱크(110)의 하부에 접속되어 액화천연가스를 이송한다. 참조부호 115는 밸브이다.
여기서, LNG저장탱크(110)는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는 용기로서 내압성을 갖으며, 외부로부터의 열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단열재로 피막된 통상의 구조로 되어 있다.
LNG저장탱크(110)는 하부에 접속된 이송관(190)을 통해 액화천연가스를 공급대상처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송관(100)은 이너파이프(121), 단열부(130), 아웃터파이프(125), 간격유지부(140)를 구비한다.
이너파이프(121)은 액화천연가스가 이동되는 유로를 형성한다. 이너파이프(121)는 통상적인 LNG용 파이프가 이용될 수 있다. 이너파이프(121)는 금속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열부(140)는 이너파이프(12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열부(130)는 중공부를 가지는 독립된 단위단열부재(131~ 134)들이 반경방향으로 이너파이프(121)의 외주면을 복수겹으로 감싼 적층 구조로 되어있다. 각 단위단열부재(131 내지 134)의 중공부의 직경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각 단위단열부재(131~134)들의 중공부 직경은 이너파이프(121)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위치될수록 커지며, 각 단위단열부재(131~134)의 두께는 균일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의 단열부(130)는 이너파이프(121)의 반경방향으로 단위단열부재(131~134)들 사이에 독립된 밀착에어갭부(126)들이 형성된다. 밀착에어갭부(126)는 이너파이프(121)들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너파이프(11)로부터 누출된 가스를 독립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공간을 이루게 된다.
단열부(130)의 단위길이당 열팽창계수는 이너파이프(121)의 열팽창계수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단열부(130)을 이루는 단위단열부재(131~134)는 실리카 에어로겔( silica aerogel)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즉, 단위단열부재(131~134)는 메틸실레이티드실리카 40 내지 50%,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에스테르) 10 내재 20%, 유리섬유(직물등급) 10 내지 20%, 수산화 마그네슘 1 내지 5%, 알루미늄 0 내지 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웃터파이프(125)는 이너파이프(121)를 감싸는 단열부(130)의 외주면과 소정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감싸는 것으로, 금속관 즉, 스레인레스 재 또는 스테인레스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웃터파이프(125)의 직경은 단열부(130)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아웃터파이프(125)의 내주면과 단열부(130)의 사이에 빈 공간, 즉 에어갭(124)이 형성된다. 에어갭(124)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이너파이프(121)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너파이프(121)의 손상 시 누설된 가스가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하게 된다. 에어갭(124)에는 질소,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가스가 충진될 수 있다. 그리고 아웃터파이프(125)에는 가스의 누설을 감지하기 위하여 압력센서, 광파이버를 이용한 센서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광섬유격자센서를 설치하여 아웃터파이프(125)에 작용하는 응력을 측정할 수 있다.
간격유지부(140)는 단열부(130)와 아웃터파이프(125) 사이에 설치되어 단열부(130)의 외주면과 아웃터파이프(125)의 내주면을 이격시키킴과 아울러 간격을 유지한다. 간격유지부(140)는 고정프레임(144), 지지부(146) 및 서브지지부재(148)를 구비한다.
간격유지부(140)는 단열부(130)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제1 및 제2고정부재(141)(142)가 상호 결합부재(143)에 의해 결합되는 고정프레임(144)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고정부재(141)(142)는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된 부분홀더(141a)(142a)와, 부분홀더(141a)(142a)의 양단에서 각각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며 상하로 관통된 결합홀이 형성된 플랜지부분(141b)(142b)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1 및 제2고정부재(141)(142)의 플랜지부분(141a)(142b)의 상호 대향되는 면에는 서브지지부재(148)를 수용할 수 있는 반원형 장착홈(14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46)는 고정프레임(144)을 이루는 제1 및 제2고정부재(141)(142)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단열부(130)의 외주면과 아웃터파이프(125)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며, 아웃터파이프(125)의 중공부를 따라 단열부(130)가 마련된 이너파이프(121)의 삽입 시 아웃터파이프(125)의 내주면과의 마찰을 줄이도록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146)는 결합부재(143)에 의해 제1 및 제2고정프레임(141)(142)의 외주면에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다. 지지부(146)들은 결합된 제 1,2고정프레임(141)(142)을 중심에 대해 120도 간격으로 3개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146)는 도시된 예와 다르게 후술되는 서브 지지부재(148)와 함께 아웃터파이프(125)에 대한 지지를 분산 지지할 수 있게 4개가 제1 및 제2고정부재(141)(142)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146)은 고정프레임(144)을 이루는 제 1,2고정부재(141)(142)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이너파이프(121)에 반경방향으로 삽입홀(146a)이 형성된 립부재(146b)가 설치되고, 이 립부재(146b)에는 아웃터파이프(125)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가이드지지부재(146c)가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립부재(146a)의 삽입홀(146b)에 지지되어 아웃터파이프(125)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가이드지지부재(146c)의 단부는 아웃터파이프(125)의 내주면에 점 접촉될 수 있도록 곡면 또는 가능한 한 단면적이 작게 형성된다. 이는 가이드지지부재(146c)의 단부가 아웃터파이프(125)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 시 마찰력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가이드지지부재(146c)는 테프론(teflon), 연질의 금속재,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146)는 고정프레임(144)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립부재(146b)의 내부에는 가이드지지부(146c)을 외측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기 위한 탄성스프링이 설치될 수도 있다.
서브 지지부재(148)는 제1 및 제2고정부재(141)(142)가 단열부(130)를 에워싸도록 상호 대향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플랜지부분(141b)(142b)내의 반원형 장착홈(145)에 일부가 삽입되어 아웃터 파이프(125)에 지지될 수 있게 연장되어 있다.
서브 지지부재(148)는 단면이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플랜지부분(141b)(142b)에 형성된 반원형 장착홈(145)에 삽입되는 걸이부분(148a)과, 걸이부분(148a)에서 시트형태로 플랜지부분(141b)(142b) 외부로 연장되게 결합된 판형부분(148b)과, 판형부분(148b)의 종단에서 단면이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아웃터 파이프(125)에 접촉되는 접촉볼부분(148c)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서브 지지부재(148)는 장착홈(145)에 대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장착홈(145)에 서브 지지부재(148)가 장착된 상태에서 플랜지부분(141b)(142b)의 상호 대향되는 면은 판형부분(148b)을 삽입상태에서 슬라이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서브 지지부재(148)는 단열부(130)와 아웃터 파이프(125)와의 이격지지력을 높이면서 아웃터 파이프(125)와의 접촉볼부분(148c)과의 선접촉에 의해 조립과정에서의 아웃터파이프(125)의 미끄럼이동을 원활하게 지원한다.
또한, 접촉볼부분(148c)에 대향되는 아웃터 파이프(125)이 외부로부터 충격에 의한 눌림시 접촉볼부분(148c)의 원형 형상에 의해 인입되는 깊이가 최소화되게 제한할 수 있는 장점도 제공한다.
이러한 이송관(100)은 LNG저장탱크(110)로부터 액화천연가스를 공급대상처로 공급하게 되는데, 단열부(130)에 의해 감싸여진 이너파이프(121)가 아웃터파이프(125)에 의해 감싸여져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이너파이프(12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너파이프(121)로부터 가스가 누설되는 경우, 이너파이프(121)를 아웃터파이프(125)가 감싸고 있으므로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이는 화재 또는 폭발의 위험을 배제할 수 있으며, 선체의 바닥으로 유출되어 선체의 바닥면이 급냉됨으로써 응력이 집중되어 선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극저온의 액화천연가스를 이송하는 이송관(100)은 단열부(130)를 이루는 단위단열부재(131~134)들이 반경방향으로 적층되도록 설치되어 이너파이프(121)의 단열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콜드 스폿(cold spot, 냉점)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정부위의 절연이 파괴되어 콜드 스폿이 발생되는 경우, 이 부위로부터 성에가 지속적으로 성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콜드 스폿부에 응력이 집중됨으로써 외부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너파이프(121)를 감싸는 단열부(130)는 이너파이프(121)의 외주면에 독립된 중공부를 가지는 단위단열부재(131~134)들에 의해 중첩되어 있으므로 단위단열부재(131~134)들의 사이에는 밀착에어갭(126)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너파이프(121)로부터 액화천연가스의 누출 시 단위단열부재(131~134)들에 의해 단계적으로 차단된다.
특히, 이너파이프(121)을 단열하는 단위단열부재(131~134)들은 독립된 중공부를 가지며 이너파이프(121)의 외주면에 적층되어 있으므로 이너파이프(121)의 냉기에 냉각되는 온도가 서로 다르게 된다. 즉, 이너파이프(121)과 직접 접촉되는 단위단열부재(131)와 이 단위단열부재(131)를 감싸도록 적층된 다음 차순의 단위단열부재(132)들의 열팽창량이 다르게 되고, 이들의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되어 열팽창량의 차이에 의해 단열부(1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간격유지부(140)들은 단열부(130)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으며, 이너파이프(121)와 물리적인 접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단열재(130)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간격유지부(140)는 단열부(130)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지부(146)들이 고정프레임(144)에 설치된 립부재(146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지지부재(146c)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이드지지부재(146c)가 아웃터파이프(125)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 시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이게 되며, 아웃터파이프(125)의 중심에 단열부(130)에 의해 단열이 이루어진 이너파이프(121)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부(146) 및 서브지지부재(148) 들에 의해 단열부(130)의 외주면과 아웃터파이프(125)의 내주면 사이에 일정한 에어갭(124)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이 특정부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누설된 가스를 차단함과 아울러 누설된 가스의 배출을 위한 유동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LNG저장탱크의 이송관에 의하면, 액화천연가스의 외부 유출이 억제되고, 이너파이프와 아웃터 파이프와의 간격유지 및 안전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00: 이송관 110: LNG저장탱크
121: 이너파이프 125: 아웃터파이프
130: 단열부 140: 간격유지부
148: 서브 지지부재
121: 이너파이프 125: 아웃터파이프
130: 단열부 140: 간격유지부
148: 서브 지지부재
Claims (2)
- 삭제
- LNG저장탱크의 하부에 접속되어 액화천연가스를 이송하는 이송관에 있어서,
액화천연가스가 이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이너파이프와;
상기 이너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단열부와;
상기 단열부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에어갭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단열부를 감싸는 아웃터파이프와;
상기 단열부와 상기 아웃터파이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단열부의 외주면과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내주면을 이격시킴과 아울러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단열부는 상기 이너파이프의 외주면을 중공부를 가지는 독립된 단위단열부재가 반경방향으로 적층되고, 상기 각 단위 단열부재의 중공부의 직경은 상기 이너파이프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위치될 수록 커지게 형성되어 상기 이너파이프의 냉각에 의하여 상기 각 단위단열부재의 열팽창이 다르게 되어 이들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되도록 하고, 상기 각각의 단위단열부재는 실리카 에어로겔로 형성되며,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단열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것으로 제1 및 제2고정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외주면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너파이프를 감싸는 상기 단열부의 외주면과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을 이루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재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이너파이프의 반경방향으로 삽입홀이 형성된 립부재들과, 상기 립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아웃터파이프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가이드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재는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된 부분홀더와, 상기 부분홀더의 양단에서 각각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며 상하로 관통된 결합홀이 형성된 플랜지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재가 상호 대향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분내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아웃터 파이프에 지지될 수 있는 서브 지지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서브 지지부재는 단면이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분에 형성된 장착홈에 삽입되는 걸이부분과, 상기 걸이부분에서 시트형태로 상기 플랜지부분 외부로 연장되게 결합된 판형부분과, 상기 판형부분의 종단에서 단면이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아웃터 파이프에 접촉되는 접촉볼부분;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저장탱크의 이송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1779A KR102416780B1 (ko) | 2020-07-23 | 2020-07-23 | Lng저장탱크의 이송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1779A KR102416780B1 (ko) | 2020-07-23 | 2020-07-23 | Lng저장탱크의 이송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2684A KR20220012684A (ko) | 2022-02-04 |
KR102416780B1 true KR102416780B1 (ko) | 2022-07-05 |
Family
ID=80268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1779A KR102416780B1 (ko) | 2020-07-23 | 2020-07-23 | Lng저장탱크의 이송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16780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95723A (ja) * | 2001-03-29 | 2002-10-09 | Kurimoto Ltd | さや管推進工法 |
KR102058204B1 (ko) * | 2019-05-23 | 2020-01-22 | (유)성문 | 선박엔진의 연료공급용 액화천연가스 이송관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44951Y2 (ko) * | 1973-12-12 | 1981-10-21 | ||
US6571832B1 (en) * | 2002-08-08 | 2003-06-03 | Cascade Waterworks Manufacturing Co. | Casing spacer |
KR101936382B1 (ko) * | 2016-09-30 | 2019-04-03 | (주)대창솔루션 | 이중 배관의 지지체 |
-
2020
- 2020-07-23 KR KR1020200091779A patent/KR10241678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95723A (ja) * | 2001-03-29 | 2002-10-09 | Kurimoto Ltd | さや管推進工法 |
KR102058204B1 (ko) * | 2019-05-23 | 2020-01-22 | (유)성문 | 선박엔진의 연료공급용 액화천연가스 이송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2684A (ko) | 2022-0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58204B1 (ko) | 선박엔진의 연료공급용 액화천연가스 이송관 | |
KR100650827B1 (ko) | 단열 파이프라인 | |
KR102029862B1 (ko) | 파이프를 포함하는 용기 벽 | |
JP4410938B2 (ja) | 極低温流体の搬送方法および装置 | |
EP1731823A1 (en) | Cryogenic transfer hose | |
KR101245660B1 (ko) | 액화 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한 선박 | |
KR20180106682A (ko) | 액화가스의 이중저장탱크 | |
KR102416780B1 (ko) | Lng저장탱크의 이송관 | |
CN110715167B (zh) | 储存罐结构物 | |
KR101814452B1 (ko) | 액화가스 화물창 | |
KR20100123982A (ko) | 독립형 저장탱크의 누출액 수집장치 | |
CN210687431U (zh) | 船舶低温管道贯通穿舱结构 | |
KR102648632B1 (ko) | 밀봉되고 단열된 탱크 | |
CN109436212B (zh) | 液货舱围护系统 | |
KR102310216B1 (ko) | 선박용 연료공급 핸들링 시스템 | |
JP2023163168A (ja) | 貫通導管を備えたタンク壁 | |
KR101664005B1 (ko) | 카고 탱크 시스템 | |
KR102480657B1 (ko) | Lng 저장탱크용 누설액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KR20110047307A (ko) | 독립형 액화가스 탱크의 단열 패널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 |
CN109305302B (zh) | 液货舱的防泄漏围护系统 | |
KR20210104665A (ko) | 단열 및 누설방지용 탱크 벽 | |
KR101973817B1 (ko) | Lng fsru 선체 보호용 구조물 | |
CN219692492U (zh) | 一种真空绝热双壁管的支撑结构及lng燃料罐用双壁管 | |
KR20190014180A (ko) | 액화가스 화물창 및 이의 제작방법 | |
KR101206236B1 (ko) | 슬로싱 저감수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