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642B1 - 트랙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트랙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642B1
KR102416642B1 KR1020160029575A KR20160029575A KR102416642B1 KR 102416642 B1 KR102416642 B1 KR 102416642B1 KR 1020160029575 A KR1020160029575 A KR 1020160029575A KR 20160029575 A KR20160029575 A KR 20160029575A KR 102416642 B1 KR102416642 B1 KR 102416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ball
track ball
magnetic force
movement
interfac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6018A (ko
Inventor
김호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9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642B1/ko
Publication of KR20170106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9Trackb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랙볼 장치는 트랙볼 본체부, 상기 트랙볼 본체부 내부에 배치되는 트랙볼, 상기 트랙볼 본체부 내부에, 상기 트랙볼 주변에 구비되는 복수의 자력 발생부, 상기 트랙볼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트랙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트랙볼은 내부에 자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자성체는 외주를 따라 N극과 S극이 번갈아가며 배열되며, 사용자에게 트랙볼의 회전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트랙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 시스템{Trackball apparatus and screen control system for vehicl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트랙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주의 분산을 최소화하기 위한 트랙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볼(track ball)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 좌표를 검출하여 그 점의 위치정보를 입력시키는 좌표 입력장치 중 하나로서, 컴퓨터의 보조 입력장치인 마우스의 원리를 똑같이 적용하여 마우스를 뒤집어서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트랙볼 장치는 주로 노트북 컴퓨터나 키보드 또는 가전기기의 리모컨 등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이외에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보면서 커서를 이동시켜 특정 아이콘이나 메뉴가 나타나도록 하고, 이들 아이콘 및 메뉴를 선택하여 해당 프로그램이 수행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전자장치 및 기계장치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한편, 차량 내에는 차량의 주행 정보나 각종 엔터테인먼트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조작을 위해서 상기한 바 있는 조작이 간편한 트랙볼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트랙볼 장치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장시간 보지 않고 조작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장시간 화면을 보는 경우에는 차량 운행중인 사용자의 전방 주의가 분산되어 차량 충돌과 같은 사고 위험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시, 사용자의 주의 분산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전 주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트랙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랙볼 장치는 트랙볼 본체부; 상기 트랙볼 본체부 내부에 배치되는 트랙볼; 상기 트랙볼 본체부 내부에, 상기 트랙볼 주변에 구비되는 복수의 자력 발생부; 상기 트랙볼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트랙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트랙볼은 내부에 자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자성체는 외주를 따라 N극과 S극이 번갈아가며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는 상기 트랙볼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자력 발생부 각각은, 상기 트랙볼 주변을 감쌀 수 있다.
상기 자력 발생부 각각은, 차량의 인터페이스 화면에 따라 서로 다른 자력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트랙볼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 내 선택 요소 중 어느 하나로 커서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자력 발생부 각각은, 상기 트랙볼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마이너스 자력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트랙볼은, 상기 마이너스 자력에 의해 상하좌우 및, 대각선 네 방향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랙볼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 시스템은 트랙볼 장치; 상기 트랙볼 장치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는 커서와, 선택되는 복수의 선택 요소가 표시되도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따라 상기 트랙볼 장치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재생하는 인터페이스 재생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 및 상기 트랙볼 장치의 움직임에 따른 센싱정보를 수신하는 센싱정보 수신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 및 상기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자력값을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트랙볼 장치에 상기 자력값을 전송하는 자력 송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은, 요소간 이동 선택, 리스트 간 이동 선택, 영역간 이동 선택, 최대값 이동 선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랙볼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따라 상기 선택 요소의 선택에 요구되는 사용자의 누르는 힘과 상기 선택 요소 간 이동에 요구되는 트랙볼의 회전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랙볼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트랙볼(120)의 미세 회전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인터페이스 화면에 따른 햅틱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주의 분산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전 주행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트랙볼을 자력으로 제어하는 형태로 부품 최소화가 가능하고, 차량의 스티어링 휠 및 기어박스 등에 설치가 용이하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랙볼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주행 중인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인터페이스 화면 조작시, 인터페이스 화면에 따라 트랙볼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주의 분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자력으로 컨트롤 되는 트랙볼 장치를 통해 인터페이스 화면의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와이파이(wifi)나 블루투스(Bluetooth) 기능 접목 시 무선으로 제어 가능하며, 차량 내 모든 좌석에서 트랙볼 장치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화면 제어가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랙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랙볼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랙볼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력 발생부의 배치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랙볼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화면과 트랙볼 장치의 연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화면의 요소간 이동 선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화면의 리스트간 이동 선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9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화면의 영역간 이동 선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화면의 최대값 이상 선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랙볼 장치(100)는 차량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인터페이스 화면 조작을 위한 것으로서, 트랙볼 본체부(110), 트랙볼(120), 자력 발생부(130) 및, 센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랙볼 장치(100)는, 트랙볼 본체부(110) 내부에 트랙볼(120), 자력 발생부(130) 및 센서부(140)를 구비하고, 트랙볼(120) 내부에 자성체(121)가 구비되고, N극과 S극이 자성체(121) 외주를 따라 번갈아가며 배열되고, 자력 발생부(130)가 자기력을 발생하여 트랙볼(120)을 소정 높이 띄워 배치시켜 트랙볼(120)의 360도 회전이 가능하게 하고, 센서부(140)가 트랙볼(12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전송함으로써, 트랙볼(120)의 움직임에 따라 연동하는 인터페이스 화면 내 커서의 조작이 가능하다. 이때 트랙볼(120)의 자성체(121)는, 트랙볼(120)이 미세 회전 거리마다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데, 사용자에게 이러한 트랙볼(120)의 회전감을 제공할 수 있다.
트랙볼 본체부(110)는 내부에 소정 공간을 가진 하우징일 수 있다. 트랙볼 본체부(110)는 상부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트랙볼 본체부(110)는, 트랙볼(120)이 관통홀을 통해 소정 부분 노출되도록 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트랙볼 본체부(110)의 관통홀은, 트랙볼(120)이 트랙볼 본체부(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트랙볼(12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랙볼(120)은 구형상일 수 있다. 트랙볼(120)은 트랙볼 본체부(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트랙볼(120)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회전 가능하다. 트랙볼(120)은 내부에 자성체(121)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자성체(121)는 트랙볼(121)보다 직경이 작은 구형상일 수 있다. 자성체(121)는 트랙볼(12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자성체(121)는 외주를 따라 N극과 S극이 번갈아가며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트랙볼(120)의 회전시, N극과 S극의 크기만큼 회전될 때 마다 위치 고정되는데, 자성체(121)는 사용자에게 이러한 트랙볼(120)의 회전감을 제공할 수 있다.
자력 발생부(130)는 트랙볼 본체부(110) 내부에, 트랙볼(120) 주변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자력 발생부(130)는 전기 전도성이 뛰어난 금속일 수 있다. 자력 발생부(130)는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자력을 발생할 수 있다.
자력 발생부(130) 각각은, 트랙볼(120) 주변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력 발생부(130) 각각은,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인터페이스 화면에 따라 서로 다른 자력을 발생할 수 있다. 자력 발생부(130) 각각은, 마이너스 자력을 발생시켜 트랙볼(12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랙볼(120)은, 마주보는 자력 발생부(130)가 마이너스 자력을 발생시키면, 자력 발생부(130)가 위치하는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즉, 트랙볼(120)은 위에서 바라보는 경우, 상하좌우 및, 대각선 네 방향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이는 인터페이스 화면에 따라 필요한 방향으로만 트랙볼(120)이 회전되도록 하고, 전방 도로 및 인터페이스 화면을 주시하는 사용자에게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센서부(140)는 트랙볼(120) 하부에 위치하여 트랙볼(12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트랙볼(120)의 회전 방향, 회전 거리 및,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트랙볼(120)의 상하좌우 및, 대각선 네 개의 회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트랙볼(120)과의 거리를 이용하여 트랙볼(120)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트랙볼의 움직임을 상기한 바 있는 차량 내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트랙볼(120)의 회전 방향과 회전 거리에 따라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인터페이스 화면 내 선택 요소 중 어느 하나로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트랙볼(120)이 사용자에 의해 눌러져 높이가 기준값 이하로 작아지는 경우, 사용자의 클릭으로 판단하여 커서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선택 요소를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준값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도4를 참고하면, 트랙볼(120)을 위에서 바라보는 경우, 트랙볼(120) 기준으로 상하좌우 및, 대각선 네 방향에 위치하는 복수의 자력 발생부(130)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 트랙볼(120)의 회전 방향이 제한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자력 발생부(130)의 제2, 제4, 제6, 제8 자력 발생부(132, 134, 136, 138)가 마이너스 자력을 발생하는 경우에는 트랙볼(120)의 대각선 네 방향의 회전이 제한되어, 상하좌우 네 개의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자력 발생부(130)의 제1, 제3, 제5, 제7 자력 발생부(131, 133, 135, 137)가 마이너스 자력을 발생하는 경우에는 트랙볼(120)의 상하좌우 방향의 회전이 제한되어, 대각선 네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다. 그 외의 경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트랙볼(120)의 회전 방향이 제한되는 것은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인터페이스 화면의 종류에 따라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랙볼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트랙볼(120)의 미세 회전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인터페이스 화면에 따른 햅틱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주의 분산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전 주행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트랙볼을 자력으로 제어하는 형태로 부품 최소화가 가능하고, 차량의 스티어링 휠 및 기어박스 등에 설치가 용이하다.
도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랙볼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 시스템(10)은 주행 중인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인터페이스 화면 조작시, 사용자의 주의 분산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트랙볼 장치(100), 제어부(200) 및 디스플레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랙볼 장치(100)는 도1 내지 도4를 통해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200)는 인터페이스 재생부(210), 센싱정보 수신부(220), 연산부(230) 및 자력 송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재생부(210)는 디스플레이부(300)에 인터페이스 화면을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 화면은 트랙볼 장치(100)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는 커서와, 선택되는 복수의 선택 요소가 표시된다. 인터페이스 화면은 요소간 이동 선택, 리스트 간 이동 선택, 영역간 이동 선택 및 최대값 이동 선택을 포함할 수 있다. 커서는 색상, 모양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복수의 선택 요소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될 수 있다.
센싱정보 수신부(220)는 트랙볼 장치(100)의 움직임에 따른 센싱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정보는 트랙볼 장치(100)의 센서부(140)에 의해 전송되며, 트랙볼 장치(100)의 트랙볼(120)의 회전 방향, 회전 거리 및 높이를 포함한 정보이다. 센싱정보 수신부(220)는 인터페이스 재생부(210)로부터 인터페이스 화면을 수신할 수 있다.
연산부(230)는 인터페이스 화면 및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자력값을 연산할 수 있다. 연산부(230)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선택 요소를 기반으로 트랙볼 장치(100)의 자력 발생부(130) 각각의 자력값을 연산할 수 있다. 예컨대, 선택 요소가 두 개이고, 커서가 좌측 선택요소에서 우측 선택요소로 이동 가능한 경우에는 트랙볼(120)의 상하 두 방향 및 대각선 네 방향에 위치하는 자력 발생부(130)의 자력값을 마이너스 자력이 발생되는 자력값으로 연산할 수 있다.
자력 송출부(240)는 연산부(230)로부터 자력값을 전달받을 수 있다. 자력 송출부(240)는 트랙볼 장치(100)의 자력 발생부(130) 각각에 자력값을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요소간 이동 선택, 리스트 간 이동 선택, 영역간 이동 선택, 최대값 이동 선택 등의 다양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요소간 이동 선택, 리스트 간 이동 선택, 영역간 이동 선택, 최대값 이동 선택 등의 인터페이스 화면은 중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트랙볼 장치(100)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는 커서와, 선택되는 복수의 선택요소를 표시할 수 있다.
도6을 참고하면, 요소간 이동 선택을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도6의 (a)에서, 인터페이스 화면(310) 내 복수의 선택 요소는 제1, 제2, 제3, 제4, 제5 선택 요소(311, 312, 313, 314, 315)를 포함한다. 이때 커서는 제1 선택요소(311)의 테두리를 강조하는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도6의 (b)에서, 트랙볼 장치(100)의 트랙볼(120)은 도6의 (a)의 인터페이스 화면(310)을 기반으로 좌상측 및, 우하측 대각선 두 방향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도7 내지 도10을 참고하면, 다양한 인터페이스 화면 및 그에 따른 조작요구장력과 트랙볼 회전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도7에서, 인터페이스 화면은 요소간 이동 선택을 나타낸다. 인터페이스 화면 내 선택 요소의 선택에 요구되는 사용자의 누르는 힘(조작요구장력)과 선택 요소 간 커서의 이동에 요구되는 트랙볼의 회전 거리는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도8에서, 인터페이스 화면은 리스트(List) 간 이동 선택을 나타낸다. 인터페이스 화면 내 선택 요소의 선택에 요구되는 사용자의 누르는 힘(조작요구장력)과 선택 요소 간 커서의 이동에 요구되는 트랙볼의 회전 거리는 도7의 조작요구장력과 트랙볼의 회전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도9에서, 인터페이스 화면은 영역간 이동 선택을 나타낸다. 인터페이스 화면 내 선택 요소의 선택에 요구되는 사용자의 누르는 힘(조작요구장력)과 선택 요소 간 이동에 요구되는 트랙볼의 회전 거리는 도7의 조작요구장력과 트랙볼의 회전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도10에서, 인터페이스 화면은 최대값 이상 선택을 나타낸다. 인터페이스 화면 내 선택 요소의 선택에 요구되는 사용자의 누르는 힘(조작요구장력)은 도7의 조작요구장력보다 크고, 선택 요소 간 이동에 요구되는 트랙볼의 회전 거리는 도7의 트랙볼의 회전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트랙볼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 시스템(10)은 주행 중인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디스플레이부(300))의 인터페이스 화면 조작시, 인터페이스 화면에 따라 트랙볼 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주의 분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트랙볼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 시스템(10)은 자력으로 컨트롤 되는 트랙볼 장치(100)를 통해 인터페이스 화면의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와이파이(wifi)나 블루투스(Bluetooth) 기능 접목 시 무선으로 제어 가능하며, 차량 내 모든 좌석에서 트랙볼 장치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화면 제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 시스템
100: 트랙볼 장치
110: 트랙볼 본체부
120: 트랙볼
121: 자성체
130: 자력 발생부
140: 센서부
200: 제어부
210: 인터페이스 재생부
220: 센싱정보 수신부
230: 연산부
240: 자력 송출부
300: 디스플레이부

Claims (11)

  1. 트랙볼 본체부;
    상기 트랙볼 본체부 내부에 배치되는 트랙볼;
    상기 트랙볼 본체부 내부에, 상기 트랙볼 주변에 구비되는 복수의 자력 발생부; 및
    상기 트랙볼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트랙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트랙볼은 내부에 자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자성체는 외주를 따라 N극과 S극이 번갈아가며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자력 발생부는 각각, 차량의 인터페이스 화면에 따라 서로 다른 자력을 발생하고,
    상기 복수의 자력 발생부 중 일부는 상기 트랙볼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 내 선택 요소 중 어느 하나로 커서가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자력 발생부 중 나머지 일부는 마이너스 자력을 발생하여 상기 트랙볼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트랙볼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력 발생부는 각각, 상기 트랙볼 주변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볼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볼은,
    상기 마이너스 자력에 의해 상하좌우 및, 대각선 네 방향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볼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트랙볼 장치;
    상기 트랙볼 장치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는 커서와, 선택되는 복수의 선택 요소가 표시되도록,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따라 상기 트랙볼 장치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트랙볼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재생하는 인터페이스 재생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 및 상기 트랙볼 장치의 움직임에 따른 센싱정보를 수신하는 센싱정보 수신부;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 및 상기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자력값을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트랙볼 장치에 상기 자력값을 전송하는 자력 송출부;
    를 포함하는 트랙볼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은,
    요소간 이동 선택, 리스트 간 이동 선택, 영역간 이동 선택, 최대값 이동 선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볼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볼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따라 상기 선택 요소의 선택에 요구되는 사용자의 누르는 힘과 상기 선택 요소 간 이동에 요구되는 트랙볼의 회전 거리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볼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 시스템.
KR1020160029575A 2016-03-11 2016-03-11 트랙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 시스템 KR102416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575A KR102416642B1 (ko) 2016-03-11 2016-03-11 트랙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575A KR102416642B1 (ko) 2016-03-11 2016-03-11 트랙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018A KR20170106018A (ko) 2017-09-20
KR102416642B1 true KR102416642B1 (ko) 2022-07-05

Family

ID=60034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575A KR102416642B1 (ko) 2016-03-11 2016-03-11 트랙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6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9578A (ja) * 2002-09-24 2004-05-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ラックボール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車載機器操作装置
JP2006260179A (ja) * 2005-03-17 2006-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ラックボー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921455A (en) * 2007-10-23 2009-05-16 Panasonic Corp Input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9578A (ja) * 2002-09-24 2004-05-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ラックボール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車載機器操作装置
JP2006260179A (ja) * 2005-03-17 2006-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ラックボー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018A (ko) 201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6173B1 (ko) 공간-의존 콘텐츠를 위한 햅틱 효과 생성
KR101463540B1 (ko) 휴대용 전자 기기를 이용한 3차원 가상 커서 제어 방법
US10216297B2 (en) Universal user interface device
KR101650371B1 (ko) 중력에 의해 이동되는 감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포인터를 이용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US9007299B2 (en) Motion control used as controlling device
CN100485613C (zh) 提供三维图形用户界面的设备和方法
EP3000013B1 (en) Interactive multi-touch remote control
US9223416B2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l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50985B1 (ko)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EP2677741A1 (en)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932790B2 (ja) ディスプレイ上のオブジェクトの強調
KR20040017832A (ko) 끊김없이 조합시킨 자유로운 커서 이동 및 하이라이트네비게이션 점프
CN102999176A (zh) 用于无线控制装置的方法和系统
KR2014013335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CN106325373A (zh) 电子设备和信息处理方法
CN101802755A (zh) 机顶盒的用户界面
JP2010170388A (ja) 入力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CN105190475A (zh) 遥控器、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664038B1 (ko)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EP2538308A2 (en) Motion-based control of a controllled device
KR102416642B1 (ko) 트랙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 시스템
WO2015083267A1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CN205121414U (zh) 电子设备
US20070101277A1 (en) Navigation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graphic user interface
CN113797527B (zh) 一种游戏处理方法、装置、设备、介质及程序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