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546B1 - 주입 펌프 시스템용 모듈 커넥터 - Google Patents

주입 펌프 시스템용 모듈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546B1
KR102416546B1 KR1020207024386A KR20207024386A KR102416546B1 KR 102416546 B1 KR102416546 B1 KR 102416546B1 KR 1020207024386 A KR1020207024386 A KR 1020207024386A KR 20207024386 A KR20207024386 A KR 20207024386A KR 102416546 B1 KR102416546 B1 KR 102416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assembly
module
contacts
disposed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6116A (ko
Inventor
리 알란 굿
산티아고 로만 닷지
다니엘 알렉시 토로
오스틴 무레
에릭 더블유. 쉬이브
Original Assignee
케어퓨전 303,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어퓨전 303, 인크. filed Critical 케어퓨전 303, 인크.
Publication of KR20200116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2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for medical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3Modular systems comprising interconnec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1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conductive elasto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27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with evacuation of penetrating 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03Using a biosen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with memories providing a history of measured variating parameters of apparatus or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5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모듈식 의료 디바이스용 커넥터 조립체는 여기에 개시된다. 커넥터 조립체는 본체, 인쇄 회로 보드, 프레임,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및 복수의 접촉부를 포함한다. 인쇄 회로는 본체에 배치되고 복수의 전기 접촉부를 가진다. 프레임은 본체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중앙 개구를 포함한다.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는 중앙 개구에 배치된다. 복수의 접촉부 각각은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에 밀봉 배치되고, 인쇄 회로 상의 대응하는 전기 접촉부와 접촉 배치되며, 그리고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의 변형 시에 움직일 수 있다.

Description

주입 펌프 시스템용 모듈 커넥터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주입에 의한 의료 유체의 투여에 관한 것이며, 특히 주입 펌프 시스템용 모듈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주입 펌프는 의료 산업 내에서 환자에게 약물, 유체 및/또는 영양분을 정확하게 투여하기 위한 디바이스로 보편화되었다. 펌프를 사용하면 IV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간단한 롤러 클램프가 있는 상승된 유체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역사적 방법에 비해 환자에게 유체의 볼륨 및 전달 속도를 보다 정확하고 일관되게 제어할 수 있다.
주입 펌프를 사용하여, 다수의 유체의 주입을 제어하고/하거나, 주입 동안 그리고/또는 주입 사이에 환자 특성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제어 가능한 펌프 모듈, 생리학적 모니터 모듈, 및 데이터 수집 모듈을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결합하여 주입 시스템을 형성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개시된 청구 대상은 모듈식 의료 디바이스용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커넥터 조립체가 개시되고,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본체; 본체에 배치되고 복수의 전기 접촉부를 가진 인쇄 회로; 본체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프레임 - 상기 프레임은 중앙 개구를 포함함; 중앙 개구에 배치된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및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에 각각 밀봉 배치되고, 인쇄 회로 상의 대응하는 전기 접촉부와 각각 접촉 배치되며,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의 변형 시에 각각 움직일 수 있는 복수의 접촉부;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다음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접촉부 각각이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에서의 개구에 배치된 리벳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인쇄 회로 상의 복수의 전기 접촉부 각각이 대응하는 리벳에 의해 압축될 수 있는 포고 핀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인쇄 회로 상의 복수의 전기 접촉부 각각이 대응하는 리벳에 의해 압축될 수 있는 리프 스프링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복수의 접촉부 각각이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에서의 개구에 배치된 포고 핀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커넥터 조립체가 대응하는 암 커넥터 조립체에 기계적 결합을 위해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수 행거 구조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수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커넥터 조립체가 대응하는 수 커넥터 조립체에 기계적 결합을 위한 프레임 상의 리세스를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암 행거 구조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암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프레임 상에 한 쌍의 리프트 방지 구조 (anti-lift structures)를 추가로 포함하는 암 커넥터 조립체. 리프트 방지 구조체 각각이 암 커넥터 조립체 및 대응하는 수 커넥터 조립체의 수평 정렬을 위해 구성된 테이퍼를 포함하는 암 커넥터 조립체.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가 복수의 변형 가능한 (collapsible) 돔 (상기 돔 각각은 복수의 접촉부 중 하나를 수용함)을 포함한 커넥터 조립체.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가 복수의 접촉부 주위에서 연장되는 주변 밀봉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주변 밀봉부가 배수 갭 (drainage gap)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상기 본체가 길이 방향 정렬 특징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소정의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 및 모듈을 포함한 주입 시스템이 개시되고, 상기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패스너 (fastener)에 의해 제어 유닛에 부착되고,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본체; 본체에 배치되고 복수의 전기 접촉부를 가진 인쇄 회로; 본체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프레임 - 상기 프레임은 중앙 개구를 포함함; 중앙 개구에 배치된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및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에 각각 밀봉 배치되고, 상기 인쇄 회로 상의 대응하는 전기 접촉부와 각각 접촉 배치되며,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의 변형 시에 각각 움직일 수 있는 복수의 접촉부;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다음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이 커넥터 조립체를 제어 유닛 상의 대응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결합시킴으로써 주입 시스템의 제어 유닛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펌프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주입 시스템. 펌프 모듈의 커넥터 조립체가 암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 상의 대응하는 커넥터 조립체가 수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입 시스템. 상기 주입 시스템은 주입 시스템에 대한 부가적인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부가적인 모듈은: 부가적인 모듈을 펌프 모듈 상의 수 커넥터 조립체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암 커넥터 조립체; 및 부가적인 모듈을 제어 유닛 상의 암 커넥터 조립체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수 커넥터 조립체;를 가진다. 부가적인 모듈이 iv 펌프 모듈, 주사기 모듈, 환자 모니터링 모듈, 또는 데이터 수집 모듈을 포함하는 주입 시스템.
본 기술의 다양한 구성이 본 개시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손쉽게 명백해질 것이며, 본 기술의 다양한 구성이 예시로서 도시되고 기술된다는 것이 이해된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기술은 다른 구성 및 상이한 구성을 가능케 하며, 그의 여러 세부 사항은 본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다른 측면에서 수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해결 수단,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추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되고 본 명세서에 통합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개시된 실시예를 예시하고, 설명과 함께 개시된 실시예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개시의 소정의 관점에 따른 주입 시스템을 사용하여 환자에게 의료용 유체를 투여하는 시스템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2-31은 본 개시의 소정의 관점에 따른 모듈식 주입 펌프 시스템을 위한 다양한 관점의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한다.
개시된 커넥터 조립체는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에 각각 밀봉 배치된 복수의 접촉부를 포함한다. 접촉부 각각은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의 변형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를 이용함으로써, 커넥터 조립체는 유체가 그 안에 포획되는 것을 허용함 없이 전기적 연결을 허용할 수 있다.
이하에 설명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기술의 다양한 구성을 기술하며 본 기술이 실행될 수 있는 유일한 구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상세한 설명은 본 기술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특정 세부 사항을 포함한다. 따라서, 비-제한적인 예로서 소정의 관점과 관련하여 치수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기술이 이러한 특정 세부 사항 없이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본 기술의 개념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잘 알려진 구조 및 구성요소가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나타난다.
다음 설명이 개시된 커넥터 조립체를 사용하여 의료용 유체를 투여하기 위한 모듈의 연결에 관한 것이지만, 이 설명이 단지 사용의 예일 뿐이며 청구 범위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개시된 커넥터 조립체의 다양한 관점은 견고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 임의의 적용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개시된 커넥터 조립체는 소정의 종래의 전기 커넥터와 관련하여 발견 된 여러 문제를 극복한다. 소정의 종래 커넥터의 문제점은 낮은 "로드 베어링" 강도, 가속시 마모 및/또는 세척 또는 우발적 습윤 후 현저한 건조 시간, 및 갈바닉 부식을 일으키는 유체 침투로 인한 기계적 손상에 대한 민감성을 포함한다. 종래 커넥터가 기계적 손상이나 유체 침투에 민감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커넥터의 사용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므로, 본 개시에 따르면, 기계적 손상 및 유체 침투를 제거 또는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여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달리, 개시된 커넥터 조립체는 증가된 구조적 "로드 베어링" 강도, 기계적 손상에 대한 민감성 감소, 세척 또는 우발적 습윤 후 건조 시간 감소, 가속시 마모 감소, 연결 시 유체 침투 감소, 모든 조건 하에서 모듈로의 유체 침투 감소, 검사하기 더 쉬운 구성, 세척 및 건조하기 더 쉬운 구성, 갈바닉 부식에 대한 감소된 잠재력, 및/또는 하나, 둘 이상의 부가적인 파워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개시된 커넥터 조립체는 견고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및 부가적인 커넥터 특징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본 기술의 예를 포함하고 첨부된 청구 범위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기술의 다양한 관점이 이제 특정하지만 비-제한적인 예에 따라 개시될 것이다. 본 개시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는 원하는 적용 또는 구현에 따라 상이한 방식 및 변화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개시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 사항이 설명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예가 특정 세부 사항의 일부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다른 경우에, 공지된 구조 및 기술은 개시 내용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았다.
이제 견고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예가 기술된다.
도 1은 주입 시스템 (12)을 사용하여 환자 (10)에게 의료용 유체를 투여하는 시스템 (100)의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 시스템 (12)은 제어 유닛 (16) 및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122)에 의해 제어 유닛 (16)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제거 가능한 및/또는 교환 가능한 모듈 (20)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122)는 주입 시스템에서 각 호환 유닛/모듈의 대향 측면에 부착되는 커넥터 조립체 (125) 및 커넥터 조립체 (200)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2 참조). 인터페이스 (122)는 모듈 (20)을 제어 유닛 (16)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결합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20)은 하나 초과의 측면 상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고, 그 결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 유닛에 제 1 모듈을 장착하고, 정합된 모듈에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모듈을 장착함으로써 (예를 들어, 제어 유닛에 장착된 모듈 상의 커넥터 조립체 (125)를 사용함), 다수의 모듈 (20)은 제어 유닛 (16)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모듈 (20)은 여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우측면 상에 수 커넥터 조립체를, 그리고 좌측면 상에 암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어 유닛 (16)은 또한 여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우측면 상에 수 커넥터 조립체를, 그리고 좌측면 상에 암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양한 환자 치료 및/또는 모니터링 시나리오를 위해 원하는 대로 다양한 모듈 (20) 또는 모듈 (20)의 체인이 제어 유닛 (16)의 양측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주입 시스템 (12)은 IV 백 (14)과 같은 컨테이너로부터 유체를 펌핑하는 2 개의 펌핑 모듈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유체 컨테이너 (14)는 IV 세트 (18)를 통해 주입 시스템 (12)에 그 후에 환자 (10)에 연결된다. 이 예에서, IV 세트 (18)의 일 부분이 (예를 들어, 도어 또는 다른 래치에 의해) 펌핑 모듈 (20)에 고정되고, 그 결과 펌프 모듈 (20) 내의 펌핑 구성요소는 IV 세트 (18)의 튜브를 조작하여 원하는 속도로 컨테이너 (14)로부터 환자에게 프로그래밍된 유체 볼륨을 펌핑할 수 있다. 2 개의 펌프 모듈이 도 1에서 제어 유닛 (16)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인식하여야 하는 바와 같이, 다른 모듈은 제어 유닛 (16)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접적으로, 또는 인터페이스 (122)를 사용하여 제어 유닛과 그 모듈 사이에 개재된 또 다른 모듈을 통해).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122)를 통해 제어 유닛 (16)에 결합될 수 있는 모듈 (20)은 주사기 펌프 모듈, 코드 스캐닝 디바이스를 가진 식별 모듈, 바이탈 사인 또는 다른 환자 특성 또는 주입 동안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모듈, 환자 제어 가능한 진통 모듈, 또는 다른 적합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 (20) 및 제어 유닛 (16)이 독성 및/또는 부식성일 수 있는 의료용 유체를 전달하도록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인터페이스가 유체에 노출되더라도, 인터페이스 내에서 유체의 포획을 줄이거나 제거하는 인터페이스 (122)의 다양한 특징이 제공된다.
도 2는 인터페이스 (122)의 구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의 예에서, 인터페이스 (122)의 커넥터 (125)는 수 커넥터 조립체로서 구현되고 인터페이스 (122)의 암 커넥터 조립체 (200)와 기계적으로 및 전기적으로 정합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수 커넥터 조립체 (125)는 스크류 (202)와 같은 패스너를 사용하여 제어 유닛 (16) (또는 또 다른 모듈 (20))에 장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202)는 본체 (204)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유리 충전 플라스틱 본체와 같은 견고한 본체)의 개구를 통과할 수 있다.
수 커넥터 조립체 (125)는 또한 도 2에 도시된 조립된 구성에서 본체 (204)를 넘어 연장되는 수 행거 구조체 (206)를 포함한다. 수 행거 구조체 (206)는 도 2의 조립된 구성에서 암 커넥터 조립체 (200)의 본체 (210)를 넘어 연장되는 암 행거 구조체 (208)에 의해 형성된 해당 리세스로 연장되도록 형상화 및 위치 (예를 들어, 만곡)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 행거 구조체 (206) 및 암 행거 구조체 (208)는 금속 또는 다른 적합한 고강도 재료로 형성될 수 있어, 수 행거 구조체 (206) 및 암 행거 구조체 (208)의 프로파일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 행거 구조체 (206) 및 암 행거 구조체 (208)의 감소된 프로파일은 여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접촉부 (214)의 구성에 대해 더 큰 유연성을 허용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수 행거 구조체 (206) 및 암 행거 구조체 (208)의 특징은 주입 시스템 (12)의 모듈 (20)을 탈부착하는데 필요한 접근 및 이탈 각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추가로, 감소된 접근 및 이탈 각도는 오퍼레이터가 모듈 (20)을 탈부착하기 위한 적게 과장된 모션을 이용하도록 하여, 부착 및 제거 동안 접촉부 (214)의 닿음 (wiping) 또는 마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암 커넥터 조립체 (200)는 수 커넥터 조립체 (125)로부터 분리되고, 수 커넥터 조립체 (125)에 결합하기 위해 각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암 커넥터 조립체 (200)는, 암 커넥터 조립체 (200)의 조립된 구성에서, 암 행거 구조체 (208)로부터 이격되고 본체 (210)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리프트 방지 돌출부 (212)를 포함한다. 도 2의 사시도는 엘라스토머 밀봉 부재 (213)에 밀봉 배치된 암 커넥터 조립체 (200)의 접촉부 (214)를 도시한다. 엘라스토머 밀봉 부재 (213)는 접촉부 (214) 상의 또는 그 주위의 압력에 반응하여 변형 가능함으로써, 각각의 접촉부 (214)가 대응하는 핀 (216)과의 전기 접촉부를 유지하면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추가로, 엘라스토머 밀봉 부재 (213)는 유체 침투를 방지하고, 유지를 용이하게 하고 인터페이스 (122)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 밀봉 몸체는 중간 접촉 표면을 포착 및 밀봉하고 커넥터 조립체 (125, 200)와 각각의 인클로저 사이의 밀봉을 유지할 수 있다. 추가로, 유체 침투를 방지하여, 갈바닉 부식이 방지될 수 있다.
일부 응용 분야에서, 갈바닉 부식은 유체 전해질로 인해 "가교된 (bridged)" 절연되지 않은 전기 전도체들 사이의 직류 (DC) 흐름으로 인해 일어난다. 갈바닉 부식은 DC 흐름을 방해 (차단)하여 제거된다. 주입 시스템용 접촉부 중 일부에 DC 전압이 현재 사용되기 때문에, 여기에서 기술된 커넥터 조립체는 노출을 줄이거나 짧게 하거나, 전해질이 전도체를 "가교"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엘라스토머 밀봉 부재 (213)는 접촉부 (214)의 노출된 전도성 표면적을 전기적 연결의 확실한 결합 및 유지를 보장하는 치수로 감소시켜, 세척 또는 우발적 습윤으로부터 액체에 노출된 후 건조해야 하는 표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엘라스토머 밀봉 부재 (213)의 배치는, 커넥터가, 유체를 수집할 장소가 없는 거의 평평한 표면을 포함하는 "제로 유체 트랩 (zero fluid trap)" 구성을 생성할 수 있다. 옵션으로, 엘라스토머 밀봉 부재 (213)의 배치는 접촉부 (214)의 닿음, 분무 및/또는 브러싱을 허용하고/하거나 압축 공기 건조의 사용을 허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접촉부 (214)는 리벳, 포고 핀 또는 다른 전도성 이동 가능한 접촉 구조체로 구현될 수 있다. 암 커넥터 조립체 (200)가 (예를 들어, 스크류 (203)와 같은 패스너에 의해) 제어 유닛 (16) 또는 모듈 (20 또는 16) 중 하나에 부착될 때, 핀 (216)은 제어 유닛 (16)에 의한 모듈 (20)의 동작을 위해, 및/또는 그 사이의 신호 통신을 위해 부착된 모듈 내의 제어 회로부를 전기 접촉부에게 제공한다.
유리하게는, 여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수 행거 구조체 (206) 및 암 행거 구조체 (208)의 구조적 지지 특징부를 접촉부 (214)의 전기적 연결 특징부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접촉부 (214)는 소수의 제약으로 견고한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하도록 위치 및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촉부 (214)는 접촉부 (214)의 검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오퍼레이터로부터 숨겨진 영역을 방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추가적으로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수 커넥터 조립체 (125)에는, 핀 (218)에 전기적 결합을 위해 엘라스토머 밀봉 부재에 밀봉 및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암 커넥터 조립체 (200) 상의 접촉부 (214) 중 하나에 각각 대응하는 접촉부가 유사하게 제공된다. 수 커넥터 조립체 (125)가 제어 유닛 (16) 또는 모듈 (20) 중 하나에 부착될 때, 핀 (218)은 제어 유닛 (16)에 의한 모듈 (20)의 동작, 및/또는 그 사이의 신호 통신을 위해, 부착된 모듈 내의 제어 회로부를 전기 접촉부에게 제공한다.
도 2는, 암 커넥터 조립체 (200)와 수 커넥터 조립체 (125)를 길이 방향으로 정렬하여 결합시키기 위해, 암 커넥터 조립체 (200)의 본체 (210)가 수 커넥터 조립체 (125)의 본체 (204) 상의 해당 정렬 특징부 (224) (예를 들어, 도 2의 예에서 리세스)와 맞물리는 정렬 특징부 (222) (예를 들어, 도 2의 예에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는 방법 역시 도시한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관점에 따라, 인터페이스 또는 IUI (Inter-Unit Interface) (122)는 인터페이스 (122)를 위한 기계적 행거 구조체와 통합된 엘라스토머 캡처 및 홀드 특징을 갖는, 엘라스토머-캡슐화되고 독립적으로 압축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저장, 세척 또는 사용 중에 유체가 포획되는 것을 허용함 없이 구조적 지지 및 전기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감소된 또는 제로 유체 트랩 IUI (122)가 제공된다.
도 3은 정합 구성 (mated configuration)의 암 커넥터 조립체 (200) 및 수 커넥터 조립체 (125)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의 예에서, 본체 (204 및 210)는 부분적으로 투명하게 도시되고, 그 결과, 암 커넥터 조립체 (200)와 수 커넥터 조립체 (125) 사이에 수/암 후크 맞물림을 형성하기 위해, 수 행거 구조체 (206)는 암 행거 구조체 (208)의 내부 표면에 의해 형성된 리세스 (302) 내에서 보일 수 있다. 암 커넥터 조립체 (200) 및 수 커넥터 조립체 (125)가 도 1의 제어 유닛 (16) 및/또는 모듈 (20)과 별도로 도시되어있지만, 이해되어야 하는 바와 같이, 수 커넥터 조립체 (125)가 (예를 들어, 스크류 (202)에 의해) 제어 유닛 (16) 또는 모듈 (20) 중 하나에 부착되고 암 커넥터 조립체 (200)가 제어 유닛 (16) 또는 모듈 (20) 중 하나 중 또 다른 것에 부착될 때, 도 3에 도시된 암/수 후크 맞물림은 제어 유닛 (16)을, 모듈 (20) 중 하나에 기계적으로 결합시키거나, 모듈 (20) 중 2 개를 기계적으로 결합시킨다.
도 3에서 보이지는 않지만, 도 3에 도시된 정합 구성은 또한, (i) 수 커넥터 조립체 (125) 상의 대응하는 접촉부에 암 커넥터 조립체 (200)의 접촉부 (214)를 가압하고, (ii) 암 커넥터 조립체 (200)와 수 커넥터 조립체 (125) 사이에 압축 밀봉을 생성함으로써 암 커넥터 조립체 (200)와 수 커넥터 조립체 (125)의 전기적 결합을 유발시킨다.
암 커넥터 조립체 (200) 내에서, 전기적 연결은 접촉부 (214)와 핀 (216) 사이에 형성된다. 수 커넥터 조립체 (125) 내에서, 전기적 연결은 이하에서 추가로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수 커넥터 조립체 (125) 상의 대응하는 접촉부와 핀 (218) 사이에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과잉 또는 2 차 핀 (216 및/또는 218)은 모듈의 단일 핀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3의 정합 구성에서, 리프트 방지 돌출부 (212)는 수 행거 구조체 (206) 아래로 연장되어 있어, 수 행거 구조체 (206)가 암 커넥터 조립체 (200)의 의도적인 회전 없이, 또 다른 모듈 (20)로부터 또는 제어 유닛 (16)으로부터 모듈 (20)의 우발적 리프트-이탈 (lift-off)을 방지하기 위해 리프트 방지 돌출부 (212)와 암 행거 구조체 (208)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4는 수 커넥터 조립체 (125)의 부분적인 분해 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의 예에서, 수 커넥터 조립체 (125)는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413)가 배치된 프레임 (400) 및 본체 (204)를 포함한다. 접촉부 (414)는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413)에 밀봉 배치된다. 이하에서 추가로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접촉부 (414)는 리벳, 포고 핀 또는 다른 전도성 이동 가능한 접촉 구조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회로 (402) (예를 들어, 가요성 인쇄 회로 또는 강성 인쇄 회로 보드)와 같은 커넥터 회로부가 본체에 장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간 인쇄 회로 (402)를 통합함으로써, 내부 신호 배치는 유지될 수 있는 반면, 외부 신호는 갈바닉 부식 및/또는 마모를 최소화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인쇄 회로 (402)는 접촉부 (404)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 (404)는 핀 (218)에 결합되고,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413)가 접촉부 (414) 상의 또는 그 주위의 압력에 의해 변형될 때, 접촉부 (414)가 접촉부 (404)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그 사이의 전기적 결합을 형성 또는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413)는 탄력적이며, 수 커넥터 조립체 (125)가 암 커넥터 조립체에 부착되지 않을 때 접촉을 유지하거나 접촉부 (414)를 접촉부 (404)로부터 분리하는 휴지 구성 (resting configuration)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 행거 구조체 (206)는 접촉부 (414)가 형성되는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위치에서 프레임 (400)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프레임 (400)은 부식에 강하고 전도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그 결과 프레임 (400)은 (예를 들어, 전도성 스크류 (202)를 통해 모듈 (16 또는 20)에서 프레임 (400)과 접지 회로부 사이의 전도성 연결을 통해) 커넥터 (125)에 대한 접지 구조체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400)은 파우더-몰딩된 스테인리스 스틸 (powder-molded stainless steel)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수 커넥터 조립체 (125)의 부분적인 분해 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218)은 본체 (204)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접촉부 (414)의 내부 표면이 보여질 수 있다. 프레임 (400)에서의 개구 (500)는 본체 (204)에서의 개구 (502)와 정렬되어 이를 통해 스크류 (202)를 수용한다. 수 커넥터 조립체 (125)의 내부 전기 결합은 프레임 (400)이 스크류 (202)를 연관 모듈 (16 또는 20)에 고정함으로써 본체 (204)에 가압될 때, 습기 또는 액체 침투로부터 밀봉된다.
도 6 및 7은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413)를 수용하는 중앙 개구 (600)를 볼 수 있는 프레임 (400)의 전방 및 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의 후방 사시도는 개구 (600) 내에 형성된 포켓 (700)을 도시한다. 본체 (204)에 프레임 (400)을 가압함은 포켓 (700)의 앞 표면이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413)의 대응하는 표면에 가압되게 하여, 접촉부 (404) 및 접촉부 (414)의 내부 표면이 수용되는 커넥터 (125)의 내부를 밀봉한다.
도 8은 접촉부 (814)가 내부에 밀봉 배치된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813)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813) 및 접촉부 (814)는 암 커넥터 조립체 (200)의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213) 및 접촉부 (214)의 구현 또는 수 커넥터 조립체 (125)의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413) 및 접촉부 (414)의 구현일 수 있다.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813)는 소수성 또는 초 소수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될 수 있거나, 유지된 수분을 억제하고 갈바닉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소수성 또는 초 소수성 코팅으로 코팅된 엘라스토머일 수 있다.
도 9는 주변 밀봉부 (900)가 접촉부 (814) 주위에 형성되는 구현에서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813)의 정면을 도시한다. 밀봉부 (900)는 정합된 커넥터의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에 대해 밀봉부 (900)가 가압될 때 액체가 접촉부 (814)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밀봉부 (900)는 정합 또는 분리 동안 접촉부 (814)가 이동 및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의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밀봉부 (900)에는 커넥터 조립체를 위한 배출 벤트 (egress vent)를 형성할 수 있는 갭 (1000)이 제공될 수 있다. 갭 (1000)은, 구조체 (813)가 정합된 커넥터의 구조체 (813)에 가압될 때 구조체 (813)의 표면 상에 존재하는 임의의 수분 또는 액체가 접촉부 (814)로부터 갭 (1000)을 통해 밖으로 가압되어 수분을 배출하고 갈바닉 부식을 방지하도록 밀봉부 (900)의 하부 부분에 형성된다.
도 9 및 10은 또한 각각의 접촉부 (814)가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813)의 표면 (802) 상의 돔 (800)의 개구에 배치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다. 각 돔 (800)은 압력 하에서 압축 가능하거나 변형 가능할 수 있어서, 돔이 압축되어 접촉부 (414)로부터 수분을 점진적으로 쫓아낼 수 있다. 도 11은 접촉부 (1104)를 가진 대응하는 인쇄 회로 (1102)로부터 이격된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813)를 도시하고, 상기 접촉부 (1104) 각각은 (예를 들어, 프레임 (400)이 본체 (204)에 부착될 때) 해당 접촉부 (814)에 의해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인쇄 회로 (1102)는 수 커넥터 조립체 (125)의 인쇄 회로 (402)의 구현일 수 있거나, 암 커넥터 조립체 (200)의 인쇄 회로일 수 있다.
도 12는 암 커넥터 조립체 (200)의 프레임 (1202)에 대향하는 수 커넥터 조립체 (125)의 프레임 (400)을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1202)은 포켓 (1204)을 갖는 개구 (1200)를 포함하고, 그 결과 프레임 (1202)은 수 커넥터 조립체 (125)의 프레임 (400) 및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413)에 대해 상술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213/813)를 수용한다. 도 12의 예에서, 암 행거 구조체 (208) 및 리프트 방지 돌출부 (212)는 프레임 (1202)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도 13은 프레임 (1202)이 프레임 (400)과 맞물리고 암 행거 구조체 (208)가 수 행거 구조체 (206) 위로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구성에서 부분 프레임 (400 및 1202)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의 구성에서 프레임 (400 및 1202)의 단면도는 도 14에 도시되고, 도 14에서는 프레임 (400 및 1202)의 맞물림 및/또는 맞물림 해제 동안 스크류 (203)와 같은 패스너의 헤드 (1402)를 수용하기 위해 수 행거 구조체 (206)에서 클리어런스 노치 (clearance notch, 1400)를 볼 수 있다. 수 행거 구조체 (206) 각각에서의 클리어런스 노치 (1400)는 도 15의 프레임 (400) 정면도에서 볼 수 있다.
도 16 및 17은 수 커넥터 조립체 (125) 및 암 커넥터 조립체 (200) 각각의 사시도이다. 도 16 및 17의 예에서, 수 커넥터 조립체 (125)의 길이 방향 정렬 특징부 (224)는 리세스이고 암 커넥터 조립체 (200)의 길이 방향 정렬 특징부 (222)는 대응하는 돌출부이다. 그러나, 인식되어야 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조립체 (125 및 200)의 길이 방향 정렬을 위한 협력 특징부를 형성하기 위해 본체 (204 및 210) 중 어느 하나 상의 돌출부 및 리세스의 임의의 다양한 조합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6 및 17의 예는 또한 수 커넥터 조립체 (125)의 리세스 (1600)를 도시하고, 상기 리세스는 암 커넥터 조립체 (200)의 리프트 방지 특징부 (21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각 리세스 (1600)는 수 행거 구조체 (206)와 본체 (204)의 일 부분 사이에 수직으로 그리고 프레임 (400)의 일 부분과 본체 (204)의 추가 부분 사이에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8, 19, 및 20 각각은 정렬 리세스 (224) 내에 배치된 정렬 돌출부 (222)와 맞물림 또는 맞물림 해제 동안 수 커넥터 조립체 (125) 및 암 커넥터 조립체 (200)의 상부 측면 사시도, 단면 사시도 및 상부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맞물림 또는 맞물림 해제 동안 수 커넥터 조립체 (125) 및 암 커넥터 조립체 (200)의 상부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1의 예에서, 본체 (210)는 부분적으로 투명하게 도시되어 있어 리프트 방지 구조체 (212)가 리세스 (1600)와 정렬되어 보일 수 있다. 도 22는 정렬 리세스 (224) 내에 배치된 정렬 돌출부 (222) 및 리세스 (1600) 내에 배치된 리프트 방지 구조체 (212)와 정합된 구성의 수 커넥터 조립체 (125) 및 암 커넥터 조립체 (200)의 측 단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3, 24 및 25는 맞물림 또는 맞물림 해제 동안 수 커넥터 조립체 (125) 및 암 커넥터 조립체 (200)의 저-측면 사시도, 저면 사시도 및 확대된 저면 사시도이며, 리프트 방지 구조 (21)가 부착하는 동안 수평 (길이 방향) 정렬 및 센터링할 시에 추가 도움을 주는 테이퍼링 측벽 (2300)을 포함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다.
상기에서 유의한 바와 같이, 암 커넥터 조립체 (200) 상의 접촉부 (214) 및/또는 수 커넥터 조립체 (125) 상의 접촉부 (414)는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213 및 413) 각각에 밀봉 배치될 수 있는 리벳, 포고 핀, 또는 다른 전도성 접촉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6 및 27은 수 커넥터 조립체 (125)의 접촉부 (414)가 리벳으로 구현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28-30은 수 커넥터 조립체 (125)의 접촉부 (414)가 포고 핀 (pogo pins)으로 구현되는 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도 26-30의 수 커넥터 조립체 (125)의 접촉부 (414)의 설명 중 어느 것은 암 커넥터 조립체 (200)의 접촉부 (214) 및 연관 인쇄 회로 접촉부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6은 접촉부 (414)가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413)의 개구에 밀봉 배치된 리벳 (2602)으로서 구현되는 수 커넥터 조립체 (125)의 측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벳 (2602)은 외부 접촉 표면을 형성하는 외부 (예를 들어, 돌출) 부분 (2600), 인쇄 회로 (402)와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는 내부 부분 (2603), 및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413)와 밀봉 맞물리게 되고 외부 부분 (2600)을 내부 부분 (2603)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는 중간 부분 (260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6의 예에서, 인쇄 회로 (402) 상의 접촉부 (404)는 인쇄 회로 (402)와 대응하는 리벳 (2602)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연장되어 그 리벳을 인쇄 회로 (402)에 전도적으로 결합시키는 포고 핀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포고 핀은 베이스 부분 (2610), 연장 부분 (2613), 및 리벳 (2602)의 내부 부분 (2603)과 접촉하도록 연장 부분 (2613)을 편향시키는 내부 스프링 (2612)을 포함할 수 있다. 리벳 (2602)의 외부 부분 (2600)은 도 26의 예에서와 같이 돌출 부분일 수 있거나, 구조체 (413) 상의 평평한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부분 (2603)은 리벳 (2602)과 접촉부 (404) 사이의 전기적 및 기계적 맞물림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리세스 (2614)와 같은 표면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6의 예가 접촉부 (414)의 리벳 구현 및 접촉부 (404)의 포고 핀 구현을 도시하지만, 인식되어야 하는 바와 같이,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413)의 리벳 접촉부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 스프링 접촉부 (2700)과 같은 다른 인쇄 회로 접촉부와 협력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26 및 27의 예에서,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413)의 개구 내에 리벳 (2602)을 부착하기 위한 압축력은 유체 또는 먼지가 조립체 (125) 내에 밑에 있는 중간 접촉 구역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을 형성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리벳 (2602)은, 엘라스토머에서 압축 밀봉을 생성하기 위해 변형되거나, 엘라스토머에서 압축 밀봉을 형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구조체 (413)의 대향 측면으로부터) 조립되는 다중-부분 전도성 접촉부일 수 있는 단일 전도성 접촉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6 및 27의 예가 접촉부 (414)의 리벳 구현을 도시하고 있지만, 인식되어야 하는 바와 같이, 다른 타입의 접촉부가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413)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8은 포고 핀 접촉부 (414)가 내부에 배치된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 (413)의 단면 상부도를 도시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 (414)는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413)의 개구와 밀봉되게 맞물리는 고정 부분 (2804), 이동 부분 (2806), 및 암 커넥터 조립체 (200)의 접촉부 (214)에 전기 결합을 위한 외부 접촉 표면 (2800)을 제공하기 위해 이동 부분 (2806)을 바깥쪽으로 편향시키는 스프링 (2808)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8의 예에서 포고 핀 커넥터의 내부 피크는 도 29 및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회로 (402) 상의 표면 접촉부 (404)와 접촉하기 위해 배치된다. 도 29는 또한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413)가 (예를 들어, 수 커넥터 조립체와 암 커넥터 조립체가 정합될 때 암 커넥터 조립체 (200) 상의 대응하는 접촉부로부터) 방향 (2902)의 힘 하에서 각 돔 (800)의 개별적인 변형을 용이하게 하는 돔 릴리프 특징부 (2900)를 포함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31은 수 커넥터 조립체 (125)의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413)에서의 접촉부 (414)와 암 커넥터 조립체 (200)의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213)에서의 접촉부 (214) 사이의 초기 접촉점 (3100)을 도시한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돔 (800)은 초기 접촉으로 인해 변형되고 있다 (collapsing).
리벳, 포고 핀 접촉부, 및/또는 리프 스프링 (leaf spring) 접촉부는 구리 또는 도금된 구리 (예를 들어, 금 또는 니켈 도금된 베릴륨 구리) 재료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전도성 재료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선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본 개시의 다양한 특징은 엘라스토머 캡처 특징부를 갖는 통합 행거, 포고 핀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에 반대), 소수성 또는 초 소수성 엘라스토머 또는 엘라스토머 코팅, 핀마다 독립적으로 변형 가능한 돔, 수분을 쫓아내기 위해 접촉 시에 변형되는, 각 핀을 둘러싼 돔, 정합 중에 유체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주변 밀봉부, 부착 중에 공기/유체가 빠져나가도록 하는 주변 밀봉부에서의 벤트 또는 갭, 대향 행거 패스너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노치를 가진 금속 행거, 부착 중에 커넥터를 중심에 두기 위한 길이 방향 정렬 특징부 (예를 들어, 테이퍼를 갖춤), 맞물릴 시에 수직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행거에 통합된 리프트 방지 특징부, 및/또는 부착 중에 수평 센터링 시에 도움을 주기 위한 테이퍼링된 리프트 방지 특징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는 임의의 통상의 기술자가 여기에 기술된 다양한 관점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개시는 본 기술의 다양한 예를 제공하며, 본 기술은 이러한 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관점에 대한 다양한 수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고,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다른 관점에 적용될 수 있다.
단수로 된 요소에 대한 언급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하나 및 하나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용어 "일부"는 하나 이상을 지칭한다. 남성의 대명사 (예를 들어, 그)에는 여성 및 중성 성별 (예를 들어, 그녀 및 그)이 포함되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제목과 부제목은 만약 있다면, 편의상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여기에 "예시적인"이라는 단어는 "예 또는 예시로서 제공되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기술된 임의의 관점 또는 설계는 반드시 다른 관점 또는 설계보다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될 필요는 없다. 일 관점에서, 여기에 기술된 다양한 대안적인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동등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관점"과 같은 문구는 그러한 관점이 본 기술에 필수적이거나 그러한 관점이 본 기술의 모든 구성에 적용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관점에 관한 개시는 모든 구성 또는 하나 이상의 구성에 적용될 수 있다. 관점은 하나 이상의 예를 제공할 수 있다. 관점과 같은 문구는 하나 이상의 관점을 지칭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실시예"와 같은 문구는 그러한 실시예가 본 기술에 필수적이거나 그러한 실시예가 본 기술의 모든 구성에 적용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실시예에 관한 개시는 모든 실시예 또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예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와 같은 문구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지칭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구성"과 같은 문구는 그러한 구성이 본 기술에 필수적이거나 그러한 구성이 본 기술의 모든 구성에 적용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구성에 관한 개시는 모든 구성, 또는 하나 이상의 구성에 적용될 수 있다. 구성은 하나 이상의 예를 제공할 수 있다. 구성과 같은 문구는 하나 이상의 구성을 지칭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일 관점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음 청구항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 서술된 모든 측정치, 값, 등급, 위치, 크기, 사이즈 및 다른 사양은 정확하지 않은 근사치이다. 일 관점에서, 그들은 그들이 관련된 기능 및 그들이 관련된 기술에서 관례적인 것과 일치하는 합리적인 범위를 갖도록 의도된다.
일 관점에서, 용어 "결합된" 등은 직접 결합되는 것을 지칭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용어 "결합된" 등은 간접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경우 "상부", "하부", "전방", "후방" 등과 같은 용어는 보통의 중력 기준 프레임이 아니라 임의의 기준 프레임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로써, 상부 표면, 하부 표면, 전방 표면 및 후방 표면은 중력 기준 프레임에서 상향, 하향, 대각선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기술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항목이 상이하게 모두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순서로 배열되거나 상이한 방식으로 분할됨).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지거나 나중에 알려지게 되는 본 개시 전체에 걸쳐 기술된 다양한 양태의 요소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등가물은 여기에 참조로 명시적으로 통합되고 청구 범위에 포괄되도록 의도된다. 게다가, 여기에 개시된 어떤 것도 그러한 개시가 청구 범위에 명시적으로 언급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대중에게 전념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요소가 "의미"라는 문구를 사용하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방법 청구의 경우 요소가 "단계"라는 문구를 사용하여 언급되지 않는 한. 35 U.S.C.§112, 제 6 절 조항에 따라 청구항 요소를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더욱이, 용어 "포함하다", "가지다" 등이 사용되는 한, 그러한 용어는 "포함하다"가 청구항에서 과도기적 단어로 사용될 때 해석되기 때문에, "포함하다"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본 개시의 명칭, 배경, 해결 수단, 도면의 간단한 설명 및 요약서는 이에 의하여 본 개시에 병합되고, 제한적인 설명이 아니라, 개시의 예시적인 예로서 제공된다. 청구항 권리 범위 또는 의미를 제한하는데 사용되지 않는다는 이해와 함께 제출된다. 부가적으로, 상세한 설명에서, 상기 설명이 예시적인 예를 제공하고 다양한 특징이 본 개시를 간소화할 목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함께 그룹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개시 방법은 청구 대상이 각 청구 범위에 명시적으로 언급된 것보다 더 많은 특징을 필요로 한다는 의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오히려, 다음의 청구 범위가 반영하는 바와 같이, 발명의 청구 대상은 하나의 개시된 구성 또는 동작의 모든 특징보다 적다. 다음의 청구 범위는 이에 의하여 상세한 설명에 통합되며, 각 청구 범위는 별도로 청구 대상으로서 그 자체로 존재한다.
청구 범위는 여기에 기술된 관점으로 제한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언어적 청구 범위와 일치하는 전체 권리 범위에 따르고 모든 법적 등가물을 포함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청구항도 35 U.S.C.§101, 102 또는 103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청구 대상을 포함하지 않거나, 이들을 그러한 방식으로 해석되어서도 아니된다.

Claims (18)

  1. 모듈식 의료 디바이스용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복수의 전기 접촉부를 가진 인쇄 회로;
    상기 본체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프레임 - 상기 프레임은 중앙 개구를 포함함;
    상기 중앙 개구에 배치된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상기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에 각각 밀봉 배치되고, 상기 인쇄 회로 상의 대응하는 전기 접촉부와 각각 접촉 배치되며, 상기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의 변형 시에 각각 움직일 수 있는 복수의 접촉부; 및
    대응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행거 구조체;를 포함하는, 모듈식 의료 디바이스용 커넥터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촉부 각각은 상기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에서의 개구에 배치된 리벳을 포함하는, 모듈식 의료 디바이스용 커넥터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상의 복수의 전기 접촉부 각각은 대응하는 리벳에 의해 압축될 수 있는 포고 핀 (pogo pin)을 포함하는, 모듈식 의료 디바이스용 커넥터 조립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상의 복수의 전기 접촉부 각각은 대응하는 리벳에 의해 압축될 수 있는 리프 스프링 (leaf spring)을 포함하는, 모듈식 의료 디바이스용 커넥터 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촉부 각각은 상기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에서의 개구에 배치된 포고 핀을 포함하는, 모듈식 의료 디바이스용 커넥터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행거 구조체는, 대응하는 암 커넥터 조립체에 기계적 결합을 위해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수 행거 구조체를 포함하는, 모듈식 의료 디바이스용 커넥터 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행거 구조체는, 대응하는 수 커넥터 조립체에 기계적 결합을 위해 상기 프레임 상의 리세스를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암 행거 구조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암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모듈식 의료 디바이스용 커넥터 조립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상에 한 쌍의 리프트 방지 구조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모듈식 의료 디바이스용 커넥터 조립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방지 구조체 각각은 암 커넥터 조립체 및 대응하는 수 커넥터 조립체의 수평 정렬을 위해 구성된 테이퍼를 포함하는, 모듈식 의료 디바이스용 커넥터 조립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는 복수의 변형 가능한 돔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변형 가능한 돔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접촉부 중 하나를 수용하는, 모듈식 의료 디바이스용 커넥터 조립체.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는 상기 복수의 접촉부 주위에서 연장되는 주변 밀봉부를 포함하는, 모듈식 의료 디바이스용 커넥터 조립체.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주변 밀봉부는 배수 갭 (drainage gap)을 포함하는, 모듈식 의료 디바이스용 커넥터 조립체.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길이 방향 정렬 특징부를 포함하는, 모듈식 의료 디바이스용 커넥터 조립체.
  14. 주입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 유닛; 및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패스너에 의해 상기 제어 유닛에 부착되고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본체;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복수의 전기 접촉부를 가진 인쇄 회로;
    상기 본체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프레임 - 상기 프레임은 중앙 개구를 포함함;
    상기 중앙 개구에 배치된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
    상기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에 각각 밀봉 배치되고, 상기 인쇄 회로 상의 대응하는 전기 접촉부와 각각 접촉 배치되며, 상기 엘라스토머 밀봉 구조체의 변형 시에 각각 움직일 수 있는 복수의 접촉부; 및
    대응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행거 구조체;를 포함하는, 주입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커넥터 조립체를 상기 제어 유닛 상의 대응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주입 시스템의 제어 유닛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펌프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주입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행거 구조체는 암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 상의 대응하는 커넥터 조립체는 수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입 시스템.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주입 시스템에 대한 부가적인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부가적인 모듈은:
    상기 부가적인 모듈을 상기 펌프 모듈 상의 수 커넥터 조립체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암 커넥터 조립체; 및
    상기 부가적인 모듈을 상기 제어 유닛 상의 암 커넥터 조립체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수 커넥터 조립체;를 가지는, 주입 시스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인 모듈은 IV 펌프 모듈, 주사기 모듈, 환자 모니터링 모듈, 또는 데이터 수집 모듈을 포함하는, 주입 시스템.
KR1020207024386A 2018-02-16 2019-02-14 주입 펌프 시스템용 모듈 커넥터 KR102416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10567P 2018-02-16 2018-02-16
US62/710,567 2018-02-16
PCT/US2019/017975 WO2019161033A1 (en) 2018-02-16 2019-02-14 Module connectors for infusion pump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116A KR20200116116A (ko) 2020-10-08
KR102416546B1 true KR102416546B1 (ko) 2022-07-11

Family

ID=65576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386A KR102416546B1 (ko) 2018-02-16 2019-02-14 주입 펌프 시스템용 모듈 커넥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90260155A1 (ko)
EP (1) EP3752218A1 (ko)
JP (1) JP7231636B2 (ko)
KR (1) KR102416546B1 (ko)
CN (2) CN117254284A (ko)
AU (1) AU2019222740A1 (ko)
BR (1) BR112020015959A2 (ko)
CA (1) CA3090176A1 (ko)
WO (1) WO20191610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1088617U (zh) * 2019-11-20 2020-07-24 费森尤斯卡比(南昌)医疗器械有限公司 连接器组件以及保持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48763A1 (de) * 2000-09-29 2002-04-11 2 E Rolf Hiller Gmbh Anordnung zur elektrischen Kontaktierung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4698A (en) * 1960-08-26 1963-01-02 British Insulated Callender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wo-part couplings for multiple conductor cables
US4045107A (en) * 1975-08-22 1977-08-30 Walker-Hall-Sears, Inc. Multi-contact connectors with identical contacts
JP2855435B2 (ja) * 1987-09-02 1999-02-10 エヌシーアール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気コネクタ装置
US5601445A (en) * 1995-03-13 1997-02-11 Imed Corporation Electrical and structural interconnector
US5941846A (en) * 1995-03-13 1999-08-24 Alaris Medical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nection in a modular patient care system
US5713856A (en) * 1995-03-13 1998-02-03 Alaris Medical Systems, Inc. Modular patient care system
US5718562A (en) * 1995-11-02 1998-02-17 Abbott Laboratories Interface module for use with an NCT-based pumping mechanism and NCT-based cassette
JP2002231375A (ja) * 2001-01-30 2002-08-16 Yazaki Corp 補機モジュールの封止構造
US7101196B1 (en) * 2005-05-18 2006-09-05 Molex Incorporated Seal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794254B2 (en) * 2007-04-30 2010-09-14 Tronic Limited Submersible electrical connector
US7892025B2 (en) * 2008-07-18 2011-02-2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ealed connector assembly
DE202009003592U1 (de) * 2009-03-13 2009-05-20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Abdichtung eines gefederten Kontaktstiftes
US8357009B2 (en) * 2010-08-12 2013-01-2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eceptacle connector for mounting on a printed circuit
US8523581B2 (en) * 2011-04-29 2013-09-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Header connector assembly
JP5822735B2 (ja) * 2012-01-16 2015-11-24 株式会社ヨコオ 防水機能付きスプリングコネクタ
JP5972800B2 (ja) * 2013-01-09 2016-08-17 株式会社ヨコオ 電気コネクタ
FR3010245B1 (fr) * 2013-08-28 2016-10-21 Oreal Assemblage electrique a connexion etanche
JP6597406B2 (ja) * 2016-03-03 2019-10-30 富士通コネクテッド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電子機器
US9887489B1 (en) * 2016-10-19 2018-02-06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plug latching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48763A1 (de) * 2000-09-29 2002-04-11 2 E Rolf Hiller Gmbh Anordnung zur elektrischen Kontaktier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801125A (zh) 2020-10-20
CA3090176A1 (en) 2019-08-22
JP7231636B2 (ja) 2023-03-01
US20190260155A1 (en) 2019-08-22
BR112020015959A2 (pt) 2020-12-15
CN111801125B (zh) 2023-10-20
AU2019222740A1 (en) 2020-09-03
WO2019161033A1 (en) 2019-08-22
CN117254284A (zh) 2023-12-19
KR20200116116A (ko) 2020-10-08
JP2021513888A (ja) 2021-06-03
EP3752218A1 (en)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032B1 (ko) 방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커넥터
EP2004287B1 (en) Medical electrical lead connection systems and methods
US20230066019A1 (en) Highly integrated intelligent analyte detection device
US4357061A (en) Electro-mechanical package of visual display and related circuitry
KR102416546B1 (ko) 주입 펌프 시스템용 모듈 커넥터
DE112014000593T5 (de) Akkusatz mit integralem Dichtungsbauteil und elektronisches Gerät entsprechendes umfassend
US9722375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use with cradle
RU2597986C2 (ru) Адаптер батарей с гибкой платой и силиконовой пружиной
US7074065B1 (en) Docking unit with spring-loaded connector
CN113940670B (zh) 高可靠性分析物检测器件
US11608895B2 (en) Dispensing seal
US9530993B2 (en) Battery holding device
CN211858472U (zh) 电子设备的按键结构
CN108783776A (zh) 智能穿戴设备
IT201600125574A1 (it) Occhiali con bio-sensori
CN109286090A (zh) 一种电连接器的自锁连接结构
CN213484039U (zh) 一种保护门和插座
CN221084353U (zh) 一种自动注射笔的笔帽结构
CN102057538B (zh) 电连接器和用于该连接器的密封垫接头、壳体和栅格
CN214712486U (zh) 内窥镜密封结构及内窥镜
US20210275076A1 (en) Biomedical electrode
CN217334295U (zh) 一种电池安装结构和除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