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143B1 -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발광장치 및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발광장치 및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143B1
KR102416143B1 KR1020210119887A KR20210119887A KR102416143B1 KR 102416143 B1 KR102416143 B1 KR 102416143B1 KR 1020210119887 A KR1020210119887 A KR 1020210119887A KR 20210119887 A KR20210119887 A KR 20210119887A KR 102416143 B1 KR102416143 B1 KR 102416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plastic
plastic plate
light reflection
light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4366A (ko
Inventor
김광원
Original Assignee
김광원
(주)연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원, (주)연암테크 filed Critical 김광원
Priority to KR1020210119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143B1/ko
Publication of KR20210114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09Arrangements for homogeneous illumination of the display surface, e.g. using a layer having a non-uniform transparenc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6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individual cut-out symbols or cut-out silhouettes, e.g. perforate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12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a transparent mirror or other light reflecting surface transparent to transmitted light whereby a sign, symbol, picture or other is visible only when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은, 측면에 설치되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반사 굴절되도록 빛의 진행방향을 따라 빛반사요홈이 복수로 형성된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으로서, 상기 복수의 빛반사요홈의 깊이는 상기 광원에 인접한 부분으로부터 상기 투명 플라스틱판의 중앙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깊어지고, 상기 빛반사요홈의 내면에는 일정한 패턴의 백색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발광장치 및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제조방법 {TRANSPARENT PLASTIC PLATE FOR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PARENT PLASTIC PLATE FOR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빛의 전방으로의 반사성과 확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발광장치 및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영업점에서 자기의 상호 등을 표시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광고 장치는 매우 단순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광고하기를 원하는 문자 모양을 형성하도록 네온관을 구부려서 형성한 후 조명장치를 광고판의 내외부에 설치하여 빛을 조사함으로써 문자 등이 드러나도록 함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네온관을 이용한 광고판의 경우 네온관을 구부려서 문자 등을 표시하기 때문에 작은 문자나 상세한 도형등의 표현이 매우 어렵고, 대형의 경우 하나의 문자나 도형을 통째로 형성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표현에 있어 매우 제한적이고 조잡한 광고 효과 밖에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네온관을 이용한 광고판의 경우 에너지 소비가 많고, 네온 장치에 사용되는 가스가 환경 문제를 유발시키며, 광고판 후방에 조명 장치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므로 부피가 커지고 빛이 광고판 전체에 고르게 확산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발광 다이오드를 배열시켜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제어를 통해 다양한 광고 효과를 얻도록 한 광고판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수많은 발광 다이오드를 배열 및 배설하는데 따른 설치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며, 일부 다이오드들이 단선되었을 경우 즉시 수리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오히려 광고 공해를 유발하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에는 액정 표시판을 이용한 광고장치가 각광받고 있으나, 이는 설치 비용이 너무 고가이어서 일반 상점등에서 간편하고 값싸게 자기의 상호등을 표시하기 위한 광고 장치로서는 적합치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본 발명인은 한국등록특허 제114920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259013호를 통해 새로운 방식의 광고 장치들을 제안한 바 있다.
상기한 선행 특허들은 투명한 복수개의 플라스틱 판재에 특정 문자나 도형을 분할하여 음각에 의해 조각하고 복수개의 적층된 판재들의 측면에 설치한 광원으로부터 조사한 빛이 조각된 부위에 부딪혀 빛이 전방으로 조사되므로 도형이나 문자가 드러나게 한 것으로서, 각 판재의 측면에 특정 색의 빛만을 통과시키게 되는 채색부를 형성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도형과 문자가 투시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값싸게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문자와 도형을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여 종래 네온 방식에 의한 광고장치의 한계를 극복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 발명들이 여전히 유효한 것이기는 하나, 복잡한 도형들을 각각의 판재에 분할하여 조각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컴퓨터 조각기가 필요하며, 고객들이 원하는 다양한 도형의 디자인을 모두 반영하여 프로그램하여 조각하기에는 너무 힘들기 때문에 도형의 표현에 있어서는 대중적으로 개발된 소수의 디자인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으며, 고객의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컴퓨터 조각에 따른 비용이 커서 소규모 점포들이 원하는 값싼 광고 장치라는 측면에서는 경제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투명한 플라스틱 판재에 음각으로 조각된 면은 매끄럽기 때문에 빛의 반사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54919 B1(2019.12.12.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투명한 플라스틱 판재에 음각으로 조각된 면을 거칠게 형성하여 빛의 전방으로의 반사성과 확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발광장치 및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은, 측면에 설치되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반사 굴절되도록 빛의 진행방향을 따라 빛반사요홈이 복수로 형성된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으로서, 상기 복수의 빛반사요홈의 깊이는 상기 광원에 인접한 부분으로부터 상기 투명 플라스틱판의 중앙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깊어지고, 상기 빛반사요홈의 내면에는 일정한 패턴의 백색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투명 플라스틱판의 중앙부에 형성된 빛반사요홈의 깊이는 40 내지 60 ㎛ 이고, 상기 광원에 인접한 단부 부분에 형성된 빛반사요홈의 깊이는 10 내지 2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명 플라스틱판의 중앙부에 형성된 빛반사요홈의 깊이와 상기 광원에 인접한 단부 부분에 형성된 빛반사요홈의 깊이의 차는 20 내지 5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투명 플라스틱판에는 중앙부로부터 광원에 인접한 양단 부분까지 일직선 형태로 연장된 빛반사요홈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로 형성된 빛반사요홈들은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복수의 빛반사요홈들 사이에는 복수의 오목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성으로, 상기 투명 플라스틱판에는 중앙부로부터 광원에 인접한 단부 부분을 향하도록 각종 문양 형태로 된 빛반사요홈이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른 발광장치는, 전술한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을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투명 플라스틱판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투명 플라스틱판들 각각에 형성된 빛반사요홈들은 상호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관점에 따른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제조방법은, 투명 플라스틱판의 측면에 설치되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반사 굴절되도록 빛의 진행방향을 따라 빛반사요홈을 상기 투명 플라스틱판에 복수로 형성하는 제조방법으로서, 날끝이 반원추 형태로 된 절삭공구를 공작기계의 스핀들에 끼우고, 상기 스핀들의 분당 회전수(rpm)를 18,000 내지 24,000으로, 상기 절삭공구의 분당 이송속도(m/min)를 8 내지 12로 설정한 다음, 상기 투명 플라스틱판에서 상기 광원에 인접한 부분으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깊어지도록 빛반사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빛반사요홈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빛반사요홈에는 절삭칩이 녹아 눌러붙어 일정한 패턴의 백색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핀들의 분당 회전수(rpm)는 20,000, 상기 절삭공구의 분당 이송속도(m/min)는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명 플라스틱판의 중앙부에 형성된 빛반사요홈의 깊이는 40 내지 60 ㎛ 이고, 상기 광원에 인접한 단부 부분에 형성된 빛반사요홈의 깊이는 10 내지 2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투명 플라스틱판의 중앙부에 형성된 빛반사요홈의 깊이와 상기 광원에 인접한 단부 부분에 형성된 빛반사요홈의 깊이의 차는 20 내지 5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스핀들의 회전속도와 절삭공구의 이송속도의 최적화된 조합으로 투명 플라스틱에 빛반사요홈을 형성하고, 이러한 빛반사요홈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빛반사요홈에 절삭칩이 녹아 눌러붙어 일정한 패턴의 백색층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빛의 전방으로의 반사성과 확산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에서 본체에 투명 플라스틱판과 반사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에 형성된 빛반사요홈을 현미경으로 촬영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도 3에서 현미경으로 촬영된 빛반사요홈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일직선 형태의 빛반사요홈이 가로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b)는 일직선 형태의 빛반사요홈이 세로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도 5에서 (a)와 (b)의 빛반사요홈이 상호 교차되게 투명 플라스틱판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을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일직선 형태의 빛반사요홈이 가로로 형성되고 복수의 빛반사요홈 사이에 복수의 오목홈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b)는 일직선 형태의 빛반사요홈이 세로로 형성되고 복수의 빛반사요홈 사이에 복수의 오목홈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도 8에서 (a)와 (b)의 빛반사요홈이 상호 교차되게 투명 플라스틱판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을 나타낸 것으로서, (a)와 (b)는 각종 문양 형태로 된 빛반사요홈이 복수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a)와 (b)의 빛반사요홈이 상호 겹치지 않게 투명 플라스틱판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을 제조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을 제조하는 경우 사용되는 절삭공구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발광장치 및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에서 본체에 투명 플라스틱판과 반사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1)는 본체(10), 광원(20), 투명 플라스틱판(30), 반사판(40) 및 덮개(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0)는 원형의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개구부를 가지며 후술할 투명 플라스틱판(30)이 위치하게 되고, 투명 플라스틱판(30)의 상부에는 반사판(40)이 적층되며 반사판(40)의 상부에는 덮개(50)가 위치하여 본체(10)와 결합된다.
이때, 본체(10)의 내측면 둘레에는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광원(20)이 설치된다.
이러한 본체(10)는 원형 뿐만 아니라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도 얼마든지 구현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에 형성된 빛반사요홈을 현미경으로 촬영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4는 도 3에서 현미경으로 촬영된 빛반사요홈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일직선 형태의 빛반사요홈이 가로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b)는 일직선 형태의 빛반사요홈이 세로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또한, 도 6은 도 5에서 (a)와 (b)의 빛반사요홈이 상호 교차되게 투명 플라스틱판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30)은, 측면에 설치되는 광원(2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반사 굴절되도록 빛의 진행방향을 따라 빛반사요홈(31)이 복수로 형성된 것으로서, 복수의 빛반사요홈(31)의 깊이는 광원(20)에 인접한 단부 부분으로부터 투명 플라스틱판(30)의 중앙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깊어지고, 빛반사요홈(31)의 내면에는 일정한 패턴의 백색층(31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빛반사요홈(31)이 투명 플라스틱판(30)의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깊게 파이게 형성됨으로써, 광원(20)의 불빛을 고르게 실내에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빛반사요홈(31)의 측단면 형상은 V자 형태나 U자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투명 플라스틱판(30)의 중앙부에 형성된 빛반사요홈(31)의 깊이는 40 내지 60 ㎛ 이고, 광원(20)에 인접한 단부 부분에 형성된 빛반사요홈(31)의 깊이는 10 내지 2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 플라스틱판(30)의 중앙부에 형성된 빛반사요홈(31)의 깊이와 광원(20)에 인접한 단부 부분에 형성된 빛반사요홈(31)의 깊이의 차는 20 내지 5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투명 플라스틱판(30)에는 중앙부로부터 광원(20)에 인접한 양측 단부 부분까지 일직선 형태로 연장된 빛반사요홈(31)이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로 형성된 빛반사요홈(31)들은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빛반사요홈(31)의 내면에는 일정한 패턴의 백색층(31a)이 형성되는데, 이는 절삭공구가 결합된 스핀들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투명 플라스틱판(30)을 가공하는 경우 고온의 열이 발생하면서 절삭칩이 녹아 눌러붙어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백색층(31a)의 패턴으로 인해 광원(20)에서 조사되는 빛의 반사효율이 종래 매끈한 절삭표면에 비해 매우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이때, 투명 플라스틱판(30)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투명 플라스틱판(30) 각각에 형성된 빛반사요홈(31)들은 상호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투명 플라스틱판(30)은 동일한 크기와 면적을 가지고, 상하로 적층되는데, 빛반사요홈(31)을 직교하여 연속적으로 나란히 형성하면, 빛이 반사되는 면적이 전체 면적에 걸쳐 고르게 분포됨으로써 전체 면적이 고른 밝기로 빛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을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일직선 형태의 빛반사요홈이 가로로 형성되고 복수의 빛반사요홈 사이에 복수의 오목홈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b)는 일직선 형태의 빛반사요홈이 세로로 형성되고 복수의 빛반사요홈 사이에 복수의 오목홈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아울러, 도 9는 도 8에서 (a)와 (b)의 빛반사요홈이 상호 교차되게 투명 플라스틱판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투명 플라스틱판(30)에 형성된 복수의 빛반사요홈(31)들 사이에는 복수의 오목홈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오목홈부(33)는 일정한 개수를 한 단위로 하여 이 한 단위의 오목홈부(33)가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한편, 투명 플라스틱판(30)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투명 플라스틱판(30) 각각에 형성된 빛반사요홈(31)들과 오목홈부(33)들은 상호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을 나타낸 것으로서, (a)와 (b)는 각종 문양 형태로 된 빛반사요홈이 복수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a)와 (b)의 빛반사요홈이 상호 겹치지 않게 투명 플라스틱판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투명 플라스틱판(30)에는 중앙부로부터 광원(20)에 인접한 부분을 향하도록 각종 문양 형태로 된 빛반사요홈(35)이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빛반사요홈(35)은 광원(20)에 인접한 부분으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깊게 형성된다.
한편, 투명 플라스틱판(30)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투명 플라스틱판(30) 각각에 형성된 빛반사요홈(35)들은 상호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을 제조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을 제조하는 경우 사용되는 절삭공구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제조방법은, 투명 플라스틱판(30)의 측면에 설치되는 광원(2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반사 굴절되도록 빛의 진행방향을 따라 빛반사요홈(31,35))을 투명 플라스틱판(30)에 복수로 형성하는 제조방법으로서, 날끝(2a)이 반원추 형태로 된 절삭공구(2)를 공작기계의 스핀들(3)에 끼우고, 스핀들(3)의 분당 회전수(rpm)를 18,000 내지 24,000으로, 절삭공구(2)의 분당 이송속도(m/min)를 8 내지 12로 설정한 다음, 투명 플라스틱판(30)에서 광원(20)에 인접한 부분으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깊어지도록 빛반사요홈(31,35)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빛반사요홈(31,35)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빛반사요홈(31,35)에는 절삭칩이 녹아 눌러붙어 일정한 패턴의 백색층(31a)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스핀들(3)의 분당 회전수(rpm)는 20,000, 절삭공구(2)의 분당 이송속도(m/min)는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 플라스틱판(30)의 중앙부에 형성된 빛반사요홈(31,35)의 깊이는 40 내지 60 ㎛ 이고, 광원(20)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된 빛반사요홈(31,35)의 깊이는 10 내지 2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투명 플라스틱판(30)의 중앙부에 형성된 빛반사요홈(31,35)의 깊이와 광원(20)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된 빛반사요홈(31,35)의 깊이의 차는 20 내지 5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발광장치 10 : 본체
20 : 광원 30 : 투명 플라스틱판
31 : 빛반사요홈 31a : 백색층
33 : 오목홈부 35 : 문양 형태 빛반사요홈
40 : 반사판 50 : 덮개
2 : 절삭공구 2a : 날끝
3 : 스핀들 T : 현미경

Claims (8)

  1. 측면에 설치되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반사 굴절되도록 빛의 진행방
    향을 따라 빛반사요홈이 복수로 형성된 조명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으로서,
    상기 복수의 빛반사요홈의 깊이는 상기 광원에 인접한 부분으로부터 상기 투명 플라스틱판의 중앙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깊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빛반사요홈의 내면에는 일정한 패턴의 백색층을 형성하되, 상기 일정 패턴의 백색층은 날끝이 반원추 형태로 된 절삭공구를 공작기계의 스핀들에 끼우고, 상기 스핀들의 분당 회전수(rpm)를 18,000 내지 24,000으로, 그리고 상기 절삭공구의 분당 이송속도(m/min)를 8 내지 12로 설정한 다음, 상기 투명 플라스틱판에서 상기 광원에 인접한 부분으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깊어지도록 빛반사요홈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빛반사요홈에 절삭칩이 녹아 눌러붙어 백색층의 패턴을 형성한 것이며, 상기 투명 플라스틱판의 중앙부에 형성된 빛반사요홈의 깊이는 40 내지 60㎛ 이고, 상기 광원에 인접한 단부 부분에 형성된 빛반사요홈의 깊이는 10 내지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 플라스틱판의 중앙부에 형성된 빛반사요홈의 깊이와 상기 광원에 인접한 단부 부분에 형성된 빛반사요홈의 깊이의 차는 20 내지 5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 플라스틱판에는 중앙부로부터 광원에 인접한 양단 부분까지 일직선 형태로 연장된 빛반사요홈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로 형성된 빛반사요홈들은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빛반사요홈들 사이에는 복수의 오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 플라스틱판에는 중앙부로부터 광원에 인접한 부분을 향하도록 각종 문양 형태로 된 빛반사요홈이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따른 조명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투명 플라스틱판은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투명 플라스틱판들 각각에 형성된 빛반사요홈들은 상호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210119887A 2020-02-17 2021-09-08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발광장치 및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제조방법 KR102416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887A KR102416143B1 (ko) 2020-02-17 2021-09-08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발광장치 및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918A KR102335481B1 (ko) 2020-02-17 2020-02-17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발광장치 및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제조방법
KR1020210119887A KR102416143B1 (ko) 2020-02-17 2021-09-08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발광장치 및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918A Division KR102335481B1 (ko) 2020-02-17 2020-02-17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발광장치 및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366A KR20210114366A (ko) 2021-09-23
KR102416143B1 true KR102416143B1 (ko) 2022-07-06

Family

ID=773919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918A KR102335481B1 (ko) 2020-02-17 2020-02-17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발광장치 및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제조방법
KR1020210119887A KR102416143B1 (ko) 2020-02-17 2021-09-08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발광장치 및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918A KR102335481B1 (ko) 2020-02-17 2020-02-17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발광장치 및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335481B1 (ko)
WO (1) WO202116717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058Y1 (ko) * 2006-04-12 2006-09-01 오완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229B1 (ko) * 2002-04-17 2006-01-10 김광원 광표출장치
KR20060003617A (ko) * 2004-07-07 2006-01-11 도요에이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절삭 가공 방법, 절삭 가공 장치 및 금형 제작 방법
US7942546B2 (en) * 2005-12-27 2011-05-17 Showa Denko K.K. Light guide member having light mixing protrusion, flat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KR20070101656A (ko) * 2006-04-11 2007-10-17 박휴완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KR100814635B1 (ko) * 2006-08-10 2008-03-18 김광원 컴퓨터 자동 조각기
KR102054919B1 (ko) 2017-09-21 2019-12-12 김광원 광표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058Y1 (ko) * 2006-04-12 2006-09-01 오완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324A (ko) 2021-08-25
KR20210114366A (ko) 2021-09-23
WO2021167170A1 (ko) 2021-08-26
KR102335481B1 (ko)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5165B2 (ja) 表示装置
TWI427341B (zh) 顯示裝置、其製造方法、圖案顯示方法、遮蔽裝置及遮蔽方法
JP4825164B2 (ja) 表示装置
US9075179B2 (en) Light-extraction graphics film
JP2013502043A (ja) ライトガイド
KR20060132661A (ko) 기판에 광학 소자를 형성하는데 사용하기 위하여 광학 소자형상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JP2010102188A (ja) 発光表示盤
KR20050121864A (ko) 백라이트 유닛용 도광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416143B1 (ko)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발광장치 및 발광장치용 투명 플라스틱판 제조방법
CN202253389U (zh) 一种拼图式立体导光板和照明灯具
WO2014014197A1 (ko) 도광판,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11090020A (ja) 内照式表示板
JP2002318557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541229B1 (ko) 광표출장치
JP6166621B2 (ja) 面状照明装置
CN1826626A (zh) 可照明符号
JP3181799U (ja) 照光装置
CN202361274U (zh) 一种具有立体照明效果的导光板及照明灯具
KR20070101656A (ko) 투광성 플라스틱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JP2008299079A (ja) 表示装置
JP2009009825A (ja) 平面発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照明看板
JP5950145B2 (ja) 内照式表示板
JP5103552B1 (ja) 照明装置
KR101985148B1 (ko) 휘도 및 휘도의 균일도를 향상시킨 직하형 면광원 장치
KR200271702Y1 (ko) 백라이트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