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153B1 -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15153B1 KR102415153B1 KR1020200106886A KR20200106886A KR102415153B1 KR 102415153 B1 KR102415153 B1 KR 102415153B1 KR 1020200106886 A KR1020200106886 A KR 1020200106886A KR 20200106886 A KR20200106886 A KR 20200106886A KR 102415153 B1 KR102415153 B1 KR 1024151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ath
- core
- composite fiber
- dyed
- polyolef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06—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olefin as constituent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6—Dye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6—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synthetic thread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82—Textiles which contain different kinds of fibres
- D06P3/8204—Textiles which contain different kinds of fibres fibres of different chemical nature
- D06P3/8223—Textiles which contain different kinds of fibres fibres of different chemical nature mixtures of fibres containing hydroxyl and ester groups
- D06P3/8228—Textiles which contain different kinds of fibres fibres of different chemical nature mixtures of fibres containing hydroxyl and ester groups using one kind of dye
- D06P3/8233—Textiles which contain different kinds of fibres fibres of different chemical nature mixtures of fibres containing hydroxyl and ester groups using one kind of dye using dispersed dyes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4—Dye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성, 발수성, 염색성 및 견뢰도가 우수한 심초형 가염복합섬유, 염료이동채널을 포함하는 심초형 가염복합섬유,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경량성, 발수성 및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올레핀계 섬유의 발수성 및 경량성을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염료이동채널에 의하여 우수한 염색성 및 견뢰도를 구현할 수 있는 심초형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과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경량성, 발수성, 염색성 및 견뢰도가 우수한 심초형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올레핀계 섬유의 발수성 및 경량성을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염료이동채널에 의하여 우수한 염색성 및 견뢰도를 구현할 수 있는 심초형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올레핀계 섬유는 우수한 발수성, 경량성, 낮은 열전도성으로 인한 보온성 및 내약품성 등 타 섬유에서는 볼 수 없는 많은 특징을 갖고 있다. 반면, 염색성이 떨어지므로 후염용도로는 적합하지 못하였으며, 특히 의류용 섬유로서는 용도가 제한되어 왔다.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과거 수년에 거쳐 염색성의 개량이 시도되어 왔다. 예를 들면 가염성 성분으로서 아미노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혼입하여 반응시킨 섬유, 클레이나염 등의 필러(filler)를 혼입하여 염착좌석을 만든 섬유, 고분자물질의 블렌드를 통하여 가염화하는 등의 방법이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각각 복잡한 공정에 의한 제조비용의 과대화나, 염색성 불량 등이 문제가 되어 현재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제조 비용의 과대화는 극히 고급화된 물건에만 적용이 될 뿐이었으며, 더욱이 에틸렌 아미노알킬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한 경우 금속에스터를 분산제로 사용함에 의해, 폴리올레핀이 갖는 고유의 성질들마저 상실하는 부작용이 생기기도 하였다. 그리고, 일부 첨가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첨가제의 폴리프로필렌 결정구조의 파괴에 의한 분산염료에의 염색이 가능한 경우가 있었으나 대부분의 첨가제의 경우 견뢰도가 극히 불량하여 많은 용도에 적용할 수 없어 상용화되지 못하였다.
상기의 가염화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폴리올레핀 섬유에 색을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안료를 넣어 색을 내는 방법만이 현재 유일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안료를 사용하게 될 경우 제한된 색상으로만 섬유를 만들어야 할뿐더러, 관리면에서 매우 고비용 구조를 갖게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날염의 경우에는 전혀 응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71839호에 따르면 이러한 점을 개선하였으나, 세섬사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중농색 이상의 염착 시에 견뢰도가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경량성 및 발수성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방면의 폴리올레핀계 섬유에 대한 염색성 및 견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첫번째 해결하려는 과제는 경량성, 발수성, 염색성 및 견뢰도가 우수한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 및 이러한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심초형 가염복합섬유 및 이를 감량한 섬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두번째 해결하려는 과제는 경량성, 발수성, 염색성 및 견뢰도가 우수한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세섯번째 해결하려는 과제는 경량성, 발수성, 염색성 및 견뢰도가 우수한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방적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네번째 해결하려는 과제는 경량성, 발수성, 염색성 및 견뢰도가 우수한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가공사, 직편물 또는 부직포인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첫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심부 및 초부를 포함하고 초부가 염색되는 심초형 복합섬유에 있어서, 상기 초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이용성 폴리머가 감량되어 형성된 염료이동채널을 통해 염착된 염료를 포함하는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심부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부는 가염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초부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부텐 및 폴리메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호모폴리머(homopolymer) 또는 이들의 코폴리머(copolymer)인 것일 수 있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초부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에틸렌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틸렌은 하기의 조건 1) 내지 3)을 모두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1) 용융 지수(MI)가 10 내지 50g/100min;
2) 아이소택틱 지수가 95% 이상;
3) 시차주사열량분석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으로 측정한 용융점(Tm)이 160 내지 170℃.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용성 폴리머는 알칼리 이용성 또는 수 이용성 폴리머인 것일 수 있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용성 폴리머는 탄소수 6 내지 14의 방향족 다가 카르복실산 및 소디움 3,5-디카르보메톡시벤젠 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산성분과 디올성분을 포함하여 반응된 에스테르화 반응물;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여 중·축합된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초부 100중량%에 대하여 상기 이용성 폴리머가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된 후 감량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심부와 상기 초부의 감량 전의 중량비는 95:5 내지 65:35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분산염료를 욕비 20:1에서 1 % o.w.f의 농도로 염색한 결과 표면염착농도(K/S 600nm)가 5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밀도가 0.80 내지 1.00g/c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는 하기의 4) 내지 6)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4) KS K ISO 105-C06 법에 의거한 세탁견뢰도가 4급 내지 5급,
5) KS K 0650법에 의거한 마찰견뢰도가 4급 내지 5급.
6) JIS L 0804법에 의거한 일광견뢰도가 4급 내지 5급.
또한, 본 발명은 심부 및 초부를 포함하여 염색되는 심초형 가염복합섬유에 있어서, 상기 초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감량 후 염료이동채널을 형성하여 초부를 염색하기 위한 이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심초형 가염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심부 및 초부를 포함하여 염색되는 심초형 가염복합섬유에 있어서, 상기 초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상기 초부를 염색하기 위하여 이용성 폴리머가 감량되어 형성된 염료이동채널을 포함하는 심초형 가염복합섬유를 제공한다.
상술한 두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심성분;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이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초성분을 복합방사하여 심초형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 단계 이후에, (2) 상기 심초형 복합섬유를 감량하는 단계: 및 (3) 상기 감량되어 염료이동채널이 형성된 복합섬유를 염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세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방적사를 제공한다.
상술한 네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가공사, 직편물 또는 부직포인 물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이용성 폴리머란 용해되기 쉬운 성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특정 용매에 대하여 5중량% 이상의 농도로 용해될 수 있는 성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알칼리 이용성 폴리머란 알칼리 용액에 대하여 5 중량% 이상의 농도로 용해될 수 있는 폴리머이며, 수(水) 이용성 폴리머란 물에 대하여 5중량% 이상의 농도로 용해될 수 있는 폴리머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불용성 폴리머란, 용해되기 어려운 성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특정 용매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용해되지 않는 성질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용매에 대하여 0.01중량% 미만으로 용해되는 폴리머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용융 지수(Melt Flow Index, MI)는 특정 부하와 온도에서 열가소성 고분자 용융물을 피스톤에서 압출하였을 때의 유량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의 용융지수는 ASTM D1238에 의하여 Melt Flow Indexer(Model MP600M, Tinius Olsen社제)을 이용하여 2.16kg 및 230℃의 온도 조건에서 측정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아이소택틱 지수(isotactic index)는 폴리머에서 아이소택틱 배향(configuration)을 가진 탄소 수의 비율을 의미한다. 여기서, 아이소택틱 배향이란, 쇄상 폴리머의 주쇄를 구성하는 탄소원자가 2개의 다른원자 또는 치환기와 결합하는 경우, 이 탄소는 부정탄소원자로 되고 이 탄소원자를 중심으로 입체이성(d와 l)이 생긴다. 주쇄에서 볼 때 이런 부정탄소원자가 항상 같은 입체배치에서 나타나는 경우(...ddd... 또는 ...llll...) 이 중합체는 아이소택틱이라고 한다. 본 발명에서의 아이소택틱 지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끓게 하여 어택틱(atactic) 성분을 녹인 후 남아 있는 아이소택틱 성분의 중량을 어택틱 성분을 녹이기 전의 중량에 대한 중량%로 나타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염색성이 우수한 심초형 복합섬유는 초부에 염료이동채널을 형성함으로써, 염색이 어려운 폴리올레핀계 섬유를 효과적으로 염색하면서도 폴리올레핀계 섬유의 본래 특징인 우수한 경량성, 견뢰도, 발수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나아가, 초부에 형성된 염료형성채널을 통해 심부 또한 염색될 수 있으므로 염색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량 전의 심초형 가염복합섬유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량 전의 심초형 복합섬유를 감량한 후 초부의 외면에서 내면을 향하여 염료가 감량에 의하여 형성된 염료 이동 채널을 통하여 통과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량 전의 심초형 복합섬유를 감량한 후 초부의 외면에서 내면을 향하여 염료가 감량에 의하여 형성된 염료 이동 채널을 통하여 통과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라 제조된 폴리올레핀계 섬유는 염색성이 낮아 색상 표현이 어렵고, 견뢰도가 충분하지 않거나 경량성을 상실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심부 및 초부를 포함하고 초부가 염색되는 심초형 복합섬유에 있어서, 상기 초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이용성 폴리머가 감량되어 형성된 염료이동채널을 통해 염착된 염료를 포함하는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를 통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모색하였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섬유의 경량성, 발수성 및 방오성을 유지하면서도 염색성과 견뢰성이 우수한 심초형 복합섬유를 제공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초부(110) 및 상기 초부에 둘러싸인 중심의 심부(12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초부(1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초부(110)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이용성 폴리머가 감량되어 형성된 염료이동채널을 통해 염착된 염료를 포함한다. 상기 염료이동채널은 상기 초부(110)의 외면에서 상기 심부(120)로 연결되어 염료가 잘 침투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염료가 염색 시 상기 염료이동채널을 통하여 상기 초부(110)의 내부로 침투하여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상기 심부(120)의 가염성을 향상시키며, 따라서 본 발명의 심초형 복합섬유의 염색성을 종래의 폴리올레핀계 섬유에 비하여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초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재료로 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재료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섬유는 타 섬유에 비하여 높은 강도, 경량성, 높은 소수성으로 인한 발수성(또는 방수성)을 갖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는 초부에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염색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높은 강도, 경량성, 발수성 등을 구현하는 섬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메틸렌(Polymeth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부텐(Polybutene) 및 폴리아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호모폴리머 또는 이들의 코폴리머 또는 이들의 변형체일 수 있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폴리에틸렌은 다른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비하여 높은 강도와 발수성을 가지며, 염색성이 가장 떨어지기 때문에 폴리에틸렌을 포함하여 본원발명의 심초형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경우 고강도, 고발수성을 구현할 수 있고, 기존의 폴리에틸렌 섬유에 비하여 염색성의 향상이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틸렌은 하기의 조건 1) 내지 3)을 모두 만족하는 것을 사용할 때, 그렇지 않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보다 현저히 우수한 물성을 구현할 수 있다.
1) 용융 지수(MI)가 10 내지 50g/100min;
2) 아이소택틱 지수가 95% 이상
3) 시차주사열량분석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으로 측정한 용융점(Tm)이 160 내지 170℃.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폴리에틸렌의 용융 지수가 높을수록 섬유의 강성, 내약품성이 상승하며, 낮은 신율을 구현할 수 있으며, 용융 지수가 50g/100min을 초과하면, 수지의 점도가 지나치게 저하되어 가공성이 불량해지게 된다. 또한, 용융 지수가 10g/100min 미만으로 낮으면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 섬유의 강성이 저하되며, 방사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수지의 아이소택틱 지수가 95% 미만인 경우에는 섬유의 방사성이 좋지 않으며, 섬유의 강성이 저하되고 균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수지의 용융점이 160℃ 미만이거나 17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량성 및 발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의 초부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뿐만 아니라, 이용성 폴리머가 감량되어 형성된 염료이동채널 및 상기 염료이동채널을 통하여 침투된 염료를 포함한다.
상기 이용성 폴리머는 극성 폴리머로서, 제조된 심초형 복합섬유를 알칼리 용액 또는 물 등의 용매에 의하여 감량 시 용출되어 상기 초부에 염료 이동 채널이 형성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이용성 폴리머를 블렌딩하여 초부에 포함 후 감량함으로써 본래 염색성이 좋지 않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초부에 사용하면서도 상기 염료이동채널에 의하여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가염성을 제고할 수 있고,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우수한 발수성 및 경량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이용성 폴리머는 극성 용매에 의하여 용출되어 심초형 복합섬유의 초부에 염료이동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이용성 폴리머 또는 수(水) 이용성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용성 폴리머로는 알칼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탄소수 6 내지 14의 방향족 다가 카르복실산 및 소디움 3,5-디카르보메톡시벤젠 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산성분과 디올성분을 포함하여 반응된 에스테르화 반응물;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여 중·축합된 코폴리에스테르(이하 ESP)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6-0079345호가 참조로서 인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부는 상기 초부 100중량%에 대하여 상기 이용성 폴리머가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된 후 감량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초부에 상기 이용성 폴리머가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어 있었던 경우, 감량에 의한 염료이동채널의 형성이 충분하지 않아 제조된 심초형 복합섬유의 염색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일광 견뢰도 또는 세탁 견뢰도 등의 염색 견뢰도 특성이 불량하여 상업적 상품으로 이용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극성 이용성 폴리머가 30 중량%를 초과하여 과다하게 포함된 경우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특성인 발수성 및 경량성 등이 제대로 발현되지 않아,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의 장점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용성 폴리머는 상기 초부 100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의 비율로 포함된 후 감량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함량으로 상기 이용성 폴리머가 포함된 후 감량된 경우,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의 염색성이 우수하면서도 동시에 심초형 복합섬유의 발수성 및 경량성이 최대로 발현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염료이동채널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상기 이용성 폴리머를 블렌딩하여 형성된 조성물을 상기 심초형 복합섬유의 초부로 하여 복합방사하여 제조된 원사를 알칼리 용액 또는 물 등의 용매에 의하여 감량하여 형성된 것이다.
상기 염료이동채널은 본 발명의 심초형 복합섬유의 표면에서 내부로 염료가 잘 침투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침투한 염료에 의하여 염색성이 좋지 않은 초부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에도 충분히 가염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심성분에 따라서는 심부의 폴리머도 가염성을 부여하여 염색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염색성이 우수한 심초형 복합섬유는 염색성이 좋지 않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초부에 사용하면서도 종래의 폴리올레핀계 섬유에 비하여 우수한 염색성 및 견뢰도를 구현할 수 있고, 폴리올레핀계 섬유의 장점인 경량성, 우수한 발수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초부에는 상기 염료이동채널을 통하여 침투된 염료를 포함한다. 상기 염료는 염료이동채널을 통하여 섬유의 내부로 침투함으로써 이러한 염료이동채널 없이 염색한 경우에 비하여 초부 및 심부의 물질에 잘 염착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비하여 우수한 견뢰도를 나타내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염료는 본 발명의 심초형 복합섬유에 잘 염착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분산 염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상기 심부(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심부(120)는 본 발명의 염색성이 우수한 심초형 복합섬유의 중심부에 자리잡아 섬유의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심부(120)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초부(110)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는 감량 전의 심초형 복합섬유에 감량을 수행한 이후에도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심부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감량 용매에 대하여 불용성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감량에 사용되는 물 또는 알칼리 용액 등의 용매에 대하여 불용성이다. 따라서, 감량 전의 심초형 복합섬유에 감량을 수행하더라도 본 발명의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는 섬유의 강도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alate, PET)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폴리머일 수 있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PET 수지일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PET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복합 방사할 때 PTT 또는 PBT를 사용하여 복합 방사한 경우에 비하여 더 우수한 방사성을 나타내고, 섬유의 강도 및 염색 농도인 K/S 값도 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가염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심부에 가염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형성된 염료이동채널에 의하여 심부로 침투한 염료에 의하여 초부뿐만 아니라 심부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도 염색될 수 있어 염색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이 같은 가염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는 양이온 염료 가염성 폴리에스테르 또는 염기성 염료 가염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이 있으며, 염색이 용이한 것이라면 당업자에게 알려진 것 중 어느 것이나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심부와 상기 초부는 심초형 복합섬유를 감량하기 전의 중량비가 95:5 내지 65:35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중량비로 심부와 초부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는 표면 염착 농도인 K/S 값을 5.0 이상으로 높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일광 견뢰도 또는 세탁 견뢰도 등의 염색 견뢰도 특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만으로 제조된 폴리올레핀계 단섬유와 섬유의 발수성을 동일 또는 근사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방사성이 우수하여 용융방사에 의하여 원활하게 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만일 상기 심부의 중량비가 9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초부의 감량에 의한 염료이동채널의 형성 효과가 충분하지 않아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초부의 가염성이 충분하지 않아, 제조된 심초형 복합섬유의 염색성이 불량하며, 섬유의 밀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경량성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심부의 중량비가 65 미만으로 낮은 경우에는 염료이동채널의 형성이 과다하여 심초형 복합 섬유의 강도가 저하되고 오히려 염색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분산염료인 Reform Blue FBL(Kayalon)을 욕비 20:1에서 1% o.w.f의 농도로 염색한 결과 표면염착농도(K/S 600nm)가 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염착 농도를 가짐으로써 본 발명의 염색성이 우수한 심초형 복합섬유는 종래의 폴리올레핀계 섬유의 발수성 및 경량성과 동일 또는 근사한 수준으로 구현하면서도 우수한 염색성 및 견뢰도를 구현할 수 있어 상업적 가치가 뛰어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밀도가 0.8 내지 1.0g/cc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밀도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여 제조된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는 우수한 염색성을 나타내면서도 폴리올레핀계 섬유의 우수한 강도 및 발수성 등의 물성을 구현할 수 잇다.
만일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밀도가 0.8g/cc 미만일 경우에는 감량에 의하여 충분히 염료이동채널을 형성하지 못한 것이므로 제조된 심초형 복합 섬유의 염색성이 불량한 단점이 있으며, 반대로 밀도가 1.0g/cc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폴리올레핀계 장점인 우수한 경량성을 제대로 살릴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복합섬유는 하기의 조건 4) 내지 6)을 모두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4) KS K ISO 105-C06법에 의거한 세탁견뢰도가 4급 내지 5급,
5) KS K 0650법에 의거한 마찰견뢰도가 4급 내지 5급.
6) JIS L 0804법에 의거한 일광견뢰도가 4급 내지 5급.
이와 같은 수준의 견뢰도를 가짐으로써 경량성, 염색성 및 발수성이 우수하면서도 색을 오래 보존할 수 있어 상품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섬유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두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심성분;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이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초성분을 복합방사하여 심초형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를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섬유의 장점인 경량성 및 발수성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동시에 감량에 의하여 염료이동채널을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우수한 염색성 및 견뢰도를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 (1) 단계에 따라 상기 심성분을 심부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이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초성분을 초부로 하여 복합방사구금을 통하여 복합 방사함으로써 심부;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감량에 의하여 염료이동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이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심초형 가염복합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심초형 가염복합섬유를 감량함으로써 후술할 심부 및 초부를 포함하여 염색되는 심초형 가염복합섬유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염색함으로써 상술한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심초형 가염복합섬유의 심부, 초부 및 상기 초부에 포함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이용성 폴리머에 관한 사항은 또한 상술한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 단계 이후에, (2) 상기 심초형 복합섬유를 감량하는 단계: 및 (3) 상기 감량되어 염료이동채널이 형성된 복합섬유를 염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심초형 복합섬유를 감량 및 염색함으로써 단순히 폴리올레핀계 섬유에 염색하는 것보다 감량에 의하여 형성된 염료이동채널을 통하여 염료가 섬유 내부로 잘 침투할 수 있고 따라서 우수한 염색성을 발현할 수 있고 일광견뢰도 및 세탁견뢰도 또한 더 우수하다.
상기 (2) 단계에 의하여 심부 및 초부를 포함하되 상기 초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상기 초부를 염색하기 위하여 이용성 폴리머가 감량되어 형성된 염료이동채널을 포함하는 심초형 가염복합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심초형 가염복합섬유를 염색함으로써 상기 염료이동채널을 통하여 침투된 염료가 상기 심초형 가염복합섬유에 염색되어 상술한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효과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우수한 경량성 및 발수성과 우수한 염색성 및 견뢰도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며, 상술한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심초형 가염복합섬유의 심부 및 초부에 관련한 수지의 종류, 함량, 물성에 관한 사항은 상술한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상술한 세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방적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본 발명의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를 절단하여 섬유의 길이가 10 내지 200mm가 되도록 한 단섬유를 얻어 방적사의 형태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적사는 폴리올레핀계 섬유의 우수한 경량성 및 발수성을 가지며,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염료이동채널에 의한 우수한 염색성을 발현할 수 있어서 상업적 가치가 뛰어난 장점이 있다.
상술한 네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가공사, 직편물 또는 부직포인 물품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현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구현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현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심성분: 가염성 PET
초성분: 폴리에틸렌(용융 지수 17g/100min, 아이소택틱 지수가 97%, DSC 131 Evo(Setaram Instrumentation, 프랑스)로 측정한 용융점이 165℃) 및 알칼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ESP(도레이첨단소재 社)를 각각 80중량% 및 20중량%의 비율로 혼합
상기와 같은 심성분과 초성분을 9:1의 중량비로 복합방사구금을 통하여 각각 심부, 초부가 되도록 복합방사하여 심초형 가염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심초형 복합섬유를 0.1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서 95℃의 온도로 20분간 감량하여 감량된 심초형 가염복합섬유를 형성하였다. 이후 감량된 심초형 복합섬유를 세척 후 건조하였다.
이후 상기 감량된 심초형 복합섬유를 제편기를 이용하여 직물로 제편한 후, 분산염료 Disperse BNG(V-BLUE)를 욕비 20:1에서 1% o.w.f(On the Weight of Fiber)로 염색하여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직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초성분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용융 지수가(MI)가 5g/100min인 것을 사용한 점을 다르게 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초성분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용융 지수(MI)가 60g/100min인 것을 사용한 점을 다르게 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초성분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아이소택틱 지수가 92%인 것을 사용한 점을 다르게 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초성분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DSC로 측정한 용융점이 116℃인 것을 사용한 점을 다르게 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초성분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DSC로 측정한 용융점이 176℃인 것을 사용한 점을 다르게 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초성분의 이용성 폴리머를 수(水) 이용성 폴리머를 사용한 점을 다르게 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심성분을 비가염성 PET인 ###를 사용한 점을 다르게 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초성분에 포함되는 이용성 폴리머의 함량을 1중량%로 조절한 점을 다르게 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초성분에 포함되는 이용성 폴리머의 함량을 32중량%로 조절한 점을 다르게 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심성분과 상기 초성분의 감량 전의 중량비를 97:3으로 조절한 점을 다르게 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심성분과 상기 초성분의 감량 전의 중량비를 61:39로 조절한 점을 다르게 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초부에 사용된 폴리에틸렌 수지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여 단독 방사하여 폴리에틸렌 단독섬유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에틸렌 단독수지를 제편기를 이용하여 직물로 제편한 후, 분산염료 Disperse BNG(V-BLUE)를 를 욕비 20:1에서 1% o.w.f(On the Weight of Fiber)로 염색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초성분을 폴리에틸렌 수지만을 단독으로 사용한 점을 다르게 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심성분과 상기 초성분의 중량비를 7:3으로 조절한 점을 다르게 하였다.
<실험예 1> - 염색성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직물을 분광측색기(코니카미놀타社, CM-3600d) 를 사용하여 표면 염색 농도의 K/S 값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실험예 2> - 방사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섬유를 방사하는 과정에서 (만권)/(만권+절사)×100(%)로 계산하여 97% 이상을 매우 좋음, 95% 이상을 좋음, 90% 이상을 보통, 90% 미만은 나쁨으로 평가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실험예 3> - 견뢰도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섬유를 포함하는 직물(원단)의 세탁견뢰도를 세탁견뢰도 시험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직물 시험편을 50mm×100mm의 크기로 재단하고, 세탁견뢰도 측정기(launder-O-meter, Textextextile社제)를 사용하여 세탁견뢰도를 측정하였다.
AATCC 표준세제를 0.37 중량%로 녹인 세탁액이 담긴 시험병에 각 직물 시험편 및 약 6mm 지름의 스테인리스 구슬을 투입하고 45분 동안 운전하여 세탁을 실시하였다. 기기가 멈춘 후 시험편을 헹구고 60~71℃ 온도의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시험편을 표준 광원조건에서 표준 회색색표와 비교하여 가장 견뢰도가 우수한 5등급에서 가장 견뢰도가 불량한 1등급까지 0.5등급 단위로 판정하였다.
상기와 같이 각 시험편에 대하여 세탁견뢰도를 측정한 결과는 하기의 표 2에 기재되어 있다.
<실험예 4> - 발수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직물(원단)의 발수도를 KS K ISO 4920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단을 1m×1m의 크기로 재단한 후에 스프레이로 물을 뿌려 젖은 상태를 발수도 판정 표준도표(Standard spray test rating chart)의 사진과 비교하여 발수도를 5 단위로 측정하고, 그 내용을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100: 직물 표면에 물방울이 전혀 남아 있지 않음
90: 직물 표면의 군데 군데 약간의 물방울이 남아 있음
80: 스프레이가 뿌려진 지점 약간 젖음
70: 스프레이가 뿌려진 지점의 너머로 부분적인 젖음 있음
50: 스프레이가 뿌려진 지점의 너머로 완전히 젖음
0: 표면 전체가 완전히 젖음
구분 | 이용성폴리머 | 심성분 | 심초부 중량비 |
염색성 (K/S) |
방사성 | 세탁 견뢰도 |
발수성 | |
종류 | 함량 | |||||||
실시예 1 | ESP | 20 | 가염 PET | 9:1 | 5.23 | 좋음 | 5 | 95 |
실시예 2 | ESP | 20 | 가염 PET | 9:1 | 5.06 | 나쁨 | 4 | 90 |
실시예 3 | ESP | 20 | 가염 PET | 9:1 | 5.40 | 나쁨 | 5 | 90 |
실시예 4 | ESP | 20 | 가염 PET | 9:1 | 5.32 | 나쁨 | 4 | 95 |
실시예 5 | ESP | 20 | 가염 PET | 9:1 | 4.92 | 좋음 | 4 | 85 |
실시예 6 | ESP | 20 | 가염 PET | 9:1 | 5.17 | 좋음 | 5 | 85 |
실시예 7 | 수 이용성 폴리머 | 20 | 가염 PET | 9:1 | 4.87 | 좋음 | 3 | 75 |
실시예 8 | ESP | 20 | 비가염 PET | 9:1 | 4.76 | 좋음 | 2 | 95 |
실시예 9 | ESP | 1 | 가염 PET | 9:1 | 4.48 | 좋음 | 3 | 95 |
실시예 10 | ESP | 32 | 가염 PET | 9:1 | 5.25 | 좋음 | 4 | 80 |
실시예 11 | ESP | 20 | 가염 PET | 97:3 | 4.62 | 좋음 | 3 | 90 |
실시예 12 | ESP | 20 | 가염 PET | 61:39 | 4.81 | 좋음 | 4 | 80 |
비교예 1 | - | - | - | - | - | 좋음 | - | 95 |
비교예 2 | - | - | 가염 PET | 9:1 | 4.11 | 매우좋음 | 2 | 95 |
비교예 3 | - | - | 가염 PET | 7:3 | 4.27 | 매우좋음 | 2 | 95 |
상기 표 2를 참고하면, 심부에 가염성 폴리에스테르인 DMS가 1.5mol%함유된 PET, 초부에 폴리에틸렌 수지 및 알칼리 이용성 폴리에스테르인 ESP를 포함하여 복합방사하여 감량 및 염색한 실시예 1의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는 폴리올레핀계 섬유임에도 표면염착농도인 K/S값이 5.23으로 우수한 염색성을 보였으며, 방사성, 세탁견뢰도 및 발수성 또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1 내지 3을 실시예 1과 비교하면, 이용성 폴리머를 전혀 첨가하지 않은 결과 경량성 및 발수성에서는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가염성이 좋지 않고, 견뢰도 또한 낮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내지 6의 경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물성이 본원에서 요구하는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사용한 결과 방사성 또는 발수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우수한 물성의 복합섬유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특정 물성을 만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ESP 대신에 수 이용성 폴리머를 사용한 실시예 7 및 심성분으로 비가염성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 실시예 8은 모두 세탁견뢰도가 미흡한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9 및 10은 초성분에 포함된 이용성 폴리머의 함량이 최적의 범위를 벗어난 결과 세탁견뢰도가 떨어지고, 특히 실시예 9는 염색성이 나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심성분과 초성분의 중량비가 최적의 범위를 벗어난 실시예 11 및 12는 염색성 및 세탁견뢰도 모두 나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0: 초부
120: 심부
200: 염료
120: 심부
200: 염료
Claims (19)
- 심부 및 초부를 포함하고 초부가 염색되는 심초형 복합섬유에 있어서,
상기 초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이용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용성 폴리머가 상기 초부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된 것에서 상기 이용성 폴리머가 감량되어 형성된 염료이동채널을 통해 염착된 염료를 포함하는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부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부는 가염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부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부텐 및 폴리메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호모폴리머(homopolymer) 또는 이들의 코폴리머(copolym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초부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은 하기의 조건 1) 내지 3)을 모두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
1) 용융 지수(MI)가 10 내지 50g/100min;
2) 아이소택틱 지수가 95% 이상;
3) 시차주사열량분석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으로 측정한 용융점(Tm)이 160 내지 17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성 폴리머는 알칼리 이용성 또는 수 이용성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성 폴리머는 탄소수 6 내지 14의 방향족 다가 카르복실산 및 소디움 3,5-디카르보메톡시벤젠 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산성분과 디올성분을 포함하여 반응된 에스테르화 반응물;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여 중·축합된 코폴리에스테르(ES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부와 상기 초부의 감량 전의 중량비는 95:5 내지 65: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
- 제1항에 있어서,
분산염료를 욕비 20:1에서 1 % o.w.f의 농도로 염색한 결과 표면염착농도(K/S 600nm)가 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밀도가 0.80 내지 1.00g/c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
- 제1항에 있어서,
하기의 4) 내지 6)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
4) KS K ISO 105-C06 법에 의거한 세탁견뢰도가 4급 내지 5급,
5) KS K 0650법에 의거한 마찰견뢰도가 4급 내지 5급.
6) JIS L 0804법에 의거한 일광견뢰도가 4급 내지 5급.
- (1) 심성분;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감량 후 염료이동채널을 형성하여 초부를 염색하기 위한 이용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용성 폴리머를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하는 초성분;을 복합방사하여 심초형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 제조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 이후에,
(2) 상기 심초형 복합섬유를 감량하는 단계: 및
(3) 상기 감량되어 염료이동채널이 형성된 복합섬유를 염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 심부 및 초부를 포함하여 염색되는 심초형 가염복합섬유에 있어서,
상기 초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감량 후 염료이동채널을 형성하여 초부를 염색하기 위한 이용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용성 폴리머가 상기 초부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심초형 가염복합섬유.
- 심부 및 초부를 포함하여 염색되는 심초형 가염복합섬유에 있어서,
상기 초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이용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용성 폴리머가 상기 초부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된 것에서 상기 이용성 폴리머가 감량되어 형성된 염료이동채널을 포함하는 심초형 가염복합섬유.
-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항의 심초형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방적사.
-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심초형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가공사, 직편물 또는 부직포인 물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6886A KR102415153B1 (ko) | 2020-08-25 | 2020-08-25 |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6886A KR102415153B1 (ko) | 2020-08-25 | 2020-08-25 |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6171A KR20220026171A (ko) | 2022-03-04 |
KR102415153B1 true KR102415153B1 (ko) | 2022-06-29 |
Family
ID=80813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6886A KR102415153B1 (ko) | 2020-08-25 | 2020-08-25 |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15153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50729A (ja) * | 2006-12-15 | 2008-07-03 | Asahi Kasei Fibers Corp | 吸水速乾性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
KR101489437B1 (ko) * | 2013-12-13 | 2015-02-03 |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 저온 열수 이용해성 코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55661B1 (ko) | 1995-12-14 | 1998-12-01 | 이웅열 | 폴리에스터 섬유 및 그 제조방법 |
KR102128829B1 (ko) * | 2014-12-31 | 2020-07-01 |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 가염성 폴리올레핀 복합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가염성 폴리올레핀계 복합 섬유, 및 가염성 폴리올레핀계 복합 원단 |
KR102545783B1 (ko) * | 2016-03-31 | 2023-06-19 |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 해도형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난연 수지 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해도형 복합 섬유 |
-
2020
- 2020-08-25 KR KR1020200106886A patent/KR10241515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50729A (ja) * | 2006-12-15 | 2008-07-03 | Asahi Kasei Fibers Corp | 吸水速乾性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
KR101489437B1 (ko) * | 2013-12-13 | 2015-02-03 |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 저온 열수 이용해성 코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26171A (ko) | 2022-03-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084203B1 (en) | Ultra-fine sheath-core composite fibers and composite sheets made thereof | |
KR870001132B1 (ko) | 제전성섬유 및 그 제조방법 | |
CN108779583B (zh) | 可染性聚烯烃纤维及包含其的纤维结构体 | |
KR102335576B1 (ko) | 가염성 폴리올레핀 섬유로 이루어지는 가연가공사 | |
KR20180097712A (ko) | 코어-시스형 복합 섬유, 가연사 및 섬유 구조체 | |
PL191298B1 (pl) | Sposób wytwarzania polimeru na bazie kopoliestru tereftalanu etylenu | |
JP7332693B2 (ja) | 導電性複合繊維およびそれを用いた繊維構造物 | |
KR102415153B1 (ko) | 초부가 염색된 심초형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 |
JP6635739B2 (ja) | 芯鞘型複合繊維と繊維構造物及びその製造方法 | |
US6562081B2 (en) | Disperse dyed polyethylene and process | |
JPH04209824A (ja) | 可染性ポリオレフィン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19183374A (ja) | 可染性ポリオレフィン繊維およびそれからなる繊維構造体 | |
JP2019127679A (ja) | 可染性ポリオレフィン芯鞘型複合繊維およびそれからなる繊維構造体 | |
JP2016194169A (ja) | 芯鞘型複合繊維 | |
JP6308127B2 (ja) | ポリメチルペンテン繊維を含有してなる紡績糸およびそれからなる繊維構造体 | |
JPH11247027A (ja) | 極細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WO2009080458A1 (en) | Process for preparing dyeable polypropylene | |
KR100785237B1 (ko) | 폴리에스터 시스코어형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 |
JP2019147927A (ja) | 共重合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ならびにそれを有する可染性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および可染性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を配する繊維 | |
KR101109304B1 (ko) | 카치온 가염형 폴리아미드 섬유의 제조방법 | |
JP7406697B2 (ja) | 芯鞘型ポリマーアロイ繊維、それを含む繊維集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0984690B1 (ko) | 이염색성 복합섬유 및 그 염색 제품 | |
CN1164594A (zh) | 可染细旦聚丙烯纤维的制造方法 | |
KR100644491B1 (ko) | 가볍고 염색이 가능한 폴리올레핀계 복합섬유 및 그제조방법 | |
KR970010704B1 (ko) | 원착해도형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