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112B1 - Differential Signal 통신방식을 이용한 임펄스 궤도회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Differential Signal 통신방식을 이용한 임펄스 궤도회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112B1
KR102415112B1 KR1020210164060A KR20210164060A KR102415112B1 KR 102415112 B1 KR102415112 B1 KR 102415112B1 KR 1020210164060 A KR1020210164060 A KR 1020210164060A KR 20210164060 A KR20210164060 A KR 20210164060A KR 102415112 B1 KR102415112 B1 KR 102415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ignal
voltage
receiving module
im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유완
여인창
Original Assignee
(주)중흥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중흥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중흥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210164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1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00Devices along the route controlled by interaction with the vehicle or train
    • B61L1/18Railway track circuits
    • B61L1/181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70Details of trackside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205/00Communication or navigation systems for railway traff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ifferential Signal 통신방식을 이용한 임펄스 궤도회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리적으로 GND를 분리하여 한 디바이스에서 받는 과전압 또는 서지 충격이 다른 디바이스에 영향을 적게 주는 Differential Signal 통신방식을 이용한 임펄스 궤도회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Differential Signal 통신방식을 이용한 임펄스 궤도회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Impulse track circuit device using differential signal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Differential Signal 통신방식을 이용한 임펄스 궤도회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리적으로 접지(GND)를 분리 및 삭제하여 한 디바이스에서 받는 과전압 또는 서지 충격이 다른 디바이스에 영향을 적게 주는 Differential Signal 통신방식을 이용한 임펄스 궤도회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도신호시스템에서 열차를 제어하는 방식은 지상시스템과 차상시스템으로 나누는데 지상시스템에 의한 열차제어 방식에서 궤도회로장치는 필수요건이라 할 수 있다.
궤도회로란 철도레일을 전기회로의 일부로 사용하여 회로를 구성 하고 철도차량의 차축에 의하여 레일과 레일을 단락함으로써 열차의 유무를 검지하여 신호기, 선로전환기, 연동장치, 기타의 신호기기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제어할 목적으로 설비한 전기회로이다.
궤도회로는 전원에 의한 분류, 회로구성 방법에 의한 분류, 궤도절연 방법의 의한 분류 등이 있다.
회로구성방법에 의한 분류는 개전로식 궤도회로와 폐전로식 궤도회로가 있으나 안전측 동작을 우선으로 하는 철도신호에서는 폐전로식 궤도회로를 사용한다.
한편 종래 발명은 송신모듈과 수신모듈의 통신을 RS-232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데, 직렬 방식 인터페이스(RS-232)의 경우 GND 레벨이 같아야 해서 전원부를 절연할 수 없어, 서지나 과전압에 의해서 시스템 전체가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구조여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다르게 구성할 필요가 생겼다.
또한 서지나 과전압에 의해서 해당 디바이스 외에 다른 디바이스에도 영향을 미쳐 전체 시스템이 망가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은 종래의 송수신 모듈과는 다르게 별도의 신호 GND를 연결하지 않아도 통신이 가능한 Differential Signal 통신방식을 이용한 임펄스 궤도회로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C220V를 입력 받아 각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 별로 DC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 부터 신호 GND를 연결하지 않고, 신호선(Differential Signal)을 이용하여 신호 차이에 따른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모듈; 신호 GND를 연결하지 않고, 상기 신호선의 신호 차이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송신 모듈은 주어진 신호를 선로에 위상만 180도 다른 동일한 신호를 내보내고, 수신 모듈은 차동증폭기(Differential amplifier)를 이용해 전송선에 위상이 서로 반대로 흐르는 차동신호(Differential signal)로 두 신호의 차이를 만들어 내며, 상기 전송선 중 각 단일입력전압(Vp, Vn)의 DC offset전압은 공통모드전압을 발생하게 되며, 상기 DC offset전압(공통모드전압)은 같은 극성을 가지므로 상기 차동신호에 따른 수신 모듈의 전압레벨이 50%(전체에서 ㅍ 지점)가 되는 지점은 0V가 되어 소거되어(외부 잡음을 억제할 수 있어), 별도의 신호 GND를 연결하지 않아도 통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송신 모듈이 주어진 신호를 선로에 위상만 180도 다른 동일한 신호를 수신 모듈로 내보내는 단계; 송신 모듈이 차동증폭기(Differential amplifier)를 이용해 전송선에 위상이 서로 반대로 흐르는 차동신호(Differential signal)로 두 신호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 단계; 상기 전송선 중 각 단일입력전압(Vp, Vn)의 DC offset전압은 공통모드전압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DC offset전압(공통모드전압)은 같은 극성을 가지므로 상기 차동신호에 따른 수신 모듈의 전압레벨이 50%(전체에서 1/2 지점)가 되는 지점은 0V가 되어 소거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 중 하나의 모듈에 과전압 또는 서지가 유입되더라도 해당 신호선에만 국소적으로 영향을 준다.
상기 50%가 되는 지점은 0V가 되어 소거되어 외부 잡음을 억제할 수 있어 별도의 신호 GND를 연결하지 않아도 통신이 가능하다.
상기 송신모듈은 임펄스 전압을 현장의 궤도회로 송신측으로 출력하고, AC 입력전압, DC 출력전압, 임펄스 전압, 평균전류, 주파수 정보를 디스플레이 및 정보 전송하는 모듈이고, 상기 수신모듈은 현장 궤도회로 수신측의 임펄스 전압을 입력받아 궤도계전기의 작동전압 출력과; 임펄스 전압, ID, 평균전류, 주파수 정보를 디스플레이 및 정보 전송하는 모듈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 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 중 하나의 모듈에 과전압 또는 서지가 유입되더라도 신호 GND를 연결하지 않아 상호 영향이 없으므로, 해당 신호선에만 국소적으로 영향을 주어 해당 디바이스 외의 다른 디바이스들은 안전하거나 미치는 영향이 적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Differential Signal 통신방식을 이용한 임펄스 궤도회로 장치의 통신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ifferential Signal 통신방식을 이용한 임펄스 궤도회로 장치의 기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기 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ifferential Signal 통신방식을 이용한 임펄스 궤도회로 장치의 기본 구성과 비교기 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ifferential Signal 통신방식을 이용한 임펄스 궤도회로 장치의 기본 구성과 오차 모듈 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균 오차 등을 이용하여 연산하는 모듈들에 관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교기 을 이용하여 연산하는 모듈들에 관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ifferential Signal 통신방식을 이용한 임펄스 궤도회로 장치는 AC220V를 입력 받아 각 모듈(송,수신모듈)별로 DC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부(110); 상기 전원부(110)로 부터 신호 GND(Signal GND)를 연결하지 않고, 신호선(Differential Signal)을 이용하여 신호 차이에 따른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모듈(120); 신호 GND를 연결하지 않고, 상기 신호선의 신호 차이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모듈(130);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송수신 모듈과는 다르게 별도의 신호 GND를 연결하지 않아도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 중 하나의 모듈에 과전압 또는 서지가 유입되더라도 신호 GND를 연결하지 않아 상호 영향이 없으므로, 해당 신호선에만 국소적으로 영향을 주어 해당 디바이스 외의 다른 디바이스들은 안전하거나 서로간 미치는 영향이 적다.
즉, 이러한 구조로 인해 시설 보수가 용이하고 유지 비용이 절감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 표 1과 같이 송신모듈(120)은 임펄스 전압을 현장의 궤도회로 송신측으로 출력 (이중계 구성)하고, AC 입력전압, DC 출력전압, 임펄스 전압, 평균전류, 주파수 정보를 디스플레이 및 정보 전송하는 모듈이다.
수신모듈(130)은 현장 궤도회로 수신측의 임펄스 전압을 입력받아 궤도계전기의 작동전압 출력과; 임펄스 전압, ID, 평균전류, 주파수 정보를 디스플레이 및 정보 전송하는 모듈이다.
Figure 112021136192199-pat00001
이 외에도 상기 Differential Signal 통신방식을 이용한 임펄스 궤도회로 장치에서 궤도계전기(미도시)는 수신모듈 출력전압의 입력여부에 따라 궤도계전기를 여자 또는 낙하시키며, 서브랙은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을 실장하며 송신모듈 자동절체기능을 수행하고, 모듈류, 현장의 임피던스 본드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데이터 수집기(140)는 임펄스 랙에 설치된 수신모듈에서 궤도회로 정보를 수집하여 네트워크 스위치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임펄스 랙(모듈형)은 서브랙, 궤도계전기를 실장하여 절체버튼 취급 시 동작 중인 송신모듈을 대기 중인 예비계로 수동절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 표 2와 같이 절체버튼을 누를 시 송신모듈은 동작 중인 계에서 대기 중인 예비계로 절체된다.
Figure 112021136192199-pat00002
상기 임펄스 랙에 설치된 궤도회로 정보를 RS-485 통신방식으로 수집하고 수집 한 정보를 네트워크 스위치로 전송할 수 있다.
임펄스 궤도회로 길이는 18∼1,000m 이고, 누설저항이 2Ω/㎞ 이상일 때는 최대 2,000m 까지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RS-485 신호선은 신호 GND를 연결하지 않아도 통신이 되기 때문에 상기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 별로 신호 GND가 통합되지 않아도, 외부 잡음을 억제할 수 있고, 신호 GND를 연결하지 않아도 통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송신 모듈(120)은 주어진 신호를 선로에 위상만 180도 다른 동일한 신호를 내보낸다.
그리고 수신 모듈(130)은 차동증폭기(Differential amplifier)를 이용해 전송선에 위상이 서로 반대로 흐르는 차동신호(Differential signal)로 두 신호의 차이를 만들어 낸다.
그리고 상기 전송선 중 각 단일입력전압(Vp, Vn)의 DC offset전압은 공통모드전압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 DC offset전압(공통모드전압)은 같은 극성을 가지므로 상기 차동신호에 따른 수신 모듈(130)의 전압레벨이 50%가 되는 지점은 0V가 되어 소거되어 외부 잡음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신호 GND를 연결하지 않아도 통신이 가능하다.
Figure 112021136192199-pat00003
(Vdiff : 차동신호, Vp : + 단자 전압, Vn : - 단자 전압(180도 위상 차이))
Figure 112021136192199-pat00004
(Vcm : 공통모드전압(common mode))
상술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송신 모듈(A 디바이스) 송신 입장에서 GNDA는 0V이고 TTL 신호가 High일 때 Differential +신호선에는 1V, Differential -신호선에는 -1V가 출력된다고 가정했을 때, 수신 모듈(B 디바이스) 수신측에는 GNDB를 기준으로 Differential +신호선 레벨이 3V, Differential -신호선 레벨이 1V로 수신된다면 수신측 OP-AMP에 의하여 최종 출력 TTL은 High값을 나타낸다.
이때 신호선 레벨을 기준으로 +신호선과 -신호선의 50%가 되는 전압레벨인 2V가 신호선전압레벨의 GND가 된다.
일반적인 OP-AMP 두 입력인 A,B의 차가 + 값을 가지면 High, -값을 가지면 Low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레벨의 GNDA와 GNDB가 연결되지 않더라도 통신상에는 큰 문제가 없다.
이 외에 본 발명에 명시되지 않았거나 분명하지 않은 사항은 본 발명의 성능 및 사용에 만족하도록 제작하여야 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송신모듈(120)과 수신모듈(130)의 통신은 RS-485 인터페이스를 이용하고 수신모듈과 데이터 수집기(140)의 통신은 RS-422 인터페이스를 이용한다.
전원부에서 DC 전원을 전달받아, 전원부로 부터 신호 GND를 연결하지 않고, 송신모듈은 RS-485 신호선(Differential Signal)을 이용하여 신호 차이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모듈에 전달한다.
실시예 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모듈들의 온도를 감지하는 PTC 센서(160)에 연결된 비교기(170)는 상기 특정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의 이상이 의심되는 PTC 신호가 출력된 경우 상기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의 신호값이 일정 시간 이상 상기 평균값의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고 이에 해당시 상기 특정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은 이상이 있다고 판정한다.
실시예 3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감시기능을 갖는 데, 감시정보는 1) 송신모듈 : 입력전압, 출력전압, 정ㅇ부펄스 전압, 평균전류, 출력펄스, 2) 수신모듈 : 정ㅇ부펄스 전압, 평균전류, 출력펄스 등이다.
상기 감시정보(평균전류 제외)와 송신모듈이 절체된 경우 절체원인을 전기설비 기술지원시스템에 전송한다.
상기 감시 기능을 갖는 감시 모듈(190)은 상기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에 의해 출력된 신호값을 상호비교하여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는 모듈이다.
상기 감시 모듈(190)은 평균 모듈(191), 평균오차모듈(192), 및 오차평균판단모듈(193) 등을 포함한다.
상기 평균모듈(191)은 상기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에 의해 출력된 신호값을 평균하여 평균값을 산정한다.
상기 평균오차모듈(192)은 특정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의 신호값의 에러값(횟수)이 상기 평균값의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의 이상이 의심 된다는 신호를 전기설비 기술지원시스템에 출력한다.
상기 오차평균판단모듈(193)은 상기 평균오차모듈에서 특정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의 이상이 의심되는 신호가 출력된 경우 상기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의 신호값이 일정 시간 이상 상기 평균값의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고 이에 해당시 상기 특정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은 이상이 있다고 판정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오차평균판단모듈(193)은 평균오차(Standard Error)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의 신호값이 일정 시간 이상 상기 평균값의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고 이에 해당시 상기 특정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은 이상이 있다고 판정할 수도 있다.
이 때 평균오차(Standard Error)는 상기 신호값에 대응하는 평균값의 표준 오차를 사용하여 신호값에 대한 임의의 표본의 평균값이 실제 평균값을 얼마나 정확하게 추정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값에 대응하는 평균값의 표준 오차의 하한 값은 신호값에 대응하는 평균값의 더 정확한 추정치를 나타낸다.
실시예 4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신모듈(120) 및 수신모듈(130) 중 하나의 모듈에 과전압 또는 서지가 유입되더라도 다른 모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미리 감지 전압을 소정의 기준전압과 비교모듈(200)을 통해 비교하거나 특성 저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의 누설전류의 증가에 따라 저항이 증가되는 서지 모듈(202; 예 :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sensor)와, 상기 서지 센서의 감지 전압을 소정의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의 특성 저하를 감지하기 위한 비교기(201)와, 상기 비교기가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의 특성 저하를 감지하면 특성 저하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위험도를 나누어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특성 저하는 상기 신호값의 에러값이 일정치 이하로 저하되는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를 말한다.
상기 특성 저하가 일정 범위 동안 지속되는 경우 상기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의 이상이 의심 된다는 신호를 전기설비 기술지원시스템에 출력한다.
상기 비교기(201)는 상기 특정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의 이상이 의심되는 신호가 출력된 경우 상기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의 신호값이 일정 시간 이상 상기 평균값의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고 이에 해당시 상기 특정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은 이상이 있다고 판정하여 알람 모듈(203)로 외부 관리자에게 알람신호를 전송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비교기는 지수이동평균 (EMA)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의 가장 최근 신호값이 일정 시간 이상 상기 평균값의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고 이에 해당 특정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은 이상이 있다고 판정하여 과거 정보를 제외하고 최신 정보로만 판정할 수 있어 실시간 감시에 용이하다.
110 : 전원부
120 : 송신모듈
130 : 수신모듈
140 : 데이터 수집기
160 : PTC 센서
170 : 비교기
190 : 감시 모듈
191 : 평균 모듈
192 : 평균오차모듈
193 : 오차평균판단모듈
200 : 비교모듈
202 : 서지 모듈

Claims (10)

  1. AC220V를 입력 받아 각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 별로 DC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 부터 신호 GND를 연결하지 않고, 신호선을 이용하여 신호 차이에 따른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모듈; 신호 GND를 연결하지 않고, 상기 신호선의 신호 차이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 모듈은 주어진 신호를 선로에 위상만 180도 다른 동일한 신호를 내보내고, 수신 모듈은 차동증폭기를 이용해 전송선에 위상이 서로 반대로 흐르는 차동신호로 두 신호의 차이를 만들어 내며, 상기 전송선 중 각 단일입력전압(Vp, Vn)의 DC offset전압은 공통모드전압을 발생하게 되며, 상기 DC offset 전압은 같은 극성을 가지므로 상기 차동신호에 따른 수신 모듈의 전압레벨이 50%가 되는 지점은 0V가 되어 소거되어, 별도의 신호 GND를 연결하지 않아도 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fferential Signal 통신방식을 이용한 임펄스 궤도회로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동신호는 아래 수학식 1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fferential Signal 통신방식을 이용한 임펄스 궤도회로 장치.
    [수학식 1]
    Figure 112022017263412-pat00005

    (Vdiff : 차동신호, Vp : + 단자 전압, Vn : - 단자 전압(180도 위상 차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통모드전압은 아래 수학식 2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fferential Signal 통신방식을 이용한 임펄스 궤도회로 장치.
    [수학식 2]
    Figure 112022017263412-pat00006

    (Vcm : 공통모드전압(common mode))
  5. 송신 모듈이 주어진 신호를 선로에 위상만 180도 다른 동일한 신호를 수신 모듈로 내보내는 단계;
    송신 모듈이 차동증폭기를 이용해 전송선에 위상이 서로 반대로 흐르는 차동신호로 두 신호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 단계;
    상기 전송선 중 각 단일입력전압의 DC offset 전압은 공통모드전압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DC offset 전압은 같은 극성을 가지므로 상기 차동신호에 따른 수신 모듈의 전압레벨이 50%가 되는 지점은 0V가 되어 소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Differential Signal 통신방식을 이용한 임펄스 궤도회로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에 부착된 PTC 센서의 PTC 신호가 일정치 이상으로 출력된 경우 상기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의 신호값이 일정 시간 이상 평균값의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고 이에 해당시 상기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은 이상이 있다고 판정하여 차단함으로서, 상기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 중 하나의 모듈에 과전압 또는 서지가 유입되더라도 해당 신호선에만 국소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fferential Signal 통신방식을 이용한 임펄스 궤도회로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에 부착되어 감시하는 감시 모듈은 상기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에 의해 출력된 신호값을 평균모듈로 평균하여 평균값을 산정하는 단계;
    상기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의 신호값의 에러값이 평균오차모듈을 통해 상기 평균값의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의 이상이 의심 된다는 신호를 전기설비 기술지원시스템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평균오차모듈에서 특정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의 이상이 의심되는 신호가 출력된 경우 상기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의 신호값이 일정 시간 이상 상기 평균값의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고 이에 해당시 상기 특정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은 이상이 있다고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에 별도의 신호 GND를 연결하지 않아도 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fferential Signal 통신방식을 이용한 임펄스 궤도회로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듈은 임펄스 전압을 현장의 궤도회로 송신측으로 출력하고, AC 입력전압, DC 출력전압, 임펄스 전압, 평균전류, 주파수 정보를 디스플레이 및 정보를 전송하는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fferential Signal 통신방식을 이용한 임펄스 궤도회로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듈은 현장 궤도회로 수신측의 임펄스 전압을 입력받아 궤도계전기의 작동전압 출력과; 임펄스 전압, ID, 평균전류, 주파수 정보를 디스플레이 및 정보를 전송하는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fferential Signal 통신방식을 이용한 임펄스 궤도회로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의 누설전류의 증가에 따라 저항이 증가되는 서지 모듈의 감지 전압을 소정의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의 특성 저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의 특성 저하를 감지하면 특성 저하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위험도를 나누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fferential Signal 통신방식을 이용한 임펄스 궤도회로 장치를 이용한 통신 방법.
KR1020210164060A 2021-11-25 2021-11-25 Differential Signal 통신방식을 이용한 임펄스 궤도회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KR102415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060A KR102415112B1 (ko) 2021-11-25 2021-11-25 Differential Signal 통신방식을 이용한 임펄스 궤도회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060A KR102415112B1 (ko) 2021-11-25 2021-11-25 Differential Signal 통신방식을 이용한 임펄스 궤도회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5112B1 true KR102415112B1 (ko) 2022-07-01

Family

ID=82397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060A KR102415112B1 (ko) 2021-11-25 2021-11-25 Differential Signal 통신방식을 이용한 임펄스 궤도회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1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235B1 (ko) * 2023-05-19 2023-08-25 유경제어 주식회사 임펄스 궤도회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5755A (ko) * 2009-05-21 2010-12-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Af궤도회로장치에서의 수신신호 검지 회로
KR20200022742A (ko) * 2018-08-23 2020-03-04 주식회사 에스알 개선된 임펄스 신호를 제공하는 궤도 회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5755A (ko) * 2009-05-21 2010-12-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Af궤도회로장치에서의 수신신호 검지 회로
KR20200022742A (ko) * 2018-08-23 2020-03-04 주식회사 에스알 개선된 임펄스 신호를 제공하는 궤도 회로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n-patent document *
비특허문헌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235B1 (ko) * 2023-05-19 2023-08-25 유경제어 주식회사 임펄스 궤도회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38569B (zh) 用于铁路车辆监测设施的检测异常的设备、相关的设施及方法
AU2007334237B2 (en) Methods and system for jointless track circuits using passive signaling
KR101360951B1 (ko) 레일 손상 검지 장치 및 그 방법
US5769364A (en) Coded track circuit with diagnostic capability
KR102415112B1 (ko) Differential Signal 통신방식을 이용한 임펄스 궤도회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US20100017661A1 (en) Method for detecting a fault on a data line
AU20162011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insulated joints in track systems
CN115112188A (zh) 利用驱动信号诊断的磁流量计
US11047924B2 (en)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CN205404690U (zh) 一种故障指示器测试装置
US10358036B2 (en) Vehicle ground fault detection apparatus
EP284056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on and adaption to an end-of-line resistor and for ground fault localization
US11927639B2 (en) High-voltage interlocking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high-voltage interlocking device
KR102133021B1 (ko) 디지털 고전압 임펄스 궤도회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657187A1 (en) Fault detection in a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system
RU2406624C1 (ru)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электрифицированных железных дорог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JP4614910B2 (ja) 無絶縁軌道回路
JP6662814B2 (ja) 軌道回路監視装置
KR102146168B1 (ko) 자동열차제어장치 디코더보드 부품의 잔여수명 확인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디코더보드 관리방법
JP6189113B2 (ja) 鉄道信号ケーブル断線検知器
CN113022644A (zh) 一种判定移频脉冲轨道电路室外送受端的方法
US20230029300A1 (en) Maintenance apparatus, maintenance system, and maintenance method
JP4723305B2 (ja) 軌道回路による列車在線検知方法及びその装置
JP7158260B2 (ja) 軌道回路監視装置
JP2005199838A (ja) ケーブル混触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