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038B1 -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통화 수행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통화 수행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038B1
KR102415038B1 KR1020190132185A KR20190132185A KR102415038B1 KR 102415038 B1 KR102415038 B1 KR 102415038B1 KR 1020190132185 A KR1020190132185 A KR 1020190132185A KR 20190132185 A KR20190132185 A KR 20190132185A KR 102415038 B1 KR102415038 B1 KR 102415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video call
omnidirectional image
omnidirectio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5981A (ko
Inventor
박상호
최승원
권정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200045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통화 수행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어장치가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전방위 카메라와 연결된 발신장치로부터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아이콘을 추가하는 단계, 제어장치가 발신장치에서 선택된 착신장치에서 영상통화가 수락되면 아이콘이 추가된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착신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제어장치가 착신장치와 연결된 전방위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장치가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에 아이콘을 추가하고 발신장치로 전송하여 발신장치와 착신장치의 영상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다른 실시 예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통화 수행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Video Call using Omnidirectional Camera}
본 발명은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통화 수행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자장치에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된 전방위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통화를 수행하는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통화 수행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영상통화는 영상통화를 수행하는 전자장치(예컨대, 스마트 폰)에 구비된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이용하는 기술로 구현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영상통화에서 확인되는 영상데이터는 1인칭 시점으로 촬영된 영상데이터이기 때문에 배경 위주의 영상통화를 수행하고 싶을 때는 전자장치의 전면 카메라에서 후면 카메라로 동작을 변경하거나, 사용자가 전자장치를 회전시켜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또한, 착신자에게 착신자가 원하는 방향의 영상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발신자는 착신자의 요청에 따라서 전자장치의 위치를 변경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자장치에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된 전방위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통화 수행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영상통화 수행 중의 통화데이터를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중계할 수 있는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통화 수행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영상통화 수행 중의 통화데이터를 저장한 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저장된 통화데이터를 불특정 다수에게 공유할 수 있는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통화 수행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통화 수행 방법은, 제어장치가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전방위 카메라와 연결된 발신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아이콘을 추가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발신장치에서 선택된 착신장치에서 영상통화가 수락되면 상기 아이콘이 추가된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상기 착신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착신장치와 연결된 전방위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에 아이콘을 추가하고 상기 발신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발신장치와 상기 착신장치의 영상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영상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발신장치 또는 상기 착신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회전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회전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데이터를 회전하여 해당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영상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발신장치 또는 상기 착신장치 중 어느 하나의 장치로부터 라이브 스트리밍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요청신호에 따라 하나의 화면에 상기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와 상기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발신장치 및 상기 착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음성데이터와 상기 제1 및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여 스트리밍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기등록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계정으로 업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영상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발신장치 또는 상기 착신장치 중 어느 하나의 장치로부터 상기 연결된 영상통화에 대한 녹화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녹화신호에 따라 상기 발신장치와 상기 착신장치에서 획득되는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녹화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제1 및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와 상기 음성데이터를 동기화한 후 먹싱하여 녹화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녹화데이터를 기등록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계정으로 업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통화 수행 장치는, 전방위 카메라와 연결된 발신장치 및 전방위 카메라와 연결된 착신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발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에 아이콘을 추가하고, 상기 발신장치에서 영상통화를 위해 선택된 상기 착신장치에서 상기 영상통화가 수락되면, 상기 아이콘이 추가된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상기 착신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착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에 아이콘을 추가하여 상기 발신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발신장치와 상기 착신장치가 상기 영상통화를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영상통화 중인 상기 발신장치 또는 상기 착신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회전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회전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데이터를 회전하여 해당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발신장치 또는 상기 착신장치 중 어느 하나의 장치로부터 수신된 라이브 스트리밍에 대한 요청신호에 따라 하나의 화면에 상기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와 상기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할당하고, 상기 발신장치 및 상기 착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음성데이터와 상기 제1 및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여 생성된 스트리밍 데이터를 기등록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계정으로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발신장치 또는 상기 착신장치 중 어느 하나의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영상통화에 대한 녹화신호에 따라 상기 발신장치와 상기 착신장치에서 획득되는 음성데이터와 상기 제1 및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에 대한 저장, 동기화 및 먹싱을 수행하여 생성된 녹화데이터를 기등록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계정으로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통화 수행 시스템은,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전방위 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획득하고, 영상통화를 위한 착신장치를 선택하는 발신장치, 상기 발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에 아이콘을 추가하고 상기 영상통화가 수락된 상기 착신장치로 상기 아이콘이 추가된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영상통화를 수락하고 상기 아이콘이 추가된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출력하고, 전방위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상기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착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착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에 아이콘을 추가하고 상기 발신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발신장치와 상기 착신장치의 상기 영상통화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통화 수행 방법, 전자장치 및 시스템은, 전자장치에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된 전방위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통화를 수행함으로써, 배경 위주의 영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 행동의 자유를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통화 수행 방법, 전자장치 및 시스템은, 영상통화 수행 중의 통화데이터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중계하거나, 영상통화 수행 중의 통화데이터를 저장한 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저장된 통화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보다 자연스러운 영상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통화 수행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통화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통화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장치에서 영상통화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장치에서 라이브 스트리밍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통화 수행 시의 화면을 나타낸 화면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통화에 대한 통화데이터를 녹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통화 수행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통화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은 전방위 카메라(100), 발신장치(150), 제어장치(200), 착신장치(250) 및 중계장치(300)를 포함한다.
전방위 카메라(100)는 360도 전방위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로 넥밴드(neck band) 등과 같이 사용자가 몸에 패용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획득한다. 전방위 카메라(100)는 획득된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발신장치(150)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전방위 카메라(100)는 발신장치(150)와 WiFi direct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발신장치(150)는 착신장치(250)와 영상통화가 가능한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의 전자장치이고, 전방위 카메라(10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전방위 카메라(100)에서 획득된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수신한다. 발신장치(150)는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를 위해, 발신장치(150)는 WiFi direct 등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전방위 카메라(100)와 통신을 수행하고, 5G(5th genera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통신을 통해 제어장치(2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발신장치(150)는 전방위 카메라(100)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면 발신장치(150)에서는 하기의 표 1과 같은 항목들을 고려하여 전방위 카메라(100)와의 연동을 수행한 후 발신장치(150)에서 전방위 카메라(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전방위 카메라(100)의 SDK포팅 및 API연동
전방위 카메라(100)의 등록관리, 연결 및 해제 기능
전방위 카메라(100)의 비디오/오디오 스트림 수신 처리 및 해상도별 어플리케이션 내 표시 기능
전방위 카메라(100)의 비디오/오디오 미디어 스트림 전송 기능
전방위 카메라(100)의 webRTC GetUserMedia기능 변경
전방위 카메라(100)의 webRTC GetUserMedia device control 기능
전방위 카메라(100)의 webRTC GetUserMedia video stream control 기능
전방위 카메라(100)의 webRTC GetUserMedia audio stream control 기능
전방위 카메라(100)의 WebVR 기능
전방위 카메라(100)의 OpenGL 연동
전방위 카메라(100)의 WebGL 연동
또한, 발신장치(150)는 착신장치(250)와의 영상통화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발신자의 입력에 따라 저장된 영상통화데이터를 중계장치(300)로 전송하여 중계장치(3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발신장치(150)와 착신장치(250) 사이의 전방위 영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 등의 장치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어장치(200)로 명명한다. 제어장치(200)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 발신장치(150)와 착신장치(250) 사이의 전방위 영상통화(이하, 영상통화라 함)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장치(200)는 통신부(201), 입력부(203), 표시부(205), 메모리(207) 및 제어부(209)를 포함한다.
통신부(201)는 제어장치(200)의 외부에 위치한 발신장치(150), 착신장치(250) 및 중계장치(3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201)는 5G(5th genera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입력부(203)는 제어장치(200)의 사용자 즉, 제어장치(200)의 관리자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입력부(203)는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널(touch panel), 터치 키(touch key) 및 버튼(button)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표시부(205)는 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따른 출력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표시부(205)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표시부(205)는 입력부(203)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07)는 제어장치(20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특히, 메모리(207)는 발신장치(150)로부터 수신된 전방위 영상데이터(이하,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라 함)와 착신장치(250)로부터 수신된 전방위 영상데이터(이하,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라 함)에 추가할 아이콘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07)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 복수의 발신장치 및 착신장치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09)는 발신장치(150)에서 영상통화를 위해 착신장치(250)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착신장치(250)와의 데이터 통신을 연결한다. 제어부(209)는 발신장치(150)에 연결된 전방위 카메라(100)에서 획득된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발신장치(150)로부터 수신하고, 데이터 통신이 연결된 착신장치(250)로 영상통화의 수락을 요청한다. 제어부(209)는 발신장치(150)로부터 수신된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에 전방위 영상데이터임을 알리는 아이콘을 추가한다. 제어부(209)는 착신장치(250)로부터 영상통화 수락신호가 수신되면, 아이콘이 추가된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착신장치(250)로 전송한다.
제어부(209)는 영상통화를 수락한 착신장치(250)로부터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에 전방위 영상데이터임을 알리는 아이콘을 추가한다. 제어부(209)는 아이콘이 추가된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발신장치(150)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발신장치(150) 및 착신장치(250)에는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와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가 함께 표시되어 영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09)는 발신장치(150)와 착신장치(250)가 영상통화를 수행하는 도중에 발신장치(150)로부터 발신장치(150)에 표시된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에 대한 회전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회전신호에 대응하도록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회전한다. 제어부(209)는 회전된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발신장치(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발신장치(150)를 사용하는 발신자는 착신장치(250)를 사용하는 착신자에게 방향전환 등을 요청하지 않고도, 착신장치(250)의 주변 위치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360도 회전시키면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9)는 발신장치(150)로부터 영상데이터 화면 원복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09)는 회전신호가 수신되기 이전에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에 대한 기준 시점을 확인하고, 원복신호가 수신되면 확인된 기준 시점으로 변환하여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발신장치(15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09)는 발신장치(150)로부터 영상통화 중인 통화데이터를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중계하고자 하는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이에 대한 요청메시지를 착신장치(250)로 전송한다. 이때, 통화데이터는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9)는 착신장치(250)로부터 라이브 스트리밍 수락신호가 수신되면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업로드하고자 하는 하나의 화면을 동일하게 분할하고, 분할된 각각의 화면에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와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할당한다. 제어부(209)는 발신장치(150)와 착신장치(250)로부터 수신된 음성데이터와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 및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여 스트리밍 데이터를 생성한 후 중계장치(300)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209)는 라이브 스트리밍을 요청한 장치 예컨대, 발신장치(150)가 기등록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계정으로 로그인을 수행하여 스트리밍 데이터를 중계장치(3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제어부(209)는 발신장치(150)로부터 영상통화 중인 통화데이터를 녹화하고자 하는 녹화신호가 수신되면 이에 대한 요청메시지를 착신장치(250)로 전송한다. 이때, 통화데이터는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9)는 착신장치(250)로부터 녹화신호에 대한 수락신호가 수신되면 발신장치(150)와 착신장치(250)에서 전송되는 음성데이터를 녹음하고,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와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녹화한다. 제어부(209)는 음성데이터,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 및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고, 발신장치(150)로부터 수신된 녹화종료신호에 따라 음성데이터,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 및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의 동기화를 종료한다. 제어부(209)는 동기화된 음성데이터,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 및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먹싱하여 녹화데이터를 생성 및 저장한다. 제어부(209)는 발신장치(150)에서 녹화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신호가 선택되면 제어부(209)는 공유신호에 대응되는 녹화데이터를 중계장치(300)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209)는 녹화데이터 공유를 요청한 장치 예컨대, 발신장치(150)가 기등록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계정으로 로그인을 수행하여 녹화데이터를 중계장치(3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착신장치(250)는 발신장치(150)와 영상통화가 가능한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의 전자장치일 수 있다. 착신장치(250)는 전방위 카메라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전방위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발신장치(150)와 영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착신장치(250)는 전방위 카메라와 별도로 연결되지 않고, 착신장치(250)에 내장된 카메라(미도시)로부터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발신장치(150)와 영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착신장치(250)가 전방위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발신장치(150)와 영상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착신장치(250)는 WiFi direct 등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전방위 카메라와 통신을 수행하고, 5G(5th genera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통신을 통해 제어장치(2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중계장치(300)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장치로, 제어장치(200)와의 통신을 통해 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업로드한다. 이를 통해, 중계장치(300)로 접속하는 불특정 다수 또는 중계장치(300)에 업로드를 요청한 발신장치(150) 또는 착신장치(250)와 연관된 특정 다수(예컨대, 팔로워 및 팔로잉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가 스트리닝 데이터를 시청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통화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01단계에서 발신장치(150)는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이용한 영상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303단계에서 발신장치(150)는 발신자로부터 착신자 목록 중에서 영상통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착신자를 선택받는다. 이때, 착신자 목록 중에서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된 상태인 착신자의 이름 옆에는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이용한 영상통화가 가능한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305단계에서 발신장치(150)는 전방위 카메라(100)를 제어하여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307단계에서 발신장치(150)는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한다.
309단계에서 제어장치(200)는 발신장치(150)로부터 수신된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에 아이콘을 추가한다. 311단계에서 제어장치(200)는 발신장치(150)와 착신장치(250) 사이의 데이터 통신이 연결되면, 313단계에서 착신장치(250)는 영상통화의 수락여부를 선택한다. 313단계에서 착신장치(250)가 영상통화의 수락을 선택하면 315단계에서 제어장치(200)는 착신장치(250)로 아이콘이 추가된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전송한다.
317단계에서 착신장치(250)는 착신장치(250)에 연결된 전방위 카메라(미도시)를 활성화하여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획득하고, 319단계에서 착신장치(250)는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한다. 321단계에서 착신장치(250)는 315단계에서 수신된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와 317단계에서 획득된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하나의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착신장치(250)는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표시부(미도시) 전체에 표시하고,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의 일부에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323단계에서 제어장치(200)는 착신장치(250)에서 획득된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에 아이콘을 추가한다. 325단계에서 제어장치(200)는 아이콘이 추가된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발신장치(150)로 전송한다. 327단계에서 발신장치(150)는 305단계에서 획득된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와 325단계에서 수신된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표시부(미도시)에 표시한다.
329단계에서 발신장치(150)는 발신자로부터 현재 영상통화 중인 통화데이터를 중계장치(300)에 업로드하기 위한 라이브 스트리밍이 선택되면 331단계에서 발신장치(150)는 라이브 스트리밍 선택에 대응되는 요청메시지를 제어장치(200)를 통해 착신장치(250)로 전송한다. 333단계에서 착신장치(250)가 요청메시지에 대하여 라이브 스트리밍 수락을 선택하면 335단계에서 착신장치(250)는 수락신호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한다.
337단계에서 제어장치(200)는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업로드하고자 하는 하나의 화면을 동일하게 화면을 분할하고, 339단계에서 제어장치(200)는 분할된 각각의 화면에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와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표시한다. 제어장치(200)는 발신장치(150)와 착신장치(250)로부터 수신된 음성데이터와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 및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여 스트리밍 데이터를 생성한 후 중계장치(300)로 전송한다. 341단계에서 중계장치(300)는 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스트리밍 데이터를 업로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장치에서 영상통화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1단계에서 제어부(209)는 발신장치(150)로부터 영상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착신장치(250)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403단계에서 제어부(209)는 발신장치(150)로부터 발신장치(150)에 연결된 전방위 카메라(100)에서 획득된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수신한다. 405단계에서 제어부(209)는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에 아이콘을 추가한다.
407단계에서 제어부(209)는 발신장치(150)와 착신장치(250)의 데이터 통신이 연결되고, 착신장치(250)로부터 영상통화의 수락신호가 수신되면, 409단계에서 착신장치(250)로부터 착신장치(250)에 연결된 전방위 카메라(미도시)에서 획득된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수신한다. 411단계에서 제어부(209)는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에 아이콘을 추가한다. 413단계에서 제어부(209)는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착신장치(250)로 전송하고,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발신장치(150)로 전송한다.
415단계에서 제어부(209)는 발신장치(150) 및 착신장치(25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부터 전방위 영상데이터에 대한 회전신호가 수신되면 417단계를 수행하고, 회전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419단계를 수행한다. 417단계에서 제어부(209)는 회전신호에 따라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회전하여 해당 장치로 제공한 후, 419단계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9)는 발신장치(150)로부터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에 대한 회전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회전신호만큼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회전시키고, 회전된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발신장치(15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209)는 착신장치(250)로부터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에 대한 회전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회전신호만큼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회전시키고, 회전된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착신장치(250)로 전송한다.
419단계에서 제어부(209)는 발신장치(150)와 착신장치(250)가 수행 중인 영상통화에 대한 라이브 스트리밍을 수행한다. 이는 하기의 도 5를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장치에서 라이브 스트리밍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1단계에서 제어부(209)는 발신장치(150)로부터 라이브 스트리밍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503단계를 수행하고, 라이브 스트리밍 요청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도 4의 421단계로 리턴한다. 503단계에서 제어부(209)는 라이브 스트리밍 요청신호에 대한 요청메시지를 착신장치(250)로 전송한다. 505단계에서 제어부(209)는 착신장치(250)로부터 요청메시지에 대하여 라이브 스트리밍 수락신호가 수신되면 507단계를 수행하고, 라이브 스트리밍에 대한 거절신호가 수신되면 511단계를 수행한다. 511단계에서 제어부(209)는 발신장치(150)로 라이브 스트리밍이 불가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도 4의 421단계로 리턴한다.
반대로, 507단계에서 제어부(209)는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업로드하고자 하는 하나의 화면을 동일하게 화면을 분할한다. 제어부(209)는 분할된 각각의 화면에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와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표시하고, 발신장치(150)와 착신장치(250)로부터 수신된 음성데이터와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 및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여 스트리밍 데이터를 생성한다. 509단계에서 제어부(209)는 생성된 스트리밍 데이터를 중계장치(300)로 전송하여 라이브 스트리밍을 수행하고 도 4의 421단계로 리턴한다. 이때, 제어부(209)는 라이브 스트리밍을 요청한 장치 예컨대, 발신장치(150)가 기등록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계정으로 로그인을 수행하여 스트리밍 데이터를 중계장치(3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421단계에서 제어부(209)는 발신장치(150) 또는 착신장치(25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부터 영상통화를 종료하기 위한 영상통화 종료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반대로, 영상통화 종료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209)는 영상통화 종료신호 수신 이전까지 영상통화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발신장치(150)가 라이브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착신장치(150)에서 라이브 스트리밍을 요청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통화 수행 시의 화면을 나타낸 화면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발신장치(150)에서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이용한 영상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발신장치(150)의 표시부(미도시)에는 도 6과 같은 착신자 목록화면(610)이 표시된다. 어플리케이션은 발신장치(150)의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착신자 목록을 연동하여 착신자 목록화면(610)에 표시한다. 이때, 착신자 목록화면(610)에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은 착신자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지 않은 착신자가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은 착신자는 이름의 우측에 360아이콘(611)이 표시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지 않은 착신자는 이름의 우측에 수화기 아이콘(613)만이 표시될 수 있다.
발신자는 “김한글”과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이용한 영상통화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 착신자 목록화면(610)에서 “김한글”의 우측에 표시된 360아이콘(611)을 선택할 수 있다. 발신장치(150)에서 “김한글”의 우측에 표시된 360아이콘(611)이 선택되면, 제어장치(200)는 발신장치(150)와 “김한글”이 소유한 착신장치(250)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연결한다. 착신장치(250)에서 영상통화를 수락하면 발신장치(150)에는 도 7과 같은 통화화면(710)이 표시되고, 착신장치(250)에는 도 8과 같은 통화화면(810)이 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신장치(150)에 표시된 통화화면(710)은 착신장치(250)에서 수신된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713)와 제어장치(200)에서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에 추가한 아이콘(711)을 포함한다. 또한,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713)의 상단 일부에는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715)가 오버레이되어 표시된다.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713)의 하단에는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715)를 대체할 대체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영상통화 수행 시에 음성데이터를 획득하는 마이크를 변경하기 위한 메뉴, 음소거 메뉴, 전방위 카메라(100)를 발신장치(150)에 내장된 카메라로 변경하기 위한 카메라 전환 메뉴, 영상통화 종료 메뉴를 포함하는 메뉴버튼(717)이 표시된다.
아울러, 발신자가 표시부를 더블 탭하면, 메뉴버튼(717)의 상단에는 영상통화 중인 통화데이터에 대한 라이브 스트리밍 요청버튼(719)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발신장치(150)는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713)의 방향전환 신호, 줌인 신호 및 줌아웃 신호를 포함하는 화면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한다. 제어장치(200)는 발신장치(150)로부터 수신된 화면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제어한다. 예컨대, 발신장치(150)로부터 방향전환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의 방향을 전환하고, 방향이 전환된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발신장치(150)로 다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방향전환 신호는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713)를 위/아래, 좌/우로 이동하기 위해 표시부를 드래그하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줌인 신호는 표시부에서 두 개의 손가락이 서로 멀어지게 이동함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일 수 있고, 줌아웃 신호는 표시부에서 두 개의 손가락이 서로 가까워지게 이동함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발신장치(150)와 영상통화 중인 착신장치(250)에 표시된 통화화면(810)은 발신장치(150)에서 수신된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813)와 제어장치(200)에서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에 추가한 아이콘(811)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813)의 상단 일부에는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815)가 오버레이되어 표시된다.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813)의 하단에는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815)를 대체할 대체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영상통화 수행 시에 음성데이터를 획득하는 마이크를 변경하기 위한 메뉴, 음소거 메뉴, 전방위 카메라를 착신장치(250)에 내장된 카메라로 변경하기 위한 카메라 전환 메뉴, 영상통화 종료 메뉴를 포함하는 메뉴버튼(817)이 표시된다.
또한, 착신장치(250)는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813)의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한다. 제어장치(200)는 수신된 화면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의 화면을 제어하고, 이를 착신장치(250)로 다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화면제어신호는 방향전환 신호, 줌인 신호 및 줌아웃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발신자가 발신장치(150)에 표시된 통화화면(710)에서 라이브 스트리밍 요청버튼(719)을 선택하면 착신장치(250)에 표시된 통화화면(810)의 하단에는 라이브 스트리밍에 대한 수락버튼(819)과 거절버튼(821)이 표시된다. 이때, 착신자가 수락버튼(819)을 선택하면 착신장치(250)는 수락신호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착신장치(250)로부터 라이브 스트리밍 수락신호를 수신한 제어장치(200)는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업로드하고자 하는 하나의 화면을 동일하게 화면을 분할하고, 분할된 각각의 화면에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와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할당한다. 제어장치(200)는 발신장치(150)와 착신장치(250)로부터 수신된 음성데이터와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 및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여 스트리밍 데이터를 생성한 후, 중계장치(300)로 전송한다. 중계장치(300)에 접속하여 확인하는 스트리밍 데이터는 도 9와 같다. 즉, 중계장치(300)에 접속한 전자장치(900)의 표시부의 좌측에는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910)가 표시될 수 있고, 표시부의 우측에는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920)가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910)와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920) 각각에는 전방위 영상데이터임을 알리는 아이콘(911, 921)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의 좌측에는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920)가 표시될 수 있고 표시부의 우측에는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910)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이때, 중계장치(300)에 접속하여 스트리밍 데이터를 확인하는 전자장치(900)는 발신장치(150)에 기등록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계정과 연관된 계정으로 등록된 전자장치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1:1 영상통화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자간 영상통화도 가능하다. 예컨대, 다자간 영상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발신장치(150)의 표시부에는 제1 착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전방위 영상데이터가 가장 크게 표시되고, 발신장치의 전방위 영상데이터 및 제2 착신장치, 제n 착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전방위 영상데이터가 오버레이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발신장치에서 요청한 라이브 스트리밍에 대하여 제1 착신장치와 제2 착신장치가 수락한 경우, 제어장치(200)는 하나의 화면을 삼등분하여 발신장치, 제1 착신장치 및 제2 착신장치에서 각각 수신된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통화에 대한 통화데이터를 녹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1001단계 내지 1027단계는 도 3의 301단계 내지 327단계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029단계에서 발신장치(150)는 발신자로부터 현재 영상통화 중인 통화데이터를 녹화하기 위한 녹화신호가 선택되면 1031단계를 수행한다. 1031단계에서 발신장치(150)는 녹화신호에 대응되는 요청메시지를 제어장치(200)를 통해 착신장치(250)로 전송한다. 1033단계에서 착신장치(250)가 요청메시지에 대하여 녹화 수락을 선택하면 1035단계에서 착신장치(250)는 수락신호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한다.
1037단계에서 제어장치(200)는 발신장치(150)와 착신장치(250)에서 전송되는 음성데이터를 녹음하고,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와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녹화한다. 1039단계에서 제어장치(200)는 음성데이터,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 및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한다. 이어서, 1041단계에서 제어장치(200)는 발신장치(150)로부터 녹화를 종료하기 위한 녹화종료신호가 수신되면 1043단계를 수행한다. 1043단계에서 발신장치(150)는 녹화종료신호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하고 1045단계에서 제어장치(200)는 녹화종료신호에 따라 음성데이터,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 및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의 동기화를 종료하고, 동기화된 음성데이터,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 및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먹싱하여 녹화데이터를 생성 및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1037단계에서 제어장치(200)는 메모리(207)에 영상통화를 녹화하기 위한 버퍼인 가상디스플레이용 버퍼를 임시로 생성하고, 먹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음성데이터,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 및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의 먹싱을 수행한다. 이때, 먹서는 음성데이터,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 및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의 동기화 수행 후 먹싱을 수행할 수 있다.
1047단계에서 발신장치(150)에서 녹화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신호가 선택되면 1049단계에서 발신장치(150)는 선택된 공유신호를 제어장치(200)로 전송한다. 1051단계에서 제어장치(200)는 공유신호에 대응되는 녹화데이터를 중계장치(300)로 전송한다. 이때, 중계장치(300)는 발신장치(150)에서 기설정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계정에 대한 서버 등의 장치일 수 있다. 이어서, 1053단계에서 중계장치(300)는 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녹화데이터를 업로드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어장치(200)가 통화데이터를 녹화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통화데이터의 녹화는 발신장치(150) 및 착신장치(2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제어장치가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전방위 카메라와 연결된 발신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아이콘을 추가하는 단계;
    상기 발신장치가 상기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통화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착신장치가 표시된 착신자 목록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발신장치와 상기 착신자 목록 화면에서 선택된 착신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발신장치에서 선택된 착신장치에서 영상통화가 수락되면 상기 아이콘이 추가된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상기 착신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착신장치와 연결된 전방위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에 아이콘을 추가하고 상기 발신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발신장치와 상기 착신장치의 영상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수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발신장치 또는 상기 착신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회전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회전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데이터를 회전하여 해당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수행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발신장치 또는 상기 착신장치 중 어느 하나의 장치로부터 라이브 스트리밍에 대한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요청신호에 따라 하나의 화면에 상기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와 상기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발신장치 및 상기 착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음성데이터와 상기 제1 및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여 스트리밍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기등록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계정으로 업로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수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발신장치 또는 상기 착신장치 중 어느 하나의 장치로부터 상기 연결된 영상통화에 대한 녹화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녹화신호에 따라 상기 발신장치와 상기 착신장치에서 획득되는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녹화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제1 및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와 상기 음성데이터를 동기화한 후 먹싱하여 녹화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녹화데이터를 기등록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계정으로 업로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수행 방법.
  5. 전방위 카메라와 연결된 발신장치 및 전방위 카메라와 연결된 착신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발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에 아이콘을 추가하고, 상기 발신장치의 상기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통화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착신장치가 표시된 착신자 목록 화면에서 선택된 착신장치와 상기 발신장치 간 데이터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발신장치에서 영상통화를 위해 선택된 상기 착신장치에서 상기 영상통화가 수락되면, 상기 아이콘이 추가된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상기 착신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착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에 아이콘을 추가하여 상기 발신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발신장치와 상기 착신장치가 상기 영상통화를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를 수행하는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통화 중인 상기 발신장치 또는 상기 착신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회전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회전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데이터를 회전하여 해당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를 수행하는 제어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신장치 또는 상기 착신장치 중 어느 하나의 장치로부터 수신된 라이브 스트리밍에 대한 요청신호에 따라 하나의 화면에 상기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와 상기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할당하고, 상기 발신장치 및 상기 착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음성데이터와 상기 제1 및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여 생성된 스트리밍 데이터를 기등록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계정으로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를 수행하는 제어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신장치 또는 상기 착신장치 중 어느 하나의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영상통화에 대한 녹화신호에 따라 상기 발신장치와 상기 착신장치에서 획득되는 음성데이터와 상기 제1 및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에 대한 저장, 동기화 및 먹싱을 수행하여 생성된 녹화데이터를 기등록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계정으로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를 수행하는 제어장치.
  9.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전방위 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통화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착신장치가 표시된 착신자 목록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착신자 목록 화면에서 영상통화를 위한 착신장치를 선택하는 발신장치;
    상기 발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에 아이콘을 추가하고, 상기 발신장치와 상기 착신자 목록 화면에서 선택된 착신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영상통화가 수락된 상기 착신장치로 상기 아이콘이 추가된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영상통화를 수락하고 상기 아이콘이 추가된 제1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출력하고, 전방위 카메라에서 획득된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를 상기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착신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착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전방위 영상데이터에 아이콘을 추가하고 상기 발신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발신장치와 상기 착신장치의 상기 영상통화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통화 수행 시스템.
KR1020190132185A 2018-10-23 2019-10-23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통화 수행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15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26880 2018-10-23
KR1020180126880 2018-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981A KR20200045981A (ko) 2020-05-06
KR102415038B1 true KR102415038B1 (ko) 2022-06-30

Family

ID=70737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185A KR102415038B1 (ko) 2018-10-23 2019-10-23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통화 수행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0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89935A (zh) * 2020-09-11 2021-10-08 青岛海信电子产业控股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交互方法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746B1 (ko) * 2007-10-19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통화 영상 녹화 방법
KR20120073049A (ko) * 2010-12-24 2012-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부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80018086A (ko) * 2016-08-12 2018-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41430A (ko) * 2016-10-14 2018-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981A (ko) 202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589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 service
JP5849484B2 (ja) 伝送端末、表示データ送信方法、プログラム、情報提供装置及び伝送システム
US8368737B2 (en) Smart remote control devices for controlling video call devices
EP2499875B1 (en) Mobile terminal,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222466A1 (en) Dynamically adjustable communications services and communications links
CN102859480A (zh) 屏幕共享
JP2008263297A (ja) 通信制御装置および通信端末
JP2019180045A (ja) 通信管理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15038B1 (ko)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통화 수행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7135766B2 (ja) 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端末装置
JP2017068329A (ja) 通信管理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通信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AU2014260729B2 (en) Communications management system and communications management method
CN103414867B (zh) 多媒体通话控制方法、终端及系统
US10298878B2 (en)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JP2017027561A (ja) 端末、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002526A (ja) 会議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装置
JP6524732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118442A (ja) 共有端末、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30662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
JP6819055B2 (ja)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92460B2 (ja) 伝送端末、伝送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82659B2 (ja) 通信管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6123011A (ja) 管理システム、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104273A (ja) メッセージング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812645B2 (ja)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