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128B1 - 목질 섬유의 pvc 수지와의 혼합성, 접착성이 현저하게 향상하여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pvc 합성 목재 - Google Patents

목질 섬유의 pvc 수지와의 혼합성, 접착성이 현저하게 향상하여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pvc 합성 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128B1
KR102414128B1 KR1020210150925A KR20210150925A KR102414128B1 KR 102414128 B1 KR102414128 B1 KR 102414128B1 KR 1020210150925 A KR1020210150925 A KR 1020210150925A KR 20210150925 A KR20210150925 A KR 20210150925A KR 102414128 B1 KR102414128 B1 KR 102414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pvc
weight
adhesion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배훈
Original Assignee
대진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산업(주) filed Critical 대진산업(주)
Priority to KR1020210150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1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1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4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from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1/00Pretreatment of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02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24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 C12N9/2402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hydrolysing O- and S- glycosyl compounds (3.2.1)
    • C12N9/2405Glucanases
    • C12N9/2434Glucanases acting on beta-1,4-glucosidic bonds
    • C12N9/2437Cellulases (3.2.1.4; 3.2.1.74; 3.2.1.91; 3.2.1.150)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 C12Y302/01004Cellulase (3.2.1.4), i.e. endo-1,4-beta-glucana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룰라아제를 목질 섬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0중량부를 넣고 45 내지 55℃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유지하여 전처리된 목질 섬유 또는 셀룰로오스 분해 미생물을 목질 섬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0중량부를 넣고 65 내지 75℃에서 15 내지 30시간 동안 발효를 수행하여 전처리된 목질 섬유를 PVC 수지와 혼합여 제조되는 PVC 합성 목재를 제공하며, 본 발명에 따른 합성 목재는 목질 섬유와 수지와의 혼합성 내지 접착성을 향상시켜 목질 섬유의 사용량을 50중량% 이상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장기간 사용에 따른 내구성 저하의 문제도 발생하지 않아 합성 목재를 적용한 건축자재, 건축물, 테크 등의 수명과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합성 목재의 사용처를 다양화할 수 있으며, 그 수요를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목질 섬유의 PVC 수지와의 혼합성, 접착성이 현저하게 향상하여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PVC 합성 목재{PVC synthetic wood with excellent long-term durability by remarkably improving the mixability and adhesion of wood fibers with PVC resin}
본 발명은 PVC 합성 목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PVC 수지에 혼합되는 목질 섬유(목분 단독 또는 볏짚 분말, 갈대 분말, 억새 분말과의 혼합물)의 섬유질 내의 셀룰로오스를 분해하는 효소 처리 내지 발효를 통하여 PVC 수지와의 혼합성, 접착성이 현저하게 향상하여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PVC 합성 목재에 관한 것이다.
PVC 합성 목재는 PVC 수지와 목질 섬유(목분 단독 또는 볏짚 분말, 갈대 분말, 억새 분말과의 혼합물)를 혼합하고 다양한 첨가제를 넣고 압출 성형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천연 목재에 비해 가격이나 물성에서 장점이 있어 최근 천연 목재를 대신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합성 목재는 목질 섬유와 수지의 결합력이 저하되면 균열이 발생하거나 파손될 수 있고, 장기간 사용시 표면의 마모도가 증가하여 미끄럼 방지 성능이 감소하는 등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합성 목재가 제시되고 있는데, 그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86981호에서는 합성 목재의 제조과정에서 활성화제, 유기 섬유질을 투입함으로써 합성 목재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수축팽창 및 비틀림을 저감시킨 합성 목재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합성 목재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지 못해 건축자재로 사용할 때 시간의 경과에 따른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22808호에서는 PVC 및 ABS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며 다공성의 코이어를 혼합함으로써 열 안정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합성 목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합성 목재는 초기의 품질기준은 모두 양호하나 장기간 사용에 의한 내구성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08904호에서는 PVC 및 ABS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며 전분, 맥반석 분말, EM 분말 등을 첨가하여 미끄럼 방지 성능 및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 목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맥반석 분말이나 EM 분말과 같은 첨가제를 혼용하면 장기 사용 시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VC와 ABS를 혼용하는 경우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02654호에서는 아미노실란으로 개질된 목분과 PVC를 배합함으로써 계면결합을 강화시켜 기계적 강도 및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목분을 아미노실란으로 개질하는 방법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08286호에서도 개시된 바와 같이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흔히 적용되는 방법으로서 목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는 있으나 장기간 사용시 내구성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목질 섬유과 수지와의 혼합성 내지 접착성의 한계에 따른 내구성 문제로 인하여 목질 섬유를 50중량% 이상 함유하여야 하나 그러하지 못한 제품이 유통되고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86981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2808호 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08904호 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02654호 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8286호 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667019호 7.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3625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목질 섬유와 수지와의 혼합성 내지 접착성을 향상시켜 목질 섬유의 사용량을 50중량% 이상 사용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장기간 사용에 따른 내구성 저하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합성 목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목질 섬유, PVC 수지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합성 목재에 있어서,
상기 목질 섬유가
셀룰라아제를 상기 목질 섬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0중량부를 넣고 45 내지 55℃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유지하여 전처리된 목질 섬유
또는
셀룰로오스 분해 미생물을 상기 목질 섬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0중량부를 넣고 65 내지 75℃에서 15 내지 30시간 동안 발효를 수행하여 전처리된 목질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질 섬유의 PVC 수지와의 혼합성, 접착성이 현저하게 향상하여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PVC 합성 목재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PVC 합성 목재에 있어서, 상기 셀룰라아제는 richodelma virde의 셀룰라아제를 정제해 얻은 EG(endoⅠ)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PVC 합성 목재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분해 미생물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PVC 합성 목재에 있어서, 상기 목질 섬유는 PVC 합성 목재 전체 중량에 대하여 60중량%까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PVC 합성 목재에 있어서, 상기 목질 섬유는 천연 목재 또는 폐목재로부터 제조되는 목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PVC 합성 목재에 있어서, 상기 목질 섬유는
천연 목재 또는 폐목재로부터 제조되는 목분; 및
볏짚 분말, 갈대 분말 및 억새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한 혼합물일 수 있으며, 이들의 혼합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1:2 내지 2:1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 목재는 목질 섬유와 수지와의 혼합성 내지 접착성을 향상시켜 목질 섬유의 사용량을 50중량% 이상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장기간 사용에 따른 내구성 저하의 문제도 발생하지 않아 합성 목재를 적용한 건축자재, 건축물, 테크 등의 수명과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합성 목재의 사용처를 다양화할 수 있으며, 그 수요를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PVC 합성 목재는 PVC 수지에 목질 섬유(목분 단독 또는 목분, 볏짚 분말, 갈대 분말, 억새 분말의 혼합물)를 혼합하고 첨가제를 첨가한 후 압출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합성 목재는 성형성은 우수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나 결합력에 크지 않으면 6개월 이상의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면 내구성이 저하되면서 균열이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목질 섬유와 수지와의 혼합성 내지 접착성을 향상시켜 목질 섬유의 사용량을 50중량% 이상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장기간 사용에 따른 내구성 저하의 문제도 발생하지 않아 합성 목재를 적용한 건축자재, 건축물, 테크 등의 수명과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합성 목재의 사용처를 다양화할 수 있으며, 그 수요를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 PVC 합성 목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합성 목재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다양한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도 PVC 수지를 사용하는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PVC 수지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이 사용이 가능하나, 재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본 발명자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667019호 폴리염화비닐 공정 오니를 이용한 재생 PVC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667019호는
a) 폴리염화비닐 순수원료를 생산하는 공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인 공정 오니를 건조하고 이물질을 제거하여 10~ 60 메쉬의 분말로 분쇄하여 공정 오니 건조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b) 이물질을 제거한 폴리염화비닐 폐자재를 분쇄하여 상기 a) 단계의 공정 오니 건조 분말과 혼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혼합물을 용융온도는 150 ~ 200℃에서 용융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통하여 폴리염화비닐 공정 오니를 이용한 재생 PVC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공정 오니 건조 분말과 폴리염화비닐 폐자재의 혼합 중량 비율이 공정 오니 건조 분말 1일 때 0.5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폴리염화비닐 폐자재가 연질 폴리염화비닐인 경우는 1 ~ 5㎝로 분쇄하고, 경질 폴리염화비닐인 경우 10 ~ 60 메쉬의 분말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b) 단계의 혼합물을 100 ~ 105℃로 25 ~ 40분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성 목재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결합제, 무독안정제, 충격보강재, 안료 등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충분히 숙지하고 있는 내용이어서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핵심은 PVC 수지에 목질 섬유(목분 단독 또는 목분, 볏짚 분말, 갈대 분말, 억새 분말의 혼합물)의 혼합성 내지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목질 섬유를 전처리하여 사용되는 것인데, 이 전처리는 목질 섬유의 셀룰로오스를 분해하기 위한 효소 처리 내지 미생물 발효이다.
본 발명에서 셀룰로오스 분해 효소로 사용되는 셀룰라아제는 섬유소의 1,4-glucoside bond를 가수분해하여 cellobiose를 만드는 효소(EC 3.2.1.4)로, 곰팡이와 세균, 연체동물(달팽이), 곤충(흰개미 · Macrotoma), 반추동물의 장내 소화균 등에서 분비된다. 나무속을 뚫고 사는 곤충류의 소화액에도 많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미생물이 분비하는 셀룰라아제는 복합효소의 형태로 존재하며, 가수분해의 특성에 따라 세 종류로 구분한다. 첫째는 carboxymethyl celluose를 가수분해하는 endoglucanase(EG)로, 섬유소를 무작위적으로 분해해 비환원성 말단기를 만든다. 둘째는 Avicel의 분해능이 높은 exoglucanase(CBH)로, 섬유소의 비환원성 말단을 공격해 cellobios를 생성한다. Ba2+에 의해 활성이 가장 촉진되며, Hg2+에 의해 가장 저해를 받는다. 셋째는 β-glucanase로, cellobiose를 glucose로 분해한다. EG와 CBH를 같이 혼합해 처리하면 시너지효과를 나타내므로 cellulose의 분해가 촉진된다.
셀룰라아제는 세제 첨가물이나 목재, 직물제품의 가공에 많이 이용된다. 예컨대 면직물의 스톤워싱, 피치스킨, 감량 가공 등은 셀룰라아제로 처리한다. 제지분해에 가장 많이 이용하는 Trichodelma virde의 셀룰라아제를 정제해 얻은 EG(endoⅠ)과 CBH(exoⅡ) 및 혼합효소의 최적 pH는 각각 4.5, 5.5, 5.0이며, 이들의 최적 온도는 50℃이다. 이중, EG의 분해력이 가장 우수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효소를 이용하여 전처리할 수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셀룰라아제를 분비하는 미생물을 통한 발효를 통하여 목질 섬유를 전처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발효 미생물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36255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균주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균주를 함유하고 있으며 톱밥을 먹이원으로 사용하는 굼벵이 분변을 이용하여 발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셀룰라아제를 이용한 전처리는 목질 섬유(목분 단독 또는 목분, 볏짚 분말, 갈대 분말, 억새 분말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셀룰라아제 2 내지 10중량부를 넣고 45 내지 55℃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이며, 이후 목질 섬유는 PVC 수지와 혼합하여 고온에서 압출 성형이 되므로 별도로 셀룰라아제를 불활성화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본 발명의 미생물을 이용한 전처리는 셀룰로오스 분해 미생물,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균주를 목질 섬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0중량부를 넣고 65 내지 75℃에서 15 내지 30시간 동안 발효를 수행하는 것이며, 미생물 역시 성형 과정에서 사멸하게 되므로 별도의 불활성화 처리는 필요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처리는 목질 섬유의 성질이 개질하여 PVC 수지와 혼합성 및 접착성이 우수한 목질 섬유를 만들고 이에 따라서 장기 내구성이 현저하게 개선된 합성 목제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질 섬유는 목분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목분은 천연 목재의 분말 내지 폐목재재의 분말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내용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질 섬유는 볏짚 분말, 갈대 분말 및 억새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목분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의 사용 역시 본 발명의 기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내용이다.
상기 볏짚 분말, 갈대 분말 및 억새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목분의 혼합 비율은 중량 대비 1:2 내지 2:1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처리되는 목질 섬유는 합성 목재 전체에 대하여 60중량%까지 포함될 수 있으며, 6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합성 목재의 산업 표준 규격을 맞추기 어려우며, 목질 섬유의 사용량의 하한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서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 목질 섬유의 전처리>
1. 셀룰라아제를 이용한 전처리
richodelma virde의 셀룰라아제를 정제해 얻은 EG(endoⅠ) 5중량부를 목질 섬유 100중량부에 혼합한 후에 50℃ 6시간 동안 유지하여 목질 섬유를 전처리하였다.
사용된 목질 섬유는
실시예 1: 목분
실시예 2: 목분과 볏짚 분말 중량비로 1:1 혼합
실시예 3: 목분과 갈대 분말 중량비로 1:1 혼합
실시예 4: 목분과 억새 분말 중량비로 1:1 혼합
2. 미생물을 이용한 전처리
셀룰로오스를 분해하는 미생물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균주를 목질 섬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를 넣고 70℃에서 20시간 동안 발효를 수행하하여 목질 섬유를 전처리하였다.
사용된 목질 섬유는
실시예 5: 목분
실시예 6: 목분과 볏짚 분말 중량비로 1:1 혼합
실시예 7: 목분과 갈대 분말 중량비로 1:1 혼합
실시예 8: 목분과 억새 분말 중량비로 1:1 혼합
< 실시예 : 합성 목재 제조>
상기 전처리한 목질 섬유와 PVC 수지를 이용하여 합성 목재를 제조하였다는데, PVC 수지는 본 발명자가 속한 대진산업으로 받은 폴리염화비닐 공정 오니를 이용한 재생 PVC이며, 이 PVC 수지에 첨가제로서 PVC용 충전재, 무독안정제, 충격보강재, 안료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목질 섬유, PVC 수지 및 첨가제는 중량 기준으로 60:37:3으로 사용하였으며, 용융혼합기(HAAKE Polydriv Rheomix 600) 안으로 이들을 투입한 후 250℃, 60rpm의 로터 회전 속도로 용융혼합 조건을 설정하고 토오크가 안정화될 때까지 충분히 용융혼합한 후, 용융혼합물을 용융혼합기로부터 꺼내어 핫 프레스(hot press) 사이에 위치시킨 후 압축 성형에 의해 패널 형태의 합성 목재 샘플을 제작하였다.
< 비교예 >
상기 합성 목재 제조 실시예와 동일 하나 전처리하지 않은 목질 섬유를 사용하였으며, 또한 목질 섬유, PVC 수지 및 첨가제는 중량 기준으로 40:54:6으로 사용하여 실시예보다 목질 섬유 사용량으로 50중량% 이하로 낮추었다.
< 시험예 >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합성 목재 패널의 초기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항목 단위 시험방법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비교에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중 - KS F 3230 <1.7 <1.6 <1.9 <1.8 <1.7 <1.6 <1.9 <1.9 <1.9 <2.0 <1.9 <2.0
굴곡최대하중 N KS F 3230 >6,200 >6,200 >6,200 >6,200 >6,200 >6,200 >6,200 >6,200 >6,100 >6,200 >6,1200 >6,100
굴곡크리프변형 % KS F 3230 <0.14 <0.14 <0.14 <0.14 <0.14 <0.14 <0.14 <0.14 <0.16 <0.16 <0.16 <0.16
뒤틀림성 % KS F 3230 <1.0 <1.0 <1.0 <1.0 <1.0 <1.0 <1.0 <1.0 <1.2 <1.2 <1.1 <1.2
나사못유지력 - KS F 3230 >1.143 >1.143 >1.143 >1.143 >1.143 >1.143 >1.143 >1.143 >1.125 >1.125 >1.125 >1.125
수분흡수율 & KS F 3230 <1.2 <1.3 <1.3 <1.3 <1.3 <1.3 <1.3 <1.3 <1.6 <1.6 <1.6 <1.6
TVOC ㎎/㎡·h KS I ISO16000-9 0.078 0.076 0.075 0.076 0.076 0.075 0.075 0.076 0.075 0.077 0.075 0.076
폼알데하이드 ㎎/ℓ KS M 1988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길이선열팽창계수 1/℃ GR F 2016 <4.9×10
-5
<5.0×10
-5
<5.0×10
-5
<5.0×10
-5
<4.9×10
-5
<5.0×10
-5
<4.9×10
-5
<5.0×10
-5
<5.2×10
-5
<5.1×10
-5
<5.1×10
-5
<5.2×10
-5
미끄럼저항성 CRS GR F 2016 0.68 0.69 0.69 0.68 0.68 0.68 0.69 0.65 0.66 0.67 0.68 0.65
상기 표 1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와 비교예 모두 합성 목재 성능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나 그러나 비교예와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목질 섬유의 사용량을 60중량% 사용하고도 합성 목재의 성능을 총족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우수성은 표 1의 결과에서 입증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 목재 시료 각각 4매씩 준비하여 이를 건물의 옥상에 방치하고 6개월 동안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와 나타냈다.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비교에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함수율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5.5 <5.5 <5.5 <5.5
균열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갈라짐
뒤틀림
갈라짐
뒤틀림
갈라짐 뒤틀림 갈라짐
뒤틀림
상태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색상변질
곰팡이
발생
색상변질
곰팡이
발생
색상변질
곰팡이
발생
색상변질
곰팡이
발생
상기 표 2의 결과를 살펴보면, 비교예의 함수율의 증가폭이 큰 것으로 나타나 장기간 사용 시 수분 흡수에 의한 변형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 합성 목재 패널의 균열이나 상태를 관찰한 결과 비교예에 있어서는 6개월 경과 후 갈라짐이나 뒤틀림이 발생하며, 표면의 색상 변질과 곰팡이의 발생이 관찰되었다.
이는 비교예의 합성 목재 패널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함수율이 증가하기 때문으로 파악되었으며, 실시예에서와 달리 목분 입자 간의 조밀성이나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7)

  1. 목질 섬유, PVC 수지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합성 목재에 있어서,
    상기 목질 섬유가
    셀룰라아제를 상기 목질 섬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0중량부를 넣고 45 내지 55℃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유지하여 전처리된 목질 섬유
    또는

    셀룰로오스 분해 미생물을 상기 목질 섬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0중량부를 넣고 65 내지 75℃에서 15 내지 30시간 동안 발효를 수행하여 전처리된 목질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질 섬유의 PVC 수지와의 혼합성, 접착성이 현저하게 향상하여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PVC 합성 목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라아제가
    richodelma virde의 셀룰라아제를 정제해 얻은 EG(endo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질 섬유의 PVC 수지와의 혼합성, 접착성이 현저하게 향상하여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PVC 합성 목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분해 미생물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질 섬유의 PVC 수지와의 혼합성, 접착성이 현저하게 향상하여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PVC 합성 목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목질 섬유는
    PVC 합성 목재 전체 중량에 대하여 60중량%까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질 섬유의 PVC 수지와의 혼합성, 접착성이 현저하게 향상하여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PVC 합성 목재.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목질 섬유가
    천연 목재 또는 폐목재로부터 제조되는 목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질 섬유의 PVC 수지와의 혼합성, 접착성이 현저하게 향상하여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PVC 합성 목재.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목질 섬유가
    천연 목재 또는 폐목재로부터 제조되는 목분; 및
    볏짚 분말, 갈대 분말 및 억새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질 섬유의 PVC 수지와의 혼합성, 접착성이 현저하게 향상하여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PVC 합성 목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목분 및 볏짚 분말, 갈대 분말 및 억새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의 혼합 비율이 중량 기준으로 1:2 내지 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질 섬유의 PVC 수지와의 혼합성, 접착성이 현저하게 향상하여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PVC 합성 목재.
KR1020210150925A 2021-11-04 2021-11-04 목질 섬유의 pvc 수지와의 혼합성, 접착성이 현저하게 향상하여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pvc 합성 목재 KR102414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925A KR102414128B1 (ko) 2021-11-04 2021-11-04 목질 섬유의 pvc 수지와의 혼합성, 접착성이 현저하게 향상하여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pvc 합성 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925A KR102414128B1 (ko) 2021-11-04 2021-11-04 목질 섬유의 pvc 수지와의 혼합성, 접착성이 현저하게 향상하여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pvc 합성 목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4128B1 true KR102414128B1 (ko) 2022-06-29

Family

ID=82270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925A KR102414128B1 (ko) 2021-11-04 2021-11-04 목질 섬유의 pvc 수지와의 혼합성, 접착성이 현저하게 향상하여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pvc 합성 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128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8109A (ja) * 1997-10-27 1999-07-27 Tsuneo Maki 樹木材料成形物、その成形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67019B1 (ko) 2004-12-07 2007-01-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명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20002654A (ko) 2010-07-01 2012-01-0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미노실란으로 개질된 목분을 이용한 pvc 기반 합성목재
KR20120086981A (ko) 2011-01-27 2012-08-06 이재훈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KR101322808B1 (ko) 2013-05-13 2013-10-29 김우정 친환경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KR20130136255A (ko) 2012-06-04 2013-12-12 (주)진바이오텍 셀룰로오스 분해능이 우수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no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고체 발효 생균제의 제조방법
KR20140008904A (ko) 2012-07-13 2014-01-22 신형근 친환경 합성목재 및 그 제조 방법
CN106426427A (zh) * 2016-08-02 2017-02-22 浙江长兴森大竹木制品有限公司 一种高韧性竹木纤维复合装饰板材
KR101808286B1 (ko) 2017-02-14 2018-01-18 주식회사 포나코 죽분을 이용한 합성 목재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8109A (ja) * 1997-10-27 1999-07-27 Tsuneo Maki 樹木材料成形物、その成形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67019B1 (ko) 2004-12-07 2007-01-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명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20002654A (ko) 2010-07-01 2012-01-0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미노실란으로 개질된 목분을 이용한 pvc 기반 합성목재
KR20120086981A (ko) 2011-01-27 2012-08-06 이재훈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KR20130136255A (ko) 2012-06-04 2013-12-12 (주)진바이오텍 셀룰로오스 분해능이 우수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no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고체 발효 생균제의 제조방법
KR20140008904A (ko) 2012-07-13 2014-01-22 신형근 친환경 합성목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322808B1 (ko) 2013-05-13 2013-10-29 김우정 친환경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CN106426427A (zh) * 2016-08-02 2017-02-22 浙江长兴森大竹木制品有限公司 一种高韧性竹木纤维复合装饰板材
KR101808286B1 (ko) 2017-02-14 2018-01-18 주식회사 포나코 죽분을 이용한 합성 목재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halid et al. Comparative study of polypropylene composites reinforced with oil palm empty fruit bunch fiber and oil palm derived cellulose
CN104479385A (zh) 强化秸秆纤维复合材料的制备方法
CN104448728A (zh) 一种秸秆纤维复合材料的制备方法
Rafiee et al. Biodegradable green composites: It's never too late to mend
CN101033317A (zh) 多功能木塑复合材料的制备
CN109251494B (zh) 一种天然杜仲胶/纤维素改性聚乳酸复合材料及制备方法
CN111410828B (zh) 一种植物木粉/蒙脱土填充的高性能全生物降解聚乳酸复合材料的制备方法
Chaudhuri et al. Optimization of biodegradation of natural fiber (Chorchorus capsularis): HDPE composit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R102305683B1 (ko) 발효 왕겨를 포함하고 있는 인조잔디용 충진재
CN107216623B (zh) 一种可生物降解的聚乳酸复合材料、其制备方法及应用
CN1793229A (zh) 以聚乳酸为载体的可完全降解材料及其制备方法
de Lima et al. Enzymatic activities and analysis of a mycelium-based composite formation using peach palm (Bactris gasipaes) residues on Lentinula edodes
CN112724613A (zh) 一种可降解材料及其制备方法
CN107083077A (zh) 一种耐候性能增强的木塑复合材料的制造方法
KR102414128B1 (ko) 목질 섬유의 pvc 수지와의 혼합성, 접착성이 현저하게 향상하여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pvc 합성 목재
CN107793675A (zh) 一种木塑复合材料的制备方法
CN101469110A (zh) 一种可生物降解材料组合物及其注塑制品
CN101805461A (zh) 一种生物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426427A (zh) 一种高韧性竹木纤维复合装饰板材
Tripathi et al. Hybrid bamboo and glass fiber polymer composite-a review
CN103724667A (zh) 一种热塑性可生物降解材料及其制备方法
US20140053756A1 (en) Method for producing cellulose-containing mass for producing composite material
CN111534071A (zh) 一种秸秆/聚乳酸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Mahmoud Utilization of palm wastes for production of invert sugar
CN113278267A (zh) 仿木完全可生物降解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