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230B1 -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230B1
KR102413230B1 KR1020170163312A KR20170163312A KR102413230B1 KR 102413230 B1 KR102413230 B1 KR 102413230B1 KR 1020170163312 A KR1020170163312 A KR 1020170163312A KR 20170163312 A KR20170163312 A KR 20170163312A KR 102413230 B1 KR102413230 B1 KR 102413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ush bar
main body
opening angle
cooking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887A (ko
Inventor
신장모
김정길
신명준
이상균
이상기
조상욱
조유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01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3Mounting of doors, e.g. hinges, counterbalan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3/223Hydraulic power-locks, e.g. with electrically operated hydraulic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24C3/12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in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0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조리실을 구비하는 본체(10)와, 상기 조리실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50)와, 상기 도어의 개폐 이동의 회전 중심이 되는 힌지(15)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15)는, 본체(10)의 전방 하부에 위치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50)를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이에 따라 상기 도어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하강 개방되는 구조이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탄성체(70)에 의해 탄성 가세되는 조리기기로서,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조리실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 룸(13)에는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도어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자동 개방 모듈(30)이 설치되고, 상기 자동 개방 모듈(30)은 상기 도어의 후면과 접하는 본체의 전면을 관통하여 출몰하는 푸쉬 바(37)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조리기기{A Cooker Having an Automatically Opening Door}
본 발명은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오븐이나 전자레인지 같은 조리기기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의 외관을 가지며, 내부의 조리실이 전방으로 개방된 형태이고, 조리실 전방에 도어가 구비된다.
도어의 개방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주로 힌지 연결된 도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도어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나 홈(groove)이 마련된 것이 대부분이다.
최근에는 조리기기 도어의 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리기기들에 구현된 도어의 자동 개방 방식은 도어의 폐쇄력을 부가하기 위해 도어에 가세된 탄성력을 이기며 도어를 개방해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출력이 높은 구동부를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개방력을 부여하는 구동부는 공간이 협소한 도어의 회전축 부근에 설치되어 구조 설계와 제조가 복잡하고, 조리실의 뜨거운 환경에 노출되어 오작동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아울러 전방 하부로 개방되는 도어의 경우, 도어가 전방 하부로 쿵 떨어지며 충격이 가해져 힌지 부분이 파손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도어가 천천히 떨어지도록 댐퍼를 적용하더라도, 도어가 감쇠되며 천천히 떨어진다는 느낌을 사용자에게 주지 않아, 사용자가 도어가 열리는 동안 불안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구조가 간단하게 구현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출력의 구동부로도 폐쇄 방향으로 탄성 가세된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실의 뜨거운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아 자동 개방 동작의 신뢰성이 보장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 하부로 회동 개방되는 도어가 천천히 제어된 속도로 개방된다는 느낌을 사용자에게 확실히 전달하여, 도어 자동 개방 과정에서 사용자가 불안해하지 않도록 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조리실을 구비하는 본체(10)와, 상기 조리실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50)와, 상기 도어의 개폐 이동의 회전 중심이 되는 힌지(15)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15)는, 본체(10)의 전방 하부에 위치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50)를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이에 따라 상기 도어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하강 개방되는 구조이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탄성체(70)에 의해 탄성 가세되는 조리기기로서,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조리실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 룸(13)에는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도어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자동 개방 모듈(30)이 설치되고, 상기 자동 개방 모듈(30)은 상기 도어의 후면과 접하는 본체의 전면을 관통하여 출몰하는 푸쉬 바(37)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푸쉬 바(37)는 적어도 상기 도어의 자중에 의해 도어가 하강하려는 힘이 상기 탄성체가 도어를 상승시키려는 힘보다 큰 강제 개방각(a)만큼 상기 도어를 전방으로 밀어낸다.
상기 강제 개방각(a)은 10° 이상 15° 이하이다.
상기 도어가 탄성체(70)에 의해 폐쇄 복귀할 수 있는 개방각은 0° 이상 상기 강제 개방각(a)에서 3°를 뺀 (a-3)° 이하이다.
상기 푸쉬 바(37)는 상기 도어를 상기 강제 개방각(a)만큼 밀어낸 후 즉시 본체 내로 복귀한다.
상기 푸쉬 바(37)의 선단부 또는 상기 푸쉬 바(37)의 선단부와 접하는 도어의 이면 부근 중 어느 한 곳에는 제1자석이 구비되고, 나머지 한 곳에는 제2자석 또는 강자성체가 구비된다.
상기 제1자석은 전자석이고, 도어의 강제 개방 시점부터 상기 푸쉬 바가 적어도 강제 개방각 부근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자석이 자기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푸쉬 바가 상기 강제 개방각 부근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전자석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어, 전자석이 자기력을 상실할 수 있다.
상기 제1자석은 영구자석이고, 상기 푸쉬 바가 도어를 밀어냄에 있어서, 상기 강제 개방각 부근에서 상기 푸쉬 바의 돌출 속도를 급격히 감속시킴으로써, 개방되던 도어의 관성에 의해 상기 제2자석 또는 강자성체가 상기 제1자석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푸쉬 바(37)는 전방으로 하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로부터 출몰한다.
상기 푸쉬 바(37)가 전방 수평 방향에 대해 상기 강제 개방각(a)의 1/2 ± 1/10 의 각도(θ)만큼 하향 경사져 출몰한다.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 소정의 개방각 구간에서 상기 도어의 개방력을 감쇠하는 댐퍼(8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소정의 개방각 구간은 상기 강제 개방각(a) 보다 더 큰 개방각 범위에 존재한다.
상기 소정의 개방각 구간은 (45 ± 5)° 이상 90° 이하이다.
상기 자동 개방 모듈(30)은 상기 푸쉬 바(37)를 전후로 출몰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구동부(34)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 바(37)에는 상기 구동부(34)의 힘을 전달받는 치형부(372)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상기 푸쉬 바(37)에서 상기 본체보다 더 전방으로 출몰하는 선단부의 돌출 구간(371)에는 상기 치형부가 마련되지 아니한다.
상기 자동 개방 모듈(30)은 케이싱(31,32)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푸쉬 바를 수용하고 상기 푸쉬 바의 전후 왕복 운동을 안내하며,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푸쉬 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푸쉬 바에 감속 전달하는 감속부(35)가 더 설치된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므로, 도어의 손잡이를 생략할 수 있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체에 의해 도어의 개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가세된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함에 있어서, 탄성체의 탄성을 이기며 도어가 자중에 의해 스스로 개방되기 시작하는 위치까지만 도어를 밀어주면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므로 자동 개방 모듈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힌지에서 멀리 떨어진 본체의 상부 쪽에 자동 개방 모듈을 설치하여, 작은 작동력으로도 탄성체의 힘을 이기며 도어를 전방으로 강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자동 개발 모듈의 구동부의 필요 출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공간의 여유가 있어 조리실의 고온의 환경의 영향을 덜 받는 위치에 자동 개방 모듈을 설치할 수 있어, 자동 개방 모듈의 작동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강제 개방각과 대응하여 상기 푸쉬 바가 상기 강제 개방각의 1/2의 각도만큼 전방 하부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출몰하므로, 강제 개방되며 회동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밀어주며 직선 운동하는 푸쉬 바의 선단부가 서로 접하며 미끄럼이 일어나는 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어, 도어 후면과 푸쉬 바 선단부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푸쉬 바가 출몰하기 위한 작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푸쉬 바에 마련된 치형부보다 더 전방의 돌출 구간에는 치형부가 마련되지 않도록 하여, 푸쉬 바가 본체 전방으로 돌출되더라도 치형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가 자중에 의해 스스로 개방되는 위치까지 푸쉬 바가 돌출된 후 즉시 본체 내로 복귀하므로 사용자 감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개방력이 댐퍼에 의해 감쇠되므로, 천천히(controlled speed) 도어가 하강하여 사용자 품질 감성을 높일 수 있고,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받게 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강제 개방각보다 더 큰 개방각 구간에서 댐퍼가 작동하기 시작하므로, 댐퍼가 작동하기 시작할 때 도어의 개방 속도가 줄어드는 현상이 사용자 눈에 띄도록 하여, 자동으로 개방되는 도어를 보고 사용자가 불안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부, 감속부 및 푸쉬 바가 케이싱에 통합 설치되므로, 조리기기의 제조 및 조립 공정이 간편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 개방 구조가 적용된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에서, 본체의 아우터 하우징의 측면 부분을 생략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리기기의 본체 전방에 설치된 도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도어의 내부 서포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어 자동 개방 구조에 적용되는 자동 개방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자동 개방 모듈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 개방 제어 방법에 따라 도어의 개방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자동 개방 모듈에 의해 도어가 전방으로 강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자동 개방 모듈에 의해 도어가 강제 개방된 후 자중에 의해 스스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조리기기의 전체적인 구조]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 개방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조리기기의 전체적인 구조에 대해 먼저 살펴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조리기기는 오븐이 예시된다. 상기 조리기기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하며 전방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된 도어(5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전체적인 조리기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하우징(11), 그리고 상기 아우터 하우징(11) 내부에 설치되며 전방으로 개방된 캐비티(121)가 마련된 이너 하우징(12)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티는 조리실을 구성한다.
본체(10)에 있어서 캐비티(121)의 상부에는 오븐의 작동에 필요한 각종 부품 및/또는 오븐과 다른 조리 방식의 조리기기(쿡탑) 등이 얹어지는 공간인 상부 룸(13)이 마련된다. 상기 상부 룸(13)에는 도어의 자동 개방을 위한 작동력을 제공하는 자동 개방 모듈(30)이 설치된다. 자동 개방 모듈(30)은, 본체(10)에 대해 전방으로 출몰하여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도어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푸쉬 바(37)를 포함한다.
오븐의 내부는 섭씨 450도 정도까지 상승하게 되는데, 이러한 온도는 자동 개방 모듈(30)의 오동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자동 개방 모듈은 조리실의 측면이나 하부보다는 상대적으로 공간이 넓어 주변 공간의 온도를 쉽게 낮출 수 있는 상부 룸(13)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후술할 도어(50)는 탄성체(70)에 의해 폐쇄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탄성체의 힘을 쉽게 이기기 위해서는 도어의 힌지축(이는 도어의 하부에 마련됨)에서 먼 위치인 상부 룸 쪽에서 도어를 가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 룸에 자동 개방 모듈을 배치하면 보다 저출력의 구동부로도 도어의 강제 자동 개방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조리기기의 도어를 오픈한 후에는 조리기기의 전방에서 음식을 넣거나 빼는 등의 행동을 할 것이므로 사용자의 시각은 조리기기의 전방 상부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자동 개방 모듈(30)이 본체(10)의 상부 품(13)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면, 푸쉬 바(37)가 눈에 띌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상기 자동 개방 모듈(30)의 위치는 조리기기의 좌측 또는 우측에 치우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우측에 치우쳐 위치하는 구조가 예시된다. 이처럼 자동 개방 모듈(30)이 일측에 치우쳐 위치하는 경우, 상부 룸의 다른 공간을 더 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가 약간의 각도(약 10도 정도)만큼 강제 개방되는 위치까지 푸쉬 바(37)가 출몰하는 것을 감안하면, 도어가 약간 열린 상태에서 도어의 상단부가 사용자의 시선을 차폐하여 푸쉬 바(37)가 사용자의 시선에 띄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푸쉬 바(37)가 출몰하는 위는 상부 룸(13) 내에서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자동 개방 모듈(30)의 설치 위치는 상부 룸(13)의 일측면 하부일 수 있다.
다만 상부 룸(13)의 공간 활용, 그리고 푸쉬 바가 사용자의 시선에 띄지 않는 위치라면, 상기 상부 룸(13)의 공간 내에서 상기 자동 개방 모듈(30)의 설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본체(10)의 전방에는 상기 조리실의 전방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도어(50)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50)의 면적은, 단지 조리실의 전방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면적일 수도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실은 물론 조리실 상부의 상부 룸(13)의 전방도 덮는 면적일 수 있다.
상기 도어(50)는 본체(10)의 전방 하부에 마련된 힌지(15)를 통해 상기 본체(10)와 결합된다. 상기 힌지(15)는 좌우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50)를 상기 본체(10)에 대해 회동시키는 중심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50)는 상기 본체에 대해 전방 하부로 회동하여 개방되고, 후방 상부로 회동하여 폐쇄된다.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탄성체(70)와 댐퍼(80)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체(70)는 도어가 후방 상부로 회동하는 방향, 즉 도어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도어를 가세한다. 즉 탄성체(70)는 도어가 열리며 하강할 때 도어가 세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를 닫을 때에는 도어가 본체 쪽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힘을 제공한다.
탄성체(70)가 도어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므로, 도어가 약간 열려 있어 도어의 자중에 의해 도어가 스스로 열리려는 힘보다 탄성체의 탄성력이 더 큰 경우는 경우에는, 탄성체(70)가 도어를 폐쇄할 수 있다. 탄성력이 도어의 자중을 이기고 도어를 폐쇄할 수 있는 탄성 폐쇄각(b)은, 탄성체의 탄성계수의 산포 등을 고려하여, 후술할 강제 개방각(a)보다 약 3° 정도 작게 설정된다(도 6 참조).
또한 댐퍼(80)는 상기 도어가 열릴 때 도어의 회전력을 감쇠하여 도어가 천천히 열리도록 해준다. 필요에 따라 상기 댐퍼(80)는 도어가 열릴 때에만 감쇠력이 제공되도록 하거나, 도어가 열리는 방향과 닫히는 방향으로 모두 감쇠력이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어가 열리고 닫히는 모든 회동각 구간에서 감쇠력을 제공하거나, 상기 회동각의 범위 중 일부 구간에서 감쇠력을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댐퍼(80)는 도어의 소정의 개방각 구간에서 도어의 개방력을 감쇠하고, 상기 개방각을 벗어나는 구간에서는 감쇠력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서 감쇠가 시작되는 감쇠 돌입각(c)은 45 ± 5° 일 수 있다(도 7 참조).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50)는 전체적인 틀과 뼈대가 되는 프레임(51)을 구비한다. 프레임(51)은 직사각형의 테두리 형태이다. 상기 프레임(51)은 조리실은 물론 조리실의 상부 룸까지 덮는 크기의 테두리를 가진다.
프레임의 좌우 하단부에는 힌지 브래킷(56)이 더 설치된다. 조리기기의 도어(50)는 여러 장의 글라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무게 역시 상당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50)의 회동 과정에서 힌지(15)와 결합되는 부분의 강성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 힌지 브래킷(56)은 이러한 도어(50)의 강성을 더욱 보강해준다.
상기 프레임(51)은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51)의 전면과 후면 부분에는 각각 반사 글라스(reflective glass)(55)가 한 장씩 설치된다. 상기 반사 글라스는 상기 조리실의 전방을 덮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51)의 안쪽 가장자리에 각각 서로 이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51)에서 반사 글라스가 설치된 부분의 상부에는 내부 서포터(54)가 고정된다. 상기 내부 서포터(54)는 상기 조리실의 상부 룸(13)을 덮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51)의 안쪽 가장자리 상부에 고정된다. 내부 서포터(54)의 면적과 반사 글라스의 면적을 합하면 대략적으로 프레임(51)의 내부 면적이 된다.
도어의 후방에는, 하단부가 이너 글라스 홀더(531)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단부는 도어 커버(57)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이너 글라스(53)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 커버(57)는 상기 내부 서포터(54)의 후방을 덮으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는 상기 프레임의 전면 전체를 덮는 형태로 아우터 글라스(52)가 고정된다. 즉 아우터 글라스(52)는 프레임(51), 반사 글라스(55) 및 내부 서포터(54)를 모두 덮는 형태로 상기 프레임(51)에 고정된다.
상기 아우터 글라스(52)의 후면은 상기 내부 서포터(54)의 전면과 밀착된다. 내부 서포터(54)의 우측 상부에는, 조명(63)이 설치된 개방 명령 입력부(62)가 마련된다. 상기 조명(63)은 백색 LED일 수 있고, 상기 개방 명령 입력부는 상기 조명(63)이 점등되었을 때 빛이 투과되는 정전식 터치 패널일 수 있다. 상기 개방 명령 입력부(62)와 대응하는 위치로서 상기 아우터 글라스(52)의 우측 상부에는 해당 영역이 개방 명령 입력부임을 표시하는 마크가 인쇄될 수 있다. 상기 마크는 가령 "door open"과 같은 문자 형태일 수 있고, 도어가 열리는 형상이 표현된 아이콘일 수도 있다.
상기 개방 명령 입력부(62)와 그 관련 구성(조명, 마크 등)의 위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 서포터(54)의 전면의 임의의 위치일 수 있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 있듯이,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조작하는 위치는 조리기기의 전방이고, 사용자의 시선은 조리기기 전방의 중앙 상부일 것이 예상되므로, 사용자 중 오른손잡이의 비율이 왼손잡이보다 더 많은 점을 감안하여 상기 개방 명령 입력부(62)는 일반적으로 우측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방 명령 입력부(62)는 단순히 터치 조작만으로 개방 명령을 발생시킬 수도 있고, 터치 및 드래그 조작을 함께 해야 개방 명령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개방 명령 입력부(62)는 터치 패널 뿐만 아니라 다양한 다른 형태의 입력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가령 상기 개방 명령 입력부는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일 수도 있다.
상기 내부 서포터(54)의 전방 중앙부에는 디스플레이(61)가 설치된다. 디스플레이의 설치 위치 역시 사용자의 자세나 위치를 고려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조작하는 위치는 조리기기의 전방이고, 사용자의 시선은 조리기기 전방의 중앙 상부일 것이 예상되므로, 디스플레이는 좌측 또는 우측에 치우쳐 위치하는 것보다, 사용자의 시선의 정면에 대응하는 위치인 내부 서포터(54)의 중앙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러한 위치는 조리기기의 도어의 구조 등이 변경되어 사용자가 조리기기 전방에 서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가 달라질 경우 배치 위치가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 역시 터치 패널을 통해 각종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서포터(54)의 좌측 하부에는 근접 센서(64)(proximity sensor)가 설치된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거리 내에서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거나, 전방에 있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다. 즉 근접 센서는 조리기기의 전방에 사람이 있음을 인식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다양한 방식의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의 설치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센서의 감지 영역이 조리기기의 전방을 대표할 수 있는 영역이라면 위치 변경 역시 가능하다. 다만 실시예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내부 서포터(54)의 정면 중앙부에 디스플레이(61)가 설치되어 있고, 우측에 개방 명령 입력부(62)가 설치되어 있는 점을 감안하여, 근접 센서를 좌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리기기의 조리실은 상당히 뜨거워질 수 있어, 조리실의 열이 내부 서포터(54)에 내장된 각종 센서나 디스플레이에 영향을 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도어, 그리고 내부 서포터 내부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구조가 적용될 여지가 있는데, 내부 서포터 내에 각종 센서 등이 밀집되어 있다면 냉각 효과가 반감될 여지가 있다.
또한 주로 오른손잡이일 것으로 예상되는 사용자가 우측 팔을 들어 개방 명령 입력부(62)와 디스플레이(61)를 손으로 조작할 때, 근접 센서가 오른쪽에 있다면 이러한 사용자의 조작 동작이 모두 거리 신호로 잡히는 과정에서 일종의 외란으로 작용할 여지가 있다. 반면 근접 센서가 좌측에 위치한다면, 사용자의 손 동작이 일일이 근접 센서에 의해 감지되지 않을 수 있는바, 근접 센서의 위치는 좌측인 것이 여러모로 유리하다.
또한 상기 내부 서포터(54)에는 반사 글라스(55)와 대응하는 영역의 아우터 글라스(52) 부분을 노크하였을 때, 노크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를 인식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노크 온 센서(65)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노크 온 센서(65)는 노크가 감지될 때 조리실 내부의 조명을 켜고, 다시 노크가 감지될 때 조리실 내부의 조명을 끄는 방식으로 조리실의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노크 온 센서의 위치 역시 그 위치가 지정된 상기 디스플레이(61), 개방 명령 입력부(62), 근접 센서(64)의 위치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로서, 상기 근접 센서(64)와 디스플레이(61) 사이,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61)와 개방 명령 입력부(6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개방 명령 입력부(62)를 누를 때 발생하는 소리가 노크 온 센서에 감지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근접 센서(64)와 디스플레이(61) 사이에 노크 온 센서가 배치된 구조가 예시된다.
상기 내부 서포터(54)의 상부면에는 상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도어 LED부(6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LED부는 어레이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좌우 양측에만 LED가 구비되고 그 사이에는 확산판이 구비된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자동 개방 모듈(30)이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므로, 도어에는 별도의 손잡이가 없어도 무방하다. 이는 기존에 오븐 도어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던 손잡이를 생략할 수 있어 오븐의 디자인을 한층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자동 개방 모듈]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개방 모듈(30)은, 제1 케이싱(31)과 제2 케이싱(32)을 포함한다. 제1 케이싱(31)은 자동 개방 모듈의 바디로서 상부로 개방된 함체 형상이다. 제1 케이싱(31)의 일측면에는 푸쉬 바가 드나들 수 있도록 홈이 마련되어 있다. 제2 케이싱(32)은 제1 케이싱(31)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상기 제1 케이싱과 결합된다.
푸쉬 바(37)는 대략적으로 기다란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면에는 치형부(372)가 마련된다. 푸쉬 바(37)에 있어서 치형부(372)보다 더 선단부의 소정 구간은 치형부가 형성되지 않고 매끈한 형태이다. 이 매끈한 구간은, 자동 개방 모듈(30)을 본체에 설치하였을 때,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구간(371)이 된다. 상기 푸쉬 바(37)와 제1 케이싱(31)은 레일과 레일 홈 형태로 상호 맞물린다. 따라서 푸쉬 바(37)는 레일과 레일 홈의 연장 방향으로 안내되며 상기 케이싱(31,32)에 대해 직선 운동을 한다.
상기 제1 케이싱(31)에서 상기 푸쉬 바(37)의 측면에는 감속부(35)가 설치된다. 감속부(35)에는 복수 개의 기어가 서로 맞물려 구동부, 즉 모터(34)의 속도를 감속시키어 상기 푸쉬 바(37)의 치형부(372)에 전달한다.
모터(34)는 제1 케이싱(31)에 설치되어, 정회전 하거나 역회전 하게 된다. 모터는 회전각도 제어가 가능한 BLDC(brushless direct current) 모터가 사용됨으로써, 상기 푸쉬 바(37)의 이동 거리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모터(34)는 제1 케이싱(31)의 하부으로부터 상방으로 끼워진 후 볼트나 나사 등으로 고정되고, 상기 감속부(35)는 제1 케이싱(31)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끼워질 수 있다. 감속부(35)의 기어들의 각 축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정렬되고, 각 축의 하부는 제1 케이싱(31)에, 그리고 각 축의 상부는 제2 케이싱(32)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 바(37)의 상부면 역시 제2 케이싱(32)에 의해 지지된다.
아울러 상기 제1 케이싱(31)의 저면에는 모터의 제어 기판(33)이 설치된다.
이처럼 자동 개방 모듈(30)은 그 자체로 푸쉬 바(37)의 작동을 위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자동 개방 모듈(30)을 본체에 설치하는 것 만으로 해당 작동을 위한 구성의 조립과 설치가 완료되므로, 조리기기의 제작 공정이 한층 편리해진다.
[도어 자동 개방 작동]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근접 센서(64)는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 작동하고, 도어가 열리면 작동이 멈출 수 있다.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근접 센서는 주기적으로 그 전방에 사람이 있는지를 감지한다. 사람이 감지되는 동안, 상기 근접 센서는 사람이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켜 마이콤 등의 제어부에 전송한다.
근접 센서(64)가 조리기기의 전방에 사람이 있음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즉 조리기기의 전방에 사람이 없는 경우에는, 개방 명령 입력부(62)가 비활성화되고 조명(63)도 꺼진 상태가 되며, 디스플레이(61)도 꺼져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아우터 글라스의 "door open" 마크도 눈에 띄지 않고, 디스플레이 역시 눈에 잘 띄지 않는다.
근접 센서(64)에 의해 조리기기의 전방에 사람이 접근하였거나 사람이 있음이 감지된 경우에는 개방 명령 입력부(62)가 활성화되고 조명(63)이 켜지며, 디스플레이(61)도 켜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아우터 글라스의 "door open" 마크가 확연히 눈에 띄고, 디스플레이 역시 아우터 글라스(52)를 투과하며 눈에 띄게 된다.
따라서 조리기기를 작동하기 위해 조리기기 전방에 접근한 사람은, 디스플레이와 조명이 켜진 것을 보고 명령 입력이 가능한 상태임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를 터치하여 명령을 입력하거나, 상기 개방 명령 입력부(62)를 터치하여 도어를 자동 개방할 수 있다.
상기 개방 명령 입력부(62)와 조명(63)은 상호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다. 즉 개방 명령 입력부(62)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조명(63)도 켜진 상태가 되고, 개방 명령 입력부(62)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조명(63)도 꺼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연동 방식은 사용자가 개방 명령 입력부(62)가 활성화 된 것인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해준다.
근접 센서(64)에 의해 조리기기의 전방에 사람이 접근한 것이 감지된 상태이면서, 활성화된 개방 명령 입력부(62)를 사용자가 터치 등의 조작을 하게 되면 자동 개방 모듈(30)이 작동한다.
자동 개방 모듈(30)이 작동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개방 모듈(30)은 푸쉬 바(37)를 본체 전방으로 돌출시킨다. 푸쉬 바(37)는 직선 병진 운동을 하며 전방으로 돌출되며, 이에 따라 푸쉬 바(37)의 선단부는 도어의 후면을 밀어주게 된다. 이에 따라 도어는 하단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개방 회동한다. 오븐과 같은 조리기기의 경우 탄성체가 도어(50)를 폐쇄 방향으로 가세하고 있으므로, 상기 푸쉬 바(37)는 도어(50)의 자중에 의해 도어가 열리려는 힘이 탄성체의 탄성 가세력보다 큰 각도까지 상기 도어(50)를 강제 개방한다.
이와 같이 푸쉬 바(37)에 의해 도어가 강제 개방되는 각도(a)는 가령 10~15° 정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11° 정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약 10.6° 까지 강제 개방되는 것이 예시된다. 상기 도어가 약 10.6° 까지 열리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본체(10)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는 푸쉬 바(37) 부분은 치형부가 없는 돌출 구간(371)으로서,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사용자에게 푸쉬 바의 치형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품질 감성을 높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탄성체(70)가 도어의 자중을 이기고 도어를 폐쇄할 수 있는 탄성 폐쇄각(b)은 강제 개방각(a)보다 약 3° 정도 작게 설정된다. 탄성체(70)의 스프링상수에는 산포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산포를 감안하여, 강제 개방각(a)은 적어도 상기 산포를 벗어나는 범위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푸쉬 바(37)는 수평 방향으로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수평 방향보다 약간 하향 경사진 각도(θ)를 이루며 전방으로 돌출된다. 즉 상기 자동 개방 모듈(30)은 본체에 대해 약간 경사진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푸쉬 바(37)가 수평선으로부터 하향 경사진 각도는 대략 상기 도어의 강제 개방각(a)의 1/2 에 해당한다. 도어가 강제 개방되는 과정에서 푸쉬 바(37)는 직선 운동을 하는 반면, 상기 푸쉬 바(37)에 의해 회동하며 밀리는 도어(50)는 회동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푸쉬 바(37)의 선단부와 도어의 후면은 동일한 지점에서 서로 맞닿은 채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푸쉬 바(37)가 전진함에 따라 푸쉬 바(37)의 선단부와 도어의 후면이 맞닿는 지점이 변하게 된다. 이는 푸쉬 바(37)의 선단부와 도어 후면 간의 표면 마찰을 일으키고, 푸쉬 바(37)의 선단면과 도어의 후면에 스크래치 또는 마모가 생기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푸쉬 바(37)가 전방에 대해 하향 경사진 각도가 강제 개방각(a)의 1/2이 되도록 함으로써, 푸쉬 바(37)의 선단부와 도어의 후면이 맞닿아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하였다. 가령 도어가 약 10.6°까지 강제 개방된다면, 상기 푸쉬 바(37)는 수평선에 대해 약 5.3° 정도 하향하며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자동 개방 모듈(30)의 조립 편차, 강제 개방각(a)의 오차 또는 탄성체(70)의 스프링 상수 값의 편차 등을 감안하여, 상기 강제 개방각(a)은 제품마다 약간의 편차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쉬 바(37)가 하향하는 각도는 정확히 강제 개방각(a)의 1/2 이라기보다, 강제 개방각(a)의 1/2 ± 1/10의 범위 내에서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강제 개방각(a)에 대응하여 푸쉬 바(37)를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출몰하도록 하면, 푸쉬 바가 밀어주는 힘이 온전히 도어에 전달된다. 가령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와 달리, 푸쉬 바(37)가 수평으로 출몰하여 작용하는 구조에서 도어가 소정 각도(θ)로 열린 위치에 있다면, 푸쉬 바(37)가 수평으로 돌출되며 작용하는 힘(F)이 온전히 도어의 개방을 위해 작용하지 않고, F · cos θ 만큼 감소되어 작용한다.
반면, 실시 예에서와 같이 푸쉬 바(37)가 하향하는 각도가 강제 개방각(a)의 1/2 정도라면, 푸쉬 바(37)가 돌출되며 밀어주는 힘(F)이 최대한 도어의 개방을 위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푸쉬 바(37)는 도어를 상기 강제 개방각(a)까지 전방으로 밀어낸 후 즉시 본체 내부로 되돌아가도록 제어된다. 이에 따라 푸쉬 바가 돌출된 상태가 사용자의 눈에 띄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푸쉬 바(37)가 도어를 밀어냄에 있어서, 0° 에서 강제 개방각(a)까지는 푸쉬 바가 도어의 이면에 확실히 접촉한 상태로 도어를 밀어내고, 상기 강제 개방각(a)에 다다르면 푸쉬 바가 도어의 이면으로부터 확실히 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푸쉬 바가 도어를 밀어내는 과정에서, 강제 개방각(a)에 도달하기도 전에 도어가 푸쉬 바로부터 먼저 떨어져 버리면, 도어의 개방속도가 의도한 것보다 더 빨라질 수 있고, 푸쉬 바가 전진하는 모습이 사용자에게 노출되어 품질 감성을 떨어뜨릴 우려가 있다. 그리고 이는 탄성체(70)의 스프링 계수 등의 산포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푸쉬 바(37)의 선단부에 제1자석(91)을 설치하고, 상기 푸쉬 바의 선단부와 접하는 도어의 이면에는 상기 제1자석(91)과 인력이 작용하는 제2자석 또는 강자성체(92)를 설치하여, 푸쉬 바(37)가 도어를 미는 동안 푸쉬 바와 도어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구조를 개시한다. 물론 상기 푸쉬 바(37)의 선단부에 제2자석 또는 강자성체(92)가 설치되고, 상기 푸쉬 바의 선단부와 접하는 도어의 이면에 제1자석(91)을 설치해도 무방하다.
한편 푸쉬 바와 도어가 강제 개방각(a)에 다다랐을 때 푸쉬 바가 도어의 이면과 부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 푸쉬 바가 복귀할 때, 도어가 폐쇄 방향으로 따라오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푸쉬 바가 강제 개방각(a)에 다다르면 푸쉬 바가 도어의 이면으로부터 확실히 떨어지도록 제어된다.
이러한 제어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제1자석이나 제2자석은 전자석일 수 있다. 전자석은 전원이 공급되면 자기장을 발생시키지만, 전원을 차단하면 자기장이 사라진다.
따라서 도어의 강제 개방 시점부터 상기 강제 개방각 부근까지 푸쉬 바가 진행하는 동안, 상기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자석의 자기력이 도어와 푸쉬 바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푸쉬 바가 상기 강제 개방각에 다다를 즈음에,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자기장에 의한 인력이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간이 0°에서 강제 개방각에 이르는 모든 구간일 필요는 없으며, 상기 구간 중 적어도 푸쉬 바와 도어의 이면이 떨어질 염려가 있는 구간에서만 전원이 공급되면 족하다.
또한 이러한 제어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제1자석이나 제2자석이 영구자석일 수도 있다. 영구자석이라 하더라도, 푸쉬 바가 도어를 밀어내는 과정에서, 푸쉬 바가 상기 강제 개방각(a) 부근에 다다랐을 때 상기 푸쉬 바의 돌출 속도를 급격히 감속시킴으로써, 개방되던 도어의 관성에 의해 상기 제2자석 또는 강자성체가 상기 제1자석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하면, 0° 에서 강제 개방각(a)까지는 푸쉬 바가 도어의 이면에 확실히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고, 강제 개방각(a)에서 도어의 이면이 푸쉬 바로부터 확실히 떨어질 수 있다.
상기 강제 개방각까지 도어가 강제로 오픈된 후에는, 푸쉬 바가 즉시 본체 내부로 되돌아 들어가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 도어가 스스로 열리게 된다. 상기 도어가 스스로 열릴 때 개방 속도가 가속되면 최종 개방 위치에서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은 탄성체(70)와 더불어, 상기 도어의 개방력을 감쇠하여 개방이 천천히 이루어지도록 개방 속도를 제어하는 댐퍼(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80)가 도어의 개방력을 감쇠하는 각도 범위는, 가령 도어가 약 30° 정도 되었을 때 시작되어 90°가 될 때까지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도어는 강제 개방각(a)까지 열린 후 천천히 자중에 의해 가속 개방되다가 약 30° 정도 되었을 때 댐퍼의 감쇠력을 받아 천천히 개방될 수 있다. 도어의 이러한 개방 방식은 사용자로 하여금 안정감을 느끼게 해준다.
다른 일 예로, 상기 댐퍼(80)가 도어의 개방력을 감쇠하기 시작하는 감쇠 돌입각(c)은, 45 ± 5°일 수 있다. 즉 댐퍼(80)는 감쇠 돌입각부터 도어가 완전히 열리는 구간에서 감쇠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어가 개방되면서 감쇠가 너무 일찍 시작되면, 도어가 개방되기를 기다리는 대기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져 오히려 불편함을 유발한다. 반면 도어의 감쇠가 너무 늦게 시작되면, 도어가 상당 수준 열리는 범위까지 도어가 너무 빨리 열리게 되어 사용자가 놀라거나 불편함을 느낄 수 있고, 빨리 열리는 도어에 부딪혀 다칠 우려도 있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댐퍼(80)가 도어의 개방력을 감쇠하기 시작하는 감쇠 돌입각(c)은, 45 ± 5°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감쇠력은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는 90° 까지 지속되거나, 그보다 5° 정도 작은 85°까지 지속될 수 있다.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는 구간까지 전부 감쇠력이 작용하면, 도어가 완전히 열리지 않고 1~2° 정도 덜 열릴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감쇠력이 85° 이후에는 작용하지 않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감쇠 돌입각(c)은 상기 강제 개방각(a)보다 더 크게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강제 개방각(a)와 감쇠 돌입각(c) 사이, 즉 10°~15° 이상 40~50° 이하의 구간은 도어가 아무런 댐퍼(80)에 의해 감쇠되지 아니하고 자중에 의해 저절로 열리는 구간이 된다. 물론 이 구간에서도 상술한 탄성체(70)의 탄성력은 도어의 개방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자중에 의해 저절로 열리는 구간에서 도어가 급 가속되는 현상은 충분히 방지된다.
위와 같이 도어가 개방된 후에는 디스플레이(61)가 꺼지고 개방 명령 입력부(62)가 비활성화될 수 있다.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와 개방 명령 입력부는 하방으로 향하기 때문에 어차피 조작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디스플레이가 꺼지도록 하여 절전 효율을 높이고, 디스플레이가 불측의 조작으로 터치되어 원치 않은 명령이 조리기기에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 이유로 도어가 개방된 후에는 근접 센서도 꺼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도어가 다시 닫히면 재작동이 시작되고, 도어를 닫는 동작을 할 때 조리기기의 전방에는 사람이 있기 때문에 상기 디스플레이와 개방 명령 입력부가 다시 켜질 수 있다.
도어가 닫혀 있는지 여부는 종전의 방식과 마찬가지로, 도어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후크(59) 부위를 본체 쪽에서 감지하여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61)를 통해 사용자가 "요리 실행", "조리 시작", "START"와 같은 요리실행 버튼을 누르게 되면 오븐은 작동하기 시작한다. 오븐이 작동하기 시작하면, 앞서 설명한 적색의 도어 LED부(68)가 켜져 도어의 상부면에서 상부로 적색 광이 조사된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오븐이 작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명확히, 그리고 직관적으로 인식하도록 해준다.
한편 조리가 진행되고 있는 동안에도 사용자가 오븐을 개폐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상기 근접 센서가 조리기기 전방에 사람이 있음을 감지하면 개방 명령 입력부는 활성화되고, 사용자가 이를 통해 개방 명령을 입력하면 도어는 자동 개방될 수 있다.
조리 중에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도어 LED부(68)가 소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색 광을 보고 놀라거나 위험한 느낌을 가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에는 노크 온 센서(65)가 설치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도어의 표면, 특히 조리실 내부가 보이는 면을 노크하면 조리실 내부를 밝히는 조명이 점등되어 조리기기 외부에서 내부를 보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조리 중일 때에는 물론, 조리 중이 아닐 때에도 작동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조리실 내부를 보고 싶을 때 노크를 함으로써 굳이 도어를 열지 않고도 내부를 보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리기기에 어린이 보호 기능이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도어를 닫을 때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도어를 들어올려 닫히도록 할 수 있으며, 도어를 닫을 때 사용자가 탄성 폐쇄각(b)까지만 도어를 닫더라도, 탄성체(70)에 의해 나머지 구간에서 도어가 본체로 폐쇄된다.
이러한 도어 자동 개방 구조를 적용하면, 사용자 불안감을 줄일 수 있고, 품질 감성이 높아지며, 도어의 전방으로 돌출된 손잡이를 삭제할 수 있어 특히 빌트인 설치 시 우수한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본체
11: 아우터 하우징
12: 이너 하우징
121: 캐비티
13: 상부 룸
15: 힌지
30: 자동 개방 모듈
31: 제1 케이싱(바디)
32: 제2 케이싱(커버)
33: 제어 기판
34: 구동부(모터)
35: 감속부
37: 푸쉬 바
371: 돌출 구간
372: 치형부
50: 도어
51: 프레임
52: 아우터 글라스
53: 이너 글라스
531: 이너 글라스 홀더
54: 내부 서포터
55: 반사 글라스
56: 힌지 브래킷
57: 도어 커버
59: 후크
61: 디스플레이
62: 개방 명령 입력부(터치 패널)
63: 조명
64: 근접 센서
65: 노크 온 센서
68: 도어 LED부
70: 탄성체
80: 댐퍼
91, 92: 자석, 강자성체
a: 강제 개방각
b: 탄성 폐쇄각
c: 감쇠 돌입각
θ: 푸쉬 바 하향각

Claims (15)

  1. 내부에 조리실을 구비하는 본체(10)와, 상기 조리실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50)와, 상기 도어의 개폐 이동의 회전 중심이 되는 힌지(15)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15)는, 본체(10)의 전방 하부에 위치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50)를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이에 따라 상기 도어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하강 개방되는 구조이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탄성체(70)에 의해 탄성 가세되는 조리기기로서,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조리실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 룸(13)에는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도어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자동 개방 모듈(30)이 설치되고,
    상기 자동 개방 모듈(30)은 상기 도어의 후면과 접하는 본체의 전면을 관통하여 출몰하는 푸쉬 바(37)를 구비하고,
    상기 푸쉬 바(37)는 적어도 상기 도어의 자중에 의해 도어가 하강하려는 힘이 상기 탄성체가 도어를 상승시키려는 힘보다 큰 강제 개방각(a)만큼 상기 도어를 전방으로 밀어내고,
    상기 푸쉬 바(37)는 전방으로 하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로부터 출몰하되, 상기 푸쉬 바(37)가 전방 수평 방향에 대해 상기 강제 개방각(a)의 1/2 ± 1/10의 각도(θ)만큼 하향 경사져 출몰하는 조리기기.
  2. 내부에 조리실을 구비하는 본체(10)와, 상기 조리실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50)와, 상기 도어의 개폐 이동의 회전 중심이 되는 힌지(15)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15)는, 본체(10)의 전방 하부에 위치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50)를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이에 따라 상기 도어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하강 개방되는 구조이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탄성체(70)에 의해 탄성 가세되는 조리기기로서,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조리실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 룸(13)에는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도어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자동 개방 모듈(30)이 설치되고,
    상기 자동 개방 모듈(30)은 상기 도어의 후면과 접하는 본체의 전면을 관통하여 출몰하는 푸쉬 바(37)를 구비하고,
    상기 푸쉬 바(37)의 선단부 또는 상기 푸쉬 바(37)의 선단부와 접하는 도어의 이면 부근 중 어느 한 곳에는 제1자석(91)이 구비되고, 나머지 한 곳에는 제2자석 또는 강자성체(92)가 구비되고,
    상기 푸쉬 바(37)는 적어도 상기 도어의 자중에 의해 도어가 하강하려는 힘이 상기 탄성체가 도어를 상승시키려는 힘보다 큰 강제 개방각(a)만큼 상기 도어를 전방으로 밀어내고,
    상기 푸쉬 바(37)의 제1자석(91)이 도어를 흡착한 상태로 상기 푸쉬 바(37)가 상기 도어를 강제 개방각(a)만큼 밀어낸 뒤, 상기 푸쉬 바(37)가 상기 도어의 이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상기 제1자석(91)의 자성 또는 상기 푸쉬 바(37)의 동작이 제어되는, 조리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석은 전자석이고,
    상기 제어는, 상기 푸쉬 바가 적어도 강제 개방각 부근에 도달하기 전부터, 상기 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자석이 자기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푸쉬 바가 상기 강제 개방각 부근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전자석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어, 전자석이 자기력을 상실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조리기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석은 영구자석이고,
    상기 제어는, 상기 푸쉬 바가 도어를 밀어냄에 있어서, 상기 강제 개방각 부근에서 상기 푸쉬 바의 돌출 속도를 급격히 감속시킴으로써, 개방되던 도어의 관성에 의해 상기 제2자석 또는 강자성체가 상기 제1자석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제어인, 조리기기.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개방각(a)은 10° 이상 15° 이하인 조리기기.
  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탄성체(70)에 의해 폐쇄 복귀할 수 있는 개방각은 0° 이상 상기 강제 개방각(a)에서 3°를 뺀 (a-3)° 이하인 조리기기.
  7.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바(37)는 상기 도어를 상기 강제 개방각(a)만큼 밀어낸 후 즉시 본체 내로 복귀하는 조리기기.
  8.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 소정의 개방각 구간에서 상기 도어의 개방력을 감쇠하는 댐퍼(80)를 더 구비하는 조리기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개방각 구간은 상기 강제 개방각(a) 보다 더 큰 개방각 범위인 조리기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개방각 구간은 (45 ± 5)° 이상 90° 이하인 조리기기.
  11.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개방 모듈(30)은 상기 푸쉬 바(37)를 전후로 출몰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구동부(34)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 바(37)에는 상기 구동부(34)의 힘을 전달받는 치형부(372)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상기 푸쉬 바(37)에서 상기 본체보다 더 전방으로 출몰하는 선단부의 돌출 구간(371)에는 상기 치형부가 마련되지 아니한 조리기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자동 개방 모듈(30)은 케이싱(31,32)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푸쉬 바를 수용하고 상기 푸쉬 바의 전후 왕복 운동을 안내하며,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푸쉬 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푸쉬 바에 감속 전달하는 감속부(35)가 더 설치되는 조리기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쉬 바(37)의 선단부 또는 상기 푸쉬 바(37)의 선단부와 접하는 도어의 이면 부근 중 어느 한 곳에는 제1자석(91)이 구비되고, 나머지 한 곳에는 제2자석 또는 강자성체(92)가 구비되고,
    상기 푸쉬 바(37)의 제1자석(91)이 도어를 흡착한 상태로 상기 푸쉬 바(37)가 상기 도어를 강제 개방각(a)만큼 밀어낸 뒤, 상기 푸쉬 바(37)가 상기 도어의 이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상기 제1자석(91)의 자성 또는 상기 푸쉬 바(37)의 동작이 제어되는, 조리기기.
  1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푸쉬 바(37)는 전방으로 하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로부터 출몰하는, 조리기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푸쉬 바(37)가 전방 수평 방향에 대해 상기 강제 개방각(a)의 1/2 ± 1/10의 각도(θ만큼 하향 경사져 출몰하는, 조리기기.
KR1020170163312A 2017-06-28 2017-11-30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조리기기 KR1024132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079 2017-06-28
KR20170082079 2017-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887A KR20190001887A (ko) 2019-01-07
KR102413230B1 true KR102413230B1 (ko) 2022-06-27

Family

ID=65017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312A KR102413230B1 (ko) 2017-06-28 2017-11-30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2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5097A1 (ko) * 2022-07-26 2024-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29396B1 (de) * 2021-05-11 2022-12-12 Miele & Cie Verfahren zum Kühlen des austretenden Wrasens oder Dampfs aus dem Garraum eines Gargeräts und Gargerä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4980A (ja) * 2004-06-02 2005-12-15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高周波加熱装置
JP2006226617A (ja) * 2005-02-18 2006-08-31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加熱調理器
JP2007147253A (ja) * 2005-11-07 2007-06-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扉装置および冷蔵庫
KR101344859B1 (ko) * 2013-07-10 2013-12-24 (주)해밀 도어 스토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4980A (ja) * 2004-06-02 2005-12-15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高周波加熱装置
JP2006226617A (ja) * 2005-02-18 2006-08-31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加熱調理器
JP2007147253A (ja) * 2005-11-07 2007-06-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扉装置および冷蔵庫
KR101344859B1 (ko) * 2013-07-10 2013-12-24 (주)해밀 도어 스토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5097A1 (ko) * 2022-07-26 2024-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887A (ko) 201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3230B1 (ko)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조리기기
KR102521502B1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EP3421889B1 (en) Cooker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matic opening of door of cooker device
US20220236937A1 (en) Appliance handle with automatic shutoff of input interface elements
WO2018068424A1 (zh) 冰箱及其自动开门控制方法
KR102276019B1 (ko) 차량의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KR102481610B1 (ko) 조리기기용 도어 개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200042263A (ko)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도어 자동 개방 제어 방법
CN219813844U (zh) 一种烹饪设备的幕帘结构及烹饪设备
EP3640392B1 (en) User interface solutions for accessing appliance control through cosmetic outer cabinet
CN109184444A (zh) 家用电器及其门控制系统和方法
KR102106846B1 (ko) 자동 개방 구조가 적용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속도 조절장치
CN114413298B (zh) 一种吸油烟机及其控制方法
CN211818907U (zh) 一种用于平开门的非接触式自动开关门系统
GB2350863A (en) Cooker oven : power-operated doors
CN109631119B (zh) 一种手势开关控制的嵌入式烟机
CN108420296B (zh) 加热烹调器及其控制系统和方法
WO2017104172A1 (ja) 加熱調理器
CN114636179B (zh) 吸油烟机及其控制方法
WO2012172016A1 (en) A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door
CN213786771U (zh) 具有自动开盖机构的炊具
CN212591599U (zh) 厨房电器及蒸箱
CN220556193U (zh) 一种拢烟机构及吸油烟机
JP2011104247A (ja) チューフィング及びチューフィング装置
CN111887710A (zh) 厨房电器、蒸箱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