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193B1 - 폐배지를 재활용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배지를 재활용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193B1
KR102413193B1 KR1020210193225A KR20210193225A KR102413193B1 KR 102413193 B1 KR102413193 B1 KR 102413193B1 KR 1020210193225 A KR1020210193225 A KR 1020210193225A KR 20210193225 A KR20210193225 A KR 20210193225A KR 102413193 B1 KR102413193 B1 KR 102413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wood
waste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철
유동열
Original Assignee
(주)지케이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케이우드 filed Critical (주)지케이우드
Priority to KR1020210193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1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07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and at least partly composed of recycle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1/00Pretreatment of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1/00Pretreatment of moulding material
    • B27N1/02Mixing the material with binding agent
    • B27N1/0209Methods, e.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2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from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8Moulding or pressing
    • B27N3/18Auxiliary operations, e.g. preheating, humidifying, cutting-of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배지를 재활용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배지를 재활용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은 목분과 폐배지를 준비한 후 1차로 자연건조하는 목분 및 폐배지 1차 건조 단계(S100); 상기 1차 자연건조된 폐배지를 2차로 가열하여 건조하는 폐배지 2차 건조 단계(S200); 상기 건조된 목분 및 폐배지에 수분차단제, UV 흡수제, 유기 방오제 및 무기 방오제를 혼합하여 목분조성물을 제조하는 목분조성물 제조 단계(S300); 상기 목분조성물에 수지조성물 및 첨가조성물을 배합하여 혼합하는 배합 혼합 단계(S400); 및 상기 목분조성물, 수지조성물 및 첨가조성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성형하여 합성목재를 제조하는 성형 단계(S50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폐배지를 재활용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은 사용 후 폐기되는 폐배지를 재활용하여 합성목재를 제조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면서 우수한 습기 조절 능력과 방향성을 가지고 항균, 방습 및 탈취 효과로 인해 곰팡이가 발생하지 않으며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는 합성목재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폐배지를 재활용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SYNTHETIC WOOD FROM RECYCLED WASTE MEDI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폐배지를 재활용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 후 폐기되는 폐배지를 재활용하여 합성목재를 제조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면서 우수한 습기 조절 능력과 방향성을 가지고 항균, 방습 및 탈취 효과로 인해 곰팡이가 발생하지 않으며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는 폐배지를 재활용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목재는 건물의 바닥재나 실내문, 창틀 등과 같은 친환경적인 건축용 내·외장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목재로는 대부분 방부목재가 사용되고 있는데, 방부목재는 천연목재에 방부액을 침투시켜 가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천연목재나 방부목재는 가공성이 우수한 반면에 강도가 극히 취약하고, 외부의 온도변화 및 습기, 충격 등에 쉽게 변형이 발생하게 되며, 반영구적이지 못하고, 산림을 훼손시켜 천연목을 얻어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아울러, 방부목재의 경우 다량의 환경유해물질이 방출됨으로써 사용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천연목재 또는 방부목재를 대신하여 합성수지와 목재를 혼합하여 성형 제조한 합성목재가 등산로, 데크로드, 생태공원, 전망대 등의 구조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합성목재는 원목을 분쇄한 목분과 열경화성 합성수지 등의 첨가제가 합성된 충전제를 주입하고 가열 압축시켜 패널을 형성하고, 형성된 패널의 전면에 천연 무늬목이나 비닐 무늬목을 접착시켜 용도에 맞게 가공 절단하여 완성한다. 이러한 합성목재는 천연 무늬목의 질감을 가지며, 내구성과 내마모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합성목재는 봄, 여름철 대기 중에 날리는 꽃가루나 송진 등의 이물질에 의해 표면이 오염되거나 목분과 반응하여 부후가 진행되고, 열가소성 수지의 산화가 진행됨으로써, 합성목재의 내후성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봄, 여름철이 아니더라도 습기가 있는 강가 등에 설치된 경우 역시 합성목재의 표면에 이끼가 쌓이고 이끼 속의 미세 생물체의 신진대사 활동으로 인해서도 표면이 오염되거나 목분과 반응하여 부후가 진행되고, 열가소성 수지가 산화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한편,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버섯 종이 식용으로 인공재배 되고 있으며, 이들은 병재배, 균상재배, 봉지재배 형태로 재배되어지고 있다. 특히, 국내의 경우 농산버섯의 88%를 느타리(Pleurotus osteratus), 새송이(큰느타리; Pleurotus eryngii), 팽이(Filammulina velutipus)가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새송이, 느타리, 팽이 등은 백색부후균(white rot fungi)에 포함되며, 자연상태에서 대부분 수목에 기생하여 생활하는 균으로서 자일라네이즈(xylanase), 셀룰레이즈(cellulase), 리그닌 분해효소(lignin peroxidase, Lip, Mn peroxidase, laccase) 등을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발효-배양-버섯생산 과정을 거치면서 배지성분을 분해하여 당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섬유소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일반적으로 버섯은 종균을 접종한 후, 30 내지 40일간의 균사생장과정과 10일 이상의 버섯 자실체 유기 과정을 거쳐 수확한다. 이때 버섯 수확 후 남는 배지를 버섯 폐배지(SMS, spent mushroom substrate)라하며, 버섯 1kg을 생산하는데 5 kg정도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국내 버섯 폐배지 생산량은 200만톤/년으로 추정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폐배지는 버섯의 종류와 배지 조성 및 재배 방식(병재배, 봉지재배, 균상 재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배출되고 있으며 일부는 유기질 퇴비로 사용되거나 퇴비 제조시 수분조절제로 사용되고 나머지는 폐기되어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는 농가에서 배출되는 폐배지를 재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중, 폐배지를 이용하여 합성목재를 제조함으로써 폐배지 처리에 대한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친환경적이면서 우수한 습기 조절 능력과 방향성을 가지며 우수한 내구성의 합성목재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국내등록특허 제10-1728233호(2017년 04월 12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2016880호(2019년 08월 26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2202817호(2021년 01월 08일 등록)
본 발명은 사용 후 폐기되는 폐배지를 재활용하여 합성목재를 제조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면서 우수한 습기 조절 능력과 방향성을 가지고 항균, 방습 및 탈취 효과로 인해 곰팡이가 발생하지 않으며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는 폐배지를 재활용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배지를 재활용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은 목분과 폐배지를 준비한 후 1차로 자연건조하는 목분 및 폐배지 1차 건조 단계(S100); 상기 1차 자연건조된 폐배지를 2차로 가열하여 건조하는 폐배지 2차 건조 단계(S200); 상기 건조된 목분 및 폐배지에 수분차단제, UV 흡수제, 유기 방오제 및 무기 방오제를 혼합하여 목분조성물을 제조하는 목분조성물 제조 단계(S300); 상기 목분조성물에 수지조성물 및 첨가조성물을 배합하여 혼합하는 배합 혼합 단계(S400); 및 상기 목분조성물, 수지조성물 및 첨가조성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성형하여 합성목재를 제조하는 성형 단계(S500)를 포함한다.
상기 목분 및 폐배지 1차 건조 단계(S100)에서는 준비된 목분과 폐배지를 20~30℃ 온도 및 50~70% 습도하에서 1차로 자연건조함으로써, 자연건조된 목분의 함수율은 5~10%가 되고, 자연건조된 폐배지의 함수율은 15~20%가 되도록 건조할 수 있다.
상기 폐배지 2차 건조 단계(S200)에서는 상기 1차 자연건조된 폐배지를 120~200℃의 온도에서 10~20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2차 건조된 폐배지의 함수율이 5~10%가 되도록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목분조성물 제조 단계(S300)에서 상기 목분조성물은 상기 목분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폐배지 10 내지 1000 중량부, 수분차단제 1 내지 10 중량부, UV 흡수제 1 내지 10 중량부, 유기 방오제 1 내지 10 중량부 및 무기 방오제 1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배합 혼합 단계(S400)에서는 목분조성물 45 내지 58 중량부, 수지조성물 28 내지 33 중량부 및 첨가조성물 14 내지 22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어 혼합되되, 상기 수지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UV 안정제 0.5 중량부의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되고, 상기 첨가조성물은 결합제 10 내지 20 중량부, 착색제 1 내지 5 중량부 및 보강제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멜라민 수지 10 내지 20 중량부, 폴리실록산 3 내지 7 중량부, 알콕시실란 1 내지 3 중량부, PMMA(Polymethly Methacrylate) 수지 조성물 3 내지 7 중량부, 항균나노분말 0.8 내지 1.2 중량부, 분산제 0.1 내지 0.5 중량부 및 1,3,5-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0.5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폐배지를 재활용한 합성목재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배지를 재활용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은 사용 후 폐기되는 폐배지를 재활용하여 합성목재를 제조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면서 우수한 습기 조절 능력과 방향성을 가지고 항균, 방습 및 탈취 효과로 인해 곰팡이가 발생하지 않으며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는 합성목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배지를 재활용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배지를 재활용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배지를 재활용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폐배지를 재활용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은 목분 및 폐배지 1차 건조 단계(S100), 폐배지 2차 건조 단계(S200), 목분조성물 제조 단계(S300), 배합 혼합 단계(S400) 및 성형 단계(S500)를 포함한다.
1. 목분 및 폐배지 1차 건조 단계(S100)
상기 목분 및 폐배지 1차 건조 단계(S100)는 목분과 폐배지를 준비한 후 1차로 자연건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목분 및 폐배지 1차 건조 단계(S100)에서는 준비된 목분과 폐배지를 20~30℃ 온도 및 50~70% 습도하에서 1차로 자연건조함으로써, 자연건조된 목분의 함수율은 5~10%가 되고, 자연건조된 폐배지의 함수율은 15~20%가 되도록 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목분 및 폐배지 1차 건조 단계(S100)에서 상기 목분은 천연원목뿐만 아니라 나무 조각, 톱밥, 대팻밥, 재생 크래프트(kraft) 또는 골판지 등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목분이 이용될 수 있고, 상기 폐배지와의 균일한 혼합을 위하여 상기 목분은 평균 입도가 30 내지 100메쉬(mesh)인 목분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분 및 폐배지 1차 건조 단계(S100)에서 상기 폐배지는 버섯 폐배지(SMS, spent mushroom substrate)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버섯 폐배지는 버섯 수확 후 남는 배지를 의미할 수 있다.
2. 폐배지 2차 건조 단계(S200)
상기 폐배지 2차 건조 단계(S200)는 상기 1차 자연건조된 폐배지를 2차로 가열하여 건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폐배지 2차 건조 단계(S200)에서는 상기 1차 자연건조된 폐배지를 120~200℃의 온도에서 10~20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2차 건조된 폐배지의 함수율이 5~10%가 되도록 건조할 수 있다.
3. 목분조성물 제조 단계(S300)
상기 목분조성물 제조 단계(S300)는 상기 건조된 목분 및 폐배지에 수분차단제, UV 흡수제, 유기 방오제 및 무기 방오제를 혼합하여 목분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목분조성물 제조 단계(S300)에서 상기 목분조성물은 상기 건조된 목분 및 폐배지에 수분차단제, UV 흡수제, 유기 방오제 및 무기 방오제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목분조성물은 상기 목분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폐배지 10 내지 1000 중량부, 수분차단제 1 내지 10 중량부, UV 흡수제 1 내지 10 중량부, 유기 방오제 1 내지 10 중량부 및 무기 방오제 1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목분조성물 제조 단계(S300)에서 상기 수분차단제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수분차단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수분차단제로는 무수 말레인산(Maleic Anhydride)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무수 말레인산은 성형과정에서 목분조성물에서 발생하는 수분과 반응하여 말레인산으로 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V 흡수제는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제품이 이용 가능한데, 예를 들어, 상기 UV 흡수제는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터셔리-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및 2-(2-히드록시-3,5-디터셔리-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방오제로는 산화제일구리(Cu2O)가 사용되고, 상기 유기 방오제로는 피리디아연(Zinc prithione)이 사용될 수 있다.
4. 배합 혼합 단계(S400)
상기 배합 혼합 단계(S400)는 상기 목분조성물에 수지조성물 및 첨가조성물을 배합하여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배합 혼합 단계(S400)에서는 상기 목분조성물에 수지조성물 및 첨가조성물을 배합하여 혼합할 수 있는데, 상기 수지조성물로는 UV 안정제가 포함된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첨가조성물로는 결합제, 착색제, 보강제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합 혼합 단계(S400)에서는 목분조성물 45 내지 58 중량부, 수지조성물 28 내지 33 중량부 및 첨가조성물 14 내지 22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어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지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UV 안정제 0.5 중량부의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및 폴리프로필렌(P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되고, 상기 UV 안정제는 태양광선으로부터 자외선을 차단하여 열가소성 수지의 변색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UV 안정제는 살리실레이트계,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벤조에이트계, 트리아진계 및 아민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공지된 UV 안정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조성물은 결합제, 착색제 및 보강제가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첨가조성물은 결합제 10 내지 20 중량부, 착색제 1 내지 5 중량부 및 보강제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상기 합성목재를 제조하는 조성물을 결합력에 제공할 수 있는데, 상기 결합제는 멜라민 수지, 폴리실록산, 알콕시실란, PMMA(Polymethly Methacrylate) 수지 조성물, 항균나노분말, 분산제 및 1,3,5-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제는 멜라민 수지 10 내지 20 중량부, 폴리실록산 3 내지 7 중량부, 알콕시실란 1 내지 3 중량부, PMMA(Polymethly Methacrylate) 수지 조성물 3 내지 7 중량부, 항균나노분말 0.8 내지 1.2 중량부, 분산제 0.1 내지 0.5 중량부 및 1,3,5-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0.5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멜라민 수지는 바인더로 작용하고 결합제에 포함되어 접착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실록산은 우수한 발수력을 제공함으로써, 합성목재 표면에 대한 우수한 발수성 및 발수내구성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폴리실록산은 하기의 [화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1153083399-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4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방향족 유기기, 아크릴레이트류 유기기, 에폭시류 유기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X는 수소원자, 황화수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아크릴레이트류 유기기, 에폭시류 유기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n은 폴리실록산의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g/mol 내지 100,000g/mol로 되게 하는 1 이상의 정수이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실록산은 디메틸폴리실록산 및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디메틸폴리실록산 및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3:7 내지 7:3이 되도록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콕시실란은 가교제, 표면처리제, 부착증진제 및 내부 보강제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무기물 표면과 유기 바인더간의 결합을 강화하고 내약품성, 내습성 등의 여러 가지 향상된 물성을 발휘하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이용되고 있다.
상기 알콕시실란은 RnSi(OR')4-n(여기서 R은 탄소수 1~4의 알킬기이고 R'은 탄소수 1~3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3의 아실기이며 n은 1, 2 또는 3)으로 대표될 수 있다.
상기 PMMA(Polymethly Methacrylate) 수지 조성물은 PMMA 수지를 포함하는데, 상기 PMMA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를 말하며, 인간의 일상생활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소재로 콘택트렌즈나 인공관절, 뼈 등으로 사용되고 있고, 규칙적인 결합체로 구성되어 있어 미반응 물질로 인한 환경오염이 적고 작업 및 화재 시 유독가스를 발생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인체에 안전하다.
상기 PMMA 수지는 신장률 100% 이상으로 인장강도가 10MPa 이상인 고탄성 및 고인장강도를 갖는 PMMA 수지가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PMMA 수지는 PMMA 수지에 1관능성 단량체 및 2관능성 단량체의 함량을 조절하여 고탄성 및 고인장강도의 PMMA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PMMA 수지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PMMA 수지 30~50 중량부, n-butyl acrylate(BA) 단량체 20~40 중량부, methyl methacrylate(MMA) 단량체 10~30 중량부, 2-hydroxy ethyl methacrylate(2-HEMA) 단량체 5~10 중량부, methacrylic acid(MAA) 단량체 2~5 중량부 및 tripropyleneglycol diacrylate(TPGDA) 단량체 2~5 중량부를 혼합하여 60~70℃ 온도로 가온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에 경화촉진제인 n,n-dimethyl-p-toluidine(DMPT) 0.1~1.0 중량부를 40~50℃의 온도에서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2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하여 경화제인 dibenzoyl peroxide(BPO) 1~2 중량부를 혼합하여 PMMA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PMMA 수지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i-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트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 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t-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그리고 메타아크릴산, 아크릴산 등과 같이 산가를 가지는 단량체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하여 현탁중합, 벌크중합, 용액중합 등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PMMA 수지는 분자량 5,000~200,000g/mol에 유리전이온도(Tg) 20~100℃가 적당하며, 중합시 사용하는 산가를 가진 단량체는 중합 단량체 총량 대비 0.1~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1관능성 단량체에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i-부틸 메타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트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 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t-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젠 군에서 선택되는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단독 혹은 2 종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2관능성 단량체인 가교성 단량체는 한 분자 내에 라디칼 중합 가능한 이중결합을 2개 이상 가지고 있는 단량체로서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2-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2-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다이올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다이올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디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항균나노분말은 결합제에 포함되어 발수성, 내구성, 내후성을 향상시키고 항균성, 탈취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항균나노분말은 순지트나노분말 및 칠보석나노분말을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순지트나노분말은 순지트의 입경이 나노미터(nm) 단위가 되도록 분말화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순지트(shungite)는 SiO2(규산염)과 C60(플러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물질로서, 천연 플러렌을 함유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플러렌을 90% 이상 함유한 순지트를 엘리트 순지트(Elite shungite) 또는 노블 순지트(Noble Shungite)라 하고, 플러렌을 60% 이하 함유한 순지트를 노멀 순지트(Normal shungite)라 한다.
상기 순지트의 대표적인 기능은 항산화 기능, 전자파 차단 기능, 오염물질의 정화 및 분해 기능, 그리고 살균 및 항균 기능이 있다. 순지트는 강력한 천연산화방지제로서 수많은 질병에 대한 인간의 면역성을 높여주는 기능이 있고, 오염물질을 흡착시켜 물과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능을 하며, 흡착한 오염물질을 스스로 분해하는 능력이 있다.
또한, 상기 순지트는 항균 및 살균 성질을 가지고 있어 대장균, 녹농균, 포도상구균 및 유해균만을 99% 이상 제거하는 기능이 있고, 유해전자파를 차단하고, 원적외선을 다량 방출하는 기능이 있다.
또한, 상기 칠보석나노분말은 칠보석의 입경이 나노미터(nm) 단위가 되도록 분말화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칠보석은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 항균, 탈취 및 정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칠보석은 모세혈관을 확장시키고, 암을 예방하며 치매를 예방하고 인체 활동에 필요한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칠보석은 흑색, 적색, 갈색, 홍색, 회색, 담회색 및 녹색 등 일곱 가지 영롱한 색깔을 지니고 있는 광물로서, 화학적인 주성분은 SiO2, Al2O3, Fe2O3, FeO, CaO, MgO, Na2O, TiO2, P2O5 및 MnO가 주성분이며, 석영, 장석, 흑운모, 백운모, 석류석, 인회석, 저어콘, 방해석, 녹니석, 견운모 및 기타 광물로 구성되어 있고, 에너지 방사 형태는 토션파인 좌파와 우파가 방사되는 형태이다.
특히, 칠보석을 분석한 화합물을 보면 SiO2가 60% 이상 함유되어 있어 제습효과가 우수하며, 활성알루미나 등이 다량 함유되어 미네랄이 풍부하고, 알칼리염을 중화시키는 정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분산제는 결합제의 분산성이 우수하고 안정성이 뛰어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분산제로는 하기의 [화학식 2]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21153083399-pat00002
여기서, X 및 X'는 수소원자 또는 벤조일아미노기이며, Z는 수소원자이고, R1 내지 R4는 같거나 다를 수 있고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며, n 및 m은 2 또는 3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산제는 하기의 [화학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는 분산제를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21153083399-pat00003
상기 1,3,5-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는 경화제로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1,3,5-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는 결합제에 포함되어 경화 반응을 진행시켜 기계적 및 화학적 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1,3,5-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는 유리 전이 온도(Tg)가 -20℃ 이하, 수 평균 분자량(Mn)이 1000 내지 1500의 범위에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제는 색의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목재와 같은 외양과 자외선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착색제는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데, 예를 들어, 상기 착색제로는 무기질인 산화철로 구성된 안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강제는 충격강도, 굽힘강도, 열변형 온도 및 하중에 의한 장기적인 변형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며, 윤활성의 개선 및 목분의 수분 흡수를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강제로는 이산화티탄과 탄산칼슘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보강제는 상기한 기능 이외에도 방오제와 함께, 치밀한 구조를 형성하여 방오제의 성능을 더욱 우수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제는 입경이 10nm~30㎛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5. 성형 단계(S500)
상기 성형 단계(S500)는 상기 목분조성물, 수지조성물 및 첨가조성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성형하여 합성목재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성형 단계(S500)에서는 상기 목분조성물, 수지조성물 및 첨가조성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압출기에 넣고 압출하여 일정한 형상의 합성목재를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목분조성물, 수지조성물 및 첨가조성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성형하여 합성목재를 제조하는 구성은 공지의 기술인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폐배지를 재활용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합성목재의 수축변화를 최소화하고 방부성 및 방충성을 부여하여 곤충 등으로부터 합성목재를 보호함과 동시에 우수한 미관을 부여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부처리 단계(S600)를 더 거칠 수 있다.
상기 방부처리 단계(S600)는 폐식용유 분리 정제 단계(S610), 침지 가열 단계(S620) 및 건조 단계(S630)를 포함한다.
(1) 폐식용유 분리 정제 단계(S610)
상기 폐식용유 분리 정제 단계(S610)는 회수된 폐식용유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정제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폐식용유로는 산패된 대두유, 팜유, 옥수수유, 콩기름, 참기름, 들기름, 올리브유 등 사용 후 버려지는 튀김가루, 음식물 찌꺼기 등이 포함된 다양한 폐식용유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폐식용유 분리 정제 단계(S610)는 필터링 단계, 가열 및 숙성 단계, 중화 단계, 및 침전물 제거 및 정제 단계를 포함한다.
(a) 필터링 단계
상기 필터링 단계는 회수된 폐식용유를 활성탄 및 견운모를 이용하여 필터링하여 상기 폐식용유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또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활성탄 및 견운모는 상기 폐식용유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또는 불순물을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는데, 상기 회수된 폐식용유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활성탄은 1 내지 10 중량부, 상기 견운모는 1 내지 3 중량부의 중량비율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필터링 단계는 상기 회수된 폐식용유를 상기 활성탄 및 견운모 혼합물에 통과시켜 상기 폐식용유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또는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활성탄은 미세세공이 발달된 탄소집합체로서, 활성화과정에 의해 내부 표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내부의 탄소 원자 관능 기에 의해 폐식용유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또는 불순물과 흡착이 이루어지는 흡수성과 흡착성이 우수한 성질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활성탄은 폐식용유에서 발생하는 폐식용유 고유의 냄새 또는 산패시 발생하는 불쾌한 냄새를 흡착 제거할 수 있는데, 상기 활성탄은 상기 회수된 폐식용유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비율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활성탄은 경도 92 질량분율% 이상, 충전밀도 0.45 내지 0.50g/ml, 비표면적 1,100 내지 1,250m2/g, 세공분포는 세공직경이 3Å 내지 10Å, 요오드 흡착력 1,000mg/g 이상, 세공용적 0.50ml/g, pH 10~11, 페놀 흡착력 18ml/g, M·B탈색력 150ml/g 이상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활성탄이 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폐식용유로부터 이물질 또는 불순물을 흡착하여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투입되는 양에 따라 더 이상의 현저한 효과의 상승을 기대하기 어려운 바, 본 발명에서 상기 활성탄은 회수된 폐식용유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비율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견운모(sericite)는 철분(Fe), 마그네슘(Mg), 아연(Zn), 망간(Mn), 구리(Cu), 몰리브덴(Mo), 셀레늄(Se), 게르마늄(Ge), 규소(Si), 바나듐(V) 및 스트론튬(Sr) 등의 다양한 인체 필수 미네랄을 내포하는 점토성 광물로, 강한 환원력을 지닌 활성산소의 분해용도로 사용되는 운모족 광물로서 생리활성물질이며, 살균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견운모는 단사정계(單斜晶系)에 속하며, 백색 또는 회백색에 진주광택이 있고, 도자기나 내화벽돌의 혼입재로 쓰이며, 그 밖에 도료, 전기절연체, 활마재(滑摩材), 화장품용 등 용도가 다양한데, 본 발명에서 상기 견운모는 발포하여 분말화하여 사용하므로 분체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탈취 효과나 곰팡이의 발생 방지 및 음이온과 원적외선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견운모는 회수된 폐식용유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 중량부가 사용되고, 50 내지 300메쉬(mesh)로 분말화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견운모가 상기한 하한 범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탈취 효과나 곰팡이 방지 효과 등이 미미하고,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투입되는 양에 따라 더 이상의 현저한 효과의 상승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b) 가열 및 숙성 단계
상기 가열 및 숙성 단계는 상기 필터링된 폐식용유를 가열한 후 냉각하여 숙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가열 및 숙성 단계에서는 상기 필터링된 폐식용유를 200 내지 250℃에서 30 내지 80분 동안 가열한 후, 25 내지 35℃의 온도로 냉각하여 1 내지 5시간 동안 숙성시킬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열 및 숙성 단계를 거침으로써 상기 필터링된 폐식용유에 포함되어 있는 휘발성 성분들을 제거할 수 있고 필터링된 폐식용유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c) 중화 단계
상기 중화 단계는 상기 숙성된 폐식용유에 산용액 및 염기용액을 넣어 상기 숙성된 폐식용유를 중화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중화 단계는 상기 숙성된 폐식용유에 산용액으로 80% 농도의 인산(H3PO4) 용액과 염기용액으로 20% 농도의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을 넣음으로써 상기 숙성된 폐식용유를 중화시킬 수 있는데, 상기 숙성된 폐식용유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산용액은 0.001 내지 0.05 중량부가 사용되고, 상기 염기용액은 0.001 내지 0.005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숙성된 폐식용유에 산용액을 넣음으로써 상기 숙성된 폐식용유에 포함되어 있는 비수화성 인지질을 수화성 인지질로 전환시켜 제거할 수 있고, 이후 상기 숙성된 폐식용유에 염기용액을 넣음으로써 산용액을 중화시킴과 동시에 유리지방산, 공액이중결합물질 및 폐식용유의 산화생성물을 침전시켜 제거할 수 있다.
(d) 침전물 제거 및 정제 단계
상기 침전물 제거 및 정제 단계는 상기 중화 후 폐식용유에 생성된 침전물을 제거하여 정제하는 단계이다.
상기 침전물 제거 및 정제 단계는 활성탄을 이용하여 필터링하여 상기 중화 후 폐식용유에 생성된 침전물을 제거할 수 있는데, 상기 침전물을 포함하는 중화된 폐식용유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활성탄은 0.5 내지 5 중량부의 중량비율로 사용되고, 또한, 상기 활성탄은 경도 92 질량분율% 이상, 충전밀도 0.45 내지 0.50g/ml, 비표면적 1,100 내지 1,250m2/g, 세공분포는 세공직경이 3Å 내지 10Å, 요오드 흡착력 1,000mg/g 이상, 세공용적 0.50ml/g, pH 10~11, 페놀 흡착력 18ml/g, M·B탈색력 150ml/g 이상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침전물 제거 및 정제 단계에서는 상기 침전물을 포함하는 중화된 폐식용유를 상기 활성탄에 통과시켜 상기 중화된 폐식용유 내에 포함되어 있는 침전물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회수된 폐식용유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또는 불순물을 필터링한 후 중화, 침전물 제거 및 정제하여 정제된 폐식용유를 제조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오염의 염려 없이 목재의 수축변화를 최소화하고 강도를 증진시키며 충분한 방부, 방충성이 부여될 수 있는 고강도 방부성 목재를 제조할 수 있다.
(2) 침지 가열 단계(S620)
상기 침지 가열 단계(S620)는 상기 정제된 폐식용유에 합성목재를 침지시킨 후 가열하는 단계이다.
상기 침지 가열 단계(S620)는 상기 합성목재를 정제된 폐식용유에 침지시킨 후 가열함으로써 상기 정제된 폐식용유의 유지 성분이 상기 합성목재의 내부 및 표면에 흡수되도록 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정제된 폐식용유가 합성목재의 내부 및 표면에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강도가 증가하고 기온의 변화에 따른 수축 변화가 최소화되며 발수 성능이 향상되어 합성목재를 변색시키고 강도를 저하시키는 목재 부후균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침지 가열 단계(S620)는 상기 합성목재를 정제된 폐식용유에 침지시킨 후 250 내지 300℃의 온도 및 2.5 내지 3.5MPa의 압력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는데, 상기 합성목재의 가열이 상기한 하한 범위 미만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합성목재의 내부 및 표면으로 정제된 폐식용유의 유지 성분이 충분히 흡수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더이상 상기 정제된 폐식용유의 유지 성분이 합성목재 내부로 침투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3) 건조 단계(S630)
상기 건조 단계(S630)는 상기 가열된 합성목재를 일정한 온도에서 건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건조 단계(S630)에서는 가열된 합성목재를 일정한 온도에서 건조함으로써 상기 합성목재 내부에 정제된 폐식용유의 유지 성분이 견고하게 잔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건조 단계(S630)는 상기 정제된 폐식용유에 침지되어 가열된 합성목재를 꺼낸 후, 25 내지 40℃의 온도에서 5 내지 10일 동안 건조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는데, 상기 합성목재의 건조가 상기한 하한 범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합성목재 내부까지 충분히 건조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합성목재의 과도한 건조로 인해 목재의 물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배지를 재활용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1 >
먼저, 목분과 폐배지를 준비한 후 건조하여 상기 목분과 폐배지의 함수율이 8%가 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목분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해, 폐배지 500 중량부, 수분차단제 5 중량부, UV 흡수제 5 중량부, 유기 방오제 5 중량부 및 무기 방오제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목분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으로, 상기 목분조성물 52 중량부,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UV 안정제 0.5 중량부의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된 수지조성물 30 중량부 및 첨가조성물 18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배합하여 혼합하였다.
이때, 상기 첨가조성물은 결합제 15 중량부, 착색제 3 중량부 및 보강제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되었다.
이어서, 상기 목분조성물, 수지조성물 및 첨가조성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성형하여 합성목재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목재를 제조한 후, 상기 합성목재 표면에 방부처리를 더 수행하여 합성목재를 제조하였다.
즉, 상기 방부처리는 회수된 폐식용유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 후 정제하였고, 상기 정제된 폐식용유에 합성목재를 침지시킨 후 가열하였으며, 상기 정제된 폐식용유에 침지되어 가열된 합성목재를 꺼낸 후, 32℃의 온도에서 7일 동안 건조하는 과정을 거쳐 진행되었다.
< 비교예 1 >
천연목재로 제조된 목재를 시중에서 구입하였고, 이를 비교예 1에 따른 목재로 사용하였다.
< 비교예 2 >
합성목재로 제조된 목재를 시중에서 구입하였고, 이를 비교예 2에 따른 목재로 사용하였다.
1.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 2와 비교예 1, 2에 따라 제조된 목재에 대하여 향(냄새)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관능시험은 50명의 피험자의 반응으로 평가하였으며, 점수 및 평가기준은 아래 [표 1]과 같이 9점 채점법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점수 평가 기준
9 매우 좋음
7 좋음
5 보통
3 나쁨
1 매우 나쁨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향(냄새) 8.0 8.1 7.3 6.9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 2에 따라 제조된 목재는 버섯 폐배지 포함되어 소비자의 향(냄새) 기호도가 증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물성 측정 - 1
상기와 같이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목재의 시편을 준비하였고, 상기 목재의 시편에 대한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1) 치수변형율 : KSF3126에 의거하여 치수변형율(%)을 측정하였다.
(2) 물흡수율 : GRF-2016의 방법에 따라 물흡수율(%)을 측정하였다.
(3) 외관 : 육안으로 표면상태, 형상의 매끈한 정도 등을 평가하였다.
(4) 열변형점 : JIS K-7207 측정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구분 치수변형율(%) 물흡수율(%) 외관 열변형점(℃)
실시예 1 0.05 1.3 좋음 165
실시예 2 0.04 1.1 좋음 169
비교예 1 0.21 12 거칠음 112
비교예 2 0.10 5 보통 145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 2에 따라 제조된 목재가 비교예 1, 2에 따라 제조된 목재에 비하여, 치수변형율 및 물흡수율이 작고 열변형점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물성 측정 - 2
상기와 같이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목재의 시편을 준비하였고, 상기 목재의 시편에 대한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1) 인장강도(N/mm2): KSM3381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2) 휨강도(N/mm2): KSM3382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3) 굴곡강도(kg/cm2): JISK-7203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4) 압축강도(N/mm2): KSM3383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구분 인장강도 휨강도 굴곡강도 압축강도
실시예 1 165 183 481 121
실시예 2 168 185 484 125
비교예 1 58 82 244 61
비교예 2 121 128 305 86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 2에 따라 제조된 목재가 비교예 1, 2에 따라 제조된 목재에 비하여, 인장강도, 휨강도, 굴곡강도, 압축강도의 특성이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1. 목분과 폐배지를 준비한 후 1차로 자연건조하는 목분 및 폐배지 1차 건조 단계(S100);
    상기 1차 자연건조된 폐배지를 2차로 가열하여 건조하는 폐배지 2차 건조 단계(S200);
    상기 건조된 목분 및 폐배지에 수분차단제, UV 흡수제, 유기 방오제 및 무기 방오제를 혼합하여 목분조성물을 제조하는 목분조성물 제조 단계(S300);
    상기 목분조성물에 수지조성물 및 첨가조성물을 배합하여 혼합하는 배합 혼합 단계(S400); 및
    상기 목분조성물, 수지조성물 및 첨가조성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성형하여 합성목재를 제조하는 성형 단계(S500)를 포함하고,
    상기 목분 및 폐배지 1차 건조 단계(S100)에서는 준비된 목분과 폐배지를 20~30℃ 온도 및 50~70% 습도하에서 1차로 자연건조함으로써, 자연건조된 목분의 함수율은 5~10%가 되고, 자연건조된 폐배지의 함수율은 15~20%가 되도록 건조하고,
    상기 폐배지 2차 건조 단계(S200)에서는 상기 1차 자연건조된 폐배지를 120~200℃의 온도에서 10~20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2차 건조된 폐배지의 함수율이 5~10%가 되도록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배지를 재활용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분조성물 제조 단계(S300)에서 상기 목분조성물은 상기 목분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폐배지 10 내지 1000 중량부, 수분차단제 1 내지 10 중량부, UV 흡수제 1 내지 10 중량부, 유기 방오제 1 내지 10 중량부 및 무기 방오제 1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배지를 재활용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 혼합 단계(S400)에서는 목분조성물 45 내지 58 중량부, 수지조성물 28 내지 33 중량부 및 첨가조성물 14 내지 22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어 혼합되되, 상기 수지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UV 안정제 0.5 중량부의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되고, 상기 첨가조성물은 결합제 10 내지 20 중량부, 착색제 1 내지 5 중량부 및 보강제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되며,
    상기 결합제는 멜라민 수지 10 내지 20 중량부, 폴리실록산 3 내지 7 중량부, 알콕시실란 1 내지 3 중량부, PMMA(Polymethly Methacrylate) 수지 조성물 3 내지 7 중량부, 항균나노분말 0.8 내지 1.2 중량부, 분산제 0.1 내지 0.5 중량부 및 1,3,5-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0.5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배지를 재활용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5. 제 1항, 제 3항 및 제 4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배지를 재활용한 합성목재.
KR1020210193225A 2021-12-30 2021-12-30 폐배지를 재활용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413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225A KR102413193B1 (ko) 2021-12-30 2021-12-30 폐배지를 재활용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225A KR102413193B1 (ko) 2021-12-30 2021-12-30 폐배지를 재활용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3193B1 true KR102413193B1 (ko) 2022-06-27

Family

ID=82247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225A KR102413193B1 (ko) 2021-12-30 2021-12-30 폐배지를 재활용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19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838B1 (ko) * 2008-07-03 2009-03-04 (주)간삼파트너스 종합건축사사무소 목분 및 목재파쇄물 등의 프리프레그를 이용한 우드칩과성형체
WO2012074230A2 (ko) * 2010-12-02 2012-06-07 Kim Wan Sik 천연 식물성 섬유질을 이용한 인조목재 제조방법
KR101728233B1 (ko) 2015-09-23 2017-05-11 농업회사법인 포천버섯개발주식회사 버섯재배 후의 폐배지 또는 폐목재를 활용한 연료용 펠릿 제조방법
KR102016880B1 (ko) 2019-03-08 2019-08-30 정영욱 폐자원의 재활용을 통한 친환경 합성목재 제조방법
KR102202817B1 (ko) 2019-08-28 2021-01-14 (주)젠텍 커피박을 재활용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838B1 (ko) * 2008-07-03 2009-03-04 (주)간삼파트너스 종합건축사사무소 목분 및 목재파쇄물 등의 프리프레그를 이용한 우드칩과성형체
WO2012074230A2 (ko) * 2010-12-02 2012-06-07 Kim Wan Sik 천연 식물성 섬유질을 이용한 인조목재 제조방법
KR101728233B1 (ko) 2015-09-23 2017-05-11 농업회사법인 포천버섯개발주식회사 버섯재배 후의 폐배지 또는 폐목재를 활용한 연료용 펠릿 제조방법
KR102016880B1 (ko) 2019-03-08 2019-08-30 정영욱 폐자원의 재활용을 통한 친환경 합성목재 제조방법
KR102202817B1 (ko) 2019-08-28 2021-01-14 (주)젠텍 커피박을 재활용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3191B1 (ko) 커피박을 재자원화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987698B1 (ko)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합성목재
KR101943960B1 (ko) 고탄성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및 그 제조방법
CN101298550B (zh) 纳米防霉中性硅酮密封胶
CN105585795A (zh) 废木材塑料秸秆废渣制备阻燃功能性板材
CN106566087A (zh) 有净化室内空气功能的负离子墙板、地板基材的制备方法
US5750609A (en) Ultraviolet protective agent
KR102018068B1 (ko) 인조잔디용 하이브리드 충진재의 제조 방법과 그를 이용해 제조된 인조잔디용 하이브리드 충진재 및 설치 방법
KR102208357B1 (ko) 그래핀을 이용한 섬유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섬유 원단
KR101468929B1 (ko)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마스터배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74147B1 (ko) 식품 포장재 제조방법
KR102140616B1 (ko) 천연물질을 활용한 친환경 기능성 컬러 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10740A (ko) 친환경 머드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720662B1 (ko) 곰팡이 방지를 위한 친환경 천기토를 이용한 방수페인트 조성물 제조방법
KR102413193B1 (ko) 폐배지를 재활용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267226B1 (ko) 항균성 소파
KR102625740B1 (ko) 폐수지 재료 및 미네랄 바인더를 이용한 단열차음재의 제조 방법 및 그 단열차음재
KR20140008904A (ko) 친환경 합성목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160610B1 (ko) 다기능성 휴대폰 케이스 성형용 조성물
KR101805269B1 (ko) 기능성 건축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타일의 제조방법
KR101680574B1 (ko) 은과 옥을 이용한 항균성 내충격 하수관
KR102402167B1 (ko) 그래핀이 함유된 가죽용 코팅제
KR102288485B1 (ko) 항균 수축튜브재료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항균 수축튜브
KR100869562B1 (ko) 목초액으로 처리된 고무칩 및 상기 고무칩과 황토를 함유한바이오칩
KR102459560B1 (ko) 항곰팡이성이 우수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