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178B1 - Tire and control method the same - Google Patents

Tire and control method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178B1
KR102413178B1 KR1020200144592A KR20200144592A KR102413178B1 KR 102413178 B1 KR102413178 B1 KR 102413178B1 KR 1020200144592 A KR1020200144592 A KR 1020200144592A KR 20200144592 A KR20200144592 A KR 20200144592A KR 102413178 B1 KR102413178 B1 KR 102413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iquid chamber
tire
valve
accel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5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59240A (en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4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178B1/en
Publication of KR20220059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2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1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01Devices for manually 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whilst the vehicle is moving
    • B60C23/004Devices for manually 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whilst the vehicle is moving the control being done on the wheel, e.g. using a wheel-mounted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6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deformation of the tyre, e.g. tyre mounted deformation sensors or indirect determination of tyre deformation based on wheel speed, wheel-centre to ground distance or inclination of wheel axle
    • B60C23/061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deformation of the tyre, e.g. tyre mounted deformation sensors or indirect determination of tyre deformation based on wheel speed, wheel-centre to ground distance or inclination of wheel axle by monitoring wheel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2019/006Warning devices, e.g. devices generating noise due to flat or worn tyres
    • B60C2019/007Warning devices, e.g. devices generating noise due to flat or worn tyres triggered by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200/00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B60C2200/04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road vehicles, e.g. passenger car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는,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그루브를 갖는 트레드; 상기 트레드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유체가 수용된 액실; 상기 액실과 연결되고, 상기 액실을 개폐하는 밸브; 및 상기 자동차의 주행시 상기 자동차의 가속도의 절대값이 설정값(a)을 초과할 경우 상기 밸브를 폐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ead extending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and having a groove; a liquid chamber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ead and accommodating the fluid; a valve connected to the liquid chamber and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liquid chamber; and a control unit closing the valve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exceeds a set value (a) when the vehicle is running.

Description

타이어 및 그 제어 방법{TIRE AND CONTROL METHOD THE SAME}TIRE AND CONTROL METHOD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tir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A vehicle driven by users consists of many parts, and among them, a tire substantially affects the driving of the vehicle, and in particular, it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key parts for securing the safety of the user.

특히,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물류의 이동 증가, 개인의 업무량 등의 증가로 인한 이동량 증가 및 가족 생활 증가로 인한 자동차 운행량은 갈수록 늘고 있는 추세이다.In particular,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the movement of logistics increases, the amount of movement due to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personal work, etc., and the amount of automobile operation due to the increase in family life are increasing.

한편, 타이어는 노면과의 마찰을 통하여 주행 안전을 유지할 수 있는데, 일정한 트레드 강성이 확보된 타이어를 통해 주행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트레드가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가질 경우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지 못해 주행의 편의성이 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ire can maintain driving safety through friction with the road surface, and driving safety can be secured through the tire having a certain tread rigidity. However, if the tread has a relatively high rigidity, it may not absorb the shock from the road surface and thus driving convenience may decreas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트레드의 강성을 주행에 맞게 가변하여 주행의 안전성뿐만 아니라 주행의 편의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타이어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tir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hich can secure not only driving safety but also driving convenience by varying the stiffness of a tread according to driving.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However, these problems are exemplary, and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는,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그루브를 갖는 트레드; 상기 트레드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유체가 수용된 액실; 상기 액실과 연결되고, 상기 액실을 개폐하는 밸브; 및 상기 자동차의 주행시 상기 자동차의 가속도의 절대값이 설정값(a)을 초과할 경우 상기 밸브를 폐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ead extending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and having a groove; a liquid chamber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ead and accommodating the fluid; a valve connected to the liquid chamber and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liquid chamber; and a control unit closing the valve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exceeds a set value (a) when the vehicle is runn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의 가속도의 절대값이 설정값(a) 이하일 경우 상기 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In the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open the valve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is equal to or less than a set value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서, 상기 트레드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타이어의 골격을 형성하는 바디 플라이; 및 상기 바디 플라이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이너 라이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실은 상기 이너 라이너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In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dy ply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ead and forming a skeleton of the tire; and an inner liner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body ply, wherein the liquid chamber may be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inner lin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서, 상기 액실은 상기 유체가 수용된 고무 튜브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chamber may be formed of a rubber tube in which the fluid is accommod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서, 상기 자동차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감지된 상기 자동차의 가속도 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In the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re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sensing an acceleration of the vehicle, wherein the sensor unit may transmit the sensed acceleration value of the vehicle to the controll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제어 방법은, 자동차의 주행시 상기 자동차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자동차의 가속도 절대값이 설정값(a)을 초과할 경우, 상기 타이어에 장착된 액실과 연결된 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액실의 내부를 밀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controlling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easuring an acceleration of the vehicle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nd sealing the inside of the liquid chamber by closing a valve connected to the liquid chamber mounted on the tire when the measured absolute value of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exceeds the set value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제어 방법에서, 측정된 상기 자동차의 가속도 절대값이 설정값(a) 이하일 경우, 상기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액실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를 유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easured absolute value of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t value (a), the step of opening the valve to circulate air inside and outside the liquid chamber is further performed. may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자동차의 가속도를 주기적으로 재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재측정된 상기 자동차의 가속도를 토대로 상기 밸브의 개폐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 method for controlling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iodically re-measuring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and determining whether to open or close the valve based on the re-measured acceleration of the vehicle.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claims and drawing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및 그 제어 방법은, 트레드 내부에 배치된 액실의 유체를 통해 일반 주행시 높은 탄성을 가지게 함으로써 주행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고속 주행 혹은 급 회전시 액실을 폐쇄하여 트레드의 강성을 높여줌으로써 주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 tir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 driving convenience by providing high elasticity during general driving through a fluid in a liquid chamber disposed inside a tread, and close the liquid chamber during high-speed driving or rapid rotation to close the tread By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vehicle, driving safety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가 장착된 자동차가 주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방향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개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타이어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equipped with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2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the direction A of FIG. 2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4 .
6 is a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a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trol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ti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though shown in other embodiments,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not in a limiting sense.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s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esent, and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will be added is not excluded in advance.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drawings, the siz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indic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x-axis, the y-axis, and the z-axis are not limited to three axes on a Cartesian coordinate system, and may be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including them. For example, the x-axis, y-axis, and z-axis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but may refer to different directions that are not orthogonal to each other.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In cases where certain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otherwise, a specific process sequence may be performed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sequence.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opposite to the order describ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주행 방향은 X축 방향, 폭 방향은 Y축 방향, 높이 방향은 Z축 방향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For reference, unless specifically limited herein, the traveling direction may correspond to the X-axis direction, the width direction to the Y-axis direction, and the height direction to the Z-axis direction, respectively.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가 장착된 자동차가 주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방향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4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이하 도 1, 후술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in 방향은 타이어(100)의 내측면 방향을 의미하고, out 방향은 타이어(100)의 외측면 방향을 의미한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equipped with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2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the direction A of FIG. 2 . For a description of a configuration not shown in FIGS. 1 to 3 ,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content shown in FIG. 4 . The in-direction shown in FIGS. 1 and 4 and 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refers to the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ire 100 , and the out-direction refers to the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ire 100 .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는, 자동차(C)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C)의 주행시 자동차의 가속 또는 감속에 따라 타이어의 강성이 가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on a vehicle C. Referring to F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ffness of the tire may vary according to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of the vehicle while the vehicle C is driving.

타이어(100)는 공기압 타이어(pneumatic tire)로서 트레드(110), 트레드(110)의 양측에서 연장되는 사이드월(120), 사이드월(120)의 단부에 배치되는 비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ire 100 is a pneumatic tire and may include a tread 110 , a sidewall 120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tread 110 , and a bead 130 disposed at an end of the sidewall 120 . have.

또한, 타이어(100)는 트레드(110)의 아래에 위치하는 바디 플라이(140)와 벨트층(17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벨트층(170)의 상부에는 캡 플라이(1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타이어(100)는 트레드(110)와 한 쌍의 사이드월(120)의 내측에 위치하여 타이어(100)의 내부 공기압을 유지시키는 이너라이너(15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ire 100 may include a body ply 140 and a belt layer 170 positioned under the tread 110 , and a cap ply 160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belt layer 170 . have. Also, the tire 100 may include the inner liner 150 positioned inside the tread 110 and the pair of sidewalls 120 to maintain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tire 100 .

도 2를 참조하면, 타이어(1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1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휠(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tire 100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RT about the central axis AX. In addition, a wheel (not shown)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tire 100 in the radial direction r from the central axis AX.

트레드(110)는 타이어(100)를 자동차(C)에 장착 후 주행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레드(110)는 자동차의 주행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110)는 두꺼운 고무층으로 이루어져 자동차의 구동록 및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한다.The tread 110 may include a region facing the road surface when the tire 100 is mounted on the vehicle C and then driven. For example, the tread 110 may include a region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when the vehicle is driving. The tread 110 is made of a thick rubber layer and transmits the driving lock and braking force of the vehicle to the ground.

트레드(1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그루브(1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115)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그루브(115)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영역도 포함할 수 있다.The tread 110 may have one or more patterns, and a plurality of grooves 115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se patterns. The groove 115 may have a shape that is elongated in at least the first direction. In addition, the groove 115 may also include a region having a form that is elong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그루브(115)의 개수 및 형태는 타이어(1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The number and shape of the grooves 115 may be various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riving characteristics and use of the tire 100 .

그루브(115)는 트레드(110)의 패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그루브(115)는 트레드(110)의 일 영역이 제거된 형태로서 트레드(110)의 일 영역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The groove 115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pattern of the tread 110 . For example, the groove 115 may form a boundary of one area of the tread 110 in a form in which one area of the tread 110 is removed.

그루브(115)의 개수 및 형태를 타이어(1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루브(115)는 복수개의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number and shape of the grooves 115 may be various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riving characteristics and use of the tire 100 . The groove 115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ooves.

트레드(110)는 복수 개의 그루브(115)에 의해서 구획되는 트레드 블록을 가질 수 있다. 트레드 블록은 자동차의 주행 시에 노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타이어(100)의 반경 방향으로 일주하는 제1 그루브와, 타이어(100)의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그루브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The tread 110 may have a tread block partitioned by a plurality of grooves 115 . The tread block i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and may be divided by a first groove circumferentially extending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tire 100 and a second groove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of the tire 100 .

트레드 블록의 표면에는 조종 안정성, 견인력, 제동성을 위한 트레드 패턴들과, 트레드 패턴들에 의해 구획된 블록들이 위치할 수 있다. 트레드 패턴들은 노면에서의 주행시 배추를 위핸 복수의 그루브들과, 견인력 및 제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프는 트레드 블록에 형성되며, 그루브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 홈일 수 있다. 사이프는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시 수분을 흡수하여 수막을 끊는 역할을 함으로써, 타이어(100)의 구동력과 제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On the surface of the tread block, tread patterns for steering stability, traction, and braking performance, and blocks partitioned by the tread patterns may be located. The tread patterns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ooves for Chinese cabbage when driving on a road surface, and sipes for improving traction and braking force. The sipe is formed in the tread block, and may be a groove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groove. The sipe serves to break the water film by absorbing moisture when driving on a wet road surface, thereby increasing the driving force and braking force of the tire 100 .

사이드월(120)은 트레드(110)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타이어(100)의 측면을 형성한다. 사이드월(120)은 트레드(110)와 동일 또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비드(130) 및 바디 플라이(140) 등을 보호한다. 일 실시예로, 사이드월(120)은 일단이 트레드(110)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타단이 타이어 림(Rim)과 접촉할 수 있다.The sidewall 120 extends from both sides of the tread 110 to form a side surface of the tire 100 . The sidewall 120 is made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from the tread 110 and protects the bead 130 and the body ply 140 to be described later. In an embodiment, one end of the sidewall 120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tread 110 and the other end may contact the tire rim.

비드(130)는 사이드월(120)의 하측 단부에 배치되며,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로 형성되어, 타이어(100)와 타이어 림(Rim)의 결합을 도울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비드(130)는 바디 플라이(140)에 의해 감싸지도록 배치되어, 타이어(100)를 타이어 림(Rim)에 안착 및 고정시킬 수 있다.The bead 130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idewall 120,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wire bundle of a square or hexagonal shape coated with rubber on a steel wire, and the tire 100 and the tire rim. can help the bonding of In an embodiment, the bead 130 may be disposed to be surrounded by the body ply 140 to seat and fix the tire 100 to the tire rim.

비드(130)는 비드 코어와 비드 필러를 구비할 수 있다. 비드 코어는 비드 필러의 아래에 배치되며, 고무가 코팅된 복수 개의 강철 비드 코드(와이어)가 꼬아져 형성될 수 있다. 비드 필러는 비드 코어로부터 사이드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비드 필러는 비드 코어의 일측에 부착된 고무 충전재로서, 비드 코어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른 실시예로 비드 필러는 복수 개가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질 수 있다. 비드(130)는 복수 개의 삽입 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삽입 홈은 림(Rim)의 장착 돌기에 삽입되어, 타이어가 림에 장착될 수 있다.The bead 130 may include a bead core and a bead filler. The bead core is disposed under the bead filler, and may be formed by twisting a plurality of rubber-coated steel bead cords (wires). The bead filler may be disposed extending from the bead core in the sidewall direction. The bead filler is a rubber filler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ead core, and serves to reinforce the bead core. In another embodiment, a plurality of bead fillers may have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The bead 130 may have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not shown). The insertion groove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rotrusion of the rim, so that the tire can be mounted on the rim.

바디 플라이(140)는 타이어(100)의 골격을 이루고 타이어(100)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구성으로, 섬유 코드에 고무재가 토핑(Topping)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디 플라이(140)는 타이어(100)가 받는 하중 및 충격 등을 흡수하며, 타이어(100)의 공기압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바디 플라이(140)는 타이어(100)의 내측면(In)에서 외곽(Out)을 향해 턴업(Turn-up)되어 비드(13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body ply 140 is configured to form the skeleton of the tire 100 and increase durability of the tire 100 , and may be formed by topping the fiber cord with a rubber material. The body ply 140 absorbs a load and an impact received by the tire 100 , and may maintain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100 at a predetermined level. In an embodiment, the body ply 140 may be turned up from the inner surface In to the outer side of the tire 100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bead 130 .

바디 플라이(140)는 스틸 또는 폴리에스터, 레이온 등과 같은 고강도 섬유 유기재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코드지를 겹친 후,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 플라이(140)는 합성 고무 및 천연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무 성분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이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어 코드로는 다양한 천연 섬유 또는 레이온,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케블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가느다란 철사를 꼬아서 형성한 스틸 코드(Steel Cord)도 사용될 수 있다.The body ply 140 may be formed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cord papers made of a high-strength fiber organic material such as steel, polyester, rayon, or the like, and then coating it with rubber and rolling it. Specifically, the body ply 140 includes one or more rubber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ynthetic rubber and natural rubber,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tire cords. Various natural fibers or rayon, nylon, polyester, and Kevlar may be used as the tire cord, and a steel cord formed by twisting a plurality of thin wires may also be used.

이너 라이너(150)는 바디 플라이(140)의 내측면(In)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라이너(150)는 타이어(100)의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고, 타이어(100) 내의 공기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너 라이너(150)는 밀폐성이 우수한 고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이너라이너(150)는 밀도가 높은 부틸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ner liner 15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In of the body ply 140 . The inner liner 150 may prevent air leakage of the tire 100 and may maintain an air pressure in the tire 100 . The inner liner 150 may be formed of a rubber layer having excellent sealing properties. For example, the inner liner 150 may be made of butyl rubber having a high density.

이너 라이너(150)는 바디 플라이(140)의 내부에 배치되어 비드(130)로 연장될 수 있다. 이너라이너(150)는 바디 플라이(140)의 일면에 접촉할 수 있으며, 양단은 비드(130)와 접촉할 수 있다.The inner liner 150 may be disposed inside the body ply 140 and extend to the bead 130 . The inner liner 150 may contact one surface of the body ply 140 , and both ends may contact the bead 130 .

벨트층(170)은 트레드(110)와 바디 플라이(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벨트층(170)은 타이어(100)가 장착된 자동차(C)의 주행시 노면으로부터 타이어(100)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트레드(110)의 접지면을 확장하여 접지 특성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벨트층(170)은 스틸 혹은 유기 섬유재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벨트 코드를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벨트층(170)은 복수의 층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벨트층은 이너라이너(15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belt layer 17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read 110 and the body ply 140 . The belt layer 170 relieves the shock received by the tire 100 from the road surface when the vehicle C equipped with the tire 100 is driven and expands the tread surface of the tread 110 to improve the grounding characteristics and driving stability. have. The belt layer 170 may be formed by rolling by coating a plurality of belt cords made of steel or organic fiber with rubber. The belt layer 170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layers.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belt layers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liner 150 .

벨트층(170)과 트레드(110)의 사이에는 캡 플라이(160)가 배치될 수 있다. 캡 플라이(160)는 특수 코드지로 형성되어 자동차(C)의 주행시 벨트층(170)의 움직임을 최소화시키고, 고속 주행시 벨트층(17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캡 플라이(160)는 폴리에스테르 합성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캡 플라이(160)는 벨트층(170)과 바디 플라이(140)에 의해 지지되어, 주행시 벨트층(170)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A cap ply 1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elt layer 170 and the tread 110 . The cap ply 160 may be formed of a special cord paper to minimize the movement of the belt layer 170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C, and may prevent separation of the belt layer 170 during high-speed driving. The cap ply 160 may include a polyester synthetic fiber. The cap ply 160 is supported by the belt layer 170 and the body ply 140 , thereby minimizing movement of the belt layer 170 during driving.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실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liquid cha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도 4는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4 . For a description of a configuration not shown in FIGS. 4 and 5 ,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contents shown in FIGS. 1 to 3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100)는 트레드(110)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유체가 수용된 액실(20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액실(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플라이(140)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이너 라이너(150)의 내측면(in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re 100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ead 110 and includes a liquid chamber 200 in which the fluid is accommodated. As an embodiment, the liquid chamber 20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in direction) of the inner liner 150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ly 140 as shown in FIG. 5 .

다만, 액실의 배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트레드(110)의 내측면 부분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바디 플라이(140)와 이너 라이너(150)의 사이에 액실이 배치될 수 있다.However,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liquid chamber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located on any one of the inner surface portions of the tread 110 . In another embodiment, the liquid chamb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ody ply 140 and the inner liner 150 .

액실(200)은 유체가 수용된 고무 튜브로 형성될 수 있다. 고무 튜브는 기본적인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서, 고무 튜브 내부의 압력에 따라 탄성 및 강성이 달라질 수 있다. The liquid chamber 200 may be formed of a rubber tube in which a fluid is accommodated. The rubber tube is a material having basic elasticity, and elasticity and rigidity may vary depending on the pressure inside the rubber tube.

액실(200)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는 액실(200)이 탄성을 획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유체의 유동에 의해 액실(200)은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유체는 액체로 형성될 수 있다. 유체는 내연성이 강한 오일(Oil)로 형성될 수 있다.The fluid accommodated in the liquid chamber 200 may help the liquid chamber 200 to acquire elasticity. The liquid chamber 200 may have elasticity due to the flow of the fluid. The fluid may be formed into a liquid. The fluid may be formed of oil with strong flame resistance.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개폐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개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6 is a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a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 description of a configuration not shown in FIG. 6 ,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contents shown in FIGS. 1 to 5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실(200)과 연결되고, 액실(200)을 개폐하는 밸브(300)를 포함한다. 밸브(300)는 공기 밸브로서, 밸브의 개폐를 통해 액실(200)에 유출입되는 공기를 차단 또는 유통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4 and 6 , the valve 300 is connected to the liquid chamber 200 and opens and closes the liquid chamber 200 . The valve 300 is an air valve, and may block or flow air flowing into and out of the liquid chamber 200 through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밸브(300)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300)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제어부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폐 동작을 수행하여 액실(200)에 유통되는 공기의 흐름을 개방 또는 차단할 수 있다.The valve 300 may be formed of a valv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valve 300 may include a solenoid valve. The solenoid valve may open or close the solenoid valve by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open or block the flow of air flowing through the liquid chamber 200 .

밸브(300)가 개방될 경우, 액실(200) 내부의 공기는 외부와 유통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C)의 주행시 타이어(100)가 받는 압력에 따라 액실(200) 내부의 공기가 외부와 유통되면서 액실(200)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타이어(100)의 트레드(110) 부분의 탄성이 높아지고, 자동차(C)의 주행시 타이어(100)가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주행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When the valve 300 is opened, the air inside the liquid chamber 200 may circulate with the outside. Accordingly, the liquid chamber 200 may be elastically deformed as the air inside the liquid chamber 200 circulates with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ire 100 when the vehicle C is driven. Accordingly, the elasticity of the tread 110 portion of the tire 100 is increased, and the tire 100 absorbs an impact from the road surface when the vehicle C is driven, thereby improving driving convenience.

밸브(300)가 폐쇄될 경우, 액실(200)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이때, 액실(200) 내부가 외부로부터 밀봉됨에 따라 변형이 일어나기 어려워지며 동시에 액실(200)이 일정 수준 이상의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타이어(100)의 트레드(110) 부분의 강성이 높아짐으로써 자동차(C)의 주행시 자동차(C)의 조정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When the valve 300 is closed, the air inside the liquid chamber 200 may be blocked from the outside. At this time, as the inside of the liquid chamber 200 is sealed from the outside, deformation is difficult to occur, and at the same time, the liquid chamber 200 may have a rigidity of a certain level or more. Accordingly, as the rigidity of the tread 110 portion of the tire 100 is increased, stability with respect to the adjustment of the vehicle C when the vehicle C is driven can be secu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C)의 주행시, 자동차(C)의 가속도의 절대값이 기 설정된 가속도 절대값(이하, 설정값으로 정의)(a)을 초과할 경우 밸브(300)를 폐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는, 자동차(C)의 가속도의 절대값이 설정값(a) 이하일 경우 밸브(300)를 개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C exceeds a preset absolute value of acceleration (hereinafter defined as a set value) (a) when the vehicle C is driving, the valve 300 Includes a control unit to close the. Also, the controller may open the valve 300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C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t value a.

자동차(C)의 주행시, 일반적인 주행 상태에서는 주행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으며, 급가속, 급감속 및 급회전 시에는 보다 정밀한 자동차(C) 제어를 위해 조정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When driving the vehicle (C),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driving in a general driving state,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tability of adjustment for more precise control of the vehicle (C) during rapid acceleration, rapid deceleration and sharp rotation.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행시 자동차(C)의 가속도에 따라 트레드(110) 부분의 강성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하여, 주행 상태에 따라 필요한 주행의 편의성 및 조정의 안정성을 가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gidity of the tread 110 portion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C during driving, thereby variably securing the necessary driving convenience and adjustment stability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can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C)의 가속도의 절대값이 설정값(a)을 초과할 경우, 상대적으로 급감속, 금가속 또는 급회전 주행을 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밸브(300)를 폐쇄하여 액실(200) 내부를 밀봉함으로써 액실(200)의 강성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트레드의 강성을 강화시켜, 자동차(C)의 정밀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C exceeds the set value (a),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performing relatively sharp deceleration, rapid acceleration, or sharp rotation, and the valve 300 is closed to close the liquid chamber ( 200) By sealing the inside, the rigidity of the liquid chamber 200 and the rigidity of the tread are strengthened at the same time, so that precise control of the vehicle C can be achieved.

또한 자동차(C)의 가속도의 절대값이 설정값(a) 이하일 경우, 상대적으로 일반적인 정속 주행을 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밸브(300)를 개방하여 액실(200) 내부와 외부를 유통시킴으로써, 액실(200)의 탄성을 확보하여 트레드의 탄성적 변형에 따라 자동차(C)의 주행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C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a),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traveling at a relatively normal constant speed, and the valve 300 is opened to circulate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liquid chamber 200, so that the liquid chamber ( 200),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convenience of driving the vehicle (C) according to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tread.

일 실시예로, 밸브(300)에는 펌프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밸브의 반복적인 개폐 동작에 의해 액실(200)은 내부 공기의 상당량이 외부로 배출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액실(200)의 강성 또는 탄성이 점차적으로 약해질 수 있다. 이때, 일정한 주기마다 펌프가 밸브(300)를 통해 액실(200)의 내부로 일정량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주입시킴으로써 액실(200)의 강성 또는 탄성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pump may be connected to the valve 300 . As described above, the liquid chamber 200 maintains a state in which a significant amount of internal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repeated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valve, so that the rigidity or elasticity of the liquid chamber 200 may gradually weaken. In this case, the pump forcibly injects a certain amount of air into the liquid chamber 200 through the valve 300 at regular intervals to maintain the rigidity or elasticity of the liquid chamber 200 above a certain level.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control of the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 및 도 8 도시되지 않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7 is a control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 description of a configuration not shown in FIGS. 7 and 8 ,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contents shown in FIGS. 1 to 6 .

도 7을 참조하면, 센서부(400)는 자동차(C)의 가속도 또는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센서부(400)는 자동차(C)의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400)는 타이어(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중력장을 통해 회전시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400)는 감지된 자동차의 가속도 값을 제어부(500)로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sensor unit 400 may measure the acceleration or speed of the vehicle C. As shown in FIG. In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400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C). The sensor unit 4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tire 100 to detect acceleration during rotation through a gravitational field. The sensor unit 400 may transmit the detected acceleration value of the vehicle to the control unit 500 .

또한 다른 실시예로, 센서부(400)는 자동차(C)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속도 센서로 속도를 측정한 경우, 속도의 변화량에 따른 가속도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센서부(400)는 산출된 자동차의 가속도 값을 제어부(500)로 전송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ensor unit 400 may include a speed sensor for measuring the speed of the vehicle (C). When the speed is measured by the speed sensor, an acceleration value according to a change amount of the speed may be calculated. The sensor unit 400 may transmit the calculated acceleration value of the vehicle to the control unit 500 .

제어부(500)는 센서부(400)로부터 전달받은 자동차의 가속도 정보를 토대로 밸브(30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자동차의 가속도의 절대값이 설정값(a)을 초과할 경우 밸브(300)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C)의 가속도의 절대값이 설정값(a) 이하일 경우 밸브(300)를 개방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밸브의 개폐 여부를 결정한 후, 상기 개폐 여부에 대한 신호를 밸브 구동부(510)로 전달하고, 밸브 구동부(510)는 제어부(500)의 개폐 신호를 토대로 밸브(300)를 구동시켜 밸브(300)를 개폐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0 ma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300 based on the vehicle accele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400 . The controller 500 may close the valve 300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exceeds the set value (a). Also,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C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t value a, the valve 300 may be opened. After determining whether to open or close the valve, the control unit 500 transmits a signal for whether to open or close the valve to the valve driving unit 510 , and the valve driving unit 510 drives the valve 300 based on the opening/closing signal of the control unit 500 . to open and close the valve 300 .

예를 들면, 밸브(300)가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로 형성될 경우, 밸브 구동부(510)가 솔레노이드 밸브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시킴으로서 밸브를 개폐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valve 300 is formed of a solenoid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alve driving unit 510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solenoid valve to drive the solenoid valve, thereby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500)는 밸브(300)와 연결된 펌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일정한 주기마다 밸브(300)와 연결된 펌프를 제어하여 액실(200) 내부로 공기를 주입시킬 수 있다. 제어부(500)는 펌프의 구동 시간 등을 제어하여 일정 주기마다 액실(2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ler 500 may control the pump connected to the valve 300 . The controller 500 may control the pump connected to the valve 300 at regular intervals to inject air into the liquid chamber 200 . The control unit 500 may control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into the liquid chamber 200 at regular intervals by controlling the driving time of the pump and the like.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제어 방법은, 자동차(C)의 주행시 자동차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단계(S100) 및 측정된 자동차의 가속도 절대값이 설정값(a)을 초과할 경우, 타이어에 장착된 액실(200)과 연결된 밸브(300)를 폐쇄하여 액실(200)의 내부를 밀봉시키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 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 S100 ) of measuring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while the vehicle (C) is driving and the measured absolute value of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are set as a set value (a) In the case of exceeding the value, the step of sealing the inside of the liquid chamber 200 by closing the valve 300 connected to the liquid chamber 200 mounted on the tire ( S300 ) is included.

또한 측정된 자동차의 가속도 절대값이 설정값(a) 이하(S400)일 경우, 밸브(300)를 개방하여 액실(200)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를 유통시키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easured absolute value of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t value (a) (S400),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opening the valve 300 to circulate air inside and outside the liquid chamber 200 (S500). have.

주행하는 자동차(C)의 가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가속도를 바탕으로 액실의 탄성 및 강성을 조절하여 트레드의 강성을 가변시킴으로써, 변동되는 주행 상황에 맞게 타이어의 강성 및 탄성을 변화시켜 주행시 자동차의 주행 편의성 및 조정 안정성을 가변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Measure the acceleration of the driving vehicle (C), and adjust the elasticity and stiffness of the axle based on the measured acceleration to vary the stiffness of the tread, thereby changing the stiffness and elasticity of the tire according to the changing driving conditions. Driving convenience and adjustment stability can be variably reflected.

일 실시예로, 자동차(C)의 가속도를 주기적으로 재측정하는 단계(S600) 및 재측정된 자동차의 가속도를 토대로 밸브(300)의 개폐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C)의 주행시 가속, 감속 및 급회전 등의 가속도 값은 상황에 따라 계속적으로 달라질 수 있는바, 자동차(C)의 가속도를 재측정하고, 재측정된 가속도 절대값을 설정값(a)과 비교하는 과정을 주기적으로 거침으로써, 밸브(300)의 개폐 및 트레드의 강성 및 탄성을 주행 상황에 맞게 주기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eriodically re-measuring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C ( S600 ) and determining whether to open or close the valve 300 based on the re-measured acceleration of the vehicle. Acceleration values such as acceleration, deceleration, and sudden turn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C) may vary continuous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refore,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C) is re-measured, and the absolute value of the re-measured acceleration is compared with the set value (a). By periodically performing the comparison process, the opening/closing of the valve 300 and the rigidity and elasticity of the tread may be periodically varied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초하여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e embodiment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appended claims.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기술 내용은 일 실시예들로서, 실시예의 기술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설명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기재하기 위해,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과 구성에 대한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는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Specific technical content described in the embodiment is an embodiment and does not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embodiment. In order to concisely and clearly describe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general techniques and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or connection member of the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exemplarily shows functional connections and/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and in an actual device,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s that are replaceable or additional It may be expressed as a connection, or circuit connections. In addition, unless there is a specific reference such as "essential", "importantly", etc.,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상기" 또는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and claims, "above" or similar referents may refer to both the singular and the plural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addition, when a range is described in the embodiment, it includes the invention to which individual values belonging to the range are applied (unless there is a description to the contrary), and each individual value constituting the range i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same. In addition, the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performed in an appropriate order unless the order is clearly stated or there is no description to the contrary. The embodiment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according to the order of description of the above steps. The use of all examples or exemplary terminology (eg, etc.) in the embodiment is merely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 in detail, and unless it is limited by the claims, the scope of the embodiment is limited by the examples or exemplary terminology. it is not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in accordance with design conditions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their equivalents.

100: 타이어
110: 트레드
120: 사이드월
130: 비드
140: 바디플라이
150: 이너라이너
160: 캡플라이
170: 벨트층
200: 액실
300: 밸브
400: 센서부
500: 제어부
510: 밸브 구동부
100: tire
110: tread
120: side wall
130: bead
140: body fly
150: inner liner
160: cap ply
170: belt layer
200: axil
300: valve
400: sensor unit
500: control
510: valve driving unit

Claims (8)

자동차에 장착된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그루브를 갖는 트레드;
상기 트레드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유체가 수용된 액실;
상기 액실과 연결되고, 상기 액실을 개폐하는 밸브; 및
상기 자동차의 주행시 상기 자동차의 가속도의 절대값이 설정값(a)을 초과할 경우 상기 밸브를 폐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액실은 1개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의 개방시 상기 액실 내부의 공기는 외부와 유통되고, 상기 밸브의 폐쇄시 상기 액실 내부의 공기는 외부와 차단되는 타이어.
In a tire mounted on a vehicle,
a tread extending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and having a groove;
a liquid chamber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ead and accommodating the fluid;
a valve connected to the liquid chamber and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liquid chamber; and
A control unit for closing the valve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exceeds a set value (a) when the vehicle is running;
The tire has one liquid chamber, and when the valve is opened, the air inside the liquid chamber is circulated to the outside, and when the valve is closed, the air inside the liquid chamber is blocked from the outsid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의 가속도의 절대값이 설정값(a) 이하일 경우 상기 밸브를 개방하는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open the valve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is equal to or less than a set value (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타이어의 골격을 형성하는 바디 플라이; 및
상기 바디 플라이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이너 라이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실은 상기 이너 라이너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a body ply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read and forming a skeleton of the tire; and
Further comprising an inner liner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ly,
The liquid chamber is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inner lin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실은 상기 유체가 수용된 고무 튜브로 형성되는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quid chamber is formed of a rubber tube in which the fluid is accommodat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감지된 상기 자동차의 가속도 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nsor unit for sensing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The sensor unit transmits the detected acceleration value of the vehicle to the control unit.
자동차의 주행시 상기 자동차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자동차의 가속도 절대값이 설정값(a)을 초과할 경우, 타이어에 장착된 액실과 연결된 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액실의 내부를 밀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액실은 1개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의 개방시 상기 액실 내부의 공기는 외부와 유통되고, 상기 밸브의 폐쇄시 상기 액실 내부의 공기는 외부와 차단되는 타이어의 제어 방법.
measuring an acceleration of the vehicle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nd
When the measured absolute value of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exceeds the set value (a), closing a valve connected to the liquid chamber mounted on the tire to seal the inside of the liquid chamber;
The method of controlling a tire, wherein the liquid chamber is formed in one piece, the air inside the liquid chamber circulates with the outside when the valve is opened, and the air inside the liquid chamber is blocked from the outside when the valve is closed.
제6 항에 있어서,
측정된 상기 자동차의 가속도 절대값이 설정값(a) 이하일 경우, 상기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액실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를 유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의 제어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measured absolute value of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is equal to or less than a set value (a),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pening the valve to circulate air inside and outside the liquid chamber.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가속도를 주기적으로 재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재측정된 상기 자동차의 가속도를 토대로 상기 밸브의 개폐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의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periodically re-measuring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and
and determining whether to open or close the valve based on the re-measured acceleration of the vehicle.
KR1020200144592A 2020-11-02 2020-11-02 Tire and control method the same KR1024131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592A KR102413178B1 (en) 2020-11-02 2020-11-02 Tire and control method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592A KR102413178B1 (en) 2020-11-02 2020-11-02 Tire and control method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240A KR20220059240A (en) 2022-05-10
KR102413178B1 true KR102413178B1 (en) 2022-06-27

Family

ID=81591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592A KR102413178B1 (en) 2020-11-02 2020-11-02 Tire and control method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178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6926A (en) * 2008-10-28 2010-05-0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Tire pneumatic pressure apparatus improved handling
KR102113763B1 (en) * 2013-11-18 2020-06-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Method for sensing roll over of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240A (en)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92126B1 (en) Pneumatic tire
JP2016074256A (en) Pneumatic tire
WO2017038109A1 (en) Pneumatic tire
US11014409B2 (en) Pneumatic tire
RU2540222C2 (en) Pneumatic tire
WO2017126625A1 (en) Pneumatic tire
EP4360908A1 (en) Tire
US11241917B2 (en) Pneumatic tire
EP3450210B1 (en) Pneumatic radial tire
KR102413178B1 (en) Tire and control method the same
JP4748522B2 (en) Pneumatic tire
US11904635B2 (en) Tire
JP2019043233A (en) Pneumatic radial tire
KR10197256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rcion of vehicle rollover
JP7095285B2 (en) Evaluation method of tire vibration characteristics
KR101905117B1 (en) Tire
KR101894013B1 (en) Tire
JP4000276B2 (en) Pneumatic tire
KR102658890B1 (en) Run-flat tire with fluid chamber for improving tire running performan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tire running performance
JP2010058717A (en) Bias tire for racing cart
KR102605834B1 (en) Tire
KR102568639B1 (en) Tire
KR102113315B1 (en) Pneumatic tire
KR102370655B1 (en) Method of designing tire and tire manufactured by the same
JP3669712B2 (en) Pneumatic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