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644B1 -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 - Google Patents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644B1
KR102412644B1 KR1020200121471A KR20200121471A KR102412644B1 KR 102412644 B1 KR102412644 B1 KR 102412644B1 KR 1020200121471 A KR1020200121471 A KR 1020200121471A KR 20200121471 A KR20200121471 A KR 20200121471A KR 102412644 B1 KR102412644 B1 KR 102412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 ice
box
unit
packaging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0520A (ko
Inventor
안상호
이창우
한대일
윤태일
Original Assignee
선도화학 주식회사
주식회사 우도산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도화학 주식회사, 주식회사 우도산기 filed Critical 선도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1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644B1/ko
Publication of KR20220040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50Carbon dioxide
    • C01B32/55Solidif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06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conveying wrapper and contents in common defined paths
    • B65B11/08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conveying wrapper and contents in common defined paths in a single straight path
    • B65B11/10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conveying wrapper and contents in common defined paths in a single straight path to fold the wrappers in tubular form about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2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2Machines characterised by incorporation of means for making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5/024Machines characterised by incorporation of means for making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for making containers from preformed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8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articles being individually gripped or guided for transfer 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6Applying adhesive tape
    • B65B51/067Applying adhesive tape to the closure flaps of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2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transverse or longitudinal seams in web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haping or reshaping completed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2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operation
    • B65B2220/16Packaging contents into primary and secondary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드라이 아이스의 성형부터 최종 포장에 이르기까지의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Manufacturing device for dry ice product}
본 발명은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드라이 아이스(Dry ice)는 이산화탄소를 어는점 이하에서 고체화시킨 것으로, 식품류 등의 이송이나 보관시의 신선도를 유지하거나, 냉동제품의 이송이나 보관시 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드라이 아이스는 보통 얼음과는 달리 온도가 올라가도 액체 상태가 되지 않고 기체상태로 승화되기 때문에 포장재가 젖거나 잔여 이물질이 남지 않아 신선식품 포장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드라이 아이스는 주로, 특허문헌 1과 같은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액화탄산을 고체화시켜 제조하는데, 이러한 제조장치는 액화탄산을 드라이 아이스 입자로 만드는 펠렛타이저, 펠렛타이저에서 생성된 드라이 아이스 입자를 블록 형태로 성형하는 리포머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제조장치에서 제조되는 드라이 아이스는 운반중에 발생하는 기화율 감소를 위해 비교적 대형으로 생성되어 필요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불편함과 절단 과정 중 발생하는 손실로 인해 생산효율 감소가 큰 편이다.
또한, 드라이 아이스는 상온에서 -76℃ 온도로 유지되어, 대형으로 제조되는 드라이 아이스를 절단하고 포장할때 취급하는 작업자가 주의하지 않으면 동상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드라이 아이스의 공정을 최소화하여 생산효율을 높이고 생산된 제품이 포장공정 중 신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14-0124591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드라이 아이스의 성형부터 최종 포장에 이르기까지의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드라이 아이스 제품을 생산하는 장치로서, 이산화탄소 입자를 생성하는 펠렛타이저 및 상기 펠렛타이저에서 생성된 상기 이산화탄소 입자를 드라이 아이스로 성형하는 리포머를 구비하는 생산부; 상기 리포머의 출구 측에 위치하며, 상기 리포머에서 성형된 드라이 아이스를 배출하는 배출 슈트; 상기 배출 슈트 후단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 슈트에서 배출된 상기 드라이 아이스가 투입되어 정렬되는 정렬기; 상기 정렬된 드라이 아이스를 포장하여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를 배출하는 부직포 포장기; 상기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를 소정 갯수 단위로 집적하는 더블루프 집적기; 상기 소정 갯수 단위로 집적된 상기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를 비닐 포장하여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를 배출하는 비닐 포장기; 상기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를 박스에 수납하는 멀티오토케이서; 상기 멀티오토케이서에 상기 박스를 공급하는 제함기; 상기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가 수납된 박스를 테이핑 하여 3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를 배출하는 봉함기; 상기 3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에 밴딩끈을 결속하여, 드라이 아이스 제품을 배출하는 밴딩기;를 포함하는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 아이스 생산장치에 의하면, 드라이 아이스 생산에 있어서 전 공정의 자동화를 실현함으로써, 생산공정 중 드라이 아이스가 신체에 접촉되지 않고, 생산공정을 최소화하여 생산효율을 높임은 물론, 생산공정 중 드라이 아이스가 신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리포머에 구비되는 몰딩부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몰딩부를 통하여 성형된 드라이 아이스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의 일 구성인 배출 슈트의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의 일 구성인 배출 슈트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의 일 구성인 정렬기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의 일 구성인 정렬기의 일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의 일 구성인 부직포 포장기의 일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의 일 구성인 합류 유니트의 일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의 일 구성인 합류 유니트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의 일 구성인 더블루프 집적기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의 일 구성인 더블루프 집적기의 제2회전부의 일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의 일 구성인 더블루프 집적기의 일부 타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의 일 구성인 비닐 포장기의 일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의 일 구성인 비닐 포장기의 랩핑부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의 일 구성인 제함기의 일측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의 일 구성인 제함기의 각 조우판의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의 일 구성인 제함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일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의 일 구성인 멀티오토케이서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의 일 구성인 멀티오토케이서의 일측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의 일 구성인 멀티오토케이서의 타측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의 일 구성인 봉함기의 일측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의 일 구성인 봉함기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의 일 구성인 밴딩기의 일측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를 사용한 드라이 아이스 생산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술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는, 생산부(100), 배출 슈트(200), 정렬기(300), 부직포 포장기(400), 합류 유니트(500), 더블루프 집적기(600), 비닐 포장기(700), 멀티오토케이서(800), 제함기(900), 봉함기(1000) 및 밴딩기(1100)를 포함하며, 상기 각 구성 사이에는 이송장치로서 컨베이어 벨트(10)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드라이 아이스(D)가 이송되는 방향에 따라, 드라이 아이스(D)가 투입되는 방향을 전단, 배출되는 방향을 후단으로 하여 설명한다.
생산부(100)는 펠렛타이저(102) 및 리포머(101)를 포함한다.
펠렛타이저(102)는 드라이 아이스(D)를 만들기 위하여, 이산화탄소를 고체화한 입자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펠렛타이저(102)로 액화탄산이 공급되며, 공급되는 액화탄산을 고체화 하여 고체 상태의 이산화탄소 입자를 생성한다. 리포머(101)는 펠렛타이저(102)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 입자가 투입되어, 투입된 이산화탄소 입자를 드라이 아이스 블록 형태로 성형하는 구성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리포머(101)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포머(101)에는 몰딩부(110)가 구비된다.
몰딩부(110)는 리포머(101)에 설치되며, 펠렛타이저(102)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 입자가 투입된다.
몰딩부(110)는 틀 형태를 이루며, 그 내부에, 펠렛타이저(102)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가 투입되기 위한 공간인 중공부가 마련된다.
중공부는 단면이 사각형인 형태로 몰딩부(110)에 형성되며, 중공부의 모서리 측에는 둥글게 형성된 라운딩부(111)가 형성된다.
이로써,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펠렛타이저(102)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 입자가, 몰딩부(110)에 마련된 중공부에 투입되어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처리된 블록 형태의 드라이 아이스(D)로 성형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생산부(100)는 2 이상의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성형된 드라이 아이스(D)는 후술하는 배출 슈트(200)를 통과하면서부터 비교적 긴 거리를 컨베이어 벨트(10)에 의해 이송되게 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각 구성 사이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벨트(10)도 드라이 아이스(D)의 이송이 원활하도록 라운딩 형태를 이루고 있으나, 추가로 상기와 같이 드라이 아이스(D) 모서리 부분을 라운딩 처리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10)에 의한 드라이 아이스(D) 이송시의 걸림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배출 슈트(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배출 슈트(200)는 상기 리포머(101)에서 성형된 드라이 아이스(D)를 배출하는 구성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 슈트(200)는 경사면(210), 배출 돌기(212), 개방부(220) 및 센서부(230)를 포함한다.
경사면(210)은 리포머(101)의 출구 측에 위치하며, 상기 출구 측으로부터 하측으로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경사면(210)은 리포머(101)의 출구 측을 지나는 컨베이어 벨트(10) 사이를 연결하도록(도 1 참조), 상기 출구 측으로부터 출구 측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벨트(10)를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지게 위치한다.
배출 돌기(212)는 경사면(210)의 상부 즉, 경사면(210)의 리포머(101) 출구 측에 위치한다. 경사면(210) 상부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배출 돌기(212)는 통공을 통하여 상하로 출몰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개방부(220)는 경사면(210)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즉, 개방부(220) 부분은 경사면(210)의 일부가 개구된 빈 공간으로 형성된다.
드라이 아이스(D)는 이산화탄소의 어는점 이하로 상온에서 -76℃이하의 저온을 유지한다.
따라서, 드라이 아이스(D) 배출시에 드라이 아이스(D) 주위 공기 중의 수분이 순간적으로 동결되면서, 드라이 아이스(D)가 경사면(210)에 부착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가 있는데, 상기 개방부(220)에 의해 경사면(210)이 드라이 아이스(D)와 접촉하는 면적이 최소화 되므로 상기와 같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센서부(230)는 상기 경사면(210)의 상부에 위치한다. 센서부(230)에 의해 상기 리포머(101)에서 l형된 드라이 아이스(D)가 상기 경사면(210) 상부에 위치하였는지가 감지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포머(101)에서 배출되는 드라이 아이스(D)가 경사면(210) 상부에 위치한 것이 센서부(230)에 의해 감지되면, 배출 돌기(212)가 돌출되어 드라이 아이스(D)를 밀어서 경사면(210)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이로써, 리포머(101)로부터 성형된 드라이 아이스(D)가 적정한 간격으로 경사면(210)으로 투입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배출 슈트(200)에 의해 배출되는 드라이 아이스(D)는 컨베이어 벨트(10)를 통하여 정렬기(300)로 이송되어 투입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정렬기(300)의 구성을 설명한다.
정렬기(300)는 배출 슈트(200) 후단에 위치하여, 배출 슈트(200)에서 배출된 드라이 아이스(D)를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하는 구성이다.
정렬기(300)는 회전부(제1회전부(310)) 및 구획판(제1구획판(320))을 포함한다.
제1회전부(310)는 정렬기(300)의 전단 측과 후단 측을 가로질러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회전부(310)는 정렬기(300)의 전단 측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벨트(10)와, 정렬기(300)의 후단측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벨트(10) 사이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정렬기(300)의 전단 측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벨트(10)와, 정렬기(300)의 후단측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벨트(10) 사이에는 연결부(330)가 위치한다.
제1구획판(320)은 제1회전부(310)의 둘레면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 위치한다. 다수의 제1구획판(320)이 이격되는 소정 간격은 대략 드라이 아이스(D) 블록의 폭 정도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회전부(310)는 복수의 회전 드럼(315) 및 복수의 회전 드럼(315) 둘레면에 위치하여, 회전 드럼(315) 의 회전 동작에 따라 동작하는 연결 벨트(316)로 구성 될 수 있고, 제1구획판(320)은 연결 벨트(316)의 둘레면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구획판(320)이 제1회전부(310)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1회전부(310)의 회전 방향을 따라 동작할 수 있는 구성이면 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구획판(320)은 제1회전부(310)의 하부에 위치하였을 때, 제1회전부(310)의 전단 측 컨베이어 벨트(10) 상부에 근접하도록 위치한다. 이로써, 제1회전부(310)로 투입되는 드라이 아이스(D)가 제1구획판(320)의 소정 간격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드라이 아이스(D)가 제1구획판(320)의 소정 간격 사이에 위치되고, 제1회전부(310)가 회전에 따른 제1구획판(320)의 동작에 의해 드라이 아이스(D)가 후단 측 컨베이어 벨트(10)로 이동하면서, 정렬기(300)로 투입되는 드라이 아이스(D)의 간격이 일정하게 조정된다.
정렬기(300)에서 간격이 조정되어 정렬된 상태의 드라이 아이스(D)는 컨베이어 벨트(10)를 통하여 부직포 포장기(400)로 투입된다.
도 9를 참조하여, 부직포 포장기(4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부직포 포장기(400)는 상기 정렬기(300) 후단에 위치하여, 정렬기(300)에서 정렬되어 투입되는 드라이 아이스(D)를 개별로 포장하여 1차로 포장된 드라이 아이스를 배출하는 구성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직포 포장기(400)는 부직포 공급부(410), 타공부(420), 접착부(430) 및 히팅부를 포함한다.
부직포 공급부(410)는, 컨베이어 벨트(10)를 통하여 정렬기(300)로부터 부직포 포장기(400) 측으로 투입되는 드라이 아이스(D)에 부직포를 공급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부직포 공급부(410)는 컨베이어 벨트(10)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부직포가 권취되는 권취롤(411), 및 권취롤(411)로부터 공급되는 부직포가 거치되는 거치롤러(412)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타공부(420)는 부직포 공급부(410) 일측에 위치하는 공급롤러(421) 및 상기 공급롤러(421)의 둘레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니들(422)을 포함한다.
부직포 공급부(410)에서 공급되는 부직포가 타공부(420)의 공급롤러(421)를 거쳐 컨베이어 벨트(10)를 통하여 이송되는 드라이 아이스(D) 측으로 공급된다,
이때, 타공부(420)의 공급롤러(421) 둘레면에 위치하는 니들(422)에 의해, 포장재에 다수의 구멍이 타공되어 공급되고, 구멍이 타공된 부직포 내부에 드라이 아이스(D) 수용되면서 1차 포장이 이루어진다.
부직포 내부에 수용된 드라이 아이스(D)에서는 이산화탄소가 지속적으로 기화되어 부직포를 팽창시키게 된다.
부직포가 팽창되면 파열되거나, 파열되지는 않더라도 부피가 늘어나 이후의 포장시 부피를 많이 차지하게 되므로, 포장 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물론, 부직포 자체에도 미세한 기공이 있으나, 상기와 같이 니들(422)을 통하여 부직포에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부직포 내부의 드라이 아이스(D)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기체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상기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접착부(430)는 부직포 공급부(410)의 후단에 위치하며, 접착부(430)는 열을 발생시켜 포장재를 절단 및 접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착부(430)는 상기와 같이 드라이 아이스(D)가 내부에 수용된 부직포의 전후단을 접착하여 밀봉한다.
히팅부(제1히팅부(431))는 부직포 포장기(400) 하부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는, 부직포 포장기(400)를 통과하는 컨베이어 벨트(10)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히팅부(431)의 구성은 열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서 한정되지 않으나, 열풍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송되는 드라이 아이스(D)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온에서 -76℃이하의 저온으로서, 드라이 아이스(D)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10)가 동결되어 동작에 이상이 생길 수가 있는데, 제1히팅부(431)를 통하여 컨베이어 벨트(10) 측에 열을 공급하여 컨베이어 벨트(10) 라인이 동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직포 포장기(400)에서 1차로 포장된 드라이 아이스(이하,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라 칭할 수 있다)는 컨베이어 벨트(10)를 통하여 합류 유니트(500)로 투입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정렬기(300)와 부직포 포장기(40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본 실시예에서는 2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합류 유니트(500)의 구성을 설명한다.
합류 유니트(500)는 상기 부직포 포장기(400)에서 배출되는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를 가압하는 구성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정렬기(300)와 부직포 포장기(400)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부직포 포장기(400)를 각각 통과한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를 다시 1열로 합류시키는 구성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류 유니트(500)는 가압패드(510)를 포함한다.
가압패드(510)는 합류 유니트(500)를 통과하는 컨베이어 벨트(10) 상측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가압패드(510)는 다수의 롤러(511) 둘레면에 위치하여, 롤러(511)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루술하는 바와 같이 합류 유니트(500)로 투입되는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의 상부를 가압하도록 구성 및 배치되면 된다.
컨베이어 벨트(10)에 의해 합류 유니트(500)로 투입되는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는 가압패드(510)에 의해 상부가 가압된다.
상기와 같이,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의 부직포에 구멍이 타공되어 있으나,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는 이송 중에 부직포 내부에서 기화가 계속 발생하므로, 부직포가 팽창하게 된다.
부직포가 팽창하면 이후의 2차 및 3차 포장시 면적을 많이 차지하게 되므로, 가압패드(510)로 가압함으로써, 부직포 내부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가 추가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정렬기(300) 및 부직표 포장기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합류 유니트(500)도 복수로 구비되어 각각 2개의 부직포 포장기(400)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합류 유니트(500) 후단의 컨베이어 벨트(10)는 전단의 컨베이어 벨트(10)와 교차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부직포 포장기(400)로부터 합류 유니트(500)를 각각 통과한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가 합류 유니트(500) 후단의 컨베이어 벨트(10)에서 1열로 합류되게 된다.
합류 유니트(500)를 통과한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는 컨베이어 벨트(10)를 통하여 더블루프 집적기(600)로 투입된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더블루프 집적기(6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더블루프 집적기(600)는 상기 합류 유니트(500) 후단에 위치하여, 투입되는 상기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를 소정 갯수 단위로 집적하여 정렬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블루프 집적기(600)는, 복수의 회전부(제2회전부(610), 제3회전부(620), 제4회전부(630)), 집적 유니트(612), 푸셔(제1푸셔(613)), 격벽(621), 및 구획판(제2구획판(631))을 포함한다.
제2회전부(610)는 더블루프 집적기(600)의 전단측에 위치하며, 상기 합류 유니트(500)를 통과한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가 컨베이어 벨트(10)를 통하여 투입되는 측에 위치한다.
제2회전부(610)는 복수의 회전 드럼(615) 및 복수의 회전 드럼(615) 둘레면에 위치하여, 회전 드럼(615)의 회전 동작에 따라 동작하는 연결 벨트(616)로 구성될 수 있다.
집적 유니트(612)는 상기 제2회전부(610)의 연결 벨트(616) 둘레면에서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소정 갯수(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집적판(611)으로 구성되며, 집적판(611)도 각각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집적판(611)의 이격 간격은 대략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가 세워진 상태에서의 폭 만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집적판(611)으로 구성되는 집적 유니트(612)의 이격되는 간격은 상기 집적판(611)이 이격되는 간격보다는 넓게 이격된다.
회전 드럼(315)의 회전 동작에 따라 연결 벨트(616)가 동작하며, 이에 따라 집적 유니트(612) 즉, 집적판(611)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합류 유니트(500)를 지나 상기 제2회전부(610)로 투입되는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가 집적 유니트(612)의 소정 갯수의 집적판(611) 사이에 투입되어 소정 단위 갯수로 집적되게 된다.
제1푸셔(613)는 상기 제2회전부(610) 일측에 위치하며, 제2회전부(610) 일측으로부터 집적 유니트(612)의 상부까지 왕복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3회전부(620)는 상기 제2회전부(610) 일측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제3회전부(620)의 회전 방향이 제2회전부(610)의 회전 방향과 나란하도록 위치한다.
제3회전부(620)는, 제2회전부(610)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회전 드럼(미도시) 및 상기 복수의 회전 드럼 둘레면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 동작에 따라 동작하는 연결 벨트(미부호)로 구성될 수 있다.
격벽(621)은 제3회전부(620) 둘레면 즉, 상기 제3회전부(620)의 연결 벨트에서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위치한다.
격벽(621)이 이격되는 소정 간격은 상기 제2회전부(610)의 집적판(611)의 간격보다는 큰 폭으로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격벽(621)은 소정 갯수의 집적판(611)으로 구성된 상기 집적 유니트(612)의 폭 보다 다소 큰 폭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회전부(610)에서 소정 단위 갯수로 집적된 상기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가 제1푸셔(613)에 의해 제3회전부(620)의 격벽(621)사이로 투입되며, 제3회전부(620)의 회전 동작에 따라 격벽(621)에 의해 제4회전부(630) 측으로 이동된다.
제4회전부(630)는 상기 제3회전부(620) 후단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도 12 및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회전부(630)의 회전 방향이 상기 제3회전부(620)의 회전 방향과 교차하도록 하여, 제3회전부(620)의 후단과, 더블루프 집적기(600) 후단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벨트(10)를 가로질러 위치한다.
제4회전부(630)의 둘레면에는 제4회전부(630)의 회전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2구획판(631)이 위치한다.
제4회전부(630)는 복수의 회전 드럼(635) 및 복수의 회전 드럼(635) 둘레면에 위치하여, 회전 드럼(635) 의 회전 동작에 따라 동작하는 연결 벨트(636)로 구성 될 수 있고, 제2구획판(631)은 연결 벨트(636)의 둘레면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회전부(610) 및 제2구획판(631)의 구성은 상기한 정렬기(300)의 제1회전부(310) 및 제1구획판(320)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3회전부(620)의 상기 격벽(621)사이에 위치한 집적된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가 제2구획판(631)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4회전부(63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소정 갯수로 정렬되어 배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소정 갯수 단위로 집적된 상기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는 컨베이어 벨트(10)를 통하여 비닐 포장기(700)로 투입된다
여기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블루프 집적기(600)와 비닐 포장기(700) 사이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벨트(10)에는 구획봉(11)이 설치될 수 있다.
구획봉(11)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둘레 측에서, 대략 상기 소정 개수로 규격화 된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의 폭 만큼 다수 위치하여, 컨베이어 벨트(10)의 동작 또는 후술하는 비닐 포장기(700)의 동작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10)의 길이 방향으로 연동하여 동작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비닐 포장기(7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비닐 포장기(700)는 더블루프 집적기(600)에서 소정 갯수 단위로 집적된 상기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를 비닐로 2차 포장하는 구성이다.
비닐 포장기(700)는, 비닐 공급부(710), 비닐 고정부(720), 랩핑부(730) 및 절단부(740)를 포함한다.
비닐 공급부(710)는 비닐 포장기(700)의 전단 측, 바람직하게는 전단 측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소정 갯수 단위로 집적되어 비닐 포장기(700)로 투입되는 상기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 측으로 비닐을 공급한다.
비닐 고정부(720)는 비닐 포장기(700)의 전단에 설치되어, 비닐 공급부(710)로 부터 공급된 비닐이 비닐 고정부(720)에 거치됨으로써, 공급되는 비닐이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하고 비닐의 공급 높이를 조정한다.
또한, 비닐 고정부(720)는 공급되는 비닐이 절단 또는 파열되지 않도록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10)를 통하여 비닐 포장기(700)로 투입되는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는 비닐 고정부(720)를 통과하며, 공급되는 비닐 내에 수용되고, 비닐은 상부가 벌어진 상태가 된다.
랩핑부(730)는 비닐 고정부(720) 후단에 위치한다. 랩핑부(730)는 열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절단기는 랩핑부(730) 후단에 위치하며, 상기와 같이 드라이 아이스(D)가 소정 개수로 수용된 상태로 접합된 비닐을 절단한다.
또한, 비닐 포장기(700)에도 상기 부직포 포장기(400)와 마찬가지로, 컨베이어 벨트(10) 하부에 위치하는 히팅부(제2히팅부(75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랩핑부(730)는 중앙부에 이격된 홈이 형성되어 있고,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가 수용된 비닐의 벌어진 상부가 상기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랩핑부(730)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비닐 상부가 접착되어 봉해진다.
이로써, 부직포에 의해 포장된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가, 비닐 포장기(700)에서 비닐에 의해 2차로 포장된다(이하,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라 함).
비닐 포장기(700)는 부직포 포장기(700)에서 부직포로 포장된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의 외부를 비닐로 포장하여 드라이 아이스(D)의 전체 기화율을 감소시키고, 후술되는 멀티오토케이서(800)의 그립부(850)(850)가 쉽게 파지하여 박스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비닐 포장기(700)를 통과한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는 컨베이어 벨트(10)를 통하여 멀티오토케이서(800)로 투입된다.
멀티오토케이서(800)는 상기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를 박스에 수납하는 구성이며, 상기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가 수납되는 박스도 함께 공급되는데, 상기 박스를 공급하는 제함기(900)의 구성을 먼저 설명한다.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제함기(90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함기(900)는 후술되는 멀티오토케이서(800)에 박스를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멀티오토케이서(800) 일측에서 컨베이어 벨트(10)를 통하여 연결된다.
제함기(900)는 매거진(910), 이송바(911), 제1조우판(930), 제2조우판(940), 리프팅부(913), 하측 봉함부(960) 및 하측 테이핑부(970)를 포함한다.
제함기(900)는 드라이 아이스가 아닌 박스가 투입되어 배출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구성 및 후술하는 구성과 마찬가지로 박스가 투입되는 측을 전단, 배출되는 측을 후단으로 하여 설명한다.
매거진(910)은 박스가 투입되어 거치되는 구성으로서, 박스가 거치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박스가 접혀진 상태로 매거진(910)의 전단으로 투입되어 거치된다.
이송바(911)는 매거진(910)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며, 이송바(911)의 길이방향 둘레면에는 나사산(912)이 형성되고, 매거진(910)으로 투입되는 박스 하부가 나사산(912)에 접하도록 위치한다. 따라서. 이송바(911)의 회전에 따른 나사산(912)의 동작에 의해 상기 매거진(910)에 투입된 박스가 후단으로 이송된다.
제1조우판(930)은 상기 매거진(910)의 후단부 상측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제1조우판(930)은 판 형태로서 접혀진 박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한다.
제1조우판(930)의 일측에는 제1조우판(930)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된 지지판(931)이 위치하며, 상기 제1조우판(930)의 일측과 상기 지지판(931)의 일측을 원호 형태로 연결하는 가이드봉(932)이 설치될 수 있다.
제2조우판(940)은 제1조우판(930)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일측에 설치된 축을 중심으로 하여 힌지동작 가능하게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봉(932)이 제2조우판(940)의 축 반대편이 상기 가이드봉(932)을 따라 힌지동작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조우판(930)의 일측, 즉 전단 측에는 상기 제1조우판(930)을 향하는 측이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폭이 넓어지도록 경사진 경사판이 위치할 수 있다.
제1조우판(930)과 제2조우판(940)이 대향하는 면에는 각각 홀더(933, 943)가 구비된다.
제1조우판(930) 및 제2조우판(940)은 상하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리프팅부(913)는 매거진(910) 후단부 하측에서 상하동작 가능하도록 위치하여, 이송바(911)에 의해 매거진(910) 후단부로 이송된 박스를 들어올려 상기 경사판을 따라 상기 제1조우판(930)과 제2조우판(940)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며, 이때,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 상부 양측이 각각 상기 홀더(933, 943)에 끼워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조우판(940)이 축을 중심으로 하여 가이드봉(932)을 따라 제1조우판(93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힌지 동작하면서 홀더(933, 943)에 끼워진 박스가 펼쳐지게 된다.
하측 봉함부(960)는 리프팅부(913) 후단에 위치하며, 길이방향 봉함판(961)및 측방 봉함판(962)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펼쳐진 박스가 홀더(933, 943)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조우판(930) 및 제2조우판(940)이 하강하면서 하측 봉함부(960)로 투입되어, 길이방향 봉함판(961)에 의해 박스의 길이방향 하부가 접히고, 이후 측방 봉함판(962)이 축(963)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힌지 동작하여 박스의 측방 하부가 접혀서 봉해진다.
하측 테이핑부(970)는 하측 봉함부(960) 후단에 위치하여, 봉해진 박스의 하측에 테이프를 공급한다.
하측 봉함부(960)에 의해 상기 박스의 하단부가 접혀진 박스가 하측 테이핑부(970)에 의해 박스의 하부가 테이핑 되어 배출된다.
배출된 박스는 제함기(900) 후단의 컨베이어 벨트(10)를 통하여 후술하는 멀티오토케이서(800)로 공급된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멀티오토케이서(80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멀티오토케이서(800)는 상기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를, 제함기(900)로부터 공급되는 박스에 수납하는 구성이다.
멀티오토케이서(800)는, 스토퍼(820), 푸셔(제2푸셔(810)), 제품 집적부(830), 그립부(850), 박스 거치부(860), 및 박스 고정부(840)를 포함한다.
스토퍼(820)는 멀티오토케이서(800) 전단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벨트(10)의 단부에 위치한다.
컨베이어 벨트(10)를 통하여 멀티오토케이서(800) 전단으로 투입되는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는 스토퍼(820)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10) 상에서 정렬된다.
제2푸셔(810)는 멀티오토케이서(800) 전단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벨트(10)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하며, 컨베이어 벨트(10)의 길이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2푸셔(810)는 스토퍼(820)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10) 상에 정지한 상태로 정렬된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를 밀어 제품 집적부(830)로 투입되도록 한다.
제품 집적부(830)는 멀티오토케이서(800) 전단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벨트(10)의 길이방향 타측 즉, 제2푸셔(810)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제품 집적부(830)는 제2푸셔(810)에 의해 투입되는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가 수용되어 집적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21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푸셔(810)에 의해 투입된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가 2열로 집적되나, 상기 공간의 면적을 변경하여 그 이상의 열로 집적되도록 할 수 있다.
제품 집적부(830)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831)가 구비되며, 제품 집적부(830)에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가 집적되면, 도어(831)가 개방된다.
그립부(850)는 제품 집적부(830) 상부에 위치한다. 그립부(850)는 상부에 위치한 로드(851)에 연결되어, 로드(851)의 상하동작에 연동하여 상하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가 제품 집적부(830)에 소정 개수, 소정의 열로 집적되면, 그립부(850)가 하강하여 집적된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를 파지한다.
박스 거치부(860)는 제품 집적부(830)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제함기(900)에서 펼쳐진 상태로 형성된 박스가, 박스 거치부(860)와 제함기(900) 사이를 잇는 컨베이어 벨트(10)를 통하여 박스 거치부(860)로 투입된다.
박스 고정부(840)는 박스 거치부(860)의 상부 즉, 박스 거치부(860)와 제품 집적부(830)의 사이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박스 고정부(840)는 제품 집적부(830)의 하부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축(841)을 중심으로 힌지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박스 거치부(860)로 박스가 투입되면, 박스 고정부(840)가 투입된 박스 상부의 개방된 부분 측으로 힌지 동작하여, 박스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도어(831)가 개방되고, 그립부(850)가 하강하여 파지된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가 박스 거치부(860)에 거치된 박스 내부로 수납된다.
상기와 같이 3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3)가 수납된 박스는 컨베이어 벨트(10)를 통하여 봉함기(1000)로 투입된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여, 봉함기(10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봉함기(1000)는 멀티오토케이서(800)에서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가 수납된 박스를 테이핑 하여 3차 포장하는 구성이다(이하, 3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3)' 칭할 수 있음).
봉함기(1000)는 가압판(1010), 키커드럼(1020), 가이드부(1030), 및 상측 테이핑부를 포함한다.
봉함기(1000)로 투입되는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가 수납된 박스 상부에 위치한다, 즉, 봉함기(1000) 전단에서 컨베이어 벨트(10)와 이격되어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가압판(1010)은 대략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가 수납된 박스 상부의 접히는 부분을 제외한 높이 정도에 판 형태로 설치된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가 수납된 박스가 가압판(1010) 하부로 진입하면서, 박스의 일측 상부, 즉, 가압판(1010)으로 진입하는 측의 박스 상부가 접히게 된다.
키커드럼(1020)은 가압판(1010)의 전단에 위치한다. 따라서,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가 수납된 박스가 상기 가압판(1010) 하부에 위치하며, 키커드럼(1020)은 박스 후단에 위치하게 된다.
키커드럼(1020)은 상부에 위치한 축(1021)을 중심으로 힌지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박스가 가압판(1010) 하부로 완전히 진입한 상태에서 키커드럼(1020)이 힌지동작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며 박스 상부의 타측을 밀어 접히도록 하며, 이로써 박스가 진입하는 방향의 상단부는 모두 접히게 된다.
가이드부(1030)는 가압판(1010)의 후단에 위치하며, 중앙으로부터 양측을 향하여 넓어지면서 각각 연장되는 세장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단부가 접힌 박스가 봉함기(1000)의 후단으로 더욱 진입하면서, 박스 상부의 측면, 즉 박스가 진입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에 위치한 부분이 가이드부(1030) 내측에 닿으면서 가이드부(1030)의 경사를 따라 접히면서 박스 상부가 폐쇄된다.
테이프 공급부(1040)는 가이드부(1030) 후단에 위치하여, 상기 박스 상부를 테이핑 하기 위한 테이프를 공급하여 테이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부가 폐쇄된 박스는 테이프 공급부(1040)로 진입하여 테이핑됨으로써 밀봉되어 3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3)로서 배출된다.
봉함기(1000)로부터 배출되는 3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3)는 봉함기(1000) 후단의 컨베이어 벨트(10)를 통하여 밴딩기(1100)로 투입된다.
도 26을 참조하여, 밴딩기(1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밴딩기(1100)는 3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3)에 밴딩끈을 결속하여, 최종적으로 드라이 아이스 제품이 배출되는 구성이다.
밴딩기(1100)는 테이블(1105), 밴딩끈 공급부(1110), 풀박스(1120), 아크셋(1130), 드라이브 롤러(1140)를 포함한다.
테이블(1105)은 밴딩기(1100)로 투입되는 3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3)가 거치되는 부분으로서, 밴딩기(1100) 전단과 후단의 컨베이어 벨트(10) 사이에 위치한다.
아크셋(1130)은 테이블(1105) 상부 및 측부 상에 위치하여, 테이블(1105)에 거치된 3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3) 박스의 상부와 측부를 감싸는 형태로 위치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테이블(1105) 및 아크셋(1130)의 내주면, 즉, 3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3)의 박스 측을 향하는 면은 개방된다.
밴딩끈 공급부(1110)는 밴딩기(1100)일측에 위치하여 밴딩끈이 공급되도록 한다.
풀박스(1120)는 밴딩끈 공급부(1110) 하부에 위치하며, 밴딩끈 공급부(1110) 로부터 공급된 밴딩끈이 상기 테이블(1105) 하부를 통하여 아크셋(1130)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밴딩끈 공급부(1110)와 풀박스(1120) 사이에는 공급롤러(1111, 1112)가 위치할 수 있다.
밴딩끈 공급부(1110)로부터 풀박스(1120)의 공급롤러(1111, 1112)를 통해 풀박스(1120)로 테이블(1105) 하부와 아크셋(1130) 내부로 공급되는 밴딩끈은 테이블(1105) 하측에 위치한 드라이브 롤러(1140)에 고정된다.
드라이브 롤러(1140)는 테이블(1105) 하부에 위치하여, 공급된 상기 밴딩끈을 고정하며 장력을 가한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되는 밴딩끈은 테이블(1105)에 거치된 3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3)의 둘레면을 감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아크셋(1130)은 밴딩끈이 박스 둘레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밴딩끈의 장력을 유지하며 끈의 꼬임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밴딩끈이 박스 둘레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드라이브 롤러(1140)가 동작하여 밴딩끈에 장력을 가함으로써 밴딩끈이 아크셋(1130)과 테이블(1105)의 개방부를 통하여 3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3) 측으로 조여지면서 결속되어 밴딩이 이루어진다.
이하, 도 27을 추가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를 사용하여 드라이 아이스 제품을 생산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펠렛타이저(102)에 의해 이산화탄소 입자가 생성된다(S1).
펠렛타이저(102)로 액화탄산이 공급되며, 펠렛타이저(102)는 공급되는 액화탄산을 고체화 하여 고체 상태의 이산화탄소 입자를 생성하여 리포머(101)로 투입되도록 한다.
다음, 펠렛타이저(102)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 입자가 리포머(101)에 의해 드라이 아이스(D)로 성형된다(S2).
펠렛타이저(102)에서 생성된 상기 이산화탄소 입자가 리포머(101)의 몰딩부(110)의 중공부로 투입되어 수용되어 블록 형태로 성형되며, 그리고 중공부 모서리에 형성된 라운딩부(111)에 의해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처리된 블록 형태의 드라이 아이스(D)로 성형되게 된다.
다음, 리포머(101)에서 성형된 드라이 아이스(D)가 배출된다(S3).
센서부(230)는 리포머(101)에서 성형된 드라이 아이스(D)가 배출 슈트(200)의 경사면(210) 상부에 위치하였는지를 감지한다.
그리고, 리포머(101)에서 성형된 드라이 아이스(D)가 배출 슈트(200)의 경사면(210) 상부에 위치하면, 센서부(230)에서 드라이 아이스(D)가 경사면(210) 상부에 위치한 것이 감지된다.
이후, 배출 돌기(212)가 돌출 동작하여 드라이 아이스(D)가 경사면(210)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다음, 배출 슈트(200)에서 배출된 드라이 아이스(D)가 정렬기(300)로 투입되어 정렬된다(S4).
배출 슈트(200)로부터 배출되는 드라이 아이스(D)는 정렬기(300)로 이송되어 정렬기(300)의 제1회전부(310)로 투입되며, 투입된 드라이 아이스(D)는 제1구획판(320)의 사이에 위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부(310)의 회전이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제1구획판(320) 사이에 위치된 드라이 아이스(D)가 제1구획판(320)의 동작에 따라 이동하여 정렬되어 배출된다.
다음, 정렬된 드라이 아이스(D)가 부직포 포장기(400)에서 포장되어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가 배출된다(S5).
정렬기(300)에서 정렬된 드라이 아이스(D)는 컨베이어 벨트(10)를 통하여 부직포 포장기(400)로 투입된다.
부직포 공급기의 부직포 공급부(410)로부터 부직포가 공급되어 공급롤러를 통과하면서 니들(422)에 의해 다수의 구멍이 부직포에 타공된다.
그리고, 정렬기(300)로부터 투입되는 드라이 아이스(D)는 니들(422)에 의해 타공된 부직포 내부에 수용되게 된다.
이후, 내부에 드라이 아이스(D)가 수용된 부직포가 접착부(430)로 이송되고, 접착부(430)의 동작에 의해 부직포가 접착되어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가 배출된다.
다음, 부직포 포장기(400)에서 배출되는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가 합류 유니트(500)로 투입되어 가압패드(510)에 의해 가압되며 배출되며(S6), 상기와 같이, 부직포 포장기(400)와 합류 유니트(500)가 각각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부직포 포장기(400)를 통과한 복수열의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가 복수의 합류 유니트(500)로 각각 투입되어 가압패드(510)에 의해 가압되고, 그리고, 합류 유니트(500) 후단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컨베이어 벨트(10)로 투입되어 1열로 합류되면서 배출되게 된다.
다음, 가압된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가 소정 갯수 단위로 집적된다(S7).
합류 유니트(500)에서 가압 및 합류된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가 컨베이어 벨트(10)를 통하여 더블루프 집적기(600)로 투입된다.
투입되는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는 제2회전부(610)로 투입되어 집적 유니트(612)의 상기 소정 갯수의 집적판(611) 사이로 투입되며, 제2회전부(61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제2회전부(610) 상부로 이동된다.
제2회전부(610) 상부에서 상기 집적판(611) 사이에 위치한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를 푸셔 동작하여 밀어서 제3회전부(620)의 격벽(621) 사이로 투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3회전부(620)의 격벽(621) 사이로 투입된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는, 제3회전부(620)의 회전 동작에 의한 격벽(621)의 동작에 따라서 제4회전부(630)의 제2구획판(631) 사이에 위치된다.
제2구획판(631) 사이에 위치된 상기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가 상기 제4회전부(630)의 회전 동작에 의해 배출되게 된다.
소정 갯수 단위로 집적된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가 2차로 포장된다(S8).
더블루프 집적기(600)에서 소정 갯수로 집적된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는 컨베이어 벨트(10)를 통하여 비닐 포장기(700)로 투입된다.
비닐 포장기(700)의 비닐 공급부(710)로부터 공급되는 비닐이 비닐 고정부(720)에 의해,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가 투입되는 측에 고정되면서 공간이 형성된다.
비닐 고정부(720)에 의해 고정된 비닐에 형성된 공간 내부에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가 수용되고, 비닐의 상부가 상기 랩핑부(730)에 의해 접착된다.
그리고,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가 수용되어 접착된 비닐이 절단부(740)에 의해 절단된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가 배출되게 된다.
다음, 제함기(900)에 의해 3차 포장용 박스가 멀티오토케이서(800)로 공급된다(S9).
박스가 접혀진 상태로 매거진(910)에 투입되어 거치되고, 이송바(911)의 회전에 의해 매거진(910)의 후단으로 이송된다.
리프팅부(913)가 상측으로 동작하여 매거진(910) 단부에 위치한 박스를 들어올려 제1조우판(930)과 제2조우판(940) 사이의 각 홀더에 끼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박스의 상부 양측이 상기 복수의 홀더에 각각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제2조우판(940)이 힌지동작함으로써 박스가 펼쳐지게 된다.
이후, 제1조우판(930) 및 제2조우판(940)이 하강하여, 펼쳐진 박스를 하측 봉함부(960)로 이동시킨다.
펼쳐진 박스는 하측 봉함부(960)에서 길이방향 봉함판에 의해 박스의 길이방향 하부가 접히고, 이후 측방 봉함판(962)이 축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힌지 동작하여 박스의 측방 하부가 접혀서 봉해진다.
그리고. 하측 봉함부(960)에 의해 박스의 하단부가 접혀진 상태에서 하측 테이핑부(970)에 의해 박스의 하부가 테이핑 되어 배출되어 컨베이어 벨트(10)를 통하여 멀티오토케이서(800)로 공급된다.
다음,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가 박스에 수납된다(S10).
비닐 포장기(700)에서 2차로 포장된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와, 제함기(900)에서 공금되는 박스가 각각 컨베이어 벨트(10)를 통하여 멀티 오토 케이서로 공급된다.
투입되는 상기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는 스토퍼(820)에 의해 제품 집적부(830) 일측에 정렬된다.
그리고, 제2푸셔(810)가 제품 집적부(830) 측으로 동작함에 따라 복수개로 정렬된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가 제품 집적부(830)로 투입된다.
그립부(850)가 제품 집적부(830)로 투입된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를 파지하면, 제품 집적부(830) 하부의 도어(831)가 개방된다.
이후, 그립부(850)가 도어(831)의 개방된 부분으로 하강하며, 제함기(900)로부터 박스 거치부(860)로 공급되어 박스 고정부(840)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고정된 박스 내부로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가 수납되도록 한다.
다음, 상기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가 수납된 박스가 봉함기(1000)에 의해 테이핑되어 3차 포장이 완료된다(S11).
멀티오토케이서(800)에서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가 수납된 박스가 봉함기(1000)로 컨베이어 벨트(10)에 의해 봉함기(1000)로 투입된다.
투입된 2차 드라이 아이스(D)가 수납된 박스는 가압판(1010) 하부를 지나면서 박스 상부의 길이방향 일측이 가압판(1010)에 의해 가압되어 접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박스가 가압부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 키커드럼(1020)이 박스 후단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키커드럼(1020)이 하측으로 힌지동작하여 박스 상부의 길이방향 타측을 밀어서 접히도록 한다.
이후, 박스가 봉한기 후단으로 이동되면서, 가이드부(1030)로 진입하며, 박스 상부의 길이방향 양측면이 가이드부(1030)에 접하면서 접히게 된다.
그리고, 상측 테이핑부에 의해 박스의 상부가 테이핑되어 봉해짐으로써 3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3)가 배출되게 된다.
다음, 3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3)가 밴딩되어, 최종 드라이 아이스 제품이 배출된다(S12).
봉함기(1000)로부터 배출된 3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3)가 컨베이어 벨트(10)를 통하여 뱅딩기로 투입된다.
투입된 3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3)가 테이블(1105)에 거치된다.
그리고, 밴딩끈 공급부(1110)에서 밴딩끈이 풀박스(1120)의 공급롤러를 통하여 테이블(1105) 하부를 거쳐 아크셋(1130) 내부로 공급되어, 테이블(1105) 하부에 위치한 드라이브 롤러(1140)에 고정된다.
이로써, 밴딩끈이 테이블(1105) 하부와 아크셋(1130)에 걸쳐 위치하게 되어, 테이블(1105)에 거치된 3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3)의 둘레를 감싸듯이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드라이브 롤러(1140)가 공급된 밴딩끈에 장력을 가함으로써 밴딩끈이 아크셋(1130)과 테이블(1105)의 개방부를 통하여 3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3) 측으로 조여지며 결속됨으로써 최종 드라이 아이스 제품이 완성되고, 완성된 최종 드라이 아이스 제품은 밴딩기(1100) 후단에 위치한 컨베이어 벨트(10)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생산부
200: 배출 슈트
300: 정렬기
400: 부직포 포장기
500: 합류 유니트
600: 더블루프 집적기
700: 비닐 포장기
800: 멀티오토케이서
900: 제함기
1000: 봉함기
1100: 밴딩기

Claims (18)

  1. 드라이 아이스 제품을 생산하는 장치로서,
    이산화탄소 입자를 생성하는 펠렛타이저(102) 및 상기 펠렛타이저(102)에서 생성된 상기 이산화탄소 입자를 드라이 아이스(D)로 성형하는 리포머(101)를 구비하는 생산부(100);
    상기 리포머(101)의 출구 측에 위치하며, 상기 리포머(101)에서 성형된 드라이 아이스(D)를 배출하는 배출 슈트(200);
    상기 배출 슈트(200) 후단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 슈트(200)에서 배출된 상기 드라이 아이스(D)가 투입되어 정렬되는 정렬기(300);
    상기 정렬된 드라이 아이스(D)를 포장하여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를 배출하는 부직포 포장기(400);
    상기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를 소정 갯수 단위로 집적하는 더블루프 집적기(600);
    상기 소정 갯수 단위로 집적된 상기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를 비닐 포장하여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를 배출하는 비닐 포장기(700);
    상기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를 박스에 수납하는 멀티오토케이서(800);
    상기 멀티오토케이서(800)에 상기 박스를 공급하는 제함기(900);
    상기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가 수납된 박스를 테이핑 하여 3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3)를 배출하는 봉함기(1000);
    상기 3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3)에 밴딩끈을 결속하여, 드라이 아이스 제품을 배출하는 밴딩기(1100);를 포함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머(101)는,
    내부에 사각형 공간인 중공부가 형성된 몰딩부(110);
    상기 중공부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위치하는 라운딩부(111);를 포함하며,
    상기 펠렛타이저(102)에서 생성된 상기 이산화탄소 입자가, 상기 중공부에 투입되어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처리된 블록 형태의 드라이 아이스(D)로 성형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슈트(200)는,
    상기 리포머(101)의 출구 측에 위치하며, 상기 출구 측의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면(210);
    상기 경사면(210)의 상부에서 출몰 동작 가능하게 위치하는 배출 돌기(212); 및
    상기 배출 돌기(212) 상부에 위치하는 센서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230)에 의해, 상기 리포머(101)에서 배출되는 상기 드라이 아이스(D)가 상기 경사면(210) 상부에 위치한 것이 감지되면, 상기 배출 돌기(212)가 돌출되어 상기 드라이 아이스(D)를 상기 경사면(210)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210)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개방부를 더 포함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기(300)는,
    상기 배출 슈트(20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드라이 아이스(D)가 투입되는 제1회전부(310);
    상기 제1회전부(310)의 둘레면에 다수개 위치하며, 상기 제1회전부(310)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1구획판(3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부(310)에 투입된 상기 드라이 아이스(D)가 상기 제1구획판(320)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회전부(310)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여 배출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포장기(400)는,
    상기 정렬기(300)에서 배출되는 드라이 아이스(D) 상부에 위치하는 부직포 공급부(410);
    상기 부직포 공급부(410) 일측에 위치하는 공급롤러 및 상기 공급롤러의 둘레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니들(422)을 구비하는 타공부(420); 및
    상기 부직포 공급부(410) 후단에 위치하는 접착부(430);를 포함하며,
    상기 부직포 공급부(410)에서 공급되어 상기 공급롤러를 통과하면서 상기 니들(422)에 의해 타공된 부직포 내부에 상기 드라이 아이스(D)가 수용되며, 수용된 부직포가 상기 접착부(430)에 접착되어 상기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가 배출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포장기(400) 하부에 위치하는 히팅부(431)를 더 포함하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포장기(400)와 상기 더블루프 집적장치(600) 사이에 위치하며, 그리고, 상기 부직포 포장기(400)로부터 투입되는 상기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의 상부에 위치하는 가압패드(510)가 구비되는 합류 유니트(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합류 유니트(500)로 투입되는 상기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가 상기 가압패드(510)에 의해 가압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포장기(400) 및 상기 합류 유니트(500)는 각각 복수로 구성되며,
    상기 부직포 포장기(400)와 상기 합류 유니트(500)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복수의 컨베이어 벨트(10); 및
    상기 합류 유니트(500) 후단에서 상기 복수의 컨베이어 벨트(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컨베이어 벨트(1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부직포 포장기(400)를 통과한 복수열의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가 상기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컨베이어 벨트(10)로 투입되어 1열로 합류되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루프 집적기(600)는,
    상기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가 투입되는 제2회전부(610);
    상기 제2회전부(610)의 둘레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여 상기 제2회전부(610)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소정 갯수의 집적판(611)으로 구성되며, 상기 집적판(611)의 간격보다 넓은 간격으로 배치되는 집적 유니트(612);
    상기 제2회전부(610) 일측에 위치하는 제1푸셔(613);
    상기 제2회전부(610) 일측에 위치하는 제3회전부(620);
    상기 제3회전부(620)의 둘레면에서 상기 집적 유니트(612)의 폭보다 큰폭으로 이격되어 다수개 위치하며, 상기 제3회전부(62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연동하여 동작하는 격벽(621);
    상기 제3회전부(620) 후단에 위치하는 제4회전부(630); 및
    상기 제4회전부(630) 둘레면에서 상기 제4회전부(63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2구획판(631);을 포함하며,
    상기 제2회전부(610)로 투입되는 상기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가 상기 집적 유니트(612)의 상기 소정 갯수의 집적판(611) 사이에 투입되어 소정 단위 갯수로 집적되고, 상기 소정 갯수로 집적된 상기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가 상기 푸셔에 의해 상기 격벽(621)사이로 투입되어 상기 제3회전부(62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제2구획판(631)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4회전부(630)의 회전 동작에 의해 배출되는,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포장기(700)는,
    상기 소정 갯수 단위로 집적된 상기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를 포장하기 위한 비닐을 공급하는 비닐 공급부(710);
    투입되는 상기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 측에 위치하는 비닐 고정부(720);
    상기 비닐 고정부(720) 후단에 위치하는 랩핑부(730);
    상기 랩핑부(730) 후단에 위치하는 절단부(740);를 포함하며,
    상기 비닐 공급부(710)로부터 공급되는 비닐이 상기 비닐 고정부(720)를 통하여 상기 투입되는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 측에 고정되며, 고정된 상기 비닐에 형성된 공간 내부에 상기 1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1)가 수용되고, 상기 비닐의 상부가 상기 랩핑부(730)에 의해 접착되며, 접착된 비닐이 상기 절단부(740)에 의해 절단되어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가 배출되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포장기(700) 하부에 위치하는 히팅부(750)를 더 포함하는,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오토케이서(800)는,
    상기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가 투입되는 측에 위치하는 스토퍼(820);
    투입되는 상기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 일측 상부에서 왕복 동작 가능하도록 위치하는 제2푸셔(810);
    투입되는 상기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 타측에 위치하며, 개폐동작 가능하게 구성되는 도어(831)를 구비하는 제품 집적부(830);
    상기 제품 집적부(830) 상부에서 상하동작 가능하게 위치하는 그립부(850);
    상기 제품 집적부(830) 하부에 위치하며, 공급되는 박스가 거치되는 박스 거치부(860); 및
    상기 박스 거치부(860) 상부에서 힌지동작 가능하게 위치하는 박스 고정부(840);를 포함하며,
    투입되는 상기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가 상기 스토퍼(820)에 의해 상기 제품 집적부(830) 일측에 정렬되고, 상기 제2푸셔(810)가 동작하여 복수개의 상기 정지된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를 상기 제품 집적부(830)로 투입되도록 하며, 상기 그립부(850)가 상기 제품 집적부(830)로 투입된 상기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를 파지하고, 상기 도어(831)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부(850)가 하강하여, 상기 제함기(900)로 부터 상기 박스 거치부(860)로 공급되어 상기 박스 고정부(840)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고정된 박스 내부로 상기 파지된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가 수납되어 배출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집적부(830)는 상기 비닐 포장기(700)의 후단보다 높게 위치하고,
    상기 비닐 포장기(700)와 상기 멀티오토케이서(800) 전단 측에 위치하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0)는 경사를 이루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함기(900)는,
    전단으로 투입된 박스가 거치되는 매거진(910);
    상기 매거진(910)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며, 길이방향 둘레면에 형성된 나사산(91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매거진(910)에 투입된 박스를 후단으로 이송하는 이송바(911);
    상기 매거진(910)의 후단부 상측에 위치하는 제1조우판(930);
    상기 제1조우판(930)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힌지동작 가능하게 위치하는 제2조우판(940);
    상기 제1조우판(930)과 상기 제2조우판(940)이 대향하는 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홀더;
    상기 매거진(910) 후단부 하측에서 상하동작 가능하도록 위치하는 리프팅부(913);
    상기 리프팅부(913) 후단에 위치하는 하측 봉함부(960); 및
    상기 박스 봉함부 후단에 위치하는 하측 테이핑부(970);를 포함하며,
    상기 매거진(910)에 투입되어 거치된 박스가 상기 이송바(9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매거진(910)의 후단으로 이송되고, 상기 리프팅부(913)가 상측으로 동작하여 상기 매거진(910) 단부에 위치한 박스를 들어올려 상기 제1조우판(930)과 상기 제2조우판(940) 사이의 상기 각 홀더에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박스의 상부 양측이 상기 복수의 홀더에 각각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조우판(940)이 힌지동작하여 상기 박스가 펼쳐지고, 상기 제1조우판(930) 및 상기 제2조우판(940)이 하강하여 상기 펼쳐진 박스를 상기 하측 봉함부(960)로 이동 시키고, 상기 하측 봉함부(960)에 의해 상기 박스의 하단부가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하측 테이핑부(970)에 의해 상기 박스의 하부가 테이핑 되어 배출되는,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함기(1000)는,
    투입되는 상기 2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2)가 수납된 박스 상부에 위치하는 가압판(1010);
    상기 가압판(1010)의 전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힌지 동작 가능하게 위치하는 키커드럼(1020);
    상기 가압판(1010) 후단에 위치하며, 가압판(1010) 중앙으로부터 양측을 향하여 각각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부(1030); 및
    상기 가이드부(1030) 후단에 위치하는 상측 테이핑부(1040);를 포함하며,
    투입된 상기 2차 드라이 아이스(D)가 수납된 박스는, 상기 가압판(1010) 하부를 지나면서 상기 박스 상부의 길이방향 일측이 접히며, 상기 키커드럼(1020)이 하측으로 힌지동작하여 상기 박스 상부의 길이방향 타측이 접히고, 상기 가이드부(1030)에 의해 상기 박스 상부의 길이방향 양측면이 접힌 상태에서 상측 테이핑부(1040)에 의해 상기 박스의 상부가 테이핑되어 봉해진 3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3)가 배출되는,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기(1100)는,
    상기 봉함기(1000)로부터 투입되는 3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3)가 거치되는 테이블(1105);
    상기 테이블(1105)에 거치된 상기 3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3)의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하는 아크셋(1130);
    상기 아크셋(1130) 일측에 위치하는 밴딩끈 공급부(1110);
    상기 밴딩끈 공급부(1110)와 상기 아크셋(113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밴딩끈 공급부(1110)로부터 공급되는 밴딩끈을 상기 테이블(1105) 하부를 통하여 상기 아크셋(1130)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풀박스(1120); 및
    상기 테이블(1105) 하부에 위치하며, 공급된 상기 밴딩끈에 장력을 가하는 드라이브 롤러(1140);를 포함하며,
    투입된 3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3)가 상기 테이블(1105)에 거치되고, 상기 밴딩끈 공급부(1110)에서 밴딩끈이 상기 풀박스(1120)를 통하여 상기 테이블(1105) 하부를 거쳐 상기 아크셋(1130)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드라이브 롤러(1140)가 상기 공급된 밴딩끈에 장력을 가하여 상기 밴딩끈이 상기 3차 포장 드라이 아이스(3) 측으로 조여지며 결속됨으로써 최종 드라이 아이스 제품이 배출되는,
    장치.
  18. 삭제
KR1020200121471A 2020-09-21 2020-09-21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 KR102412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471A KR102412644B1 (ko) 2020-09-21 2020-09-21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471A KR102412644B1 (ko) 2020-09-21 2020-09-21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520A KR20220040520A (ko) 2022-03-31
KR102412644B1 true KR102412644B1 (ko) 2022-06-28

Family

ID=80934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471A KR102412644B1 (ko) 2020-09-21 2020-09-21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6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109B1 (ko) * 2022-09-13 2023-04-03 주식회사 미종월드 드라이아이스 생산성 향상 및 위생적인 생산이 가능한 전자동화 드라이아이스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0918A (ja) 2005-03-03 2006-09-14 Nippon Tansan Kk ドライアイス製造装置
JP2009196838A (ja) 2008-02-20 2009-09-03 Ekipo Kk ドライアイス製造装置
JP2016030703A (ja) 2014-07-28 2016-03-07 日本液炭株式会社 ドライアイスの貯蔵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723B2 (ja) * 1997-06-25 2000-01-24 工業技術院長 金の精製方法
KR101347779B1 (ko) * 2012-06-01 2014-01-06 주식회사 엠피아이 박스 다중 밴딩장치
KR101458769B1 (ko) 2013-04-17 2014-11-07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드라이아이스 블록 제조방법
KR20150117368A (ko) * 2014-04-09 2015-10-20 에코보보스 주식회사 드라이아이스 제조장치
KR101603419B1 (ko) * 2014-05-30 2016-03-15 주식회사 우도산기 삼면포 포장식품 집적장치
KR20170034965A (ko) * 2015-09-21 2017-03-30 주식회사 우도산기 박스내의 제품 자동수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0918A (ja) 2005-03-03 2006-09-14 Nippon Tansan Kk ドライアイス製造装置
JP2009196838A (ja) 2008-02-20 2009-09-03 Ekipo Kk ドライアイス製造装置
JP2016030703A (ja) 2014-07-28 2016-03-07 日本液炭株式会社 ドライアイスの貯蔵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게시물(http://xn--hy1bv3cvvmnc83jgzf3pbzyfba67c.com/gnuboard4/bbs/board.php?bo_table=sub0301&wr_id=4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520A (ko)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0313B1 (en) Packaging filler product and machine for producing same
EP0625112B1 (en) Vacuum pack machine for french fries
KR101318672B1 (ko) 완충재 자동 투입 장치 및 방법
CA1291020C (en) Apparatus for packaging resiliently compressible articles
US5392591A (en) Hay recompression and netting machine
US4738078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wrapping objects, especially quadrangular block-like objects with a web-like wrapping material
US6702118B2 (en) Packaging a strip of material
US6751926B1 (en) Packaging filler product and machine for producing same
KR970059040A (ko) 포대들 및 그 내용물을 통합 포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412644B1 (ko)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
WO1998014315A1 (en) Making foam cushioning panels for packaging purposes
KR102412645B1 (ko)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드라이 아이스 제품 생산방법
US637929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nd packing foil bags
US5314286A (en) Apparatus for bagging product units
KR20130019787A (ko) 종이컵 자동 포장 장치
EP0438151B1 (en) Automatic wrapping method of cylindrical articles, particularly plastic bobbins and apparatus therefor
US6779321B1 (en) Machine and method for bagging elongated produce
CN112722363A (zh) 一种初烤烟叶包装运转方法及其应用
JP3188488B2 (ja) 低密度ポリエチレンフィルムを用いた包装方法
CN106542157B (zh) 一种包装装置和包装方法
JPH0532226A (ja) 包装装置
CN113386994B (zh) 一种包装盒捆扎机
JPH07267205A (ja) ガス発生物質の連続包装方法
CA1136589A (en) Method of shipping and dispensing a web of interconnected bags
JP2000128119A (ja) 積層シート包装装置及び積層シート包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