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550B1 -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550B1
KR102412550B1 KR1020200103354A KR20200103354A KR102412550B1 KR 102412550 B1 KR102412550 B1 KR 102412550B1 KR 1020200103354 A KR1020200103354 A KR 1020200103354A KR 20200103354 A KR20200103354 A KR 20200103354A KR 102412550 B1 KR102412550 B1 KR 102412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back frame
recliner
installation device
vehic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2324A (ko
Inventor
남상욱
Original Assignee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3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550B1/ko
Priority to PCT/KR2021/010491 priority patent/WO2022039426A1/ko
Publication of KR20220022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2Jo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 B60N2/422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due to impact coming from th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 B60N2/42745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of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6Panel lik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8Particular seat belt attachment and gu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2Joining means
    • B60N2002/684Joining means the back rest being mounted or joined with an easy attachment system to the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는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와 상기 시트백 프레임은 서로 이종 재질로 형성하여 기존에 설치되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설치위치와 형상의 최적화를 통해 부품수 감소를 통해 경량화를 도모하고, 조립공차 감소를 통해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감소하고, 자동차의 연비와 안전성 및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는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MOUNTING DEVICE FOR RECLINER OF SEAT BACK FRAME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백 프레임은 복합소재로 형성되고,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는 금속소재로 형성됨에 따라 충돌과 같은 돌발상황에서 복합소재보다 에너지 흡수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금속소재가 소성변형하면서 에너지를 흡수하여 복합소재만 형성되거나 금속소재로만 형성되는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과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 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은 뒷좌석 뒤에 위치한 화물이 차량의 급정거로 인해 앞으로 갑자기 이동할 시 승객의 안전을 보호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차량에 구비된 좌석(seat)은 탑승자의 착석 시 하체를 지지하는 쿠션 프레임(cushion frame)과,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는 구조를 갖도록 쿠션 프레임에 결합되어 탑승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 프레임(seatback frame)으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스틸 시트백 프레임(3)은 금속 특히, 스틸(STEEL)로 형성되었다. 이처럼, 금속으로 자동차용 시트백 프레임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지만, 중량이 무거워 자동차 연비가 저하되고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종래 금속소재로 형성되는 자동차용 스틸 시트백 프레임(3)은 중량이 무거워 자동차의 경량화와 소형화를 도모할 수 없고, 최종적으로 자동차의 연비를 개선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금속소재로 형성되는 자동차용 스틸 시트백 프레임(3)은 부품수가 많아 공정이 증가되어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이 증가하고, 작업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동차의 경량화 및 연비 향상을 고려하여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을 경량소재로 대체할 필요성이 요구되었고, 스틸(STEEL)을 대체할 수 있는 경량소재의 시트백 프레임은 트렁크에 위치한 화물이 급정거로 인해 앞으로 이동할 때 승객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중량 절감 효과까지 고려되어야 한다.
종래 유리섬유가 보강된 복합재가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스틸(STEEL) 정도의 강도를 가지려면 많은 량의 유리섬유가 보강재로 사용되어야 하므로, 추가적으로 경량화가 요구된다. 이런 요구에 만족할 수 있는 소재가 탄소섬유이다. 탄소섬유는 적은 량으로도 고강도의 물성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복합재의 보강재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전에 공지된 보강 기술은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보강재가 단독으로 적용되는 경우이며 탄소섬유 단독의 경우 경량화 효과 및 강도 증가 효과는 탁월하지만, 탄소섬유의 높은 가격으로 인한 경제성 문제로 상업적 적용이 어려움이 있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 복합소재로 형성되는 자동차용 복합소재 시트백 프레임(2)은 강도를 확보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복합소재로 형성되는 자동차용 복합소재 시트백 프레임(2)은 강성 과다로 인한 자체 에너지 흡수율 저하로 인해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에너지를 흡수하지 않아 주변 상관 부품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복합소재로 형성되는 자동차용 복합소재 시트백 프레임(2)의 적정 수준의 강도(strength) 유지에는 도움이 되나 제품의 강성(stiffness)을 충분히 높이는데에 한계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용 시트백 프레임의 강성(stiffness)은 강도(sterngth)와는 다른 개념으로 강도는 물체의 강한 정도 다시 말해 재료에 하중이 걸린 경우 재료가 파괴되기까지의 변형저항을 의미함에 반해, 강성(stiffness)은 재료의 딱딱한 정도 혹은 단단한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자동차용 시트백 프레임의 경우에는 감성품질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탑승자가 착좌시, 시트의 폴딩 다운시, 암레스트를 눌렀을 때에 시트백 프레임의 강성이 부족할 경우 꿀렁거림이 발생되는 것과 같은 것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이러한 감성품질은 사람마다 다르게 느끼기 때문에 평가기준을 정량화하기는 어렵지만 이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강도 보강을 통해 국제 성능 법규를 만족하는 제품 강도를 확보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강성 부족 현상은 여전히 발생되고 있다.
결국,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하중이 많이 걸리는 부분에 변형이 발생하나 에너지 흡수율이 감소하여 소성변형까지 발생하지 않거나 일부 소성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리클라이너가 결합되는 톱니에 마모가 발생하여 리클라이너의 락킹 기능이 상실되어 국제 성능 법규를 불만족하게 되고, 작동하여도 소음을 유발하여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하고, 이를 유지보수하거나 교체하기 위해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금속소재로 형성되는 자동차용 스틸 시트백 프레임(3)은 하중이 많이 걸리는 부분에 소성 변형이 발생하여 하중이 분산됨에 따라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인 리클라이너 마운팅부의 손상이 미미함에 따라 주변 부품에 손상이나 파손을 주지 않아 국제 성능 법규를 만족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나, 여전히 부품수가 증가하여 경량화와 소형화를 도모할 수 없고, 최종적으로 자동차 연비를 개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 특히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경량화와 소형화를 도모하여 자동차 연비와 성능을 개선하면서 주변 부품에 손상이나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복합소재와 금속소재의 하이브리드 2열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20-0082913호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일반적으로 SUV 2열 자동치 시트백 프레임은 6:4 타입의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과 독립된 자석을 가지지만 양옆의 좌석이 좁아지는 4:2:4 타입의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차이는 소비자의 선호도에 의한 상품성으로 인해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다만,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20-0082913호와 같이 보강부를 추가하는 경우에는 부품수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자동차 연비개선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없고, 조립공차와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보강부가 설치되는 위치를 심층분석하여 기존에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장치를 금속소재로 형성하고, 형상과 위치의 최적화를 통해 부품수 감소에 따른 경량화를 통해 연비를 개선하고, 조립공차를 감소하고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감소할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20-0082913호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2-0083803호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20-007883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 특히 SUV 2열 시트백 프레임은 복합소재로 형성하고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는 금속소재로 형성하여 충돌과 같은 돌발상황에서 복합소재보다 에너지 흡수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금속소재가 소성변형하면서 에너지를 흡수함에 따라 주변 부품에 악영향 미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과 신뢰성 및 안정성을 극대화하고, 기존 금속소재로만 형성되는 시트백 프레임과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보다 경량화를 도모하며, 복합소재로만 형성되는 시트백 프레임보다 강성 품질과 강도 품질을 증대시키고, 금속소재로 형성되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에 서포트부, 조인트부, 결합부 등을 간편하게 용접 등을 통해 부가함에 따라 조립공차와 조립시간을 감소하여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절감하고,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최종적으로 자동차의 연비와 안정성 및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는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 설치장치는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는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와 상기 시트백 프레임은 서로 이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 설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 설치장치는 시트 벨트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서포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체결되는 커넥트부; 상기 베이스부의 인접한 상기 커넥트부의 선단에서 상기 커넥트부와 대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브릿지부; 및 일측이 상기 커넥트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브릿지부에 연결되는 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 설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 설치장치는 암레스트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 설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 설치장치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 타측에서 상기 서포트부와 대응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 설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 설치장치는 암레스트 래치와 결합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 타측에서 형성되는 조인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 타측에 상기 서포트부와 대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타측에서 상기 서포트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연장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힌지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 설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 설치장치의 상기 베이스부는 수직방향의 폭이 하광상협 형태로 형성되는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와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본체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 설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 설치장치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 높이방향으로 함임 형성되는 그루브부; 및 리클라이너를 가거치하기 위해 상기 그루브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 설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 설치장치의 상기 시트백 프레임은 LWRT, SMC, GMT, LFT, CFRTPC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2개 이상의 합성물로 형성되고, 상기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는 스틸과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는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 특히 SUV 2열 시트백 프레은 복합소재로 형성하고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는 금속소재로 형성하여 충돌과 같은 돌발상황에서 복합소재보다 에너지 흡수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금속소재가 소성변형하면서 에너지를 흡수함에 따라 주변 부품에 악영향 미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과 신뢰성 및 안정성을 극대화하고, 주변 부품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를 교체하기 위한 시간이나 비용을 절감함에 따라 최종적으로 자동차의 유지비용과 시간을 감소하여 비용과 자원 낭비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는 기존 금속소재로만 형성되는 시트백 프레임과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보다 경량화를 도모하며, 복합소재로만 형성되는 시트백 프레임보다 강성 품질과 강도 품질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는 금속소재로 형성되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에 서포트부, 조인트부, 결합부 등을 간편하게 용접 등을 통해 부가함에 따라 조립공차와 조립시간을 감소하여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절감하고, 작업자의 편의를 향상하며, 시트백 프레임 모듈의 전체적인 생산단가를 감소하여 판매와 수출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는 자동차의 경량화와 소형화를 도모하여 자동차의 연비와 안정성 및 신뢰성을 개선하고, 자동차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스틸소재로만 형성되는 자동차용 시트백 프레임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종래 복합소재로만 형성되는 자동차용 시트백 프레임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종래 복합소재로만 형성되는 자동차용 시트백 프레임의 호주 ADR 34/02 법규 평가시험을 수행하는 사진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시험을 통해 주변 부품이 손상된 상태의 사신을 나타낸다.
도 5는 종래 금속소재로만 형성되는 자동차용 시트백 프레임의 호주 ADR 34/02 법규 평가시험을 수행하는 사진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가 설치된 시트백 프레임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6의 A부분의 투명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가 설치된 시트백 프레임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가 설치된 시트백 프레임의 카고 시큐어링 평가시험을 수행하는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도 11에 의한 카고 시큐어링 평가시험의 데이터 해석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도 11에 의한 카고 시큐어링 평가시험의 데이터 해석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종래 스틸소재로만 형성되는 시트백 프레임에 대해 도 5에 의한 호주 ADR 34/02 법규 평가시험을 수행한 상태에서 평가시험의 데이터 해석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가 설치된 시트백 프레임에 대해 도 5에 의한 호주 ADR 34/02 법규 평가시험을 수행한 상태에서 평가시험의 데이터 해석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16은 종래 스틸소재로만 형성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프레임에 대해 도 5에 의한 호주 ADR 34/02 법규 평가시험을 수행한 상태에서 평가시험의 데이터 해석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가 설치된 시트백 프레임에 대해 도 5에 의한 호주 ADR 34/02 법규 평가시험을 수행한 상태에서 평가시험의 데이터 해석에 대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가 설치된 6:4 타입의 시트백 프레임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7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8은 도 6의 A부분의 투명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가 설치된 4:2:4 타입의 시트백 프레임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0은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가 설치된 시트백 프레임의 카고 시큐어링 평가시험을 수행하는 개념도를 나타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6:4 타입의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도 11에 의한 카고 시큐어링 평가시험의 데이터 해석에 대한 그래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4:2:4 타입의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도 11에 의한 카고 시큐어링 평가시험의 데이터 해석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종래 스틸소재로만 형성되는 시트백 프레임에 대해 도 5에 의한 호주 ADR 34/02 법규 평가시험을 수행한 상태에서 평가시험의 데이터 해석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가 설치된 6:4 타입의 시트백 프레임에 대해 도 5에 의한 호주 ADR 34/02 법규 평가시험을 수행한 상태에서 평가시험의 데이터 해석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16은 종래 스틸소재로만 형성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프레임에 대해 도 5에 의한 호주 ADR 34/02 법규 평가시험을 수행한 상태에서 평가시험의 데이터 해석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가 설치된 4:2:4 타입의 시트백 프레임에 대해 도 5에 의한 호주 ADR 34/02 법규 평가시험을 수행한 상태에서 평가시험의 데이터 해석에 대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수평방향"이란 동일부재에서 길이방향인 가로방향, 즉 도 6 및 도 9에서 X축방향을 의미하고, "수직방향"이란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면서 동일부재에서 세로방향, 즉 도 6 및 도 9에서 Y축방향을 의미하며,"높이방향"이란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에 대해 직교하면서 동일부재에서 상하방향, 즉 도 6 및 도 9에서 Z축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또한, 상방(상부)이란 "높이방향"에서 위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방(하부)이란 "높이방향"에서 아래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일측(일단)"과 "타측(타단)"이란 동일부재에서 수평방향이나 수직방향 또는 높이방향으로 양쪽 중 어느 한쪽 선단을 의미한다.
도 6 내지 도 1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가 설치된 자동치 시트백 프레임은 일반 자동차뿐만 아니라 SUV 자동차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자동차의 1열인 전방시트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2열인 후방시트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SUV 2열 자동치 시트백 프레임은 6:4 타입의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과 독립된 자석을 가지지만 양옆의 좌석이 좁아지는 4:2:4 타입의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차이는 소비자의 선호도에 의한 상품성으로 인해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즉, 6:4 타입의 시트백 프레임(10)은 전체적으로 60%를 차지하는 메인 시트백 프레임과 40%를 차지하는 보조 시트백 프레임의 2개로 형성되고 암레스트가 60%FMF 차지하는 메인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된다. 이와 달리 4:2:4 타입의 시트백 프레임(20)은 전체적으로 40%를 차지하는 메인 시트백 프레임이 상호 대응하면서 마주하도록 형성되고, 중간에 20%를 차지하는 영역에 암레스트가 거치된다.
이처럼, 6:4 타입의 시트백 프레임(10)과 4:2:4 타입의 시트백 프레임(20)의 기본적인 구조가 상이함에 따라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구성이 일부 변경되어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도 6 내지 도 8 및 도 11, 도 12, 도 14 내지 도 15는 6:4 타입의 시트백 프레임(10)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고, 도 9 내지 도 10, 도 13, 도 16 내지 도 17은 4:2:4 타입의 시트백 프레임(20)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를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100)는 고정부(110), 베이스부(120), 및/또는 서포트부(130)를 포함한다.
고정부(110)는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된다. 즉, 고정부(110)는 6:4 타입의 시트백 프레임(10) 또는 4:2:4 타입의 시트백 프레임(20)에 볼트-너트, 리벳, 보스-스크, 용접 등을 통해 결합 설치된다.
베이스부(120)는 고정부(110)를 지지하면서 시트백 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베이스부(120)는 6:4 타입의 시트백 프레임(10) 또는 4:2:4 타입의 시트백 프레임(20)에 볼트-너트, 리벳, 보스-스크를 통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설치되어 고정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고정부를 지지한다.
이러한 베이스부(120)는 수직방향의 폭이 하광상협 형태로 형성되는 제1 본체부(121)와 제1 본체부와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제1 본체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본체부(122)로 형성된다.
즉, 베이스부(120)는 높이방향의 하부에서 상부로 점차 수직방향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제1 본체부와 이러한 제1 본체부와 높이방향으로 대칭되면서 마주하여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제2 본체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볼트 또는 리벳 등으로 통해 서로 결합된다.
이처럼, 베이스부(120)의 제1 본체부(121)와 제2 본체부(122)가 하광상협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기본적인 강성은 유지하면서 충돌시에 에너지를 흡수하여 소성변형되어 주변 상관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고,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하여 경량화를 통해 자동차의 연비를 개선한다. 또한, 베이스부(120)의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가 하광상협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탑승자가 좌석에 착설할 때에 탑승자의 허리 굴곡에 따라 탑승자를 지지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100)와 시트백 프레임(10, 20)은 서로 이종 재질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6:4 타입의 시트백 프레임(10)과 4:2:4 타입의 시트백 프레임(20)은 LWRT(low weight reinforced thermoplastics), SMC(sheet molding compound), GMT(glas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s), LFT(Long Fiber Thermoplastics), CFRTPC(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2개 이상의 합성물로 형성되고,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100)는 스틸과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성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100)는 스틸 SAPH440, SPFC590, SPFC780으로 형성된다.
서포트부(130)는 시트 벨트를 설치하기 위해 베이스부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다. 즉, 서포트부(130)는 시트 벨트를 설치하기 위한 시트 벨트 브라켓으로 베이스부 중에서 제2 본체부에 용접을 통해 체결된다.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서포트부(130)는 커넥트부(131), 브릿지부(132), 및 링크부(133)을 포함한다.
커넥트부(131)는 베이스부의 상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시트백 프레임에 체결된다. 즉, 커넥트부는 베이스부 중에서 제2 본체부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용접되어 결합되고, 시트백 프레임에 볼트를 통해 체결된다.
브릿지부(132)는 베이스부의 인접한 커넥트부의 선단에서 커넥트부와 대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브릿지부는 베이스부에 인접한 커넥트부의 선단에서 커넥트부가 오른쪽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반대방향인 왼쪽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브릿지부(132)는 커넥트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용접 등을 통해 추가 결합 설치될 수 있다.
링크부(133)는 일측이 커넥트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브릿지부에 연결된다.
이처럼, 서포트부(130) 또한 금속소재로 형성됨에 따라 용접에 의해 베이스부에 결합됨에 따라 작업자가 시트백 프레임에 직접 시트 벨트를 설치하기 위한 시트 벨트 앵커리지 브라켓을 조립하는 것보다 작업자의 편의를 극대화하고, 조립공차를 감소하여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는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 특히 SUV 2열 시트백 프레은 복합소재로 형성하고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는 금속소재로 형성하여 충돌과 같은 돌발상황에서 복합소재보다 에너지 흡수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금속소재가 소성변형하면서 에너지를 흡수함에 따라 주변 부품에 악영향 미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과 신뢰성 및 안정성을 극대화하고, 주변 부품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를 교체하기 위한 시간이나 비용을 절감함에 따라 최종적으로 자동차의 유지비용과 시간을 감소하여 비용과 자원 낭비를 예방할 수 있고, 기존 금속소재로만 형성되는 시트백 프레임과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보다 경량화를 도모하며, 복합소재로만 형성되는 시트백 프레임보다 강성 품질과 강도 품질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6:4 타입의 시트백 프레임(10)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100)는 고정부와 베이스부 및 서포트부 이외에 결합부(140) 및/또는 보완부(150)를 더 포함한다.
결합부(140)는 암레스트를 설치하기 위해 베이스부의 하부에 형성된다. 즉,결합부는 암레스트를 설치하기 위한 암레스트 브라켓으로 용접을 통해 베이스부의 하부에 체결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결합부(140)는 바디부(141) 및 절곡부(142)를 포함한다.
바디부(141)는 시트백 프레임에 볼트를 통해 고정 체결되어 베이스부를 지지한다.
절곡부(142)는 바디부의 일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즉, 절곡부(142)에 암레스트의 일측이 결합된다.
이처럼, 결합부(140) 또한 금속소재로 형성됨에 따라 용접에 의해 베이스부에 결합됨에 따라 작업자가 시트백 프레임에 직접 암레스트를 설치하기 위해 암레스트 브라켓을 조립하는 것보다 작업자의 편의를 극대화하고, 조립공차를 감소하여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보완부(150)는 베이스부의 상부 타측에서 서포트부와 대응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보완부는 베이스부 중 제1 본체부 상부 타측에서 서포트부와 대응하면서 마주하도록 왼쪽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보완부는 볼트를 통해 6:4 시트백 프레임에 체결되어 시트 벨트 앵커리지의 강도와 베이스부를 지지한다.
이처럼, 보완부(150) 또한 금속소재로 형성됨에 따라 용접에 의해 베이스부에 결합됨에 따라 작업자가 시트백 프레임에 직접 시트 벨트 앵커리지를 설치하고 이를 지지하기 위해 보완 브레켓을 조립하는 것보다 작업자의 편의를 극대화하고, 조립공차를 감소하여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6:4 타입의 시트백 프레임(10)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100)의 고정부(110)는 그루브부(111) 및 가이드부(112)를 포함한다.
그루브부(111)는 고정부의 상단에 높이방향으로 함임 형성된다.
가이드부(112)는 리클라이너를 가거치하기 위해 그루브부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SUV의 2열 시트 조립시에 쿠션 프레임 선 안착 후에 6:4 타입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홈을 리클라이너에 맞춰 가거치한다. 이때 리클라이너 가거치를 위한 가이드부가 없다면 리클라이너와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볼트 공채시에 위치 규제가 필요하여 작업자의 불편을 초래하고, 조립공차와 조립시간을 증대시키고, 결과적으로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증대를 초래한다.
또한, 6:4 타입의 복합소재 시트백 프레임은 가이드부의 돌출이 불가하고 특히 후면부의 폐단면이 아닌 개단면으로 가거치가 되더라도 후면부의 개단면으로 인해 리클라이너 이탈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는 고정부에 그루브부와 가이드부가 후크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리클라이너 가거치가 용이함에 따라 리클라이너 가거치를 용이하게 하고, 조립공차와 조립시간을 감소하여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감소하고,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며,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4:2:4 타입의 시트백 프레임(20)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100)는 고정부와 베이스부 및 서포트부 이외에 조인트부(160)를 더 포함한다.
조인트부(160)는 암레스트 래치와 결합하기 위해 베이스부의 상부 타측에서 형성된다. 즉, 조인트부는 4:2:4 타입의 시트백 프레임에 암레스트를 결합하기 위해 암레스트에 형성된 래치와 결합하도록 베이스부 중에서 제1 본체부의 상부에 용접을 통해 체결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6:4 타입의 시트백 프레임(10)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100)의 조인트부(160)는 연장부(161) 및 힌지핀(162)을 포함한다.
연장부(161)는 베이스부의 상부 타측에 서포트부와 대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연장부(161)는 베이스부 중 제1 본체부의 상부 타측에서 서포트와 반대되도록 왼쪽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힌지핀(162)는 연장부의 타측에서 서포트부와 대향하도록 연장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힌지핀은 연장부의 왼쪽에서 왼쪽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암레스트 래치와 결합된다.
이처럼, 조인트부(160) 또한 금속소재로 형성됨에 따라 용접에 의해 베이스부에 결합됨에 따라 작업자가 암레스트 브라켓을 별도로 조립하는 것보다 작업자의 편의를 극대화하고, 조립공차를 감소하여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는 금속소재로 형성되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에 서포트부, 조인트부, 결합부 등을 간편하게 용접 등을 통해 부가함에 따라 조립공차와 조립시간을 감소하여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절감하고, 작업자의 편의를 향상하며, 시트백 프레임 모듈의 전체적인 생산단가를 감소하여 판매와 수출증대를 도모할 수 있고, 자동차의 경량화와 소형화를 도모하여 자동차의 연비와 안정성 및 신뢰성을 개선하고, 자동차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도 11 내지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6:4 타입 시트백 프레임과 4:2:4 타입 시트백 프레임은 복합소재로 형성하고, 이들에 각각 설치되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 금속소재로 형성하고,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에 기존의 암레스트 브라켓, 시트 벨트 브라켓을 용접을 통해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에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에서 소성변형이 발생하고 이러한 소성변형을 통해 에너지 흡수율이 증가하여 주변 부품에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안전성과 신뢰성이 증가하는 것을 도 11 내지 도 17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를 6:4 타입의 시트백 프레임과 4:2:4 타입의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한 상태에서 도 11과 같이 카고(30)를 충돌시켜 카고 시큐어링 평가를 진행한 결과 도 12와 같이 6:4 타입의 시트백 프레임에 카고의 충돌에 의한 충돌 에너지의 대부분이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100)로 흡수되고, 도 13과 같이 4:2:4 타입의 시트백 프레임에 카고의 충돌에 의한 충돌 에너지의 대부분이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100)로 흡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6:4 타입의 스틸 시트백 프레임에 호주 ADR 34/02 법규 평가시험을 수행한 결과 고정부인 리클라이너의 변화량이 대략 7.2mm이고, 도 16에 도시된 것러럼, 4:2:4 타입의 스틸 시트백 프레임에 호주 ADR 34/02 법규 평가시험을 수행한 결과 고정부인 리클라이너의 변화량이 대략 7.2mm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6:4 타입의 복합소재 시트백 프레임에 본 발명에 의한 스틸로 형성된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를 설치한 상태에서 호주 ADR 34/02 법규 평가시험을 수행한 결과 고정부인 리클라이너의 변화량이 대략 8.2mm이고, 도 16에 도시된 것러럼, 4:2:4 타입의 복합소재 시트백 프레임에 본 발명에 의한 스틸로 형성된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를 설치한 상태에서 호주 ADR 34/02 법규 평가시험을 수행한 결과 고정부인 리클라이너의 변화량이 대략 2.3mm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6:4 타입의 경우 기존 스틸 시트백 프레임의 변형량보다 더욱 많은 소성변형을 통해 충돌시 에너지를 본 발명에 의한 스틸로 형성된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가 모두 흡수하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
또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4:2:4 타입의 경우 기존 스틸 시트백 프레임의 변형량보다 다소 적은 소성변형이 발생하였으나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간에 암레스트가 설치되어 암레스트 부분도 함께 소성변형됨에 따라 충돌시 에너지를 본 발명에 의한 스틸로 형성된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와 암레스트가 분할하여 흡수하여 모두 흡수하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20-0082913호와 같이 보강부를 추가하는 경우에는 부품수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자동차 연비개선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없고, 조립공차와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보강부가 설치되는 위치를 심층분선한 결과 기존에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센터 리클라이너 마운팅 브라켓이 보강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보강부를 추가 설치하는 대신에 기존의 센터 리클라이너 마운팅 브라켓의 위치와 형상을 최적화하여 설계하고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를 금속으로 형성하여 설치함에 따라 추가적인 부품수 증가를 방지하여 경량화를 통해 연비를 개선하고, 추가적인 부품 조립을 방지하고,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가 금속으로 형성됨에 따라 이러한 금속부재에 기존의 암레스트 브라켓, 시트 벨트 브라켓을 용접 등을 통해 간단하게 조립하고, 추가적인 부품 조립은 배제하여 조립공차를 감소하고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감소하게 되었다.
본원발명은 종래와 같이 단순히 복합소재의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과 이종소재의 브라켓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존에 복합소재로만 형성되는 시트백 프레임과 금속소재의 시트백 프레임의 모두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20-0082913호의 본 출원인의 이전의 발명의 문제점인 추가적인 부품의 추가에 따른 조립공정 증가와 경량화 불가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센터 리클라이너 마운팅 브라켓인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설치위치와 형상을 최적화하고, 주변에 추가 설치되는 부품도 센터 리클라이너 마운팅 브라켓인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에 용접을 통해 일체화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최적화된 시트백 프레임과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길이와 높이의 비율은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6:4 타입의 복합소재 시트백 프레임(10)과 이에 설치되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100)의 길이의 비율은 0.03 이상 내지 0.05 이하가 되도록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길이가 결정된다.
즉, 6:4 타입의 복합소재 시트백 프레임(10)의 수평방향 길이(L1)에 대한 이에 설치되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100)의 수평방향 길이(L2)의 비율(L2/L1)은 0.03 이상 내지 0.05 이하가 되도록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수평방향 길이(L2)가 결정된다.
만약, 6:4 타입의 복합소재 시트백 프레임(10)의 수평방향 길이(L1)에 대한 이에 설치되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100)의 수평방향 길이(L2)의 비율(L2/L1)이 0.03 미만인 경우에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수평방향 길이가 협소하여 조립성이 저하되고, 조립후에도 운행시에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6:4 타입의 복합소재 시트백 프레임(10)의 수평방향 길이(L1)에 대한 이에 설치되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100)의 수평방향 길이(L2)의 비율(L2/L1)이 0.0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수평방향 길이가 과다하여 에너지 흡수율이 감소하고 중량이 증가하여 소형화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없어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6:4 타입의 복합소재 시트백 프레임(10)과 이에 설치되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100)의 높이의 비율은 0.6 이상 내지 0.8 이하가 되도록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높이가 결정된다.
즉, 6:4 타입의 복합소재 시트백 프레임(10)의 높이방향 높이(H1)에 대한 이에 설치되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100)의 높이방향 높이(H2)의 비율(H2/H1)은 0.6 이상 내지 0.8 이하가 되도록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높이방향 높이(H2)가 결정된다.
만약, 6:4 타입의 복합소재 시트백 프레임(10)의 높이방향 높이(H1)에 대한 이에 설치되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100)의 높이방향 높이(H2)의 비율(H2/H1)이 0.6 미만인 경우에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조립성이 저하되고, 충돌 에너지를 모두 흡수하지 못해 상관 부품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6:4 타입의 복합소재 시트백 프레임(10)의 높이방향 높이(H1)에 대한 이에 설치되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100)의 높이방향 높이(H2)의 비율(H2/H1)이 0.8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높이방향 높이가 과다하여 중량이 증가하여 소형화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없어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4:2:4 타입의 복합소재 시트백 프레임(20)과 이에 설치되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100)의 길이의 비율은 0.05 이상 내지 0.07 이하가 되도록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길이가 결정된다.
즉, 4:2:4 타입의 복합소재 시트백 프레임(20)의 수평방향 길이(L1)에 대한 이에 설치되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100)의 수평방향 길이(L2)의 비율(L2/L1)은 0.05 이상 내지 0.07 이하가 되도록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수평방향 길이(L2)가 결정된다.
만약, 4:2:4 타입의 복합소재 시트백 프레임(20)의 수평방향 길이(L1)에 대한 이에 설치되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100)의 수평방향 길이(L2)의 비율(L2/L1)이 0.05 미만인 경우에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수평방향 길이가 협소하여 조립성이 저하되고, 조립후에도 운행시에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4:2:4 타입의 복합소재 시트백 프레임(20)의 수평방향 길이(L1)에 대한 이에 설치되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100)의 수평방향 길이(L2)의 비율(L2/L1)이 0.07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수평방향 길이가 과다하여 에너지 흡수율이 감소하고 중량이 증가하여 소형화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없어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4:2:4 타입의 복합소재 시트백 프레임(20)과 이에 설치되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100)의 높이의 비율은 0.6 이상 내지 0.8 이하가 되도록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높이가 결정된다.
즉, 4:2:4 타입의 복합소재 시트백 프레임(20)의 높이방향 높이(H1)에 대한 이에 설치되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100)의 높이방향 높이(H2)의 비율(H2/H1)은 0.6 이상 내지 0.8 이하가 되도록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높이방향 높이(H2)가 결정된다.
만약, 6:4 타입의 복합소재 시트백 프레임(10)의 높이방향 높이(H1)에 대한 이에 설치되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100)의 높이방향 높이(H2)의 비율(H2/H1)이 0.6 미만인 경우에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조립성이 저하되고, 충돌 에너지를 모두 흡수하지 못해 상관 부품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4:2:4 타입의 복합소재 시트백 프레임(20)의 높이방향 높이(H1)에 대한 이에 설치되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100)의 높이방향 높이(H2)의 비율(H2/H1)이 0.8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의 높이방향 높이가 과다하여 중량이 증가하여 소형화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없어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 6:4 타입 시트백 프레임
20 : 4:2:4 타입 시트백 프레임
100 :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
110 : 고정부
120 : 베이스부
130 : 서포트부
140 : 결합부
150 : 보완부
160 : 조인트부

Claims (8)

  1.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는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는,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부; 및
    시트 벨트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서포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와 상기 시트백 프레임은 서로 이종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체결되는 커넥트부;
    상기 베이스부의 인접한 상기 커넥트부의 선단에서 상기 커넥트부와 대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브릿지부; 및
    일측이 상기 커넥트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브릿지부에 연결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암레스트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 타측에서 상기 서포트부와 대응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암레스트 래치와 결합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 타측에서 형성되는 조인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 타측에 상기 서포트부와 대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타측에서 상기 서포트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연장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힌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수직방향의 폭이 하광상협 형태로 형성되는 제1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와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본체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 높이방향으로 함임 형성되는 그루브부; 및
    리클라이너를 가거치하기 위해 상기 그루브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은 LWRT, SMC, GMT, LFT, CFRTPC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2개 이상의 합성물로 형성되고,
    상기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는 스틸과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
KR1020200103354A 2020-08-18 2020-08-18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 KR102412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354A KR102412550B1 (ko) 2020-08-18 2020-08-18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
PCT/KR2021/010491 WO2022039426A1 (ko) 2020-08-18 2021-08-09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354A KR102412550B1 (ko) 2020-08-18 2020-08-18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324A KR20220022324A (ko) 2022-02-25
KR102412550B1 true KR102412550B1 (ko) 2022-06-22

Family

ID=80350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354A KR102412550B1 (ko) 2020-08-18 2020-08-18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12550B1 (ko)
WO (1) WO20220394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47777A (ja) * 2021-09-27 2023-04-0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975639B2 (en) * 2021-12-20 2024-05-07 Lear Corporation Seat back frame for impact deform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648B1 (ko) 2010-12-28 2013-01-10 대원강업주식회사 리클라이너 어셈블리
KR101220803B1 (ko) * 2010-12-28 2013-01-11 주식회사 포스코 차량용 시트 구조
JP2016215896A (ja) * 2015-05-22 2016-12-2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KR101759207B1 (ko) 2016-01-19 2017-07-31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차일드 시트 체결구조가 포함된 cfrtpc 복합소재 시트백 프레임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964B1 (ko) * 2000-03-07 2002-06-20 추두련 차량용 리어시트의 시트백 패널구조
KR100410720B1 (ko) 2001-04-30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DE10149522A1 (de) * 2001-10-08 2003-04-10 Bayer Ag Kunststoff-Metall-Verbundbauteil für Rahmenkonstruktionen
KR100439804B1 (ko) * 2002-01-10 2004-07-12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의 시트백 프레임과 시트쿠션 프레임의 조립구조
WO2009066533A1 (ja) * 2007-11-20 2009-05-28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車両用シートフレーム
KR102156913B1 (ko) 2018-12-24 2020-09-21 광명산업(주) 차량용 시트 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마운팅 브라켓
KR102404249B1 (ko) 2018-12-31 2022-05-30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백 프레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648B1 (ko) 2010-12-28 2013-01-10 대원강업주식회사 리클라이너 어셈블리
KR101220803B1 (ko) * 2010-12-28 2013-01-11 주식회사 포스코 차량용 시트 구조
JP2016215896A (ja) * 2015-05-22 2016-12-2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KR101759207B1 (ko) 2016-01-19 2017-07-31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차일드 시트 체결구조가 포함된 cfrtpc 복합소재 시트백 프레임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324A (ko) 2022-02-25
WO2022039426A1 (ko)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7035B2 (en) Frame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US6761412B1 (en) Backrest construction
US7364225B2 (en) Vehicle body structure
EP2749450B1 (en) Frame structure for seat back
KR102412550B1 (ko) 자동차 시트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너용 설치장치
US7306281B2 (en) Structure for mounting vehicle seat
JP7320949B2 (ja) 車両シート
EP2358561B1 (en) Composite seat structure
JP2011201456A (ja) 乗物用シート
JP7400376B2 (ja) 自動二輪車用シートレール構造
CN105774613A (zh) 具有冲击负载传递结构的座椅组件
US9434285B2 (en) Frame structure for seat back
JP2007290579A (ja) 車体構造および荷重伝達方法
JP5771019B2 (ja) 車両用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構造
KR102404249B1 (ko) 자동차용 시트백 프레임
CN114633672B (zh) 交通工具座椅组件和交通工具座椅支架
US6648400B2 (en) Rear vehicle body structure for pickup trucks
JP5771020B2 (ja) 車両用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構造
CA3120851C (en) Frame for seats in public transport vehicles
JP5430953B2 (ja) 斜張ワイヤー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のバックシートフレーム構造および該バックシートフレーム構造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JP3554444B2 (ja) 自動車の後部座席
US20190184871A1 (en) Vehicle Seat Back
KR20180079941A (ko) 자동차용 시트백프레임
CN110654284A (zh) 座椅衬垫框的加固构造
CN111409516A (zh) 后排座椅与后地板横梁的安装结构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