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016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016B1
KR102412016B1 KR1020170061099A KR20170061099A KR102412016B1 KR 102412016 B1 KR102412016 B1 KR 102412016B1 KR 1020170061099 A KR1020170061099 A KR 1020170061099A KR 20170061099 A KR20170061099 A KR 20170061099A KR 102412016 B1 KR102412016 B1 KR 102412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intermittent
door
gears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6268A (ko
Inventor
엄태인
박찬영
박현욱
정영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1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016B1/ko
Priority to US15/942,833 priority patent/US10309143B2/en
Priority to EP18166344.4A priority patent/EP3404347B1/en
Priority to CN201810474664.XA priority patent/CN108955027B/zh
Publication of KR20180126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meshing gear wheels, one of which being mounted at the wing pivot axis; operated by a motor acting directly on the wing pivo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4Transmiss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Abstract

냉장고는 본체와,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개폐장치를 포함하고, 도어개폐장치는 모터로부터 힌지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되, 힌지축으로부터 모터로의 부하는 단속하는 한 쌍의 단속기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어개폐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도어 개폐 구조가 개선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을 보관하는 저장실과,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가전기기이다.
냉장고는 저장실과 도어의 형태에 따라 그 종류가 구분될 수 있다.
저장실이 수평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어 상측에 냉동실이 형성되고 하측에 냉장실이 형성되는 TMP(Top Mounted Freezer)형 냉장고와, 상측에 냉장실이 형성되고 하측에 냉동실이 형성되는 BMF(Bottom Mounted Freezer)형 냉장고가 있다.
또한, 저장실이 수직격벽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고 일측에 냉동실이 형성되며 타측에 냉장실이 형성되는 SBS(Side By Side)형 냉장고가 있으며, 저장실이 수평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고 상측에 냉장실이 형성되고 하측에 냉동실이 형성되되 상측의 냉장실은 한 쌍의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FDR(French Door Refrigerator)형 냉장고가 있다.
냉장고의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는 사용자가 직접 여닫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저장물을 저장실에 보관하거나 저장실로부터 꺼내야하는 등, 사용자의 양손이 자유롭지 못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저장물을 다른 지점에 올려둔 채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 또는 닫힘상태로 조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구조가 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가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구조를 개선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모터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저장실을 갖는 본체;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개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개폐장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 1 기어; 상기 힌지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 기어; 상기 제 1 기어로부터 상기 제 2 기어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 2 기어로부터 상기 제 1 기어로의 부하는 단속하는 한 쌍의 단속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단속기어는, 제 1 단속기어와, 상기 제 1 단속기어와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2 단속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속기어는 상기 제 2 단속기어로부터 상기 축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단속기어는, 상기 제 2 단속기어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단속기어에 결합하는 결합위치와, 상기 결합위치로부터 이격되는 분리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분리위치에서 상기 결합위치로 탄성복귀하도록 상기 축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단속기어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단속기어는, 상기 제 2 기어의 회전에 종속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단속기어는, 상호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경사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2 경사보스부는, 상기 제 1 단속기어로부터 상기 제 2 단속기어로의 동력을 전달하도록 접촉하며, 상기 제 1, 2 단속기어간에 마주하는 방향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2 경사면은 상기 도어에 대한 외력에 의해 상호간에 슬립이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경사보스부는, 상호간에 교번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2 경사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와 맞물리는 제 3 기어; 상기 제 3 기어의 회전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제 3 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한 쌍의 단속기어로 전달하는 한 쌍의 유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유동기어는, 제 1 유동기어가 상기 제 3 기어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단속기어와 맞물리는 제 1 위치; 제 2 유동기어가 상기 제 3 기어가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단속기어와 맞물리는 제 2 위치; 상기 제 1 ,2 유동기어가 상기 한 쌍의 단속기어와 이격되는 제 3 위치;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유동기어가 배치되며, 상기 제 3 기어와 연동하여 상기 한 쌍의 유동기어가 상기 제 1 내지 3 위치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전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위치에서는 상기 도어의 개방을 위해 상기 모터의 정방향회전력이 전달되며, 상기 제 2 위치에서는 상기 도어의 폐쇄를 위해 상기 모터의 역방향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상기 본체를 가압하는 가압장치; 상기 가압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가압돌기를 갖고, 상기 제 3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장착부재로서, 상기 장착부재와 상기 제 3 기어사이에 상기 전환부재가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장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환부재는 상기 장착부재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가압장치는,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슬라이딩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슬라이딩바의 슬라이딩이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의 개방을 위해 상기 본체와 접촉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장치는, 상기 가압장치의 동작과, 상기 한 쌍의 유동기어가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하는 동작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마련되는 지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개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개폐장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힌지축에 구속되는 회전기어;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회전기어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회전기어에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과 반대되거나, 상기 모터의 회전력보다 큰 부하를 단속하도록,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단속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단속기어는, 제 1 단속기어와, 상기 제 1 단속기어와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2 단속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속기어는 상기 제 2 단속기어로부터 상기 축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단속기어는, 상기 제 2 단속기어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결합하는 결합위치와, 상기 결합위치로부터 이격되는 분리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2 단속기어는, 상호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경사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개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개폐장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 1 기어; 상기 도어의 힌지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 기어; 상기 제 1 기어와 맞물리는 제 3 기어; 상기 제 3 기어의 회전을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제 3 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제 2 기어로 전달하는 한 쌍의 유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어는,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힌지축으로 전달되는 동력을 전달하는 결합위치와, 상기 힌지축으로부터 상기 모터로 전달되는 부하를 단속하는 분리위치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단속기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어개폐장치를 적용하여 냉장고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냉장고 도어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모터로 전달되는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모터에 전달되는 부하를 줄일 수 있어서, 모터와, 도어개폐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어개폐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의 내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의 내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8,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센터기어와 전환유닛을 상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센터기어와 전환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슬라이딩부재와 동력전환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12,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슬라이딩부재와 동력전환부재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가압장치와 구동기어간의 관계에 관한 도면.
도 15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21 내지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동력변환부재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속기어의 분해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속기어의 단면도.
도 26,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속기어의 동작에 관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냉장고(1)는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 상하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저장실(20)과, 저장실(20)을 개폐하는 도어(30)와,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상(12)과, 내상(12)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4)과, 내상(12)과 외상(14) 사이에 발포되어 저장실(20)을 단열시키는 단열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냉기공급장치는 냉매를 압축하고, 응축하고, 팽창시키고, 증발시키는 냉각순환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저장실(20)은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수평격벽(25)에 의해 상측의 냉장실(22)과, 하측의 냉동실(미도시)로 구획될 수 있다. 냉장실(22)은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도어(30, 40)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냉동실(24) 또한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도어(50)에 의해 개폐 될 수 있다. 도어들(30, 40, 5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슬라이딩하여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가 적용될 수도 있다.
냉장실(22)을 개폐하는 한 쌍의 도어(30, 40)는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편의상 도면상 우측 도어(30)를 제 1 도어(30)라고 하고, 좌측 도어(40)를 제 2 도어(40)라고 한다. 냉장실(22)의 도어들(30, 40)과 냉동실(24)의 도어들(50) 사이의 관계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냉장실(22)의 도어들(30, 40)을 상부도어(30, 40)라 하고, 냉동실(24)의 도어들(50)을 하부도어(50)라 한다. 제 1 도어(30)에는 제 1 도어(30)의 개폐를 위해 파지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1 도어손잡이(30a)가 마련되고, 제 2 도어(40)에는 제 2 도어(40)의 개폐를 위해 파지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2 도어손잡이(40a)가 마련된다. 하부도어(50)또한 하부도어(50)의 개폐를 위해 파지 가능하게 마련되는 하부도어손잡이(50a)가 마련된다.
도어들(30, 40, 50)은 힌지축(50, 도 3 참고)을 중심으로 본체(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 1 도어(30)는 냉장실(22)의 우측 일부를 개폐할 수 있고, 제 2 도어(40)는 냉장실(22)의 나머지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제 1 도어(30)와, 제 2 도어(40)의 배면에는 각각 식품을 수납할 수 있는 도어선반(35)이 마련될 수 있다.
도어선반(35)은 도어선반(35)의 좌우 양측에서 도어선반(35)을 지지하도록 제 1, 2 도어(30, 40)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선반지지부(35a)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반지지부(35a)는 별도의 구성으로 도어들(30, 40, 50)에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들(30, 40, 50)로부터 연장형성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제 1 도어(30)와, 제 2 도어(40)의 배면 테두리에는 제 1 도어(30)와, 제 2 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 본체(10)와의 틈을 밀폐시키도록 가스켓(36)이 마련될 수 있다.
가스켓(36)은 제 1 도어(30)와, 제 2 도어(40)의 배면에 테두리를 따라 루프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내부에는 마그넷(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제 1 도어(30)와 제 2 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 제 1 도어(30)와 제 2 도어(40) 사이의 이격된 틈이 발생하고 이러한 틈을 밀폐하도록 바어셈블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냉장고(1)는 입출력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6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도어(3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의 내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의 내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냉장고(1)는 도어개폐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개폐장치(100)는 냉장고(1)의 도어(30)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개폐장치(100)는 한 쌍의 상부도어(30, 40)의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개폐장치(100)는 한 쌍의 상부도어(30, 40) 중 어느 하나의 도어(30)에만 설치될 수도 있으며, 하부도어(5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어개폐장치(100)는 제 1 도어(3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어개폐장치(100)는 장치본체(102)와, 장치본체(102) 내부에 수용되는 구동장치(110)와, 도어(30)를 본체로부터 이격시키는 가압장치(18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본체(102)는 그 내부에 구동장치(110)와 가압장치(180)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본체(102)는 도어(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장치본체(102)는 도어(30)의 좌우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여 설치될 수 있다. 장치본체(102)는 하부장치본체(102b)와, 그 내부에 복수의 구동기어(122)와 회전기어(124)가 안착되도록 하부장치본체(102b)와 결합하는 상부장치본체(102a)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장치(110)는 동력을 발생시키고, 동력을 도어(30)로 전달하여 도어(30)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구동장치(110)는 동력발생장치와, 동력전달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발생장치는 도어(30)의 개폐를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다. 동력발생장치는 모터(112)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112)는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장치본체(10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할 수 있다. 모터(112)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통해, 도어(30)를 개방위치 또는 닫힘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동력전달장치(120)는 모터(112)와 힌지축(50)사이에 배치되어, 모터(112)로부터 발생하는 동력을 힌지축(5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즉, 모터(112)에서 발생하는 동력은 동력전달장치(120)를 통해 힌지축(50)에 전달되면서 도어(30)가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동력전달장치(120)는 모터(112)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복수의 구동기어(122)와, 복수의 구동기어(122)와 맞물리며 힌지축(50)에 장착되는 회전기어(12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구동기어(122)와 회전기어(124)는 그 둘레 중 적어도 일부에 기어 티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장치(120)는 도어(30)의 개폐를 자동과 수동으로 전환 가능하도록, 모터(112)의 동력이 힌지축에 전달되는 동력전달상태와, 동력이 힌지축에 전달되지 않는 동력비전달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력전달장치(120)는 모터(112)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모터측 기어(132)와, 도어(30)의 개폐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도어측 기어(134)와, 모터측 기어(132)와 맞물리는 센터기어(136)와, 센터기어(136)에 맞물리는 한 쌍의 유동기어(138)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측 기어(134)는 단속기어(14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측 기어(132)와, 도어측 기어(134)는 각각 복수가 직렬로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터측 기어(132)는 일측은 모터(112)의 회전축(112a)과 맞물리며, 타측은 센터기어(136)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측 기어(132)는 복수개가 마련되며, 가장 모터(112)측에 위치하는 모터측 기어(132)는 모터(112)의 회전축(112a)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가장 힌지축(50)측에 위치하는 모터측 기어(132)는 센터기어(136)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측 기어(134)는 일측은 센터기어(136)와 맞물리며, 타측은 힌지축(50)과 결합되는 회전기어(124)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측 기어(134)가 복수개가 마련되어, 가장 모터(112)측에 위치하는 도어측 기어(134)는 센터기어(136)와 맞물리고, 가장 힌지축(50)측에 위치한 도어측 기어(134)는 회전기어(124)와 맞물릴 수 있다.
도 8,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센터기어와 전환유닛을 상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센터기어와 전환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동력전달장치(120)는 전환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전환유닛(160)은 한 쌍의 유동기어(138)를 센터기어(136)의 회전축 둘레로 선회시키도록 마련된다. 전환유닛(160)은 센터기어(136)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과 함께 유동기어(138)가 장착되는 전환부재(162)와, 센터기어(136)가 장착되는 장착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환부재(162)는 한 쌍의 유동기어(138)가 장착되는 유동기어 장착축(163)과, 관통구멍(164)을 포함할 수 있다. 전환부재(162)는 대략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탄성부재(169)는 유동기어 장착축(163)에 장착될 수 있으며,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탄성부재(169)는 유동기어(138)로 전해지는 충격에 대한 완충역할을 할 수 있다.
장착부재(170)는 센터기어(136)가 장착되는 센터기어 장착축(172)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재(170)와 센터기어(136) 사이에 전환부재(162)가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착부재(170)는 센터기어(136)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전환부재(162)와는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장착부재(170)와 센터기어(136)는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전환부재(162)는 장착부재(170), 센터기어(136)와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센터기어 장착축(172)을 관통구멍(164)에 통과시킴으로서, 장착부재(170)의 상면에 전환부재(162)가 위치할 수 잇으며, 유동기어 장착축(163)에 유동기어(138)를 장착하면서 센터기어 장착축(172)에 센터기어(136)를 장착할 수 있다.
유동기어 장착축(163)에는 장착탄성부재(169)를 장착하고, 그 위에 유동기어(138)를 장착하며, 그 위에 유동기어(138)를 압박하는 압박부재(165)를 통과시킴으로서, 장착탄성부재(169)로부터 유동기어(138)의 상향의 힘이 가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압박부재(165)는 유동기어 장착축(163)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오목홈(163a)에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유동기어(138)는 모터(112)에 연동하여, 모터(112)의 정회전을 전달하는 정회전 동력전달위치(139a)와, 모터(112)의 역회전을 전달하는 역회전 동력전달위치(139b)와,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동력 비전달위치(139c)를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센터기어(136)와 전환유닛(160)이 한 쌍의 유동기어(138)를 회전시켜, 어느 하나의 유동기어(138)를 도어측 기어(134)에 맞물리게 함으로서 동력전달상태가 되고, 한 쌍의 유동기어(138)와 도어측 기어(134)의 맞물림을 해제함으로서 동력비전달상태가 된다.
즉, 유동기어(138)가 정회전 동력 전달 위치(139a) 또는 역회전 동력 전달 위치(139b)에 있는 상태가 동력 전달 상태이며, 유동기어(138)가 동력 비전달위치(139c)에 있는 상태가 동력 비전달 상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슬라이딩부재와 동력전환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12,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슬라이딩부재와 동력전환부재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가압장치와 구동기어간의 관계에 관한 도면이다.
도어개폐장치(100)는 가압장치(180, 도 7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장치(180)는 도어(30)가 개방되도록, 본체(10)를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폐쇄위치에 있는 도어(30)를 개방시키는 경우에는 도어(30)에 마련되는 가스켓(36)내의 자석과 본체(10)와의 인력을 해제시켜야 하므로 가압장치(180)를 통해 도어(30)와 본체(10)를 이격시킨 후, 동력전달장치(120)를 통해 도어(30)를 개방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가압장치(180)의 구성을 통해, 도어(30)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시에, 초기에 필요한 힘을 줄일 수 있어서, 모터(112)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가압장치(180)는 유동기어(138)가 동력 비전달위치(139c)에 있을 때 동작할 수 있다. 즉, 가압장치(180)에 의해 도어(30)와 본체(10)를 이격시킨 후 유동기어(138)가 정방향 동력전달위치(139a)로 이동하여 도어(3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개폐장치(100)는 유동기어(138)가 동력 비전달위치(139c)에 있을 때 가압장치(180)가 동작할 수 있도록 지연부재(19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연부재(194)에 대해서는 이후 설명한다.
가압장치(180)는 동력전달장치(120)에 연동하여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부재(182)와, 슬라이드부재(182)의 슬라이딩이동에 의해 회전하여 본체를 가압하는 가압부재(184, 도 2 내지 6 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184)는 슬라이딩 부재(182)의 슬라이딩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축(184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부재(182)는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가압부재(184)의 일측을 가압하며, 가압된 가압부재(184)는 회전축(184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가압부재(184)의 타측으로 본체(10)를 가압하게 된다. 도어(30)에는 가압부재(184)가 본체(10)를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가압홀(185)이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182)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182)의 일단에는 가압부재(184)가 배치되며, 타단에 동력전달장치(120)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압장치(180)는 탄성복귀부재(186, 도 2 내지 6 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복귀부재(186)는 가압돌기(174)에 의해 가압된 슬라이딩 부재(182)와, 가압부재(184)가 본체(10)를 가압한 뒤 재차 원위치로 탄성복귀하도록 마련된다. 탄성복귀부재(186)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슬라이딩부재(182)와 가압부재(184)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면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복귀부재(186)는 가압부재(184)의 회전축(184a)에 배치되어, 가압부재(184)와 슬라이딩부재(182)를 원위치로 탄성복귀시키도록 구성된다.
가압장치(180)는 동력변환부재(188)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변환부재(188)는 슬라이딩부재(182)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동기어(122) 중 도어측 기어(134)의 회전력을 슬라이딩부재(182)의 슬라이딩 방향의 동력으로 변환하도록 마련된다. 동력변환부재(188)는 슬라이딩부재(182)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동력변환부재(188)는 도어측 기어(134)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돌기(174)에 의해 가압되는 피가압면(189)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돌기(174)는 장착부재(170)의 배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장착부재(170)의 회전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가압돌기(174)가 피가압면(189)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력변환부재(188)는 모터(112)가 역회전하여 도어(3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모터(112)의 동력을 가압장치(180)에 전달시키지 않고, 모터(112)가 정회전하여 도어(3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모터(112)의 동력을 가압장치(180)에 전달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동력변환부재(188)는 도 11과 같이 슬라이딩 부재(182)의 타단부에 설치되며, 모터(112)가 정회전하는 경우에는 가압돌기(174)에 의해 피가압면(189)이 가압될 수 있다. 동력변환부재(188)는 모터(112)가 역회전하는 경우에 가압돌기(174)의 이동에 의해 동력변환부재(188)가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면(190)이 마련될 수 있다.
동력변환부재(188)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인 통상위치(188a)와, 통상위치(188a)로부터 회전축(19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위치(188b)를 이동할 수 있다. 회전위치(188b)는 통상위치(188a)로부터 센터기어(136)의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한 위치이다. 동력변환부재(188)는 회전위치(188b)에서 통상위치(188a)로 탄성복귀하도록 탄성부(192)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변환부재(188)는 장착부재(170)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통상위치(188a)에 있는 상태에서 피가압면(189) 및 가이드면(190)이 가압돌기(174)의 이동경로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압돌기(174)는 센터기어(136)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며, 동력변환부재(188)는 가압돌기(174)의 회전력을 슬라이드 부재(182)의 슬라이딩 방향의 동력으로 변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돌기(174)는 장착부재(170)에 한 쌍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가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복 수개가 마련될 수 도 있다.
가압장치(180)는 지연부재(19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연부재(194)는 전환부재(162)의 회전을 제한하여, 유동기어(138)가 도어측 기어(134)와 맞물리지 않는 동력 비전달위치(139c)를 유지하도록 마련된다.
지연부재(194)는 동력변환부재(188)에 마련될 수 있다. 전환부재(162)는 지연부재(194)와 접하는 지연돌기(168)를 포함할 수 있다.
지연돌기(168)는 전환부재(162)의 배면에 돌기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지연돌기(168)가 유동기어(138)의 회전축 상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지연돌기(168)는 전환부재(162)가 회전시, 동력변환부재(188)의 일면과 접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지연돌기(168)는 동력변환부재(188)에 접하지 않고, 동력변환부재(188)에 배치되는 지연부재(194)와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지연부재(194)는 지연돌기(168)가 접하는 지연접촉면(195)과, 회전가이드면(196)을 포함할 수 있다. 지연접촉면(195)은 상기 설명과 같이 지연돌기(168)의 이동을 제한하여, 유동기어(138)가 도어측 기어(134)와 맞물리지 않는 동력 비전달위치(139c)를 유지하도록 마련된다. 회전가이드면 (196)에 관해서는 도어개폐장치(100)의 동작에 관한 설명에서 설명한다.
이하는 상기 구성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5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먼저 폐쇄위치에 있는 도어(30)를 개방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어(30)가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모터(112)를 정회전시키면, 도 15, 16과 같이 센터기어(136)의 회전에 연동하여, 전환유닛(160)이 한 쌍의 유동기어(138)를 동력 비전달위치(139c)로부터 정회전 동력 전달 위치를 향해 이동시킨다. 한 쌍의 유동기어(138)는 전환부재(162)와 함께 회전하므로, 전환부재(162)에 마련되는 지연돌기(168)가 지연부재(194)를 향해 회전한다.
그리고 도 16과 같이, 지연돌기(168)가 지연부재(194)에 접하면서, 전환부재(162)와 유동기어(138)의 회전이 제한되며, 유동기어(138)의 동력 비전달위치(139c)가 유지된다.
이로부터 모터(112)가 추가적으로 정회전하면, 도 17, 18과 같이 전환부재(162)와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센터기어(136)와 장착부재(170)의 회전에 의해, 장착부재(170)에 설치된 가압돌기(174)가 동력변환부재(188) 및 가압장치(180)를 가압하게 된다.
가압장치(180)에 대한 가압으로, 슬라이딩부재(182)는 슬라이딩이동하게 되며, 가압부재(184)는 본체를 가압하여 도어(30)가 본체로부터 이격된다.
이로부터 모터(112)가 추가적으로 정회전하면, 지연부재(194)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었던 유동기어(138)와 전환부재(162)가 더 회전하게 되어, 정회전 동력 전달위치(139a, 도 18참고)에 위치하게 된다. 이를 통해 모터(112)에서 발생하는 동력은 모터측 기어(132), 센터기어(136), 유동기어(138), 도어측 기어(134)로 전달되면서, 도어(30)가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21 내지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동력변환부재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가압돌기(174)에 의해 가압되었던 가압장치(180)는 탄성복귀부재(186)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유동기어(138)는 정방향 동력전달위치(139a)에 위치하며, 지연돌기(168) 또한 전환부재(162)의 배면에서 유동기어(138)의 위치와 대응되게 위치한다. 가압장치(180)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지연부재(194)의 회전가이드면(196)이 지연돌기(168)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회전가이드면(196)은 센터기어(136)의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가압장치(180)가 원위치로 이동하면서 회전가이드면(196)은 지연돌기(168)를 따라 슬라이딩이동하게 되며, 동력변환부재(188)는 통상위치(188a)에서 회전위치(188b)로 이동하게 된다. 즉, 동력변환부재(188)의 피가압면(189)은 가압돌기(174)의 이동경로로부터 이탈할 수 있게 된다. 이로서, 이후 모터(112)가 계속하여 정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가압장치(180)는 가압돌기(174)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개방상태에 있는 도어(30)를 폐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어(30)가 개방위치에서 모터(112)를 역회전시키면, 도 19, 20에서와 같이 센터기어(136)에 연동하여 장착부재(170)가 회전하므로 복수의 가압돌기(174)는 동력변환부재(188)를 향해 회전하게 된다. 가압돌기(174)는 동력변환부재(188)의 가이드면(190)과 접하면서 가이드면(190)을 가압하게 되고, 가압돌기(174)의 가압력에 의해 동력변환부재(188)는 통상위치(188a)에서 회전위치(188b)로 회전하게 된다. 이를 통해 도어(30)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할 때와는 달리, 동력변환부재(188)가 가압돌기(174)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모터(112)의 역회전방향으로의 동력은 유동기어(138)를 역방향 동력전달위치(139b)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모터(112)에서 발생하는 동력은 모터측 기어(132), 센터기어(136), 유동기어(138), 도어측 기어(134)로 전달되면서, 도어(30)가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속기어의 분해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속기어의 단면도이다.
도어측 기어(134)는 한 쌍의 단속기어(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개폐장치(10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외력에 의해 도어(30)를 이동시키거나, 도어개폐장치(100)가 동작하는 경우 모터(112)의 회전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거나, 동일한 방향이라도 모터(112)의 회전력보다 더 강한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힌지축(50)의 회전기어(124)와 맞물리는 구동기어(122)들에 불필요한 부하가 걸리게 되며, 이로서 구동기어(122)들 또는 모터(112)가 파손하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단속기어(140)는 이러한 외력들이 구동기어(122)들 또는 모터(112)에 전달되지 않도록 단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개폐장치(1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도어(30)를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도어(30)를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한 쌍의 단속기어(140)는 구동기어(122)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 즉, 단속기어(140)는 그러나 한 쌍의 단속기어(140)는 도어(30)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동력을 단속하여 외력이 구동기어(122)들 또는 모터(112)로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단속기어(140)는 모터측 기어(132)로부터 도어측 기어(134)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배치되되, 도어측 기어(134)로부터 모터측 기어(132)로 전달되는 부하는 단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단속기어(140)는 제 1 단속기어(141)와, 제 2 단속기어(1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속기어(141)는 한 쌍의 유동기어(138)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단속기어(151)는 제 1 단속기어(141)와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며, 제 1 단속기어(141)와 함께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모터(112)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정방향 동력전달위치(139a)에 있는 유동기어(138)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기어(124)로 전달한다. 반대로 모터(11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역방향 동력전달위치(139b)에 있는 유동기어(138)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기어(124)로 전달한다.
제 1 단속기어(141)는 제 2 단속기어(151)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제 2 단속기어(151)와 맞물리는 결합위치(141a)와, 결합위치(141a)로부터 이동하여 제 2 단속기어(151)로부터 이격되는 분리위치(141b)를 이동할 수 있다. 제 1 단속기어(141)는 단속기어 회전축(148)을 따라 결합위치(141a)와 분리위치(141b)를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단속기어(141)가 유동기어(138)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고, 제 1 단속기어(141)가 결합위치(141a)와 분리위치(141b)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단속기어(141)는 유동기어(138)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고, 제 2 단속기어(151)가 결합위치(141a)와 분리위치(141b)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제 1 단속기어(141)에는 분리위치(141b)에서 결합위치(141a)로 탄성복귀할 수 있도록 단속기어 탄성부재(149)가 마련될 수 있다. 단속기어 탄성부재(149)는 단속기어 회전축(148)을 중심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단속기어(141)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제 1 단속기어(141)는 유동기어(138)와 맞물리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한 쌍의 단속기어(140)는 회전기어(124)와 맞물릴 수도 있으며, 도어측 기어(134)가 복수개가 마련되는 경우 중간위치에 위치하여 동력을 전달 또는 단속할 수 있다.
제 1, 2 단속기어(140)는 제 1, 2 기어몸체(142, 152)와, 제 1, 2 경사보스부(144, 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기어몸체(142, 152)는 제 1, 2 단속기어(141, 151) 각각의 몸체를 형성하며, 단속기어 회전축(148)이 지나도록 제 1, 2 중공부(142a, 15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2 경사보스부(144, 154)는 제 1, 2 기어몸체(142, 152)에서 상호 마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2 경사보스부(144, 154)는 각각 제 1, 2 기어몸체(142, 152)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단속기어(141)가 결합위치(141a)에 있는 경우에는 제 1, 2 경사보스부(144, 154)의 측면이 상호간에 접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 1, 2 경사보스부(144, 154)는 제 1 단속기어(141)가 결합위치(141a)에 있을 때, 상호간에 접촉하여 제 1 단속기어(141)로부터 제 2 단속기어(151)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 1, 2 경사보스부(144, 154)는 제 1 단속기어(141)가 분리위치(141b)에 있을 때, 어느 하나의 경사보스부의 이동경로상에 다른 하나의 경사보스부가 위치하지 않도록 이격될 수 있다.
제 1, 2 경사보스부(144, 154)는 각각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간에 교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2 경사보스부는 각각 세 개씩 마련되며, 세 개의 제 1 경사보스부(144) 사이사이에 세 개의 제 2 경사보스부(154)가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제 1, 2 경사보스부(144, 154)는 각각 제 1, 2 경사면(146, 15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경사면(146, 156)은 단속기어 회전축(148)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경사면(146)은 제 1 단속기어(141)에서 제 2 단속기어(151)를 향한 방향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제 2 경사면(156)은 제 2 단속기어(150)에서 제 1 단속기어(141)를 향한 방향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 1, 2 경사면(146, 156)은 제 1 단속기어(141)가 결합위치(141a)에 있을 때, 상호간에 접촉하여 제 1 단속기어(141)로부터 제 2 단속기어(151)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 1, 2 경사면은 제 1 단속기어(141)가 분리위치(141b)에 있을 때는, 상호간에 이격되어 상호간에 동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냉장고(1)의 도어개폐장치(100)에 있어서, 단속기어(14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6,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속기어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제 1 단속기어(141)가 결합위치(141a)에 있는 경우에는 도 26와 같이 제 1, 2 경사보스부는 상호간에 교번되게 배치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도어(30)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힌지축(50)에 부하가 발생하게 된다.
힌지축(50)에 발생한 부하는 도어측 기어(134)를 따라 전달되며 제 2 단속기어(151)로 전달된다. 힌지축(50)에 발생한 부하가 통상적으로 모터(112)의 회전력의 크기의 이하인 경우에는 제 1, 2 단속기어(141, 151)의 제 1, 2 경사보스부(144, 154)는 결합을 유지한 채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통상적인 모터(112)의 회전력의 크기이상으로 외력이 작용하거나, 모터(112)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제 1 경사보스부(144)의 제 1 경사면(146)과, 제 2 경사보스부(154)의 제 2 경사면(156) 사이에는 슬립이 발생하게 된다.
설명의 편의상 단속기어들(141, 142)간에 동력이 전달될 수 있는 한계치를 Lc라 한다. 먼저, 도어개폐장치를 동작시키지 않고 Lc보다 큰 La를 외력으로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La는 힌지축, 힌지축기어로 전달되게 된다. 단속기어는 Lc보다 낮은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에만 동력을 전달하므로, 슬립이 발생하여 더 이상 동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로서, 기어들과 모터에 외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개폐장치를 동작시키는 경우라도, 도어가 도어개폐장치에 의해 개방하는 동작을 하는 데 도어가 폐쇄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작용시킨다던가, 도어가 도어개폐장치에 의해 폐쇄하는 동작을 하는 데 도어가 개방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작용시킨다던가 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와 같은 맥락으로 도어가 도어개폐장치에 의해 개방하는 동작을 하는 데 도어가 개방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작용시킨다던가, 도어가 도어개폐장치에 의해 폐쇄하는 동작을 하는 데 도어가 폐쇄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작용시킨다던가 하는 경우도 이와 같다. 이 경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Lm이 발생하게 된다. Lm은 통상적으로 Lc보다는 낮은 상태로 유지되어, 도어개폐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단속기어들(141, 142)간에 슬립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Lb라는 외력이 작용하여 Lm+Lb가 Lc보다 크게 되는 경우에는 단속기어들(141, 142)간에 슬립이 발생하게 되어, 모터에서 힌지축으로의 동력 또는 힌지축에서 모터로의 외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경사보스부(144)의 하면과, 제 2 경사보스부(154)의 상면이 접하게 되고, 제 1, 2 단속기어(140) 간에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즉, 제 1 단속기어(141)는 분리위치(141b)로 이동하게 되며, 제 1, 2 단속기어(141, 151)간에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후 외력이 사라지게 되면, 제 1 단속기어(141)는 단속기어 탄성부재(149)에 의해 분리위치(141b)에서 결합위치(141a)로 이동하게 되며, 제 1, 2 단속기어(140)간의 동력전달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냉장고 10 : 본체
20 : 저장실 30, 40, 50 : 도어
50 : 힌지축 100 : 도어개폐장치
102 : 장치본체 110 : 구동장치
112 : 모터 120 : 동력전달장치
122 : 구동기어 124 : 회전기어
132 : 모터측 기어 134 : 도어측 기어
136 : 센터기어 138 : 유동기어
138a : 정방향 동력 전달 위치 138b : 역방향 동력전달 위치
139c : 동력 비전달 위치
140 : 단속기어 141, 151 : 제 1, 2 단속기어
141a : 결합위치 141b : 분리위치
144, 154 : 제 1, 2 경사보스부 160 : 전환유닛
162 : 전환부재 170 : 장착부재
180 : 가압장치 182 : 슬라이딩부재
184 : 가압부재 186 : 탄성복귀부재
188 : 동력변환부재 194 : 지연부재

Claims (20)

  1. 저장실을 갖는 본체;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개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개폐장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 1 기어;
    상기 힌지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 기어;
    상기 제 1 기어로부터 상기 제 2 기어로 동력을 전달하는 한 쌍의 단속기어로서, 외력이 제 2 기어로부터 제 1 기어로 전달되는 것을 단속하는 한 쌍의 단속기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단속기어는,
    제 1 단속기어와, 상기 제 1 단속기어와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2 단속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속기어는 상기 제 2 단속기어로부터 상기 축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속기어는,
    상기 제 2 단속기어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단속기어에 결합하는 결합위치와, 상기 결합위치로부터 이격되는 분리위치를 이동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위치에서 상기 결합위치로 탄성복귀하도록 상기 축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단속기어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속기어는,
    상기 제 2 기어의 회전에 종속되는 냉장고.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단속기어는,
    상호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경사보스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경사보스부는,
    상기 제 1 단속기어로부터 상기 제 2 단속기어로의 동력을 전달하도록 접촉하며, 상기 제 1, 2 단속기어간에 마주하는 방향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2 경사면은 상기 도어에 대한 외력에 의해 상호간에 슬립이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경사보스부는,
    상호간에 교번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2 경사보스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어와 맞물리는 제 3 기어;
    상기 제 3 기어의 회전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제 3 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한 쌍의 단속기어로 전달하는 한 쌍의 유동기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유동기어는,
    제 1 유동기어가 상기 제 3 기어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단속기어와 맞물리는 제 1 위치;
    제 2 유동기어가 상기 제 3 기어가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단속기어와 맞물리는 제 2 위치;
    상기 제 1 ,2 유동기어가 상기 한 쌍의 단속기어와 이격되는 제 3 위치;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유동기어가 배치되며, 상기 제 3 기어와 연동하여 상기 한 쌍의 유동기어가 상기 제 1 내지 3 위치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전환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에서는 상기 도어의 개방을 위해 상기 모터의 정방향회전력이 전달되며,
    상기 제 2 위치에서는 상기 도어의 폐쇄를 위해 상기 모터의 역방향회전력이 전달되는 냉장고.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상기 본체를 가압하는 가압장치;
    상기 가압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가압돌기를 갖고, 상기 제 3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장착부재로서, 상기 장착부재와 상기 제 3 기어사이에 상기 전환부재가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장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환부재는 상기 장착부재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장치는,
    상기 가압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슬라이딩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이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의 개방을 위해 상기 본체와 접촉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장치는,
    상기 가압장치의 동작과, 상기 한 쌍의 유동기어가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하는 동작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마련되는 지연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16.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개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개폐장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힌지축에 구속되는 회전기어;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회전기어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회전기어에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과 반대되거나, 상기 모터의 회전력보다 큰 부하를 단속하도록,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단속기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단속기어는,
    제 1 단속기어와, 상기 제 1 단속기어와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2 단속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속기어는 상기 제 2 단속기어로부터 상기 축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속기어는,
    상기 제 2 단속기어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결합하는 결합위치와, 상기 결합위치로부터 이격되는 분리위치를 이동하는 냉장고.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단속기어는,
    상호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경사보스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0.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개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개폐장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 1 기어;
    상기 도어의 힌지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 기어;
    상기 제 1 기어와 맞물리는 제 3 기어;
    상기 제 3 기어의 회전을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제 3 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제 2 기어로 전달하는 한 쌍의 유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어는,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힌지축으로 전달되는 동력을 전달하는 결합위치와, 상기 힌지축으로부터 상기 모터로 전달되는 부하를 단속하는 분리위치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단속기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70061099A 2017-05-17 2017-05-17 냉장고 KR102412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099A KR102412016B1 (ko) 2017-05-17 2017-05-17 냉장고
US15/942,833 US10309143B2 (en) 2017-05-17 2018-04-02 Refrigerator
EP18166344.4A EP3404347B1 (en) 2017-05-17 2018-04-09 Refrigerator
CN201810474664.XA CN108955027B (zh) 2017-05-17 2018-05-17 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099A KR102412016B1 (ko) 2017-05-17 2017-05-17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268A KR20180126268A (ko) 2018-11-27
KR102412016B1 true KR102412016B1 (ko) 2022-06-22

Family

ID=61913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099A KR102412016B1 (ko) 2017-05-17 2017-05-17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09143B2 (ko)
EP (1) EP3404347B1 (ko)
KR (1) KR102412016B1 (ko)
CN (1) CN1089550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1549B (zh) * 2016-05-27 2018-04-13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开关门装置和冰箱
US10458164B2 (en) * 2017-09-18 2019-10-2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oor hinge assembly for an appliance
KR102530693B1 (ko) * 2017-11-27 2023-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83077A1 (en) 2017-03-29 2018-10-0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20180291669A1 (en) 2017-04-05 2018-10-1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9926B2 (ja) * 1990-08-30 1997-01-08 コクヨ株式会社 扉密閉装置
KR100514606B1 (ko) * 1998-02-20 2005-11-21 주식회사 한성리벌빙도어 회전문의 이동장치.
JP4143568B2 (ja) 2004-05-12 2008-09-0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の扉開閉装置または扉閉鎖装置
AT505209B1 (de) * 2007-05-07 2012-04-15 Blum Gmbh Julius Antrieb für ein bewegbares möbelteil
KR100819849B1 (ko) * 2007-06-25 2008-04-08 곽수만 냉장고도어 자동복귀 힌지장치
JP2010025461A (ja) * 2008-07-22 2010-02-04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DE102008034809A1 (de) * 2008-07-24 2010-01-28 Suspa Holding Gmbh Antriebs-Einrichtung für Kühlschranktüren
KR101639435B1 (ko) * 2009-10-13 2016-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6227341B2 (ja) * 2013-09-13 2017-11-0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開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機器
KR102206179B1 (ko) * 2014-03-11 2021-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537377B1 (ko) 2014-04-16 2015-07-16 주식회사 지산시스템 냉장고 도어용 자동개폐 장치
CN203964526U (zh) * 2014-06-03 2014-11-26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用于冰箱的自动开门装置及具有它的冰箱
CN104329905B (zh) * 2014-07-30 2017-01-1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及控制冰箱开关门的方法
KR101655801B1 (ko) 2014-09-05 201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개폐장치
KR101578354B1 (ko) 2014-09-05 2015-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개폐장치
KR101618552B1 (ko) * 2014-09-05 2016-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6102608A (ja) 2014-11-28 2016-06-02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冷蔵庫用扉開閉機構
JP6482920B2 (ja) * 2015-03-23 2019-03-13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冷蔵庫用扉開閉装置
CN111426124A (zh) * 2015-06-11 2020-07-17 Lg 电子株式会社 冰箱
WO2017005527A1 (en) * 2015-07-07 2017-01-12 Arcelik Anonim Sirketi A cooling device comprising a door closing mechanism and the control method
US10132555B2 (en) * 2015-10-05 2018-1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0301864B2 (en) * 2016-03-30 2019-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or driving system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JP2017180957A (ja) * 2016-03-30 2017-10-05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冷蔵庫用扉開閉機構
KR20160091872A (ko) * 2016-07-25 2016-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개폐장치
CN213597739U (zh) * 2020-07-08 2021-07-02 南京中竞科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旋转机构及电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83077A1 (en) 2017-03-29 2018-10-0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20180291669A1 (en) 2017-04-05 2018-10-1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955027B (zh) 2023-03-21
KR20180126268A (ko) 2018-11-27
US10309143B2 (en) 2019-06-04
CN108955027A (zh) 2018-12-07
EP3404347A1 (en) 2018-11-21
EP3404347B1 (en) 2021-01-13
US20180334844A1 (en) 2018-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8270E1 (en) Opening device for refrigerator
US8668289B2 (en) Automatic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10301865B2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102412016B1 (ko) 냉장고
KR102461474B1 (ko) 냉장고
KR102567530B1 (ko) 냉장고
KR20110064720A (ko) 냉장고
EP4293185A2 (en) Fixing device
KR20080100553A (ko) 냉장고의 도어개방구조
JP2017508122A (ja) 冷蔵庫
JP2008008550A (ja) 扉の開閉装置
JP2018119759A (ja) 冷蔵庫用引出開閉機構
KR20090086310A (ko) 냉장고
JP6956330B2 (ja) 開扉装置および冷蔵庫
KR102277138B1 (ko) 냉장고
JP4489724B2 (ja) 扉装置および冷蔵庫
KR101972547B1 (ko) 도어 자동열림장치가 장착된 양문형 냉장고
JP4966168B2 (ja) 冷蔵庫
KR20040045651A (ko) 냉장고
CN114812072A (zh) 门体及冰箱
KR20060055985A (ko) 양문형 냉장고의 개폐장치
KR20150058732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