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163B1 - 접시저울 - Google Patents

접시저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1163B1
KR102411163B1 KR1020210151140A KR20210151140A KR102411163B1 KR 102411163 B1 KR102411163 B1 KR 102411163B1 KR 1020210151140 A KR1020210151140 A KR 1020210151140A KR 20210151140 A KR20210151140 A KR 20210151140A KR 102411163 B1 KR102411163 B1 KR 102411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frame
elevating
elevating panel
ratch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석준
Original Assignee
유석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석준 filed Critical 유석준
Priority to KR1020210151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1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0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helical sp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1/00Details of weighing apparatus
    • G01G21/23Support or suspension of weighing platfo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1/00Details of weighing apparatus
    • G01G21/24Guides or linkages for ensuring parallel motion of the weigh-p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시에 올려놓은 물품의 물계를 측정하는 접시저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품의 무게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접시저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시저울은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하강패널(20); 상기 승하강패널(20) 상부에 구비되는 접시(30); 상기 승하강패널(20)이 상기 프레임(10)에서 승강되도록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40); 양단이 각각 상기 프레임(10)과 승하강패널(20)에 고정연결되어서, 상기 승하강패널(20)이 상기 프레임(10)에서 승강되도록 탄성지지하면서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판스프링(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접시저울{Platform balance}
본 발명은 접시에 올려놓은 물품의 물계를 측정하는 접시저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품의 무게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접시저울에 관한 것이다.
상점이나 가정에서 가벼운 물체의 무게를 재기 위해 사용하는 저울로는 일반적으로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접시저울이 많이 사용된다.
도1은 등록실용신안 20-0371094 "접시 저울의 승강 부재 지지 구조"에 도시된 접시저울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1), 상기 프레임(1) 위에 배치되고 무게를 재기 위한 물건이 올려지는 트레이(2), 상기 트레이(2)에서 아래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1)의 상면을 관통하게 설치되는 승강 부재(3), 상기 프레임(1)의 내부 후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1)에 고정되는 지지판(1a), 상기 승강 부재(3)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판(1a)에 힌지 결합되는 상부 지지 링크(4a) 및 하부 지지 링크(4b), 상기 승강 부재(3)에서 연장된 연장부(3a)와 상기 프레임(1)의 상부를 관통하게 설치된 장력 조절부(3a)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 부재(3)를 탄력있게 지지하는 코일스프링(6), 일단이 상기 지지판(1a)에 힌지 결합된 측정 링크(7), 상기 승강 부재(3)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제1 연결 링크(5a), 일단이 상기 제1 연결 링크(5a)와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측정 링크(7)의 중간에 힌지 결합되는 제2 연결 링크(5b), 상기 측정 링크(7)의 타단에 힌지 결합된 래크(8a), 상기 래크(8a)와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1)의 전면에 노출되게 배치된 저울 바늘(9)이 축 결합된 피니언 기어(8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1의 종래기술에서 상부 지지 링크(4a) 및 하부 지지 링크(4b)는 양단이 각각 상기 프레임(1)의 지지판(1a)과 승강부재(3)에 축핀(4c, 4d, 4e, 4f)으로 힌지결합되어서, 상기 승강부재(3)의 승하강을 가이드한다.
상기 축핀(4c, 4d, 4e, 4f)과, 축핀(4c, 4d, 4e, 4f)이 관통하는 구멍에는 공차가 발생한다. 이 공차로 인해서 승강부재(3)가 승하강할 때, 축핀(4c, 4d, 4e, 4f)은 구멍 안에서 공차 만큼 상하방향이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흔들림과, 축핀(4c, 4d, 4e, 4f)이 구멍이 형성된 프레임(1)의 지지판(1a)과 승강부재(3)에 부딪히는 충격이 발생된다.
이러한 축핀(4c, 4d, 4e, 4f)의 흔들림은 승강부재(3)와 트레이(2)의 흔들림으로 이어져 물품의 무게 측정을 부정확하게 하고, 축핀(4c, 4d, 4e, 4f)의 충돌은 소음을 발생시키고, 공차를 커지게하여서 흔들림이 증가하고 그 만큼 무게 측정을 더 부정확하게 한다.
물품의 무게 측정시 승강부재는 하강을 하고, 축핀(4c, 4d, 4e, 4f)들은 회전하면서 구멍들과 접촉하여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네 축핀(4c, 4d, 4e, 4f)은 여덟 곳의 구멍에서 접촉하여 마찰력이 발생하는데, 이 여덟 곳에서 마찰력이 일정하기 어렵다. 마찰력이 크게 증가하거나 여덟 곳의 마찰력에 편차가 있으면 물품의 무게 측정이 부정확해진다. 예를 들어, 구멍이나 축핀이 부식되면 회전이 방해되어 마찰력이 증가되고, 물품의 트레이 위에서 중앙에서 벗어나 가장자리에 치우쳐 올려지면 여덟 곳에서 마찰력의 편차가 발생되어서, 물품의 무게 측정이 부정확해진다.
본 발명은 이처럼 종래기술에 따른 접시저울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승하강패널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부재로 양단이 프레임과 승하강패널에 고정연결되는 판스프링을 사용하여서 접시 및 승하강패널의 승하강 과정에서 흔들림이 없어서 보다 정밀하 무게 측정이 가능하고, 물품을 접시의 가장자리에 올려놓아도 무게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접시저울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판스프링의 브라켓을 프레임에 체결시키는 볼트와 너트에서 반복되는 사용으로 너트가 비의도적으로 풀리는 것을 방지한 접시저울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시저울은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하강패널(20);
상기 승하강패널(20) 상부에 구비되는 접시(30);
상기 승하강패널(20)이 상기 프레임(10)에서 승강되도록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40);
양단이 각각 상기 프레임(10)과 승하강패널(20)에 고정연결되어서, 상기 승하강패널(20)이 상기 프레임(10)에서 승강되도록 탄성지지하면서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판스프링(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50)의 일단이 고정결합되고, 상기 프레임(10)에 고정결합되는 제1브라켓(53)과,
상기 판스프링(50)의 타단이 고정결합되고, 상기 승하강패널(20)에 고정결합되는 제2브라켓(5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판스프링(50)은 상기 프레임(10)에 연결되는 일단이 상기 승하강패널(20)에 연결되는 타단 보다 낮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브라켓(53)은 상기 프레임에 볼트(B)와 너트(N)로 체결되고,
상기 너트(N)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상기 제1브라켓(53)의 나사공(C3)의 주변에 형성된 수용홈(C32)의 바닥에 형성된 래칫 톱니부(C31),
상기 너트(N) 내부에서 상기 래칫 톱니부(C31)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되, 상기 래칫 톱니부(C31)에 걸림 가능하게 상기 너트(N)의 전면으로 출몰하는 결속부(N11)와, 상기 결속부(N11)의 후방으로 연장 연결되며 일면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캠홈(N12)을 구비한 밀림부(N13)로 구성된 래칫바(N1),
상기 너트(N) 내부에서 상기 너트(N)의 육각면 중 하나를 향해 탄성 지지되되, 육각면으로 출몰하는 눌림부(N21)와, 상기 눌림부(N21)의 하부로 연장 연결되어 상기 밀림부(N13)의 일면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접하며 타면에 상기 캠홈(N12)에 끼워지는 가압돌기(N22)를 구비한 가압부(N23)로 구성된 누름바(N2)를 포함하고,
상기 래칫 톱니부(C31)는 상기 너트(N)의 조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톱니들이 나사공(C3)의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배열되면서 후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래칫바(N1)는 상기 너트(N)의 전면에 형성된 출몰홈 상에 끼워져 상기 밀림부(N13)의 후단이 제1 스프링(N3)으로 지지되어, 상기 결속부(N11)가 상기 너트(N)의 전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누름바(N2)는 상기 너트(N)의 육각면 중 하나에 형성된 출몰홈 상에 끼워져 상기 가압부(N23)의 하단이 제2 스프링(N4)으로 지지되어, 상기 눌림부(N21)가 상기 너트(N)의 육각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눌림부(N21)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너트(N)를 상기 볼트(B)에 조여서 상기 결속부(N11)가 상기 래칫 톱니부(C31)에 접촉될 때 상기 래칫바(N1)가 전후로 출몰하면서 결속부(N11)가 래칫 톱니부(C31)를 지나 완전하게 조여진 후, 상기 결속부(N11)가 래칫 톱니부(C31)의 톱니들 중 하나에 걸림에 따라 상기 너트(N)는 풀리지 않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접시저울은 판스프링의 양단이 각각 프레임에 승하강패널에 고정연결되어서, 승하강패널 및 접시가 승하강함에 있어 요동이 발생되지 않고, 그에 따라 물품의 무게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고, 물품이 접시의 가장자리에 올려지더라도 승하강패널은 기울어짐 없이 상하방향으로 하강하여 무게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판스프링에 부식이 발생되더라도 무게 측정에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판스프링은 경사지게 배치되어서 탄성력의 선형성이 우수하여 물품 무게의 오차를 최소화하여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고, 판스프링의 브라켓은 볼트와 너트를 통해 프레임과 승하강패널에 간편하게 체결되면서 반복적인 사용에 따른 외력으로 너트가 비의도적으로 풀리는 것을 방지한 제품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접시저울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시저울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접시의 승강상태와 하강상태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을 요부로 하는 사시도.
도 5 는 너트의 풀림방지수단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시저울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시저울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시저울은 프레임(10), 승하강패널(20), 접시(30), 코일스프링(40), 판스프링(50), 바늘(61), 피니언기어(62), 래크(63), 측정바(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의 전면에는 물품의 무게를 알려주는 눈금들이 표시된 눈금판(11)이 구비되고, 상기 눈금판의 중앙에는 바늘(61)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승하강패널(20)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를 관통하여 승하강이 가능하다.
상기 코일스프링(40)은 하단은 상기 승하강패널(20)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단은 고리부재(41)를 통해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연결된다.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는 상기 고리부재(41)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서 무게를 보여주는 바늘(61)의 영점을 조절하는 영점조절노브(43)가 구비된다.
상기 코일스프링(40)의 탄성력은 선형성이 우수하여서 측정되는 물품의 무게에 오차가 적다.
상기 판스프링(50)은 상기 프레임(10)과 승하강패널(20)을 상부에서 연결하는 상부 판스프링(51)과 하부에서 연결하는 하부 판스프링(52)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판스프링(51)과 하부 판스프링(52)은 상기 승하강패널(20)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승하강하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상부 판스프링(51)과 하부 판스프링(52)은 상기 승하강패널(20)을 탄성지지하여 상기 코일스프링(40)과 함께 물품의 무게를 분담한다.
상기 판스프링(50)은 열처리를 하여 탄력적이고, 인장력이 높은 얇은 박판의 구조를 갖는다.
상기 상부 판스프링(51)과 하부 판스프링(52) 중에서 접시(30)에 가까운 상부 판스프링(51)이 부하가 더 크기 때문에 하부 판스프링(52) 보다 폭이 넓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판스프링(50)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승하강패널(20)에 연결된다. 이때, 실험 결과, 상기 판스프링(50)의 일단이 타단 보다 낮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서, 승하강패널(20)이 최대로 하강할 때 휘어지는 상기 판스프링(50)이 수평방향(즉, 0도)으로 배치되도록 하면, 판스프링(50)의 휨어짐에 따른 탄성력의 선형성이 우수하여, 무게 측정의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승하강패널(20)의 승하강범위의 중간 지점에서 상기 판스프링(50)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실험결과, 이경우 승하강패널(20)의 최대 승강지점에서 중간지점까지는 상기 판스프링(50)의 휘에짐에 따른 탄성력이 선형성에서 약간의 양의 값을 갖고, 승하강패널(20)의 중간지점에서 최대 하강지점까지는 상기 판스프링(50)의 휘에짐에 따른 탄성력이 선형성에서 약간의 음의 값을 가지면서, 무게 측정의 오차가 조금 커진다. 즉, 판스프링(50)은 경사지게 배치되되, 승하강패널(20)이 최대로 하강할 때 휘어지는 상기 판스프링(50)이 수평방향(즉, 0도)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품이 올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50)의 경사진 각도가 약 14도, 승하강패널(20)이 최대로 하강할 때 상기 판스프링(50)의 경사진 각도가 약 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스프링(50)의 일단은 리벳(54)을 이용해 제1브라켓(53)에 고정결합되고, 제1브라켓(53)은 볼트(B)와 너트(N)를 통해 프레임(10)에 고정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50)의 타단은 리벳(54)을 이용해 제2브라켓(55)에 고정결합되고, 제2브라켓(55)은 볼트(B)와 너트(N)를 통해 승하강패널(20)에 고정결합된다.
이처럼 상기 판스프링(50)의 양단이 각각 브라켓(53, 55), 리벳(54), 볼트(B) 및 너트(N)를 통해 상기 프레임(10)과 승하강패널(20)에 고정결합되어서, 승하강패널(20)은 흔들림이나 요동 없이 안정적으로 승하강하게 되고, 그에 따라 물품의 무게를 신속하고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축핀을 구멍에 삽입하는 종래기술에서 축핀과 구멍의 공차에서 오는 흔들림과 요동, 소음, 비틀림 현상 등이 본 발명에서는 배제되어서, 본 발명의 승하강패널(20)과 접시(30)는 전후좌우 방향으로의 흔들림 없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정밀한 무게 측정이 가능하고, 물품이 접시(30)의 가장자리에 올려지더라도 판스프링(50)이 탄성력을 균형적으로 부여하여 무게 측정의 오차를 줄여주고, 판스프링(50)에 부식이 발생되더라도 탄성력은 유지되어서 무게 측정의 정밀성이 유지된다.
눈금을 가리켜 물품의 무게를 보여주는 상기 바늘(61)에는 피니언기어(62)가 구비되고, 상기 피니언기어(62)는 전후진하는 래크(63)에 축설되고, 상기 래크(63)는 측정바(65)에 연결되어서 전후진하고, 상기 측정바(65)는 링크를 통해 상기 승하강패널(20)에 연결되어서 승하강패널(20)의 승하강에 따라 정역회전하여서 상기 래크(63)를 전후진시킨다.
상기 제1브라켓(53)과 제2브라켓(55)은 볼트(B)와 너트(N)를 통해 상기 프레임(10)과 승하강패널(20)에 고정결합되는데, 반복되는 사용에 의해 판스프링(50)이 가하는 충격으로 너트(N)가 풀리기 쉽다.
이에 본 발명은 너트의 풀림방지수단을 도입하여 너트(N)가 비의도적으로 풀리지 않도록 한다.
도5를 참조하면,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상기 제1브라켓(53)의 나사공(C3)의 주변에 형성된 수용홈(C32)의 바닥에 형성된 래칫 톱니부(C31),
상기 너트(N) 내부에서 상기 래칫 톱니부(C31)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되, 상기 래칫 톱니부(C31)에 걸림 가능하게 상기 너트(N)의 전면(도5 기준으로 상부)으로 출몰하는 결속부(N11)와, 상기 결속부(N11)의 후방(도5 기준으로 하부)으로 연장 연결되며 일면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캠홈(N12)을 구비한 밀림부(N13)로 구성된 래칫바(N1),
상기 너트(N) 내부에서 상기 너트(N)의 육각면 중 하나를 향해 탄성 지지되되, 육각면으로 출몰하는 눌림부(N21)와, 상기 눌림부(N21)의 하부로 연장 연결되어 상기 밀림부(N13)의 일면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접하며 타면에 상기 캠홈(N12)에 끼워지는 가압돌기(N22)를 구비한 가압부(N23)로 구성된 누름바(N2)를 포함한다.
상기 래칫 톱니부(C31)는 상기 너트(N)의 조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톱니들이 나사공(C3)의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배열되면서 후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래칫바(N1)는 상기 너트(N)의 전면에 형성된 출몰홈 상에 끼워져 상기 밀림부(N13)의 후단이 제1 스프링(N3)으로 지지되어, 상기 결속부(N11)가 상기 너트(N)의 전면으로 돌출된다.
상기 누름바(N2)는 상기 너트(N)의 육각면 중 하나에 형성된 출몰홈 상에 끼워져 상기 가압부(N23)의 하단이 제2 스프링(N4)으로 지지되어, 상기 눌림부(N21)가 상기 너트(N)의 육각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눌림부(N21)는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너트(N)를 상기 볼트(B)에 조여서 상기 결속부(N11)가 상기 래칫 톱니부(C31)에 접촉될 때 상기 래칫바(N1)가 전후로 출몰하면서 결속부(N11)가 래칫 톱니부(C31)를 지나 완전하게 조여진 후, 상기 결속부(N11)가 래칫 톱니부(C31)의 톱니들 중 하나에 걸림에 따라 상기 너트(N)는 진동 등에 의해서 풀리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너트(N)를 풀기 위해 스패너를 상기 누름바(N2)가 있는 육각면에 맞춰서 끼우면, 스패너에 의해 상기 눌림부(N21)가 눌리면서 상기 누름바(N2)가 삽입하며, 이때 상기 가압부(N23)가 수직으로 하강함에 따라 상기 가압돌기(N22)가 하강하면서 상기 캠홈(N12)의 경사면을 밀어서 상기 밀림부(N13)를 후방측으로 밀게 되고, 이에 상기 래칫바(N1)가 후진하여 상기 결속부(N11)가 상기 너트(N) 내부로 인입되면서 상기 래칫 톱니부(C31)에서 이탈하여, 스패너로 상기 너트(N)를 쉽게 풀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접시저울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프레임 11 : 눈금판
20 : 승하강패널 30 : 접시
40 : 코일스프링 50 : 판스프링
53, 54 : 브라켓 61 : 바늘
62 : 피니언기어 63 : 래크
65 : 측정바

Claims (4)

  1.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하강패널(20);
    상기 승하강패널(20) 상부에 구비되는 접시(30);
    상기 승하강패널(20)이 상기 프레임(10)에서 승강되도록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40);
    양단이 각각 상기 프레임(10)과 승하강패널(20)에 고정연결되어서, 상기 승하강패널(20)이 상기 프레임(10)에서 승강되도록 탄성지지하면서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판스프링(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접시저울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50)의 일단이 고정결합되고, 상기 프레임(10)에 고정결합되는 제1브라켓(53)과,
    상기 판스프링(50)의 타단이 고정결합되고, 상기 승하강패널(20)에 고정결합되는 제2브라켓(5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브라켓(53)은 상기 프레임에 볼트(B)와 너트(N)로 체결되고,
    상기 너트(N)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상기 제1브라켓(53)의 나사공(C3)의 주변에 형성된 수용홈(C32)의 바닥에 형성된 래칫 톱니부(C31),
    상기 너트(N) 내부에서 상기 래칫 톱니부(C31)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되, 상기 래칫 톱니부(C31)에 걸림 가능하게 상기 너트(N)의 전면으로 출몰하는 결속부(N11)와, 상기 결속부(N11)의 후방으로 연장 연결되며 일면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캠홈(N12)을 구비한 밀림부(N13)로 구성된 래칫바(N1),
    상기 너트(N) 내부에서 상기 너트(N)의 육각면 중 하나를 향해 탄성 지지되되, 육각면으로 출몰하는 눌림부(N21)와, 상기 눌림부(N21)의 하부로 연장 연결되어 상기 밀림부(N13)의 일면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접하며 타면에 상기 캠홈(N12)에 끼워지는 가압돌기(N22)를 구비한 가압부(N23)로 구성된 누름바(N2)를 포함하고,

    상기 래칫 톱니부(C31)는 상기 너트(N)의 조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톱니들이 나사공(C3)의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배열되면서 후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래칫바(N1)는 상기 너트(N)의 전면에 형성된 출몰홈 상에 끼워져 상기 밀림부(N13)의 후단이 제1 스프링(N3)으로 지지되어, 상기 결속부(N11)가 상기 너트(N)의 전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누름바(N2)는 상기 너트(N)의 육각면 중 하나에 형성된 출몰홈 상에 끼워져 상기 가압부(N23)의 하단이 제2 스프링(N4)으로 지지되어, 상기 눌림부(N21)가 상기 너트(N)의 육각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눌림부(N21)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너트(N)를 상기 볼트(B)에 조여서 상기 결속부(N11)가 상기 래칫 톱니부(C31)에 접촉될 때 상기 래칫바(N1)가 전후로 출몰하면서 결속부(N11)가 래칫 톱니부(C31)를 지나 완전하게 조여진 후, 상기 결속부(N11)가 래칫 톱니부(C31)의 톱니들 중 하나에 걸림에 따라 상기 너트(N)는 풀리지 않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저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50)은 상기 프레임(10)에 연결되는 일단이 상기 승하강패널(20)에 연결되는 타단 보다 낮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시저울.
  4. 삭제
KR1020210151140A 2021-11-05 2021-11-05 접시저울 KR102411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140A KR102411163B1 (ko) 2021-11-05 2021-11-05 접시저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140A KR102411163B1 (ko) 2021-11-05 2021-11-05 접시저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163B1 true KR102411163B1 (ko) 2022-06-22

Family

ID=82216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140A KR102411163B1 (ko) 2021-11-05 2021-11-05 접시저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1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2123Y2 (ja) * 1993-05-19 1999-03-17 株式会社エー・アンド・デイ 瞬間荷重吸収機構を有する秤量皿
KR200371095Y1 (ko) * 2004-09-24 2004-12-24 이창호 저울용 스프링의 고정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2123Y2 (ja) * 1993-05-19 1999-03-17 株式会社エー・アンド・デイ 瞬間荷重吸収機構を有する秤量皿
KR200371095Y1 (ko) * 2004-09-24 2004-12-24 이창호 저울용 스프링의 고정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7912B2 (en) Weighing sensor for an electronic scale and electronic scale
KR102411163B1 (ko) 접시저울
US10274359B2 (en) Low-profile load cell assembly having flexural members with double-bending behavior
JP2012512402A (ja) ロードセルのためのフット
US20040084227A1 (en) Weighing scale with level compensating foot assembly
CA1144194A (en) Load cell overload protection device
EP0674159A1 (en) Scale, especially bathroom scale, and method for mounting thereof
JP5084326B2 (ja) ロードセルユニットおよび計量装置
US66932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ofitting an existing conveyor to include a factory calibrated weighing device
GB2475081A (en) A load cell having strain gauges to detect flexure in a beam using parallel resistors.
CN101793579A (zh) 微型压力传感器的标定装置
JP3761792B2 (ja) 校正装置付きロードセル式はかり
US20040035612A1 (en) Beam scale with user friendly features
CN201653642U (zh) 微型压力传感器的标定装置
JP2688176B2 (ja) 精密秤
JPH0648358Y2 (ja) 電子秤
US20230228615A1 (en) Method for configuring a calibration mechanism and force sensor thereof
US20060231299A1 (en) Load transfer mechanism
JP4196823B2 (ja)
CN208621170U (zh) 一种抗冲击杠杆称架及称
CN113447198B (zh) 一种推拉力测试机的推力校准装置
CN217456550U (zh) 一种称重装置、称重系统及包装系统
JP6414864B2 (ja) 過負荷防止機構
KR200371095Y1 (ko) 저울용 스프링의 고정 구조
US3268019A (en) Weighing sca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