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354B1 - 전원주택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원주택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354B1
KR102410354B1 KR1020220011474A KR20220011474A KR102410354B1 KR 102410354 B1 KR102410354 B1 KR 102410354B1 KR 1020220011474 A KR1020220011474 A KR 1020220011474A KR 20220011474 A KR20220011474 A KR 20220011474A KR 102410354 B1 KR102410354 B1 KR 102410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wall
lawn
image
re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호
연선미
이공희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11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3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전원주택 관리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전원주택 관리 방법은, 전원주택에서 잔디밭이 형성된 마당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및 전원주택의 외벽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원주택의 마당 영상 및 외벽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마당 영상 및 외벽 영상을 이용하여 마당의 잔디 상태 및 외벽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잔디 상태 및 외벽 상태의 모니터링 결과, 잔디 및 외벽에 대한 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전원주택의 주인의 사용자 단말로 잔디 상태 및 외벽 상태가 보수가 필요한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보수가 필요함에 따라 잔디 보수 업체 및 외벽 보수 업체의 업체 서버로 보수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원주택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country house}
본 발명은 전원주택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안전하고 편리한 신주거 문화공간을 지향하기 위하여 주택에 다양한 주택관리장치가 설치되었다. 예를 들어, 방범을 위한 방범장치나, 전등 및 냉난방장치 등의 자동제어를 위한 홈 오토메이션 장치나, 방문자 확인 및 도어 개폐를 위한 현관장치 등이 주택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좀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주택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도시형 생활주택, 오피스텔, 다세대 주택 등의 생활 편리제공을 위한 주택관리시스템은 개발되어 있으나,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인하여 더욱 부각되고 있는 전원주택(단지)에 대한 전문적인 관리시스템은 부재인 상황이다. 전원주택의 경우, 개인이 관리하기 어렵고, 주택 내 문제 발생 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업체의 선정 및 방문에 대한 피로감이 발생하며, 업체의 비교 견적 시 견적 금액에 대한 근거가 모호한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전원주택의 시공 후 관리 및 하자 발생 시, 책임을 지고 공정하고 투명한 가격정책으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663786호(2016.09.30)
본 발명은 도심외곽에 위치한 전원주택에 대하여 각종 유지보수 및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전원주택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원주택 관리 장치가 수행하는 전원주택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주택 관리 방법은, 전원주택에서 잔디밭이 형성된 마당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및 상기 전원주택의 외벽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전원주택의 마당 영상 및 외벽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마당 영상 및 외벽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마당의 잔디 상태 및 외벽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잔디 상태 및 외벽 상태의 모니터링 결과, 상기 잔디 및 상기 외벽에 대한 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전원주택의 주인의 사용자 단말로 잔디 상태 및 외벽 상태가 보수가 필요한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보수가 필요함에 따라 잔디 보수 업체 및 외벽 보수 업체의 업체 서버로 보수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마당의 잔디 상태 및 외벽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계절별 잔디의 정상 상태 이미지와 상기 획득된 마당 영상을 비교하여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잔디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마당 영상에서 잔디가 결손된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결속 영역이 미리 설정된 임계크기 이상인 경우, 잔디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마당의 잔디 상태 및 외벽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상기 외벽의 정상 색상 이미지와 상기 획득된 외벽 영상을 비교하여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외벽 색상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외벽 영상에서 상기 외벽의 파손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파손 영역이 미리 설정된 임계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외벽이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별한다.
상기 전원주택 관리 방법은, 상기 보수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잔디 보수 업체 및 상기 외벽 보수 업체에서 작성된 필요작업 내역서 및 견적서를 상기 업체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전원주택 관리 방법은, 상기 전원주택의 도어에 설치된 제3 카메라 및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하여 출입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출입정보를 분석하여 타인방문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타인방문 여부의 모니터링 결과, 타인방문횟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타인방문횟수가 임계치를 초과하여 침구세탁이 필요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세탁 업체의 업체 서버로 침구류 세탁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원주택 관리 방법은, 상기 전원주택에 설치된 상수도 관의 유량센서 및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상수도 관의 유량 정보 및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유량 정보 및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 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상수도 관의 상태의 모니터링 결과, 상기 상수도 관이 동파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동파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수리 업체의 업체 서버로 동파 상수도관 수리요청 긴급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원주택 관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주택 관리 장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명령어는, 전원주택에서 잔디밭이 형성된 마당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및 상기 전원주택의 외벽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전원주택의 마당 영상 및 외벽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마당 영상 및 외벽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마당의 잔디 상태 및 외벽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잔디 상태 및 외벽 상태의 모니터링 결과, 상기 잔디 및 상기 외벽에 대한 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전원주택의 주인의 사용자 단말로 잔디 상태 및 외벽 상태가 보수가 필요한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보수가 필요함에 따라 잔디 보수 업체 및 외벽 보수 업체의 업체 서버로 보수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원주택 관리 방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주택 관리 장치 및 방법은, 도심외곽에 위치한 전원주택에 대하여 각종 유지보수 및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전원주택의 관리효율화 및 입주민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입주민의 애로사항을 해결할 수 있으며, 전문적 관리로 인하여 전원주택의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주택 토탈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원주택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원주택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원주택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원주택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주택 관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주택 토탈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주택 토탈 관리 시스템은, 제1 카메라(10), 제2 카메라(20), 제3 카메라(30), 디지털 도어락(40), 유량센서(50), 온도센서(60),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및 업체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0)는 전원주택(1)에서 잔디밭이 형성된 마당(2)을 촬영하여 마당 영상을 획득한다.
제2 카메라(20)는 전원주택(1)의 외벽(3)을 촬영하여 외벽 영상을 획득한다.
제3 카메라(30)는 전원주택(1)의 도어(4)에 설치되어, 출입자 영상 및 도어(4)의 주변 영상을 획득한다.
디지털 도어락(40)은 전원주택(1)의 도어(4)에 설치되어, 권한이 부여된 디지털키가 입력되면, 도어(4)를 개방한다. 이때, 디지털 도어락(40)은 출입자로부터 해당 출입자에 대응하는 비밀번호를 입력받거나, 해당 출입자의 아이디 카드의 접촉을 통해 디지털키를 입력받고, 입력된 디지털키와 디지털키 검증용 식별키를 비교하여, 출입 권한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유량센서(50)는 전원주택(1)에 설치된 상수도 관(5)의 유량을 측정한다.
온도센서(60)는 전원주택(1)에 설치된 상수도 관(5)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다.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연결된 제1 카메라(10), 제2 카메라(20), 제3 카메라(30), 디지털 도어락(40), 유량센서(50), 온도센서(60)로부터 마당 영상, 외벽 영상, 출입자 영상, 도어 주변 영상, 인증된 디지털키, 측정된 상수도 관(5)의 유량값 및 온도값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수신된 각종 정보를 기초로 전원주택(1)에 종합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수신된 마당 영상 및 외벽 영상을 분석하여 전원주택(1)의 잔디 상태 및 외벽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수신된 출입자 영상 또는 도어 주변 영상을 이용하여 출입자나 도어(4) 주변의 타인의 존재 및 행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수신된 유량값 및 온도값을 이용하여 상수도 관(5)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200) 및 업체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전원주택(1)의 주인의 단말일 수 있으며, 업체 서버(300)는 전원주택(1)의 각종 시설물 등을 유지보수할 수 있는 업체의 서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네트워크 연결 가능한 서버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전원주택(1)의 전반적인 관리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서버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주택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리적 개체일 수 있다. 서버가 복수의 물리적 개체로 나뉘어 구현될 때, 각각의 물리적 개체의 관리 주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서버에는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하는 DB가 포함될 수 있으며,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이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원주택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210 단계에서,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전원주택(1)에서 잔디밭이 형성된 마당(2)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0) 및 전원주택(1)의 외벽(3)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20)를 이용하여 전원주택(1)의 마당 영상 및 외벽 영상을 획득한다.
S220 단계에서,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획득된 마당 영상 및 외벽 영상을 이용하여 전원주택(1)의 마당(2)의 잔디 상태 및 전원주택(1)의 외벽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즉,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계절별 잔디의 정상 상태 이미지와 획득된 마당 영상을 비교하여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마당(2)의 잔디 상태가 정상 상태이고, 유사도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마당(2)의 잔디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영상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마당 영상에서 잔디가 결손된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결속 영역이 미리 설정된 임계크기 이상인 경우에도, 잔디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전원주택(1)의 외벽(3)의 정상 색상 이미지와 획득된 외벽 영상을 비교하여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외벽 색상 상태가 정상 상태이고, 유사도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외벽 색상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영상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외벽 영상에서 외벽(3)의 파손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파손 영역이 미리 설정된 임계크기 이상인 경우, 외벽(3)이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S230 단계에서,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잔디 상태 및 외벽 상태의 모니터링 결과, 마당(2)의 잔디 및 외벽(3)에 대한 보수 필요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마당(2)의 잔디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별되면 마당(2)의 잔디 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외벽(3)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별되면, 외벽(3)의 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240 단계에서,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사용자 단말(200)로 잔디 상태 및 외벽 상태가 보수가 필요한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전원주택(1)의 주인에게 알린다.
S250 단계에서,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마당(2)의 잔디 및 외벽(3)의 보수가 필요함에 따라 잔디 보수 업체 및 외벽 보수 업체의 업체 서버(300)로 보수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 업체로 마당(2)의 잔디 및 외벽(3)에 대한 보수 요청을 한다.
여기서, 보수요청 메시지는 획득된 마당 영상 및 외벽 영상, 영상 분석 결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업체에서는 마당(2)의 잔디의 보수, 외벽(3)의 청소, 도색, 보수 등에 대한 필요작업 내역서 및 견적서를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작성된 필요작업 내역서 및 견적서를 잔디 보수 업체 및 외벽 보수 업체의 업체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원주택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310 단계에서,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도어(4)에 설치된 제3 카메라(30) 및 디지털 도어락(40)을 이용하여 출입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출입정보는 출입자 영상 및 출입자의 디지털키를 포함할 수 있다.
S320 단계에서,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획득된 출입정보를 분석하여 타인방문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즉,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디지털키를 통해 주인과 같이 출입권한이 부여된 자를 식별하고, 안면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출입자 영상에서 출입권한이 부여된 자 이외의 타인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년월일시분별로 출입자 영상을 포함하는 출입자 내역을 기록하여 저장한다. 이때,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타인이 존재하는 경우에 타인방문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S330 단계에서,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타인방문 여부의 모니터링 결과, 타인방문횟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340 단계에서,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타인방문횟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한 경우, 사용자 단말(200)로 타인방문횟수가 임계치를 초과하여 침구세탁이 필요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전원주택(1)의 주인에게 알린다.
S350 단계에서,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타인방문횟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함에 따라 세탁 업체의 업체 서버(300)로 침구류 세탁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세탁 업체로 침구류 세탁요청을 한다.
여기서, 보수요청 메시지는 주인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전원주택(1)의 보유 침구류 종류 정보 및 개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 업체에서는 침구류 세탁에 대한 필요작업 내역서 및 견적서를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작성된 필요작업 내역서 및 견적서를 세탁 업체의 업체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원주택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410 단계에서,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전원주택(1)에 설치된 상수도 관(5)의 유량센서(50) 및 온도센서(60)로부터 측정된 상수도 관(5)의 유량 정보 및 온도 정보를 획득한다.
S420 단계에서,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획득된 상수도 관(5)의 유량 정보 및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수도 관(5)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즉,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실시간으로 상수도 관(5)의 유량 및 온도의 변화를 확인하여 상수도 관(5)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S430 단계에서,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상수도 관(5)의 상태의 모니터링 결과, 상수도 관(5)의 동파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상수도 관(5)의 온도가 영하인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유량의 흐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수도 관(5)이 동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상수도 관(5)의 온도가 영하였던 상태 이후에 영상인 상태로 변화했을 때, 유량이 증가하는 패턴이 미리 설정된 평소 유량 증가 패턴보다 미리 설정된 변화량만큼 급격한 변화 패턴을 나타내는 경우, 상수도 관(5)이 동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평소 유량 증가 패턴은 평소에 수도 사용에 따라 측정된 유량 증가 패턴일 수 있다.
S440 단계에서,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상수도 관(5)이 동파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단말(200)로 상수도 관(5)의 동파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전원주택(1)의 주인에게 알린다.
S450 단계에서,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상수도 관(5)이 동파됨에 따라 수리 업체의 업체 서버(300)로 동파 상수도관 수리요청 긴급메시지를 전송하여 수리 업체로 긴급수리 요청을 한다.
이에 따라, 수리 업체에서는 동파 상수도관 수리에 대한 필요작업 내역서 및 견적서를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작성된 필요작업 내역서 및 견적서를 수리 업체의 업체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원주택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510 단계에서,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전원주택(1)에서 마당(2)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0), 전원주택(1)의 외벽(3)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20) 및 도어(4)에 설치된 제3 카메라(30)를 이용하여 주택 주변 영상을 획득한다.
즉,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제1 내지 제3 카메라(10, 20, 30)를 이용하여 마당 영상, 외벽 영상, 출입자 영상 및 도어 주변 영상을 포함하는 주택 주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S520 단계에서,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획득된 주택 주변 영상을 이용하여 타인 접근을 모니터링한다.
즉,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획득된 주택 주변 영상에서 사람을 인식하고, 인식된 사람의 안면을 인식하여 주택 주변에 타인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기 인식된 타인이 전원주택(1)의 마당(2), 외벽(3) 및 도어(4) 주변에서 연속적으로 재인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기 인식된 타인의 총 머무는 시간을 측정한다.
이때,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영상분석을 통해 기 인식된 타인이 칼, 막대기 등과 같은 무기를 소재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다.
S530 단계에서,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타인 접근의 모니터링 결과, 전원주택(1) 주변에서 인식된 타인이 거동 수상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기 인식된 타인이 전원주택(1)의 마당(2), 외벽(3) 및 도어(4) 주변에서 연속적으로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재인식되는 상태에서, 머무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한 경우, 인식된 타인을 거동 수상자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인식된 타인이 무기를 소재한 것으로 판별한 경우에도, 인식된 타인을 거동 수상자로 판단할 수 있다.
S540 단계에서,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전원주택(1) 주변에서 인식된 타인이 거동 수상자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단말(200)로 전원주택(1)에 거동 수상자가 접근하는 긴급상황을 알리는 긴급메시지를 전송하여 전원주택(1)의 주인에게 알린다.
S550 단계에서,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거동 수상자의 출현에 따라 보안 업체의 업체 서버(300)로 거동 수상자를 신고하는 긴급메시지를 전송하여 보안 업체로 신고를 한다.
이때,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설정하기에 따라 경찰과 같은 관계기관에 신고를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주택 관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주택 관리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통신부(130) 및 인터페이스부(14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처리 명령어를 실행시키는 CPU 또는 반도체 소자일 수 있다.
메모리(120)는 다양한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억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ROM, 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주택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인터페이스부(140)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제1 카메라
20: 제2 카메라
30: 제3 카메라
40: 디지털 도어락
50: 유량센서
60: 온도센서
100: 전원주택 관리 장치
110: 프로세서
120: 메모리
130: 통신부
140: 인터페이스부
200: 사용자 단말
300: 업체 서버

Claims (7)

  1. 전원주택 관리 장치가 수행하는 전원주택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전원주택에서 잔디밭이 형성된 마당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및 상기 전원주택의 외벽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전원주택의 마당 영상 및 외벽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마당 영상 및 외벽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마당의 잔디 상태 및 외벽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잔디 상태 및 외벽 상태의 모니터링 결과, 상기 잔디 및 상기 외벽에 대한 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전원주택의 주인의 사용자 단말로 잔디 상태 및 외벽 상태가 보수가 필요한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보수가 필요함에 따라 잔디 보수 업체 및 외벽 보수 업체의 업체 서버로 보수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원주택의 도어에 설치된 제3 카메라 및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하여 출입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출입정보를 분석하여 타인방문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타인방문 여부의 모니터링 결과, 타인방문횟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타인방문횟수가 임계치를 초과하여 침구세탁이 필요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세탁 업체의 업체 서버로 침구류 세탁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원주택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당의 잔디 상태 및 외벽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계절별 잔디의 정상 상태 이미지와 상기 획득된 마당 영상을 비교하여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잔디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마당 영상에서 잔디가 결손된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결속 영역이 미리 설정된 임계크기 이상인 경우, 잔디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주택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당의 잔디 상태 및 외벽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상기 외벽의 정상 색상 이미지와 상기 획득된 외벽 영상을 비교하여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외벽 색상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외벽 영상에서 상기 외벽의 파손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파손 영역이 미리 설정된 임계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외벽이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주택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주택 관리 방법은, 상기 보수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잔디 보수 업체 및 상기 외벽 보수 업체에서 작성된 필요작업 내역서 및 견적서를 상기 업체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주택 관리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주택 관리 방법은,
    상기 전원주택에 설치된 상수도 관의 유량센서 및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상기 상수도 관의 유량 정보 및 온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유량 정보 및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 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상수도 관의 상태의 모니터링 결과, 상기 상수도 관이 동파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동파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수리 업체의 업체 서버로 동파 상수도관 수리요청 긴급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주택 관리 방법.
  7. 전원주택 관리 장치에 있어서,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명령어는,
    전원주택에서 잔디밭이 형성된 마당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및 상기 전원주택의 외벽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전원주택의 마당 영상 및 외벽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마당 영상 및 외벽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마당의 잔디 상태 및 외벽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잔디 상태 및 외벽 상태의 모니터링 결과, 상기 잔디 및 상기 외벽에 대한 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전원주택의 주인의 사용자 단말로 잔디 상태 및 외벽 상태가 보수가 필요한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보수가 필요함에 따라 잔디 보수 업체 및 외벽 보수 업체의 업체 서버로 보수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원주택의 도어에 설치된 제3 카메라 및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하여 출입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출입정보를 분석하여 타인방문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타인방문 여부의 모니터링 결과, 타인방문횟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타인방문횟수가 임계치를 초과하여 침구세탁이 필요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세탁 업체의 업체 서버로 침구류 세탁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원주택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주택 관리 장치.
KR1020220011474A 2022-01-26 2022-01-26 전원주택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410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474A KR102410354B1 (ko) 2022-01-26 2022-01-26 전원주택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474A KR102410354B1 (ko) 2022-01-26 2022-01-26 전원주택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0354B1 true KR102410354B1 (ko) 2022-06-22

Family

ID=82216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474A KR102410354B1 (ko) 2022-01-26 2022-01-26 전원주택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35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8269A (ja) * 2001-03-27 2002-10-04 Sekisui House Ltd 集合住宅の不具合情報管理システム
KR20070110631A (ko) * 2006-05-15 2007-11-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도관 동파 문자알림 서비스방법 및 시스템
KR101633710B1 (ko) * 2015-02-02 2016-06-27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63786B1 (ko) 2016-05-30 2016-10-11 (주)무림설계기술단 공동주택의 소방관리와 감시시스템
KR102113860B1 (ko) * 2020-04-02 2020-06-02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단지용 구내통신망 중계 시스템
KR20210077322A (ko) * 2019-12-17 2021-06-25 국토안전관리원 인공지능 기반의 시설물 외관 분석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8269A (ja) * 2001-03-27 2002-10-04 Sekisui House Ltd 集合住宅の不具合情報管理システム
KR20070110631A (ko) * 2006-05-15 2007-11-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도관 동파 문자알림 서비스방법 및 시스템
KR101633710B1 (ko) * 2015-02-02 2016-06-27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63786B1 (ko) 2016-05-30 2016-10-11 (주)무림설계기술단 공동주택의 소방관리와 감시시스템
KR20210077322A (ko) * 2019-12-17 2021-06-25 국토안전관리원 인공지능 기반의 시설물 외관 분석 방법
KR102113860B1 (ko) * 2020-04-02 2020-06-02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단지용 구내통신망 중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57393C (en) Property management system utilizing a blockchain network
CN104240342B (zh) 一种基于身份验证的门禁控制方法及门禁控制装置
CN106960405B (zh) 智慧档案大数据平台系统
CN101197676B (zh) 认证系统的管理方法
CN101682750A (zh) 用于集成视频分析和数据分析/挖掘的系统和方法
CN105681298A (zh) 公共信息平台中的数据安全异常监测方法及系统
CN108269331A (zh) 一种智能视频大数据处理系统
CN102184485A (zh) 基于物联网的公共租赁住房管理系统
CN108986281A (zh) 基于人脸识别的家庭成员智能认证系统
WO2020135079A1 (zh) 电子闸门的开启方法、装置及服务器
CN108537921B (zh) 基于人脸识别的访客识别方法和系统
CN111292454A (zh) 一种智能身份门禁识别系统和方法
KR101750760B1 (ko) 스마트 홈 서비스의 비정상 행위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215191A (zh) 一种无人执勤的智能门禁系统及其工作方法
CN108537920B (zh) 基于人脸识别的访客监控方法和系统
KR102410354B1 (ko) 전원주택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6308955A (zh) 一种基于ai人工智能进行康养管理的智慧社区
CN109816825A (zh) 共享住宿平台云锁系统
CN111379475B (zh) 一种电子锁具的开锁方法、电子锁具及开锁管理设备
CN112184964A (zh) 基于智能门锁的房屋管理系统及方法
CN114648829A (zh) 智能门禁方法及系统
CN117115957B (zh) 一种基于智慧小区的门禁管控方法及系统
CN117354469B (zh) 一种基于安防预警的小区监控视频目标跟踪方法及系统
EP3929884B1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CN116977126A (zh) 一种防飞房综合管理方法、系统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