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710B1 -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710B1
KR101633710B1 KR1020150016361A KR20150016361A KR101633710B1 KR 101633710 B1 KR101633710 B1 KR 101633710B1 KR 1020150016361 A KR1020150016361 A KR 1020150016361A KR 20150016361 A KR20150016361 A KR 20150016361A KR 101633710 B1 KR101633710 B1 KR 101633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wn
grass
image
environmen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인
이주원
권종하
Original Assignee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미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미정보기술 filed Critical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6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7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잔디가 조성된 지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잔디영상을 통해 잔디의 병해 및 소손영역을 검출하고, 또한 잔디가 조성된 지역 곳곳에 복수로 설치된 온도, 습도, 강우 및 일사량을 측정하는 무선통신 기반 환경 센서를 통해 잔디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검출된 잔디의 병해 및 소손 정보와 상기 측정된 환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분석 처리 하여, 해당 잔디의 종합적인 상태 정보를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잔디가 조성된 지역의 잔디병해 및 소손에 대하여 정확하고 빠르게 대처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MART GRASS MANAGEMENT BASED ON IMAGE PROCESSING AND SENSORS}
본 발명은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운동장이나 골프장 등 잔디가 조성된 지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잔디영상을 통해 잔디의 병해 및 소손영역을 검출하고, 또한 잔디가 조성된 지역 곳곳에 복수로 설치된 온도, 습도, 강우 및 일사량을 측정하는 무선통신 기반 환경 센서를 통해 잔디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검출된 잔디의 병해 및 소손 정보와 상기 측정된 환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분석 처리하여, 해당 잔디의 종합적인 상태 정보를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잔디가 조성된 지역의 잔디병해 및 소손에 대하여 정확하고 빠르게 대처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올림픽과 월드컵의 개최 경험이 있고, 경제발전과 국민소득 향상으로 주 5일제 근무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며, 레크리에이션과 스포츠를 위한 녹지공간으로서 잔디의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다. 잔디는 공원, 학교 운동장, 스포츠 경기장(축구, 야구, 골프 등)에서 일반 주택정원까지 그 쓰임새가 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전 세계의 잔디산업 시장 규모는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잔디의 사용목적이 스포츠용인 경우 이용 목적상 매우 섬세하게 관리되어야 하므로 빈번한 예초 및 토양갱신이나, 시비 등 집약적인 관리 작업이 실시되며, 연중 경기자에 의한 답압에 의하여 많은 상처를 받는 등 매우 부적절한 인공 환경 하에서 생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스포츠 경기장에 조성된 잔디는 야생잔디에 비하여 병 저항성이 극히 저하되어 있으며, 이러한 잔디밭에서는 여러 가지 병해가 발생된다. 잔디에 발생하는 각종 병을 예방 및 방제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농약을 살포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심각한 독성문제와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이와 같이 인공적으로 조성된 잔디의 관리가 쉽지 않아 천연잔디로 조성된 경기장 및 운동장을 유지 관리하는 비용으로 운영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잔디의 병해 및 소손을 영상처리와 센서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잔디관리를 수행하면서도 유지관리를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창작된 종래의 선행기술문헌으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2013-0001848호(2013.01.07.)는 잔디 관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및 이를 구동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기상 정보를 이용하여 농약, 비료, 물의 양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잔디 관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및 이를 구동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일예로, 특정 지역의 잔디 관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잔디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특정 지역의 잔디에 대해 건조 경보 또는 병해 경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위험 관리 정보출력 단계를 포함하여 동작하는 기록 매체가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00-0033724호(2000.06.15.)는 잔디운동장의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잔디밭의 저면으로 물을 공급시켜 공급시키는 것과 흡입할 수 있도록 된 파이프를 구비하여 잔디가 성장할 수 있도록 물을 공급시켜주고 비가 올 때에는 즉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며 동절기에는 잔디밭과 표피층에 열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잔디가 동절기에는 잔디가 얼어 죽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잔디운동장의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문헌들은 비록 잔디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언급은 있으나, 잔디가 설비된 경기장이나 골프장에 설비된 잔디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일일이 해당 지역을 매일 순찰하여 직접 확인하고 보수해야 하므로 잔디 관리에 있어서 불편함이 여전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잔디가 이식되어 있는 지역 곳곳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획득한 영상처리 작업을 통한 잔디의 병해 및 소손영역을 검출하고 온도, 습도, 강우, 일사량을 측정하여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잔디의 생육에 이용하고, 또한 상기 잔디의 상태정보와 주변 환경정보를 관리자의 휴대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하여 관리자가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정확하고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시스템 및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센서네트워크를 통한 기상정보를 활용하여 잔디 상태 모니터링 및 예보시스템을 구축하여 잔디의 병해 및 소손에 대하여 정확하고 빠른 대처를 통해 농약 사용량을 감축하고, 비교적 적은 관리 인력으로 관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존의 기술에서는 지원되지 않는 관리자용 스마트 폰 앱을 제공함으로써 관리자에게 잔디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은, 잔디가 조성된 지역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가픽셀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잔디의 영상을 획득하는 잔디영상 획득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잔디가 조성된 지역환경을 측정하여 잔디환경을 획득하는 잔디환경 획득부; 상기 획득한 잔디의 영상과 잔디환경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획득한 잔디영상과 상기 저장한 잔디영상을 이용하여 잔디의 병해 또는 소손영역을 검출하는 영상 처리부; 및 특정 잔디가 조성된 지역에 대해 상기 검출한 잔디의 병해 또는 소손영역에 대한 영상을 상기 해당 특정 잔디가 조성된 지역의 상기 획득한 잔디환경에 대한 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잔디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잔디상태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은, 상기 검출한 잔디의 병해 또는 소손영역을 상기 해당 특정 잔디가 조성된 지역의 상기 획득한 잔디환경과 서로 연관되도록 저장하되, 상기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기에 편리하도록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잔디의 상태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동경로추적과 줌, 팬, 틸트, 포커스, 화각조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카메라 제어기능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잔디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잔디의 병해 및 소손영역을 검출하는 것은, 잔디가 조성된 지역의 촬영 영상을 소정의 크기를 가진 블록으로 블록화하여 캐스케이드 가우시안 필터링 과정을 통하여 블록별 칼라영상의 평균값, 최대값, 최소값 또는 이들의 조합을 연산하여 역치를 추출하고, 그 역치를 기반으로 각 픽셀 간의 차이인 절대값을 계산함으로써 잔디의 병해와 소손영역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검출된 잔디의 병해 및 소손영역에 대해서 의사 컬러링을 통해서 가시화하는 시각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은, 상기 잔디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앱으로 상기 상태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상태정보를 특정 단말로 메시지의 형태로 관리자 단말기에 푸쉬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잔디환경을 획득하는 것은, 무선통신 기반의 환경센서를 성형, 트리형, 매쉬형, 링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형태로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획득하며, 상기 환경센서는 온도, 습도, 강우, 일사량 또는 이들의 조합을 측정하여 주기적으로 코디네이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방법은, 잔디영상 획득부를 통해서 잔디가 조성된 지역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가픽셀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잔디의 영상을 획득하는 잔디영상 획득 단계; 잔디환경 획득부를 통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잔디가 조성된 지역환경을 측정하여 잔디환경을 획득하는 잔디환경 획득 단계; 상기 획득한 잔디의 영상과 잔디환경을 저장하는 저장 단계; 영상 처리부를 통해서, 상기 획득한 잔디영상과 상기 저장한 잔디영상을 이용하여 잔디의 병해 또는 소손영역을 검출하는 영상 처리 단계; 및 특정 잔디가 조성된 지역에 대해 상기 검출한 잔디의 병해 또는 소손영역에 대한 영상을 상기 해당 특정 잔디가 조성된 지역의 상기 획득한 잔디환경에 대한 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잔디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잔디상태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방법은, 상기 검출한 잔디의 병해 또는 소손영역을 상기 해당 특정 잔디가 조성된 지역의 상기 획득한 잔디환경과 서로 연관되도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되, 상기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기에 편리하도록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잔디의 상태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획득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동경로추적과 줌, 팬, 틸트, 포커스, 화각조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카메라 제어기능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잔디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 단계에서, 잔디의 병해 및 소손영역을 검출하는 것은, 잔디가 조성된 지역의 촬영 영상을 소정의 크기를 가진 블록으로 블록화하여 캐스케이드 가우시안 필터링 과정을 통하여 블록별 칼라영상의 평균값, 최대값, 최소값 또는 이들의 조합을 연산하여 역치를 추출하고, 그 역치를 기반으로 각 픽셀 간의 차이인 절대값을 계산함으로써 잔디의 병해와 소손영역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 단계는, 상기 검출된 잔디의 병해 및 소손영역에 대해서 의사 컬러링을 통해서 가시화하는 시각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방법은, 상기 잔디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앱으로 상기 상태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상태정보를 특정 단말로 메시지의 형태로 관리자 단말기에 푸쉬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잔디환경을 획득하는 것은, 무선통신 기반의 환경센서를 성형, 트리형, 매쉬형, 링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형태로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획득하며, 상기 환경센서는 온도, 습도, 강우, 일사량 또는 이들의 조합을 측정하여 주기적으로 코디네이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잔디가 조성된 지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잔디영상을 통해 잔디의 병해 및 소손영역을 검출하고, 또한 잔디가 조성된 지역 곳곳에 복수로 설치된 온도, 습도, 강우 및 일사량을 측정하는 무선통신 기반 환경 센서를 통해 잔디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검출된 잔디의 병해 및 소손 정보와 상기 측정된 환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분석 처리하여, 해당 잔디의 종합적인 상태 정보를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잔디가 조성된 지역의 잔디병해 및 소손에 대하여 정확하고 빠르게 대처하여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잔디 병해 및 소손을 초기에 진단하여 대응할 수 있으므로 잔디 관리를 위한 농약사용 감소로 인한 환경문제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며, 관리 인력의 효율적인 배치 및 운영, 잔디 관리를 위한 농약사용량 감소로 인해 잔디관리를 위한 운영비용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우수한 잔디사용 환경 제공으로 생활체육인들에게 양질의 서비스 제공하고, 효율적인 잔디관리 시스템 도입으로 학교 및 기관의 천연 잔디 운동장의 확대로 인한 관련 잔디산업 및 지역 농가소득을 확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의 잔디병해 및 소손 검출을 위한 영상처리 알고리즘에 대한 과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의 무선통신 기반 환경 센서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의 스마트 잔디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의 모니터링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은 크게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10)과 무선통신 기반 환경센서(20)로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10)은 잔디의 영상을 획득하는 메가픽셀 네트워크 카메라(100), 상기 메가픽셀 네트워크 카메라(100)의 영상을 처리하고 저장하는 영상처리 및 저장서버(200), 상기 영상처리 및 저장서버(200)의 영상 처리 정보와 상기 무선통신 기반 환경센서(20)로부터 수집된 환경정보를 바탕으로 잔디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분석결과를 관리자의 휴대 단말기 등에 전송하는 모니터링 서버(300), 상기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10)을 관리하고 조회하는 운영 단말기(400), 상기 모니터링 서버(300)로부터 잔디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거나 조회 가능한 휴대 단말기(500), 상기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10)의 전체 현황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해 주는 대형 모니터(600), 상기 메가픽셀 네트워크 카메라(100)와 영상처리 및 저장서버(200)와 모니터링 서버(300)와 운영 단말기(400)와 대형 모니터(600)를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주는 허브(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가픽셀 네트워크 카메라(100)는 잔디가 조성된 지역 곳곳에 설치되어 풀 HD급 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하고 또한 자동 경로 추적 및 줌 기능을 통한 세밀한 촬영이 가능하며, 촬영된 영상은 상기 대형 모니터(6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또한 상기 영상처리 및 저장서버(200)와 모니터링 서버(300)로 전송되어 저장 및 영상 처리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영상처리 및 저장서버(200)는 상기 메가픽셀 네트워크 카메라(100)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캐스케이드 가우시안 필터링(Cascade Gaussian Filtering)방식을 통해 잔디 병해 및 소손영역을 검출하고 구간별 영상을 저장한다.
가우시안 필터링은 일반적으로 카메라 센서를 통해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이나 획득한 영상을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노이즈의 모델링 중의 하나인 가우시안 노이즈를 필터링 하는 노이즈 제거 영상 처리방법으로 가우시안 노이즈는 표준편차에 따라 정규 분포를 갖고 자연스러운 잡음이 생성되어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 개발에 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가우시안 필터링을 단계적(캐스케이드)으로 적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노이즈를 제거하여 잔디 병해 및 소손영역 검출의 정확도를 높였다.
상기 모니터링 서버(300)는 상기 영상처리 및 저장서버(200)의 영상 처리 결과를 바탕으로 병해 및 소손영역이 검출되면 그 내용을 DB에 저장하고, 또한 검출 내용을 관리자가 바로 확인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푸시 메시지를 통해 관리자의 휴대 단말기(500)로 알려준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 기반 환경센서(20)로부터 수집된 온도, 습도, 강우 및 일사량의 정보를 DB에 저장하고, 관리자가 관련 정보를 확인 가능하도록 DB에 관련 기록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잔디의 병해 및 소손이 발생하였을 경우, 당시의 온도, 습도, 강우 및 일사량 등의 환경정보를 바탕으로 잔디 생육에 지장을 주는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DB에 저장하고 이후 유사한 환경조건이 발생하면 미리 관리자에게 관련 정보를 경고 형태의 푸시 메시지를 통해 알려 줌으로써 잔디의 병해 및 소손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OS 및 기종의 스마트폰, 피처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 등을 포함하며 관리자의 업무 효율성을 위해 잔디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앱으로 관련정보 제공하고, 잔디 병해 및 소손영역 검출 시 빠른 대응을 위해 관련 정보를 푸시 메시지를 통해서 관리자에게 알려준다.
상기 무선통신 기반 환경 센서(20)는 잔디관리를 위한 대기 및 지표의 온도, 습도, 강우, 일사량 등을 측정하여 잔디의 상태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한다. 잔디가 조성된 지역 전체에 성형, 트리형, 매쉬형, 링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형태의 네트워크로 센서 노드(900)와 코디네이터(Coordinator)(800)로 구축되어 있으며, 그 센서 노드마다 온도 센서(910), 습도 센서(920), 강우 센서(930), 일사량 센서(9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온도, 습도, 강우 및 일사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그 값을 상기 코디네이터(800)로 전송한다.
센서 간의 연결은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근거리무선통신(NFC) 등 다양한 무선 통신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의 잔디병해 및 소손 검출을 위한 영상처리 알고리즘에 대한 과정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가픽셀 네트워크 카메라(100)로부터 획득된 영상은 상기 영상처리 및 저장서버(200)로 전송되고, 상기 영상처리 및 저장서버(200)는 잔디가 조성된 지역의 촬영 영상을 NxN으로 블록화하여 픽셀을 추출하고, 또한 단계적으로 가우시안 필터링 과정을 통하여 블록별 칼라영상의 평균값과 최대값, 최소값을 추출하여 역치를 추출하고, 그 역치를 기반으로 각 픽셀 간의 차를 절대값으로 처리하여 추출한다. 이 절대값을 근거로 잔디의 병해와 소손 부분을 추정하고, 그 부분을 의사(Pseudo) 컬러링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잔디의 병해와 소손 발생 내용은 상기 모니터링 서버(300)에서 푸시 메시지를 통해 관리자에게 알려주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또한 관리자는 상기 휴대 단말기(500)을 통해 잔디의 병해 및 소손영역을 확인하고 신속하게 보수 할 수 있다.
잔디가 심어져 있는 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가픽셀 카메라가 촬영하여 영상을 전송하면,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은 이를 카메라별로 전체 잔디 영역에 대해서 스캔하면서 감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카메라로 일정 영역을 고정적으로 미리 정해진 영역을 감시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심지어 하나의 카메라로 전체 잔디 영역을 골고루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 감시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복수의 카메라로 촬영되거나 하나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각 프레임마다 영상을 복수의 블록으로 나누고, 블록 단위로 복수의 가우시안 필터링을 거쳐서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의 크기는 4x4, 8x8, 16x16, 32x32 등으로 나누어서 처리하는 것이 편리하다. 그러나 이러한 블록의 사이즈는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에 따라 개별적으로 설정하여 처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블록의 크기(사이즈)가 크면 블록의 경계 사이에서 생기는 블록킹 현상을 다소 줄일 수 있으나 블록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처리할 데이터의 량이 많아 속도가 느려질 수도 있고, 반면에 블록의 크기가 작으면 각 블록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의 량이 적어서 처리 속도가 빨라질 수 있으나, 블록의 경계에서 블록킹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처리할 블록의 크기에 대해서는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의 성능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록 단위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블록의 경계에 대해서는 블록킹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필터링 과정을 더 포함하여 영상처리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블록킹 현상의 제거를 위한 필터링 과정을 추가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몇 개의 블록을 묶어서 매크로블록을 형성하여, 경우에 따라서 블록 단위 혹은 매크로블록 단위로 영상을 부분하여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블록킹 현상에도 불구하고 각 블록이나 매크로블록 및 프레임 단위로 데이터를 처리하여도 잔디의 소손된 부분을 추정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각 카메라 영상이 넓은 잔디 영역을 필셀 단위로 혹은 복수의 픽셀 단위로 옮겨가면서 잔디 영역을 스캔하듯이 x-방향과 y-방향으로 탐색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면서 영상을 처리하여, 중복하여 영상을 처리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탐색하고 소손부위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단계적으로 가우시안 필터링 과정을 통하여 블록별 칼라영상의 평균값과 최대값, 최소값을 추출하여 역치를 추출하고, 그 역치를 기반으로 각 픽셀 간의 차를 절대값으로 처리하여 추출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블록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각 프레임마다 처리하여야 할 데이터가 너무 많아 처리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처음에는 블록의 크기를 크게 하여 해당 블록에 대해서 평균값과 최소값을 추출하여 역치를 추출하고, 해당 블록에서 몇 개의 픽셀을 건너뛰면서 해당 픽셀간의 차를 절대값으로 추출하여 이 값이 소정의 미리 정해진 수치 이상으로 크게 차이가 나면 잔디가 손상된 부분 혹은 소손된 부분으로 판단하고, 이렇게 하면 추정한 결과가 부정확할 수 있으므로, 먼저 이렇게 개략적으로 추정하고, 추정한 결과가 소손된 영역으로 의심이 되면 그때 해당 영역에서 정밀하게 픽셀을 건너뛰지 않고 픽셀단위로 옮겨 가면서 잔디가 손상된 부분 혹은 소손된 부분으로 판단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절대값을 근거로 잔디의 병해와 소손 부분을 추정하고, 그 부분을 의사(Pseudo) 컬러링을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상기 절대값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컬러로 바꿔가면서 혹은 잔디의 병해나 소손 정도에 따라 미리 정해진 컬러의 범례에 따라 관리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가시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병해나 소손된 영역으로 판단된 부분의 환경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소손된 부분의 절대값이 동일하더라도 환경정보에 따라 복수의 서로 다른 컬러로 매핑하여 다양한 정보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잔디의 병해와 소손 발생 내용에 따른 컬러링 정보는 상기 모니터링 서버(300)에서 푸시 메시지를 통해 관리자에게 전송되고, 또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자신의 휴대 단말기로 상기 컬러 정보만 수신하면 자신의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앱 프로그램을 통해서 잔디의 병해와 소손 내용을 그래픽 이미지로 표시하거나 텍스트 정보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렇게 전달된 정보는 잔디의 병해와 소손 영역에 대한 영상 정보뿐만 아니라 환경정보도 포함하고 있으므로, 관리자는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병해나 소손된 잔디 영역을 보수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블록의 크기를 크게 하여 개략적으로 전체 잔디 영역을 감시하다가 특정 영역에 대한 병해나 소손의 의심 징후가 추정되면, 다시 해당 영역에 대해서 세밀하게 영상처리를 수행하여 정밀하게 병해나 소손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블록의 경계 부분에 블록킹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필터링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블록화하여 처리함에 있어서, 상기 블록화를 수행할 때 입력되는 영상의 크기를 서브샘플링(subsampling)을 통해 축소하거나 간략화하여 전체적인 잔디의 훼손여부를 추정하고, 특정 잔디부분에 훼손이 있다고 판단되면, 해당 영역에 대해서 좀 더 세밀하게 잔디의 훼손 여부를 추정하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고해상도의 잔디 영상에 대해서 신속하고 효율적이며 정확하게 훼손여부를 추정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의 무선통신 기반 환경 센서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 기반 센서 네트워크는 잔디의 상태 확인 및 관리를 위하여 잔디가 조성된 지역 전체에 성형, 트리형, 매쉬형, 링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형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센서노드마다 온도, 습도, 강우, 일사량 또는 이들의 조합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그 값을 상기 코디네이터(800)로 전송한다.
다만 각 센서 노드의 연결은 특정 형태에 제한을 받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센서 노드의 설치 장소는 잔디의 손상에 대한 빈도가 높은 곳을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각 센서 노드간의 네트워킹은 WiFi, Zigbee, NFC, 비콘 신호, 블루투스 등으로 인터페이스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신 방식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서 그 제한을 두지 않는다.
각 센서 노드에서 측정된 측정값은 디지털 값으로 변환된 후 코디네이터를 거쳐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에 전송된다. 상기 디지털 값은 특정 포맷으로 변환된 다음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에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포맷은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 혹은 식별자인 ID(닉네임 포함)와 해당 측정값을 포함한 미리 정해진 데이터 포맷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의 스마트 잔디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의 스마트 잔디 관리 서버(200+300)의 구성은 영상 획득부(210), 영상 처리부(220), 네트워크 연결부(310), 센서정보 수집부(320), 센서정보 분석부(330), 메시지 처리부(340), 저장부(350), 모니터링부(360) 및 제어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 별도의 데이터베이스(3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관계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부(310)는 상기 허브(700)를 통해 메가픽셀 네트워크 카메라(100)나 운영단말기(400)나 대형 모니터(700)와 연결되고,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500)나 무선통신 기반 환경센서(20)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상기 영상 획득부(210)는 상기 잔디가 조성된 지역의 촬영 영상을 촬영날짜, 카메라 설치 위치 등의 데이터와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220)는 촬영 영상을 NxN으로 블록화하여 픽셀을 추출하고, 이후 단계적(Cascade) 가우시안 필터링 과정을 통하여 블록별 칼라영상의 평균값과 최대값, 최소값을 추출하여 역치를 추출하고, 그 역치를 기반으로 각 픽셀 간의 차인 절대값을 추출하여 이 절대값을 근거로 잔디의 병해 및 소손영역을 검출한다.
상기 센서 정보 수집부(320)는 상기 무선통신 기반 환경센서(20)로부터 측정된 온도, 습도, 강우 및 일사량 데이터를 날짜, 센서 설치 위치 등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센서 정보 분석부(330)는 상기 수집된 센서 정보를 바탕으로 잔디의 병해 및 소손이 발생하였을 경우, 당시의 온도, 습도, 강우 및 일사량 등의 환경정보를 바탕으로 잔디 생육에 지장을 주는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DB와 비교하여 이와 유사한 환경조건이 발생 하면 미리 관리자에게 관련 정보를 경고 형태의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메시지 처리부(340)는 모니터링한 잔디의 병해 및 소손영역이 검출되면 푸시 메시지를 통해 관리자에게 즉시 알려주거나 잔디의 병해 및 소손이 발생하였을 당시의 온도, 습도, 강우 및 일사량 등의 환경정보를 바탕으로 잔디 생육에 지장을 주는 환경에 유사한 환경조건이 발생 하면 미리 관리자에게 관련 정보를 경고 형태의 메시지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저장부(350)는 병해 및 소손영역이 검출된 경우 해당 검출결과와 상기 무선통신 기반 환경 센서(20)로부터 측정된 환경정보 센서값을 저장하고, 또한 관리자가 관련 정보를 확인 가능하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련 기록을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기 모니터링부(360)는 상기 영상 처리부(220)의 처리 결과 잔디의 병해 및 소손이 검출 되거나 센서정보 분석부(330)의 환경 정보 분석결과 잔디 생육에 적합하지 않은 환경이 조성 되었을 경우 상기 메시지 처리부(340)를 통해 관리자에게 해당 정보를 전송하여 관리자가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관리자의 검색 요청이 있는 경우 데이터베이스(380)에 엑세스하여 요청한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모니터링부는 영상처리를 통해서 잔디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뿐만 아니라, 센서값을 통한 환경정보의 분석을 통해서 잔디가 생육하는데 적합하지 않은 조건이 얼마 동안 지속되었는지, 잔디가 생육하는데 얼마나 치명적인 환경이 조성되었는지, 잔디가 생육하는데 어떠한 물리적인 훼손이 가해졌는지, 또는 과거의 잔디 관리 이력을 통해서 현재의 환경조건이 적합한지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특정 구역의 잔디에 대한 상태를 미리 예측하여 관리자에게 통보함으로써, 잔디가 훼손되기 전에 미리 잔디의 훼손을 예방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영상 획득부(210), 영상 처리부(220), 네트워크 연결부(310), 센서 정보 수집부(320), 센서 정보 분석부(330) 메시지 처리부(340), 저장부(350), 모니터링부(360)를 전체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잔디의 상태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고 편리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의 모니터링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메가픽셀 네트워크 카메라(100)는 잔디가 조성된 지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한다(S100). 해당 영상은 상기 영상처리 및 저장서버(200)로 전송되고, 영상처리 및 저장서버(200)는 상기 잔디가 조성된 지역의 촬영 영상을 저장하고(S110), 또한 NxN으로 블록화하여 픽셀을 추출하는 등의 영상 처리 과정을 거치고(S120), 이후 단계적(Cascade) 가우시안 필터링 과정을 통하여 블록별 칼라영상의 평균값과 최대값, 최소값을 추출하여 역치를 추출하고, 그 역치를 기반으로 각 픽셀 간의 차인 절대값을 추출하여 이 절대값을 근거로 잔디의 병해 및 소손영역을 검출한다(S130). 이와 병행적으로 상기 무선통신 기반 환경센서(20)로부터 환경정보를 수집하고(S140), 상기 S140단게에서 수집된 환경 정보 분석하여(S141), 잔디가 조성된 지역의 환경이 과거에 잔디 생육에 적합하지 않았던 생태 환경 여건과 유사하여 환경이 이상한지 판단하고(S142), 만약 잔디의 생태 환경에 이상이 있으면 바로 관리자에게 잔디의 생태 환경 위험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여 관리자가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환경센서 정보 분석 결과 잔디의 생태 환경에 이상이 없는 경우, 상기 S130단계와 상기 S140단계에서 수집된 병해 및 소손영역 검출결과 및 환경 센서값을 모니터링 서버(300)의 DB에 저장한다(S150). 상기 모니터링 서버(300)는 검출된 병해 및 소손영역에 대한 정보와 환경 센서값 등 잔디의 생태 정보를 관리자에게 푸시메시지를 통해 전송한다(S160). 관리자는 상기 휴대 단말기(500)에 설치된 앱을 통해 장소와 시간에 구애 없이 바로 원격으로 잔디상태를 확인할 있다. 이후 관리자의 휴대 단말기로부터 추가적인 검색 요청이 있으면,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요청한 데이터에 대한 DB를 검색하여(S180), 작업위치 및 작업방법, 그리고, 추가적인 환경 정보등 검색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잔디가 조성된 지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잔디영상을 통해 잔디의 병해 및 소손영역을 검출하고, 또한 잔디가 조성된 지역 곳곳에 복수로 설치된 온도, 습도, 강우 및 일사량을 측정하는 무선통신 기반 환경 센서를 통해 잔디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검출된 잔디의 병해 및 소손 정보와 상기 측정된 환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분석 처리 하여, 해당 잔디의 종합적인 상태 정보를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잔디가 조성된 지역의 잔디병해 및 소손에 대하여 정확하고 빠르게 대처하여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잔디 병해 및 소손을 초기에 진단하여 대응할 수 있으므로 잔디 관리를 위한 농약사용 감소로 인한 환경문제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며, 관리 인력의 효율적인 배치 및 운영, 잔디 관리를 위한 농약사용량 감소로 인해 잔디관리를 위한 운영비용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우수한 잔디사용 환경 제공으로 생활체육인들에게 양질의 서비스 제공하고, 효율적인 잔디관리 시스템 도입으로 학교 및 기관의 천연 잔디 운동장의 확대로 인한 관련 잔디산업 및 지역 농가소득을 확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 :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 20 : 무선통신 기반 환경센서
100 : 메가픽셀 네트워크 카메라 200 : 영상처리 및 저장서버
300 : 모니터링 서버 310 : 네트워크 연결부
320 : 센서정보 분석부 330 : 제어부
340 : 메시지 처리부 350 : 저장부
350 : 제어부 400: 운영 단말기
500 : 휴대 단말기 600 : 대형 모니터
700 : 허브 800 : 코디네이터
900 : 센서노드 910 : 온도 센서
920 : 습도 센서 930 : 강우 센서
940 : 일사량 센서

Claims (10)

  1. 잔디가 조성된 지역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가픽셀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잔디영상을 획득하는 잔디영상 획득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잔디가 조성된 지역환경을 측정하여 잔디환경을 획득하는 잔디환경 획득부;
    상기 획득한 잔디영상과 잔디환경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획득한 잔디영상과 상기 저장한 잔디영상을 이용하여 잔디의 병해 또는 소손영역을 검출하는 영상 처리부; 및
    특정 잔디가 조성된 지역에 대해 상기 검출한 잔디의 병해 또는 소손영역에 대한 영상을 해당 특정 잔디가 조성된 지역의 상기 획득한 잔디환경에 대한 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잔디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잔디상태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검출된 잔디의 병해 또는 소손영역에 대해서 의사 컬러링을 통해서 가시화하는 시각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잔디의 병해 또는 소손영역을 검출하는 것은,
    잔디가 조성된 지역의 촬영 영상을 소정의 크기를 가진 블록으로 블록화하여 캐스케이드 가우시안 필터링 과정을 통하여 블록별 칼라영상의 평균값, 최대값, 최소값 또는 이들의 조합을 연산하여 역치를 추출하고, 그 역치를 기반으로 각 픽셀 간의 차이인 절대값을 계산함으로써 잔디의 병해와 소손영역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출한 잔디의 병해 또는 소손영역을 상기 해당 특정 잔디가 조성된 지역의 상기 획득한 잔디환경과 서로 연관되도록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잔디의 상태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동경로추적과 줌, 팬, 틸트, 포커스, 화각조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카메라 제어기능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잔디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잔디환경 획득부는,
    무선통신 기반의 환경센서로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획득하며, 상기 환경센서는 온도, 습도, 강우, 일사량 또는 이들의 조합을 측정하여 주기적으로 코디네이터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잔디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앱으로 상기 상태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상태정보를 관리자 단말을 포함한 특정 단말로 메시지의 형태로 푸쉬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
  6. 잔디영상 획득부를 통해서 잔디가 조성된 지역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가픽셀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잔디영상을 획득하는 잔디영상 획득 단계;
    잔디환경 획득부를 통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잔디가 조성된 지역환경을 측정하여 잔디환경을 획득하는 잔디환경 획득 단계;
    상기 획득한 잔디영상과 잔디환경을 저장하는 저장 단계;
    영상 처리부를 통해서, 상기 획득한 잔디영상과 상기 저장한 잔디영상을 이용하여 잔디의 병해 또는 소손영역을 검출하는 영상 처리 단계; 및
    특정 잔디가 조성된 지역에 대해 상기 검출한 잔디의 병해 또는 소손영역에 대한 영상을 해당 특정 잔디가 조성된 지역의 상기 획득한 잔디환경에 대한 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잔디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잔디상태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처리 단계는, 상기 검출된 잔디의 병해 또는 소손영역에 대해서 의사 컬러링을 통해서 가시화하는 시각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처리 단계에서, 잔디의 병해 또는 소손영역을 검출하는 것은,
    잔디가 조성된 지역의 촬영 영상을 소정의 크기를 가진 블록으로 블록화하여 캐스케이드 가우시안 필터링 과정을 통하여 블록별 칼라영상의 평균값, 최대값, 최소값 또는 이들의 조합을 연산하여 역치를 추출하고, 그 역치를 기반으로 각 픽셀 간의 차이인 절대값을 계산함으로써 잔디의 병해와 소손영역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잔디관리 방법은,
    상기 검출한 잔디의 병해 또는 소손영역을 상기 해당 특정 잔디가 조성된 지역의 상기 획득한 잔디환경과 서로 연관되도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잔디의 상태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동경로추적과 줌, 팬, 틸트, 포커스, 화각조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카메라 제어기능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잔디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잔디환경 획득 단계는,
    무선통신 기반의 환경센서로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획득하며, 상기 환경센서는 온도, 습도, 강우, 일사량 또는 이들의 조합을 측정하여 주기적으로 코디네이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방법.
  9. 삭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잔디관리 방법은,
    상기 잔디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앱으로 상기 상태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상태정보를 관리자 단말을 포함한 특정 단말로 메시지의 형태로 푸쉬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방법.
KR1020150016361A 2015-02-02 2015-02-02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33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361A KR101633710B1 (ko) 2015-02-02 2015-02-02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361A KR101633710B1 (ko) 2015-02-02 2015-02-02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3710B1 true KR101633710B1 (ko) 2016-06-27

Family

ID=56344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361A KR101633710B1 (ko) 2015-02-02 2015-02-02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710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548B1 (ko) * 2018-02-27 2018-05-23 주식회사 일도엔지니어링 드론의 식생 촬영 데이터와 gis 분석 기법을 이용한 골프장 잔디 관리 장치
KR102035814B1 (ko) * 2019-01-07 2019-10-23 조정윤 잔디 관리 중개 서버 및 이에 의한 잔디 관리 중개 방법
KR20190136362A (ko) 2018-05-30 2019-12-10 주식회사 공간정보 농업용 작물의 생육정보 구축시스템
KR20200120168A (ko) * 2019-04-11 2020-10-21 주식회사 비엔비케이 골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21766B1 (ko) 2020-07-24 2021-03-02 (주)더하이브스 환경정보 빅데이터 기반 골프장 잔디 관리 시스템
CN114067455A (zh) * 2021-11-15 2022-02-18 李政力 一种城市园林绿化智能巡管方法
KR20220029940A (ko) 2020-09-02 2022-03-10 주식회사 유비벨록스모바일 인공지능 분석 기반 스마트 잔디 매니지먼트 시스템
KR20220034588A (ko) 2020-09-11 2022-03-18 주식회사 유비벨록스모바일 빅데이터를 활용한 머신러닝 기반 골프장 관수 제어 시스템
KR20220055530A (ko) * 2020-10-26 2022-05-04 주식회사 유비벨록스모바일 촬영 이미지 및 gps 분석 기반의 스마트 잔디 병충해 관리 시스템
KR20220076333A (ko)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한국그린데이터 Evi 및 gci를 이용하여 녹지지역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410354B1 (ko) * 2022-01-26 2022-06-2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원주택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30017428A (ko) 2021-07-28 2023-02-06 이정규 스마트 잔디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57061A (ko) 2021-10-21 2023-04-28 유비벨록스(주) 토양 IoT 기반의 골프장 잔디 자동 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0302B1 (ko) * 1992-07-17 2000-01-15 고사이 아끼오 잔디유지관리장치
KR20110053762A (ko) * 2009-11-16 2011-05-24 디비비전(주) 과수재배 현장에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해충의 종류 및 분포를 분석하는 병해충 관리 시스템
KR20110067791A (ko) * 2009-12-15 2011-06-2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작물의 병해충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0302B1 (ko) * 1992-07-17 2000-01-15 고사이 아끼오 잔디유지관리장치
KR20110053762A (ko) * 2009-11-16 2011-05-24 디비비전(주) 과수재배 현장에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해충의 종류 및 분포를 분석하는 병해충 관리 시스템
KR20110067791A (ko) * 2009-12-15 2011-06-2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작물의 병해충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548B1 (ko) * 2018-02-27 2018-05-23 주식회사 일도엔지니어링 드론의 식생 촬영 데이터와 gis 분석 기법을 이용한 골프장 잔디 관리 장치
KR20190136362A (ko) 2018-05-30 2019-12-10 주식회사 공간정보 농업용 작물의 생육정보 구축시스템
KR102035814B1 (ko) * 2019-01-07 2019-10-23 조정윤 잔디 관리 중개 서버 및 이에 의한 잔디 관리 중개 방법
KR20200120168A (ko) * 2019-04-11 2020-10-21 주식회사 비엔비케이 골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64752B1 (ko) * 2019-04-11 2021-06-15 주식회사 비엔비케이 골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21766B1 (ko) 2020-07-24 2021-03-02 (주)더하이브스 환경정보 빅데이터 기반 골프장 잔디 관리 시스템
KR20220029940A (ko) 2020-09-02 2022-03-10 주식회사 유비벨록스모바일 인공지능 분석 기반 스마트 잔디 매니지먼트 시스템
KR20220034588A (ko) 2020-09-11 2022-03-18 주식회사 유비벨록스모바일 빅데이터를 활용한 머신러닝 기반 골프장 관수 제어 시스템
KR20220055530A (ko) * 2020-10-26 2022-05-04 주식회사 유비벨록스모바일 촬영 이미지 및 gps 분석 기반의 스마트 잔디 병충해 관리 시스템
KR102467508B1 (ko) * 2020-10-26 2022-11-16 주식회사 유비벨록스모바일 촬영 이미지 및 gps 분석 기반의 스마트 잔디 병충해 관리 시스템
KR20220076333A (ko)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한국그린데이터 Evi 및 gci를 이용하여 녹지지역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17428A (ko) 2021-07-28 2023-02-06 이정규 스마트 잔디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57061A (ko) 2021-10-21 2023-04-28 유비벨록스(주) 토양 IoT 기반의 골프장 잔디 자동 관리 시스템
CN114067455A (zh) * 2021-11-15 2022-02-18 李政力 一种城市园林绿化智能巡管方法
CN114067455B (zh) * 2021-11-15 2023-08-29 李政力 一种城市园林绿化智能巡管方法
KR102410354B1 (ko) * 2022-01-26 2022-06-2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원주택 관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710B1 (ko) 영상처리 및 센서 기반의 스마트 잔디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372444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植被管理系统
CN109922310B (zh) 目标对象的监控方法、装置及系统
CN113940326B (zh) 一种基于物联网的害虫防控系统
WO2017012505A1 (zh) 自动行走设备
KR101204259B1 (ko) 화재 검출 방법
CN110988306B (zh) 一种基于电子信息技术的土壤长效监测预防分析管理系统
CN110825931A (zh) 一种应用于自然保护区管理的三维可视化综合系统
CN110210408B (zh) 基于卫星与无人机遥感结合的作物生长预测系统及方法
CN103903252A (zh) 棉田虫情自动监测装置及监测方法
CN210570820U (zh) 一种农业检测预警系统
CN112304902B (zh) 一种农作物物候的实时监测方法和装置
CN105547360A (zh) 基于情景感知的作物冠层图像采集方法
CN105894003A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大田果树病害监测预警系统
CN111047458A (zh) 一种农田监控方法
Rosina et al. Mapping of urban green spaces using Sentinel-2A data: Methodical aspects
CN115631421A (zh) 耕地智慧保护方法及保护系统
Marín et al. Autonomous WSN for lawns monitoring in smart cities
CN107835504A (zh) 一种农田生态环境信息智能采集系统
CN110583594A (zh) 一种病虫预警及防治系统
KR20180043082A (ko) 식물병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Soontranon et al. An agricultural monitoring system: field serve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on paddy field
KR101931515B1 (ko) 위성영상과 커뮤니티 맵핑을 이용한 옥상녹화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2011193843A (ja) 農作物情報管理システム
US20210073553A1 (en) Maintenance of playing surfa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