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155B1 - 유산균 배양물을 이용한 어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산균 배양물을 이용한 어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155B1
KR102410155B1 KR1020210077598A KR20210077598A KR102410155B1 KR 102410155 B1 KR102410155 B1 KR 102410155B1 KR 1020210077598 A KR1020210077598 A KR 1020210077598A KR 20210077598 A KR20210077598 A KR 20210077598A KR 102410155 B1 KR102410155 B1 KR 102410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culture
acid bacteria
fish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유진
김영상
니산사라 마두샤니 리야나게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77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n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드워드시엘라 타다(Edwardsiella tarda), 스트렙토코쿠스 이니애(Streptococcus iniae) 또는 스트렙토코쿠스 파라우베리스(Streptococcus parauberis)의 증식 억제 활성을 가지는 유산균 배양물을 이용한 어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유산균 배양물을 이용한 어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Anti-bacterial Composition for Fish Pathogenic Bacteria Using a Culture of Lactic Acid Bacteria}
본 발명은 유산균 배양물을 이용한 어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국내 양식 산업은 해마다 성장하고 있으나, 수질 관리 불량, 연안의 환경 오염, 밀집 양식으로 인해 양식 어류에서 여러 유해 세균들에 의한 세균성 질병이 발생하고 있다. 양식 어류에 피해를 주는 세균성 질병으로는 어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연쇄구균증, 비브리오병, 에드워드병 등이 있으며, 세균성 질병의 원인균으로서는 에드워드시엘라 타다(Edwardsiella tarda), 스트렙토코쿠스 이니애(Streptococcus iniae), 스트렙토코쿠스 파라우베리스(Streptococcus parauberis), 비브리오 앵길라룸(Vibrio anguillarum) 등이 보고 되고 있다.
이러한 양식 어류의 질병 문제는 폐사에 따른 생산성 감소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치료를 위한 항생제 등의 화학약품 사용 증가로 인해 생산 비용의 증가, 항생제 잔류, 항생제 내성균의 증가를 초래한다.
최근 생활 수준 향상으로 소비자들은 어류 양식에 사용되는 항생제에 대한 우려를 가지고 있으며 종종 수산물에서 항생제가 잔류기준 이상으로 검출 되어 폐기 되는 등 사회·경제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어류 질병 치료를 위해 베타락탐(β-lactam) 계열,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계열, 아미노글리코시드(Aminoglycoside) 계열, 매트로라이드(Macrolide) 계열, 클로라페니콜(Chloramphenicol) 계열, 퀴놀린(Quinolone) 계열 및 설폰아미드(Sulfonamide) 계열의 항균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항생제 등의 화학요법제로 인한 부작용을 저감화하기 위한 대안으로 상대적으로 안전성이 높은 천연 물질을 이용한 방법들이 제안 되고 있다. 이러한 천연물의 항균 활성은 일반적으로 지방산, 플라보노이드 등의 페놀성 성분, 테르페노이드(terpenoid), 알카로이드(alkaloid), 배당체 등에 기인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유산균 배양물의 어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산균 배양물을 이용한 어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유산균 배양물이 에드워드시엘라 타다(Edwardsiella tarda), 스트렙토코쿠스 이니애(Streptococcus iniae), 스트렙토코쿠스 파라우베리스(Streptococcus parauberis)에 대해 증식 억제 활성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전술한 바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은 유산균 배양물 특히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배양물 또는 락토바실러스 팬토서스(Lactobacillus pentosus)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특히 에드워드시엘라 타다(Edwardsiella tarda), 스트렙토코쿠스 이니애(Streptococcus iniae), 스트렙토코쿠스 파라우베리스(Streptococcus parauberis)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산균 배양물은 유산균 배양용 배지에 유산균 접종하고 배양하여 얻어진 것으로서, 특히 그 배지는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 셀루클라스트 효소 처리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괭생이모자반 셀루클라스트 효소 처리물이 포함된 배지에서 얻어진 유산균 배양물은 그것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에서 얻어진 유산균 배양물에 비해 3종의 모든 어류 병원성 세균에 보다 높은 증식 억제 활성을 보인다.
본 발명에서, 유산균 배양물은 배양 원액 자체, 또는 그 배양 원액을 동결건조, 감압농축, 진공건조, 분무건조, 열풍건조 등에 의하여 농축된 액상 또는 분말상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배양물 중 원하는 유용성분을 농축하여 이용할 경우에는 배양물을 추출한 추출물 형태로 이용할 수도 있다. 추출물은 상기 배양물(배양 원액 또는 그 농축물)을 물이나 유기 용매(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침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이산화탄소, 펜탄 등 초임계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의미하며, 추출 방법은 추출물질의 극성, 추출 정도, 보존 정도를 고려하여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초임계 추출 등 임의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추출물도 조추출액 자체, 또는 조추출액이 동결건조, 감압농축, 진공건조, 분무건조, 열풍건조 등에 의하여 농축된 액상 또는 분말상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셀루클라스트는 셀룰로오스를 글루코오스, 셀로비오스(cellobiose), 글루코오스 폴리머로 분해하는 셀룰라아제(cellulase)의 일종으로 균류인 트리코더마 리세이(Trichoderma reesei)로부터 분리된 효소를 말한다.
또 본 발명에서, 괭생이모자반 셀루클라스트 효소 처리물은 괭생이모자반 줄기, 잎, 뿌리, 전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분말에 셀룰라아제의 일종인 셀루클라스트를 처리하고 얻어진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효소 처리물은 그대로 또는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취하여 이용되거나, 효소 처리물 그대로 또는 그 상등액을 감압농축 및/또는 동결건조시켜 액상 또는 분말상으로 이용되거나, 효소 처리물 그대로 또는 그 상등액을 물이나 에탄올 등의 유기용매로 추출하거나, 그 추출물을 극성이 서로 다른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분획하거나, 그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농축하여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유기용매는 에탄올을 포함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 본 발명에서, 항균은 항균 대상 미생물의 증식 억제 및/또는 사멸 유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은 그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그 유효성분인 유산균 배양물을,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이 구체화되는 제품 형태에 따라 0.0001 중량%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산균 배양물은 유산균 배양용 배지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배양하여 얻어진 것으로, 상기 유산균 배양용 배지는 일반적으로 탄소원, 질소원, 미량원소, 성장 촉진제 등을 포함하여 조성될 수 있다.
탄소원은 바람직하게는 단당류, 이당류 또는 다당류와 같은 당이다. 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만노오스, 갈락토오스, 리보오스, 소르보오스, 리불로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라피노오스, 전분, 전분 가수분해물 등이 사용할 수 있다. 당밀이나 당 정제 과정의 부산물 등 복합 화합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대두유, 해바라기유 등 오일이나 아세트산 등의 유기산, 글리세롤 등이 탄소원으로서 바람직할 수 있다. 이들 탄소원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상기 배지에 포함될 수 있으며, 단독으로 배지에 포함되든, 2종 이상의 혼합물로 배지에 포함되든 2%(w/w) 내지 40%(w/w)의 범위로 배지에 포함될 수 있다. 전분이나 전분 가수분해물 등 천연물 또는 천연물 가공물을 탄소원으로 사용할 경우 타 미생물에 의한 원치 않는 발효를 방지하기 위해서 이들 탄소원을 멸균하여 사용할 수 있다. 멸균은 고온·고압 멸균법, 자외선 조사 등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질소원으로서는 통상적으로 무기 질소 화합물, 유기 질소 화합물 또는 이들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복합 화합물일 수 있다. 예컨대 무기 질소 화합물로서는 암모니아, 암모늄염(예컨대, 암모늄 술페이트, 암모늄 클로라이드, 암모늄 포스페이트, 암모늄 카르보네이트, 암모늄 니트레이트 등), 니트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유기 질소 화합물로서는 우레아, 아미노산 등을 들 수 있으며, 복합 화합물로서는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소이톤(soytone), 펩톤(peptone), 트립톤(tryptone), 맥아 추출물(malt extract), 육즙, 콩 분말, 콩 비지 분말, 청국장 분말, 된장 분말 등의 천연 질소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질소원도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배지에 0.1%(w/w) 내지 8.0%(w/w)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천연 질소원을 사용할 경우 천연 탄소원을 사용할 경우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이유에서 멸균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량원소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코발트, 몰리브덴, 칼륨, 망간, 아연, 구리, 철, 인, 황 등을 포함하며 이들 미량원소는 염 화합물 형태로 배지에 첨가될 수 있으며, 이들 미량 원소의 배지에서의 용해도를 높이고 용액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킬레이트제 예컨대 카테콜, 시트르산 등이 함께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염 화합물 형태로서는 인산수소나트륨, 황산마그네슘, 염화철, 칼슘염, 망간염, 코발트염, 몰리브텐산염, 킬레이트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미량원소는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0.001%(w/w) 내지 3.0%(w/w)의 범위로 배지에 포함될 수 있다.
성장 촉진제로서는 비오틴, 리보플라빈, 티아민, 폴산, 니코틴산, 판토테네이트, 피리독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0.0001%(w/w) 내지 1.0%(w/w)의 범위로 배지에 포함될 수 있다.
배지는 전술한 바의 탄소원, 질소원, 미량원소, 성장 촉진제 등을 혼합하여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느나, 당업계에서 유산균 배양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공지된 조성의 배지, 예컨대 MRS 배지, BL 배지, AMC 배지, Col 배지, LP 배지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배지 조성의 최적화에 대해서는 문헌(Applied Microbiol. Physiology, A Practical Approach (Editors P.M. Rhodes, P.F. Stanbury, IRL Press (1997))을 포함하여 당업계에 많은 문헌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들 공지된 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배지는 불필요한 미생물의 증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멸균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배지의 멸균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공지된 멸균 방법 중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고압 증기 멸균, 자외선을 이용한 멸균 방법 등이 적합할 수 있다.
배양 온도는 일반적으로 15℃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 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0℃이다. 배지의 pH는 4 내지 8.5,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이다. 배지 pH는 배양이 진행되는 동안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성 암모니아 등의 염기성 화합물이나, 인산, 황산 등의 산성 화합물을 첨가하여 조절될 수 있다.
배양 중 형성되는 거품의 제거를 위해서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와 같은 소포제가 첨가될 수도 있다.
배양은 증식 특성에 따라 호기 조건 또는 혐기 조건을 만들어 주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배양은 회분식(batchwise), 반-회분식(semi-batchwise) 또는 연속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적합한 구체적인 배양법은 예컨대 문헌(Bioprozeβtechnik 1. Einfuhrung in die Bioverfahrenstechnik [Bioprocess technology 1. Introduction to Bioprocess technology] (Gustav Fischer Verlag, Stuttgart, 1991), 문헌(Bioreaktoren und periphere Einrichtungen [Bioreactors and peripheral equipment] (Vieweg Verlag, Brunswick/Wiesbaden, 1994), 미국세균학회(the American Society for Bacteriology)가 발행한 문헌(Manual of Methods for General Bacteriology"(Washington D.C., USA, 1981) 등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그 유효성분인 유산균 배양물이 질병 저항성 증진 등의 목적으로 첨가된 양식 어류 사료 조성물로 제품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식 어류 사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유산균 배양물 이외에 양식 어류의 성장 촉진, 소화 촉진, 사료 효율 증진, 면역 증강 등의 목적으로 양식 어류 사료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러한 성분들로서는 식물성 성분, 동물성 성분, 광물성 성분 등을 들 수 잇다.
상기 식물성 성분으로서는 귀리, 메밀, 밀, 보리, 수수, 쌀, 옥수수, 조, 피, 호밀 등의 곡류, 기장피, 귀리겨, 대두피, 밀기울(소맥피), 맥강, 수수겨, 미강, 옥수수피, 율무피, 조겨 등의 강피류(곡물 부산물류), 겨자박, 구아박, 귀리박, 대두박, 들깨박, 맥주박, 면실박, 밀배아박, 야자박, 올리브박, 전분박 등의 박류, 감자, 고구마, 돼지감자 등의 서류, 감자 가공 부산물, 과실류 가공 부산물, 채소 가공 부산물 등의 식품 가공 부산물류, 갈래곰보, 갈파래, 감태, 김, 꼬시래기, 다시마 등의 조류, 난노클로롭시스, 두나리엘라, 스피루리나 등의 미세조류, 달리스그라스, 라디노클로버, 레드톱, 새싹보리 등의 섬유질류, 대두유, 대마씨유, 면실유, 미강유 등의 유지류, 곡류 전분, 서류 전분 등의 전분류, 대두, 렌즈콩 등의 콩류, 망고, 바나나, 배, 사과 등의 과실류, 가지, 당근, 무, 사탕무, 삼채 등의 채소류, 노루궁뎅이버섯, 느타리버섯, 영지버섯 등의 버섯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식물성 성분은 성장 촉진, 소화 촉진, 사료 효율 증진 등 그것이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적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성분 종류,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약 3 내지 약 80 중량 % 범위로 포함될 것이다.
동물성 성분은 가금 부산물 건조분, 건어포, 게분, 계란 분말, 골뱅이분, 어분 등의 단백질류, 골분, 골회, 어골분, 패분 등의 무기물류, 닭기름, 동물성 식용 잔유, 돈지, 우지 등의 유지류, 거저리 유충, 건조 귀뚜라미, 건조 메뚜기 등의 곤충류, 로티퍼, 마이시스슈림프, 물벼룩 등의 플랑크톤류, 유당, 전지분유, 치즈, 탈지분유 등의 낙농 가공 부산물류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도 성분 종류,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약 3 내지 약 80 중량 % 범위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광물성 성분은 석회석분말, 탄산칼슘, 황산칼슘, 구연산철, 몰리브덴산나트륨, 몰리브덴산암모늄 셀렌산나트륨, 아셀렌산나트륨, 염화크롬, 요오드산칼륨, 요오드산칼슘, 요오드화칼륨, 탄산망간, 황산구리, 황산망간, 황산아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광물성 성분은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미량(0.0001 내지 5 중량 %)으로 포함될 것이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상기 식물성 성분, 동물성 성분, 광물성 성분 이외에도 면역 증진, 사료 보존성 증진, 사료 성분의 균일한 혼합 증진, 용이한 제형화 등의 목적으로 결착제, 보존제, 비타민제, 효소제, 미생물제, 향미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은 그 사용 목적에 따라 적량(0.0001 중량% 내지 10 중량%)으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적량으로 포함될 것이다.
상기 결착제로서는 구아검, 셀룰로오스, 젤라틴 등의 천연 결착제, 알긴산나트륨, 알긴산암모늄, 알긴산칼륨 등의 합성 결착제를 들 수 있다.
또 상기 보존제로서는 사과산, 주석산, 개미산, 구연산 등의 산미제, 스테아린산칼슘, 염화주석 등의 항응고제, 레스베라트롤, 몰식자산, 비타민 E 등의 항산화제, 프로피온산, 프로피온산나트륨 등의 항진균제 등을 수 있다.
또 상기 비타민제로서는 L-카르니틴, 나이아신, 니코틴산아미드, 비오틴(비타민H), 비타민A, 치아민나프탈린-1,5-디설폰산염, 치아민 라우릴황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효소제로서는 글루코아밀라아제, 락타아제, 셀룰라아제, 라파아제, 피타아제, 프로테아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미생물제로서는 락토바실러스 락티스,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등의 유산균, 아스퍼질러스 오리제 등의 균류,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시애 등의 효모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향미제로서는 천연착향료(Natural flavoring substance), 합성착향료(Synthetic flavoring substance), 감초, 과당 등의 감미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액제(특히 유산균 배양 원액이나 그 농축액을 포함하는 형태), 분말(powder), 과립(granule), 환제(pill) 또는 펠렛(pellet)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의 유산균 배양물을 어류 병원성 세균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류 병원성 세균의 증식 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유산균 배양물을 어류 병원성 세균과 접촉시키는 단계는 전술한 바의 유산균 배양물을 어류 병원성 세균이 존재하는 어류 양식 수조에 혼합하거나 전술한 바의 유산균 배양물이 첨가된 어류 양식 사료 조성물을 양식 수조에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식 어류 사료 조성물이나 어류 병원성 세균의 증식 억제 방법은 조피볼락, 넙치류(경골어류 넙칫과(Pa-ralichthyidae)에 속하는 어류로서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점넙치(Pseudorhombus pentophthalmus)를 포함함), 참돔, 감성돔, 돌돔, 농어류, 숭어류, 가자미류, 쥐치류, 방어류, 고등어, 전어, 능성어, 송어류, 민어, 참조기, 복어류, 전갱이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산균 배양물을 이용한 어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양식 어류 사료 조성물로 제품화되어 이용되거나 양식 수조에 혼합되어 어류 병원성 세균의 증식 억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유산균 배양물의 어류 병원성 세균에 대한 증식 억제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유산균 배양물의 제조
<실시예 1> 유산균 배양물의 제조예 1
유산균 배양물의 제조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과 락토바실러스 팬토서스(Lactobacillus pentosus)를 KCTC(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 대전)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각 유산균을 MRS 액체 배지(MRS broth medium) 10ml에 첨가 후 24시간 배양하여 한번 계대배양을 거친 후, 24시간 동안 30℃에서 추가로 배양하고,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만 수거한 후 100℃ 중탕으로 살균 처리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의 유산균 배양물(SHC-)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유산균 배양물의 제조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유산균 배양물을 제조하되, 한번 계대배양을 거친 후 괭생이모자반 셀루클라스트(celluclast) 효소 처리물을 10mg/ml의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30℃에서 추가로 배양하고,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만 수거한 후 100℃ 중탕으로 살균 처리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의 유산균 배양물(SHC+)을 제조하였다.
상기 괭생이모자반 셀루클라스트(celluclast) 효소 처리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채집한 괭생이모자반 건조 분말 10g을, 셀루클라스트(celluclast) 1mL를 함유한 200mL의 증류수에 첨가하여 효소 활성의 최적 조건인 pH 4.5, 50℃에서 100rpm으로 24시간 진탕 배양하여 반응시킨 후, 효소 비활성화를 위해 100℃에서 10분간 처리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다음 pH 7로 보정한 후 원심분리하여 효소 처리 잔사를 제거하여 그 상층액을 얻고 이를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의 괭생이모자반 셀루클라스트 효소 처리물을 얻었다.
<실험예> 어류 병원성 세균에 대한 증식 억제 활성 평가
3종의 어류 병원성 세균은 KCTC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 대전)에서 분양받아 BHI((Brain Heart Infusion) 배지에 배양하여 한번 계대배양을 거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BHI 배지에 상기 실시예의 유산균 배양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교반 배양기(shaking incubator)에서 배양한 후 그 배양액을 1ml 떠서 PBS 9ml에 순차적으로 1/106 ~ 1/108 까지 희석한 후 BHI agar 배지에 plating하고 24시간 배양 후 CFU 측정하였다. 결과를 대조군(시료 무처리군)에 대한 백분율로 하여 도 1 내지 도 3에 각 어병균에 대해 증식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배양시 괭생이모자반 셀루클라스트(celluclast) 효소 처리물을 이용하지 않고 제조한 유산균 배양물(SHC-)과 괭생이모자반 셀루클라스트(celluclast) 효소 처리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유산균 배양물(SHC+) 모두 3종의 어류 병원성 세균에 대해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증식 억제 활성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괭생이모자반 셀루클라스트(celluclast) 효소 처리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유산균 배양물(SHC+)의 증식 억제 활성이 우수하였다.

Claims (9)

  1. 유산균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로서,
    상기 어류 병원성 세균은 에드워드시엘라 타다(Edwardsiella tarda), 스트렙토코쿠스 이니애(Streptococcus iniae) 또는 스트렙토코쿠스 파라우베리스(Streptococcus parauberis)이고,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또는 락토바실러스 팬토서스(Lactobacillus pentosus)이며,
    상기 유산균 배양물은 괭생이모자반 셀루클라스트 효소 처리물이 포함된 배지에서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양식 어류 사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삭제
  6. 유산균 배양물을 어류 병원성 세균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류 병원성 세균의 증식 억제 방법으로서,
    상기 어류 병원성 세균은 에드워드시엘라 타다(Edwardsiella tarda), 스트렙토코쿠스 이니애(Streptococcus iniae) 또는 스트렙토코쿠스 파라우베리스(Streptococcus parauberis)이고,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또는 락토바실러스 팬토서스(Lactobacillus pentosus)이며,
    상기 유산균 배양물은 괭생이모자반 셀루클라스트 효소 처리물이 포함된 배지에서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는 유산균 배양물을 어류 병원성 세균이 존재하는 어류 양식 수조에 혼합하거나, 상기 유산균 배양물이 첨가된 양식 어류 사료 조성물을 양식 수조에 혼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210077598A 2021-06-15 2021-06-15 유산균 배양물을 이용한 어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 KR102410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598A KR102410155B1 (ko) 2021-06-15 2021-06-15 유산균 배양물을 이용한 어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598A KR102410155B1 (ko) 2021-06-15 2021-06-15 유산균 배양물을 이용한 어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0155B1 true KR102410155B1 (ko) 2022-06-22

Family

ID=82216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598A KR102410155B1 (ko) 2021-06-15 2021-06-15 유산균 배양물을 이용한 어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1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150A (ko) * 2013-11-28 2015-06-0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유산균 증식 촉진제
KR20190070676A (ko) * 2017-12-13 2019-06-21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150A (ko) * 2013-11-28 2015-06-0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유산균 증식 촉진제
KR20190070676A (ko) * 2017-12-13 2019-06-21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bdel-Aziz et al. Biological treatments as a mean to improve feed utilization in agriculture animals—An overview
Sugiharto A review of filamentous fungi in broiler production
EP3350311A1 (en) Bacteria and enzymes produced therefrom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1370942B1 (ko)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JP2011055831A (ja) 枯草菌を用いた発酵大豆粕の製造方法
KR102187522B1 (ko) 양돈 혈액 발효물의 제조 방법과 그 발효물을 이용한 양계 사료 조성물
US2019038036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ermented guar meal
KR101889895B1 (ko) 어류용 친환경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3043B1 (ko) 미역 발효물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사료첨가제
KR102410155B1 (ko) 유산균 배양물을 이용한 어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
KR100688441B1 (ko) 감귤박을 이용한 사료첨가제 및 그의 제조방법
Mathew et al. Biological treatment of prawn shell wastes for valorization and waste management
KR20220060475A (ko) 양돈 혈액 발효물을 이용한 양식 어류 사료 조성물
KR102026777B1 (ko) 항영양인자 제어 미생물 마이크로박테리움 하이드로더멀 kbcbs102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어분 대체용 발효 대두박 제조 방법
KR102453153B1 (ko) 괭생이모자반 셀루클라스트 효소 처리물을 이용한 어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조성물
Michalak et al. Functional fermented food and feed from seaweed
Romano Alternative and new sources of feedstuffs
CN112167437A (zh) 利用猪血发酵物的养殖鱼类饲料组合物
KR101859006B1 (ko) 뱀장어 고형오물에서 분리한 유산균을 이용한 유산발효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13013B1 (ko) 감귤 부산물을 이용한 돼지 증체용 사료 조성물
CN105053517B (zh) 一种无抗饲料的生产方法
Das et al. Inclusion of different levels of solid-state fermented mahua oil cake on growth, digestibility and immunological parameters of rohu (Labeo rohita)
US20220132887A1 (en) Feed composition for farmed fish using fermented porcine blood
CN107223774A (zh) 一种多功效饲用酵母蛋白粉及其应用
KR101219565B1 (ko) 사과부산물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사료 첨가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