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112B1 - 축사 악취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축사 악취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112B1
KR102410112B1 KR1020210168160A KR20210168160A KR102410112B1 KR 102410112 B1 KR102410112 B1 KR 102410112B1 KR 1020210168160 A KR1020210168160 A KR 1020210168160A KR 20210168160 A KR20210168160 A KR 20210168160A KR 102410112 B1 KR102410112 B1 KR 102410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rtex
screen filter
outlet
support frame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철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엠
Priority to KR1020210168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1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6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6/00 and B01D47/00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wetting, e.g. using surfaces covered with 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8Removing dust other than cleaning filters, e.g. by using collectin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10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사의 내부 공기와 약액의 혼합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어 축사의 내부 공기의 악취 저감효율이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축사 외부의 대기중으로 환경오염으로 초래하는 축사의 악취가 포함된 내부 공기가 그대로 방출될 우려가 없는 축사 악취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축사의 외벽에 설치되어 송풍팬에 의해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에 설치되는 유도관과; 내부에 형성되는 혼합공간과, 상부에 상기 유도관과 연결되고 상기 혼합공간과 연통형성되는 유입구와, 하부에 상기 혼합공간과 연통형성되는 배출구와, 상기 혼합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내부 공기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형성부가 구비되는 와류혼합부와; 상기 와류혼합부의 혼합공간 내에 와류가 형성된 내부 공기에 약액을 분무하는 약액 분무노즐과; 상기 와류혼합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바닥판과; 상부가 상기 와류혼합부의 배출구를 수용한 상태로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수평바닥판 상에 고정설치되는 외측 스크린필터와; 상부가 상기 와류혼합부의 배출구의 중간에 브릿지고정부에 의해 위치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외측 스크린필터 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상태로 상기 수평바닥판 상에 고정설치되는 내측 스크린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축사 악취 저감장치{Barn odor reduction device}
본 발명은 축사의 내부 공기와 약액의 혼합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어 축사의 내부 공기의 악취 저감효율이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축사 외부의 대기중으로 환경오염으로 초래하는 축사의 악취가 포함된 내부 공기가 그대로 방출될 우려가 없는 축사 악취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업 규모가 커지면서 가축분뇨 발생량이 늘어나고, 일부 농가에서는 축산법상 적정사육두수 기준을 초과하여 가축을 과잉사육하거나, 가축분뇨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해 축산악취 관련 민원은 지속 증가 추세에 있다.
2016년 기준 농축산분야 초미세먼지 발생량은 20.3천톤을 전체 발생량의 5.8%를 차지하고 있으며, 2차 생성 미세먼지 전구물질 배출량은 356천톤으로 전체 발생량의 12.1%를 차지한다.
1차 초미세먼지는 생물성 연소, 농작업간 비산먼지 , 노후 농기계 등이 주요 배출원이며, 2차 생성 미세먼지 전구물질은 축산분뇨와 화학비료로 인한 아모니아와 생물성연소로부터 발생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이다.
특히, 암모니아의 경우 전체 배출량의 82.3%인 237천톤이 농업/농촌분야에서 배출되는데, 그중 축산 분뇨가 91.6% 화학비료가 8.0%를 차지한다.
농식품부는 농축산분야 미세먼지를 체계적으로 감축해 나가기 위해 2022년까지 2016년 대비 농업/농촌분야 초미세먼지와 암모니아 배출량을 30% 감축하며, 2022년까지 농축산분야별 미세먼지 발생량과 발생기작 및 저감기술 등을 개발할 계획이다.
한편, 축사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 등의 유해가스는 축사 내부의 공기를 오염시켜 생육 환경을 열악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축사 내부를 환기시키는 축사용 공기조화시스템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986976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986976호의 경우, 단순하게 축사 내부를 적절히 환기시킬 뿐 축사 외부로 배출되는 축사의 내부 공기에 포함된 악취 저감효율이 현저히 낮아 악취가 포함된 축사의 내부 공기가 축사 외부의 대기중으로 그대로 방출되어 환경오염문제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98697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축사의 내부 공기와 약액의 혼합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어 축사의 내부 공기의 악취 저감효율이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축사 외부의 대기중으로 환경오염으로 초래하는 축사의 악취가 포함된 내부 공기가 그대로 방출될 우려가 없는 축사 악취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축사의 외벽에 형성되어 송풍팬에 의해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에 설치되는 유도관과; 내부에 형성되는 혼합공간과, 상부에 상기 유도관과 연결되고 상기 혼합공간과 연통형성되는 유입구와, 하부에 상기 혼합공간과 연통형성되는 배출구와, 상기 혼합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내부 공기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형성부가 구비되는 와류혼합부와; 상기 와류혼합부의 혼합공간 내에 와류가 형성된 내부 공기에 약액을 분무하는 약액 분무노즐과; 상기 와류혼합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바닥판과; 상부가 상기 와류혼합부의 배출구를 수용한 상태로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수평바닥판 상에 고정설치되는 외측 스크린필터와; 상부가 상기 와류혼합부의 배출구의 중간에 브릿지고정부에 의해 위치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외측 스크린필터 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상태로 상기 수평바닥판 상에 고정설치되는 내측 스크린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악취 저감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와류형성부는 상기 혼합공간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혼합공간의 타측에서 일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진 상태로 상기 혼합공간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혼합공간내에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와류형성블레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평바닥판의 중간부에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의 하부 내측으로 일정높이로 돌출되는 가이드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외측 스크린필터는 역원뿔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의 외측방향의 상기 수평바닥판의 가장자리에 이물질 배출구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이물질 배출구를 통해 상기 수평바닥판의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이물질을 수거하는 이물질 수거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와류혼합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부지지틀과; 상기 상부지지틀의 하부방향에 구비되는 하부지지틀과; 상기 상부지지틀과 상기 하부 지지틀 사이에 수직구비되는 지지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릿지고정부는 상기 와류혼합부의 배출구 중간에 수평구비되고,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와류혼합부의 배출구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외주면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수평구비되는 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수용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몸체의 내부에 상기 이물질 수거함이 서랍식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 수거함의 외주면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내측 스크린필터에서 외측 스크린필터 방향으로 축사의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과정 중에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의 내측에서 발생되는 축사의 내부 공기의 배출정체현상에 의해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의 내측에 체류하는 축사의 내부 공기의 체류시간이 보다 길어질 수 있어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의 내측에서의 축사의 내부 공기와 약액의 혼합효율이 1차적으로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의 내측에서 상기 외측 스크린필터의 내측으로 배출되는 축사의 내부 공기가 상기 외측 스크린필터의 내측으로 유입된 와류가 형성된 약액과 혼합된 축사의 내부 공기와 재차 혼합됨에 따라 축사의 내부 공기와 약액의 혼합효율이 2차적으로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어 축사의 내부 공기의 악취 저감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축사 외부의 대기중으로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축사의 악취가 포함된 내부 공기가 그대로 방출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축사 악취 저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절개사시도이고,
도 3은 와류혼합부에서 유도관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내측 스크린필터의 상부가 브릿지고정부에 의해 위치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사시도이고,
도 6은 축사의 외벽에 유도관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축사의 내부 공기가 내측 스크린필터와 외측 스크린필터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수평바닥판의 중간부에 가이드돌출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가이드돌출부가 내측 스크린필터에서 외측 스크린필터 방향으로 축사의 내부 공기를 안내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이물질 수거함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축사 악취 저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절개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축사 악취 저감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유도관(10), 와류혼합부(20), 약액 분무노즐, 지지프레임(40), 수평바닥판(50), 외측 스크린필터(60) 및 내측 스크린필터(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유도관(10)은 축사의 외벽에 형성된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축사의 외벽에 설치된다.
상기 축사의 외벽에 형성된 배출구의 내측에 구비된 송풍팬에 의해 상기 축사의 악취가 포함된 내부 공기가 상기 축사의 외부에 위치한 상기 유도관(10)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은 와류혼합부에서 유도관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와류혼합부(20)에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혼합공간(210), 유입구(220), 배출구(230) 및 와류형성부(240)가 구비된다.
상기 혼합공간(210)은 상기 유도관(10)과 연통되도록 상기 와류혼합부(20)의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220)는 상기 혼합공간(210)과 연통되도록 상기 와류혼합부(20)의 상부 중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220)와 상기 유도관(10)이 연통된 상태로 연결되도록 상기 유도관(10)의 일측 하부는 상기 유입구(220) 주변의 상기 와류혼합부(20)의 상부 부위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230)는 상기 혼합공간(210)과 연통되도록 상기 와류혼합부(20)의 하부 중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류형성부(240)는 상기 혼합공간(210)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와류혼합부(20)의 내주면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유입구(220)를 통해 상기 와류혼합부(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축사의 내부 공기에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류혼합부(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축사의 내부 공기에 와류를 보다 용이하게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와류형성부(24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혼합공간(21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혼합공간(210)의 타측에서 일측 하부방향으로 일정각도로 하향경사(α)진 상태로 상기 혼합공간(2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와류형성블레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와류형성부(240)를 이룰 수 있는 와류형성블레이드는 상기 혼합공간(210)내에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와류혼합부(20)의 내주면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약액 분무노즐(30)은 상기 와류형성부(240) 사이마다 위치하도록 상기 와류혼합부(20)의 혼합공간(210)내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와류혼합부(20)의 혼합공간(210)내로 유입되어 와류가 형성된 축사의 내부 공기에 약액을 분무하여 상기 와류혼합부(20)의 혼합공간(210)내로 유입된 와류가 형성된 축사의 내부 공기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약액 분무노즐(30)이 상기 와류혼합부(20)의 혼합공간(210)내로 유입되어 와류가 형성된 축사의 내부 공기에 분무하는 약액은 일예로, 약품이 용해된 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에 용해된 약품은 일예로, 치아염소산 용액, 치아염소산나트륨 용액, 이산화염소가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프레임(40)은 상기 와류혼합부(20)를 일정높이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40)은 일예로, 크게, 상부지지틀(410), 하부지지틀(420) 및 지지다리(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틀(410)과 상기 하부지지틀(420)은 사각틀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틀(410)은 상기 와류혼합부(20)의 하부 가장자리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틀(420)은 상기 상부지지틀(410)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상부지지틀(410)의 하부방향에 수평구비되어 지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430)는 상기 상부지지틀(410)의 각 모서리부위와 상기 하부지지틀(420) 각 모서리부위 사이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바닥판(50)은 상기 지지프레임(40)의 하부지지틀(420)의 내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외측 스크린필터(60)의 상부는 상기 와류혼합부(20)의 배출구(230)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배출구(230)와 연통되도록 상기 배출구(230) 주변의 상기 와류혼합부(20)의 하부부위에 상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스크린필터(60)는 일예로, 약액과 혼합된 축사의 내부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배출공(610)이 형성된 원통형의 메쉬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측 스크린필터(60)의 하부는 상기 수평바닥판(50)의 상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내측 스크린필터의 상부가 브릿지고정부에 의해 위치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70)의 상부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와류혼합부(20)의 배출구(230)의 중간에 브릿지고정부(71)에 의해 위치고정된다.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70) 또한 일예로, 약액과 혼합된 축사의 내부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배출공(710)이 형성된 원통형의 메쉬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브릿지고정부(71)는 일예로, 크게, 고정프레임(701)과 고정대(7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701)은 환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류혼합부(20)의 배출구(230)의 중간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701)은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70)의 상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대(702)는 상기 와류혼합부(20)의 배출구(230)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프레임(701)의 외주면 사이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로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70)의 하부 외주면이 상기 외측 스크린필터(60)의 내주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70)의 하부가 상기 외측 스크린필터(60)의 하부 내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70)의 하부는 상기 수평바닥판(50)의 상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축사의 외벽에 유도관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유도관(10)의 타측 상부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축사(3)의 외벽(3a)에 형성된 배출구(3c)와 연통되도록 상기 축사(3)의 배출구(3c) 주변의 상기 축사(3)의 외벽(3a)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축사의 내부 공기가 내측 스크린필터와 외측 스크린필터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축사(3)의 외벽(3a)에 설치된 배출구(3c)의 내측에 구비된 송풍팬(3b)에 의해 상기 축사(3)의 악취가 포함된 내부 공기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도관(10)의 내부로 배출되어 상기 와류혼합부(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류형성부(240)에 의해 상기 와류혼합부(20)의 내부로 유입된 악취가 포함된 상기 축사(3)의 내부 공기에 와류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약액 분무노즐(30)이 와류가 형성된 축사(3)의 내부 공기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약액(5)을 분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와류혼합부(20)의 내부로 유입되어 약액(5)과 혼합된 축사(3)의 내부 공기 일부는 상기 와류혼합부(20)의 배출구(230)를 통과하여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70)의 내측으로 유입된 후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70)의 다수의 배출공(710)을 통과하여 상기 외측 스크린필터(60)의 내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70)에서 상기 외측 스크린필터(60) 방향으로 축사(3)의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과정 중에 축사(3)의 내부 공기가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70)의 다수의 배출공(710) 주변의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70) 부위에 부딪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70)의 내측에서 축사(3)의 내부 공기의 배출정체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70)의 내측에서 발생되는 축사(3)의 내부 공기의 배출정체현상에 의해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70)의 내측에 체류하는 축사(3)의 내부 공기의 체류시간이 보다 길어질 수 있어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70)의 내측에서의 축사(3)의 내부 공기와 약액(5)의 혼합효율이 1차적으로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70)의 내측에서 상기 외측 스크린필터(60)의 내측으로 배출되는 축사(3)의 내부 공기가 상기 외측 스크린필터(60)의 내측으로 유입된 와류가 형성된 약액(5)과 혼합된 축사(3)의 내부 공기와 재차 혼합됨에 따라 축사(3)의 내부 공기와 약액(5)의 혼합효율이 2차적으로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어 축사(3)의 내부 공기의 악취 저감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축사(3) 외부의 대기중으로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축사(3)의 악취가 포함된 내부 공기가 그대로 방출될 우려가 없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8은 수평바닥판의 중간부에 가이드돌출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가이드돌출부가 내측 스크린필터에서 외측 스크린필터 방향으로 축사의 내부 공기를 안내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70)의 내측에서 상기 외측 스크린필터(60)의 내측방향으로 약액(5)과 혼합된 축사(3)의 내부 공기를 안내하여 약액(5)과 혼합된 축사(3)의 내부 공기가 상기 외측 스크린필터(60)의 다수의 배출공(610)을 통해 축사(3)의 외부로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돌출부(5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출부(51)는 일예로,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70)의 하부 내측에 수용되도록 상기 수평바닥판(50)의 상부 중간부에서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70)의 하부 내측 방향으로 일정높이로 볼록하게 호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와류형성부(240)에 의해 와류가 형성된 약액(5)과 혼합된 축사(3)의 내부 공기 일부는 상기 외측 스크린필터(6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선회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측 스크린필터(6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선회하는 약액(5)과 혼합된 축사(3)의 내부 공기 일부의 선회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외측 스크린필터(60)의 전체 내주면에 약액(5)과 혼합된 축사(3)의 내부 공기의 압력이 일정압력으로 분포되면서 상기 외측 스크린필터(60)의 다수의 배출공(610)을 통해 약액(5)과 혼합된 축사(3)의 내부 공기가 상기 외측 스크린필터(60)의 외부방향으로 일정한 압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외측 스크린필터(60)는 상기 와류혼합부(2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내경크기가 점차 좁아지는 역원뿔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70)는 상기 외측 스크린필터(60)를 따라 상하연장 및 상기 와류혼합부(2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내경크기가 동일한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이물질 수거함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70)의 외측과 상기 외측 스크린필터(60) 사이의 상기 수평바닥판(50)의 가장자리 부위에 복수의 이물질 배출구(510)가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스크린필터(60)의 내측에서 선회하는 약액(5)과 혼합된 축사(3)의 내부 공기로부터 원심분리된 먼지 등의 이물질(7)은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상기 이물질 배출구(510)를 통해 상기 수평바닥판(50)의 하부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40)의 하부지지틀(420)의 하부에 사각함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수용몸체(421)의 상단부가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용몸체(421)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몸체(421)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또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40)의 하부지지틀(420)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수용몸체(421)의 내부에는 상기 이물질 배출구(510)를 통해 상기 수평바닥판(50)의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7)을 수거하는 이물질 수거함(80)이 서랍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수거함(80)은 사각함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물질 수거함(80)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수거함(80)의 내부에 먼지 등의 이물질(7)이 일정높이로 수거된 상태에서 상기 이물질 수거함(80)은 상기 수용몸체(421)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수거함(80)을 상기 수용몸체(421)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용이하게 인출하기위해, 상기 이물질 수거함(80)의 일측 외주면의 반대측인 타측 외주면에는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상기 이물질 수거함(80)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돌출되는 손잡이(801)가 형성될 수 있다.
10; 유도관, 20; 와류혼합부,
30; 약액 분무노즐, 40; 지지프레임,
50; 수평바닥판, 60; 외측 스크린필터,
70; 내측 스크린필터.

Claims (10)

  1. 축사의 외벽에 형성되어 송풍팬에 의해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에 설치되는 유도관과;
    내부에 형성되는 혼합공간과, 상부에 상기 유도관과 연결되고 상기 혼합공간과 연통형성되는 유입구와, 하부에 상기 혼합공간과 연통형성되는 배출구와, 상기 혼합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내부 공기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형성부가 구비되는 와류혼합부와;
    상기 와류혼합부의 혼합공간 내에 와류가 형성된 내부 공기에 약액을 분무하는 약액 분무노즐과;
    상기 와류혼합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바닥판과;
    상부가 상기 와류혼합부의 배출구를 수용한 상태로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수평바닥판 상에 고정설치되는 외측 스크린필터와;
    상부가 상기 와류혼합부의 배출구의 중간에 브릿지고정부에 의해 위치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외측 스크린필터 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상태로 상기 수평바닥판 상에 고정설치되는 내측 스크린필터와;
    상기 수평바닥판의 중간부에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의 하부 내측으로 일정높이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악취 저감장치.
  2. 축사의 외벽에 형성되어 송풍팬에 의해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에 설치되는 유도관과;
    내부에 형성되는 혼합공간과, 상부에 상기 유도관과 연결되고 상기 혼합공간과 연통형성되는 유입구와, 하부에 상기 혼합공간과 연통형성되는 배출구와, 상기 혼합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내부 공기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형성부가 구비되는 와류혼합부와;
    상기 와류혼합부의 혼합공간 내에 와류가 형성된 내부 공기에 약액을 분무하는 약액 분무노즐과;
    상기 와류혼합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바닥판과;
    상부가 상기 와류혼합부의 배출구를 수용한 상태로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수평바닥판 상에 고정설치되는 외측 스크린필터와;
    상부가 상기 와류혼합부의 배출구의 중간에 브릿지고정부에 의해 위치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외측 스크린필터 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상태로 상기 수평바닥판 상에 고정설치되는 내측 스크린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의 외측방향의 상기 수평바닥판의 가장자리에 이물질 배출구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이물질 배출구를 통해 상기 수평바닥판의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이물질을 수거하는 이물질 수거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악취 저감장치.
  3. 축사의 외벽에 형성되어 송풍팬에 의해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에 설치되는 유도관과;
    내부에 형성되는 혼합공간과, 상부에 상기 유도관과 연결되고 상기 혼합공간과 연통형성되는 유입구와, 하부에 상기 혼합공간과 연통형성되는 배출구와, 상기 혼합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내부 공기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형성부가 구비되는 와류혼합부와;
    상기 와류혼합부의 혼합공간 내에 와류가 형성된 내부 공기에 약액을 분무하는 약액 분무노즐과;
    상기 와류혼합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바닥판과;
    상부가 상기 와류혼합부의 배출구를 수용한 상태로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수평바닥판 상에 고정설치되는 외측 스크린필터와;
    상부가 상기 와류혼합부의 배출구의 중간에 브릿지고정부에 의해 위치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외측 스크린필터 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상태로 상기 수평바닥판 상에 고정설치되는 내측 스크린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고정부는 상기 와류혼합부의 배출구 중간에 수평구비되고,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와류혼합부의 배출구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외주면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수평구비되는 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악취 저감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형성부는 상기 혼합공간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혼합공간의 타측에서 일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진 상태로 상기 혼합공간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혼합공간 내에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와류형성블레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악취 저감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스크린필터는 역원뿔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악취 저감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스크린필터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악취 저감장치.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와류혼합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부지지틀과;
    상기 상부지지틀의 하부방향에 구비되는 하부지지틀과;
    상기 상부지지틀과 상기 하부 지지틀 사이에 수직구비되는 지지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악취 저감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수용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몸체의 내부에 상기 이물질 수거함이 서랍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악취 저감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수거함의 외주면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악취 저감장치.
  10. 삭제
KR1020210168160A 2021-11-30 2021-11-30 축사 악취 저감장치 KR102410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160A KR102410112B1 (ko) 2021-11-30 2021-11-30 축사 악취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160A KR102410112B1 (ko) 2021-11-30 2021-11-30 축사 악취 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0112B1 true KR102410112B1 (ko) 2022-06-22

Family

ID=82216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160A KR102410112B1 (ko) 2021-11-30 2021-11-30 축사 악취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1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976B1 (ko) 2016-06-29 2019-06-10 주식회사 한국사이버닉스 축사용 공기조화시스템
KR102284032B1 (ko) * 2020-11-30 2021-07-30 탑스이앤씨 주식회사 악취 처리 장치
KR102293428B1 (ko) * 2021-04-26 2021-08-25 (주)에스.엠 .엔지니어링 분무구조물을 구비한 악취가스 탈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976B1 (ko) 2016-06-29 2019-06-10 주식회사 한국사이버닉스 축사용 공기조화시스템
KR102284032B1 (ko) * 2020-11-30 2021-07-30 탑스이앤씨 주식회사 악취 처리 장치
KR102293428B1 (ko) * 2021-04-26 2021-08-25 (주)에스.엠 .엔지니어링 분무구조물을 구비한 악취가스 탈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270B1 (ko) 복합형 악취 제거장치
KR101866818B1 (ko) 가축 분뇨 발효기에서 발생되는 고온습기 악취가스제거장치
JP4551977B1 (ja) イオン・オゾン風発生装置
KR101023398B1 (ko) 선회류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KR101681014B1 (ko) 악취 가스 처리 장치
KR102410112B1 (ko) 축사 악취 저감장치
KR101219729B1 (ko) 유기성 폐기물의 호기성 발효장치
KR100875991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처리장치
KR20180031648A (ko) 축사 지붕 설치용 탈취장치
KR100902791B1 (ko) 탈취 장치
CN202288959U (zh) 填埋场喷雾墙固定喷雾机除臭系统
KR102526523B1 (ko) 축사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KR101801910B1 (ko) 밀폐 순환형 고속 유기물 발효장치
KR102220582B1 (ko) 유입관과 유출관이 동일 배관라인을 이루는 이중배관 어셈블리식 생물여과조
CN217340755U (zh) 一种有机肥生产仓除臭设备
KR20210067284A (ko) 축산시설 공기정화 시스템
KR101536290B1 (ko) 악취저감 살포기
JP2007190534A (ja) 悪臭発生施設の排気脱臭装置及び排気脱臭方法
WO2005061078A1 (en) Air cleansing apparatus
KR102220442B1 (ko) 텐터 후단의 배기가스용 습식 스크러버
KR20180040535A (ko) 축사 외벽 설치용 탈취장치
KR100906803B1 (ko) 악취 제거장치
JP3151551U (ja) 消臭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竪型コンポスト製造装置
KR102353910B1 (ko) 악취가스 처리방법 및 장치
CN218871775U (zh) 一种餐厨处理车间换气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