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977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977B1
KR102409977B1 KR1020200184753A KR20200184753A KR102409977B1 KR 102409977 B1 KR102409977 B1 KR 102409977B1 KR 1020200184753 A KR1020200184753 A KR 1020200184753A KR 20200184753 A KR20200184753 A KR 20200184753A KR 102409977 B1 KR102409977 B1 KR 102409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resonator
bracket
plate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규
신미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4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0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at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38Fan details of outdoor units, e.g. bell-mouth shaped inlets or fan mount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2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resonance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7Active noise-suppression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압축기가 배치되는 실외기; 상기 실외기와 냉매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실내기; 상기 실외기 내에 배치되는 실외팬; 상기 실외팬에 동력을 인가하는 팬모터; 및 상기 실외기에 배치되고, 상기 팬모터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에 개구된 홀의 내측에 배치되는 질량체와, 상기 질량체와 상기 브라켓을 연결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공진체가 형성되어, 압축기 및 실외팬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공진체와 공진을 일으켜, 발생되는 소음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Air Conditio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공진체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흡입된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조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기 위해, 공기조화기는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사이클을 구비한다.
하지만, 압축기 및 실외팬이 배치되는 실외기의 경우, 압축기와 실외팬의 진동으로 인하여 과도한 소음이 발생되고,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소음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서, 음의 굴절률을 갖는 음향메타물질을 이용하여 소음의 강도를 줄이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선행 한국등록특허 10-1337956에서는 음향메타물질을 차량에 적용하여, 음향 웨이브의 굴절을 통해 엔진에서 발생되는 전 주파수영역대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방안을 개시하고 있으나, 음파의 공진이 아닌 굴절 또는 회절현상을 이용하여 소음을 저감시킨다는 점에서, 특정주파수 영역대에 대한 국부적인 소음저감대책을 마련하지는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133795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음성능이 개선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최소한의 구조변형을 통해 소음성능을 개선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국부적인 주파수영역 대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압축기 및 실외팬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주파수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실외팬 지지구조가 컴펙트화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압축기가 배치되는 실외기; 상기 실외기와 냉매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실내기; 상기 실외기에 배치되는 실외팬; 상기 실외팬에 동력을 인가하는 팬모터; 및 상기 실외기에 배치되고, 상기 팬모터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실외기 내부에 공기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에 개구된 홀의 내측에 배치되는 질량체와, 상기 질량체와 상기 브라켓을 연결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공진체가 형성되어, 실외팬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공진을 통해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공진체는, 상기 브라켓의 연장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공진체는, 각각의 상기 탄성체가 연장되는 방향이 동일할 수 있어, 국부적인 주파수영역에 대한 공진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공진체는, 상기 브라켓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어,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팬모터와 연결되는 제 1플레이트; 상기 제 1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팬모터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플레이트; 상기 제 2플레이트와 대향되는 제 3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진체는, 상기 제 1플레이트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진체는, 상기 제 2플레이트와 상기 제 3플레이트 사이 공간 및 상기 제 1플레이트의 외측으로 진동할 수 있다.
상기 홀은, 폐루프 형상을 가지고 내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질량체는, 상기 내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질량체는, 상기 탄성체가 연결되는 코너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홀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질량체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브라켓 및 상기 팬모터와 각각 연결되는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진체는, 상기 블록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블록은 복수개의 상기 브라켓을 연결할 수 있고, 상기 팬모터는 복수개의 상기 브라켓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록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브라켓과 연결되는 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진체는, 상기 암의 상측 및 하측에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공진체는, 각각이 상기 질량체 및 상기 탄성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셀을 포함할 수 있어, 다양한 주파수영역에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위셀은, 각각이 서로 다른 형상의 상기 질량체 및 상기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위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질량체와 연결되는 상기 탄성체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진체는, 상기 복수의 단위셀을 서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폭이 변화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압축기 및 실외팬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공진체와 공진을 일으켜, 발생되는 소음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둘째, 팬모터를 지지하는 브라켓에 공진체를 형성시킴으로써, 구조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질량체와 탄성체의 설계를 통해, 타겟주파수영역에 대한 소음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잇는 장점도 있다.
넷째, 압축기와 실외팬에서 발생되는 서로 다른 주파수영역대의 소음을, 복수의 단위셀 구조를 통해 제거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다섯째, 팬모터를 지지하는 브라켓에 공진체를 형성시킴으로써, 공진체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매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 내부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 내부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팬모터 지지구조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팬모터 지지구조의 단면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진체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진체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소음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소음성능 나타내는 컨투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의 냉매사이클을 설명한다. 도 1은, 공기조화기(1) 내에서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사이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공기조화기(1)는, 압축기(101)가 배치되는 실외기(100)와, 실외기(100)와 냉매배관(106)을 통해 연결되는 실내기(200)를 포함한다.
실외기(100)는, 압축기(101)와 연결되는 실외열교환기(102)와, 실외열교환기(102)와 연결되는 팽창밸브(103)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100)는, 실외열교환기(102)로의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실외팬(110)을 포함한다.
실내기(200)는, 압축기(101) 및 팽창밸브(103)와 각각 연결되는 실내열교환기(210)와, 실내열교환기(210)로의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실내팬(22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100)와 실내기(200)는, 냉매배관(106)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냉매배관(106)은, 팽창밸브(103)와 실내열교환기(210)를 연결하는 제 1냉매배관(104)과, 압축기(101)와 실내열교환기(210)를 연결하는 제 2냉매배관(105)을 포함할 수 있다.
냉방모드일 때, 압축기(101)로부터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는 실외열교환기(102)를 거치면서 응축되고, 팽창밸브(103)를 거치면서 감압된다. 감압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210)로 유입되어 증발된 뒤 압축기(101)로 회수된다. 실내열교환기(210)를 통과하는 실내공기는, 냉매로 열을 방출하면서 냉각되어 온도가 하강된 상태로 실내로 공급된다.
난방모드일 때, 압축기(101)로부터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는 실내열교환기(210)를 거치면서 응축되고, 팽창밸브(103)를 거치면서 감압된다. 감압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102)로 유입되어 증발된 뒤 압축기(101)로 회수된다. 실내열교환기(210)를 통과하는 실내공기는, 냉매로부터 열을 흡수하면서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된 상태로 실내로 공급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실외기(10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2는 실외기(100)의 전체적인 외형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실외기(100)의 내부구조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실외기(100)의 내부구조를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외기(1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9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90)의 전체적인 외형은 사각기둥형일 수 있다.
케이스(190)는, 압축기(101) 및 실외팬(110)의 전방을 커버하는 전면패널(191)과, 실외팬(11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케이스(190)의 외부로 유동하는 토출그릴(19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실외기(100)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01)와, 압축기(101)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열교환되는 실외열교환기(102)와, 압축기(101)로 유입되는 냉매에 포함된 액상냉매를 분리하는 어큐뮬레이터(107)와, 물과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보조열교환기(108)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101)와 어큐뮬레이터(107)는, 실외팬(110)이 배치되는 공간과 구분되는 기계실(100s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열교환기(108)는, 기계실(100s1)과 구분되는 보조공간(100s3)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기(100)는, 압축기(101) 및 실외팬(1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18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박스(180)는, 보조공간(100s3)에 배치될 수 있고, 기계실(100s1) 및 송풍공간(100s2)과 구분될 수 있다. 컨트롤박스(180)는, 컨트롤박스(180)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히트싱크(181)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팬(110)과 실외열교환기(102)는, 기계실(100s1) 및 보조공간(100s3)과 구분되는 송풍공간(100s2)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102)는, 실외팬(110)의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고, 송풍공간(100s2)을 둘러싸도록 'ㄱ'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102)는, 실외팬(110)과 후술할 루프(15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실외기(100)는, 팬모터(120)를 지지하는 브라켓(140)을 포함한다. 브라켓(14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루프(150)와 연결될 수 있다.
실외팬(100)은, 송풍공간(100s2)을 기계실(100s1) 및 보조공간(100s3)과 구분짓는 제 1배리어(171)와, 기계실(100s1)을 보조공간(100s3)과 구분짓는 제 2배리어(172)와, 기계실(100s1)을 보조공간(100s3)과 구분짓고 제 2격벽(172)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3배리어(173)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실(100s1)은, 제 1배리어(171), 제 2배리어(172) 및 제 3배리어(173)로 둘러싸인 내부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보조공간(100s3)은, 제 1배리어(171), 제 2배리어(172) 및 제 3배리어(173)의 외측에 형성된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송풍공간(100s2)은, 제 1배리어(171)와 실외열교환기(102)로 둘러싸인 내측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제 1배리어(17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컨트롤박스(180)는 제 1배리어(171)를 통과하여 송풍공간(100s2)으로 일부가 돌출될 수 있다.
제 1배리어(171)는, 송풍공간(100s2)과 기계실(100s1)을 연통시키는 통기구(171b)와, 컨트롤박스(180)를 지지하는 박스홀더(171a)를 포함할 수 있다.
박스홀더(171a)는 제 1배리어(171)에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통기구(171b)는 제 1배리어(171)의 하부에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2배리어(172)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컨트롤박스(18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박스(180)는 제 2배리어(172)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 2배리어(17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 3배리어(173)는, 제 2배리어(17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기계실(100s1)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실외기(100)에서 팬모터(120)의 배치구조를 설명한다. 도 5는 팬모터(120)의 배치구조가 드러나도록 실외기(100) 내부의 일부만을 선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실외기(100)는, 실외팬(110)과 연결되어 실외팬(110)에 동력을 인가하는 팬모터(120)를 포함한다.
팬모터(120)는,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코어(121)와, 코어(121) 및 실외팬(110)과 연결되는 모터축(122)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축(122)은, 코어(121)에서 발생된 동력을 실외팬(110)에 전달할 수 있다.
케이스(190)는, 실외기(100)의 하부를 커버하는 로어패널(193)을 포함할 수 있다.
팬모터(120)는, 로어패널(193)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팬모터(120)는, 로어패널(193)에 고정되는 서포터(1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서포터(14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라켓(141)과, 로어패널(193)과 연결되는 레그(142)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141)과 레그(142)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레그(142)는 브라켓(141)의 연장방향과 교차될 수 있고, 소정의 체결부재(미도시)가 관통될 수 있다. 레그(142)는, 브라켓(141)의 하단부로부터 브라켓(141)의 연장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루프(150)는, 브라켓(141)의 상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루프(150)는, 브라켓(141)을 실외열교환기(102)와 연결시킬 수 있다.
루프(150)는, 실외열교환기(102)와 연결되고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1프레임(151)과, 제 1프레임(151) 및 실외열교환기(102)와 연결되고 제 1프레임(15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프레임(152)과, 제 1프레임(151)과 연결되고 제 2프레임(152)의 전방에 이격되는 제 3프레임(1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프레임(151)은,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제 1프레임(151)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제 2프레임(152)은, 실외열교환기(102)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고, 복수의 제 1프레임(151)의 일단부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제 3프레임(153)은, 복수의 제 1프레임(151)을 서로 연결할 수 있고, 제 2프레임(152)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102)는, 루프(150)와 연결되는 제 1실외열교환기(102a)와, 제 1실외열교환기(102a)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송풍공간(100s2)의 일측을 커버하는 제 2실외열교환기(102b)를 포함할 수 있다.
팬모터(120)는, 후술할 블록(130)을 통해 서포터(140)와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팬모터(120)의 지지구조를 설명한다. 도 6은, 팬모터(120)가 지지되는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상하로 연장되는 서포터(140)는,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서포터(140)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서포터(140)는, 팬모터(12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서포터(140a)와, 팬모터(120)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서포터(14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서포터(140a)와 제 2서포터(140b)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팬모터(120)는, 제 1서포터(140a)와 제 2서포터(14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팬모터(120)는, 블록(130)을 통해 제 1서포터(140a) 및 제 2서포터(140b)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팬모터(120)는, 원통형의 코어(121)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마운트(123)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운트(123)는, 코어(121)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블록(130)은, 제 1서포터(140a)와 제 2서포터(140b) 사이에 배치되는 블록바디(131)와, 팬모터(120)를 블록(130)에 고정시키는 모터홀더(132)와, 블록바디(131)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 1암(133)과, 블록바디(131)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제 2암(134)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바디(131)는 사각형의 외둘레면을 가질 수 있다. 블록바디(131)는, 팬모터(120)가 접촉되는 면을 제공할 수 있다.
모터홀더(132)는, 마운트(123)와 블록바디(131)를 관통할 수 있고, 마운트(123)와 블록바디(131)를 결속시킬 수 있다. 모터홀더(132)는, 소정의 체결부재일 수 있고, 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제 1암(133)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 1서포터(140a)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암(133)은, 블록바디(131)보다 상측으로 돌출된 제 1어퍼돌기(133a)와, 블록바디(131)보다 하측으로 돌출된 제 1로어돌기(13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암(133)은, 제 1어퍼돌기(133a)를 관통하는 제 1암홀더(133b) 및 제 1로어돌기(133c)를 관통하는 제 2암홀더(133d)를 통해 제 1서포터(140a)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암(134)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 2서포터(140b)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암(134)은, 블록바디(131)보다 상측으로 돌출된 제 2어퍼돌기(134a)와, 블록바디(131)보다 하측으로 돌출된 제 2로어돌기(134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암(134)은, 제 2어퍼돌기(134a)를 관통하는 제 3암홀더(134b) 및 제 2로어돌기(134c)를 관통하는 제 4암홀더(134d)를 통해 제 2서포터(140b)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암(133)과 제 2암(134)은, "암(Arm)"으로 이름될 수 있다.
블록바디(131)와 팬모터(120)는, 제 1암(133)과 제 2암(134)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제 1암(133)과 제 2암(134)에 의해 하중이 지지될 수 있다.
후술할 공진체(160)는, 서포터(140)에 형성될 수 있다. 공진체(160)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공진체(160)는, 제 1서포터(140a) 및 제 2서포터(140b) 각각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공진체(16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브라켓(141)에 형성될 수 있다. 공진체(160)는, 브라켓(141)의 연장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공진체(160)는, 브라켓(141)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진체(160)와 브라켓(141)은 서로 동일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공진체(160)는, 블록(130)과 이격될 수 있고, 제 1암(133) 및 제 2암(134)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이격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로 인하여, 블록(130)의 강성은 유지하면서, 블록(130)을 통해 서포터(140)로 전달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브라켓(141)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팬모터(120)의 지지구조를 도 6에 도시된 A-A'면을 따라 절개하여 하방으로 투시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 1로어돌기(133c)는 브라켓(141)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2로어돌기(134c)는 브라켓(141)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브라켓(141)은, 팬모터(120)와 연결되는 제 1플레이트(141a)와, 제 1플레이트(141a)로부터 팬모터(1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플레이트(141b)와, 제 2플레이트(141b)와 대향되는 제 3플레이트(14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플레이트(141a)는, 블록(130)과 연결될 수 있고, 블록(130)을 통해 팬모터(120)와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플레이트(141a)는, 암(133, 134)을 통해 팬모터(120)와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플레이트(141a)와 팬모터(120) 간의 연결관계를 정의함에 있어서, "연결"은, 직접적인 연결 뿐만 아니라 간접적인 연결도 포함한다.
복수의 공진체(160)는, 제 1플레이트(141a)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플레이트(141b)는, 제 1플레이트(141a)로부터 팬모터(12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2플레이트(141b)는, 제 3플레이트(141c)보다 팬모터(12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 3플레이트(141c)는, 제 1플레이트(141a)로부터 팬모터(12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3플레이트(141c)는, 제 2플레이트(141b)보다 팬모터(120)에 멀게 위치될 수 있다.
제 2플레이트(141b)와 제 3플레이트(141c)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고, 제 2플레이트(141b)와 제 3플레이트(141c) 사이에는 진동공간(141s)이 형성될 수 있다.
진동공간(141s)은, 제 1플레이트(141a)와 제 2플레이트(141b)와 제 3플레이트(141c)로 둘러싸인 내측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제 1암홀더(133b), 제 2암홀더(133d), 제 3암홀더(134b) 및 제 4암홀더(134d) 각각은, 진동공간(141s)으로 돌출될 수 있다.
진동공간(141s)은, 공진체(160)가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플레이트(141a)에 형성된 공진체(160)는, 진동공간(141s)과 제 1플레이트(141a)의 외측을 향해 교대로 진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진체(160)를 설명한다. 도 8은, 복수의 공진체(160) 중 어느 하나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브라켓(141)은, 공진체(160)가 배치되는 홀(160s)이 형성된다. 홀(160s)은, 제 1플레이트(141a)에 진동공간(141s)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홀(160s)은, 단면의 형상이 사각형일 수 있고, 폐루프형의 내둘레면(141d)을 가질 수 있다.
공진체(160)는, 홀(160s)의 내측에 배치되는 질량체(161)와, 질량체(161)와 브라켓(141)을 연결하는 탄성체(162)를 포함한다.
질량체(161)는, 홀(160s)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내둘레면(141d)과 이격될 수 있다. 질량체(161)는, 단면의 형상이 사각형일 수 있고, 질량체(161)의 외둘레면은 홀(160s)의 내둘레면(141d)과 마주볼 수 있다.
탄성체(162)는, 브라켓(141)과 질량체(161)를 연결할 수 있고,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질량체(161)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공진체(160) 각각의 탄성체(162)는 경사진 방향 및 경사진 각도가 동일할 수 있다.
홀(160s)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탄성체(162)가 연장되는 모서리(141e)를 가질 수 있다. 탄성체(162)는, 모서리(141e)로부터 질량체(161)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질량체(161)는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탄성체(162)와 연결되는 코너(161a)를 가질 수 있다. 코너(161a)는 모서리(141e)와 마주볼 수 있고, 탄성체(162)는 모서리(141e)로부터 코너(161a)를 향해 연장되어 질량체(161)와 브라켓(141)을 연결할 수 있다.
탄성체(162)는, 모서리(141e)로부터 코너(161a)를 향해 경사각(θ)을 가지고 연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진체(260)를 설명한다. 도 9는, 복수의 단위셀(260a, 260b, 260c, 260d)로 구성된 공진체(260)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진체(260)도,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플레이트(241a)에 형성될 수 있고, 제 2플레이트(241b)와 제 3플레이트(241c) 사이 및 제 1플레이트(241a)의 외측으로 진동할 수 있다.
공진체(260)는, 각각이 질량체(260a2, 260b2, 260c2, 260d2) 및 탄성체(260a3, 260b3, 260b4, 260c3, 260c4, 260d3)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셀(260a, 260b, 260c, 260d)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공진체(260)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셀(260a, 260b, 260c, 260d)이 2X2 매트릭스의 형태로 배치된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복수의 단위셀의 배치는, 2X2 매트릭스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nXn(n=1, 2, 3...)의 다양한 배치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공진체(260)는, 제 1단위셀(260a)과, 제 1단위셀(260a)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2단위셀(260b)과, 제 1단위셀(260a)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3단위셀(260c)과, 제 2단위셀(260b)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4단위셀(260d)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단위셀(260a)은, 제 1플레이트(241a)에 개구된 제 1홀(260a1)과, 제 1홀(260a1)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1질량체(260a2)와, 제 1질량체(260a2)와 연결되는 제 1탄성체(260a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탄성체(260a3)는, 후술할 격벽(264)과 연결될 수 있고, 중심부(263)로부터 제 1질량체(260a2)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 2단위셀(260b)은, 제 1플레이트(241a)에 개구된 제 2홀(260b1)과, 제 2홀(260b1)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2질량체(260b2)와, 제 2질량체(260b2)와 연결되는 제 2탄성체(260b3)와, 제 2질량체(260b2)와 연결되고 제 2탄성체(260b3)와 이격되는 제 1보조탄성체(260b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탄성체(260b3)는, 후술할 격벽(264)과 연결될 수 있고, 격벽(264)으로부터 제 2질량체(260b2)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 1보조탄성체(260b4)는, 후술할 격벽(264)과 연결될 수 있고, 격벽(264)으로부터 제 2질량체(260b2)를 향해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2단위셀(260b)은, 제 2질량체(260b2)와 연결되는 탄성체(260b3, 260b4)를 복수개로 구비함으로써, 부족한 강성을 보완하면서 공진주파수 영역대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 3단위셀(260c)은, 제 1플레이트(241a)에 개구된 제 3홀(260c1)과, 제 3홀(260c1)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3질량체(260c2)와, 제 3질량체(260c2)와 연결되는 제 3탄성체(260c3)와, 제 3질량체(260c2)와 연결되고 제 3탄성체(260c3)와 이격되는 제 2보조탄성체(260c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탄성체(260c3)는, 후술할 격벽(264)과 연결될 수 있고, 격벽(264)으로부터 제 3질량체(260c2)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 2보조탄성체(260c4)는, 후술할 격벽(264)과 연결될 수 있고, 격벽(264)으로부터 제 3질량체(260c2)를 향해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3단위셀(260c)은, 제 3질량체(260c2)와 연결되는 탄성체(260c3, 260c4)를 복수개로 구비함으로써, 부족한 강성을 보완하면서 공진주파수 영역대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 4단위셀(260d)은, 제 1플레이트(241a)에 개구된 제 4홀(260d1)과, 제 4홀(260d1)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4질량체(260d2)와, 제 4질량체(260d2)와 연결되는 제 4탄성체(260d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탄성체(260d3)는, 후술할 보조격벽(265)과 연결될 수 있고, 보조격벽(265)으로부터 제 1질량체(260a2)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공진체(260)는, 복수의 단위셀(260a, 260b, 260c, 260d)을 서로 구획하는 격벽(264)과, 격벽(264)과 연결되고 단위셀(260d)을 형성하는 보조격벽(265)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264)은, 중심부(263)로부터 십자가형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 1플레이트(241a)와 연결될 수 있다. 격벽(264)은, 제 1홀(260a1), 제 2홀(260b1), 제 3홀(260c1) 및 제 4홀(260d1) 각각을 구분지을 수 있다.
격벽(264)은, 제 1단위셀(260a)과 제 3단위셀(260c)을 구분짓는 제 1격벽(264a)과, 제 1단위셀(260a)과 제 2단위셀(260b)을 구분짓는 제 2격벽(264b)과, 제 2단위셀(260b)과 제 4단위셀(260d)을 구분짓는 제 3격벽(264c)과, 제 3단위셀(260c)과 제 4단위셀(260d)을 구분짓는 제 4격벽(264d)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격벽(264a), 제 2격벽(264b), 제 3격벽(264c) 및 제 4격벽(264d)은 각각 중심부(263)로부터 제 1플레이트(241a)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1격벽(264a)과 제 3격벽(264c)은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2격벽(264b)과 제 4격벽(264d)은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격벽(264a)의 제 1두께(w1)는, 제 3격벽(264c)의 제 3두께(w3)보다 작을 수 있다. 제 2격벽(264b)의 제 2두께(w2)는, 제 4격벽(264d)의 제 4두께(w4)보다 작을 수 있다. 격벽(264)의 두께는 연장방향을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보조격벽(265)은, 제 3격벽(264c)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1보조격벽(265a)과, 제 4격벽(264d)으로부터 제 1보조격벽(265a)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보조격벽(26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4탄성체(260d3)는, 제 1보조격벽(265a)과 제 2보조격벽(265b)가 교차되는 부위에서 제 4질량체(260d2)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보조격벽(265)은, 제 1플레이트(241a)로부터 공진체(260)를 향하여 돌출된 부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보조격벽(265)은, 공진체(260)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다.
복수의 단위셀(260a, 260b, 260c, 260d) 각각은, 서로 다른 형상의 질량체와 탄성체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단위셀(260a, 260b, 260c, 260d) 각각은, 공진되는 타겟주파수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단위셀(260a)은 어큐뮬레이터(107)의 진동소음에 대하여 공진할 수 있고, 제 2단위셀(260b) 및 제 3단위셀(260c)은 압축기(101)의 진동소음에 대하여 공진할 수 있고, 제 4단위셀(260d)은 팬모터(120)의 진동소음에 대하여 공진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단위셀(260a, 260b, 260c, 260d)로 이루어진 공진체(260)를 통해, 실외기(100) 내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주파수영역대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공진체(160, 260)에 의해 소음이 저감되는 원리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진체(160, 260)는 음향메타물질의 일종일 수 있고, 헬름홀츠 공명기의 원리를 차용할 수 있다.
헬름홀츠 공명기란, 공기를 특정 주파수에서 공진시켜 소리를 흡수하는 음향장치로서, 발생되는 소음의 주파수영역을 공진시켜 파동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해당 주파수영역대를 파동이 전파할 수 없는 스탑밴드(Stop band) 주파수영역대로 만들고, 해당 주파수영역대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영역대를 파동이 전파되는 패스밴드(Pass band) 주파수영역대로 만드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진체(160, 260)는 발생되는 소음의 주파수영역대를 공진시키기 위해, 소정의 질량계수(meq)를 갖는 질량체와, 소정의 탄성계수(keq)를 갖는 탄성체을 포함한다. 질량계수(meq)는 공진체의 질량을 나타내는 값으로 이해될 수 있고, 탄성계수(keq)는 공진체의 스프링강성을 나타내는 값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공진체(160, 260)가 공진하게 되는 공진주파수(wr)는 질량계수(meq)와 탄성계수(keq)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공진주파수(wr)를 계산하는 식은 하기 수학식 1과 같다.
질량계수(meq)는 유동공기의 밀도(ρ)와, 탄성체의 단면적(Sn)과, 탄성체의 유효길이(Ln')를 변수로하는 수학식 2에 의해 계산될 수 있고, 탄성계수(keq)는 유동공기의 밀도(ρ)와, 음파의 속도(c)와, 탄성체의 단면적(Sn)과, 질량체의 부피(Vc)를 변수로 하는 수학식 2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공진주파수(wr)를 계산하기 위한 수학식 1은 수학식 2와 병합되어, 음파의 속도(c)와, 탄성체의 단면적(Sn)과, 질량체의 부피(Vc)와, 탄성체의 유효길이(Ln')를 변수로 하는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Figure 112020141900214-pat00001
Figure 112020141900214-pat00002
Figure 112020141900214-pat00003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진체(160, 260)의 설계 시, 질량체의 부피(Vc)와, 탄성체의 길이(Ln) 또는 단면적(Sn)을 변형시켜, 실외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에 해당하는 타겟주파수영역을 선택적으로 공진시켜, 스탑밴드(Stop band) 주파수영역대로 만듦으로써, 소음제거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Figure 112020141900214-pat00004
또한, 공진주파수(wf)는, 상기 수학식 4와 같이, 브라켓(141)과 공진체(160, 260)를 구성하는 재료의 물성치, 질량체의 두께(h) 및 탄성체의 길이(L)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진주파수(wf)는, 재료의 고유값(Eigen Value)(k), 재료의 영률(Young's Mudulus)(E), 재료의 포아송 비(Poisson's Ratio)(v), 재료의 밀도(Density)(ρ), 질량체의 두께(h) 및 탄성체의 길이(L)의 관계식(수학식 4 참조)으로 계산될 수 있다. 질량체의 두께(h)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플레이트(141a)의 두께방향으로의 질량체의 길이일 수 있다. 탄성체의 길이(L)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141e)로부터 코너(161a)까지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질량체의 두께(h)는, 0.1mm 내지 0.3mm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2mm일 수 있다.
탄성체의 길이(L)는, 1.6mm 내지 1.8mm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7mm일 수 있다.
질량체의 가로길이(W)는, 6mm 내지 8mm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mm일 수 있다.
질량체의 세로길이(P)는, 6mm 내지 8mm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mm일 수 있다.
탄성체의 폭(Q)은, 1mm 내지 3mm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mm일 수 있다.
서포터(140)와 공진체(160, 260)는 동일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고,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질량체 및 탄성체는, 서포터(140)와 일체형일 수 있다.
공진체(160, 260)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일 수 있다. 이에, 영률(Young's Mudulus)(E)은, 190GPa 일 수 있고, 포아송 비(Poisson's Ratio)(v)는 0.3일 수 있고, 밀도(Density)(ρ)는 7.9kg/m3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진체(160, 260)의 설계 시, 공진체의 재료와 질량체의 두께(h)와 탄성체의 길이(L)를 변형시켜, 실외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에 해당하는 타겟주파수영역을 선택적으로 공진시켜, 스탑밴드(Stop band) 주파수영역대로 만듦으로써, 소음제거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도 11(a) 및 도 11(b)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진체(160, 260)의 소음저감효과를 설명한다. 도 10은 인간의 주파수별 소음민감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1(a)는 특정 주파수 영역대(1000~1100Hz)에서 공진체(160, 260)의 진동을 나타내는 컨투어이고, 도 11(b)는 특정 주파수 영역대(3200~3300Hz)에서 공진체(160, 260)의 진동을 나타내는 컨투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Threshold라인은 약 1000Hz(A) 내지 4000Hz(B)의 감도범위(R)에서 가장 낮은 데시벨(dB)을 지난다. 이는, 1000Hz(A) 내지 4000Hz(B)의 감도범위(R)에서는, 사용자가 아무리 작은 크기의 소음이라도 민감하게 반응함을 나타낸다. 즉, 사용자는 감도범위(R) 내의 소음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한다.
도 11(a)를 참조하면, 1000~1100Hz 범위 내의 주파수영역에서, 브라켓은 거의 진동하지 않는 한편, 공진체는 브라켓에 비해 크게 진동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실외기에서 발생되는 소음파동이 공진체와 공진을 일으켜, 공진체가 브라켓 대신 진동함으로써, 브라켓을 통해 전파되는 소음의 양이 저감된다. 이 때의 타겟주파수는 1068Hz일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3200~3300Hz 범위 내의 주파수영역에서, 브라켓은 거의 진동하지 않는 한편, 공진체는 브라켓에 비해 크게 진동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실외기에서 발생되는 소음파동이 공진체와 공진을 일으켜, 공진체가 브라켓 대신 진동함으로써, 브라켓을 통해 전파되는 소음의 양이 저감된다. 이 때의 타겟주파수는 3288Hz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진체(160, 260)는, 인간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파수영역(R)에서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것이다.
100: 실외기 110: 실외팬
120: 팬모터 130: 블록
140: 서포터 141: 브라켓
150: 루프 160: 공진체
161: 질량체 162: 탄성체
200: 실내기

Claims (17)

  1. 압축기가 배치되는 실외기;
    상기 실외기와 냉매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실내기;
    상기 실외기 내에 배치되는 실외팬;
    상기 실외팬에 동력을 인가하는 팬모터;
    상기 실외기에 배치되고, 상기 팬모터를 지지하고, 개구된 홀을 구비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배치되는 공진체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체는,
    상기 홀의 내측에 상기 홀의 둘레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질량체; 및
    상기 질량체와 상기 브라켓을 연결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공진체는,
    상기 브라켓의 연장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진체는,
    각각의 상기 탄성체가 연장되는 방향이 동일한 공기조화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체는,
    상기 브라켓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공기조화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팬모터와 연결되는 제 1플레이트;
    상기 제 1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팬모터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플레이트;
    상기 제 2플레이트와 대향되는 제 3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체는,
    상기 제 1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체는,
    상기 제 2플레이트와 상기 제 3플레이트 사이 공간 및 상기 제 1플레이트의 외측으로 진동하는 공기조화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폐루프 형상을 가지고 내둘레면을 형성하고,
    상기 질량체는,
    상기 내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는,
    상기 탄성체가 연결되는 코너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홀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질량체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공기조화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및 상기 팬모터와 각각 연결되는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진체는,
    상기 블록과 이격되는 공기조화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블록은 복수개의 상기 브라켓을 연결하고,
    상기 팬모터는 복수개의 상기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브라켓과 연결되는 암(Arm)을 포함하고,
    상기 공진체는,
    상기 암의 상측 및 하측에 이격되는 공기조화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체는,
    각각이 상기 질량체 및 상기 탄성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셀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셀은,
    각각이 서로 다른 형상의 상기 질량체 및 상기 탄성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질량체와 연결되는 상기 탄성체가 복수개로 구비된 공기조화기.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체는,
    상기 복수의 단위셀을 서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폭이 변화되는 공기조화기.
KR1020200184753A 2020-12-28 2020-12-28 공기조화기 KR102409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753A KR102409977B1 (ko) 2020-12-28 2020-12-28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753A KR102409977B1 (ko) 2020-12-28 2020-12-28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977B1 true KR102409977B1 (ko) 2022-06-15

Family

ID=81987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753A KR102409977B1 (ko) 2020-12-28 2020-12-28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9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312B1 (ko) * 2005-11-01 2010-03-17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KR101337956B1 (ko) 2011-11-11 2013-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음향 메타재료를 이용한 차량용 소음 저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312B1 (ko) * 2005-11-01 2010-03-17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KR101337956B1 (ko) 2011-11-11 2013-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음향 메타재료를 이용한 차량용 소음 저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192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US11524637B2 (en) Vibration reduction device having acoustic meta structure
CN106091454A (zh) 制冷装置
KR102409977B1 (ko) 공기조화기
JP6288147B2 (ja) 熱源ユニット
JPS62223542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ツト
US20060288722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ES2877120T3 (es) Unidad de fuente de calor para bomba de calor
CN205860531U (zh) 制冷装置
KR100360235B1 (ko) 공기조화기의 진동 및 소음 저감 구조
CN207146714U (zh) 钣金组件、空调器室外机和空调器
JPH09144661A (ja) 圧縮機配管の制振装置
CN214403889U (zh) 一种低噪型空调压缩机
JP7150775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5283012A (ja) 冷蔵庫
JP2012193934A (ja) 浴室換気空調装置
RU2499207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с пониженным уровнем шума
JP2878091B2 (ja) 多孔質構造体モジュールを用いた音響パネル及び音響装置
JPH10282965A (ja) 吸音装置
KR20020049062A (ko) 분리형 에어콘 실외기의 패널 구조
KR20210131035A (ko) 공기조화기
KR20210131034A (ko) 공기조화기
CN215175535U (zh) 一种窗式空调器
CN218328411U (zh) 空调器
KR102006732B1 (ko) 면진 및 공진방지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