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713B1 - 자동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713B1
KR102409713B1 KR1020210194444A KR20210194444A KR102409713B1 KR 102409713 B1 KR102409713 B1 KR 102409713B1 KR 1020210194444 A KR1020210194444 A KR 1020210194444A KR 20210194444 A KR20210194444 A KR 20210194444A KR 102409713 B1 KR102409713 B1 KR 102409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distribution case
case box
rotat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4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이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호 filed Critical 이정호
Priority to KR1020210194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7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 H02B1/36Racks with withdrawable uni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05B11/01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assembly, or maintenance of boards or switch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전자 부품이 내장되어 장비의 가동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화시스템과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화시스템{Automation system}
본 발명은 자동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비의 가동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화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자동화시스템이 있었고, 장비의 가동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화시스템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37011호 대한민국등록실용 제20-0207479호
본 발명은 장비의 가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장비의 가동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화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화시스템은, 자동제어를 위한 부품유닛이 내장되도록 사각의 함체로 형성되는 배전케이스함과, 부품유닛의 유지보수를 위해 배전케이스 일측으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함덮개와, 자동제어를 위한 정보값을 입력하기 위해 함덮개 전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조작패널과, 자동제어를 위한 정보값을 입력하기 위해 함덮개 전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조작패널과, 제1조작패널과 제2조작패널과 디스플레이패널과 부품유닛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함덮개 전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전원패널과, 자동제어 상태를 문자로 나타내주도록 함덮개 전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복수의 부품유닛이 고정될 수 있도록 배전케이스함 내부면에 형성되는 유닛체결패널과, 케이블을 고정시켜주기 위해 유닛체결패널 일측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배선덕트와, 자동제어를 위해 각각의 복수개로 형성되어 유닛체결패널에 체결되며, 케이블을 통해 연결 형성되는 부품유닛과, 부품유닛의 유지보수시 배전케이스함 내부에 조명을 조사하기 위해 배전케이스함 내부 상면으로 형성되는 조명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화시스템은, 유닛체결패널에 고정되는 부품유닛을 용이하게 설치 및 보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패널슬라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패널슬라이드수단은, 배전케이스함 내부 상면과 하면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패널과, 가이드핀이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패널 상에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가이드패널 사이에서 회전힌지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회전패널과,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회전패널 상면 일측과 하면 일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핀과, 회전패널이 배전케이스함 상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배전케이스함 내부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회전힌지와, 패널고정홈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회전패널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단과, 회전패널을 고정 지지하기 위해 배전케이스함 일측으로 형성되는 패널고정대와, 회전패널의 걸림단이 걸리도록 패널고정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패널고정홈과, 패널고정홈에 위치되는 회전패널을 감지하기 위해 패널고정홈 일측면에 형성되는 고정감지센서와, 패널고정대에 회전패널 고정시 고정완료 상태를 표시해주기 위해 회전패널 일측으로 형성되는 발광램프와, 회전되는 회전패널이 배전케이스함의 개구된 방향으로 회전시 회전이동됨을 감지하기 위해 배전케이스함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구동접촉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전반 케이스함 내부에 전기전자 부품이 내장되어 장비의 가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져 배선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자동화시스템에 대한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대한 제품사진이다.
도 3은 자동화시스템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패널슬라이드수단에 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5는 자동화시스템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포집및냉각수단에 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7은 자동화시스템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거치이동수단에 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대한 상세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자동화시스템(1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2a는 도 1에 대한 상세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대한 제품사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자동화시스템(100)은 배전반 케이스함 내부에 전기전자 부품이 내장되어 장비의 가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화시스템(100)은 배전케이스함(110), 함덮개(111), 제1조작패널(112), 제2조작패널(113), 전원패널(114), 디스플레이패널(115), 유닛체결패널(116), 배선덕트(117), 부품유닛(118), 조명등(119)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전케이스함(110)은 자동제어를 위한 부품유닛(118)이 내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전케이스함(110)은 사각의 함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덮개(111)는 부품유닛(118)의 유지보수를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함덮개(111)는 배전케이스 일측으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조작패널(112)은 자동제어를 위한 정보값을 입력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조작패널(112)은 함덮개(111) 전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함덮개(111) 전면 전원패널(114)과 제2조작패널(113) 사이의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2조작패널(113)은 자동제어를 위한 정보값을 입력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조작패널(113)은 함덮개(111) 전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함덮개(111) 전면 제1조작패널(112) 하측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원패널(114)은 제1조작패널(112)과 제2조작패널(113)과 디스플레이패널(115)과 부품유닛(118)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원패널(114)은 함덮개(111) 전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조작패널(112) 상측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15)은 자동제어 상태를 문자로 나타내주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15)은 함덮개(111) 전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닛체결패널(116)은 복수의 부품유닛(118)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유닛체결패널(116)은 배전케이스함(110) 내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닛체결패널(116)은 배전케이스함(110) 내부에서 볼트수단을 이용하여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선덕트(117)는 케이블을 고정시켜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선덕트(117)는 유닛체결패널(116) 일측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품유닛(118)은 자동제어를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부품유닛(118)은 각각의 복수개로 형성되어 유닛체결패널(116)에 체결되며, 케이블을 통해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품유닛(118)은 자동제어를 위한 각각의 전기전자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명등(119)은 부품유닛(118)의 유지보수시 배전케이스함(110) 내부에 조명을 조사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명등(119)은 배전케이스함(110) 내부 상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자동화시스템(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패널슬라이드수단(2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패널슬라이드수단(200)은 본 발명 자동화시스템(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패널슬라이드수단(200)은 유닛체결패널(116)에 고정되는 부품유닛(118)을 용이하게 설치 및 보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슬라이드수단(200)은 가이드패널(210), 가이드홈(211), 회전패널(212), 가이드핀(213), 회전힌지(214), 걸림단(215), 패널고정대(216), 패널고정홈(217), 고정감지센서(218), 발광램프(219), 구동접촉센서(2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패널(210)은 배전케이스함(110) 내부 상면과 하면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홈(211)은 가이드핀(213)이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홈(211)은 가이드패널(210)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패널(212)은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가이드패널(210) 사이에서 회전힌지(214)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패널(212)의 일측면으로 유닛체결패널(116)이 볼트수단에 의해 탈부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핀(213)은 가이드홈(211)에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핀(213)은 회전패널(212) 상면 일측과 하면 일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힌지(214)는 회전패널(212)이 배전케이스함(110) 상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힌지(214)는 배전케이스함(110) 내부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단(215)은 패널고정홈(217)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단(215)은 회전패널(212)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고정대(216)는 회전패널(212)을 고정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널고정대(216)는 배전케이스함(1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고정홈(217)은 회전패널(212)의 걸림단(215)이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널고정홈(217)은 패널고정대(216)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감지센서(218)는 패널고정홈(217)에 위치되는 회전패널(212)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감지센서(218)는 패널고정홈(217)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램프(219)는 패널고정대(216)에 회전패널(212) 고정시 고정완료 상태를 표시해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발광램프(219)는 회전패널(212)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접촉센서(220)는 회전되는 회전패널(212)이 배전케이스함(110)의 개구된 방향으로 회전시 회전이동됨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접촉센서(220)는 배전케이스함(110)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자동화시스템(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포집및냉각수단(3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포집및냉각수단(300)은 본 발명 자동화시스템(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포집및냉각수단(300)은 배전케이스함(110) 내부의 먼지를 포집하며, 배전케이스함(1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켜주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집및냉각수단(300)은 냉각팬(310), 열전소자(311), 히트파이프(312), 파이프고정클립(313), 공기압축기(314), 공기분사노즐(315), 흡입팬(316), 흡입관(317), 포집함(318), 공기배출필터(319), 공기배출구(320), 분사액탱크(321), 분사펌프(322), 액분사노즐(323), 이물질망(324), 배출문(325), 수위센서(326), 배출관(327), 관조절밸브(32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팬(310)은 열전소자(311)의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냉각팬(310)은 배전케이스함(110)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전소자(311)는 냉각팬(310)에 의해 온도가 낮춰지며, 히트파이프(312)를 냉각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열전소자(311)는 냉각팬(310) 하면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트파이프(312)는 일측이 열전소자(311)에 연결되고, 유닛체결패널(116)의 부품유닛(118)이 체결되는 반대편에 부착되어 유닛체결패널(116)의 온도를 낮춰주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이프고정클립(313)은 히트파이프(312)를 유닛체결패널(116)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파이프고정클립(313)은 히트파이프(312)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압축기(314)는 공기분사노즐(315) 측으로 제공하기 위한 공기를 생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압축기(314)는 배전케이스함(110) 외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분사노즐(315)은 공기압축기(314)로부터 공기를 제공받아 배전케이스함(110) 내부로 분사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분사노즐(315)은 배전케이스함(110) 내부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팬(316)은 배전케이스함(110) 내부에서 공기분사노즐(315)로 비산되는 먼지를 흡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팬(316)은 배전케이스함(110)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관(317)은 흡입팬(316)을 통해 먼지를 포집함(318)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관(317)은 일측이 흡입팬(316)에 연결되고, 타측이 포집함(318)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집함(318)은 흡입관(317)을 통해 이동되는 먼지가 포집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포집함(318)은 배전케이스함(110) 외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배출필터(319)는 포집함(318) 내부로 유입되는 먼지를 걸러 공기배출구(320)를 통해 공기만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배출필터(319)는 공기배출구(32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배출구(320)는 공기배출필터(319)로 필터링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배출구(320)는 포집함(318)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액탱크(321)는 액분사노즐(323)을 통해 포집함(318)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액이 보관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사액탱크(321)는 포집함(318) 외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펌프(322)는 분사액탱크(321) 내에 보관되는 분사액을 액분사노즐(323)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사펌프(322)는 분사액탱크(321)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분사노즐(323)은 분사펌프(322)를 통해 이동되는 분사액을 포집함(318) 내부로 분사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액분사노즐(323)은 포집함(318)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망(324)은 분사액에 섞인 먼지를 걸러내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물질망(324)은 포집함(318) 내부 중앙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문(325)은 이물질망(324)에 쌓이는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문(325)은 포집함(318) 일측으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위센서(326)는 이물질망(324)을 관통하여 포집함(318) 하부로 이동되는 오염수의 수위를 센싱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위센서(326)는 포집함(318)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관(327)은 오염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관(327)은 포집함(318)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조절밸브(328)는 배출관(327)을 통해 오염수를 배출하기 위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관조절밸브(328)는 개폐가 가능하도록 배출관(327)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자동화시스템(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거치이동수단(4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거치이동수단(400)은 본 발명 자동화시스템(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거치이동수단(400)은 복수개로 분리형성되는 유닛체결패널(116)이 배전케이스함(110) 내부에서 탈부착되도록 하여 부품유닛(118)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며, 유닛체결패널(116)의 거치시 위치가 변동되도록 하여 복수개의 유닛체결패널(116)이 설치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이동수단(400)은 회전고정프레임(410), 고정기어(411), 변환기어(412), 모터기어(413), 구동벨트(414), 모터벨트(415), 구동모터(416), 승하강패널(417), 부착감지센서(418), 패널고정축(419), 체결홈(420), 유닛체결분리패널(421), 체결돌기(4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고정프레임(410)은 사각의 틀로 배전케이스함(110) 내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고정프레임(410)은 배전케이스함(110) 내부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기어(411)는 구동벨트(414)와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기어(411)는 회전고정프레임(410) 상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환기어(412)는 구동벨트(414)와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변환기어(412)는 회전고정프레임(410) 하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기어(413)는 구동모터(416)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변환기어(412) 측으로 전달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기어(413)는 구동모터(416)의 모터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벨트(414)는 고정기어(411)와 변환기어(412) 간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호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벨트(415)는 구동모터(416)의 회전동력을 변환기어(412) 측으로 전달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벨트(415)는 모터기어(413)와 변환기어(412) 간의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모터(416)는 모터벨트(415)와 구동벨트(414) 측으로 제공하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며, 부착감지센서(418)로부터 감지정보를 제공받아 미리 설정된 회전수 만큼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416)는 회전고정프레임(410)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패널(417)은 양측으로 형성되는 구동벨트(414) 상에 패널고정축(419)을 통해 부착되어 승하강되도록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착감지센서(418)는 유닛체결분리패널(421)이 부착됨을 감지하여 감지되는 정보를 구동모터(416)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부착감지센서(418)는 승하강패널(417)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고정축(419)은 승하강패널(417)을 양측으로 형성되는 구동벨트(414)에 안착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널고정축(419)은 승하강패널(417)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홈(420)은 유닛체결분리패널(421) 후면에 형성되는 체결돌기(422)가 결합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홈(420)은 승하강패널(417)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닛체결분리패널(421)은 부품유닛(118)이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유닛체결분리패널(421)은 승하강패널(417)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돌기(422)는 승하강패널(417)에 형성되는 체결홈(4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돌기(422)는 유닛체결분리패널(421) 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자동화시스템
110 : 배전케이스함 111 : 함덮개
112 : 제1조작패널 113 : 제2조작패널
114 : 전원패널 115 : 디스플레이패널
116 : 유닛체결패널 117 : 배선덕트
118 : 부품유닛 119 : 조명등
200 : 패널슬라이드수단 210 : 가이드패널
211 : 가이드홈 212 : 회전패널
213 : 가이드핀 214 : 회전힌지
215 : 걸림단 216 : 패널고정대
217 : 패널고정홈 218 : 고정감지센서
219 : 발광램프 220 : 구동접촉센서
300 : 포집및냉각수단 310 : 냉각팬
311 : 열전소자 312 : 히트파이프
313 : 파이프고정클립 314 : 공기압축기
315 : 공기분사노즐 316 : 흡입팬
317 : 흡입관 318 : 포집함
319 : 공기배출필터 320 : 공기배출구
321 : 분사액탱크 322 : 분사펌프
323 : 액분사노즐 324 : 이물질망
325 : 배출문 326 : 수위센서
327 : 배출관 328 : 관조절밸브
400 : 거치이동수단 410 : 회전고정프레임
411 : 고정기어 412 : 변환기어
413 : 모터기어 414 : 구동벨트
415 : 모터벨트 416 : 구동모터
417 : 승하강패널 418 : 부착감지센서
419 : 패널고정축 420 : 체결홈
421 : 유닛체결분리패널 422 : 체결돌기

Claims (3)

  1. 케이스함 내부에 전기전자 부품이 내장되어 장비의 가동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시스템은,
    자동제어를 위한 부품유닛이 내장되도록 사각의 함체로 형성되는 배전케이스함과,
    부품유닛의 유지보수를 위해 배전케이스 일측으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함덮개와,
    자동제어를 위한 정보값을 입력하기 위해 함덮개 전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조작패널과,
    자동제어를 위한 정보값을 입력하기 위해 함덮개 전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조작패널과,
    제1조작패널과 제2조작패널과 디스플레이패널과 부품유닛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함덮개 전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전원패널과,
    자동제어 상태를 문자로 나타내주도록 함덮개 전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복수의 부품유닛이 고정될 수 있도록 배전케이스함 내부면에 형성되는 유닛체결패널과,
    케이블을 고정시켜주기 위해 유닛체결패널 일측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배선덕트와,
    자동제어를 위해 각각의 복수개로 형성되어 유닛체결패널에 체결되며, 케이블을 통해 연결 형성되는 부품유닛과,
    부품유닛의 유지보수시 배전케이스함 내부에 조명을 조사하기 위해 배전케이스함 내부 상면으로 형성되는 조명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자동화시스템은,
    유닛체결패널에 고정되는 부품유닛을 용이하게 설치 및 보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패널슬라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패널슬라이드수단은,
    배전케이스함 내부 상면과 하면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패널과,
    가이드핀이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패널 상에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부와 하부로 형성되는 가이드패널 사이에서 회전힌지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회전패널과,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회전패널 상면 일측과 하면 일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핀과,
    회전패널이 배전케이스함 상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배전케이스함 내부 일측과 타측으로 형성되는 회전힌지와,
    패널고정홈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회전패널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단과,
    회전패널을 고정 지지하기 위해 배전케이스함 일측으로 형성되는 패널고정대와,
    회전패널의 걸림단이 걸리도록 패널고정대 일측으로 형성되는 패널고정홈과,
    패널고정홈에 위치되는 회전패널을 감지하기 위해 패널고정홈 일측면에 형성되는 고정감지센서와,
    패널고정대에 회전패널 고정시 고정완료 상태를 표시해주기 위해 회전패널 일측으로 형성되는 발광램프와,
    회전되는 회전패널이 배전케이스함의 개구된 방향으로 회전시 회전이동됨을 감지하기 위해 배전케이스함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구동접촉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10194444A 2021-12-31 2021-12-31 자동화시스템 KR102409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444A KR102409713B1 (ko) 2021-12-31 2021-12-31 자동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444A KR102409713B1 (ko) 2021-12-31 2021-12-31 자동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713B1 true KR102409713B1 (ko) 2022-06-15

Family

ID=8198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4444A KR102409713B1 (ko) 2021-12-31 2021-12-31 자동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71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479Y1 (ko) 2000-07-03 2000-12-15 탁현일 배전반용 전선 보호덕트
KR20070121324A (ko) * 2006-06-22 2007-12-27 고봉운 전력선 통신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038563B1 (ko) * 2011-04-12 2011-06-02 주식회사 세종전력기술단 분배전반용 캐비넷
KR101341886B1 (ko) * 2013-03-21 2013-12-17 (주)우진에프.에이 자동차 조립라인용 전원반
KR101637011B1 (ko) 2015-06-02 2016-07-07 (주)연합기전 배전반 내부 온·습도 자동제어장치 및 자동제어방법
KR101932260B1 (ko) * 2018-05-25 2018-12-24 성도제 감지센서와 컨트롤러를 이용한 절연파괴 상시감지 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479Y1 (ko) 2000-07-03 2000-12-15 탁현일 배전반용 전선 보호덕트
KR20070121324A (ko) * 2006-06-22 2007-12-27 고봉운 전력선 통신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038563B1 (ko) * 2011-04-12 2011-06-02 주식회사 세종전력기술단 분배전반용 캐비넷
KR101341886B1 (ko) * 2013-03-21 2013-12-17 (주)우진에프.에이 자동차 조립라인용 전원반
KR101637011B1 (ko) 2015-06-02 2016-07-07 (주)연합기전 배전반 내부 온·습도 자동제어장치 및 자동제어방법
KR101932260B1 (ko) * 2018-05-25 2018-12-24 성도제 감지센서와 컨트롤러를 이용한 절연파괴 상시감지 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3430B2 (ja) 空気調和器の室内機
CN100488346C (zh) 支架机箱
US7203416B2 (en) Ventilating and heating apparatus with heater shielded by tapered discharge duct
CN205518735U (zh) 加热型清洗机
US20070066215A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10677475B2 (en) Air conditioner
KR20130043983A (ko) 공기조화기
US4534281A (en) Laboratory fume hood
KR102409713B1 (ko) 자동화시스템
KR100905312B1 (ko) 공기조화기
PL188996B1 (pl) Szafka elektroniczna wentylowana
CN100541020C (zh) 空调器的室内单元
KR20100049984A (ko) 공기조화기
JPH10197004A (ja) 空気調和機
KR101787046B1 (ko) 함체용 송풍장치
CN114968896A (zh) 一种基于计算机信息安全的服务器机柜
KR20100051468A (ko) 공기조화기
CN220797784U (zh) 智能节能防尘型电缆分支箱
CN216087228U (zh) 一种中央空调集控装置
KR100274981B1 (ko) 공기조화기
CN214949677U (zh) 一种风幕式排风装置
CN213959393U (zh) 一种具有故障报警功能的配电控制设备
CN116388028A (zh) 一种模块化电气开关柜
CN219843316U (zh) 一种模块化组装式配电柜
KR100420527B1 (ko) 공기 조화기의 토출구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