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511B1 - Drying apparatus using far infrared rays and microwave - Google Patents
Drying apparatus using far infrared rays and microwav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9511B1 KR102409511B1 KR1020140096994A KR20140096994A KR102409511B1 KR 102409511 B1 KR102409511 B1 KR 102409511B1 KR 1020140096994 A KR1020140096994 A KR 1020140096994A KR 20140096994 A KR20140096994 A KR 20140096994A KR 102409511 B1 KR102409511 B1 KR 1024095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veyor
- drying unit
- unit
- microwave drying
- microwa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2/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B2/0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heating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 A23B2/0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heating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using microwaves or dielectric heat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2/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B2/001—Details of apparatus, e.g. pressure feed valves or for transport, 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2/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B2/0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heating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 A23B2/05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heating using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with infrared ray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2/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B2/9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 효율 및 건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를 위하여, 피건조물이 투입되는 투입부와, 상기 피건조물이 배출되는 배출부와, 상기 투입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위치하며, 두 개의 컨베이어 롤러 및 상기 두 개의 컨베이어 롤러를 감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투입부에 인접하고, 상기 컨베이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와, 상기 배출부에 인접하고, 상기 컨베이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와, 상기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 및 상기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와,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 상기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 및 상기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 사이에 배치된 원적외선 건조부와, 상기 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고, 복수의 노즐 및 상기 복수의 노즐이 연결된 공급 파이프를 갖는 송풍 건조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ying apparatus using microwaves and far-infrared rays capable of improving drying efficiency and drying speed, an input unit into which an object to be dried is put, a discharge part through which the object to be dried is discharged, and between the input unit and the discharge unit a conveyor including two conveyor rollers and a conveyor belt wound around the two conveyor rollers, a first microwave drying unit adjacent to the input unit and adjacent to the conveyor; and a second microwave drying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conveyor, a third microwave dry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first microwave drying unit and the second microwave drying unit, a first microwave drying unit, and the second microwave drying unit Microwave and far-infrared rays comprising a far-infrared dry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drying unit and the third microwave drying unit, and a blow drying unit adjacent to any one of the conveyors, and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and a supply pipe to which the plurality of nozzles are connected. A drying device is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건조 효율 및 건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ing apparatus using microwaves and far-infrared ray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ying apparatus using microwaves and far-infrared rays capable of improving drying efficiency and drying speed.
일반적으로 수확된 농수산물 또는 식품의 건조방법으로는 재래식 방법(자연건조)과 유류 등의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재래식 방법은 햇빛에 노출된 자연 상태에서 건조하는 방법으로서 농수산물의 우수한 건조 품질로 상품성이 뛰어나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건조시간이 길고, 품질관리가 어려우며, 기후 및 공간의 활용 측면에서 제약을 받는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In general, methods of drying harvested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or food include a conventional method (natural drying) and a method using fossil fuels such as oil. The conventional method is a method of drying in a natural state exposed to sunlight,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ceive a high price due to excellent drying quality of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but it has a long drying time, difficulty in quality control, and restrictions in terms of climate and space utilization. It has the disadvantage of receiving
유류 등의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건조방법은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하는 열로 열풍을 발생시켜 건조하는 방법으로 널리 보급되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방법이지만, 이는 대류에 의한 건조로 열효율이 낮고, 농수산물이나 기타 제품을 고온에서 장시간 노출하게 되어 품질이 떨어지므로 고품질의 제품생산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The drying method using fossil fuels such as oil is the most widely used and widely used method of drying by generating hot air with heat generated by burning fuel. As the product is exposed to high temperature for a long time and the quality deteriorates, it is difficult to produce high-quality products.
한편 원적외선은 세라믹 재료 등에서 방사되는 복사에너지로서 다른 열원에 의해서 가열되었을 때 방사된다. 그러므로 각종 열처리 특성에 맞추어 판형, 튜브형, 램프형 또는 코팅형태 등으로 내열성 소재표면에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을 코팅 또는 성형하고, 전기나 기타 연료를 이용하여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을 가열함으로써 원적외선을 방사시켜 건조에 이용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On the other hand, far-infrared rays are radiant energy emitted from ceramic materials, etc., and are radiated when heated by other heat sources. Therefore, the far-infrared radiation ceramic is coated or molded on the heat-resistant material surface in plate, tube, lamp, or coated form according to various heat treatment characteristics, and the far-infrared radiation is radiated and used for drying by heating the far-infrared radiation ceramic using electricity or other fuel. hav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그러나 종래의 건조장치는 하나의 건조방식을 사용하여 건조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drying apparatus has a problem of low drying efficiency by using one drying metho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조 효율 및 건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various problems including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rying apparatus using microwaves and far-infrared rays capable of improving drying efficiency and drying speed. However, these problems are exemplar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피건조물이 투입되는 투입부와, 상기 피건조물이 배출되는 배출부와, 상기 투입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위치하며, 두 개의 컨베이어 롤러 및 상기 두 개의 컨베이어 롤러를 감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투입부에 인접하고, 상기 컨베이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와, 상기 배출부에 인접하고, 상기 컨베이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와, 상기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 및 상기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와,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 상기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 및 상기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 사이에 배치된 원적외선 건조부와, 상기 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고, 복수의 노즐 및 상기 복수의 노즐이 연결된 공급 파이프를 갖는 송풍 건조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put unit into which an object to be dried is put, a discharge unit through which the object to be dried is discharged, and located between the input unit and the discharge unit, two conveyor rollers and the two conveyor rollers are provided. a conveyor comprising a winding conveyor belt; a first microwave dryer adjacent to the input section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conveyor; a second microwave dryer adjacent to the outlet section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conveyor; , a third microwave dry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first microwave drying unit and the second microwave drying unit, and far-infrared drying disposed between the first microwave drying unit, the second microwave drying unit and the third microwave drying unit There is provided a drying apparatus using microwaves and far-infrared rays adjacent to any one of a unit and the conveyor, and including a blow dryer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and a supply pipe to which the plurality of nozzles are connected.
상기 컨베이어는 다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는 상기 다층의 컨베이어 중 최상층에 인접하고, 상기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는 상기 다층의 컨베이어 중 최하층에 인접할 수 있다. The conveyor may have multiple layers, the first microwave drying unit may be adjacent to an uppermost layer among the multi-layered conveyors, and the third microwave drying unit may be adjacent to a lowermost layer among the multi-layered conveyors.
상기 복수의 노즐은 복수의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방을 향해 상온풍 또는 열풍을 분사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nozzles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conveyor belts to spray room temperature air or hot air upward.
상기 컨베이어는 다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컨베이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피건조물을 뒤집는 전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veyor is made of a multi-layer,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conveyors, may further include a switching unit for turning the object to be dried.
상기 전환부는 상기 컨베이어 롤러에 인접하되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외측에 위치한 전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verting portion may include a diverting roller positioned adjacent to the conveyor roller but outside the conveyor belt.
상기 전환 롤러는 두 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컨베이어 롤러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The conversion roller is made of two, and may be located below the conveyor roller.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 효율 및 건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drying apparatus using microwaves and far-infrared rays capable of improving drying efficiency and drying speed.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rying apparatus using microwaves and far-infrared ray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drying apparatus using microwaves and far-infrared ray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rying apparatus using microwaves and far-infrared ray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drying apparatus using microwaves and far-infrared ray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In additio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iz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이하의 실시예에서 피건조물은 농수축산물 및/또는 식품일 수 있다. 그러나 피건조물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 이용한 건조장치는 산업용 제품의 생산 공정에서의 건조, 가열에도 사용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to-be-dried product may be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and/or food. However, the object to be buil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drying device using microwaves and far-infrared rays can be used for drying and heating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industrial produ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rying apparatus using microwaves and far-infrared ray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art of a drying apparatus using microwaves and far-infrared ray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rying apparatus using microwaves and far-infrared ray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는 투입부(20), 배출부(30), 컨베이어(40),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52),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 원적외선 건조부(70) 및 송풍 건조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는 피건조물(1)이 건조되는 건조실(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건조실(10)은 하우징 형태일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건조실(10)은 프레임 형태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The drying apparatus using microwaves and far-infrared ray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n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투입부(20)는 피건조물(1)이 투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입부(20)는 건조실(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입구가 넓은 호퍼로도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3 , the
배출부(30)는 피건조물(1)이 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부(30)는 건조가 완료된 피건조물(1)을 건조물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부(30)는 건조실(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The
컨베이어(40)는 투입부(20)와 배출부(30) 사이에 위치하며, 피건조물(1)을 투입구로부터 배출구로 이송할 수 있다. 컨베이어(40)는 적어도 두 개의 컨베이어 롤러(41)와, 이에 결합된 컨베이어 벨트(4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40)는 모터 등의 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두 개의 컨베이어 롤러(41)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 벨트(43)는 두 개의 컨베이어 롤러(41)를 감을 수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43)는 상부에 피건조물(1)이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 롤러(41)가 회전됨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43)가 회전되어, 피건조물(1)을 이송할 수 있다. 이때, 컨베이어 벨트(43)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롤러(41) 사이에 롤러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 벨트(43)는 메쉬형 벨트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wo
예를 들어, 이러한 컨베이어(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로 이루어져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된 바와 다르게, 컨베이어(40)는 복수로 이루어져 전후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the
다른 예로, 컨베이어(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컨베이어는 상하로 적층된 상태이며, 상호 소정의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피건조물(1)은 이송경로를 지그재그로 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는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52) 및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 및 원적외선 건조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컨베이어(40)의 진행방향 순으로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 원적외선 건조부(70),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 원적외선 건조부(70),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52)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피건조물의 조건에 따라 제1마크로파 건조부(51), 제2마크로파 건조부(52) 및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는 각각 건조 라인 배치에서 제외되어 2개의 마이크로파 건조부를 조합하여 배치할 수 있으며, 또한 각각 독립적으로 마이크로파 건조부가 배치될 수 있다.1 and 3, the drying apparatus using microwaves and far infrared ray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는 투입부(20)에 인접하며 컨베이어(4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는 컨베이어(40)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는 컨베이어 벨트(43)의 사이 또는 컨베이어(40)의 하방에 위치할 수도 있다. The first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52)는 배출부(30)에 인접하며 컨베이어(4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52)는 컨베이어(40)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52)는 컨베이어 벨트(43)의 사이 또는 컨베이어(40)의 하방에 위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컨베이어(4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52)가 인접한 컨베이어(40)는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가 인접한 컨베이어(40)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The second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는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와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5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는 컨베이어(40) 중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는 컨베이어(40)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는 컨베이어 벨트(43)의 사이 또는 컨베이어(40)의 하방에 위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컨베이어(4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가 인접한 컨베이어(40)는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가 인접한 어느 한 컨베이어(40)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또는,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가 인접한 컨베이어(40)는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52)가 인접한 컨베이어(40)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The third
이러한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52)및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는 각각 마그네트론을 포함하여, 피건조물(1)에 함유된 물분자를 진동시켜 피건조물(1)을 건조할 수 있다. 마그네트론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구성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The first
원적외선 건조부(70)는 피건조물(1)에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피건조물(1)을 건조할 수 있다. 이러한 원적외선 건조부(70)는 원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는 일체의 모든 것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ar-
그리고 원적외선 건조부(70)는 컨베이어(4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적외선 건조부(70)는 컨베이어(40)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적외선 건조부(70)는 컨베이어 벨트(43)의 사이 또는 컨베이어(40)의 하방에 위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컨베이어(4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원적외선 건조부(70)가 인접한 어느 한 컨베이어(40)는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 내지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가 인접한 컨베이어(40)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And the far-
또한, 원적외선 건조부(70)는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70) 및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r-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컨베이어(40)이 단층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 원적외선 건조부(70) 및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 원적외선 건조부(70) 및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52)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피건조물(1)은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 원적외선 건조부(70),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 원적외선 건조부(70),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52) 순으로 통과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when the plurality of
이때,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는 단층의 컨베이어(40)의 선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는 단층의 컨베이어(40)의 중간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52)는 단층의 컨베이어(40)의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원적외선 건조부(70)는 제1 내지 제3 마이크로파 건조부(51, 52, 53) 사이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다른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40)는 다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는 다층의 컨베이어(40)의 최상층에 배치될 수 있다.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는 다층의 컨베이어(40)의 중간층에 배치될 수 있따. 그리고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52)는 다층의 컨베이어(40)의 최하층에 배치될 수 있다 .원적외선 건조부(70)는 제1 내지 제3 마이크로파 건조부(51, 52, 53) 사이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3 , when the
즉, 피건조물(1)은 1차로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51)를 이용하여 피건조물(1)을 예건 및 브랜칭 된 후, 2차로 원적외선 건조부(70)에서 가열 및 건조되고, 이후 3차로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3)에 가열 및 건조되며, 4차로 다시 원적외선 건조부(70)를 거쳐 마지막으로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52)에서 마무리 건조될 수 있다. That is, the
한편, 송풍 건조부(80)는 피건조물(1)을 향해 상온풍 또는 열풍을 분사하여, 피건조물(1)을 건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풍 건조부(80)는 피건조물(1)을 향해 상온풍 또는 열풍을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81)과, 복수의 노즐(81)이 연결된 공급 파이프(8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송풍 건조부(80)는 상온풍 또는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송풍 히터(미도시), 송풍기(8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 히터(미도시)는 원적외선 및 마이크로파 건조기로부터 배출되는 폐열을 회수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독립적인 히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도 2는 송풍 건조부(8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송풍 건조부(80))의 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송풍 건조부(80)는 컨베이어(40)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 건조부(80)는 제1 내지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51, 52, 53) 및 원적외선 건조부(70)과 간섭되지 않기 위하여 컨베이어(40)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노즐(81)은 상부에 컨베이어 벨트(43)의 일부가 배치되고, 하부에 컨베이어 벨트(43)의 다른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노즐(81)는 컨베이어 벨트(4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노즐(81)은 상방을 향해 상온풍 또는 열풍을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컨베이어 벨트(43)가 메쉬 형상이기 때문에, 노즐(81)에서 분사된 상온풍 또는 열풍이 컨베이어 벨트(43)를 통과하여 피건조물(1)을 건조할 수 있다. The
그리고 복수의 노즐(81)은 공급 파이프(83)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노즐(81)은 분사구가 상방을 향하도록 공급 파이프(83)의 양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And the plurality of
공급 파이프(83)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이며, 컨베이어(40)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어느 한 컨베이어(40)의 아래 배치된 공급 파이프(83)는 복수로 이루어져, 컨베이어(40)의 면적 전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급 파이프(83)는 열풍을 공급하는 송풍기(85)와 연결될 수 있다. The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항 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는 컨베이어(40)이 다층으로 이루어지며, 전환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rying apparatus using microwaves and far-infrared ray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ing apparatus using microwaves and far-infrared ray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fore, the overlapp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e drying apparatus using microwaves and far-infrared ray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전환부(90)는 피건조물(1)을 뒤집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환부(90)는 복수의 컨베이어(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환부(90)는 전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도 4a를 참조하면, 전환 롤러는 어느 한 컨베이어(40)와, 이에 인접한 다른 컨베이어(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컨베이어(40)는 상하로 이격되어 될 수 있다. 그리고 전환 롤러는 컨베이어 롤러(41)에 인접할 수 있으며, 피건조물(1)이 이송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환 롤러는 상방에 배치된 컨베이어 롤러(41)에 인접하고, 하방에 배치된 컨베이어(40)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전환 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상방에서 이송되는 피건조물(1)은 전환 롤러에 의해 뒤집어져 하방에 배치된 컨베이어(40)에 놓일 수 있다. 이때, 전환 롤러와 컨베이어 롤러(41)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전환 롤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컨베이어 롤러(41)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피건조물(1)을 원활히 뒤집기 위하여 전환 롤러의 회전 속도가 컨베이어 롤러(41)의 회전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A , a changeover roller may be disposed between one
다른 예로 도 4b를 참조하면, 전환 롤러는 두 개로 이루어지며, 컨베이어 롤러(41)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전환 롤러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외측에 위치한 전환 롤러의 회전속도가 더 빠를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referring to FIG. 4B , the conversion roller is made of two and may be located below the
따라서 피건조물(1)은 상면이 건조된 후, 전환부(90)에 의해 하면이 위로 위치하여 건조되므로 균일하게 건조될 수 있다. Therefore, after the upper surface of the
한편, 건조장치는 보조 컨베이어(47)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컨베이어(47)는 컨베이어(40)의 외측에 배치되며, 하방으로 기울려질 수 있다. 따라서 전환부(90)가 보다 원활하게 피건조물(1)을 뒤집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rying apparatus may include an auxiliary conveyor (47).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which are merely exempl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 피건조물 10: 건조실
20: 투입부 30: 배출부
40: 컨베이어 41: 컨베이어 롤러
43: 컨베이어 벨트 47: 보조 컨베이어
51: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 52: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
53: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 70: 원적외선 건조부
80: 송풍 건조부 81: 노즐
83: 공급 파이프 85: 송풍기
90: 전환부1: object to be built 10: drying room
20: input unit 30: discharge unit
40: conveyor 41: conveyor roller
43: conveyor belt 47: auxiliary conveyor
51: first microwave drying unit 52: second microwave drying unit
53: third microwave drying unit 70: far infrared drying unit
80: blow dryer 81: nozzle
83: supply pipe 85: blower
90: transition part
Claims (6)
상기 피건조물이 배출되는 배출부;
상기 투입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위치하며, 두 개의 컨베이어 롤러 및 상기 두 개의 컨베이어 롤러를 감는 메시 구조의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상기 투입부에 인접하고, 상기 컨베이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
상기 배출부에 인접하고, 상기 컨베이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
상기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 및 상기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
상기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 및 상기 제3마이크로파 건조부 사이에 각각 배치된 원적외선 건조부; 및
상기 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고, 복수의 노즐 및 상기 복수의 노즐이 연결된 공급 파이프를 갖는 송풍 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 건조부의 복수의 노즐은 상부 컨베이어 벨트와 하부 컨베이어 벨트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노즐은 상부 컨베이어 벨트를 향해 온풍이나 열풍을 상방향으로 분사 및 이송시키는 건조장치로서,
상기 컨베이어는 다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다층의 컨베이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피건조물을 뒤집는 전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환부는 상기 컨베이어 롤러에 인접하되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외측에 위치한 전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an input unit into which the object to be dried is put;
a discharge unit through which the to-be-dried object is discharged;
a conveyor positioned between the input unit and the discharge unit, the conveyor including two conveyor rollers and a conveyor belt having a mesh structure for winding the two conveyor rollers;
a first microwave drying unit adjacent to the input unit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conveyor;
a second microwave drying unit adjacent to the discharge unit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conveyor;
a third microwave dry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first microwave drying unit and the second microwave drying unit;
a far-infrared dry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first microwave drying unit, the second microwave drying unit, and the third microwave drying unit, respectively; and
Adjacent to any one of the conveyors, comprising a blow dryer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and a supply pipe to which the plurality of nozzles are connected,
A plurality of nozzles of the blow dryer ar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an upper conveyor belt and a lower conveyor belt, and the plurality of nozzles are a drying device for spraying and transferring hot or hot air upwards toward the upper conveyor belt,
The conveyor consists of multiple layers,
The dry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divert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multi-layered conveyors to turn the object to be dried, wherein the diverting unit includes a diverting roller adjacent to the conveyor roller but located outside the conveyor belt. and a drying device using far-infrared rays.
상기 제1마이크로파 건조부는 상기 다층의 컨베이어 중 최상층에 인접하고,
상기 제2마이크로파 건조부는 상기 다층의 컨베이어 중 최하층에 인접하는,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microwave drying unit is adjacent to the uppermost layer of the multi-layer conveyor,
The second microwave drying unit is adjacent to the lowermost layer of the multi-layered conveyor, a drying device using microwaves and far-infrared rays.
상기 전환 롤러는 두 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컨베이어 롤러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마이크로파 및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conversion roller is made of two, and is located below the conveyor roller, a drying device using microwaves and far infrared ray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6994A KR102409511B1 (en) | 2014-07-30 | 2014-07-30 | Drying apparatus using far infrared rays and microwav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6994A KR102409511B1 (en) | 2014-07-30 | 2014-07-30 | Drying apparatus using far infrared rays and microwav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4893A KR20160014893A (en) | 2016-02-12 |
KR102409511B1 true KR102409511B1 (en) | 2022-06-15 |
Family
ID=55354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6994A Active KR102409511B1 (en) | 2014-07-30 | 2014-07-30 | Drying apparatus using far infrared rays and microwav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0951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0432B1 (en) * | 2016-08-18 | 2018-08-17 | 서승완 | Emission device of infrared rays |
KR101867714B1 (en) * | 2016-12-12 | 2018-06-14 | 주식회사 포스코 | furnace for the reduction |
KR102191043B1 (en) * | 2020-04-02 | 2020-12-14 | 주식회사 우정이엔지 | Drying device for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using with microwave |
KR102475925B1 (en) * | 2020-06-08 | 2022-12-09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엔토모 | Apparatus for drying larva |
KR102419358B1 (en) * | 2020-08-28 | 2022-07-08 |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Automatic smartphone disinfection device |
KR102735794B1 (en) * | 2023-12-12 | 2024-11-29 | 주식회사 켐블리 | Molecular sieve regeneration device using microwav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023512A (en) * | 2012-06-19 | 2014-02-06 | Shigeru Matoba | Steamed tea leaf dryer |
KR101415966B1 (en) | 2013-04-10 | 2014-07-04 | 최종민 | Drying machine for agro-fishery products |
KR101741205B1 (en) | 2017-01-24 | 2017-05-29 |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 Dehumidification dryer for cold and hot air for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27332A (en) * | 2009-05-26 | 2010-12-06 | (주)부전 | Agricultural product drying system |
KR101325060B1 (en) * | 2011-09-19 | 2013-11-05 | 정천섭 | a multipurpose hot pepper dryer |
-
2014
- 2014-07-30 KR KR1020140096994A patent/KR10240951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023512A (en) * | 2012-06-19 | 2014-02-06 | Shigeru Matoba | Steamed tea leaf dryer |
KR101415966B1 (en) | 2013-04-10 | 2014-07-04 | 최종민 | Drying machine for agro-fishery products |
KR101741205B1 (en) | 2017-01-24 | 2017-05-29 |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 Dehumidification dryer for cold and hot air for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4893A (en) | 2016-0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09511B1 (en) | Drying apparatus using far infrared rays and microwave | |
CN103919249A (en) | Fruit and vegetable dryer | |
JP2011526734A5 (en) | ||
CN103919250A (en) | Fruit and vegetable drying machine | |
CN103471358A (en) | Drying machine | |
KR20180137730A (en) | a dryer sea algae | |
KR101972510B1 (en) | A drying apparatus | |
CN204421551U (en) | Material drying machine | |
KR101408198B1 (en) | Multistage rotary type hot wind dryer | |
KR20090132156A (en) | Drying device | |
KR20160048604A (en) | The heating system of a three-stage transferring conveyer for sludge drying by using external the air and the heating method of the sludge device | |
KR101108593B1 (en) | dryer | |
KR101110698B1 (en) | Sludge Drying Conveyor | |
CN203744678U (en) | Continuous microwave drying optical cable sheath device | |
CN109631544A (en) | Energy-saving synthetic leather drying equipment based on double duct air knives | |
CN203776116U (en) | Fruit-and-vegetable drying machine | |
KR100655857B1 (en) | Continuous far-infrared drying device using dehumidification exhaust and preheating air using far infrared radiator and dehumidifier | |
CN210832950U (en) | Multifunctional layer drying and curing equipment | |
KR101212475B1 (en) | Apparatus for drying agricultural products | |
KR101089151B1 (en) | Sludge Rapid Drying Device | |
CN102840747A (en) | Dual-layer belt dryer | |
CN105605901B (en) | A kind of staged Cycling hot-blast heating cocoon drier | |
KR20160107911A (en) | Continuous rotary dryer using solar ray | |
CN206534094U (en) | Fruit and vegetable drying machine | |
KR101957825B1 (en) | Thermal circulator for spiral ov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807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7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7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27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6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6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