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175B1 - Container raising/lowering conveyance apparatus - Google Patents

Container raising/lowering conveyanc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175B1
KR102409175B1 KR1020167033705A KR20167033705A KR102409175B1 KR 102409175 B1 KR102409175 B1 KR 102409175B1 KR 1020167033705 A KR1020167033705 A KR 1020167033705A KR 20167033705 A KR20167033705 A KR 20167033705A KR 102409175 B1 KR102409175 B1 KR 102409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fting
pair
pin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37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18316A (en
Inventor
히사시 쿄타니
카즈키 오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70018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3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1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66C1/663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64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ccess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1/00Use of pick-up or transfer devices or of manipulators for stacking or de-stack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7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for 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승강 반송 장치는, 평면 형상이 직각 평행사변형의 물품 반송용 컨테이너(C)의 평행 2측면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가 승강과 서로 접근/이간 이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각 들어올림용 승강체에는, 컨테이너(C)의 평행 2측면 각각에 대면하는 지지 유닛(67a)이 부착되고, 이들 각 지지 유닛(67a)에는, 컨테이너(C)의 평행 2측면 각각의 수직 중심선에 대하여 양측 대칭 위치에서 컨테이너(C)측으로 돌출하는 1쌍의 핀 형상 지지 도구(76a, 76b)가 상하 방향 적당 간격을 두고 배열 지지되고, 이들 각 핀 형상 지지 도구는 출퇴 자유롭고 스프링에 의해 돌출 위치에 탄성 가압 유지된 것이며, 간격이 좁은 1쌍의 핀 형상 지지 도구(76a)와, 간격이 넓은 1쌍의 핀 형상 지지 도구(76b)가 상하 방향 번갈아 배열된 것이다. In the container lift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lifting and lowering bodies 65A and 65B corresponding to two parallel sides of an article transport container C having a right-angled parallelogram planar shape approach each other during lifting and lowering. / It is supported freely to move apart, and a support unit 67a facing each of two parallel sides of the container C is attached to each lifting body, and to each of these support units 67a, the container C A pair of pin-shaped support tools 76a and 76b protruding toward the container C side at symmetrical positions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enterline of each of the two parallel sides are arranged and supported at appropriate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each of these pin-shaped support tools is A pair of pin-shaped support tools 76a with a narrow spacing and a pair of pin-shaped support tools 76b with a wide spacing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up-down direction, which is free to move in and out, and is elastically held at the protruding position by a spring.

Figure R1020167033705
Figure R1020167033705

Description

컨테이너 승강 반송 장치{CONTAINER RAISING/LOWERING CONVEYANCE APPARATUS}Container lifting and transporting device {CONTAINER RAISING/LOWERING CONVEYANCE APPARATUS}

본 발명은 평면 형상이 직각 평행사변형의 단쌓기 가능한 물품 반송용의 박스형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반송하는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ing apparatus that lifts and conveys a box-shaped container for conveying stackable articles having a right-angled parallelogram in planar shape.

박스형의 컨테이너를 승강 반송할 수 있는 반송 장치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천장 주행 크레인 형식의 주행체에 승강 자유롭게 매달아진 승강체를 설치하고, 이 승강체의 하측에 컨테이너 매달기용 훅을 개폐 자유롭게 설치한 컨테이너 승강 반송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반송 장치는, 개폐 자유로운 상기 컨테이너 매달기용 훅을 걸거나 빼기 자유로운 피걸어맞춤 금구를 컨테이너의 천장면에 돌출 설치하거나, 또는 컨테이너의 바닥면 아래에 상기 컨테이너 매달기용 훅을 걸거나 빼기 자유로운 간극을 확보해 두는 것이다. As a transport apparatus capable of lifting and transporting a box-shaped container, for example,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a lifting body suspended freely by lifting and lowering is provided on a traveling body of a overhead crane type, and below the lifting body. The container raising/lowering conveyance apparatus which installed the hook for container suspension freely opening and closing is known. This conveying device is configured to protrude a fitting bracket for hooking and withdrawing the container hanging hook,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ntainer, or to provide a gap in which the container hanging hook can be hung or removed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will secure it.

일본 특개 평06-115608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06-115608

(발명의 개요)(Summary of the invention)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The problem the invention is trying to solve)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피반송물인 컨테이너의 천장면에 매달기 전용의 피걸어맞춤 금구가 돌출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컨테이너 바닥면 아래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전제 요건이 되어, 양손으로 들어올려 운반할 수 있는, 상측 해방의 소형 플라스틱제 컨테이너를 그대로 피반송물로서 이용할 수 없다. 물론, 일반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플라스틱제 컨테이너에는, 보강 대책으로서 그 외측면을 주로 하여 상단측에 원주 방향과 평행하게 연속되는 보강용의 플랜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매달기용 훅을 컨테이너의 평행 양측면의 플랜지부에 걸도록 사용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상측 해방의 소형의 플라스틱제 컨테이너도 반송 대상으로 할 수 있지만, 이 종류의 컨테이너는, 평면 사이즈가 동일하여도, 여러 높이의 것이 혼재 사용되는 경우도 많고, 상기 매달기용 훅을 거는 대상의 플랜지부의 바닥면상 높이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매달기용 훅을, 작업 대상의 컨테이너의 상기 플랜지부의 높이에 따라 고정밀도로 제어하지 않으면 안 되어, 실용적이지 않다. In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t is a prerequisite that an engaging bracket for hanging only protrudes from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ntainer as a transport target, or that a gap is formed under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 small plastic container with an upper release that can be lifted and transported cannot be used as it is as a transport target. Of course, as a reinforcing measure, as a reinforcing measure, a plastic container that is generally in circula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a reinforcing flange portion continuously parallel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upper end side of the outer surface. If it is used to be hung on the flanges on both sides, a small plastic container with an upper release that is generally distributed as described above can also be used as a transport object. of are often used in combination, and since the heigh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of the object on which the hanging hook is hung is not constant, the hanging hook is not precise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flange portion of the container of the work object. No, it's not practica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컨테이너 승강 반송 장치를 제안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승강 반송 장치는, 후술하는 실시예와의 관계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당해 실시예의 설명에서 사용한 참조부호를 괄호를 붙여 나타내면, 평면 형상이 직각 평행사변형의 물품 반송용 컨테이너(C)의 평행 2측면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가 지지용 구조체(부주행체(3))에, 승강과 서로 접근/이간(離間) 이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각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에는, 컨테이너(C)의 평행 2측면 각각에 대면하는 지지 유닛(67a)이 부착되고, 이들 각 지지 유닛(67a)에는, 컨테이너(C)의 평행 2측면 각각의 수직 중심선에 대하여 양측 대칭 위치에서 컨테이너(C)측으로 돌출하는 1쌍의 핀 형상 지지 도구(76a, 76b)가 상하 방향 적당 간격을 두고 배열 지지되고, 이들 각 핀 형상 지지 도구(76a, 76b)는 출퇴(出退) 자유롭고 스프링(78)에 의해 돌출 위치에 탄성 가압(付勢) 유지된 것이며, 간격이 좁은 1쌍의 핀 형상 지지 도구(76a)와, 간격이 넓은 1쌍의 핀 형상 지지 도구(76b)가 상하 방향 번갈아 배열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ontainer lift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capable of solving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the container lift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reference numerals used in the description are shown with parentheses, at least two lifting and lowering bodies 65A and 65B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wo parallel sides of the article transport container C having a right-angled parallelogram in the plane shape are the supporting structures. A support unit facing each of the two parallel side surfaces of the container C is supported by the (sub-carrying body 3) freely moving in and out of and approaching each other for lifting and lowering, and in each of the lifting bodies 65A and 65B for lifting. Attached to each of these support units 67a is a pair of pin-shaped support tools 76a protruding toward the container C at both sides symmetrical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enterline of each of the two parallel sides of the container C. , 76b) are arranged and supported at an appropriate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each of these pin-shaped support tools 76a and 76b are free to enter and exit and are elastically pressed and held at the protruding position by the spring 78. , a pair of pin-shaped support tools 76a with a narrow space and a pair of pin-shaped support tools 76b with a wide space are arranged alternately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구성의 컨테이너 승강 반송 장치는, 취급 대상의 컨테이너의 상방 공간을 주행할 수 있는 주행체나 수평으로 요동할 수 있는 가동 암을 상기 지지용 구조체로서 사용함으로써, 들어올린 컨테이너를, 상기 주행체나 가동 암의 동작에 따라, 다른 장소로 이동시켜 내릴 수 있는 컨테이너 반송 수단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용 구조체가 정위치에 가설(架設)되어 있고, 이 지지용 구조체의 하측 정위치에 반송용 주행체에 의해 반송되어 온 컨테이너를 일단 들어올리고, 당해 정위치로 보내진 다른 반송용 주행체 상에 그 컨테이너를 내리는 것과 같은 사용 방법도 가능한 것이다. In the container lifting and transporting devic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 moving body capable of traveling in the space above the container to be handled or a movable arm capable of horizontally swinging is used as the supporting structure, whereby the lifted container is moved to the traveling body or the movable arm. It can be used as a container transport means that can be moved and unloaded to another loc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Moreover, the said support structure is erected at the fixed position, the container which has been conveyed by the conveyance traveling body is once lifted to the fixed position below this supporting structure, and the other conveyance traveling sent to the said fixed position. A method of use such as lowering the container on a sieve is also possible.

그리하여, 상기 구성의 컨테이너 승강 반송 장치에 의하면, 최초의 행정에서, 적어도 2개의 들어올림용 승강체를, 반송 대상의 컨테이너의 옆 위치까지 하강시키는데, 이때, 상기 지지 유닛이 상하 복수단에 구비하는 각 1쌍의 핀 형상 지지 도구의 대칭 중심선이 당해 컨테이너 측면의 수직 중심선과 거의 겹치도록, 각 들어올림용 승강체와 반송 대상의 컨테이너의 평면으로 본 상대 위치를 정한 상태에서 들어올림용 승강체를 하강시킨다. 이 하강 후, 반송 대상의 컨테이너의 평행 2측면 각각에 대하여 각 들어올림용 승강체를 수평으로 접근 이동시키고, 상기 지지 유닛을 당해 컨테이너 측면의 플랜지부에 인접시킨다. 이 결과, 각 지지 유닛이 구비하는 상하 복수 단계의 핀 형상 지지 도구 중, 컨테이너 측면의 플랜지부에 맞닿는 위치에 있는 핀 형상 지지 도구는 스프링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지지 유닛측으로 상대적으로 퇴몰하여, 컨테이너 측면의 플랜지부에 맞닿는 상태로 머물고, 그 밖의 돌출 상태에 있는 모든 핀 형상 지지 도구가 컨테이너의 측면의 플랜지부의 상하 공간 내로 들어가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각 들어올림용 승강체를 상승 이동시킴으로써, 각 지지 유닛의 핀 형상 지지 도구 중, 컨테이너 측면의 플랜지부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동일 높이의 1쌍의 핀 형상 지지 도구가 당해 플랜지부를 통하여 반송 대상의 컨테이너를 들어올리게 된다. 반송 대상의 컨테이너를 소정 높이까지 들어올리면, 필요에 따라, 각 들어올림용 승강체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용 구조체를 이동시킨 후, 상기와 반대의 수순으로 각 들어올림용 승강체를 하강시킴과 아울러, 컨테이너로부터 옆으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반송 대상의 컨테이너를 목적의 위치에 내릴 수 있다. Thus, according to the container lifting and transporting devic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first stroke, at least two lifting and lowering members are lowered to a position next to the container to be transported. In a state where the relative positions of each lifting member and the container to be transported in a plane view are determined so that the symmetrical center line of each pair of pin-shaped support tools substantially overlaps with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side of the container, the lifting member is separated. lower it After this descent, each lifting/lowering member is horizontally moved clos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each of the two parallel side surfaces of the container to be conveyed, and the said support unit is made adjacent to the flange part of the said container side. As a result, among the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pin-shaped support tools provided in each support unit, the pin-shaped support tool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flange portion of the container side resists the elastic urging force of the spring and retracts relatively toward the support unit side, All the pin-shaped support tools that remain in contact with the flange portion of the side surface and are in other protruding states enter into the space above and below the flange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In this state, by moving each lifting member upward, a pair of pin-shaped support tools of the same height located just below the flange portion on the side of the container among the pin-shaped support tools of each support unit are provided with the flange portion. The container to be transported is lifted through the When the container to be conveyed is lifted to a predetermined height, if necessary, the support structure supporting each lifting member is moved, and then each lifting member is lowered in a procedure opposite to the above. , the container to be conveyed can be lowered to the target position by moving it in a direction that is laterally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이상과 같이 하여 반송 대상의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반송할 수 있는 것이지만,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들어올림용 승강체가 구비하는 1개(1쌍)의 핀 형상 지지 도구를, 반송 대상의 컨테이너의 특정 플랜지부의 직하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들어올림용 승강체의 하강을 제어할 필요는 없고, 상기 들어올림용 승강체의 지지 유닛이 구비하는 상하 복수 단계의 핀 형상 지지 도구를 포함하는 상하 방향의 큰 영역을 반송 대상의 컨테이너의 플랜지부에 대응시키면 되므로, 상기 들어올림용 승강체의 승강 제어가 대단히 용이하게 된다. 게다가 반송 대상의 컨테이너의 적어도 평행 2측면의 수직 중심선에 대하여 양측 대칭 위치를 각각 핀 형상 지지 도구에 의해 지지하여 컨테이너를 수평 자세로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Although the container to be conveyed can be lifted and conveyed as mentioned above, 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of this invention, one (a pair) of pin-shaped support tools with which the said elevating body for lifting is equipped is a conveyance object container. It is not necessary to control the descent of the lifting body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directly below the specific flange portion of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make the large area|region of a direction correspond to the flange part of the container to be conveyed, so that raising/lowering control of the said lifting body for lifting becomes very easy. Furthermore, by supporting the symmetrical positions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enterline of at least the two parallel sides of the container to be conveyed by the pin-shaped support tools, the container can be stably lifted in the horizontal posture.

또한 상하 복수 단계의 각 1쌍의 핀 형상 지지 도구(76a, 76b)는, 간격이 좁은 1쌍의 핀 형상 지지 도구(76a)와 간격이 넓은 1쌍의 핀 형상 지지 도구(76b)가 번갈아 배열되어 있으므로, 간격이 좁은 1쌍의 핀 형상 지지 도구(76a)의 상하 간의 중앙 높이에 간격이 넓은 1쌍의 핀 형상 지지 도구(76b)를 배치하고, 측면에서 보아, 간격이 넓은 1쌍의 핀 형상 지지 도구(76b)와 간격이 좁은 1쌍의 핀 형상 지지 도구(76a)가 겹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핀 형상 지지 도구의 굵기를, 내하중성능적으로 충분한 굵기로 구성하면서, 컨테이너의 플랜지부를 지지할 수 있는 상하 방향의 피치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반송 대상의 컨테이너를 핀 형상 지지 도구로 들어올릴 때까지의 들어올림용 승강체의 상승 거리를 핀 형상 지지 도구의 굵기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Further, in each pair of upper and lower plural stages of pin support tools 76a and 76b, a pair of narrow pin support tools 76a and a pair of wide pin support tools 76b are alternately arranged. Therefore, a pair of pin-shaped support tools 76b with a wide space are arranged at the center heigh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a pair of pin-shaped support tools 76a with a narrow space, and a pair of pins with a wide space when viewed from the side It becomes possible to configure so that the shape support tool 76b and a pair of narrow pin shape support tools 76a overlap. By configuring in this way, the pitc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can support the flange portion of the container can be reduced while configuring the thickness of the pin-shaped support tool to have a thickness sufficient in terms of load-bearing performance. The lifting distance of the lifting body for lifting before lifting by the support tool can be mad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in-shaped support tool.

또한,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각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에, 승강과 서로 접근/이간 이동 자유롭게, 지지용 구조체(부주행체(3))에 지지된 수직 봉 형상 본체(66)를 설치하고, 지지 유닛(67a)은, 상기 수직 봉 형상 본체(66)에 대하여 승강 자유롭고, 당해 수직 봉 형상 본체(66)의 일정 높이 위치에 지지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반송 대상의 컨테이너를 다른 컨테이너의 위에 내려 단쌓기 하는 것과 같은 경우, 들어올림용 승강체의 하강 정지 위치가 다소 낮아져도, 지지 유닛이 핀 형상 지지 도구를 통하여, 내린 컨테이너의 플랜지부에 걸어져 있는 상태로 되는 것만으로, 들어올림용 승강체와 일체로 지지 유닛이 강제 하강시켜지는 경우와 같이, 내린 컨테이너의 플랜지부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다른 핀 형상 지지 도구가 당해 플랜지부를 위에서 밀어내리는 것과 같은 문제가 없어져, 들어올림용 승강체의 승강 제어가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컨테이너의 플랜지부나 핀 형상 지지 도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bar-shaped body support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sub-carrier 3) freely in the lifting and lowering and moving to/from each other in each lifting body 65A, 65B. 66 ) is provided, and the support unit 67a can be freely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rod-shaped body 66 , and can be configured to be supported at a fixed height position of the vertical rod-shaped body 66 .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n the case of stacking the container to be transported by lowering it on top of another container, even if the lowering stop position of the lifting member is somewhat lowered, the support unit is moved through the pin-shaped support tool to the plan of the lowered container. Just as in the case where the support unit is forcibly lowered integrally with the lifting body just by being hung on the branch, another pin-shaped support tool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flange portion of the unloaded container can remove the flange portion. A problem such as pushing down from above is eliminated, and while controlling the elevation of the lifting member for lifting is facilitated, damage to the flange portion of the container or the pin-shaped support tool can be prevented.

핀 형상 지지 도구를 구비한 지지 유닛의 구조는, 각 핀 형상 지지 도구가 출퇴 자유롭게 지지됨과 아울러 스프링에 의해 돌출 위치에 탄성 가압 유지되는 것이면, 어떠한 구성의 것이어도 되지만, 특히, 각 지지 유닛(67a, 67b)의, 상기 핀 형상 지지 도구(76a, 76b)를 출퇴 자유롭게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스프링(78)을 내장하는 케이싱(75)은, 상기 수직 봉 형상 본체(66)의 양측에서 각 1쌍의 핀 형상 지지 도구(76a, 76b)를 반분하여 지지하는 구조로 하고, 상기 수직 봉 형상 본체(66), 당해 수직 봉 형상 본체(66)의 컨테이너측의 면에 부설된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71), 및 이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71)에 끼워맞추어지도록 상기 케이싱(75)에 부설된 슬라이드 블록(71a, 71b)이 측면에서 보아 상기 케이싱(75)의 내측으로 들어가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지지 유닛의 전체가 상기 수직 봉 형상 본체에 대하여 컨테이너측으로 돌출해 있도록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전체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핀 형상 지지 도구의 컨테이너 플랜지부를 지지하는 선단부가 측면에서 보아 상기 수직 봉 형상 본체에 가깝게 되어, 핀 형상 지지 도구나 지지 유닛의 케이싱 등에 작용하는 하중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unit provided with the pin-shaped support tool may be any structure as long as the respective pin-shaped support tools are supported freely in and out and held by a spring at the protruding position. In particular, each support unit 67a , 67b), a casing 75 for freely supporting the pin-shaped support tools 76a and 76b and for containing the spring 78, one pair each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bar-shaped body 66 The vertical rod-shaped body 66 and the slide guide rail 71 provided on the container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rod-shaped body 66 are structured to support the pin-shaped support tools 76a and 76b in half. , and the slide blocks (71a, 71b) installed on the casing (75) to fit into the slide guide rail (71) can be configured to enter the inside of the casing (75) when viewed from the sid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entire support unit is configured to protrude toward the container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bar-shaped body, the entire support unit can be configured more compactly, and the container flange portion of the pin-shaped support tool is supported. The distal end of the fin is brought closer to the vertical bar-shaped body when viewed from the side, so that the load applied to the pin-shaped support tool or the casing of the support unit can be reduced.

또한, 각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에는, 복수의 지지 유닛(67a, 67b)을 상하 방향 적당 간격을 두고 지지시킬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반송 대상의 컨테이너가 수많이 단쌓기 되어 있는 것과 같은 경우에도, 이 단쌓기 되어 있는 컨테이너 전체 중, 하측의 지지 유닛에 인접하는 최하단의 컨테이너와, 상측의 지지 유닛에 인접하는 중간 높이 또는 최상단의 컨테이너의 양자를 각각 별도로 지지하여, 단쌓기 되어 있는 컨테이너 전체를 안정적으로 안전하게 들어올려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지지 유닛의 핀 형상 지지 도구에 걸리는 최대 하중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핀 형상 지지 도구를 포함하는 지지 유닛도 경량이고 저렴하게 실시할 수 있다. Moreover, the some support unit 67a, 67b can be supported by each raising/lowering body 65A, 65B at an appropriate space|interval in an up-down direc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a large number of containers to be conveyed are stacked, the lowest container adjacent to the lower support unit and the middle adjacent to the upper support unit among all the stacked containers. By separately supporting both the height or the uppermost container, it is possible to stably and safely lift and transport the entire stacked container. Moreover, since the maximum load applied to the pin-shaped support tool of the support unit can be suppressed, the support unit including the pin-shaped support tool can also be implemented at light weight and inexpensively.

도 1은 보관 설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보관 설비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보관 설비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부주행체 상의 주가동대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 배면도, 도 4b는 그 측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주주행체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 평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주주행체 상의 부주행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a는 상기 부주행체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7b는 동 부주행체를 도시하는 일부 종단 측면도이다.
도 8은 상기 부주행체 상의 상세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부주행체 상에 지지된 X방향 1쌍의 주가동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주가동대 상에 지지된 Y방향 1쌍의 부가동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a는 상기 주가동대를 구동하는 X방향 구동 수단을 도시하는 일부 절결 정면도, 도 11b는 상기 주가동대에 설치된 승강 구동 수단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부가동대를 구동하는 Y방향 구동 수단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한쪽 주가동대에 지지된 부가동대와 승강 구동 수단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4개의 파지용 승강체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4개의 파지용 승강체가 컨테이너 파지 에리어의 중심에 가장 접근한 상태에서의 일부 횡단 평면도이다.
도 16은 X방향 1쌍의 파지용 승강체가 서로 최대로 떨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X방향 1쌍의 파지용 승강체가 서로 가장 접근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8은 최대로 떨어진 상태의 Y방향 1쌍의 파지용 승강체와 그 중간 위치의 들어올림용 승강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가장 접근한 상태의 Y방향 1쌍의 파지용 승강체와 그 중간 위치의 들어올림용 승강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0a는 4개의 파지용 승강체와 X방향 1쌍의 들어올림용 승강체가 서로 최대로 떨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횡단 평면도, 도 20b는 4개의 파지용 승강체와 X방향 1쌍의 들어올림용 승강체가 서로 가장 접근한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횡단 평면도이다.
도 21a는 1개의 들어올림용 승강체와 동일 측의 1개의 파지용 승강체를 도시하는 일부 종단 정면도, 도 21b는 다른 1개의 들어올림용 승강체와 그 지지 구조, 및 동일 측의 1개의 파지용 승강체를 도시하는 일부 종단 정면도이다.
도 22a는 들어올림용 승강체가 구비하는 하측의 지지 유닛을 도시하는 확대 정면도, 도 22b는 그 측면도, 도 22c는 그 횡단 평면도, 도 22d는 그 주요부의 확대 종단 측면도이다.
도 23은 4개의 파지용 승강체와 X방향 1쌍의 들어올림용 승강체에 의해 컨테이너를 파지하여 승강시킬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횡단 평면도이다.
도 24는 컨테이너에 대한 들어올림용 승강체의 작용을 설명하는 종단 정면도이며, 좌측 절반은 컨테이너 들어올림 직전의 상태, 우측 절반은 컨테이너 들어올림 직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5는 들어올림용 승강체에 의해 컨테이너를 들어올림 반송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 일부 종단 측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a storage facility;
2 is a front view of the storage facility.
3 is a side view of the storage facility;
Fig. 4A is a partially cut-away rear view showing a main carrier on a sub-carrier, and Fig. 4B is a side view thereof.
Fig. 5 is a partially cut-away plan view showing the main running body.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auxiliary running body on the main running body.
Fig. 7A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uxiliary traveling body, and Fig. 7B is a partial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the auxiliary traveling body.
8 is a plan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n the sub-carrier.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a pair of main travel rods in the X direction supported on the sub-running body.
10 is a plan view showing a pair of additional shells in the Y direction supported on the main shaft.
11A is a partially cut-away front view showing the X-direction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main carrier, and FIG. 11B is a front view showing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means installed in the main carrier.
12 is a side view showing a Y-direction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additional body.
13 is a side view showing an additional pole supported on one main pole and a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means.
Fig. 14 is a plan view showing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four gripping elevators.
Fig. 15 is a partially transverse plan view in a state in which the four gripping elevators are closest to the center of the container gripping area.
Fig. 1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ir of gripping elevators in the X direction are maxim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Fig. 17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ir of gripping elevators in the X direction are closest to each other.
Fig. 18 is a side view showing a pair of gripping elevators in the Y-direction and the lifting elevators in an intermediate position therebetween in a state away from each other.
Fig. 19 is a side view showing a pair of gripping elevators in the Y direction in the closest state and the lifting elevators in an intermediate position therebetween.
20A is a partial transverse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four gripping elevators and a pair of lifting elevators in the X direction are maxim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FIG. 20B is four gripping elevators and a pair of lifting elevators in the X direction. It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lan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elevators most approach each other.
Fig. 21A is a partial longitudinal front view showing one lifting elevator and one gripping elevator on the same side, Fig. 21B is another lifting elevator and its supporting structure, and one holding elevator on the same side; It is a partial longitudinal front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body for gripping.
Fig. 22A is an enlarged front view showing a lower support unit included in a lifting body for lifting, Fig. 22B is a side view thereof, Fig. 22C is a transverse plan view thereof, and Fig. 22D is an enlarged longitudinal side view of its principal part.
Fig. 23 is a partially transverse plan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container is gripped and raised and lowered by four holding elevators and a pair of lifting and lowering bodies in the X direction.
Fig. 24 is a longitudinal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action of the lifting member for lifting on the container, wherein the left half shows a state just before lifting the container, and the right half shows the state immediately after lifting the container.
Fig. 25 is a partially cut-away, partially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a state at the time of lifting and conveying a container by the lifting body for lifting.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Form for implementing the invention)

도 1∼도 3에 있어서, 1은 천장 주행 크레인 형식의 반송 장치이며, 평면 형상이 직각 평행사변형의 평탄한 바닥면으로 구성된 보관 에리어의 상측에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반송 장치(1)는 수평면 상의 Y방향(전후 깊이 방향)으로 주행 자유로운 주주행체(2)와, 이 주주행체(2)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직각 수평 방향의 X방향(좌우 폭 방향)으로 주행 자유롭게, 상기 주주행체(2) 상에 지지된 부주행체(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관 에리어에는, 이 보관 에리어를 둘러싸는 직사각형 프레임 구조체(4)가 기둥 부재(5)를 통하여 바닥면 상 일정 높이로 수평하게 가설되어 있고, 이 직사각형 프레임 구조체(4)의 Y방향과 평행한 1세트의 빔 부재(4a, 4b) 상에 상기 주주행체(2)의 양단부가 Y방향으로 주행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주주행체(2)는 그 주행 방향(Y방향)으로 적당 간격을 두고 병렬하는, X방향의 전장에 걸치는 길이의 1쌍의 측부 프레임(2a, 2b)을 구비하고, 이들 양측부 프레임(2a, 2b) 상에 부주행체(3)의 양측변이 X방향으로 주행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1 to 3, 1 is a overhead crane type conveying device, and is arranged in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area whose planar shape is comprised with the flat floor surface of a right-angled parallelogram. This conveying apparatus 1 travels in the X direction (left-right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2 which can run freely in the Y-direction (front-back depth direction) on a horizontal plane, and the X-direction (left-right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unning direction of this main body 2 Freely, the auxiliary traveling body 3 supported on the main traveling body 2 is provided. In the storage area, a rectangular frame structure 4 surrounding the storage area is horizontally erected at a certain height on the floor through the pillar member 5, and is parallel to the Y direction of the rectangular frame structure 4 On one set of beam members 4a and 4b, both ends of the main traveling body 2 are supported so as to run freely in the Y direction. The main running body 2 is provided with a pair of side frames 2a and 2b with a length spanning the entire length of the X direction, which are parallel to each other at appropriate intervals in the traveling direction (Y direction), and these side frame 2a, On 2b), both sides of the sub-running body 3 are supported so as to run freely in the X direction.

상기 보관 에리어에는, 입고용 컨베이어(6)와 출고용 컨베이어(7)가 병설되어 있다. 이들 양쪽 컨베이어(6, 7)의 보관 에리어측의 옮겨싣기용 단부(6a, 7a)는 상기 보관 에리어 내에 들어가 있고, 직사각형 프레임 구조체(4)의 빔 부재(4a, 4b) 상에서의 주주행체(2)의 Y방향의 주행과, 주주행체(2)의 측부 프레임(2a, 2b) 상에서의 부주행체(3)의 X방향의 주행에 의해, 부주행체(3)를 직사각형 프레임 구조체(4)로 둘러싸인 보관 에리어 내의, 상기 입출고용 컨베이어(6, 7)의 옮겨싣기용 단부(6a, 7a)를 포함하는 전체 영역 임의 위치의 바로 위에 위치시킬 수 있다.In the said storage area, the conveyor 6 for warehousing and the conveyor 7 for leaving are installed side by side. The transfer end portions 6a and 7a on the storage area side of both of these conveyors 6 and 7 are contained in the storage area, and the main running body 2 on the beam members 4a and 4b of the rectangular frame structure 4 . ) and the running in the X-direction of the sub-carrier 3 on the side frames 2a and 2b of the main running body 2 , the sub-carrier 3 is surrounded by the rectangular frame structure 4 . In a storage area, it can be located directly above the whole area arbitrary position including the end parts 6a, 7a for transfer of the said conveyors 6 and 7 for entering/exiting.

주주행체(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빔 부재(4a, 4b)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당해 빔 부재(4a, 4b) 위에 지지된 대차부(8a, 8b)를 가지며, 이 대차부(8a, 8b) 위에 상기 1쌍의 측부 프레임(2a, 2b)이 지지되어 있고, 당해 대차부(8a, 8b)에는, 빔 부재(4a, 4b) 상을 전동하는 복수의 차륜(9)과, 빔 부재(4a, 4b)를 좌우 양측에서 사이에 끼우는 위치 결정용 롤러(10)가 설치되어 있다. 각 빔 부재(4a, 4b)에는, 이들 빔 부재(4a, 4b)를 따라 회동 자유롭게 타이밍 벨트(11a, 11b)가 걸쳐지고, 각 타이밍 벨트(11a, 11b)의 양단이 상기 대차부(8a, 8b)에 고정 부착되고, 각 타이밍 벨트(11a, 11b)를 걸치는 풀리의 1개가, 전동축(12)을 통하여 1개의 모터(13)에 연동 연결되어, 당해 모터(13)에 의해 양쪽 타이밍 벨트(11a, 11b)가 동기(同期)하여 회전 구동됨으로써, 주주행체(2)가 Y방향과 평행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main running body 2 is freely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members 4a, 4b, and is supported on the beam members 4a, 4b. Bogies 8a, 8b. The pair of side frames 2a, 2b is supported on the bogies 8a, 8b, and the bogies 8a, 8b have a plurality of rolling beam members 4a, 4b. The wheel 9 and the roller 10 for positioning which pinches|interposes the beam members 4a, 4b from left and right both sides are provided. Timing belts 11a and 11b rotatably rotatably along these beam members 4a and 4b are spanned on each of the beam members 4a and 4b, and both ends of each of the timing belts 11a and 11b are connected to the bogie portion 8a, One of the pulleys fixedly attached to 8b) and spanning each of the timing belts 11a and 11b is linked to one motor 13 via the transmission shaft 12, and both timing belts are driven by the motor 13 It is comprised so that the main running body 2 may reciprocate parallel to the Y direction by being synchronously and rotationally driven by (11a, 11b).

주주행체(2)의 한쪽의 측부 프레임(2a)에는, 이 측부 프레임(2a)을 따라 회동 자유롭게 타이밍 벨트(14)가 걸쳐지고, 이 타이밍 벨트(14)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15)가 병설되어 있다. 상기 부주행체(3)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주행체(2)의 측부 프레임(2a, 2b)과 평행하게 당해 측부 프레임(2a, 2b)의 상측에 배치된 1쌍의 측부 프레임(3a, 3b)과, 양측부 프레임(3a, 3b)끼리를 연결 일체화하는 1쌍의 연결 프레임(3c, 3d)으로 구성된 것으로, 측부 프레임(3a, 3b)에는, 주주행체(2)의 측부 프레임(2a, 2b) 상을 전동하는 복수의 차륜(16)이 축지지됨과 아울러, 한쪽의 측부 프레임(3a)의 양단 근방 위치에는, 주주행체(2)의 측부 프레임(2a)을 사이에 끼우는 각각 1쌍의 롤러(17)를 축지지하는 베어링판(18a, 18b)이 부설되어 있다. 상기 타이밍 벨트(14)의 양단은 상기 베어링판(18a, 18b)에 고정 부착되고, 모터(15)에 의해 타이밍 벨트(14)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부주행체(3)를 X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On one side frame 2a of the main traveling body 2, a timing belt 14 is rotatably rotatably hung along the side frame 2a, and a motor 15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timing belt 14 is provided. has been As shown in FIGS. 6 and 7 , the sub-carrier 3 is a pair of side frames 2a and 2b disposed above the side frames 2a and 2b in parallel with the side frames 2a and 2b of the main traveling body 2 . is constituted by a pair of connecting frames 3c and 3d that connect and integrate side frames 3a and 3b of ), a plurality of wheels 16 for rolling on the side frames 2a and 2b are axially supported, and at positions in the vicinity of both ends of one side frame 3a, a side frame 2a of the main running body 2 is provided. Bearing plates 18a and 18b for axially supporting a pair of rollers 17 sandwiched therebetween are provided. Both ends of the timing belt 14 are fixedly attached to the bearing plates 18a and 18b, and by rotationally driving the timing belt 14 by a motor 15, the sub-carrier 3 is reciprocally moved in the X direction. can

상기 구성에 의하면, 모터(13)를 가동시켜 주주행체(2)를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이 주주행체(2) 상의 모터(15)를 가동시켜 당해 주주행체(2) 상에서 부주행체(3)를 X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의 조합에 의해, 부주행체(3)를 직사각형 프레임 구조체(4)로 둘러싸인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의 보관 에리어의 임의 위치의 바로 위에 위치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otor 13 is actuated to move the main running body 2 in the Y direction, and the auxiliary running body 3 is moved on the main running body 2 by operating the motor 15 on the main running body 2 . ) in the X-direction, the sub-running body 3 can be positioned directly above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storage area in which the planar shape surrounded by the rectangular frame structure 4 is rectangular.

도 8∼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주행체(3)에는, 그 측부 프레임(3a, 3b) 상에 부설된 가이드 레일(20a, 20b)과, 당해 가이드 레일(20a, 20b)에 끼워맞추는 슬라이드 블록(19a, 19b)을 통하여, X방향으로 서로 접근/이간 이동 자유로운 1쌍의 주가동대(21a, 21b)가 탑재되고, 이 1쌍의 주가동대(21a, 21b)를 서로 동기하여 X방향으로 접근/이간 이동시키기 위한 X방향 구동 수단(22)이 병설되어 있다. 이 X방향 구동 수단(22)은 부주행체(3)의 측부 프레임(3a, 3b)의 외측에 이들 측부 프레임(3a, 3b)을 따라 회동 자유롭게 걸쳐진 1쌍의 타이밍 벨트(23a, 23b)와, 전동축(24) 및 벨트 전동 수단(25)을 통하여 양쪽 타이밍 벨트(23a, 23b)와 연동 연결된, 부주행체(3)에 탑재된 모터(26)로 구성되고, 양쪽 타이밍 벨트(23a, 23b)의 상측 경로부가 연결 부재(27a, 27b)를 통하여 일방의 주가동대(21a)의 양단에 연결됨과 아울러, 양쪽 타이밍 벨트(23a, 23b)의 하측 경로부가 연결 부재(28a, 28b)를 통하여 타방의 주가동대(21b)의 양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X방향 구동 수단(22)에 의하면, 모터(26)에 의해 양쪽 타이밍 벨트(23a, 23b)를 정전 구동함으로써, 1쌍의 주가동대(21a, 21b)를 서로 접근 이동시키고, 모터(26)에 의해 양쪽 타이밍 벨트(23a, 23b)를 역전 구동함으로써, 1쌍의 주가동대(21a, 21b)를 서로 이간 이동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s. 8 to 10, the auxiliary traveling body 3 has guide rails 20a and 20b laid on its side frames 3a and 3b, and the guide rails 20a and 20b fitted therein. Through the slide blocks 19a and 19b, a pair of main travel rods 21a and 21b that are free to move to/from each other in the X direction are mounted, and the pair of main pillars 21a and 21b ar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in the X direction. X-direction driving means 22 for moving the approach/separation to each other is provided. The X-direction driving means 22 includes a pair of timing belts 23a and 23b rotatably spanned along these side frames 3a and 3b on the outside of the side frames 3a and 3b of the sub-running body 3; It is composed of a motor 26 mounted on the sub-carrier 3, interlocked with both timing belts 23a and 23b via the transmission shaft 24 and the belt transmission means 25, and both timing belts 23a and 23b.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one main stem 21a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s 27a and 27b, and the lower path portions of both timing belts 23a and 23b ar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s 28a and 28b. It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main moving rod (21b). According to the X-direction driving means 22 configured in this way, by electrostatically driving both timing belts 23a and 23b by the motor 26, the pair of main shafts 21a and 21b are moved close to each other, and the motor ( 26), by reversely driving both timing belts 23a and 23b, the pair of main travel rods 21a and 21b can be moved apart from each other.

1쌍의 주가동대(21a, 21b) 상에는, 도 10∼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들 주가동대(21a, 21b) 상에 Y방향과 평행하게 부설된 가이드 레일(29a, 29b)을 통하여, Y방향으로 이동 자유로운 각각 1쌍의 부가동대(30a, 30b 및 31a, 31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부가동대(30a∼31b) 중, Y방향의 동일 측에 위치하는 X방향 1쌍의 부가동대(30a, 31b)는, X방향과 평행하게 당해 부가동대(30a, 31b)의 외측에 배치된 연동용 봉 형상체(32a)에, 당해 연동용 봉 형상체(32a)에 부설된 가이드 레일(33a)과 당해 가이드 레일(33a)에 끼워맞추는 슬라이드 블록(34a, 35a)을 통하여, X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타방의 X방향 1쌍의 부가동대(30b, 31a)는 X방향과 평행하게 당해 부가동대(30b, 31a)의 외측에 배치된 연동용 봉 형상체(32b)에, 당해 연동용 봉 형상체(32b)에 부설된 가이드 레일(33b)과 당해 가이드 레일(33b)에 끼워맞추는 슬라이드 블록(34b, 35b)을 통하여, X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On the pair of main pillars 21a and 21b, as shown in Figs. 10 to 12, through guide rails 29a and 29b laid parallel to the Y direction on these main pillars 21a and 21b, A pair of additional pillars 30a, 30b, and 31a, 31b, respectively, which are free to move in the Y-direction are provided. Among these additional shells 30a to 31b, a pair of additional shells 30a and 31b in the X direction located on the same side in the Y direction are parallel to the X direction, and ar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additional shells 30a and 31b. In the X direction through the guide rail 33a attached to the rod-shaped body 32a for interlocking|interlocking to the rod-shaped body 32a for interlocking|interlocking, and the slide blocks 34a, 35a fitted to the said guide rail 33a. The other pair of additional shell bars 30b and 31a in the X-direction is supported movably and is interlocked with the interlocking rod-shaped body 32b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additional shell bars 30b and 31a parallel to the X-direction. It is movably supported in the X direction via the guide rail 33b provided on the rod-shaped body 32b for use and slide blocks 34b and 35b fitted to the guide rail 33b.

그리고 1쌍의 연동용 봉 형상체(32a, 32b)는, Y방향 구동 수단(36)에 의해, Y방향으로 서로 접근/이간 이동시켜진다. 이 Y방향 구동 수단(36)은, 1쌍의 연동용 봉 형상체(32a, 32b)의 외측에서 부주행체(3)에 Y방향과 평행하게 걸쳐진 1쌍의 타이밍 벨트(37a, 37b)와, 이 양쪽 타이밍 벨트(37a, 37b)를, 전동축(38)과 벨트 전동 수단(39)을 통하여 회전 구동하는, 부주행체(3)에 탑재된 모터(4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1쌍의 타이밍 벨트(37a, 37b)의 상측 경로부는 연결 부재(41a, 41b)를 통하여 일방의 연동용 봉 형상체(32a)의 양단에 연결됨과 아울러, 양쪽 타이밍 벨트(37a, 37b)의 하측 경로부가 연결 부재(42a, 42b)를 통하여 타방의 연동용 봉 형상체(32b)의 양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Y방향 구동 수단(36)에 의하면, 모터(40)에 의해 양쪽 타이밍 벨트(37a, 37b)를 정전 구동함으로써, 1쌍의 연동용 봉 형상체(32a, 32b)를 Y방향으로 서로 접근 이동시키고, 모터(40)에 의해 양쪽 타이밍 벨트(37a, 37b)를 역전 구동함으로써, 1쌍의 연동용 봉 형상체(32a, 32b)를 Y방향으로 서로 이간 이동시킬 수 있다. 이 1쌍의 연동용 봉 형상체(32a, 32b)가 서로 접근이동함으로써, X방향에 관하여 주가동대(21a, 21b) 사이의 간격으로 지지되어 있는 부가동대(30a, 30b/31a, 31b)가 각각 서로 접근 이동하고, 1쌍의 연동용 봉 형상체(32a, 32b)가 서로 이간 이동함으로써, 상기 부가동대(30a, 30b/31a, 31b)가 각각 서로 이간 이동하게 된다. And the pair of rod-shaped bodies 32a, 32b for interlocking|interlocking are mutually approaching/separatingly moved in the Y direction by the Y-direction drive means 36. As shown in FIG. The Y-direction driving means 36 includes a pair of timing belts 37a and 37b that extend from the outside of the pair of interlocking rod-shaped bodies 32a and 32b to the sub-running body 3 in parallel to the Y direction; It is comprised by the motor 40 mounted on the sub-carrier 3 which rotationally drives these timing belts 37a, 37b via the transmission shaft 38 and the belt transmission means 39. It is comprised. Thus, the upper path portion of the pair of timing belts 37a and 37b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one of the interlocking rod-shaped bodies 32a via the connecting members 41a and 41b, and the timing belts 37a and 37b The lower path portion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other interlocking rod-shaped body 32b via connecting members 42a and 42b. According to the Y-direction driving means 36 constituted in this way, by electrostatically driving both timing belts 37a and 37b by the motor 40, the pair of interlocking rod-shaped bodies 32a and 32b are mutually moved in the Y direction. The pair of interlocking rod-shaped bodies 32a and 32b can be mov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Y-direction by moving them approaching and driving the timing belts 37a and 37b in reverse with the motor 40 . When the pair of interlocking rod-shaped bodies 32a, 32b move close to each other, the additional shells 30a, 30b/31a, 31b supported at intervals between the main shafts 21a, 21b with respect to the X direction are Each of the moving close to each other, the pair of interlocking rod-shaped body (32a, 32b) is moved away from each other, the additional body (30a, 30b/31a, 31b) is moved apart from each other, respectively.

도 10 및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부가동대(30a∼31b)에는, 각각 X방향 내측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도립 L형의 지지 부재(43a, 43b/44a, 44b)가 부착되고, 각 지지 부재(43a∼44b)의 수직부 내측에, 각각 파지용 승강체(45a∼46b)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각 파지용 승강체(45a∼46b)는 연직 방향으로 길이가 긴 봉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상하 방향의 전장에 걸쳐 횡단면이 앵글형인 끼워맞춤부(47)를 구비하고 있다. 이 끼워맞춤부(47)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대상의 컨테이너(C)의 4개의 코너부(角部)에 각각 끼워맞춤 가능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컨테이너(C)에 대면하는 직각 내측면의 외측변에는, 전장에 걸쳐 연속하도록, 미끄럼 방지용 띠 형상체(48)가 부설되어 있다. 이들 각 파지용 승강체(45a∼46b)에는, 그 X방향과 평행한 X방향 판부의 외측에, 전장에 걸쳐 연속하는 승강용 가이드 레일(49)이 부설되고, 상기 각 지지 부재(43a∼44b)의 수직부 내측에는, 상기 승강용 가이드 레일(49)에 끼워맞추어져 이들 각 파지용 승강체(45a∼46b)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블록(50)이 부설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0 and 11b, the four additional shells 30a to 31b are each provided with inverted L-shaped support members 43a, 43b/44a, 44b extending downward from the inside in the X direction, Inside the vertical portion of each of the supporting members 43a to 44b, the lifting and lowering bodies 45a to 46b for holding are respectively attached. Each of these lifting and lowering bodies 45a to 46b for holding is made of a rod-shaped member having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provided with a fitting portion 47 having an angle in cross section over its entir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23, this fitting part 47 is arrange|positioned in the direction which can be fitted to the four corner parts of the container C to be conveyed, respectively, and faces the container C. On the outer side of the right-angled inner surface, an anti-skid belt-shaped body 48 is laid so as to be continuous over the entire length. On the outside of the X-direction plate portion parallel to the X-direction, a guide rail 49 for raising/lowering continuous over the entire length is laid on each of these lifting and lowering bodies 45a to 46b for holding, and the respective supporting members 43a to 44b. ), a slide block 50 fitted to the guide rail 49 for lifting and lowering and supporting each of these lifting and lowering bodies 45a to 46b for holding so as to be raised and lowered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vertical portion.

도 14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Y방향으로 병렬하는 파지용 승강체(45a, 45b/46a, 46b)의 상단부는 연결 수단(51A, 51B)에 의해 Y방향으로 서로 접근/이간 이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이들 양쪽 연결 수단(51A, 51B)은 평면으로 보아 서로 점대칭 구조의 것이며, Y방향으로 긴 각주 형상 부재(52)의 상측면과 내측면에, Y방향과 평행하게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53, 54)이 부설되고, 상측의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53)에 끼워맞추는 슬라이드 블록(53a)에는, 파지용 승강체(45a, 46a)의 상단을 지지하는 L형 지지판(55)이 부착되고, 내측의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54)에 끼워맞추는 슬라이드 블록(54a)에는, 파지용 승강체(45b, 46b)의 상단을 지지하는 지지판(56)이 부착되어 있다. 14 and 18, the upper ends of the gripping elevating bodies 45a, 45b/46a, 46b parallel to the Y-direction, respectively, approach/separate from each other in the Y-direction by the connecting means 51A, 51B. freely connected. Both of these connecting means 51A and 51B are of a point-symmetrical structure in plan view, and slide guide rails 53 and 54 parallel to the Y direction on the upper and inner surfaces of the long prismatic member 52 in the Y direction. An L-shaped support plate 55 for supporting the upper ends of the lifting and lowering bodies 45a and 46a for gripping is attached to the slide block 53a that is installed and fitted to the slide guide rail 53 on the upper side, and the inner slide guide A support plate 56 is attached to the slide block 54a fitted to the rail 54 for supporting the upper ends of the lifting/lowering bodies 45b and 46b for holding.

파지용 승강체(45a, 46a)의 상단과 L형 지지판(55)은 파지용 승강체(45a, 46a)의 Y방향과 평행한 Y방향 판부의 상단 내측과, L형 지지판(55)의 수직판부(55a)의 외측 단부에서, 파지용 승강체(45a, 46a)의 X방향 판부의 내측에 인접하는, X방향과 평행한 지지축(55b)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파지용 승강체(45b, 46b)의 상단과 지지판(56)은 파지용 승강체(45b, 46b)의 Y방향 판부의 상단 내측과, 지지판(56)의 외측 단부에서, 파지용 승강체(45b, 46b)의 X방향 판부의 내측에 인접하는, X방향과 평행한 지지축(56a)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Y방향 1쌍의 파지용 승강체(45a, 45b/46a, 46b)가 Y방향으로 서로 접근 이동했을 때, 파지용 승강체(45a, 46a)를 지지하는 L형 지지판(55)의 수직판부(55a)의 내측에, 파지용 승강체(45b, 46b)를 지지하는 지지판(56)과 이것을 지지하는 슬라이드 블록(54a)이 들어감으로써, Y방향 1쌍의 파지용 승강체(45a, 45b/46a, 46b)가, 평면으로 보아 각주 형상 부재(52)의 Y방향 양단보다도 내측으로 들어가는 상태까지, 서로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upper end and the L-shaped support plate 55 of the gripping elevating body 45a, 46a are perpendicular to the inside of the upper end of the Y-direction plate portion parallel to the Y-direction of the gripping elevating body 45a, 46a, and the L-shaped support plate 55 At the outer end of the board part 55a, it is connected by the support shaft 55b parallel to the X direction adjacent to the inside of the X direction board part of the holding|lifting bodies 45a, 46a for holding. The upper end of the gripping elevating body 45b, 46b and the support plate 56 are locat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Y-direction plate portion of the gripping elevating body 45b, 46b and at the outer end of the support plate 56, the gripping elevating body 45b , 46b) adjacent to the inner side of the X-direction plate portion, and connected by a support shaft 56a parallel to the X-direction. And, as shown in Fig. 15, when a pair of holding elevators 45a, 45b/46a, 46b in the Y direction approach each other in the Y direction, the holding elevators 45a and 46a are supported. A support plate 56 for supporting the lifting and lowering bodies 45b and 46b for gripping and a slide block 54a for supporting this enter inside the vertical plate portion 55a of the L-shaped support plate 55, so that a pair of Y-direction It is comprised so that gripping|lifting body 45a, 45b/46a, 46b can mutually approach to the state which enters inward from the Y direction both ends of the prismatic-shaped member 52 in planar view.

상기 구성에 의해, 일방의 Y방향 1쌍의 파지용 승강체(45a, 45b)와, 그 상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 수단(51A)은 당해 파지용 승강체(45a, 45b)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43a, 43b)(부가동대(30a, 30b))에 대하여 일체로 승강 가능하며, 타방의 Y방향 1쌍의 파지용 승강체(46a, 46b)와, 그 상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 수단(51B)은 당해 파지용 승강체(46a, 46b)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44a, 44b)(부가동대(31a, 31b))에 대하여 일체로 승강 가능하다.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one pair of the holding elevators 45a and 45b in the Y direction and the connecting means 51A located between the upper ends thereof are a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holding elevators 45a and 45b. (43a, 43b) (additional movable table (30a, 30b)) can be raised and lowered integrally, and the other Y-direction pair of lifting and lowering bodies 46a and 46b for gripping, and a connecting means 51B located between the upper end thereof. ) can be raised and lowered integrall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members 44a and 44b (the movable bases 31a and 31b) that support the lifting members 46a and 46b for holding.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용 승강체(45a, 45b)와 연결 수단(51A)을 승강 구동하는 승강 구동 수단(57A)이 주가동대(21a)의 하측 중앙부에 부착되고, 파지용 승강체(46a, 46b)와 연결 수단(51B)을 승강 구동하는 승강 구동 수단(57B)이 주가동대(21b)의 하측 중앙부에 부착되어 있다. 양쪽 승강 구동 수단(57A, 57B)은, 도 9에 도시하는 평면으로 보아 서로 점대칭 구조의 것으로, 도 9, 도 11b,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Y방향 1쌍의 주지지판(58a)과 부지지판(58b), 주부 양쪽 지지판(58a, 58b) 사이에서 공통 구동축(59)에 의해 축지지된 Y방향 1쌍의 구동 풀리(60a, 60b), 주지지판(58a)에 지지되고 또한 구동 풀리(60a, 60b)에 공통 구동축(59)과 전동 벨트(59a)를 통하여 연동 연결된 브레이크 부착 모터(61), 주부 각 지지판(58a, 58b)에 축지지되고, 각 구동 풀리(60a, 60b)의 내측의 상하에 위치하는 각각 상하 1쌍의 안내 풀리(62a, 62b/63a, 63b), 및 Y방향 1쌍의 승강 구동용 타이밍 벨트(64a, 64b)를 구비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9,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e means 57A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gripping elevating bodies 45a and 45b and the connecting means 51A is attached to the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main moving stand 21a, and the gripping elevating body is attached to the lower center portion. A lifting driving means 57B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46a and 46b and the connecting means 51B is attached to the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main moving stand 21b. Both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means 57A and 57B have a point-symmetrical structure in plan view as shown in Fig. 9, and as shown in Figs. 9, 11B, 13 and 14, a pair of main support plates in the Y direction. A pair of Y-direction drive pulleys 60a and 60b axially supported by a common drive shaft 59 between 58a and the sub support plate 58b and both main part support plates 58a and 58b, supported by the main support plate 58a A motor 61 with a brake connected to the drive pulleys 60a and 60b via a common drive shaft 59 and a transmission belt 59a, the main part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plates 58a and 58b, and each drive pulley 60a , 60b) each provided with a pair of upper and lower guide pulleys 62a, 62b/63a, 63b, and a pair of Y-direction elevating drive timing belts 64a and 64b respectively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Y방향으로 병렬하는 파지용 승강체(45a, 45b/46a, 46b) 사이에는,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가 설치되어 있다. 각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는 X방향에서 서로 대칭 구조의 것으로,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용 승강체(45a∼46b)와 거의 동등한 길이를 갖는 수직 봉 형상 본체(66)와, 이 수직 봉 형상 본체(66)에 부착된 상하 2단의 지지 유닛(67a, 67b)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직 봉 형상 본체(66)는, 그 상단부가 각 연결 수단(51A, 51B)에 있어서의 각주 형상 부재(52)의 Y방향 길이의 중앙 위치에 부착판(66a)을 통하여 연결된 것이며, 그 하단에는, Y방향으로 긴 평판 형상의 벨트 연결판(68)이 도립 T자형으로 부착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3, between the holding|lifting bodies 45a, 45b/46a, 46b for holding parallel to a Y direction, the raising/lowering bodies 65A, 65B for lifting are provided. Each lifting member 65A, 65B has a structure symmetrical to each other in the X direction, and as shown in Fig. 18, a vertical bar-shaped body 66 having a length substantially equal to that of the holding body 45a to 46b. ) and upper and lower two-stage support units 67a and 67b attached to the vertical bar-shaped body 66 . The vertical rod-shaped body 66 has an upper end connected to the central position of the prismatic member 52 in the Y-direction length of each connecting means 51A and 51B via an attachment plate 66a, and at the lower end thereof , A belt connecting plate 68 of a flat plate shape long in the Y direction is attached in an inverted T-shape.

각 승강 구동 수단(57A, 57B)의 승강 구동용 타이밍 벨트(64a, 64b)는, 각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의 수직 봉 형상 본체(66)에 대하여 Y방향 양측 대칭에 위치하는 것이며, 그 일단이 각주 형상 부재(52)의 Y방향 길이의 양단부 외측면에, 각각 벨트 부착 부재(69)를 통하여 연결됨과 아울러, 그 타단이 벨트 연결판(68)의 Y방향 길이의 양단부 상측에, 각각 벨트 부착 부재(70)를 통하여 연결되고, 각 승강 구동용 타이밍 벨트(64a, 64b)의 중간부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승강 구동 수단(57A, 57B)의 상하 1쌍의 안내 풀리(62a, 62b/63a, 63b) 사이를 경유하여 구동 풀리(60a/60b)에 권회되어 있다. 또한, 승강 구동용 타이밍 벨트(64a, 64b)는, 그 상하 양단과 안내 풀리(62a∼63b) 사이가 파지용 승강체(45a∼46b)(수직 봉 형상 본체(66)와 평행하게 늘어지지 않고 펴져 있다. Timing belts 64a and 64b for lifting and lowering of each lifting drive means 57A and 57B are locat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in the 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bar-shaped body 66 of each lifting and lowering body 65A, 65B.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Y-direction length of the prismatic member 52 through the belt attachment member 69, and the other end is the upper side of both ends of the Y-direction length of the belt connecting plate 68 to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airs of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means 57A and 57B, as shown in FIG. It is wound on the drive pulley 60a/60b via between the guide pulleys 62a, 62b/63a, 63b of the. In addition, the timing belts 64a, 64b for lifting and lowering driv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oth ends and the guide pulleys 62a-63b, are spread out without drooping parallel to the gripping lifting bodies 45a-46b (vertical rod-shaped body 66). have.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각 승강 구동 수단(57A, 57B)에 의하면, 양쪽 승강 구동 수단(57A, 57B)의 브레이크 부착 모터(61)가 가동하고 있지 않을 때(구동 풀리(60a, 60b)가 제동 상태에 있을 때)는 모든 파지용 승강체(45a∼46b) 및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의 수직 봉 형상 본체(66)는 승강 불능으로 로킹된 상태가 되고, 그 때의 높이에서 정지하고 있다. 양쪽 승강 구동 수단(57A, 57B)의 브레이크 부착 모터(61)를 동기 가동시켜, 구동 풀리(60a, 60b)에 의해 각 승강 구동용 타이밍 벨트(64a, 64b)를 그 하단을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동기 구동하면, 모든 파지용 승강체(45a∼46b)와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의 수직 봉 형상 본체(66)가 중력에 저항하여 일체로 정속 상승 이동하고, 반대로 그 상단을 끌어내리는 방향으로 구동하면, 모든 파지용 승강체(45a∼46b)와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의 수직 봉 형상 본체(66)가 중력에 의해 일체로 정속 하강 이동하게 된다. According to each lift drive means 57A, 57B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when the motor 61 with brake of both lift drive means 57A, 57B is not operating (drive pulley 60a, 60b is a braking state) When in position), all the holding elevators 45a to 46b and the vertical bar-shaped body 66 of the lifting members 65A and 65B are in a locked state so that they cannot be lifted, and are stopped at the height at that time. are doing The motor 61 with brake of both lift drive means 57A, 57B is synchronously operated, and the timing belts 64a, 64b for raising/lowering drive are synchronously raised by the drive pulleys 60a, 60b in the direction which raises the lower end. When driven, the vertical rod-shaped body 66 of all the holding elevators 45a to 46b and the lifting members 65A and 65B resists gravity and moves up and down at a constant speed integrally, and vice versa. When driven in the direction, all the gripping elevating bodies 45a to 46b and the vertical rod-shaped body 66 of the lifting elevating bodies 65A and 65B move downward at a constant speed integrally by gravity.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가 구비하는 모든 지지 유닛(67a, 67b)은 동일 구조의 것으로, 도 18,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직 봉 형상 본체(66)의 내측에 전장에 걸쳐 연속하도록 부설된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71)과, 당해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71)에 승강 자유롭게(昇降自在) 끼워맞추는 상하 2개의 슬라이드 블록(71a)을 통하여, 수직 봉 형상 본체(66)에 대하여 승강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상측의 지지 유닛(67a)은 수직 봉 형상 본체(66)의 중간 높이의 Y방향 양측에 부설된 1쌍의 수납 부재(72)에 의해 받아지고, 하측의 지지 유닛(67b)은 수직 봉 형상 본체(66)의 하단의 벨트 연결판(68)에 의해 받아지고 있다. All the supporting units 67a and 67b included in the lifting bodies 65A and 65B are of the same structure, and as shown in Figs. 18, 21, and 22, the A vertical bar-shaped body 66 is provided through a slide guide rail 71 laid on the inside so as to be continuous over the entire length, and two upper and lower slide blocks 71a that can be freely raised and lowered to the slide guide rail 71. ), the upper support unit 67a is received by a pair of accommodating members 72 installed on both sides in the Y direction of the middle height of the vertical bar-shaped body 66, and the lower support unit 67a The unit 67b is received by the belt connecting plate 68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rod-shaped body 66 .

이들 지지 유닛(67a, 67b)은 세로로 긴 중공의 케이싱(75)을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싱(75)은 수직 봉 형상 본체(66)의 내측에 위치하여 그 Y방향 양측으로 튀어나오는 폭의 기판(73)과, 이 기판(73)의 뒤쪽에서 수직 봉 형상 본체(66)의 Y방향 양측에 배치된 뒤판(74a, 74b)을 구비한 것으로, 뒤판(74a, 74b) 사이에서 기판(73)의 뒤쪽에 상기 슬라이드 블록(71a)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싱(75)은 기판(73)과 뒤판(74a, 74b)에 의해 지지되고 또한 기판(73)에 대하여 X방향으로 출퇴 자유로운 다수의 핀 형상 지지 도구(76a, 76b)를 구비하고 있다. 각 핀 형상 지지 도구(76a, 76b)는, 케이싱(75) 내에서, 상기 뒤판(74a, 74b)과 각 핀 형상 지지 도구(76a, 76b)가 갖는 플랜지부(77) 사이에서, 각 핀 형상 지지 도구(76a, 76b)에 헐겁게 끼워진 압축 코일 스프링(78)에 의해, 기판(73)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플랜지부(77)가 기판(73)에 맞닿는 돌출 한계 위치에 유지되고 있다. 그리고 각 핀 형상 지지 도구(76a, 76b)는 X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수직 봉 형상 본체(66)의 수직 방향의 중심선(Y방향으로 병렬하는 2개의 파지용 승강체(45a, 45b/46a, 46b) 사이의 중심선)에 대하여, Y방향 대칭으로 좁은 간격으로 배치된 1쌍의 핀 형상 지지 도구(76a)와, 상기 중심선에 대하여 Y방향 대칭으로 넓은 간격으로 배치된 1쌍의 핀 형상 지지 도구(76b)가 Y방향에서 보아 각 핀 형상 지지 도구(76a, 76b)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일부 겹치는 상하 방향 간격으로 번갈아 배열되어 있다. These support units 67a and 67b are provided with a longitudinally long hollow casing 75 . The casing 75 is located inside the vertical rod-shaped body 66 and has a substrate 73 with a width protruding from both sides in the Y direction, and the Y of the vertical rod-shaped body 66 from the rear of the substrate 73 . The slide block 71a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substrate 73 between the back plates 74a and 74b. In addition, the casing 75 is supported by the substrate 73 and the back plates 74a, 74b,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in-shaped support tools 76a and 76b that are free to move in and out of the substrate 73 in the X direction. . Each of the pin-shaped support tools 76a, 76b is, within the casing 75, between the back plates 74a, 74b and the flange portion 77 of each of the pin-shaped support tools 76a, 76b, each pin-shaped The compression coil spring 78 loosely fitted to the support tools 76a and 76b is elastically pressed in a direction protruding inward from the substrate 73, and the flange portion 77 is at a protrusion limit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73. is being maintained And each pin-shaped support tool 76a, 76b is the center line of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rtical bar-shaped main body 66 when seen from the X direction (two holding|lifting bodies 45a, 45b/46a, 46b for holding parallel to a Y direction) ), a pair of pin-shaped support tools 76a arranged at narrow intervals symmetrically in the Y-direction, and a pair of pin-shaped support tools ( 76b) is alternately arranged at vertical intervals in which the respective pin-shaped supporting tools 76a and 76b partially overlap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Y direction.

각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의 수직 봉 형상 본체(66)에는, 지지 유닛(67a, 67b)을 지지하는 내측과는 반대인 외측에, 그 전장에 걸쳐 연속하도록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79)이 부설되고, 이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79)에 끼워맞추어 각 수직 봉 형상 본체(66)를 승강 자유롭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블록(80a, 80b)이 상단이 주가동대(21a, 21b)의 바닥면에 결합된 수직 지지 부재(80c, 80d)의 내측 변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각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의 수직 봉 형상 본체(66)는 Y방향으로 병렬하는 2개의 파지용 승강체(45a, 45b/46a, 46b) 사이의 중앙 위치에서 승강만 가능하게, 주가동대(21a, 21b)에 지지되고, 승강에 관해서는, Y방향으로 병렬하는 2개의 파지용 승강체(45a, 45b)와 그 중간 위치의 들어올림용 승강체(65A)의 수직 봉 형상 본체(66), 및 Y방향으로 병렬하는 2개의 파지용 승강체(46a, 46b)와 그 중간 위치의 들어올림용 승강체(65B)의 수직 봉 형상 본체(66)가 각각 일체로 승강 운동하게 된다. The vertical bar-shaped body 66 of each lifting body 65A, 65B has a slide guide rail 79 on the outside opposite to the inside that supports the support units 67a and 67b so as to be continuous over the entire length. ) is installed, and the slide blocks 80a and 80b that fit in this slide guide rail 79 to freely support each vertical bar-shaped body 66 up and down ar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21a, 21b with the upper ends. It is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vertical support members 80c and 80d. Therefore, the vertical bar-shaped body 66 of each lifting body 65A, 65B can only be raised and lowered at a central position between the two gripping elevator bodies 45a, 45b/46a, 46b parallel to the Y direction. So, it is supported by the main moving bars 21a, 21b, and with respect to lifting and lowering, the vertical bar of the two gripping elevating bodies 45a and 45b parallel to the Y direction and the lifting elevating body 65A at an intermediate position thereof. The vertical bar-shaped body 66 of the shape body 66 and the two gripping elevators 46a and 46b parallel to the Y-direction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body 65B at an intermediate position are each integrally lifted and lowered. will do

도 16 및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용 승강체(45a∼46b) 중, X방향으로 병렬하는 2개의 파지용 승강체(45a, 46b/45b, 46a) 사이에는, 양자의 X방향의 평행 이동만을 허용하기 위한 평행사변형 링크 기구(81A, 81B)가 개재되어 있다. 이들 평행사변형 링크 기구(81A, 81B)는 서로 동일 구조의 것으로, 중앙 승강 링크 부재(82)와, 당해 중앙 승강 링크 부재(82)와 일방의 파지용 승강체(45a/46a) 사이에 개재된 상하 1쌍의 평행 요동 링크(83a, 83b), 및 당해 중앙 승강 링크 부재(82)와 타방의 파지용 승강체(45b/46b) 사이에 개재된 상하 1쌍의 평행 요동 링크(84a, 84b)로 구성되어 있다. 상측의 평행 요동 링크(83a, 84a)는 중앙 승강 링크 부재(82)의 상단과, 이것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파지용 승강체(45a, 46b/46a, 45b)의 X방향 판부의 외측에 각각 축지지되고, 하측의 평행 요동 링크(83b, 84b)는, 바로 위에 위치하는 평행 요동 링크(83a, 84a)와 각각 평행하게 되도록, 중앙 승강 링크 부재(82)의 하단과 파지용 승강체(45a, 46b/46a, 45b)의 X방향 판부의 외측에 각각 축지지된 것으로, X방향으로 병렬하는 2개의 파지용 승강체(45a, 46b/45b, 46a) 사이가 최대로 넓어져 있는 상황에서,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행 요동 링크(83a∼84b)가 중앙 승강 링크 부재(82)에 대해 비스듬히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6 and 20, between the two gripping elevating bodies 45a, 46b/45b, and 46a parallel to the X direction among the holding elevators 45a to 46b, in the X direction of both Parallelogram link mechanisms 81A and 81B for allowing only parallel movement are interposed. These parallelogram link mechanisms 81A and 81B have the same structure as each other, and are interposed between a central elevation link member 82, the central elevation link member 82, and one of the gripping elevations 45a/46a. A pair of upper and lower parallel oscillation links 83a and 83b, and a pair of upper and lower parallel oscillation links 84a and 84b interposed between the center lifting link member 82 and the other gripping lifting body 45b/46b is composed of The upper parallel oscillation links 83a and 84a are the upper end of the center lifting link member 82 an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is, on the outer side of the X-direction plate portion of the gripping lifting body 45a, 46b/46a, 45b, respectively. Supported, the lower parallel swing links 83b and 84b are parallel to the parallel swing links 83a and 84a positioned directly above, respectively, the lower end of the center lifting link member 82 and the holding body 45a; 46b/46a, 45b, respectively axially supported on the outside of the X-direction plate, in a situation where the gap between the two gripping elevating bodies 45a, 46b/45b, and 46a parallel to the X-direction is maximized, FIG. As shown in FIG. 16, the parallel rocking|fluctuation links 83a-84b are comprised so that it may incline diagonally upward with respect to the center raising/lowering link member 82. As shown in FIG.

도 18 및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용 승강체(45a∼46b) 중, Y방향으로 병렬하는 2개의 파지용 승강체(45a, 45b/46a, 46b) 사이에는, 양자의 Y방향의 평행 이동만을 허용하기 위한 평행사변형 링크 기구(85A, 85B)가 개재되어 있다. 이들 양쪽 평행사변형 링크 기구(85A, 85B)는 서로 동일 구조의 것으로, 상하 2단의 승강 링크 유닛(86, 87)을 구비하고 있다. 상측의 승강 링크 유닛(86)은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에서의 상측의 지지 유닛(67a)보다도 상측에 배치되고, 하측의 승강 링크 유닛(87)은 당해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에서의 상하 양쪽 지지 유닛(67a, 67b)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8 and 20, between the two gripping elevating bodies 45a, 45b/46a, 46b parallel to the Y-direction among the gripping elevating bodies 45a to 46b, in the Y-direction, Parallelogram link mechanisms 85A and 85B for allowing only parallel movement are interposed. Both of these parallelogram link mechanisms 85A and 85B have the same structure as each other, and are provided with upper and lower two-stage lifting link units 86 and 87 . The upper lifting link unit 86 is disposed above the upper support unit 67a of the lifting members 65A and 65B, and the lower lifting link unit 87 is the lifting body ( It is arrange|positioned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both upper and lower support units 67a, 67b in 65A, 65B.

이들 상하 2단의 승강 링크 유닛(86, 87)은 서로 동일 구조의 것으로,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에서의 수직 봉 형상 본체(66)의 내측의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71)에, 상하 2개의 슬라이드 블록(88a)을 통하여 승강 자유롭게 지지된 중앙 승강 링크 부재(88)와, 이 중앙 승강 링크 부재(88)와 일방의 파지용 승강체(45a/46a) 사이에 개재된 상하 1쌍의 평행 요동 링크(89a, 89b), 및 중앙 승강 링크 부재(88)와 타방의 파지용 승강체(45b/46b) 사이에 개재된 상하 1쌍의 평행 요동 링크(90a, 90b)로 구성되어 있다. 상측의 평행 요동 링크(89a, 90a)는 중앙 승강 링크 부재(88)의 상단과, 이것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파지용 승강체(45a, 45b/46a, 46b)의 Y방향 판부의 외측에 각각 축지지되고, 하측의 평행 요동 링크(89b, 90b)는, 바로 위에 위치하는 평행 요동 링크(89a, 90a)와 각각 평행하게 되도록, 중앙 승강 링크 부재(88)의 하단과 파지용 승강체(45a, 45b/46a, 46b)의 Y방향 판부의 외측에 각각 축지지된 것이며,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용 승강체(45a, 46a/45b, 46b) 사이가 최대로 넓어져 있는 상황에서, 각 평행 요동 링크(89a∼90b)가 중앙 승강 링크 부재(88)에 대하여 비스듬히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파지용 승강체(45a, 46a/45b, 46b) 사이가 최대로 넓어져 있는 상황에서는, 각 중앙 승강 링크 부재(88)는 그 하방에 위치하는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의 지지 유닛(67a, 67b)으로부터 가장 상방으로 떨어진 위치에 있다. These upper and lower two-stage lifting link units 86 and 87 have the same structure as each other, and are mounted on the slide guide rail 71 inside the vertical bar-shaped body 66 of the lifting members 65A and 65B. A central elevating link member 88 supported by elevating freely via two upper and lower slide blocks 88a, and a pair of upper and lower sides interposed between the central elevating link member 88 and one holding elevating body 45a/46a is composed of parallel swing links 89a and 89b of . The upper parallel oscillation links 89a and 90a are the upper end of the center lifting link member 88 an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is, on the outer side of the Y-direction plate portion of the gripping lifting body 45a, 45b/46a, 46b, respectively. Supported, the lower parallel swing links 89b and 90b are parallel to the parallel swing links 89a and 90a positioned directly above, respectively, the lower end of the central elevation link member 88 and the holding body 45a; 45b/46a, 46b are respectively axially supported on the outside of the Y-direction plate portion, and as shown in FIG. 18 , in a situation where the gap between the gripping elevating bodies 45a, 46a/45b, 46b is maximized, Each parallel oscillation link 89a-90b is comprised so that it may incline diagonally upward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fting link member 88. As shown in FIG. Of course, in a situation in which the gap between the gripping elevating members 45a, 46a/45b, and 46b is maximized, each central elevating link member 88 is the It is located at a position most upwardly away from the support units 67a and 67b.

이하, 사용 방법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직사각형 프레임 구조체(4)로 둘러싸인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의 보관 에리어에는, 컨테이너(C)가 그 각 측변이 평면으로 보아 X방향과 Y방향에 평행하게 되는 방향으로 재치된다. 이때 이웃하는 컨테이너(C) 사이에는, 반송 장치(1)가 구비하는 파지용 승강체(45a∼46b)와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가 승강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또한, 보관 에리어 내에는, 1개의 컨테이너(C)를 독립하여 재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많은 경우에는, 평면으로 보아 사이즈가 동일한 복수의 컨테이너(C)가 단쌓기 된다. 물론, 컨테이너(C)의 평면으로 보아 사이즈는 설정된 최소 사이즈와 최대 사이즈의 범위 내에서 여러 사이즈의 것이 취급된다. 그리고, 보관 에리어 내에 재치된 컨테이너(C)마다의 위치 정보는, 도 20 및 도 2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C)의 평면으로 보아 중심 위치(P)의 보관 에리어 상의 X-Y 절대 좌표값으로서, 컨테이너 사이즈 정보나 단쌓기 정보 등, 다른 필요한 정보와 함께, 반송 장치(1)를 자동운전시키기 위한 제어 장치가 구비하는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다. Hereinafter, the usage method and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a storage area having a rectangular planar shape surrounded by the rectangular frame structure 4, the container C is placed in a direction in which each side is parallel to the X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in a plan view. is witty At this time, between the adjacent containers C, the space for the lifting/lowering bodies 45a-46b for holding and the raising/lowering bodies 65A, 65B for lifting with which the conveying apparatus 1 is equipped are ensured. Moreover, although it is also possible to mount one container C independently in a storage area, in planar view, several containers C with the same size are piled up. Of course, the size of the container C in plan view is handled within the range of the set minimum size and maximum size.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0 and 23, the position information for each container C placed in the storage area is an X-Y absolute coordinate value on the storage area of the central position P of the container C in plan view, It is recorded in the recording means provided by the control apparatus for automatically operating the conveying apparatus 1 together with other necessary information, such as container size information and tiering information.

한편, 이 보관 설비에 있어서 취급하는 모든 컨테이너(C)는, 도 23∼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상단과 그 직하 및 최하단의 3개소에서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해서 튀어나오는 보강용의 플랜지부(F1∼F3)를 구비함과 아울러, 바닥면에는 다리벽부(B)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평면 사이즈가 동일한 컨테이너(C)를 단쌓기 했을 때, 하측 컨테이너(C)의 개구부 내에 상측 컨테이너(C)의 다리벽부(B)가 끼워맞추어져 상하 양쪽 컨테이너(C)의 수평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함과 동시에, 하측 컨테이너(C)의 최상단 플랜지부(F1) 상에 상측 컨테이너(C)의 최하단 플랜지부(F3)가 겹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컨테이너(C)의 상측 상하 2개의 플랜지부(F1, F2)를 이 컨테이너(C)를 들어올릴 때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의 각 지지 유닛(67a, 67b)에서의 핀 형상 지지 도구(76a, 76b)가 걸어맞추어지는 돌출부로서 이용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23 to 25, all containers C handled in this storage facility are flange portions for reinforcing that continuously protrude over the entire perimeter at the uppermost stage and three places directly below and at the lowermost stage. (F1-F3) is provided, and the leg wall part B is provided in the bottom surface. Accordingly, when containers C having the same planar size are stacked, the leg wall portions B of the upper container C are fitted into the opening of the lower container C, and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upper and lower containers C While preventing the shift, the lowermost flange portion F3 of the upper container C is overlapped on the uppermost flange portion F1 of the lower container C. As shown in FIG.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lifting the container C, the upper and lower two flange portions F1 and F2 of the container C are lifted from each supporting unit 67a, 67b of the lifting body 65A, 65B. The pin-shaped support tools 76a and 76b are used as projections to be engaged.

반송 장치(1)가 구비하는 파지용 승강체(45a∼46b)와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는, 도 14 및 도 20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보아, X방향 1쌍의 주가동대(21a, 21b)와 Y방향 1쌍의 연동용 봉 형상체(32a, 32b)로 둘러싸인 사각형의 상하 방향 관통 개구부 내에서, 취급할 수 있는 컨테이너(C)의 평면으로 보아 최대 사이즈보다도 외측의 대기 홈 포지션에 위치하고, 측면에서 보아, 보관 에리어 내에서의 컨테이너 최대 단쌓기 높이보다도 상방의 상승 한계 높이에 대기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X방향 1쌍의 주가동대(21a, 21b)를,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이, X방향 구동 수단(22)의 모터(26)를 가동시켜 X방향으로 동기 접근 이동시킴과 아울러, 각 주가동대(21a, 21b) 상의 Y방향 1쌍의 부가동대(30a, 30b 및 31a, 31b)를,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이, Y방향 구동 수단(36)의 모터(40)를 가동시켜 Y방향으로 동기 접근 이동시킴으로써,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파지용 승강체(45a∼46b)가 둘러싸는 직각 평행사변형이 축소하게 되고, 반대로, X방향 1쌍의 주가동대(21a, 21b)를 X방향으로 동기 이간 이동시킴과 아울러, Y방향 1쌍의 부가동대(30a, 30b 및 31a, 31b)를 Y방향으로 동기 이간 이동시킴으로써, 파지용 승강체(45a∼46b)와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는 도 20a에서 나타내는 대기 홈 포지션으로 복귀한다.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는 항상 Y방향 1쌍의 파지용 승강체 45a, 45b 사이 및 46a, 46b 사이의 중앙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As shown in Figs. 14 and 20A, the lifting and lowering bodies 45a to 46b for gripping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bodies 65A and 65B for the carrying device 1 are equipped with are a pair of poles in the X direction in plan view. In the rectangular vertical through opening surrounded by the pillars 21a and 21b and the pair of interlocking rods 32a and 32b in the Y direction, the container C that can be handled is outside the maximum size in plan view. It is located in a stand-by home position, and it is waiting at the upper limit height of a rise rather than the container maximum stacking height in a storage area when viewed from the side. From such a state, the pair of main pillars 21a and 21b in the X direction are moved to move synchronously in the X direction by moving the motor 26 of the X direction driving means 22 as described above, and each main pillar As described above, a pair of additional armrests 30a, 30b and 31a, 31b in the Y direction on (21a, 21b) moves the motor 40 of the Y direction driving means 36 to move synchronously in the Y direction. By doing so, as shown in Fig. 10, the right-angled parallelogram surrounded by the four gripping elevating bodies 45a to 46b is reduced, and conversely, the pair of main pillars 21a and 21b in the X direction are moved in the X direction. By synchronously moving apart and moving a pair of additional armrests 30a, 30b and 31a, 31b in the Y-direction, synchronously spaced apart in the Y-direction, the gripping elevating bodies 45a-46b and the lifting elevating body 65A; 65B) returns to the standby home position shown in FIG. 20A. The lifting and lowering bodies 65A and 65B are always located at the central positions between the pair of gripping and lowering bodies 45a and 45b in the Y direction and between 46a and 46b.

즉 X방향 구동 수단(22)은, 4개의 파지용 승강체(45a∼46b)가 둘러싸는 직각 평행사변형의 중심 위치(P)를 통과하고 또한 당해 직각 평행사변형의 각 측변과 평행한 X방향 중심선(XL)과 Y방향 중심선(YL) 중, Y방향 중심선(YL)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동기시켜 4개의 파지용 승강체(45a∼46b)를 접근/이간 이동시키는 것이고, Y방향 구동 수단(36)은 X방향 중심선(XL)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동기시켜 4개의 파지용 승강체(45a∼46b)를 접근/이간 이동시키는 것이며, 이들 XY 양방향 구동 수단(22, 36)에 의해, 4개의 파지용 승강체(45a∼46b)가 둘러싸는 직각 평행사변형의 중심 위치(P)와 방향을 바꾸지 않고 당해 직각 평행사변형을 확대 축소시키도록, 4개의 파지용 승강체(45a∼46b)를 수평 방향으로 동기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That is, the X-direction driving means 22 passes through the central position P of the right-angled parallelogram surrounded by the four gripping elevators 45a to 46b and the X-direction center line parallel to each side of the right-angled parallelogram. Among the (XL) and the Y-direction center line (YL), the four gripping elevators 45a to 46b are moved to/from each other in synchronization with each other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Y-direction center line YL, and the Y-direction drive means 36 ) is to move the four gripping elevators 45a to 46b in synchronization with each other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X-direction center line XL to approach/separate, and by these XY bidirectional driving means 22 and 36, the four The four gripping elevators 45a to 46b are horizontally moved so that the right-angled parallelogram is enlarged and reduced without changing the central position P and the direction of the right-angled parallelogram surrounded by the lifting bodies 45a to 46b. I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moved synchronously.

보관 에리어 내의 특정 위치에 재치 보관되어 있는 컨테이너(C)를 출고시키는 경우에는, 그 출고 대상 컨테이너(C)의 위치 정보에 따라 반송 장치(1)를 자동운전시켜, 부주행체(3) 상의 대기 홈 포지션에 대기하고 있는 파지용 승강체(45a∼46b)를, 당해 파지용 승강체(45a∼46b)가 둘러싸는 직각 평행사변형의 중심 위치와 출고 대상 컨테이너(C)의 중심 위치(P)가 평면으로 보아 일치하는 위치(출고 동작 개시 위치)까지, 주주행체(2)를 Y방향으로 횡동시킴과 아울러 당해 주주행체(2) 상에서 부주행체(3)를 X방향으로 횡동시킨다. 출고 대상 컨테이너(C)의 바로 위 소정 위치인 출고 동작 개시 위치에, 대기 홈 포지션에서 대기하고 있는 파지용 승강체(45a∼46b)를 위치시키면, 출고 대상 컨테이너(C)의 평면 사이즈보다 소정 치수만큼 큰 직각 평행사변형의 각 코너 상당 위치(하강 개시 위치)까지, XY 양방향 구동 수단(22, 36)을 가동시켜 각 파지용 승강체(45a∼46b)를 동기 접근 이동시킨다. 이 대기 홈 포지션에서 대기하고 있는 파지용 승강체(45a∼46b)를 하강 개시 위치까지 동기 접근 이동시키는 행정은, 부주행체(3) 상의 대기 홈 포지션에 대기하고 있는 파지용 승강체(45a∼46b)를 상기 출고 동작 개시 위치까지 X, Y 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행정과 중복시켜 행할 수도 있다. When releasing the container C placed and stored at a specific position in the storage area, the transport device 1 is automatic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hipping target container C, and the standby groove on the auxiliary traveling body 3 is carried out. The center position of the right-angled parallelogram surrounding the lifting members 45a to 46b for gripping stand-by at the position and the center position P of the shipping object container C are flat. The main traveling body 2 is traversed in the Y-direction, and the sub-running body 3 is traversed in the X-direction on the main traveling body 2 to a position (departure operation start position) that coincides with the . When the lifting and lowering bodies 45a to 46b for holding stand-by at the standby home position are positioned at the delivery operation start position, which is a predetermined position just above the shipment target container C, a predetermined size is greater than the plane size of the shipment target container C. The XY bidirectional driving means 22 and 36 are actuated to move each gripping elevating body 45a to 46b synchronously approaching to each corner-equivalent position (fall starting position) of the right-angled parallelogram as large as that. The stroke for synchronously approaching and moving the holding elevators 45a to 46b waiting at the standby home position to the lowering start position is the gripping lifting members 45a to 46b waiting at the standby home position on the auxiliary traveling body 3 . ) may be overlapped with the process of moving in the X and Y directions to the starting position of the leaving operation.

출고 동작 개시 위치에 있어서, 파지용 승강체(45a∼46b)를 하강 개시 위치에 위치시키면, 승강 구동 수단(57A, 57B)을 가동시켜, 파지용 승강체(45a∼46b) 및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의 수직 봉 형상 본체(66)를 일체로, 당해 수직 봉 형상 본체(66)의 하단의 벨트 연결판(68)이 보관 에리어의 바닥면에 근접하는 하강 한계 레벨까지 동기 하강 이동시킨다. 다음에 XY 양방향 구동 수단(22, 36)을 가동시켜, 출고 대상 컨테이너(C)의 4개의 코너부(각 플랜지부(F1∼F3)의 코너부)로부터 등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는 각 파지용 승강체(45a∼46b)를, 출고 대상 컨테이너(C)의 중심 위치(P)를 향하여 동기 접근 이동시킴으로써,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들 각 파지용 승강체(45a∼46b)의 끼워맞춤부(47)를 출고 대상 컨테이너(C)의 각 코너부에 끼워맞추어지게 하고, 각 끼워맞춤부(47)의 직각 양측변의 미끄러짐 방지용 띠 형상체(48)를 출고 대상 컨테이너(C)의 각 코너부에 가압 접촉시킨다. In the leaving operation start position, when the holding lifting bodies 45a to 46b are positioned at the lowering start position, the lifting/lowering driving means 57A, 57B will be moved, and the gripping lifting bodies 45a to 46b and the lifting/lowering objects will be moved. The vertical rod-shaped body 66 of the sieves 65A and 65B is integrated, and the belt connecting plate 68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rod-shaped body 66 is synchronously lowered to the lowering limit level clos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area. move Next, the XY bidirectional driving means 22 and 36 are actuated, and each gripping lift is located at a position equidistant from the four corners (corners of the flanges F1 to F3) of the shipping target container C. By moving the sieves 45a to 46b synchronously toward the central position P of the shipping target container C, as shown in FIG. 23 , the fitting portion of each of these lifting and lowering bodies 45a to 46b for holding. (47) to fit into each corner of the shipping target container (C), and each corner portion of the shipping target container (C), the non-slip strip-shaped body 48 on both sides at right angles of each fitting section (47) pressurized contact with

이때, 파지용 승강체(45a∼46b)를 내측에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용점은 이들 파지용 승강체(45a∼46b)에 부설되어 있는 승강용 가이드 레일(49)에 대한 지지 부재(43a∼44b)측의 슬라이드 블록(50)의 위치이며, 보관 에리어의 바닥면 상의 컨테이너(C)를 파지시킬 때는, 상기 작용점인 지지 부재(43a∼44b)측의 슬라이드 블록(50)의 위치로부터, 파지용 승강체(45a∼46b)가 하방을 향하여 길게 연장된 캔틸레버 상태에 있지만, 이들 4개의 파지용 승강체(45a∼46b)는, 평행사변형 링크 기구(81A, 81B/85A, 85B)에 의해 X방향 및 Y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이들 평행사변형 링크 기구(81A, 81B/85A, 85B)는 X방향 및 Y방향으로 병렬하는 파지용 승강체(45a, 45b 및 46a, 46b)를 서로 평행 자세로 유지함과 동시에, 그 중앙의 중앙 승강 링크 부재(82)나 중앙 승강 링크 부재(88)에 작용하는 중력이, 각 평행 요동 링크(83a∼84b, 89a∼90b)를 통하여 파지용 승강체(45a∼46b)를, X방향 및 Y방향으로 서로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고 있으므로, 이들 4개의 파지용 승강체(45a∼46b)에 의해 단쌓기 컨테이너(C)의 각 코너를 확실하게 파지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oint of action of moving the gripping elevating bodies 45a to 46b in the X and Y directions is a support member ( It is the position of the slide block 50 on the side of 43a-44b), and when holding the container C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area, from the position of the slide block 50 on the side of the support member 43a-44b which is the said action point. , the holding elevators 45a to 46b are in a cantilever state extending downwardly, but these four holding elevators 45a to 46b are connected to the parallelogram link mechanisms 81A, 81B/85A, 85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X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by While maintaining in the parallel posture, the gravity acting on the central center lifting link member 82 and the central lifting link member 88 is applied via the respective parallel swing links 83a to 84b and 89a to 90b for the gripping elevator body. Since the (45a-46b) is elastically pressed in the direction to approach each other in the X-direction and the Y-direction, each corner of the tiered container (C) is reliably gripped by these four holding lifting bodies (45a-46b). can do it

이때,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의 수직 봉 형상 본체(66)는, 출고 대상 컨테이너(C)의 Y방향과 평행한 양측면의 폭 방향 중앙 위치를 향하여 X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접근 이동하지만, 당해 수직 봉 형상 본체(66)에 지지되어 있는 상하 2단의 지지 유닛(67a, 67b)은,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보아, Y방향 양측의 파지용 승강체(45a, 45b/46a, 46b)에서의 X방향의 맞닿음면(미끄러짐 방지용 띠 형상체(48)의 표면)보다도 핀 형상 지지 도구(76a, 76b)가 내측으로 돌출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파지용 승강체(45a∼46b)의 끼워맞춤부(47)가 출고 대상 컨테이너(C)의 각 코너부에 끼워맞추어지는 과정에서, 상하 2단의 지지 유닛(67a, 67b)이 구비하는 핀 형상 지지 도구(76a, 76b) 중, 출고 대상 컨테이너(C)의 외측면, 즉 각 플랜지부(F1∼F3)의 둘레측면에 선단면이 일부라도 맞닿는 위치에 있는 핀 형상 지지 도구는, 당해 각 플랜지부(F1∼F3)의 둘레측면에 의해 받아지므로, 압축 코일 스프링(78)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케이싱(75) 내로 상대적으로 퇴몰하고, 그 이외의 핀 형상 지지 도구는 지지 유닛(67a, 67b)의 이동에 따라 각 플랜지부(F1∼F3)의 상하 양측에 돌출 상태로 들어가게 된다. At this time, the vertical bar-shaped body 66 of the lifting bodies 65A and 65B moves linearly in the X direction toward the central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both sides parallel to the Y direction of the shipping target container C. , the upper and lower two-stage support units 67a, 67b supported by the vertical bar-shaped body 66 are, as shown in FIG. 23, planar view, the holding lifting bodies 45a, 45b on both sides in the Y direction. Since the pin-shaped support tools 76a and 76b protrude inward from the abutting surface in the X direction (the surface of the anti-slip strip 48) in /46a, 46b, as described above, the gripping In the process in which the fitting portion 47 of the elevating body 45a to 46b is fitted to each corner portion of the shipping target container C, the pin-shaped support tool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two-stage support units 67a, 67b Among (76a, 76b), the pin-shaped support tool located at a position where at least a part of the tip surface abuts against the outer surface of the shipping target container C, that is, the peripheral surface of each flange portion F1 to F3, each flange portion ( Since it is received by the circumferential side surfaces of F1 to F3, it is relatively retracted into the casing 75 by resisting the elastic urging force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78, and the other pin-shaped support tools are the support units 67a and 67b. As it moves, it enters into a protruding state on both upper and lower sides of each of the flanges F1 to F3.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단쌓기 되어 있는 출고 대상 컨테이너(C) 중, 최하단의 컨테이너(C1)와 그 바로 위의 컨테이너(C2)가 하측의 지지 유닛(67b)에 인접함과 아울러, 중간 높이에 위치하는 상하 2개의 컨테이너(Cu, Cd)가 상측의 지지 유닛(67a)에 인접해 있고, 이들 상하 2단의 지지 유닛(67a, 67b)에서의 핀 형상 지지 도구(76a, 76b) 중, 각 지지 유닛(67a, 67b)에 인접하는 각각 상하 2단의 컨테이너(C1, C2) 사이 및 컨테이너(Cu, Cd) 사이에서 상하로 겹쳐 있는 플랜지부(F3, F1)와 하측의 컨테이너(C1, Cd)의 2단째의 플랜지부(F2)에 대면하게 되는 몇 개의 핀 형상 지지 도구(76a, 76b)가 압축 코일 스프링(78)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케이싱(75) 내로 상대적으로 퇴몰되고, 다른 핀 형상 지지 도구(76a, 76b)는 돌출 상태 그대로, 각 컨테이너(C1, C2, Cu, Cd)의 상하 양쪽 플랜지부(F1, F2) 사이 및 상하 양쪽 플랜지부(F2, F3) 사이로 들어가게 된다(도 24의 좌측 절반의 상태).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4 and FIG. 25, among the stacked shipment object containers C, the container C1 of the lowest stage and the container C2 immediately above it are adjacent to the lower support unit 67b, and, while , two upper and lower containers (Cu, Cd) positioned at an intermediate height are adjacent to the upper support unit 67a, and pin-shaped support tools 76a, 76b in these upper and lower two-stage support units 67a, 67b. ), the flange portions F3 and F1 overlapping vertically between the containers C1 and C2 of the upper and lower two stages adjacent to each of the supporting units 67a and 67b and between the containers Cu and Cd and the lower container Several pin-shaped support tools 76a and 76b facing the second-stage flange portion F2 of (C1, Cd) resist the elastic urging force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78 and relatively retract into the casing 75. and the other pin-shaped support tools 76a and 76b remain protrud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lange portions F1 and F2 an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lange portions F2 and F3 of each container C1, C2, Cu, Cd. (the state of the left half of FIG. 24).

다음에 승강 구동 수단(57A, 57B)을 가동시켜, 하강 한계 레벨에 있는 파지용 승강체(45a∼46b) 및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의 수직 봉 형상 본체(66)를 일체로, 상승 한계 레벨까지 동기 상승 이동시키면, 수직 봉 형상 본체(66)의 하단의 벨트 연결판(68)과 중간 높이의 수납 부재(72)로 지지되어 있는 상태의 지지 유닛(67a, 67b)의 상승에 의해, 이들 지지 유닛(67a, 67b)의 핀 형상 지지 도구(76a, 76b) 중, 각 컨테이너(C)의 상측 상하 2개의 플랜지부(F1, F2)의 바로 아래에 돌출 상태로 위치해 있는 핀 형상 지지 도구, 도 25의 예에서는, 흑색으로 나타낸 내측 좌우 1쌍의 핀 형상 지지 도구(76a)가 최하단의 컨테이너(C1)와 중간 높이의 컨테이너(Cd)를 각각의 플랜지부(F1, F2)를 통하여 들어올리게 된다. 물론, 상하 2개의 플랜지부(F1, F2) 사이의 간격이나 플랜지부(F2, F3) 사이의 간격, 또는 플랜지부(F1, F2)의 두께에 따라서는, 그 어느 일방의 플랜지부(F1/F2)만을 통하여 최하단의 컨테이너(C1)와 중간 높이의 컨테이너(Cd)가 핀 형상 지지 도구(76a, 76b)의 내측 좌우 1쌍의 핀 형상 지지 도구(76a) 또는 외측 좌우 1쌍의 핀 형상 지지 도구(76b)에 의해 들어올려지게 된다. Next,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means 57A and 57B are actuated, and the vertical rod-shaped body 66 of the gripping elevating bodies 45a to 46b and the lifting elevating bodies 65A and 65B at the lowering limit level are integrated. , when the synchronous upward movement is made to the lifting limit level, the support units 67a and 67b in a state supported by the belt connecting plate 68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rod-shaped body 66 and the storage member 72 at the intermediate height are raised. By this, among the pin-shaped support tools 76a, 76b of these support units 67a, 67b, the pins located in a protruding state just below the upper, upper and lower two flange portions F1, F2 of each container C. In the example of the shape support tool, FIG. 25, a pair of inner left and right pin shape support tools 76a shown in black connect the lowermost container C1 and the intermediate height container Cd to the flange portions F1 and F2, respectively. is lifted through Of course, depending o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wo flange portions F1, F2, the space between the flange portions F2, F3, or the thickness of the flange portions F1, F2, either one of the flange portions F1/ Only through F2), the lowermost container C1 and the intermediate container Cd support the inner left and right pair of pin-shaped support tools 76a or the outer left and right pair of pin-shaped support tools 76a, 76b. It is lifted by the tool 76b.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이, 상측의 지지 유닛(67a)으로 들어올려지는 컨테이너(Cd)가 존재할 때는, 당해 컨테이너(Cd)를 최하단으로 하는 상측 단쌓기 컨테이너 그룹과, 당해 컨테이너(Cd)의 직하의 컨테이너를 최상단으로 하는 하측 단쌓기 컨테이너 그룹으로 나뉘어, 상측 단쌓기 컨테이너 그룹은 그 최하단의 컨테이너(C)를 통하여 상측의 지지 유닛(67a)이 들어올리고, 하측 단쌓기 컨테이너 그룹은 그 최하단의 컨테이너(C1)를 통하여 하측의 지지 유닛(67b)이 들어올리게 된다. 당연히, 단쌓기된 컨테이너(C)의 단수가 적어, 상기한 바와 같이 상측의 지지 유닛(67a)으로 들어올려지는 컨테이너(Cd)가 존재하지 않을 때는, 하측의 지지 유닛(67b)이 최하단의 컨테이너(C1)를 통하여 단쌓기된 컨테이너(C)를 들어올리게 된다. As is clear from the above description, when there is a container Cd lifted by the upper support unit 67a as described above, an upper tiered container group with the container Cd as the lowest end, and the container ( It is divided into a lower tiered container group with the container directly under Cd) as the uppermost stage, the upper tiered container group is lifted by the upper support unit 67a through the lowermost container (C), and the lower tiered container group is The lower support unit 67b is lifted through the lowermost container C1. Naturally, when the number of stages of the stacked containers C is small and there is no container Cd lifted by the upper support unit 67a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support unit 67b is the lowest container The stacked container (C) is lifted through (C1).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출고 대상의 컨테이너(C)가, X방향 1쌍의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에 의해, 보관 에리어의 바닥면 상에서 수직 상방으로 들어올려지지만, 이때, 당해 출고 대상의 컨테이너(C)의 4개의 코너부에는, 상기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와 일체로 상승하는 4개의 파지용 승강체(45a∼46b)의 각 끼워맞춤부(47)가 끼워맞추어져 파지하고 있으므로, 당해 출고 대상의 컨테이너(C)는 그 전체가 수직 단쌓기 자세로 유지되고 있어, 단쌓기된 컨테이너(C)의 전체가 가로 방향으로 기울어져 움직이는 것과 같은 일은 방지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C to be shipped is lifted vertically upward on the floor surface of the storage area by a pair of lifting and lowering bodies 65A and 65B in the X direction. Fitting portions 47 of the four holding elevators 45a to 46b that rise integrally with the lifting elevators 65A and 65B are fitted to the four corner portions of the container C of Since the container C to be shipped is kept in a vertical stacking posture, it is prevented that the entire container C stack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ilts and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4개의 파지용 승강체(45a∼46b)에 의해 위치 결정됨과 아울러 X방향 1쌍의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에 의해 지지된 출고 대상의 컨테이너(C)가 상승 한계 레벨까지 들어올려졌다면, 반송 장치(1)의 자동운전에 의해, 주주행체(2)를 Y방향으로 횡동시킴과 아울러 당해 주주행체(2) 상에서 부주행체(3)를 X방향으로 횡동시켜, 이 출고 대상의 컨테이너(C)를, 보관 에리어 내에 단쌓기 상태로 보관되어 있는 컨테이너(C)의 최고 높이보다도 높은 레벨로, 출고용 컨베이어(7)의 옮겨싣기용 단부(7a)의 바로 위 위치까지 수평으로 반송시킨다. 한편, 4개의 파지용 승강체(45a∼46b)에 의해 위치 결정됨과 아울러 X방향 1쌍의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에 의해 지지된 출고 대상의 컨테이너(C)가 상승 한계 레벨까지 들어올려졌을 때, 당해 출고 대상의 컨테이너(C)는, X방향 1쌍의 주가동대(21a, 21b)와 Y방향 1쌍의 연동용 봉 형상체(32a, 32b)로 둘러싸인 사각형의 상하 방향 관통 개구부에서, 부주행체(3)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에 있다. The container C for shipment supported by a pair of lifting and lowering bodies 65A, 65B for X direction while being positioned by the four holding|lifting bodies 45a-46b is lifted to a lifting limit level, If it loses, the automatic operation of the conveying device 1 causes the main traveling body 2 to traverse in the Y direction and the auxiliary traveling body 3 to traverse in the X direction on the main traveling body 2, and the container to be shipped (C) is horizontally conveyed to the position just above the end part 7a for transfer of the conveyor 7 for leaving at a level higher than the highest height of the container C stored in the storage area in a stacked state . On the other hand, while being positioned by the four holding|lifting bodies 45a-46b, the container C of shipment object supported by a pair of X-direction raising/lowering bodies 65A, 65B is raised to a limit level. When lifted, the container C to be shipped pas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a rectangle surrounded by a pair of main travel rods 21a and 21b in the X direction and a pair of interlocking rods 32a and 32b in the Y direction. In the opening part, it is in the state which penetrated the sub-carrier 3 in the up-down direction.

이 다음, 4개의 파지용 승강체(45a∼46b)와 X방향 1쌍의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를, 출고 대상 컨테이너(C)를 보관 에리어의 바닥면 상에서 들어올리는 동작과는 정반대의 수순으로 작동시킴으로써, 4개의 파지용 승강체(45a∼46b)에 의해 위치 결정됨과 아울러 X방향 1쌍의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에 의해 지지된 출고 대상의 컨테이너(C)를, 출고용 컨베이어(7)의 옮겨싣기용 단부(7a) 위에 내릴 수 있다. 또한, 입고용 컨베이어(6)에 의해 그 옮겨싣기용 단부(6a)까지 반입된 입고 대상 컨테이너를 보관 에리어 내의 빈 스페이스에 입고할 때는, 출고 대상 컨테이너(C)를 보관 에리어의 바닥면 상에서 들어올릴 때와 동일한 요령으로, 입고용 컨베이어(6)의 옮겨싣기용 단부(6a) 위에 위치하는 입고 대상 컨테이너를 4개의 파지용 승강체(45a∼46b)와 X방향 1쌍의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에 의해 상승 한계 레벨까지 들어올린 후, 입고 대상 위치까지 반송 장치(1)의 자동운전에 의해 반송하고, 이 후, 출고 대상 컨테이너(C)를 출고용 컨베이어(7)의 옮겨싣기용 단부(7a) 위에 내릴 때와 동일한 요령으로, 입고 대상 빈 스페이스 위에 입고 대상 컨테이너를 내리면 된다. Next, the operation of lifting the four holding elevators 45a to 46b and a pair of the lifting elevators 65A and 65B in the X direction on the floor surface of the storage area for the container C to be shipped out is different from the operation. Container C to be shipped out supported by a pair of lifting and lowering bodies 65A and 65B in the X direction while being positioned by the four holding elevators 45a to 46b by operating in the opposite order. can be lowered on the end 7a for transfer of the conveyor 7 for leaving. In addition, when warehousing the warehousing target container carried in by the warehousing conveyor 6 to the end part 6a for loading into the empty space in the storage area, the warehousing target container C is lifted on the floor surface of the storage area. In the same manner as at the time, the warehousing target container located on the transfer end 6a of the warehousing conveyor 6 is set for four holding elevating bodies 45a-46b and a pair of X-direction lifting elevating bodies ( 65A, 65B) after lifting to the limit level of the lift, conveying by automatic operation of the conveying apparatus 1 to the warehousing target position, and, after that, transfer of the shipment target container C of the shipment conveyor 7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lower the warehousing object container on the warehousing object empty space by the same method as when getting down on the dragon edge part 7a.

상기 보관 설비에서는, 1개의 컨테이너 또는 단쌓기 상태의 복수의 컨테이너의 전체를, 보관 에리어 상의 특정 위치로부터 출고용 컨베이어(7)의 옮겨싣기용 단부(7a)까지 반송 출고하거나 또는 입고용 컨베이어(6)의 옮겨싣기용 단부(6a) 상에서 보관 에리어 상의 빈 스페이스까지 반송 입고할 수 있는 것이지만, 다른 컨테이너의 입출고 방법으로서는, 단쌓기 되어 있는 컨테이너 중의 특정 컨테이너(C)만을 출고하는 개별 출고 방법이나, 입고용 컨베이어(6)의 옮겨싣기용 단부(6a) 상에 위치하는 단쌓기 컨테이너 중의 특정 컨테이너(C)만을 입고하는 개별 입고 방법, 또는 보관 에리어 내에 보관되어 있는 다른 컨테이너 상에 동일 평면 사이즈의 입고 대상 컨테이너를 단쌓기 입고하는 방법 등이 실시 가능하다. In the said storage facility, one container or the whole of several containers of a stacking state is conveyed and shipped from the specific position on a storage area to the end part 7a for transfer of the conveyor 7 for shipment, or the conveyor 6 for warehousing. ) can be transported and stored on the end 6a for loading to an empty space on the storage area, but as a method of loading and unloading other containers, an individual shipment method of leaving only a specific container (C) among stacked containers, or warehousing An individual warehousing method of warehousing only a specific container C among tiered containers located on the transfer end 6a of the conveyor 6, or a warehousing object of the same plane size on another container stored in the storage area A method of stacking and warehousing containers can be implemented.

개별 입출고 방법은, 당해 개별 입출고 대상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단쌓기 컨테이너(C)에 대하여, 4개의 파지용 승강체(45a∼46b)와 X방향 1쌍의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를, 개별 입출고 대상 컨테이너의 바닥면 레벨 근처까지 하강시킨 후,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은 컨테이너 들어올림 동작을 행하게 한다. 이 결과, 개별 입출고 대상 컨테이너가 최하단에 위치하는 상태의 단쌓기 컨테이너(C)를 상승 한계 레벨까지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이 후, 당해 단쌓기 컨테이너(C)를 목적의 내림 위치(출고용 컨베이어(7)의 옮겨싣기용 단부(7a), 또는 보관 에리어 상의 빈 스페이스, 혹은 보관 에리어에 보관되어 있는 동일 평면 사이즈의 컨테이너)의 바로 위 위치까지 수평으로 반송하고, 당해 목적의 내림 위치에 단쌓기 컨테이너(C)를 내린다. 이 다음, 단쌓기 컨테이너(C)로부터 횡측방으로 해방시킨 4개의 파지용 승강체(45a∼46b)와 X방향 1쌍의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를 상승 한계 레벨까지 상승시키는 것이 아니고, 내린 단쌓기 컨테이너(C)로부터, 개별 입출고 대상 컨테이너인 최하단의 컨테이너 위에 단쌓기 되어 있는 개별 입출고 대상 이외의 컨테이너 모두를 들어올리는 동작을 행하게 한다. 이 결과, 목적의 내림 위치에는 개별 입출고 대상 컨테이너만이 남게 되고, 개별 입출고 대상 컨테이너의 입출고 작업이 완료된다. 개별 입출고 대상 컨테이너를 남기고 들어올린 개별 입출고 대상 이외의 컨테이너(C)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은 수순으로, 원래의 장소나 신규 장소로 반송하여 내릴 수 있다. In the individual storage and retrieval method, four holding elevators 45a to 46b and a pair of lifting and lowering elements 65A and 65B in the X direction are used with respect to the stacked container C including the container for individual storage and retrieval. , after descending to near the floor level of the individual storage and retrieval target containers, the container lifting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As a result, since the tiered container (C) in a state where the individual warehousing target container is located at the lowest level can be raised to the level of the lifting limit, thereafter, the tiered container (C) is moved to the target lowering position (conveyor for shipment ( 7), or an empty space on the storage area, or a container of the same flat size stored in the storage area) is conveyed horizontally to the position immediately above, and the tiered container is placed at the lowering position for the purpose. (C) down. Next, raising the four gripping elevators 45a to 46b laterally released from the tiered container C and a pair of the lifting elevators 65A and 65B in the X direction to the lifting limit level Instead, from the lowered tiered container C, an operation is performed to lift all containers other than the individual warehousing objects stacked on the lowest container that is the individual warehousing target container. As a result, only the individual warehousing target container remains at the target unloading position, and the warehousing operation of the individual warehousing target container is completed. Containers C other than the individual warehousing and retrieval objects that have been lifted leaving the individual warehousing target containers can be transported and unloaded to the original location or the new location in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above.

상기한 바와 같이, 4개의 파지용 승강체(45a∼46b)에 의해 위치 결정됨과 아울러 X방향 1쌍의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에 의해 지지된 1개 또는 단쌓기 상태의 입출고 대상 컨테이너(C)를 목적의 장소에 내릴 때는, 당해 입출고 대상 컨테이너(C)가 목적의 장소에서 받아진 후, 조금 지지 유닛(67a, 67b)이 하강하여, 당해 입출고 대상 컨테이너(C)의 플랜지부(F1/F2)를 지지하고 있던 핀 형상 지지 도구(76a, 76b)가 당해 플랜지부(F1/F2)로부터 하방으로 약간 떨어지도록, 승강 구동 수단(57A, 57B)을 제어함으로써, 4개의 파지용 승강체(45a∼46b)와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를 입출고 대상 컨테이너(C)로부터 외측으로 이간 이동시킬 때, 당해 입출고 대상 컨테이너(C)의 플랜지부(F1/F2)와 이것을 지지하고 있던 핀 형상 지지 도구(76a, 76b) 사이의 무리한 미끄럼 접촉을 피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ile positioning by the four holding elevators 45a to 46b, and supported by a pair of lifting and lowering bodies 65A and 65B in the X direction, one or tiered entry/exit object When the container C is unloaded at the target place, after the said warehousing object container C is received at the target place, the support units 67a, 67b descend a little, and the flange part of the said warehousing target container C By controlling the lifting driving means 57A, 57B so that the pin-shaped support tools 76a and 76b supporting the (F1/F2) are slightly separated downward from the flange portion F1/F2, the four gripping When moving the elevating body 45a-46b and the elevating body 65A, 65B for lifting to the outside from the container C for warehousing and discharging, the flange part F1/F2 of the said warehousing target container C and this The excessive sliding contact between the pin-shaped support tools 76a and 76b supported can be avoided.

그렇지만, 상기 구성에서는,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의 수직 봉 형상 본체(66)에 대하여 지지 유닛(67a, 67b)이 정위치에 중력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뿐이며, 당해 정위치로부터 상방으로는 중력에 저항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가령,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의 수직 봉 형상 본체(66)가 상기의 이상 위치보다도 하강한 위치에서 정지하는 것과 같은 상황에 있어도, 입출고 대상 컨테이너(C)의 플랜지부(F1/F2)의 상측에 위치해 있던 핀 형상 지지 도구(76a, 76b)를 통하여 지지 유닛(67a, 67b)이 입출고 대상 컨테이너(C)에 의해 지지되고, 들어올림용 승강체(65A, 65B)의 수직 봉 형상 본체(66)가 지지 유닛(67a, 67b)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강하할 뿐이며, 입출고 대상 컨테이너(C)의 플랜지부(F1/F2)의 상측에 위치해 있던 핀 형상 지지 도구(76a, 76b)가 당해 플랜지부(F1/F2)를 위에서 내리누르게 되지는 않는다. However,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upporting units 67a and 67b are only supported by gravity at a fix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bar-shaped body 66 of the lifting members 65A and 65B, and upward from the fixed position. Since it can move freely against gravity, for example,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vertical bar-shaped body 66 of the lifting members 65A and 65B stops at a lowered position than the above-mentioned abnormal position, the loading and unloading The support units 67a and 67b are supported by the container C for loading and unloading via the pin-shaped support tools 76a and 76b positioned above the flange portion F1/F2 of the target container C, and lifted. The vertical rod-shaped body 66 of the elevating body 65A, 65B only descends relatively with respect to the support units 67a and 67b, and is located above the flange portion F1/F2 of the container C for storage and shipment. The existing pin-shaped support tools 76a and 76b do not depress the flange portions F1/F2 from above.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4개의 파지용 승강체(45a∼46b)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컨테이너(C)의 평행 2측면의 수직 중심선에 대하여 양측 대칭에 위치하는 1쌍의 핀 형상 지지 도구(76a, 76b)의 간격을 벌림으로써, 4개의 파지용 승강체(45a∼46b)가 없더라도, 안정적으로 컨테이너(C)를 들어올려 반송할 수 있다. 물론, 컨테이너(C)의 4측면 각각에 대응하는 4개의 들어올림용 승강체를 배열 설치하여, 4개의 파지용 승강체(45a∼46b)가 없더라도, 한층 안정적으로 컨테이너(C)를 들어올려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 gripping lifting members 45a to 46b are not essential. For example, by widening the space|interval of a pair of pin-shaped support tools 76a, 76b located both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perpendicular|vertical center line of the two parallel sides of the container C, the four holding|lifting body 45a-46b for holding. ), it is possible to stably lift and transport the container (C). Of course, by arranging four lifting and lowering bodi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our sides of the container C, the container C is lifted and transported more stably even if there are no four gripping elevators 45a to 46b.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it to do so.

(산업상의 이용가능성)(industrial applicability)

본 발명의 컨테이너 승강 반송 장치는 각종 사이즈의 단쌓기 된 컨테이너의 보관 설비에 있어서, 단쌓기 컨테이너의 입출고 작업용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The container lifting and transpor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utilized for storage of stacked containers of various sizes for storage of stacked containers.

C, C1, C2, Cu, Cd 컨테이너
F1∼F3 컨테이너의 플랜지부
B 컨테이너의 다리벽부
1 천장 주행 크레인형의 반송 장치
2 주주행체
3 부주행체
4 직사각형 프레임 구조체
6 입고용 컨베이어
7 출고용 컨베이어
6a, 7a 이동용 단부
8a, 8b 대차부
11a, 1lb, 14, 23a, 23b, 37a, 37b 타이밍 벨트
13, 15, 26, 40 모터
20a, 20b, 29a, 29b, 33a, 33b 가이드 레일
21a, 21b 주가동대
22 X방향 구동 수단
30a∼31b 부가동대
36 Y방향 구동 수단
45a∼46b 파지용 승강체
47 끼워맞춤부
49 승강용 가이드 레일
51A, 51B 연결 수단
53, 54, 71, 79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
55 L형 지지판
56 지지판
57A, 57B 승강 구동 수단
59 공통 구동축
60a, 60b 구동 풀리
61 브레이크 부착 모터
62a∼63b 안내 풀리
64a, 64b 승강 구동용 타이밍 벨트
65A, 65B 들어올림용 승강체
66 수직 봉 형상 본체
67a, 67b 지지 유닛
75 케이싱
76a, 76b 핀 형상 지지 도구
78 압축 코일 스프링
81A , 81B, 85A , 85B 평행 사변형 링크 기구
82, 88 중앙 승강 링크 부재
83a∼84b, 89a∼90b 평행 요동 링크
86, 87 승강 링크 유닛
C, C1, C2, Cu, Cd container
F1-F3 Container Flange
B container leg wall
1 Ceiling traveling crane type conveying device
2 main body
3 sub-body
4 rectangular frame structure
6 warehousing conveyor
7 Conveyor for shipment
6a, 7a moving end
8a, 8b bogie
11a, 1lb, 14, 23a, 23b, 37a, 37b timing belt
13, 15, 26, 40 motors
20a, 20b, 29a, 29b, 33a, 33b guide rail
21a, 21b share price movement
22 X-direction drive means
30a~31b additional wing
36 Y-direction drive means
45a~46b Gripping Elevator
47 Fitting part
49 Elevating guide rail
51A, 51B connection means
53, 54, 71, 79 slide guide rail
55 L-shaped support plate
56 support plate
57A, 57B elevating drive means
59 common drive shaft
60a, 60b drive pulley
61 motor with brake
62a~63b guide pulley
Timing belt for 64a, 64b elevating drive
65A, 65B Elevator for lifting
66 vertical rod-shaped body
67a, 67b support unit
75 casing
76a, 76b Pin Shape Support Tool
78 Compression Coil Spring
81A, 81B, 85A, 85B parallelogram link mechanism
82, 88 No central lifting link
83a to 84b, 89a to 90b Parallel oscillation link
86, 87 Elevating Link Units

Claims (5)

평면 형상이 직각 평행사변형의 물품 반송용 컨테이너에 있어서의 평행 2측면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들어올림용 승강체가, 지지용 구조체에 승강과 서로 접근/이간 이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각 들어올림용 승강체에는 컨테이너의 상기 평행 2측면 각각에 대면하는 지지 유닛이 부착되고, 이들 각 지지 유닛에는 컨테이너의 상기 평행 2측면 각각의 수직 중심선에 대하여 양측 대칭 위치에서 컨테이너측으로 돌출하는 1쌍의 핀 형상 지지 도구가 상하 방향 적당 간격을 두고 배열 지지되고, 이들 각 핀 형상 지지 도구는 출퇴 자유롭고 스프링에 의해 돌출 위치에 탄성 가압 유지된 것이며, 간격이 좁은 1쌍의 핀 형상 지지 도구와 간격이 넓은 1쌍의 핀 형상 지지 도구가 상하 방향 번갈아 배열되어 있는 컨테이너 승강 반송 장치.At least two lifting and lowering bodies corresponding to each of two parallel sides in a container for transporting articles having a right-angled parallelogram in planar shape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structure so as to move freely to and from each other, and each lifting and lowering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tructure. A support unit facing each of the two parallel sides of the container is attached to the sieve, and to each of these support units, a pair of pin-shaped support tools projecting toward the container side at both sides symmetrical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enterline of each of the two parallel sides of the container is arranged and supported at appropriate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each of these pin-shaped support tools is free to move and is held elastically at the protruding position by a spring. A container lifting and transporting device in which shape support tools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간격이 좁은 1쌍의 핀 형상 지지 도구의 상하 간의 중앙 높이에 간격이 넓은 1쌍의 핀 형상 지지 도구가 배치되고, 측면에서 보아 간격이 넓은 1쌍의 핀 형상 지지 도구와 간격이 좁은 1쌍의 핀 형상 지지 도구가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승강 반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pair of wide-spaced pin-shaped support tools are arranged at the center height between the top and bottom of a pair of narrowly spaced pin-shaped support tools, and a pair of widely spaced pin-shaped support tools and a pair of narrowly spaced The container lift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e comprised so that a pin-shaped support tool may overlap.
제 1 항에 있어서,
각 들어올림용 승강체에는 복수의 지지 유닛이 상하 방향 적당 간격을 두고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승강 반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container lifting and transp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upport units are supported at appropriate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each lifting body.
제 1 항에 있어서,
각 들어올림용 승강체에는 승강과 서로 접근/이간 이동 자유롭게 지지용 구조체에 지지된 수직 봉 형상 본체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수직 봉 형상 본체에 대하여 승강 자유롭고, 당해 수직 봉 형상 본체의 일정 높이 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승강 반송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vertical bar-shaped body supported by a support structure is provided on each lifting body to move freely approaching/aparting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lifting and lowering, and the support unit is freely raised and lower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bar-shaped body, and the vertical bar-shaped body is fixed It is supported at a height position, The container raising/lowering conveyance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4 항에 있어서,
각 지지 유닛은 상기 핀 형상 지지 도구를 상기 수직 봉 형상 본체의 양측에 반분하여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스프링을 내장하는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 봉 형상 본체, 당해 수직 봉 형상 본체의 컨테이너측의 면에 부설된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 및 이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에 끼워맞추어지도록 상기 케이싱에 부설된 슬라이드 블록이 측면에서 보아 상기 케이싱의 내측으로 들어가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승강 반송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Each support unit supports the pin-shaped support tool in half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rod-shaped body and includes a casing containing the spring, the vertical rod-shaped body and the container side of the vertical rod-shaped body A container lifting and transp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lide guide rail laid on the surface and a slide block attached to the casing to fit on the slide guide rail are configured to enter inside the casing when viewed from the side.
KR1020167033705A 2014-06-13 2015-06-04 Container raising/lowering conveyance apparatus KR10240917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22243 2014-06-13
JP2014122243A JP6179729B2 (en) 2014-06-13 2014-06-13 Container lifting and lowering conveyor
PCT/JP2015/066192 WO2015190393A1 (en) 2014-06-13 2015-06-04 Container raising/lowering conveyance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316A KR20170018316A (en) 2017-02-17
KR102409175B1 true KR102409175B1 (en) 2022-06-16

Family

ID=54833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705A KR102409175B1 (en) 2014-06-13 2015-06-04 Container raising/lowering conveyance apparatus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938090B2 (en)
EP (1) EP3133039B1 (en)
JP (1) JP6179729B2 (en)
KR (1) KR102409175B1 (en)
CN (1) CN106458533B (en)
BR (1) BR112016029114B1 (en)
CA (1) CA2949771C (en)
RU (1) RU2701634C2 (en)
TW (1) TWI631059B (en)
WO (1) WO201519039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9729B2 (en) * 2014-06-13 2017-08-16 株式会社ダイフク Container lifting and lowering conveyor
JP6418397B2 (en) * 2015-08-24 2018-11-07 株式会社ダイフク Elevating and lowering device for article transport container
CN108002290B (en) * 2017-12-01 2023-06-09 浙江理工大学 Cabinet type goods loading and unloading elevator based on lead screw
CN110316498B (en) * 2018-03-30 2021-08-31 威海新北洋数码科技有限公司 Article conveying device and intelligent logistics cabinet
JP6933829B2 (en) * 2018-07-05 2021-09-08 株式会社ダイフク Lifting and transporting device for goods transporting containers
CN110125961A (en) * 2019-05-22 2019-08-16 上海交通大学 A kind of pneumatic type waste material grabbing device for the processing of special-shaped polyurethane foam board
JP6882701B2 (en) * 2019-08-06 2021-06-0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Cold storag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72981A1 (en) * 1948-04-20 1948-11-30 Н.Н. Рахманов Tongs for crane
JPS535333Y2 (en) * 1973-03-10 1978-02-09
SU544601A1 (en) * 1975-06-25 1977-01-30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Техническое Объединение "Росоргтехпром" Capture for lifting a stack of piece goods
JPS59201778A (en) * 1983-04-28 1984-11-15 三立工業株式会社 Flexible touch hand
JPH01121089U (en) * 1988-02-10 1989-08-16
JP2513529Y2 (en) * 1990-05-16 1996-10-09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Bucket gripper
US5354112A (en) * 1991-12-09 1994-10-11 Mitsui Engineering & Shipbuilding Co., Ltd. Guide device for sifting and transporting containers
JP2601389B2 (en) * 1992-06-11 1997-04-16 三井造船株式会社 Control Method of Guide Flipper for Hanging Equipment for Container Handling
JPH05169387A (en) * 1991-12-17 1993-07-09 Fujitsu Ltd Robot hand
JPH06115608A (en) * 1992-09-30 1994-04-26 Mitsubishi Heavy Ind Ltd Locker container piling system in housing
JPH06190764A (en) * 1992-12-25 1994-07-12 Hitachi Ltd Gripping mechanism
DE9321200U1 (en) * 1993-04-05 1996-07-25 Preussag Noell Gmbh Rapid transshipment terminal
KR0183454B1 (en) * 1993-10-07 1999-04-15 마스다 쇼오이치로오 Apparatus for transferring cargoes
DE59308962D1 (en) * 1993-11-24 1998-10-08 Schenck Handling Systems Gmbh Device for storing or unstacking or re-stacking carriers for goods to be conveyed
NO972004D0 (en) * 1997-04-30 1997-04-30 Hatteland Electronic As Jacob Method for organizing flow of goods for a horizontally layered and deep-stacked inventory with disparate components, as well as transfer equipment for standardized containers for the purpose
US5971108A (en) * 1998-01-26 1999-10-26 Yu; Kuo-Liang Safety device for vertically moving load carrier
JP3484104B2 (en) * 1998-12-25 2004-01-06 平田機工株式会社 Automatic warehouse and automatic warehouse management method
DE19941661B4 (en) * 1999-09-01 2004-06-17 Graffinity Pharmaceuticals Ag Device and method for picking up and placing
EP1513747B1 (en) * 2002-05-13 2009-08-12 Bakvertisi Limited Apparatus for transporting containers
FR2876615B1 (en) * 2004-10-20 2008-04-25 Sidel Sas IMPROVEMENT TO MANIPULATOR ROBOT TOOLS
JP2007261738A (en) * 2006-03-28 2007-10-11 Sharp Corp Tray stacking transfer device
US7547052B2 (en) * 2006-05-25 2009-06-16 Dyco, Inc. Robotic head for palletizing full boxes, tray packs and spot packs
JP2010132404A (en) * 2008-12-04 2010-06-17 Muratec Automation Co Ltd Carrying carriage
JP5130320B2 (en) * 2010-04-28 2013-01-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Gripping device
US20130200915A1 (en) * 2012-02-06 2013-08-08 Peter G. Panagas Test System with Test Trays and Automated Test Tray Handling
ITTO20120421A1 (en) * 2012-05-10 2013-11-11 Emmeti Spa EQUIPMENT FOR PALLETIZING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JP5999508B2 (en) * 2013-03-15 2016-09-28 株式会社ダイフク Carrying device for box for conveying goods
US9119996B2 (en) * 2013-06-26 2015-09-01 Thomas Vail Tee marker transport device
JP6256694B2 (en) * 2014-06-13 2018-01-10 株式会社ダイフク Container lifting and lowering conveyor
JP6061206B2 (en) * 2014-06-13 2017-01-18 株式会社ダイフク Container lifting and lowering conveyor
JP6052515B2 (en) * 2014-06-13 2016-12-27 株式会社ダイフク Container lifting and lowering conveyor
JP6183714B2 (en) * 2014-06-13 2017-08-23 株式会社ダイフク Container lifting and lowering conveyor
JP6179729B2 (en) * 2014-06-13 2017-08-16 株式会社ダイフク Container lifting and lowering convey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33039A1 (en) 2017-02-22
JP2016003070A (en) 2016-01-12
EP3133039B1 (en) 2019-08-07
US20170066602A1 (en) 2017-03-09
US9938090B2 (en) 2018-04-10
BR112016029114A2 (en) 2017-08-22
TWI631059B (en) 2018-08-01
RU2016150406A (en) 2018-07-13
BR112016029114B1 (en) 2021-11-03
RU2016150406A3 (en) 2018-11-14
TW201604099A (en) 2016-02-01
BR112016029114A8 (en) 2021-09-08
CN106458533A (en) 2017-02-22
CA2949771C (en) 2023-02-28
RU2701634C2 (en) 2019-09-30
JP6179729B2 (en) 2017-08-16
CN106458533B (en) 2018-06-15
CA2949771A1 (en) 2015-12-17
WO2015190393A1 (en) 2015-12-17
EP3133039A4 (en) 2018-01-03
KR20170018316A (en) 2017-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9175B1 (en) Container raising/lowering conveyance apparatus
KR102401184B1 (en) Container raising/lowering conveyance apparatus
KR102401195B1 (en) Container raising/lowering conveyance apparatus
KR102441880B1 (en) Container raising/lowering conveyance apparatus
KR102401187B1 (en) Container raising/lowering conveyance apparatus
KR102465673B1 (en) Raising/lowering conveyance apparatus for article conveying container
JP2004525838A (en) Automated warehouse equipment
WO2017033845A1 (en) Raising/lowering conveyance device for container for conveying article
JP2014109102A (en) Mechanical parking device
JPH0556810U (en) Entry / Exit conveyor of automated warehouse
JPH07923U (en) Article storage device
JP2001158504A (e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warehouse
JP2003104512A (en) Article transfer device
JPH06183514A (en) Article stora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