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965B1 - 청취학습을 위한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청취학습을 위한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965B1
KR102408965B1 KR1020190151205A KR20190151205A KR102408965B1 KR 102408965 B1 KR102408965 B1 KR 102408965B1 KR 1020190151205 A KR1020190151205 A KR 1020190151205A KR 20190151205 A KR20190151205 A KR 20190151205A KR 102408965 B1 KR102408965 B1 KR 102408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reproduction
learning content
listening
play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2940A (ko
Inventor
장정호
Original Assignee
(주)듣는교과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듣는교과서 filed Critical (주)듣는교과서
Priority to KR1020190151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965B1/ko
Publication of KR20210062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취학습을 위한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특정 학습 주제에 관한 청취학습을 위해 기 등록된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자동 종료 요청을 수신하는 자동 종료 요청 수신부, 상기 자동 종료 요청에 따라 청취학습을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의 순차 재생을 제공하는 청취학습 제공부 및 상기 순차 재생을 추적하여 메인 학습 컨텐츠 별로 재생 완료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재생이 모두 완료되면 자동 종료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는 자동 종료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청취학습을 위한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PLAYBACK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LISTENING LEARNING}
본 발명은 청취학습을 위한 재생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학습 과정에서 반복 학습의 효과를 누리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편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청취학습을 위한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학습자가 어학이나 경제학과 같은 특정 카테고리의 학습을 멀티미디어 기기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는 학습을 위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 즉 개인용 컴퓨터, 태블릿 PC, 핸드폰, 스마트폰 기타 휴대용 학습 단말 기기 등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장소에서 청취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학습자 자신이 청취를 원하는 학습 컨텐츠를 연속하여 재생하는 과정에서 특정 시간이 경과된 경우 또는 특정 개수의 학습 컨텐츠가 재생된 경우 자동으로 종료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50666(2012.05.21)호는 학습시간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학습 단말을 이용하여 특정 카테고리의 학습을 분산적으로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학습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부분 학습시간을 모두 합산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학습자 자신이 실제로 수행한 총 학습시간을 파악하여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95871(2010.09.01)호는 학습시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학습시간을 계획적으로 수립하고 수립된 학습시간에 맞추어 학습하도록 유도하며 학습계획을 글로 표시하여 학습습관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50666(2012.05.21)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95871(2010.09.01)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학습 과정에서 반복 학습의 효과를 누리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편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청취학습을 위한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개수만큼의 학습 컨텐츠를 제공한 후 자동으로 청취학습을 종료할 수 있는 청취학습을 위한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청취학습에 관한 자동 종료 기능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투-트랙 재생과 청취율에 따른 반복 재생을 제공하여 청취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청취학습을 위한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청취학습을 위한 재생 제어 장치는 특정 학습 주제에 관한 청취학습을 위해 기 등록된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자동 종료 요청을 수신하는 자동 종료 요청 수신부, 상기 자동 종료 요청에 따라 청취학습을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의 순차 재생을 제공하는 청취학습 제공부 및 상기 순차 재생을 추적하여 메인 학습 컨텐츠 별로 재생 완료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재생이 모두 완료되면 자동 종료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는 자동 종료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 종료 요청 수신부는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자동 종료 요청을 위한 종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종료 인터페이스를 통해 재생 시간 또는 컨텐츠 개수를 포함하는 자동 종료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청취학습 제공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투-트랙(Two-track) 재생 요청을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투-트랙 재생 요청에 따라 메인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 학습 컨텐츠의 특정 재생 구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학습 컨텐츠의 등록을 검출하는 제2 단계, 상기 등록이 검출된 경우 상기 특정 재생 구간 동안에만 일시적으로 생성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학습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기 위한 임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임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선택이 수신된 경우 해당 선택과 연관된 보조 학습 컨텐츠를 상기 특정 재생 구간의 종료 시점에 연속하여 제공하는 제4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청취학습 제공부는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임시 인터페이스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학습 컨텐츠를 사용자의 선택 횟수에 따른 인기도 순으로 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종료 처리부는 상기 종료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컨텐츠 개수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재생 완료의 횟수를 카운팅(counting)하여 해당 컨텐츠 개수와 동일해지면 상기 자동 종료에 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종료 처리부는 상기 순차 재생 동안 특정 메인 학습 컨텐츠의 개시 시점을 검출하고 상기 개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특정 메인 학습 컨텐츠의 기본 재생시간, 재생 속도에 따른 실제 재생시간 및 종료 시점까지의 경과시간에 따라 청취 완료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종료 처리부는 상기 재생 완료의 횟수에 대한 상기 청취 완료의 횟수의 비율이 특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재생이 모두 완료되면 상기 자동 종료 대신 반복 재생에 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청취학습을 위한 재생 제어 방법은 특정 학습 주제에 관한 청취학습을 위해 기 등록된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자동 종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동 종료 요청에 따라 청취학습을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의 순차 재생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순차 재생을 추적하여 학습 컨텐츠 별로 재생 완료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재생이 모두 완료되면 자동 종료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취학습을 위한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개수만큼의 학습 컨텐츠를 제공한 후 자동으로 청취학습을 종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취학습을 위한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청취학습에 관한 자동 종료 기능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투-트랙 재생과 청취율에 따른 반복 재생을 제공하여 청취학습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취학습을 위한 재생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재생 제어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재생 제어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재생 제어 장치에서 수행되는 청취학습을 위한 재생 제어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투-트랙 재생 제공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청취 완료 결정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제어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취학습을 위한 재생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재생 제어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재생 제어 장치(130), 데이터베이스(150) 및 보호자 단말(17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청취 학습을 수행하고 학습 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재생 제어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들은 재생 제어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재생 제어 장치(130)는 청취학습을 위한 학습 컨텐츠 제공 과정에서 자동 종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재생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과 블루투스, WiFi, 통신망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생 제어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하여 청취학습 제공과 학습 기록 관리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재생 제어 장치(130)는 도 1과 달리, 데이터베이스(150)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외부 시스템(도 1에 미도시함)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외부 시스템은 온라인 학습을 위한 서버에 해당할 수 있고, 학습 비용의 결제에 관한 결제 서버에 해당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현 환경에 따라 다양한 외부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재생 제어 장치(130)는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입출력부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청취학습의 제공과 자동 종료 기능 제공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청취학습을 위한 학습계획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학습 주제별 학습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재생 제어 장치(130)가 청취학습을 위한 재생 제어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보호자 단말(170)은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수행되는 청취학습에 관한 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보호자 단말(170)은 재생 제어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보호자 단말(170)들은 재생 제어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재생 제어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재생 제어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재생 제어 장치(130)의 각 동작을 처리하는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재생 제어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재생 제어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재생 제어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재생 제어 장치(130)는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재생 제어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재생 제어 장치(130)는 자동 종료 요청 수신부(310), 청취학습 제공부(330), 자동 종료 처리부(350) 및 제어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 종료 요청 수신부(310)는 특정 학습 주제에 관한 청취학습을 위해 기 등록된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자동 종료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메인 학습 컨텐츠는 사용자에 의해 재생 요청된 학습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고,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메인 컨텐츠를 동시에 선택할 수 있다.
재생 제어 장치(130)는 학습 주제 별로 청취학습을 위한 학습 컨텐츠들을 사전에 데이터베이스(150)에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고, 사용자는 특정 학습 주제와 연관된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 중에서 청취를 원하는 메인 학습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재생 요청과 함께 자동 종료를 요청할 수도 있다. 자동 종료 요청은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에 대한 재생 완료 후 청취학습 기록의 저장과 청취학습을 위해 실행되었던 프로그램(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종료의 자동 수행에 관한 요청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청취학습을 위한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실행되어 동작할 수 있고,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자동 종료는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종료와 메모리 해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동 종료 요청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10)에게 자동 종료 요청을 위한 종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종료 인터페이스를 통해 재생 시간 또는 컨텐츠 개수를 포함하는 자동 종료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종료 인터페이스는 자동 종료 요청에 관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수단에 해당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종료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에 대한 재생 시간이나 연속하여 청취하고자 하는 메인 학습 컨텐츠의 개수를 입력하면서 자동 종료를 요청할 수 있다.
청취학습 제공부(330)는 자동 종료 요청에 따라 청취학습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의 순차 재생을 제공할 수 있다. 자동 종료 요청은 즉시 종료가 아닌 선택된 메인 학습 컨텐츠에 대한 정상적인 재생 이후 특정 시점에서의 종료 요청에 해당할 수 있고, 청취학습 제공부(330)는 자동 종료의 이전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청취학습을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청취학습 제공부(330)는 특정 컨텐츠 개수를 포함하는 자동 종료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특정 컨텐츠 개수만큼의 메인 학습 컨텐츠들을 연속하여 제공할 수 있고, 재생 제어 장치(130)는 해당 제공이 완료된 후 자동 종료에 관한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청취학습 제공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투-트랙(Two-track) 재생 요청을 수신하는 제1 단계, 투-트랙 재생 요청에 따라 메인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메인 학습 컨텐츠의 특정 재생 구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학습 컨텐츠의 등록을 검출하는 제2 단계, 등록이 검출된 경우 특정 재생 구간 동안에만 일시적으로 생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보조 학습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기 위한 임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3 단계 및 임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선택이 수신된 경우 해당 선택과 연관된 보조 학습 컨텐츠를 특정 재생 구간의 종료 시점에 연속하여 제공하는 제4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청취학습 제공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투-트랙(Two-track) 재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투-트랙 재생 요청은 복수의 학습 컨텐츠에 대한 연속 재생 또는 하나의 학습 컨텐츠의 특정 구간에 대한 서로 다른 내용의 연속 재생을 요청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청취학습 제공부(330)는 투-트랙 재생 요청에 따라 메인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메인 학습 컨텐츠의 특정 재생 구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학습 컨텐츠의 등록을 검출할 수 있다.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투-트랙 재생은 해당 메인 학습 컨텐츠의 재생 구간들 중 특정 재생 구간에 대해 메인 학습 컨텐츠와 다른 출처를 가진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때, 메인 학습 컨텐츠와 다른 출처를 가진 학습 컨텐츠를 보조 학습 컨텐츠라고 할 수 있다. 즉, 보조 학습 컨텐츠는 메인 학습 컨텐츠의 특정 구간에 대해 추가 설명을 제공하는 학습 컨텐츠에 해당할 수 있다. 청취학습 제공부(330)는 메인 학습 컨텐츠의 메타데이터 분석을 통해 특정 재생 구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학습 컨텐츠의 등록을 검출할 수 있으며, 보조 학습 컨텐츠는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에 대해 복수의 재생 구간들에서 각각 등록될 수 있다.
또한, 청취학습 제공부(330)는 등록이 검출된 경우 특정 재생 구간 동안에만 일시적으로 생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보조 학습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기 위한 임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청취학습 제공부(330)는 메인 학습 컨텐츠의 재생 과정에서 보조 학습 컨텐츠가 등록된 재생 구간에 진입하면 임시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제공하고, 해당 재생 구간을 벗어나면 임시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청취학습 제공부(330)에 의해 제공되는 임시 인터페이스는 해당 재생 구간에 대해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학습 컨텐츠를 리스트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청취학습 제공부(330)는 임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선택이 수신된 경우 해당 선택과 연관된 보조 학습 컨텐츠를 특정 재생 구간의 종료 시점에 연속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보조 학습 컨텐츠는 메인 학습 컨텐츠의 특정 재생 구간에 연관되어 등록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보조 학습 컨텐츠가 선택되는 경우, 청취학습 제공부(330)는 1차적으로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재생을 수행하고, 특정 재생 구간의 재생이 완료된 경우 보조 학습 컨텐츠를 연속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학습 컨텐츠에 포함된 특정 학습 내용에 관해 다양한 강사들의 설명을 효과적으로 청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청취학습 제공부(330)는 제3 단계에서, 임시 인터페이스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보조 학습 컨텐츠를 사용자의 선택 횟수에 따른 인기도 순으로 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다. 청취학습 제공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학습 컨텐츠를 리스트 형태로 제공할 수 있고, 보조 학습 컨텐츠에 관한 리스트는 사용자의 선택 횟수에 따라 정렬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임시 인터페이스 내에서 보조 학습 컨텐츠의 정렬 순서에 따라 인기 있는 보조 학습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에 의해 가장 많이 선택된 보조 학습 컨텐츠가 임시 인터페이스 내의 최상단에 표출될 수 있고, 다음 순위의 보조 학습 컨텐츠들이 아래 방향으로 차례대로 표출될 수 있다.
자동 종료 처리부(350)는 순차 재생을 추적하여 메인 학습 컨텐츠 별로 재생 완료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재생이 모두 완료되면 자동 종료에 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자동 종료 처리부(350)는 사용자의 자동 종료 요청의 대상이 되는 메인 학습 컨텐츠들의 재생이 종료되면 자동 종료에 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자동 종료에 관한 동작은 컨텐츠 재생에 사용된 프로그램(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종료에 해당할 수 있고, 관련 프로세스의 종료 및 할당된 메모리의 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동 종료 처리부(350)는 종료 인터페이스를 통해 재생 시간이 입력된 경우 해당 입력 시점을 기준으로 순차 재생의 경과 시간이 해당 재생 시간과 동일해지면 자동 종료에 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 시간이 경과하면 청취학습의 진행에 상관없이 모든 동작을 자동으로 종료하는 기능을 사용하여 청취학습 시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자동 종료 처리부(350)는 재생 시간과 함께 자동 종료 요청이 수신된 경우 입력 시점을 기준으로 입력된 재생 시간만큼의 시간이 경과된 경우 청취학습에 관한 모든 동작을 종료시킬 수 있다. 한편, 자동 종료 처리부(350)는 자동 종료의 전단계로서 현재 진행된 청취학습의 내역을 데이터베이스(150)에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동 종료 처리부(350)는 종료 인터페이스를 통해 컨텐츠 개수가 입력된 경우 재생 완료의 횟수를 카운팅(counting)하여 해당 컨텐츠 개수와 동일해지면 자동 종료에 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 개수만큼의 학습 컨텐츠들이 재생되면 청취학습의 진행에 상관없이 모든 동작을 자동으로 종료하는 기능을 사용하여 청취학습 시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자동 종료 처리부(350)는 컨텐츠 개수과 함께 자동 종료 요청이 수신된 경우 입력 시점을 기준으로 재생되고 있는 학습 컨텐츠를 포함하여 컨텐츠 개수만큼의 학습 컨텐츠들이 재생 완료된 경우 청취학습에 관한 모든 동작을 종료시킬 수 있다.
한편, 자동 종료 처리부(350)에 의해 카운팅(counting)되는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재생 완료는 컨텐츠 전구간에 대한 단순 재생의 완료에 해당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컨텐츠에 대한 기본 재생시간과 실제 재생시간 간의 비교를 통해 결정되는 청취의 완료에 해당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동 종료 처리부(350)는 순차 재생 동안 특정 메인 학습 컨텐츠의 개시 시점을 검출하고 개시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 메인 학습 컨텐츠의 기본 재생시간, 재생 속도에 따른 실제 재생시간 및 종료 시점까지의 경과시간에 따라 청취 완료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실제 재생시간은 재생 속도가 학습 컨텐츠의 학습 주제에 따라 차등적으로 결정되는 청취 가능 속도의 범위에 포함되어 재생된 시간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자동 종료 처리부(350)는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의 학습 컨텐츠의 재생이 청취학습이 불가능한 형태로 수행된 경우에는 정상적인 청취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청취 완료에 관한 횟수를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다. 각 학습 컨텐츠는 연관된 학습 주제에 따라 청취 가능 속도의 범위가 사전에 설정될 수 있고, 자동 종료 처리부(350)는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의 재생 속도와 해당 범위를 비교한 결과로서 청취 완료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동 종료 처리부(350)는 학습 컨텐츠의 기본 재생시간과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의 재생 속도에 따른 실제 재생시간 간의 차이가 일정 범위 이내인 경우 정상적인 청취학습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청취 완료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종료 처리부(350)는 학습 컨텐츠의 재생이 개시된 시점부터 종료된 시점까지의 경과시간이 기본 재생시간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 안에 포함된 경우에만 청취 완료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동 종료 처리부(350)는 재생 완료의 횟수에 대한 청취 완료의 횟수의 비율이 특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재생이 모두 완료되면 자동 종료 대신 반복 재생에 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자동 종료 처리부(350)는 단순 재생만 완료되었을 뿐, 실제 청취학습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자동 종료 요청에도 불구하고 반복 재생에 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동 종료 처리부(350)는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청취율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청취율은 재생 완료의 횟수에 대한 청취 완료의 횟수의 비율에 해당할 수 있다. 만약 청취율이 미리 설정된 특정 기준 이상인 경우 자동 종료 처리부(350)는 자동 종료 요청에 따른 자동 종료에 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청취율이 특정 기준 이하인 경우 자동 종료 처리부(350)는 자동 종료 대신 반복 재생에 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복 재생에 관한 동작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를 선택 순서에 따라 재생하는 동작에 해당할 수 있고, 청취율에 대한 비교 대상이 되는 특정 기준은 재생 제어 장치(130)에 의해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재생 제어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자동 종료 요청 수신부(310), 청취학습 제공부(330) 및 자동 종료 처리부(3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재생 제어 장치에서 수행되는 청취학습을 위한 재생 제어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재생 제어 장치(130)는 자동 종료 요청 수신부(310)를 통해 특정 학습 주제에 관한 청취학습을 위해 기 등록된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자동 종료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 S410).
또한, 재생 제어 장치(130)는 청취학습 제공부(330)를 통해 자동 종료 요청에 따라 청취학습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의 순차 재생을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30).
또한, 재생 제어 장치(130)는 자동 종료 처리부(350)를 통해 순차 재생을 추적하여 메인 학습 컨텐츠 별로 재생 완료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재생이 모두 완료되면 자동 종료에 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45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투-트랙 재생 제공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재생 제어 장치(130)는 청취학습 제공부(33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551)에 관한 투-트랙 재생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에게 메인 학습 컨텐츠(551)에 관한 청취학습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메인 학습 컨텐츠(551)의 특정 재생 구간(510)과 연관되어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학습 컨텐츠(553)에 관한 임시 인터페이스(530)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임시 인터페이스(530)는 보조 학습 컨텐츠(553)에 관한 리스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에서, 복수의 보조 학습 컨텐츠(553)들이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정렬된 리스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는 임시 인터페이스(530)를 통해 청취를 원하는 보조 학습 컨텐츠(553)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임시 인터페이스(530)는 메인 학습 컨텐츠(551)가 특정 재생 구간(510)으로 진입하는 시점부터 해당 구간을 벗어나는 시점까지 일시적으로 생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청취 완료 결정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재생 제어 장치(130)는 자동 종료 처리부(35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청취가 검출되면 해당 청취 내역을 기초로 해당 메인 학습 컨텐츠의 청취 완료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동 종료 처리부(350)는 개시 시점을 기준으로 메인 학습 컨텐츠의 기본 재생시간, 재생 속도에 따른 실제 재생시간 및 종료 시점까지의 경과시간에 따라 청취 완료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에서, 사용자 단말(110)에게 기본 재생시간이 t인 메인 학습 컨텐츠가 제공되고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재생속도 1로 시간 t동안 재생된 경우, 해당 메인 학습 컨텐츠의 재생속도에 따른 실제 재생시간은 t * 1 = t에 해당할 수 있다(그림 (a)).
만약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재생속도 2로 시간 t/2동안 재생된 경우, 해당 메인 학습 컨텐츠의 실제 재생시간은 t/2 * 2 = t에 해당할 수 있다(그림 (b)). 만약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재생속도 1.5로 시간 t/3동안 재생된 경우, 해당 메인 학습 컨텐츠의 실제 재생시간은 t/3 * 1.5 = t/2에 해당할 수 있다(그림 (c)).
즉, 그림 (a)와 (b)는 기본 재생시간이 t인 메인 학습 컨텐츠에 대해 재생속도에 따른 실제 재생시간이 t로 동일하므로, 자동 종료 처리부(350)는 두 경우 모두 해당 메인 학습 컨텐츠에 대한 청취가 완료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청취 완료 횟수를 1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그림 (c)의 경우, 기본 재생시간이 t인 메인 학습 컨텐츠에 대해 재생속도에 따른 실제 재생시간이 t/2이므로 자동 종료 처리부(350)는 해당 메인 학습 컨텐츠에 대한 청취가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제어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재생 제어 장치(130)는 자동 종료 처리부(350)를 통해 메인 학습 컨텐츠에 대한 순차 재생을 추적하여 메인 학습 컨텐츠 별로 재생 완료를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재생이 모두 완료되면 자동 종료에 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동 종료 처리부(350)는 메인 학습 컨텐츠에 대한 재생 완료 횟수와 청취 완료 횟수를 기초로 자동 종료 또는 반복 재생에 관한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7에서, 재생 제어 장치(130)는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자동 종료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자동 종료 요청에 따라 청취학습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의 순차 재생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재생 제어 장치(130)는 자동 종료 처리부(350)를 통해 메인 학습 컨텐츠의 재생 완료 횟수와 청취 완료 횟수를 각각 독립적으로 카운팅(counting)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동 종료 처리부(350)는 메인 학습 컨텐츠 별로 재생 완료를 검출하여 재생 완료 횟수(α)를 1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 종료 처리부(350)는 메인 학습 컨텐츠 별로 청취 완료를 결정하여 청취 완료 횟수(β)를 1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때, 자동 종료 처리부(350)는 메인 학습 컨텐츠의 개시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 메인 학습 컨텐츠의 기본 재생시간, 재생 속도에 따른 실제 재생시간 및 종료 시점까지의 경과시간에 따라 청취 완료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종료 처리부(350)는 재생 완료 횟수와 청취 완료 횟수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청취율(β/α)을 산출할 수 있고, 청취율을 특정 기준(k)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자동 종료 또는 반복 재생에 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특정 기준(k)은 재생 제어 장치(130)에 의해 사전에 설정되어 청취율 산출에 활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재생 제어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재생 제어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170: 보호자 단말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자동 종료 요청 수신부 330: 청취학습 제공부
350: 자동 종료 처리부 370: 제어부
510: 특정 재생 구간 530: 임시 인터페이스
551: 메인 학습 컨텐츠 553: 보조 학습 컨텐츠

Claims (8)

  1. 특정 학습 주제에 관한 청취학습을 위해 기 등록된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자동 종료 요청을 수신하는 자동 종료 요청 수신부;
    상기 자동 종료 요청에 따라 청취학습을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의 순차 재생을 제공하는 청취학습 제공부; 및
    상기 순차 재생을 추적하여 메인 학습 컨텐츠 별로 재생 완료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재생이 모두 완료되면 자동 종료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는 자동 종료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청취학습 제공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투-트랙(Two-track) 재생 요청을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투-트랙 재생 요청에 따라 메인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 학습 컨텐츠의 특정 재생 구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학습 컨텐츠의 등록을 검출하는 제2 단계, 상기 등록이 검출된 경우 상기 특정 재생 구간 동안에만 일시적으로 생성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학습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기 위한 임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임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선택이 수신된 경우 해당 선택과 연관된 보조 학습 컨텐츠를 상기 특정 재생 구간의 종료 시점에 연속하여 제공하는 제4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며,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임시 인터페이스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학습 컨텐츠를 사용자의 선택 횟수에 따른 인기도 순으로 정렬하여 제공하고,
    상기 자동 종료 처리부는 상기 순차 재생 동안 특정 메인 학습 컨텐츠의 개시 시점을 검출하고 상기 개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특정 메인 학습 컨텐츠의 기본 재생시간, 재생 속도에 따른 실제 재생시간 및 종료 시점까지의 경과시간에 따라 청취 완료를 결정하며, 상기 재생 완료의 횟수에 대한 상기 청취 완료의 횟수의 비율이 특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재생이 모두 완료되면 상기 자동 종료 대신 반복 재생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고,
    각 학습 컨텐츠는 연관된 학습 주제에 따라 청취 가능 속도의 범위가 사전에 설정되고, 상기 실제 재생시간은 상기 재생 속도가 상기 학습 컨텐츠의 학습 주제에 따라 차등적으로 결정되는 청취 가능 속도의 범위에 포함되어 재생된 시간에 해당하며,
    상기 실제 재생시간은 상기 청취 가능 속도의 범위 내의 재생 속도와 상기 종료 시점까지의 경과시간 사이의 곱연산을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취학습을 위한 재생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종료 요청 수신부는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자동 종료 요청을 위한 종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종료 인터페이스를 통해 재생 시간 또는 컨텐츠 개수를 포함하는 자동 종료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취학습을 위한 재생 제어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종료 처리부는
    상기 종료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컨텐츠 개수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재생 완료의 횟수를 카운팅(counting)하여 해당 컨텐츠 개수와 동일해지면 상기 자동 종료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취학습을 위한 재생 제어 장치.
  6. 삭제
  7. 삭제
  8. 재생 제어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학습 주제에 관한 청취학습을 위해 기 등록된 복수의 학습 컨텐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자동 종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동 종료 요청에 따라 청취학습을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의 순차 재생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순차 재생을 추적하여 학습 컨텐츠 별로 재생 완료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재생이 모두 완료되면 자동 종료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순차 재생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투-트랙(Two-track) 재생 요청을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투-트랙 재생 요청에 따라 메인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 학습 컨텐츠의 특정 재생 구간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학습 컨텐츠의 등록을 검출하는 제2 단계, 상기 등록이 검출된 경우 상기 특정 재생 구간 동안에만 일시적으로 생성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학습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하기 위한 임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임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선택이 수신된 경우 해당 선택과 연관된 보조 학습 컨텐츠를 상기 특정 재생 구간의 종료 시점에 연속하여 제공하는 제4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며,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임시 인터페이스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학습 컨텐츠를 사용자의 선택 횟수에 따른 인기도 순으로 정렬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 종료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순차 재생 동안 특정 메인 학습 컨텐츠의 개시 시점을 검출하고 상기 개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특정 메인 학습 컨텐츠의 기본 재생시간, 재생 속도에 따른 실제 재생시간 및 종료 시점까지의 경과시간에 따라 청취 완료를 결정하며, 상기 재생 완료의 횟수에 대한 상기 청취 완료의 횟수의 비율이 특정 기준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인 학습 컨텐츠에 관한 재생이 모두 완료되면 상기 자동 종료 대신 반복 재생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 학습 컨텐츠는 연관된 학습 주제에 따라 청취 가능 속도의 범위가 사전에 설정되고, 상기 실제 재생시간은 상기 재생 속도가 상기 학습 컨텐츠의 학습 주제에 따라 차등적으로 결정되는 청취 가능 속도의 범위에 포함되어 재생된 시간에 해당하며,
    상기 실제 재생시간은 상기 청취 가능 속도의 범위 내의 재생 속도와 상기 종료 시점까지의 경과시간 사이의 곱연산을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취학습을 위한 재생 제어 방법.
KR1020190151205A 2019-11-22 2019-11-22 청취학습을 위한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408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205A KR102408965B1 (ko) 2019-11-22 2019-11-22 청취학습을 위한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205A KR102408965B1 (ko) 2019-11-22 2019-11-22 청취학습을 위한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940A KR20210062940A (ko) 2021-06-01
KR102408965B1 true KR102408965B1 (ko) 2022-06-23

Family

ID=76375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205A KR102408965B1 (ko) 2019-11-22 2019-11-22 청취학습을 위한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9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3779A (ja) * 2007-09-19 2009-04-30 Sony Corp 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5871A (ko) 2009-02-23 2010-09-01 주식회사 티엠디교육그룹 학습시간 관리 시스템
KR20120042166A (ko) * 2010-10-22 2012-05-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어학 학습 시스템 및 어학 학습 방법
KR20120050666A (ko) 2010-11-11 2012-05-21 박현 학습시간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88227B1 (ko) * 2017-01-31 2020-12-09 주식회사 에스티유니타스 복합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3779A (ja) * 2007-09-19 2009-04-30 Sony Corp 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940A (ko) 202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6962B2 (en) Digital media asset browsing with audio cues
JP6217645B2 (ja) 情報処理装置、再生状態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16333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visualizing audio data
CN102763159A (zh) 话音输入的处理
US8443288B2 (en) Ubiquitous companion agent
JP6128146B2 (ja) 音声検索装置、音声検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873869A (zh) 一种音乐播放的控制方法及装置
KR101768897B1 (ko) 터치 입력에 기초한 개체의 이동 또는 복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6359738B2 (ja) インタラクティブコンテンツに対するコメント方法及びコメントシナリオ再演方法
KR20220122952A (ko) 인터넷 만화 컨텐츠에 대해 음원을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WO2016112791A1 (zh) 移动终端应用程序页面的展现方法和装置
GB2485567A (en) Playlist creation using a graph of interconnected nodes
CN101158960B (zh) 通信系统、通信设备和通信方法
TWI307474B (en)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2408965B1 (ko) 청취학습을 위한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247507B1 (ko) 청취학습 기반의 보이스 노트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26507B1 (ko) 혼합 매체 경험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US8803808B1 (en) Keyboard event detection and network event generation
JP5541529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楽曲推薦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4866187B (zh) 用于再现内容项的方法和设备
KR20210127674A (ko) 투-트랙 연속 재생 기반의 청취학습 제공 장치 및 방법
JP5541531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楽曲推薦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471208B2 (en) Method for positioning of control elements within GUI
KR102314697B1 (ko) 청취학습 기반의 학습횟수 자동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373515B1 (ko) 콘텐츠의 플레이 중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