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963B1 - 산업용 열풍기 - Google Patents

산업용 열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963B1
KR102408963B1 KR1020200134870A KR20200134870A KR102408963B1 KR 102408963 B1 KR102408963 B1 KR 102408963B1 KR 1020200134870 A KR1020200134870 A KR 1020200134870A KR 20200134870 A KR20200134870 A KR 20200134870A KR 102408963 B1 KR102408963 B1 KR 102408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urner
guide plate
guide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4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1449A (ko
Inventor
강민구
Original Assignee
강민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구 filed Critical 강민구
Priority to KR1020200134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963B1/ko
Publication of KR20220051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8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24H9/0063Guiding means in air chan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된 산업현장이나, 농업용 하우스 등에서 사용되는 산업용 열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11)의 내부에는 흡기된 외부의 공기가 송풍되도록 한 송풍팬(22)과, 차열통(12)에 감싸진 연소통(13)과, 연료관(23)으로 공급된 연료를 연소하는 버너(14)와, 유도날개(17)가 부착된 유도판(15)이 구성되어, 송풍팬(22)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 중 일부가 유도날개(17)에 의하여 유도판(15) 중앙의 배기공(16)으로 유도된 후 버너(14)로 공급되도록 하여 간단한 구조로 제작비가 절감되는 것은 물론 고장 발생 가능성을 크게 낮추고, 고효율로 열풍이 발생되도록 한 산업용 열풍기이다.

Description

산업용 열풍기 {FAN HEATER}
본 발명은 개방된 산업현장이나, 농업용 하우스 등에서 사용되는 산업용 열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11)의 내부에는 흡기된 외부의 공기가 송풍되도록 한 송풍팬(22)과, 차열통(12)에 감싸진 연소통(13)과, 연료관(23)으로 공급된 연료를 연소하는 버너(14)와, 유도날개(17)가 부착된 유도판(15)이 구성되어, 송풍팬(22)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 중 일부가 유도날개(17)에 의하여 유도판(15) 중앙의 배기공(16)으로 유도된 후 버너(14)로 공급되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산업용 열풍기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원통형의 몸체(11) 내부에 연소통(13)과 연소통(13)을 감싸는 차열통(12) 및 송풍팬(22)을 감싸는 송풍팬통(21)이 구성되고, 연소통(13)과 송풍팬(22) 사이에는 버너(14)가 고정된 고정판(20)이 부착되며, 버너(14)는 연료관(23)과 연결되어 연료관(23)을 통해 공급되는 연료의 연소로, 송풍팬(22)에 의하여 연소통(13)을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이 송풍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버너(14)의 주변에는 연료가 연소되는데 필요한 공기가 충분히 공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몸체(11)의 측면에 별도의 블로워팬(32)을 구성하고, 블로워팬(32)의 작동으로 흡기관(31)을 통해 흡기된 공기가 배기관(33)을 통해 버너(14) 주변으로 송풍되어 버너(14)로 공기를 강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산업용 열풍기에 있어서, 블로워팬(32)은 열풍의 목표강도에 따라 블로워팬(22)의 회전속도를 가감하여 버너(14) 주변으로 송풍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버너(14)가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관련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45476호를 들 수 있다.
종래의 산업용 열풍기는 별도의 블로워팬(32)을 통해 버너(14) 주변으로 외부의 공기가 송풍되는 구성을 가진 것으로서, 별도의 센서와 컨트롤러 등을 통해 열풍의 목표강도 및 송풍팬(22)의 회전속도에 따라 블로워팬(32)의 회전속도가 가감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서는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우선, 종래의 산업용 열풍기는 송풍팬(22)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가 필요하고, 별도의 컨트롤러는 별도의 센서를 통해 입력된 송풍팬(22)의 회전속도에 따라, 블로워팬(32)의 회전속도가 가감되도록 구성되어야 버너(14)에서 원활한 연소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비가 많이 소요되고. 고장 발생 가능성이 크다.
또한, 송풍되는 공기 중 일부가 몸체(11) 내부에 구성된 배기관(33)에 부딪혀 송풍의 흐름이 방해되고 소음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송풍팬(22)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가 버너(14)에 의하여 가열되어 외부로 토출되는 산업용 열풍기에 있어서, 송풍팬(22)과 연소통(13) 사이에 고정되는 고정판(20)에는 유도날개(17)가 부착된 유도판(15)이 설치되되, 유도판(15)에는 공기가 통과되는 배기공(16)이 중앙에 형성되고, 배기공(16)을 중심으로 유도판(15)의 외곽보다 돌출되는 다수의 유도날개(17)가 방사상으로 부착되어, 송풍팬(22)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의 일부가 유도날개(17)에 의하여 배기공(16)으로 유도된 후 버너(14) 주변으로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열풍기이다.
또한, 상기 유도날개(17)에는 슬라이드장공(19)이 형성되고, 유도판(15)에는 슬라이드장공(19)을 관통한 뒤 유도판(15)에 끼워지는 볼트(25)가 구성되어, 유도날개(17)가 유도판(15)의 중심 쪽과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이동되어 배기공(16)을 통해 버너(14)로 유도되는 공기량이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열풍기이다.
본 발명은 송풍팬(22)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 중 일부가 유도날개(17)를 통해 버너(14) 주변으로 유도되어, 버너(14)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충분한 열풍이 발생되는 것은 물론 간단한 구조로 제작비가 절감되고, 고장 발생 가능성이 크게 낮아지며, 필요할 경우 유도날개(17)를 조절하여 버너(14)로 유도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 고효율로 열풍을 송풍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산업용 열풍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산업용 열풍기의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절단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유도날개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의 일부가 버너로 유도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유도날개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구성의 사시도
산업용 열풍기인 본 발명의 구성은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몸체(11)가 구성되고, 몸체(11) 내의 전방에는 연소통(13)과, 연소통(13) 및 몸체(11)와 이격된 상태에서 연소통(13)을 감싸는 차열통(12)이 구성되며, 몸체(11) 내의 후방에는 송풍팬(22)을 감싸는 송풍팬통(21)이 구성되고, 연소통(13)과 송풍팬(22) 사이에 구성된 고정판(20)은 유도날개(17)가 부착된 유도판(15)이 설치되어 구성되며, 송풍팬(22)은 송풍팬통(21) 내에 구성되어 몸체(11)의 후방에서 흡기된 공기가 연소통(13) 및 차열통(12)을 거쳐 전방으로 송풍되도록 작동되는데, 이들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풍팬(22)과 연소통(13) 사이에 고정된 고정판(20)은 유도날개(17)가 부착된 유도판(15)이 설치되고 중앙에는 연료관(23)이 관통된다.
유도판(15)은 연소통(13)의 내경보다 작은 의 원반형으로 중앙에는 유도날개(17)에 의하여 유도판(15) 중심부로 유도된 공기가 버너(14) 주변으로 송풍되도록 배기공(16)이 형성된다.
유도날개(17)는 L자 형태로 유도판(15)과 고정판(20) 사이에 위치되되, 유도날개(17)의 일면이 유도판(15)에 접촉되면서 배기공(16)을 축으로 다수의 유도날개(17)가 방사상으로 부착되고, 유도날개(17)의 말단은 유도판(15) 외곽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판(20)에 접촉된 유도날개(17)와 유도판(15) 사이에는 유도공(18)이 형성되는데, 송풍팬(22)에 의하여 전방으로 송풍되는 공기 중 일부가 유도날개(17)에 의하여 유도공(18)과 배기공(16)을 경유하여 버너(14) 주변으로 송풍되기 때문에, 버너(14)에서 분사된 연료가 유도날개(17)로 유도된 공기에 의하여 연소가 촉진되어 고효율로 연소된다.
연료관(23)은 외부의 연료를 버너(14)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몸체(11)를 관통한 후, 고정판(20)의 중앙과 배기공(16)의 중앙을 관통하여 버너(14)와 연결되며, 버너(14)의 작동으로 연료관(23)에서 공급된 연료가 연소된다.
또한, 연료관(23)을 통해 공급된 연료가 전술한 바와 같이 버너(14) 주변으로 유도된 공기에 의해 연소통(13)에서 연소가 촉진되면서,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이 송풍된다.
연소통(13)은 버너(14)에서 분사된 연료가 연소되는 것으로, 연소 과정에서 송풍팬(22)로 송풍된 공기가 열풍으로 가열되면서 송풍된다.
차열통(12)은 연소통(13) 및 몸체(11)와 이격되면서 연소통(13)을 감싸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송풍팬(22)으로 송풍되는 공기 일부가 차열통(12)과 몸체(11) 및 차열통(12)과 연소통(13) 사이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연소통(13)에서 발생된 열이 차열통(12)에 의하여 1차 차열되고, 차열통(12)과 몸체(11) 사이의 공간과 차열통(12)과 연소통(12) 사이의 공간으로 송풍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되면서 2차 차열된다.
따라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통(13)에서 발생된 열이 차열통(12)에 의해 차열 및 냉각되어 몸체(11)의 온도가 오르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화상 위험이 감소된다.
몸체(11)의 후방에 구성된 그릴(24)은 망 형태로서, 송풍팬(22)에 의하여 공기가 흡기될 때, 공기와 함께 이물질이 빨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회전중인 송풍팬(22)에 사용자의 신체가 닿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 예를 도 5 및 도 6을 예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에서와 같이 송풍팬(22)이 가동되면, 외부의 공기가 몸체(11) 후방에서 흡기된 후, 연소통(13) 및 차열통(12)을 거쳐 몸체(11) 외부로 송풍되는데, 도 6에서와 같이 송풍 과정에서의 공기 일부가 유도날개(17)에 의하여 배기공(16)을 통과하고 버너(14) 주변으로 유도되어 버너(14)에서 분사된 연료의 연소를 촉진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종래의 산업용 열풍기에 구성된 블로워팬(32) 및 배기관(33) 등의 구성 없이도 동일 내지 우수한 효과가 발생되는 것으로, 유도날개(17)에 의하여 버너(14) 주변으로 다량의 공기가 유도되는데, 이때, 송풍팬(22)의 회전속도에 따라 유도되는 공기의 양이 가감되므로 별도의 제어 없이도 높은 효율로 연료가 연소되어 열풍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료비가 절감되고, 간단한 구성을 통하여 제작비가 절감됨과 동시에 고장 발생율이 낮아 가동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도 7에서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유도날개(17)로 유도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도날개(17)에는 유도판(15)과 접촉되는 면에 유도판(15)의 중앙과 테두리 방향으로 슬라이드장공(19)을 형성하고, 유도판(15)에는 슬라이드장공(19)을 관통하여 유도판(15)에 끼워지는 볼트(25)를 구성하면, 유도날개(17)가 유도판(15)의 중심 방향으로 근접되거나 이격되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도날개(17)가 유도판(15)의 중심 쪽에 근접되게 이동되면, 유도날개(17)의 말단이 유도판(15)에서 짧게 돌출되기 때문에, 유도날개(17)에 의한 공기의 유도량이 줄어들어 버너(14) 주변으로 적은 공기가 송풍된다.
반대로, 유도날개(17)가 유도판(15)의 중심 쪽에서 이격되게 이동되면 유도날개(17)의 말단이 유도판(15)에서 길게 돌출되기 때문에, 유도날개(17)에 의한 공기의 유도량이 늘어나 버너(14) 주변으로 많은 공기가 송풍된다.
이렇듯 사용자가 유도날개(17)를 슬라이드 이동하여 연료가 최적의 상태로 연소되도록 공기의 유도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작동효율을 증대하고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11 : 몸체
12 : 차열통
13 : 연소통
14 : 버너
15 : 유도판
16 : 배기공
17 : 유도날개
18 : 유도공
19 : 슬라이드장공
20 : 고정판
21 : 송풍팬통
22 : 송풍팬
23 : 연료관
24 : 그릴
25 : 볼트
31 : 흡기관
32 : 블로워팬
33 : 배기관

Claims (2)

  1. 송풍팬(22)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가 버너(14)에 의하여 가열되어 외부로 토출되고 송풍팬(22)과 연소통(13) 사이에 고정되는 고정판(20)에는 유도날개(17)가 부착된 유도판(15)이 설치되되, 유도판(15)에는 공기가 통과되는 배기공(16)이 중앙에 형성되고, 배기공(16)을 중심으로 유도판(15)의 외곽보다 돌출되는 다수의 유도날개(17)가 방사상으로 부착되어, 송풍팬(22)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의 일부가 유도날개(17)에 의하여 배기공(16)으로 유도된 후 버너(14) 주변으로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열풍기에 있어서,
    유도날개(17)에는 슬라이드장공(19)이 형성되고, 유도판(15)에는 슬라이드장공(19)을 관통한 뒤 유도판(15)에 끼워지는 볼트(25)가 구성되어,
    유도날개(17)가 유도판(15)의 중심 쪽과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이동되어 배기공(16)을 통해 버너(14)로 유도되는 공기량이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열풍기.
  2. 삭제
KR1020200134870A 2020-10-19 2020-10-19 산업용 열풍기 KR102408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870A KR102408963B1 (ko) 2020-10-19 2020-10-19 산업용 열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870A KR102408963B1 (ko) 2020-10-19 2020-10-19 산업용 열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449A KR20220051449A (ko) 2022-04-26
KR102408963B1 true KR102408963B1 (ko) 2022-06-14

Family

ID=81391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870A KR102408963B1 (ko) 2020-10-19 2020-10-19 산업용 열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9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6962A (zh) * 2017-12-29 2018-05-08 宁波宝工电器有限公司 一种燃气暖风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5618A (en) * 1997-12-10 1999-02-02 Hiebert; Jacob F. Self-regulating forced air heater
KR100851531B1 (ko) * 2007-01-03 2008-08-11 주식회사 파세코 열풍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6962A (zh) * 2017-12-29 2018-05-08 宁波宝工电器有限公司 一种燃气暖风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449A (ko)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9964B2 (en) Inward fired low NOX premix burner
KR20110053310A (ko) 저 녹스 버너
ES2885073T3 (es) Aparato de cocción
EP3563095B1 (en) Boiler for generating hot water or steam
KR102408963B1 (ko) 산업용 열풍기
KR970011046B1 (ko) 가스조리기의 온도상승방지 구조
US20230375189A1 (en) Cooking device
CN109307263A (zh) 一种低氮燃烧器
EP2085704A2 (en) Cooking device
CN110101314A (zh) 烹饪电器
CN205419790U (zh) 炭活化转炉的热能循环系统
KR101505885B1 (ko) 가스 온풍기
RU69210U1 (ru) Воздухонагреватель для зерносушилки
US20200173689A1 (en) Inward fired low nox premix burner
KR100402620B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쿡탑부 배기장치
JPH094924A (ja) 温風暖房機
KR20020056248A (ko) 가스복사 조리기의 배기구조
KR101898831B1 (ko) 라디언트 튜브 버너
KR100786072B1 (ko) 가스 복사 조리기기
KR101477167B1 (ko) 튜브형 히터의 버너 시스템
CN110939945A (zh) 燃烧装置和热水装置
KR20020056254A (ko) 가스복사 조리기의 콘트롤박스 냉각장치
JPH07119959A (ja) 温風発生機の燃焼室構造
EP2119962B1 (en) Radiant tube heater assembly
JP5403504B2 (ja) 赤外線輻射ヒ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